KR100695700B1 -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700B1
KR100695700B1 KR1020050032698A KR20050032698A KR100695700B1 KR 100695700 B1 KR100695700 B1 KR 100695700B1 KR 1020050032698 A KR1020050032698 A KR 1020050032698A KR 20050032698 A KR20050032698 A KR 20050032698A KR 100695700 B1 KR100695700 B1 KR 100695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emale
male
present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920A (ko
Inventor
김세중
Original Assignee
김세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중 filed Critical 김세중
Priority to KR102005003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70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칸막이나 벽체를 이루는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음과 내화(단열)성능이 높고, 패널간의 결합을 이루는 스터드에도 차음성능과 내화성능을 살리며, 그들간의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그 조립의 견고성도 갖춘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칸막이나 벽면이 되는 패널의 외부에 경량의 무기질보드를 사용하고 패널의 내부에는 무기질보드 및 내화제등을 충진하여 견고하고, 차음 과 내화의 효과를 극대화한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패널의 외부에 부착되는 두껍고 무거운 석고보드를 탈피하고, 얇고 가벼운 무기질보드를 사용하기에 견고하고 미관상 매끈하며 특히 패널의 무게를 적게 했으며, 칸막이의 두께가 얇으면서도 내화성능과 차음성능이 우수하여 내부 결벽의 내화구조, 차음구조에 사용시 실내 유효면적이 증가되며, 실질적으로 공장에서 무기질보드까지 체결한 칸막이용 패널을 제작하여 현장으로 이송시킬 수 있기에 시공의 시간이 절약하며 결국 원가의 절감을 가져온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그 스터드를 통한 간단하고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마감도 매끈하게 할 수 있기에 미관상에도 깔끔하다.
스터드, 패널, 내화성, 차음, 무기질보드 등

Description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The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fabricated panel}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칸막이용 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칸막이용 패널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칸막이용 패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칸막이용 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에서 도시한 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칸막이용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내화스터드의 외형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내화스터드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형프레임에 삽입될 내부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그 슬릿부를 완전절단하고 열차단슬릿을 구성한 제1실시예에 따른 내화스터드의 모습을 전체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외형프레임에 다공질의 무기경량내화제를 충진하고 그 슬릿부를 완전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암, 수 외형프레임에서 그 열차단슬릿을 다른 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의 암, 수 외형프레임에서 그 열차단슬릿을 다른 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패널과 패널이 그 스터드를 통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패널과 패널이 그 스터드를 통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패널과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패널과 패널이 다른 실시예의 스터드를 통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20; 외형프레임 11,21; 요철부
12,22; 슬릿부 31; 평철
32; 차단프레임 40; 다공질 무기경량내화제
50; 열차단슬릿 100; 내화스터드
200; 패널 210; 무기질보드기본판
220; 충진물 221; 무기질보드
230; 무기질보드마감판 250; 내화단열재
260; 패킹 270; 무기질보드덮개판
271; 금속판층 272; 무기질보드판층
본 발명은 조립식 칸막이나 벽체를 이루는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음과 내화(단열)성능이 높고, 패널간의 결합을 이루는 스터드에도 차음성능과 내화성능을 살리며, 그들간의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그 조립의 견고성도 갖춘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칸막이가 되는 패널의 경우 도 1과 2에서 보이듯, 철판으로 제작된 패널(B)의 좌측이나 우측에 "ㄷ"자 형태의 스터드(A)를 체결하고 그 스터드(A)에 다른 패널(B)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조립하고 있다.
물론 내화 및 차음을 위해서는 상기 패널(B)의 표면에 석고보드와 무기질보드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패널(B)의 내부에는 유리섬유등의 내화제를 충진시켜 사용하는 것도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철재 스터드(A)와 패널(B)의 경우 열전도율이 높아서 화염이나 고열에 약하므로 표면제 또는 이면제로 두꺼운 방화석고보드를 이중으로 겹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조립구조는 상기 방화용 석고보드가 두껍고 무겁기에 간편하게 조립하기가 힘들고, 조립화 된 경우에도 그 연결부위가 취약하여 화염이나 고열로 인해 열변형될 소지가 많다.
