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332B1 -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 Google Patents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332B1
KR102511332B1 KR1020200158858A KR20200158858A KR102511332B1 KR 102511332 B1 KR102511332 B1 KR 102511332B1 KR 1020200158858 A KR1020200158858 A KR 1020200158858A KR 20200158858 A KR20200158858 A KR 20200158858A KR 102511332 B1 KR102511332 B1 KR 102511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infectant
weight
insect repellent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570A (ko
Inventor
이화수
김성원
박주명
김수빈
문성현
Original Assignee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3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모기나 진드기와 같은 해충이 기피하는 성분을 함유하여 해충 퇴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독 효과를 갖는 성분을 함유하여 소독제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향을 발산하며, 해충이 기피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 추출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COMPOSITION OF NOXIOUS INSECT REPELLENT AND DISINFECTA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 OF NOXIOUS INSECT REPELLENT AND DISINFECTANT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모기나 진드기와 같은 해충이 기피하는 성분을 함유하여 해충 퇴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독 효과를 갖는 성분을 함유하여 소독제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에 관한 것이다.
해충(injurious insect)은 인간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해를 주는 곤충의 총칭으로, 인간 쪽의 피해(충해) 측면으로 봤을 때 직접적인 해 및 간접적인 해를 주는 곤충으로 분류될 수 있다.
직접적인 해를 주는 곤충으로는, 흡혈성 곤충(예를 들어, 모기, 진드기, 벼룩, 이, 빈대 등), 자교성 곤충(예를 들어, 벌, 독나방 등), 유독 분비성 곤충(예를 들어, 개미반날개 등)이 있다. 간접적인 해를 주는 곤충으로는, 유용 식물의 충해(예를 들어, 나비, 나방의 유충, 진딧물 등), 생산품 및 가공품의 충해(바퀴, 좀 등), 가축 등 유용 동물의 충해(모기, 등에, 파리, 이 등), 인축의 전염병을 전파, 매개하는 해충(파리, 등에, 바퀴 등)이 있다.
이러한 해충들은 최근 전 세계적인 기후의 변화로 인하여 계절과 관계없이 다양한 곳에서 서식 및 번식하면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모기의 경우, 그 소리나 흡혈 활동은 수면 방해, 불쾌감, 불안감 등 정신적, 심리적인 피해를 주며, 말라리아, 뇌염, 뎅그열, 피부 알레르기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 또한 바퀴벌레, 나비, 수충 및 진드기 등과 같은 해충들도 전염병 전파 및 매개 등 인간에게 직간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
이에 따라,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이 전 세계에 걸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해충이 인체에 접촉하거나 해충에게 물리는 것을 방지하는 해충 기피제와, 해충의 신경 전달 저해, 에너지 생산 저해, 생장 조절, 행동 억제 등의 기능을 하는 살충제 등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기피제 또는 살충제의 대부분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제품으로, 인체에 도리어 악영향을 끼치거나 환경 오염 등의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트(Deet(N,N-diethyl1-metatoluamide))라는 유기 화합물 합성 살충제는, 여러 종의 해충에 걸쳐 사용이 가능하며 강력한 살충효과를 발휘하여 현재까지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물질은 독성이 매우 강해 불쾌한 냄새가 나며, 피부에 자극을 주고, 플라스틱이나 합성 섬유 등과 반응하여 손상 및 변색을 초래하는 등의 인간 또는 생태계에 많은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인공 합성 물질의 해충 기피제 및 살충제로부터 벗어나, 인간 및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해충들에게는 치명적인 독성을 유발하는 범용적 해충 방제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의 의한 질병은 통상적으로 호흡기 분비물, 콧물 등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 또는 결막을 통해 침입해서 감염된다. 보통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달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바이러스는 직접 입으로 전달되기보다는 바이러스가 묻어있는 손을 입이나 코에 갖다댐으로써 감염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일단 손에 묻은 세균은 눈, 코 그리고 입, 피부 등으로 옮겨져 그 자신이 질병에 감염될 뿐 아니라 그가 만지는 음식, 물건 등에 옮겨졌다가 다른 사람에게까지 전염시키게 된다.
