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132B1 -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132B1
KR102511132B1 KR1020180043656A KR20180043656A KR102511132B1 KR 102511132 B1 KR102511132 B1 KR 102511132B1 KR 1020180043656 A KR1020180043656 A KR 1020180043656A KR 20180043656 A KR20180043656 A KR 20180043656A KR 102511132 B1 KR102511132 B1 KR 10251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processing
unit
banknotes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024A (ko
Inventor
권오현
고창호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1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출력부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가 투입될 때에 센서부를 통해 얻어지는 지폐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 후 이미지 전처리 결과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상기 이종 매체나 상기 미탑재 권종 지폐에 대해 단순 계수만 행하여 배출 및 출력할 수 있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폐 계수 장치 및 이에 의한 지폐 계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PAPER-MONEY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지폐 판별처리 모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전환 조작을 하지 않고서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를 계수할 수 있게 하는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량 다종의 지폐 거래나 취급이 많은 은행, 우체국 등의 금융기관, 현금수송업체(CIT), 환전소, 카지노, 오락시설, 게임장, 대형유통점, 공항, 항구, 면세점 등에서는, 고객과 현금 수납, 출금 등과 같은 지폐 거래나 교환을 할 때 또는 다량의 지폐를 정리하거나 분류하는 작업을 할 때, 직원이 지폐를 손으로 일일이 세거나 분류할 수도 있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계수 오류가 생길 우려가 있으며 위변조 지폐나 훼손 지폐를 선별해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통상 분당 수 백장의 지폐 처리 속도로 지폐의 권종을 판별하여 권종별 매수와 금액은 물론 합계액까지 자동으로 산출해주면서 위변조 지폐나 훼손 지폐까지 분류해주는 지폐 계수 장치들이 상용화되어 있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지폐 계수 장치들은 국가간 경계의 벽이 얕아져 인적, 경제적 교류가 급증하면서 한 국가 내에서 그 해당 국가의 지폐 권종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국 지폐들에 대해서도 판별 처리가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요구받아 왔고, 또한 사용자들로부터 이러한 지폐 계수 장치를 이용해서 지폐 이외에 지폐가 아닌 지류 형태의 이종 매체들(예컨대, 상품권, 티켓, 수표 등)에 대해서도 판별 처리까지는 못하더라도 계수만이라도 했으면 하는 수요가 있어 왔다.
이에 따라, 종래의 고성능 지폐 계수 장치들은 통상 여러 개(예: 5~7개)의 국가권들을 판별 처리할 수 있는 지폐 권종 판별 알고리즘을 탑재하는 것과 함께 복수 종류의 지폐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폐 처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지폐 계수 장치들은, 지폐의 권종(본 명세서에서 권종은 국가권 종류도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됨)을 판별하지 않고 단순히 투입되는 지폐가 몇 매인지 계수(count)만 하는 프리(Free) 모드, 투입되는 지폐들의 매수를 계수할 뿐만 아니라 지폐의 권종도 판별하고 권종별로 매수 및 금액, 부분합, 총합계 등을 산출하거나 위변조 여부나 방향이나 표리 등을 구분할 수 있는 밸류(Value) 모드, 투입 지폐들의 훼손이나 테이프 부착이나 오염 여부 등 소정의 지폐 유통 기준에 적합한지를 판별하는 정사(Fitness)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지폐 계수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소정의 지폐 처리 모드들 중에서 원하는 지폐 처리 작업에 따라 소정의 지폐 처리 모드를 선택해서 해당 지폐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의 지폐 계수 장치들에 관한 선행특허문헌으로는, 예컨대, 발명의 명칭이 "지폐 식별 계수기"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5822호(공고일: 2011년10월25일)와 발명의 명칭이 "지폐 식별 계수기"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7289호(공고일: 2014년1월28일)가 있다. 상기 제10-1075822호에는 사용자가 입출력부의 시작/정지 버튼키를 누를 때마다 판별 처리하는 지폐의 국가권 판별 모드가 바뀌게 하여 1대의 지폐 계수기를 이용해 국가권 모드 설정을 전환함으로써 복수의 탑재된 국가권 지폐를 판별 처리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고, 상기 제10-1357289호에는 복수의 지폐 처리 모드들을 변환 제어하는 기술이 부분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지폐 계수 장치들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프리 모드, 밸류 모드, 정사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해놓고 지폐 처리 작업들을 수행한다. 그러다가 다른 모드로 지폐 처리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입출력부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지폐 처리 모드로 다시 변경한 후에야 그 원하는 지폐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의 지폐 계수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밸류 모드나 정사 모드에서 지폐 처리 작업을 하는 도중에, 상기 지폐 계수 장치에 탑재되지 않은 권종의 지폐나 이종 매체(예: 상품권, 수표, 티켓 등)에 대해 계수만 하는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출력부를 최소 1회이상 조작해서 프리 모드로 모드 전환을 한 후에야 계수 작업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불편함이 늘 있었고 또 사용자들이 모드 전환해야 하는 것을 잊고서 지폐를 투입하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해 왔다. 여기서, 참고로, 지폐 계수 장치에 탑재되지 않은 권종 또는 미탑재 권종이라는 표현은 지폐 계수 장치에는 판별 가능한 권종의 수가 미리 정해지고 그에 해당하는 권종별 판별 알고리즘이 내장되는데, 내장된 권종 판별 알고리즘이 판별할 수 없는, 즉 판별 알고리즘이 내장되지 않은 다른 종류의 권종의 지폐를 의미한다.
