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335B1 -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335B1
KR102568335B1 KR1020230036198A KR20230036198A KR102568335B1 KR 102568335 B1 KR102568335 B1 KR 102568335B1 KR 1020230036198 A KR1020230036198 A KR 1020230036198A KR 20230036198 A KR20230036198 A KR 20230036198A KR 102568335 B1 KR102568335 B1 KR 10256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companion animals
extract
rose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스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스펫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스펫
Priority to KR102023003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carboxylic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irectly attached by the carbon atom to a cycloaliphatic ring;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7/00Pest repel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여 체내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확보하면서, 모기와 진드기에 대한 기피 효과가 우수하여 반려동물의 각종 질환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edes albopictus and Haemaphysalis longicornis for companion animal containing plant component}
본 발명은 해충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여 체내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확보하면서, 모기와 진드기에 대한 기피 효과가 우수하여 반려동물의 각종 질환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고령화의 가속화와 독신가구의 증가와 같은 인구 구조의 변화가 꾸준히 이루어지면서, 반려동물을 단순한 애완동물이 아닌, 하나의 가족 구성원 또는 삶의 동반자로 인식하는 사람들의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은 가족의 일원으로써 보호받으면서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지만, 사람들이 겪고 있는 대기나 수질 오염 등과 같은 오염된 자연환경이나 가공식품 및 스트레스에도 함께 노출되기 때문에, 반려동물들도 사람에게 흔히 발생하는 피부질환, 호흡기 질환, 소화기 장애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질병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반려동물의 건강에 대한 과거의 사람들 인식에서는, 반려동물이 각종 질환에 걸려 증상을 보이면 동물 병원에 데리고 가서 치료를 받게 하거나 약을 처방받는 등의, 대부분 사후 치료가 행해지는 소극적인 케어로 족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반려동물의 건강에 대한 보호자들의 생각이, 인간의 건강관리와 마찬가지로, 보다 근본적인 면역 체계를 향상시킴으로써 각종 질환과 감염 등에 미리 대비할 수 있기 위한 방법에 포커스되고 있다.
한편,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모기, 진드기, 바퀴벌레 등과 같은 다양한 해충들이 사계절 내내 서식하면서 인간이나 동물에게 해를 주고 있다. 예컨대, 모기의 소리나 흡혈 활동은 수면방해, 불쾌감, 불안감 등의 심리적 피해를 주는 동시에 말라리아, 뇌염, 뎅기열(dengue fever), 피부 알레르기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반려동물은 산책 등과 같은 야외활동 중에 털과 피부가 대기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해충에 의한 감염에 취약하다.
이러한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피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은 DEET(N,N-diethyl-m-toluamide)로서, 모기, 파리, 개미, 진드기 등의 해충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피제나 살충제는 질병을 일으키는 감염원을 보유한 해충과의 접촉을 감소시켜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피제나 살충제는 화학적으로 합성한 제품으로 환경오염 및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등의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합성 기피제를 배제하고 친환경적이면서 부작용이 최소화된 천연물질로부터 유래된 기피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268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여 체내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확보하면서, 모기와 진드기에 대한 기피 효과가 우수하여 반려동물의 각종 질환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로즈마리잎 오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Oil)을 포함하는 식물성 성분; 시트르산 및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 및 정제수;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용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성분은,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Ethyl Butylacetylaminopropionate),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트레할로오스(Trehalose), 알란토인(Allantoin), 판테놀(Panthenol), 히알루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디나트륨이디티에이(Disodium EDTA) 및 시트르산나트륨수화물(Sodium Citrate Hydrat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즈마리잎 오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Oil)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및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중에서 1종 이상의 해충에 대한 기피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반려동물의 피부나 피모에 분사하는 스프레이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여 체내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확보하면서, 모기와 진드기에 대한 기피 효과가 우수하여 반려동물의 각종 질환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피부 가려움증 해소, 피부 보습 등의 효과가 우수하여, 반려동물의 피모 및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실험예 1의 시험 샘플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실험예 1의 음성대조군과 실시예 1에 대해 기피시험 처리를 수행한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은, 실험예 1의 기피효력 시험법을 실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실험예 1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실험예 2의 시험 샘플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실험예 2의 음성대조군과 실시예 1에 대해 기피시험 처리를 수행한 사진이다.