특히 현재에는 독감, 특히 신종플루 등이 유행함에 따라 손 세척 등의 요령을 배포하는 한편, 예방을 강화하고 있어 개인 위생이 매우 중요 시 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세척에 사용되는 비누는 세정력만이 강조되며, 병원 등 위생을 유지해야 하는 곳에서 주로 사용하는 크레졸액 등은 심한 냄새는 물론, 지나친 세정력 또는 잦은 손 세정 등으로 인하여 손이 거칠어 지거나 심한 경우 피부가 손상이 되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 조사결과, 세균은 물로만 씻었을 때는 40%, 일반비누로 씻었을 때는 20%, 알코올 계열의 손 소독제로 씻으면 99.99%가 살균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고형 비누라 하더라도 WHO의 손 위생 지침에 따라 15초간 손 씻기를 수행하면 약 90%, 30초간 손 씻기를 수행하면 99%의 균을 제거할 수 있고, 다만 고형 비누는 자체에 물기가 남아 세균이 번식함으로써 되레 손 씻는 중에 감염되거나 오염된 물로 헹구는 동안 감염될 위험이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고 기재하고 있지만, 비누의 사용 후 반듯이 물로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보다 큰 단점은 피부보습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를 물세척과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인하여 피부에 잔류해야 될 피부보습제가 제기능을 하기도 전에 씻겨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중요하게는 물이 없는 곳에서는 세균을 피부 오염의 세정은 곤란하였다.
따라서 물이 없는 곳에서도 살균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알코올을 함유한 소독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알코올 계열의 소독제는 알코올을 보통 60~85%, 많게는 95%까지 함유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이러한 알코올 성분에 의해 우수한 살균 효과는 가져올 수 있으나, 구성 성분으로 보습제를 소량 첨가하였다하더라도, 알코올 성분이 휘발하면서 손이나 사용되어지는 인체의 수분과 영양분이 함께 휘발되면서 여전히 피부가 건조해지고 당기며, 푸석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경 오염의 영향에 따라 민감해진 인체의 피부가 알코올 성분에 자극을 받는 경우가 있어 민감성 피부의 소비자들은 알코올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무알코올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병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피부에 사용 시에는 물로 세척할 필요가 없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해충 퇴치 및 소독 효과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해충 기피제 또는 소독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90218(2011.12.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94127(2012.10.2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47282(2010.03.16.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123209(2020.10.28.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모기나 진드기와 같은 해충이 기피하는 성분을 함유하여 해충 퇴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독 효과를 갖는 성분을 함유하여 소독제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향을 발산하며, 해충이 기피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 추출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 추출물은, 레몬그라스 추출물, 라벤다 추출물 및 페퍼민트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스위트아몬드오일 추출물, 시어버터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귀리 추출물, 황기 추출물, 혈갈 추출물, 연꽃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여 남녀노소 누구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면서 모기나 진드기와 같은 해충을 퇴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독 효과를 갖는 동시에 발휘할 수 있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해층 퇴치 기능과 소독 기능을 모두 가짐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일 실시 예로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 추출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 추출물은 레몬그라스 추출물, 라벤다 추출물 및 페퍼민트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리나무껍질 추출물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오리나무는 탄닌,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d물인 타락세놀, 및 베를릴산을 함유하고 있어, 염증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편백잎 추출물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편백잎은 피톤치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살균 및 항균 효과가 있고,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 추출물은 레몬그라스 추출물, 라벤다 추출물 및 페퍼민트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이며, 이러한 향 및 천연재료 추출물은 향 발산 기능을 제공하고, 해충이 기피하는 시트랄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한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 추출물은, 크기가 큰 재료의 경우 소정 크기로 분쇄하고(바람직하게는, 약 3mm 크기), 분쇄한 재료들을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한 다음, 여과 과정을 거쳐 최종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료들의 추출은 에탄올에 분쇄한 재료를 넣고 일정 온도에서 끓여 추출한 다음, 깔때기에 여과지를 깔고 추출액을 넣어 중력 여과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리나무 껍질은 크기가 크기 때문에 추출을 하기 위해 분쇄 과정을 통해 약 3mm의 입자 크기로 한 다음 추출과 여과 과정을 진행하며, 편백잎 및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는 섭씨 70℃로 24시간 동안 건조를 시킨 후 추출과 여과 과정을 진행한다.