물론 이렇게 열변형이 되면 틈이 발생되어 그 패널(B)이 추구하는 내화성능 과 차음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직접 조립시공하여야 하기에 많은 건축 폐기물이 발생되고, 자재가 낭비되기에 이에 따라 물류비와 노무비등의 경비가 상승할 수밖에 없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조립식 칸막이나 벽체를 이루는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음과 내화(단열)성능이 높고, 패널간의 결합을 이루는 스터드에도 차음성능과 내화성능을 살리며, 그들간의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그 조립의 견고성도 갖춘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우 양측단에 체결되는 암, 수의 내화스터드와; 상기 스터드와 체결되는 판형의 상하의 금속판과; 상기 상하의 금속판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물과; 상기 상하의 금속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무기질보드가; 상기 암,수의 스터드와 금속판의 용접이나 스크류 체결에 의해 이루어진 내부의 공간부에 내화 차음의 충진물이 채워지고, 그 표면에는 무기질보드가 부착되는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널의 요부인 상기 내화스터드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서로 끼워지게 성형한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내 외부로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형으로 절개된 슬릿부를 형성한 암 수의 외형프레임과; 상기 외형프레임의 내부에는 장착되며, 별도의 장형의 금속편으로 제작된 구조용 평철과, 그 평철에 일정간격을 두고 차단프레임을 결합한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이 삽입된 외형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에 충진되는 다공질의 무기경량내화제가; 상기 무기경량내화제가 외형프레임 내부에서 경화되고, 상기 절개된 슬릿부를 완전히 절개하여 열전도를 차단하는 열차단슬릿을 구성하여, 화염의 발생시 외형프레임의 일측에서 전도되는 열을 그 열차단슬릿과 무기경화내화제를 통해 차단하는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전술된 패널 일측에 체결된 스터드의 암 외형프레임 요철부와; 상기 암 외형프레임의 요철부에 끼워지는 또 다른 패널의 일측에 체결된 스터드의 수 외형프레임 요철부와; 상기 암수의 요철부가 겹치는 부위에 끼워지는 장형의 패킹과; 상기 암수의 스터드가 만나는 부위의 외부를 덥는 무기질보드마감판이; 상기 암 외형프레임과 수 외형프레임의 요철부를 통해 끼워져 결합하고, 그 접촉부위에 패킹이 끼워져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며, 무기질보드마감판을 통해 덮혀 매끈하게 조립되는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의 조립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조립식 칸막이나 벽체를 이루는 패널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패널의 내화성과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성에서 효과가 높고, 패널과 패널간의 체결이 견고하고 안정적이며, 그 조립도 간편하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1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조립식 칸막이나 벽체를 이루는 패널에 있어서, 좌우 양측단에 체결되는 암, 수의 내화스터드(100)가 있고, 상기 스터드(100)와 체결되는 판형의 상하의 무기질보드기본판(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의 무기질보드기본판(210)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물(22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의 무기질보드기본판(210)의 표면에 부착되는 무기질보드마감판(230)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암,수의 스터드(100)와 무기질보드기본판(210)의 접착제, 용접 또는 스크류 체결에 의해 이루어진 내부의 공간부에 내화 차음의 충진물(220)이 채워지고, 그 표면에는 무기질보드마감판(230)이 부착되어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이 된다.
즉, 본 발명의 패널(200)은 상하로 구비되는 무기질보드기본판(210)의 측면을 상기 암수의 스터드(100)를 통해 용접이나 스크류를 통해 결합하고, 그 내부에 충진물(220)을 채워 내화 및 차음의 효과를 내며, 그 표면에 무기질보드마감판(230)을 부착시켜 견고하고 깔끔한 칸막이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요지인 스터드(100)를 상세히 설명하자면, 금속판을 절곡하여 서로 끼워지게 성형한 요철부(11,21)와, 상기 요철부(11,21)의 내 외부로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형으로 절개된 슬릿부(12)를 형성한 암 수의 외형프레임(10,20)이 구성된다.