도 14는, 실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로즈마리잎 오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Oil)을 포함하는 식물성 성분; 시트르산 및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 및 정제수;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로즈마리잎 오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Oil)은 폴리페놀, 로즈마리산 등의 유효 성분이 우수한 항산화 작용을 발휘하여 세균 감염을 막는다. 또한, 로즈마리의 향이 사람에게는 은은한 향기로 느껴지지만 해충에게는 지독한 향으로 느껴져서 모기나 진드기와 같은 해충을 퇴치하는 데 효과가 탁월하다.
상기 로즈마리잎 오일 제조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로즈마리잎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 일례로,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식물성 성분, 구체적으로, 로즈마리잎 오일을 소량으로 함유하여도, 종래의 해충 기피용 조성물 대비 모기나 진드기에 대한 우수한 기피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성분은, 구기자 추출물, 개박하 추출물 및 대나무잎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기자는, 미네랄, 비타민이 풍부하고, 다량 함유된 항산화 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반려동물의 피부 면역 증진에 도움이 된다.
개박하는, 강한 박하향을 가지고 있어 모기를 비롯한 해충을 쫓는 효능이 탁월하다. 캣닢에 들어있는 네페탈락톤은 살충제보다 무려 10배나 강한 살충 효과를 발휘한다.
대나무잎은 항진균, 살균효과는 물론, 탁월한 항산화능과 방부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대나무잎은, 구연산과 소금이 함유된 정제수에 10~24 시간 동안 침지시켜서 독성을 제거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기자 추출물, 개박하 추출물 및 대나무잎 추출물은, 열수 추출, 주정 추출 및 초임계 추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추출, 일례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법을 사용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이고, 각 구성성분들 고유의 유효 성분의 효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식물성 성분은, 상기 로즈마리잎 오일, 구기자 추출물, 개박하 추출물 및 대나무잎 추출물을 2 : 0.5 : 0.7 : 0.3 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조성과 함량비를 갖는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면, 모기나 진드기 등의 해충에 대한 우수한 기피 효과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탈취 효과, 피부 가려움증 개선, 피부 보습 등의 효과를 발휘하여 반려동물의 피모 및 피부 건강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혼합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Ethyl Butylacetylaminopropionate),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트레할로오스(Trehalose), 알란토인(Allantoin), 판테놀(Panthenol), 히알루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디나트륨이디티에이(Disodium EDTA) 및 시트르산 나트륨 수화물(Sodium Citrate Hydrat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 성분은, 상기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0.5 내지 3 중량%, 상기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Ethyl Butylacetylaminopropionate) 0.5 내지 3 중량%, 상기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0.5 내지 3 중량%, 상기 트레할로오스(Trehalose) 0.5 내지 3 중량%, 상기 알란토인(Allantoin) 0.5 내지 3 중량%, 상기 판테놀(Panthenol) 0.1 내지 2 중량%, 상기 히알루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0.1 내지 3 중량%, 상기 디나트륨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5 내지 2 중량% 및 상기 시트르산 나트륨 수화물(Sodium Citrate Hydrate) 0.05 내지 2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르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3 중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은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술된 식물성 성분과 혼합 성분 이외에 나머지 잔량으로 정제수(Purified wat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충 기피용 조성물은 상기 정제수에 일정량의 미강 발효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미강 발효수는, 천연 재료만으로 이루어져 인체 무해하면서도 미강 내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항산화 효능이 뛰어나, 반려동물의 피부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 미강 발효수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강을 준비하고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는 미강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들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미강 내 무기염류(미네랄)의 추출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예컨대, Enterobacter cancerogenus, Pseudomonas pavonaceae, Rhodotorula mucilaginosa 또는 이들의 조합인 유용 미생물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0 내지 45℃ 의 온도에서 35 내지 4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 밖의 발효 공정은 공지된 기술에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발효된 미강 내 수분을 제거하고, 1차 소성 및 2차 소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1차 소성은 예컨대, 1,200℃ 미만의 온도, 구체적으로, 950 내지 1,200℃ 의 온도에서 통상의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소성은 예컨대, 1,200℃ 이상의 온도, 구체적으로, 1,200 내지 1,300℃ 의 온도에서 통상의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소성에 의해 순수하게 미네랄 성분만 남은 미강미네랄 결정체가 형성될 수 있다.