용매 추출 과정은 에탄올을 각각의 재료들을 넣고 섭씨 75℃, 2시간, 766.6mmHg의 조건에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는 추출물과 추출액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추출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중력 여과하여 얻은 다음, 감압 증류를 통해 최종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감압 증류는 비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끓기 때문에 빠르게 증류가 가능하여 농축기(섭씨 75℃, 2시간 가열, 766.6mmHg)를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에탄올은 70중량% 에탄올을 이용하는데, 70중량% 에탄올은 95 중량% 에탄올과 증류수를 소정 비율 혼합(예를 들면, 에탈올과 증류수의 혼합 비율 = 7 : 3)을 혼합하여 얻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 추출물, 및 에탄올이 각각 9중량% ~ 25중량%, 9중량% ~ 25중량%, 2중량% ~ 4중량%, 40중량% ~ 80중량%의 혼합 비율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살균제 역할을 하는 에탄올의 함량은 40중량% ~ 80중량%로서, 에탄올이 4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살균력이 떨어지며, 8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에탄올의 함량이 많아 피부를 자극시킬 뿐만 아니라, 알콜취에 의한 강한 거부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살균력, 제형 형성 용이성, 사용감 등을 고려하여 함량이 40중량% ~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상기한 향 및 해충기피 천연재료 추출물로서 계피 추출물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계피(시나몬) 추출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오리나무껍질 추출물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오리나무는 탄닌,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d물인 타락세놀, 및 베를릴산을 함유하고 있어 염증을 완화시키며. 편백잎 추출물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편백잎은 피톤치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살균 및 항균 효과가 있고,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계피 추출물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계피(시나몬)은 해충이 싫어하는 성분인 실리실알데하이드와 신남알데하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한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은, 크기가 큰 재료의 경우 소정 크기로 분쇄하고(바람직하게는, 약 3mm 크기), 분쇄한 재료들을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한 다음, 여과 과정을 거쳐 최종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료들의 추출은 에탄올에 분쇄한 재료를 넣고 일정 온도에서 끓여 추출한 다음, 깔때기에 여과지를 깔고 추출액을 넣어 중력 여과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리나무 껍질과 계피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추출을 하기 위해 분쇄 과정을 통해 약 3mm의 입자 크기로 한 다음 추출과 여과 과정을 진행하며, 편백잎은 섭씨 70℃로 24시간 동안 건조를 시킨 후 추출과 여과 과정을 진행한다.
용매 추출 과정은 에탄올을 각각의 재료들을 넣고 섭씨 75℃, 2시간, 766.6mmHg의 조건에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는 추출물과 추출액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추출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중력 여과하여 얻은 다음, 감압 증류를 통해 최종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감압 증류는 비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끓기 때문에 빠르게 증류가 가능하여 농축기(섭씨 75℃, 2시간 가열, 766.6mmHg)를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에탄올은 70중량% 에탄올을 이용하는데, 70중량% 에탄올은 95 중량% 에탄올과 증류수를 소정 비율 혼합(예를 들면, 에탈올과 증류수의 혼합 비율 = 7 : 3)을 혼합하여 얻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에탄올이 각각 9중량% ~ 35중량%, 9중량% ~ 15중량%, 2중량% ~ 4중량%, 40중량% ~ 80중량%의 혼합 비율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살균제 역할을 하는 에탄올의 함량은 40중량% ~ 80중량%로서, 에탄올이 4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살균력이 떨어지며, 8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에탄올의 함량이 많아 피부를 자극시킬 뿐만 아니라, 알콜취에 의한 강한 거부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살균력, 제형 형성 용이성, 사용감 등을 고려하여 함량이 40중량% ~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바오밥나무 추출물, 올리브잎 추출물, 망고 추출물, 스위트아몬드오일 추출물, 시어버터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귀리 추출물, 황기 추출물, 혈갈 추출물, 연꽃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천연재료 추출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천연재료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4중량부 ~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오밥나무 추출물, 올리브잎 추출물, 망고 추출물은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보습 효과는 높여주며, 상기 스스위트아몬드오일 추출물, 시어버터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귀리 추출물, 황기 추출물, 혈갈 추출물, 연꽃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 추출물은 자극에 민감한 피부에도 본 발명의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갖는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기능성 천연재료 추출물 또한 용매 추출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성 천연재료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 예로서, 재료 각각을 10배 양(w/v)의 증류수를 넣어 90℃에서 4시간 추출한 후 여과지로 상층액을 회수하는 공정을 3회 반복하여 모은 후 감압건조시킴으로써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추출 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을 통해 얻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에 의하면, 인체에 무해하여 남녀노소 누구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면서 모기나 진드기와 같은 해충을 퇴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독 효과를 갖는 동시에 발휘할 수 있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해층 퇴치 기능과 소독 기능을 모두 가짐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고,