즉, 이 외형프레임(10,2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1실시예(도 7에 도시)의 암 외형프레임(10)과 제2실시예의 암 외형프레임(10)을 가진 스터드(100; 도 9,10에 도시)를 도시해 놓았다.
도 7 내지 9는 제 1실시예의 암 스터드(100)에 관한 도면이며 도 10은 제2실시예의 암 스터드(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상기 도 7 내지 도 10의 제1과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100)는 모두 암 외형프레임(10)으로 제조된 스터드(100)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응하는 수 외형프레임(20)도 도시하고 있는데, 그 도면이 도 11과 12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서로 끼움구조로 이루어진 요철부(11,21)를 통해 서로 결합하는 암, 수 외형프레임(10,20)으로 제작된 스터드(100)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
돌아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형프레임(10,20)은 요철부(11,21)와 슬릿부(12)를 가진 상태로 금속판을 절곡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화 스터드(100)는 상기 외형프레임(10,20)의 내부에는 장착되며, 별도의 장형의 금속편으로 제작된 구조용 평철(31)과, 그 평철(31)에 일정간격을 두고 차단프레임(32)을 결합한 내부프레임(30)이 있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30)이 삽입된 외형프레임(10,20)의 내부 공간부(14)에 충진되는 다공질의 무기경량내화제(40)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무기경량내화제(40)가 외형프레임(10,20) 내부에서 경화되고, 상기 절개된 슬릿부(12)를 완전히 절개하여 열전도를 차단하는 열차단슬릿(50)을 구성하여, 화염의 발생시 외형프레임(10,20)의 일측에서 전도되는 열을 그 열차단슬릿(50)과 무기경화내화제(40)를 통해 차단하는 내화스터드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내화 스터드의 경우 그 열차단슬릿(50)을 형성함에 있어서 독특한 제조방법을 취할 수 있기에 상기 스터드의 제조공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터드 제조방법은 도 7 내지 9에서처럼, 암수로 구분된 스터드의 외형프레임(10, 20)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형으로 절개된 슬릿부(12)를 형성한 암 외형프레임(10)을 제작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도 9의 스터드(1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암 외형프레임(10)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암 외형프레임(10)을 가진 스터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처럼 금속판을 절곡하여 다양한 형태의 외형프레임(10,20)을 제작하되, 암수의 결합이 용이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외형프레임(10,20)을 제작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 그 외형프레임(10,20)을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수평하게 구획시킬 수 있는 장형의 절개부인 슬릿부(12; 도 7에 도시)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 슬릿부(12)는 상기 외형프레임(10,20)을 완전히 절단한 상태는 아니고, 단지 일정간격을 두고 장형으로 성형시키는 것이며, 후일 다공질의 무기경량내화재를 충진할 때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다음으로 별도의 금속제로 구성된 구조용 평철(31)에 일정간격을 두고 차단프레임(32)을 결합한 내부프레임(30)을 제작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내부프레임(30)의 차단프레임(32)은 상기 암수 외형프레임(10,20)의 형상에 따라 그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그 암 외형프레임(10)의 형태에 따라 약간의 형상변경이 가능하며,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용 평철(31)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칸막이가 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프레임(30)은 암수 외형프레임(10,20)에 수용되어 스터드(100)가 임의의 압력에도 잘 견딜 수 있는 골조가 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암수 외형프레임(10,20)의 내부에 내부프레임(30)을 삽입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도시된 도 9와 10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스터드(100)에서 처럼, 금속재로 제작된 암 외형프레임(10)에 금속재로 제작된 내부프레임(30)을 삽입하는 것이다.
그 후 도 9과 10에서처럼, 상기 내부프레임(30)이 삽입된 암 외형프레임(10)의 내부 공간부(14)에 다공질의 무기경량내화제(40)를 충진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이 무기경량내화제(40)를 충진시킴으로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30)과 암수 외형프레임(10,20)은 견고히 일체가 될 것이고, 화염에 대한 대응 능력이 높을 것이다.