소성이 완료된 미강미네랄 결정체는 증류수에 투입하여 스팀 용해시켜 미강 발효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미강 발효수는 1 내지 5%, 일례로, 3%의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미강 발효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25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에멀젼, 오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형성될 제형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첨가제를 제한없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샴푸, 린스, 컨디셔너, 에센스, 로션, 트린트먼트, 클리너 등의 형태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스프레이 형태로 분사가 가능한 스프레이 용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의 제형 및 제품 등의 형태에 대하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전술된 제형 및 제품으로 제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해충에 대한 기피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때, 해충은 인간의 생활에 해를 끼치는 벌레나 곤충 또는 동물 등을 모두 통칭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해충은 파리, 모기, 개미, 민달팽이, 지렁이, 도마뱀, 개구리, 집게벌레, 쥐며느리 및 진드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상기 해충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및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해충 기피용 조성물은, 반려동물의 피모나 피부에 스프레이 분사가 가능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반려동물의 산책 등의 야외활동 시에 수시로 분사가 가능한 스프레이 제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이란,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개, 고양이, 토끼, 햄스터, 여우, 족제비, 도마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성 성분으로 로즈마리잎 오일을 2 중량%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성분과 그 함량에 대하여는, 하기 표 1에 구체적으로 기재하였다. 표 1의 각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2]
식물성 성분으로 로즈마리잎 오일, 구기자 추출물 및 개박하 추출물을 2 : 0.5 : 0.7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성분과 그 함량에 대하여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의 각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3]
식물성 성분으로 로즈마리잎 오일, 구기자 추출물, 개박하 추출물 및 대나무잎 추출물을 2 : 0.5 : 0.7 : 0.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성분과 그 함량에 대하여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의 각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4]
전술된 설명에 따라 제조된 미강 발효수를 20 중량%로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과 함량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구성성분과 그 함량에 대하여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의 각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5]
전술된 설명에 따라 제조된 미강 발효수를 20 중량%로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성분과 함량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구성성분과 그 함량에 대하여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의 각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비교예 1]
식물성 성분으로 레몬그라스 오일을 2 중량%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성분과 그 함량에 대하여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의 각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험예 1 : 해충 기피 효과 시험(1)>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해충 기피제 조성물의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에 대한 기피 효력을 검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샘플 확보
가. 채집
2022년 6월 전남 담양군 소재 대나무 숲에서 수중그물(aquatic net)과 흡인기(aspirator)를 사용하여 유충과 성충을 채집하였다.
나. 시험 샘플 제조
- 채집한 모기유충과 번데기는 27±2℃, 60±5%의 항온항습 사육실에서 성충으로 우화시켰다.
- 40Х40Х40㎝ cage 내에서 우화한 성충은 10% 설탕물을 솜에 적셔 공급하 였고, 1주일 정도 교미시간을 충분히 제공하고 실험용 마우스를 이용하여 20:00-06:00까지 흡혈시켰다. 흡혈율을 높이기 위해 흡혈 1일 전에 설탕물을 제거해 굶게 한 후 2일 동안 연속적으로 흡혈시켰다.
- 산란일은 개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고른 연령의 실험모기를 얻기 위해 매일 산란한 알은 따로 분리하여 유충 사육용기에 사육하였다. 물은 수돗물을 2-3일 정도 받아 놓은 것을 사용하였고, 유충 먹이는 돼지사료를 메쉬 1mm 채로 걸러 고운 분말을 먹이로 매일 공급하였으며, 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적정량을 공급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산란한 알을 촬영한 사진을 확인할 수 있고, 도 2를 참조하면, 유충을 촬영한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용화된 번데기는 매일 골라내어 성충 cage(40Х40Х40㎝) 안에서 우화시켰다. 성충의 연령을 고르게 유지하기 위해 3일 동안 용화한 번데기는 같은 cage 안에서 우화시켰고, 10% 설탕물을 솜에 적셔 먹이로 공급하였다.