    바오밥나무 추출물, 올리브잎 추출물, 망고 추출물, 스위트아몬드오일 추출물, 시어버터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귀리 추출물, 황기 추출물, 혈갈 추출물, 연꽃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천연재료 추출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리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에탄올은 각각 9중량% ~ 35중량%, 9중량% ~ 15중량%, 2중량% ~ 4중량%, 40중량% ~ 80중량%의 혼합 비율로 조성되며,
    상기 기능성 천연재료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4중량부 ~ 5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4. 청구항 제3항에 따른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KR1020200158858A 2020-11-24 2020-11-24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KR102511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858A KR102511332B1 (ko) 2020-11-24 2020-11-24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858A KR102511332B1 (ko) 2020-11-24 2020-11-24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570A KR20220071570A (ko) 2022-05-31
KR102511332B1 true KR102511332B1 (ko) 2023-03-16

Family

ID=8178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858A KR102511332B1 (ko) 2020-11-24 2020-11-24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3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050B1 (ko) 2007-02-06 2007-10-22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JP2011093871A (ja) * 2009-11-02 2011-05-12 Motoyasu Nakanishi 抗ウイルス剤
KR101539744B1 (ko) 2015-02-11 2015-07-28 김미순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주방용 항균 세제
JP2017193552A (ja) * 2011-10-04 2017-10-26 0903608 ビー シー リミテッド 有害生物防除配合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218B1 (ko) 2005-04-11 2011-12-06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비상해충 기피제 조성물
KR100770427B1 (ko) * 2006-02-07 2007-10-26 담양군 목(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목(죽)초액 조성물
KR100947282B1 (ko) 2009-10-23 2010-03-16 신근우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KR101194127B1 (ko) 2010-08-06 2012-10-2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뷰베리아바시아나의 살충력을 향상시킨 살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KR20170021573A (ko) * 2015-08-18 2017-02-28 허진희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6813714B2 (ja) 2018-04-09 2021-01-13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ヒアリ及び/又はカミアリ用忌避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050B1 (ko) 2007-02-06 2007-10-22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JP2011093871A (ja) * 2009-11-02 2011-05-12 Motoyasu Nakanishi 抗ウイルス剤
JP2017193552A (ja) * 2011-10-04 2017-10-26 0903608 ビー シー リミテッド 有害生物防除配合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KR101539744B1 (ko) 2015-02-11 2015-07-28 김미순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주방용 항균 세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570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8378A (zh) 一种驱蚊、止痒、消肿的复方植物精油及其应用
CN106619309B (zh) 一种宠物护理剂及其制备方法
US20130196006A1 (en) pH MODIFIED INSECT REPELLENT/INSECTICIDE COMPOSED OF PLANT ESSENTIAL OILS
WO2018039376A1 (en) Insect repellent compound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20200060289A1 (en) Method for Applying a Powder Insect Repellent Composition
CN106726871A (zh) 青蒿驱蚊止痒花露水及其制备方法
US20050084545A1 (en) Non phytotoxic biocide composition containing tea tree oil and method of production the same
CN107624801A (zh) 一种长效驱蚊空气清新剂
CN110537555A (zh) 一种基于天然植物提取液的具有杀菌效果的驱蚊液的配制
AU2003283331B8 (en) Acetals as insect repellant agents
KR102511332B1 (ko)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ES2224386T3 (es) Composicion para pulverizador contra hormigas que contiene d-limoneno y procedimientos para su preparacion y uso de la misma.
JPH10120519A (ja) ペット動物の寄生害虫駆除剤及び駆除装置
KR20200137703A (ko) 천연 모기기피제 조성물
KR101738367B1 (ko) 모기 및 벌레 기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12871B1 (ko) 해충 기피제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지
CN106472602A (zh) 一种复合型环保生物农药
EP2161990A1 (en) Mosquito repellent
KR101535215B1 (ko) 소독 및 해충 퇴치용 연막 조성물
JP2020158474A (ja) 雌シラミ忌避剤
KR102568335B1 (ko)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42801B1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180058978A (ko)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친환경 해충 방제용 조성물
US20220087247A1 (en) Mouse repellents,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uch
US20170238557A1 (en) Aqueous composition based on natural extracts for cleaning, and as a disinfectant, insect repellent, insecticide and fresh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