물론 이때 무기경량내화제(40)는 다공질의 형태이기에 차음의 효과도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화 스터드(100)를 이용하여 칸막이를 친 사무실의 경우 구획된 양측의 공간부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타방의 공간부로 전달시키지 않는다.
물론 본 발명의 패널(200)은 이 스터드(100) 뿐만이 아니라 패널을 이루는 금속판(210)의 내부에도 차음과 내화성능이 높은 충진제(220)를 가지고 있기에 효과는 극대화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터드는 상기 무기경량내화제(40)가 경화되면 절개된 슬릿부(12)를 완전히 절개하여 열전도를 차단하는 열차단슬릿(50)을 구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다공질의 무기경량내화제(40)가 충진된 암수 외형프레임(10,20)의 외부에 성형된 슬릿부(12)를 가공하여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완전히 절개하는 것이다.
즉, 완전히 절개하여 열차단슬릿(50)을 형성하면, 본 발명의 외형프레임(10,20)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지만, 그 내부에 충진된 무기경량내화제(40)의 결합력에 의해 서로 일체로 구조화된다.
따라서 상기 내화 스터드(100)의 일측에서 화염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도, 열전도가 열차단슬릿(50)을 통해 차단되며, 그 내부에 충진된 무기경량내화제(40)를 통해서도 차단되어 칸막이로 구획된 공간부 간의 열과 화염이 확산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상기 스터드는 아주 다양한 형태의 외형프레임(10,20)으로 제작할 수 있지만 이를 더욱 한정하여 도 11과 도 12에서 처럼, 암 외형프레임(10)을, "
Figure 112005020507249-pat00001
"나 또는 "
Figure 112005020507249-pat00002
"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물론 이에 대응하는 수 외형프레임(20)은, "
Figure 112005020507249-pat00003
"나 또는 "
Figure 112005020507249-pat00004
"의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암수 외형프레임(10,20)에 성형된 슬릿부(12)는, 암수 외형프레임(10,20)을 상하로 나눌 수 있게 암수 외형프레임(10,20)의 표면에 1개 내지 5개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조방법에서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내화 스터드(100)는 열전도를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에 슬릿부(12)의 개수와 그 성형위치는 중요치 않으나, 너무 조각나는 현상은 방지함이 유익하기에 적당한 성형위치와 1개 내지 5개 정도의 슬릿부(12)의 개수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외형프레임(10,20)에 성형된 슬릿부(12)는, 요철부(11,21)의 내부, 외부 또는 내,외부에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열전도를 차단시킴이 바람직하다.
즉, 도 7과 도 9, 10에서 슬릿부(12)의 성형위치는 도 11과 12에서의 슬릿부(12) 성형위치는 다르다.
이는 본 발명은 상기 슬릿부(12)의 성형위치도 중요치 않으며, 상기 요철부(11,21)의 내, 외부에 성형하여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는 위치라면 적당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무기질보드기본판(210)은, 철판, 철판매쉬 또는 철망이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스터드(100)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금속판은 혹시 발생될 외부로부터의 타격에 의해 본 발명의 패널이 부서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목적에 부합되는 모든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전술된 상기 철판과 철판매쉬 및 철망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210)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물(220)은, 3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그 중심부에 끼워지는 무기질보드(221)가 있고, 상기 무기질보드(221) 좌우측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다공질의 무기경량내화제(250)를 구성한다.