- 온도 27±2℃, 습도 60±5% 사육실에서 위와 같이 계대사육을 반복하여 충분히 확보한 흰줄숲모기 성충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흰줄숲모기 성충을 촬영한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다. 시험방법
In vivo 인체적용 모기 기피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흰줄숲모기 암컷 100마리가 들어있는 성충 cage를 준비하고, 고무장갑 손등 부위에 지름 5㎝의 구멍을 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피험자는 손등 부위에 시험물질을 제시된 량으로 처리하고 충분히 건조시킨 후에 고무장갑을 끼고 흰줄숲모기가 들어있는 cage 안으로 고무장갑을 착용한 손을 넣었다. 팔뚝이나 팔꿈치가 모기장 안에서 모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손을 펴서 구멍 뚫린 고무장갑 손등이 위에 오도록 하고 cage 중앙에서 움직이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모기에 노출시켰다. 1분 30초간 노출시키면서 흡혈을 위해 손등 위로 내려앉은 모기 개체 수를 계수하여 기록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성대조군은 에탄올 50%만 시험량과 동량으로 처리하여 시험하였고, 시험군과 내려앉은 모기 개체 수를 비교하여 기피효과를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세사람이며 각각 음성 대조군 시험과 시험군 시험을 실시하여 각각 피험자의 기피효과를 측정하고 평균하였다.
라.음성 대조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피험자는 팔뚝과 손목을 30°의 각도를 유지한 채로 한 손을 평평한 바닥에 놓았다. 각 피험자들의 양쪽 팔은 향이 없는 비누로 씻고 물로 헹군 후 적어도 70%의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로 헹구고, 타월로 건조시켰다.
각 피험자 팔의 표면적(cm2)을 계산하고 기록하였다. 각 피험자의 표면적은 손목 둘레와 팔꿈치 둘레의 평균값에 손목에서 팔꿈치까지의 길이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각 피험자 한쪽 팔의 손목부터 팔꿈치 쪽으로 시험약물을 처리하고, 손목에 두 개의 선을 그었다[첫번째 선은 시험약물 처리지역 경계에 있는 '처리 경계선 (boundary line)'이고, 두번째 선은 처리 경계선으로부터 손가락 방향으로 3 cm 떨어진 곳의 '진드기(모기)투하선(release line)'이다]. 다른 쪽 팔은 시험약물을 처리하지 않고, 똑같이 손목에 두 개의 선을 그어 시험하였다. 시험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피험자의 팔에서 진드기가 활동적으로 이동하는지를 증명하고, 즉시 그림붓이나 면봉을 이용하여 한 번에 2개체의 진드기를 시험약물을 처리한 피험자의 팔 진드기(모기) 투하지점(release point : 시험약물 처리된 곳의 3cm 아래)에 놓았다. 진드기(모기)가 시험약물이 처리되어 있는 팔 위쪽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3분 동안 관찰하였다.
모기가 3분 이내에 시험약물 처리경계선으로 횡단하거나 처리지역에 1분 동안 머무르는 모기는 '횡단' 또는 '기피하지 않음'으로 기록하였다. 반면, 시험약물 처리지역으로 가지 않거나, 가더라도 즉시 되돌아가거나 바닥으로 떨어지는 모기는 '기피함'으로 기록하였다.
마. 피험자
피험자 1 : 남자, 55세, 보통 체형
피험자 2 : 남자, 32세, 보통 체형
피험자 3 : 여자, 44세, 보통 체형
바. 기피율 산출식
<식 1>
C : 시험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피험자 팔에서 기피하지 않는(횡단하는) 모기(진드기) 수
T : 시험약물을 처리한 피험자 팔에서 기피하지 않는(횡단하는) 모기(진드기) 수
사. 기피 행동 판정기준(해충기피제 효력시험법 가이드라인 , 2017 참조)(하기 표 2 참조)
전술된 설명에 따라 수행한 실험예 1의 시험 결과를 표 3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표 3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의 흰줄숲모기에 대한 평균 기피율은 시험 시작부터 40분 경과시간까지 평균 100%를 유지하였으며, 60분 경과시간에 평균 99.1%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 해충 기피 효과 시험(2)>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해충 기피제 조성물의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에 대한 기피 효력을 검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샘플 확보
가. 채집
2022년 4월 제주도 서귀포시 솔오름과 회수동 주변 풀밭에서 천 끌기법(dragging)으로 자충과 성충을 채집하였다.
나. 시험 샘플 제조
-야생동물이 많이 서식하는 지역이나 가축을 방목하는 지역에 특히 작은소피 참진드기가 많이 분포하므로 제주도를 채집지역으로 선택하였다.
-작은소피참진드기는 풀끝에 올라와 스쳐지나가는 숙주동물로 이동하기 때문에 천 끌기법(dragging)으로 작은소피참진드기를 채집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천 끌기법으로 작은소피참진드기를 채집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1m인 하얀 천의 한쪽 면에 같은 길이의 막대를 고정 하고 고정된 막대 양쪽 끝을 줄로 연결하여 초지에서 쉽게 끌고 다닐 수 있게 제작하였다.
- 초지 위를 제작한 하얀 천으로 약 1~2분간 끌고 다닌 후 천을 뒤집어 작은 소피참진드기가 천에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핀셋으로 병에 채집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채집된 진드기를 확인할 수 있다.
-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차례 채집한 작은소피참진드기 성충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작은소피참진드기 성충을 확인할 수 있다.
다. 시험방법
In vivo 인체적용 진드기 기피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피험자는 팔뚝과 손목을 30°의 각도를 유지한 채로 한 손을 평평한 바닥에 놓았다. 각 피험자들의 양쪽 팔은 향이 없는 비누로 씻고 물로 헹군 후 적어도 70%의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로 헹구고, 타월로 건조시켰다. 각 피험자 팔의 표면적(cm2)을 계산하고 기록하였다. 각 피험자의 표면적은 손목 둘레와 팔꿈치 둘레의 평균값에 손목에서 팔꿈치까지의 길이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각 피험자 한쪽 팔의 손목부터 팔꿈치 쪽으로 시험약물을 처리하고, 손목에 두 개의 선을 그었다[첫 번째 선은 시험약물 처 리지역 경계에 있는 '처리경계선 (boundary line)'이고, 두 번째 선은 처리 경계선으로부터 손가락 방향으로 3 cm 떨어진 곳의 '진드기투하선(release line)'이다]. 다른쪽 팔은 시험약물을 처리하지 않고, 똑같이 손목에 두 개의 선을 그어 시험하였다.
시험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피험자의 팔에서 진드기가 활동적으로 이동하는지를 증명하고, 즉시 그림붓이나 면봉을 이용하여 한 번에 2개체의 진드기를 시험약물을 처리한 피험자의 팔 진드기 투하지점(release point : 시험약물 처리된 곳의 3cm 아래)에 놓았다. 진드기가 시험약물이 처리되어 있는 팔 위쪽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3분 동안 관찰하였다.
진드기가 3분 이내에 시험약물 처리경계선으로 횡단하거나 처리지역에 1분 동안 머무르는 진드기는 '횡단' 또는 '기피하지 않음'으로 기록하였다. 반면, 시험약물 처리지역으로 가지 않거나, 가더라도 즉시 되돌아가거나 바닥으로 떨어지는 진드기는 '기피함'으로 기록하였다.
그 밖에, 음성대조군, 피험자, 기피율 산출식, 기피행동 판정 기준에 대하여는, 전술된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2를 수행한 결과를 표 4 및 도 14에 나타내었다.
표 4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대한 평균 기피율은 시험 시작부터 60분 경과시간까지 평균 100%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반려동물에 대한 가려움증 개선 효과 확인>
강아지를 대상으로 가려움 유발물질로 가려움을 유발한 후 강아지가 피부를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군 강아지 5마리를 준비한 다음, 안정을 위해 30분 동안 편안한 환경에 방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의 조성물 300 ㎕를 강아지 등 양쪽 어깨사이에 떨어뜨려 잘 스며들도록 문지른 다음, 가려움증 유발 물질(Compound 48/80 (50 ㎍/부위))를 생리 식염수에 용해한 것을 강아지 등의 양쪽 어깨사이 높이에 피하주사하여, 30분 뒤 가려움 유발 물질이 주입된 부위를 긁는 횟수를 계수하여 평가하였다. 조성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하여도 함께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의 해충 기피용 조성물은 반려동물의 피부 가려움증에 대한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5의 조성물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로즈마리잎 오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Oil)을 포함하는 식물성 성분;
    시트르산 및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을 포함하는 혼합 성분;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성분은, 구기자 추출물, 개박하 추출물 및 대나무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즈마리잎 오일, 상기 구기자 추출물, 상기 개박하 추출물 및 상기 대나무잎 추출물을 2 : 0.5 : 0.7 : 0.3 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물이고,
    상기 시트르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3 중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은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0.5 내지 3 중량%,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Ethyl Butylacetylaminopropionate) 0.5 내지 3 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0.5 내지 3 중량%, 트레할로오스(Trehalose) 0.5 내지 3 중량%, 알란토인(Allantoin) 0.5 내지 3 중량%, 판테놀(Panthenol) 0.1 내지 2 중량%, 히알루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0.1 내지 3 중량%, 디나트륨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5 내지 2 중량% 및 시트르산 나트륨 수화물(Sodium Citrate Hydrate) 0.05 내지 2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즈마리잎 오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Oil)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또는 이들의 조합인 해충에 대한 기피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반려동물의 피부나 피모에 분사하는 스프레이용 용액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해충 기피용 조성물.