즉, 상기 무기경량내화제(250)는, 유리섬유, 허니콤 또는 암면이 사용되어 차음 및 내화의 효과를 내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된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에도 그 특징이 있지만, 그 패널간을 조립하는 조립구조에도 큰 특징이 있는데, 그 구조를 도시된 도 13 내지 16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립구조는 전술된 패널(200) 일측에 체결된 스터드(100)의 암 외형프레임(10) 요철부(11)가 있고, 상기 암 외형프레임(10)의 요철부(11)에 끼워지는 또 다른 패널(200)의 일측에 체결된 스터드(100)의 수 외형프레임(20) 요철부(21)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암수의 요철부(11,21)가 겹치는 부위에 끼워지는 장형의 패킹(260)를 끼워 혹시 발생될 진동에도 적응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암수의 스터드(100)가 만나는 부위의 외부를 덮는 무기질보드덮개판(27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암 외형프레임(10)과 수 외형프레임(20)의 요철부(11,21)를 통해 끼워져 결합하고, 그 접촉부위에 패킹(260)이 끼워져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며, 무기질보드덮개판(270)을 통해 덮혀 매끈하게 조립되는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의 조립구조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무기질보드덮개판(270)은, 금속판층(271)과 무기질보드판층(272)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패널과 패널이 서로 연결되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스터드(100)의 연결부위를 상기 무기질보드덮개판(270)으로 포개어 덮어 매끈하게 조립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 그 결합되는 상기 무기질보드덮개판(270)은, 스터드(100)와의 결합시 용접이나 스크류를 통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처럼, 본 발명은 칸막이나 벽면이 되는 패널의 외부에 경량의 무기질보드를 사용하고 패널의 내부에는 무기질보드 및 내화제등을 충진하여 견고하고, 차음 과 내화의 효과를 극대화한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패널의 외부에 부착되는 두껍고 무거운 석고보드를 탈피하고, 얇고 가벼운 무기질보드를 사용하기에 견고하고 미관상 매끈하며 특히 패널의 무게를 적게 했으며, 칸막이의 두께가 얇으면서도 내화성능과 차음성능이 우수하여 내부 결벽의 내화구조, 차음구조에 사용시 실내 유효면적이 증가되며, 실질적으로 공장에서 무기질보드까지 체결한 칸막이용 패널을 제작하여 현장으로 이송시킬 수 있기에 시공의 시간이 절약하며 결국 원가의 절감을 가져온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그 스터드를 통한 간단하고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마감도 매끈하게 할 수 있기에 미관상에도 깔끔하다.

Claims (14)

  1. 삭제
  2. 좌우 양측단에 체결되는 암, 수의 내화스터드(100)와;
    상기 스터드(100)와 체결되는 판형의 상하의 무기질보드기본판(210)과;
    상기 상하의 무기질보드기본판(210)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물(220)과;
    상기 상하의 무기질보드기본판(210)의 표면에 부착되는 무기질보드마감판(230)가;
    상기 암,수의 스터드(100)와 무기질보드기본판(210)을 접착제, 용접 또는 스크류 체결에 의해 이루어진 내부의 공간부에 내화 차음의 충진물(220)이 채워지고, 그 표면에는 무기질보드마감판(23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200)에 있어서,
    상기 내화스터드(100)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서로 끼워지게 성형한 요철부(11,21)와, 상기 요철부(11,21)의 내 외부로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형으로 절개된 슬릿부(12)를 형성한 암 수의 외형프레임(10,20)과;
    상기 암수 외형프레임(10,20)의 내부에 장착되며, 별도의 장형의 금속편으로 제작된 구조용 평철(31)과, 그 평철(31)에 일정간격을 두고 차단프레임(32)을 결합한 내부프레임(30)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이 삽입된 암수 외형프레임(10,20)의 내부 공간부(14)에 충진되는 다공질의 무기경량내화제(40)가;
    상기 무기경량내화제(40)가 암수 외형프레임(10,20) 내부에서 경화되고, 상기 절개된 슬릿부(12)를 완전히 절개하여 열전도를 차단하는 열차단슬릿(50)을 구성하여, 화염의 발생시 외형프레임(10,20)의 일측에서 전도되는 열을 그 열차단슬릿(50)과 무기경화내화제(40)를 통해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 외형프레임(10)은,
    "
    Figure 112006078690000-pat00005
    "의 형상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 외형프레임(20)은,
    "
    Figure 112006078690000-pat00007
    "의 형상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외형프레임(10,20)에 성형된 슬릿부(12)는,
    요철부(11,21)의 내부, 외부 또는 내,외부에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열전도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50032698A 2005-04-20 2005-04-20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KR10069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98A KR100695700B1 (ko) 2005-04-20 2005-04-20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98A KR100695700B1 (ko) 2005-04-20 2005-04-20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20A KR20060110920A (ko) 2006-10-26
KR100695700B1 true KR100695700B1 (ko) 2007-03-15

Family

ID=3761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698A KR100695700B1 (ko) 2005-04-20 2005-04-20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7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631A (ko) 2014-11-27 2016-06-07 이청종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05134B1 (ko) 2016-05-26 2017-02-09 이청종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745B1 (ko) * 2010-04-22 2013-02-05 김문옥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10517B1 (ko) * 2010-06-25 2011-01-28 신은성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
US9850656B2 (en) 2014-09-02 2017-12-26 Chung Jong Lee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896241B1 (ko) * 2016-08-02 2018-09-07 임은희 칸막이패널용 마감프레임
KR101694693B1 (ko) * 2016-09-05 2017-01-10 주민규 에너지 절감형 조립식 구조용 복합판넬
CN108049562A (zh) * 2017-11-24 2018-05-18 贵州楚智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竹木纤维墙板
CN110173071A (zh) * 2019-05-10 2019-08-27 潘旭鹏 一种拼装式隔断板部件、安装方法及应用
CN114673271B (zh) * 2022-03-08 2023-09-22 安徽未来饰界实业有限公司 一种握钉力效果更好的防火板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432A (ko) * 2000-06-26 2002-01-05 윤종용 웨이퍼 정렬장치
KR20020015041A (ko) * 1999-05-21 2002-02-27 말라테스티닉 니콜라스 피. 키나제의 피롤로트리아진 저해제
KR20030027314A (ko) * 2001-09-28 2003-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망간 연동을 위한 시스템 선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041A (ko) * 1999-05-21 2002-02-27 말라테스티닉 니콜라스 피. 키나제의 피롤로트리아진 저해제
KR20020000432A (ko) * 2000-06-26 2002-01-05 윤종용 웨이퍼 정렬장치
KR20030027314A (ko) * 2001-09-28 2003-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망간 연동을 위한 시스템 선택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004320000
2002150410000
200327314000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631A (ko) 2014-11-27 2016-06-07 이청종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05134B1 (ko) 2016-05-26 2017-02-09 이청종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US10662646B2 (en) 2016-05-26 2020-05-26 Chung Jong Lee Prefabricated wall for interi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20A (ko)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700B1 (ko)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KR100683633B1 (ko) 건축용 내벽체 및 이 내벽체의 시공방법
BG65765B1 (bg) Топлоизолационен композитен панел, метод за производството му и строителна конструкция от такива панели
KR100970239B1 (ko) 건축물 외벽용 패널
KR100628879B1 (ko) 조립식 건물의 벽체구조
JP2015506426A (ja) 円錐又は半円錐状の突起部を有するコネクター
KR101351439B1 (ko) 조립식 벽체블록
KR100963493B1 (ko) 파형무늬 조립식 방음판
KR100585459B1 (ko) 칸막이 벽체 구조물
KR100695695B1 (ko) 내화 스터드 제조방법 및 그 스터드
KR20130051403A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JP6452301B2 (ja) 建築用パネルおよびパネル素体
KR101448857B1 (ko) 외장재를 일체화시킨 벽체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587926B1 (ko) 조립식 방음벽의 외장패널
JP3211449U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結合体
KR20050046026A (ko) 건축물의 경량 벽체 내화 구조
KR101557151B1 (ko) 건축용 내벽체 및 건축용 내벽체의 시공방법
KR200355440Y1 (ko) 조립식 방음벽의 외장패널
JP6128628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接続構造
JP2015010450A (ja) 防音断熱パネル構造、防音断熱パネル及び防音断熱構造体
KR102556344B1 (ko) 준불연 성능이 강화된 사이딩패널 제조방법
KR970015963A (ko) 조립식건축용 복합단위부재
KR101219077B1 (ko) 난연성 건축용 패널
KR100469124B1 (ko) 건축물용 벽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96686Y1 (ko) 프레임부재에 치장벽돌이 결합된 흡음형 방음벽용복합소재 방음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