KR1020230036198A 2023-03-20 2023-03-20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56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198A KR102568335B1 (ko) 2023-03-20 2023-03-20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198A KR102568335B1 (ko) 2023-03-20 2023-03-20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335B1 true KR102568335B1 (ko) 2023-08-18

Family

ID=8780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198A KR102568335B1 (ko) 2023-03-20 2023-03-20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33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424A (ja) * 2000-03-06 2001-09-11 Sumika Life Tech Co Ltd 動物の外部寄生虫防除剤
US20080311215A1 (en) * 2007-06-18 2008-12-18 Grace Catherine A All-natur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pelling and killing insects
US20130183392A1 (en) * 2011-07-15 2013-07-18 Steven Moore Insect repellant and system
CN107333756A (zh) * 2017-06-14 2017-11-10 江苏敖广日化集团股份有限公司 以peg‑40氢化蓖麻油作为乳化剂的水基杀虫气雾剂
KR101919895B1 (ko) * 2018-05-29 2018-11-19 (주)국보싸이언스 시트랄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KR102291985B1 (ko) * 2021-02-17 2021-08-23 주식회사 디노보 인체에 안전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KR102323497B1 (ko) * 2020-07-31 2021-11-05 천병년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20220026839A (ko)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자연애 은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용 해충 또는 동물 기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424A (ja) * 2000-03-06 2001-09-11 Sumika Life Tech Co Ltd 動物の外部寄生虫防除剤
US20080311215A1 (en) * 2007-06-18 2008-12-18 Grace Catherine A All-natur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pelling and killing insects
US20130183392A1 (en) * 2011-07-15 2013-07-18 Steven Moore Insect repellant and system
CN107333756A (zh) * 2017-06-14 2017-11-10 江苏敖广日化集团股份有限公司 以peg‑40氢化蓖麻油作为乳化剂的水基杀虫气雾剂
KR101919895B1 (ko) * 2018-05-29 2018-11-19 (주)국보싸이언스 시트랄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KR102323497B1 (ko) * 2020-07-31 2021-11-05 천병년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20220026839A (ko)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자연애 은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용 해충 또는 동물 기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91985B1 (ko) * 2021-02-17 2021-08-23 주식회사 디노보 인체에 안전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982B1 (ko)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DE60015776T2 (de) Auf terpenen basierende pestizide behandlung zum ausrotten von terrestrischen arthropoden, unter einbeziehen von, unter anderem, läusen, lauseiern, milben und ameisen
Baker Fur rubbing: use of medicinal plants by capuchin monkeys (Cebus capucinus)
Russell et al. The encyclopedia of medical and veterinary entomology
KR101904406B1 (ko) 닭진드기 방제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KR20150056537A (ko) 곤충의 유인 및 기피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Hirst Mites Injurious to Domestic Animals:(with an Appendix on the Acarine Disease of Hive Bees)
EP2081428A2 (en) Antipediculosis composition having a lice-suffocating activity
Scott Flies of public health importance and their control
US8642663B2 (en) Acetals as insect repellant agents
KR102568335B1 (ko)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Pratt Mites of public health importance and their control
KR102323497B1 (ko) 해충 기피제 조성물
Sabuni Prevalence, intensity and pathology of ecto and haemoparasites infections in indigenous chickens in eastern province of kenya
Azad et al. Mites of public health importance and their control
Sonenshine Insects of Virginia No. 13
JP2010116340A (ja) 刺咬性節足動物忌避組成物
KR102651728B1 (ko) 이카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분무식 애완견용 모기 및 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Bishopp Fleas
Dove Some biological and control studies of Gastrophilus haemorrhoidalis and other bots of horses
Chikomola et al. In vitroevaluation of effects of tobacco remains and laundry soap combination on brown ticks
KR102511332B1 (ko)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KR101942801B1 (ko) 모기 기피 조성물
Yakubu et al. Livestock: An alternative mosquito control measure
O’Donel Alexander et al. Infestation with gamasid m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