또한, 어떤 종래의 2포켓 지폐 계수 장치에서는, 정상 포켓과 리젝 포켓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미탑재된 권종의 지폐나 상기와 같은 이종 매체를 밸류 모드에서 투입하는 경우에, 상기 지폐 계수 장치에서는 판별 불가로 정상 포켓(예: 스태커)이 아닌 리젝 포켓으로 배출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리젝 포켓의 기능을 활용하여 모드 변경의 수고를 덜거나 시간 절약을 위해 리젝 포켓으로 리젝되는 지폐를 별도로 계수하는 기능을 추가한 종래의 2포켓 지폐 계수 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밸류 모드에서 해당 지폐 처리 작업을 하다가 상기 미탑재된 권종의 지폐나 상기 이종 매체를 투입하여 리젝 포켓으로 배출되는 매 수를 계수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프리 모드로 변경하는 조작을 하지 않으면서 상기 미탑재된 권종의 지폐나 상기 이종 매체를 계수하곤 했다. 하지만, 이 방식은 항상 오계수가 발생하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지폐가 두세장 겹쳐서 투입되는 경우도 종종 있고, 선행 지폐와 후행 지폐의 간격이 없이 연속해서 투입되거나 상기 간격이 판별 처리에 충분하지 않을 정도로 너무 짧은 간격으로 투입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지폐 계수 장치는 겹침(Doubled) 에러 신호나 체인(Chain) 에러 신호를 발생시켜 에러로 처리해 리젝 포켓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리젝 포켓으로 배출되는 매 수가 틀려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 모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전환 조작을 하지 않고서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를 계수할 수 있게 하는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폐 계수 장치는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출력부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가 투입될 때에 센서부를 통해 얻어지는 지폐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 후 이미지 전처리 결과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상기 이종 매체나 상기 미탑재 권종 지폐에 대해 단순 계수만 행하여 배출 및 출력할 수 있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폐 계수 방법은,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한 장씩 자동으로 지폐 계수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배출하고,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도 성공하고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탑재 권종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정상 처리 및 출력하고, 상기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나 권종 판별이 안되는 상태인 경우에는 입출력부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로부터 단순 계수만 행하여 출력하는 처리로 전환하여 수행하고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젝 포켓부와 스태커부를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의 지폐 계수 방법으로서, 상기 지폐 계수 장치가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상기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상기 리젝 포켓부로 배출하고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를 성공하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는 경우엔 상기 첫장 및 후속 투입 지폐에 대해 밸류 모드에서와 같이 처리 및 출력을 하고 리젝된 지폐는 상기 리젝 포켓부로 분류 배출하며, 상기 지폐가 모두 처리 완료된 후 상기 리젝 포켓부에 있던 지폐를 재투입하고 재투입된 지폐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가 실패하면 상기 리젝 포켓부로 배출하고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도록 전환해 단순 계수만 수행하고 상기 스태커부로 배출하며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 제 2 및 제 3 포켓부를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의 지폐 계수 방법으로서, 상기 지폐 계수 장치가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상기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들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거나 리젝 사유가 있는 지폐를 제 1 포켓부로 배출하고,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한 지폐에 대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지폐의 권종 판별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밸류 모드에서와같이 정상 처리하여 제 2 포켓부로 배출시키면서 판별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지폐의 권종 판별이 실패하면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는 것으로 전환하여 제 3 포켓부로 배출하고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 모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전환 조작을 하지 않고서도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를 자동으로 정확히 계수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의 지폐 처리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지폐 계수 장치의 상품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방법을 흐름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방법을 흐름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방법을 흐름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사시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설명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구성요소간 연결관계 등은 본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편의상 과장되거나 간략히 도시되어 있고 개념적으로 설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나 실시자의 의도 또는 실시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부" 등의 표현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로 사용되지 않으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거나 구비한다고 하는 등의 표현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한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지폐 계수 장치(100)의 기구적인 구조나 형상 등은 본 발명의 요지와 크게 관련성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예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장치(100)가 투입부(10), 반송부(20), 구동부(30), 센서부(40), 적재부(50), 제어부(60), 저장부(70), 입출력부(80), 절체부(90)를 포함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투입부(10)는 지폐 계수 장치(100)의 외측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복수 매의 지폐를 투입부(10)에 올려 놓으면 한 매씩 낱장 분리하여 지폐 계수 장치(100)내로 투입시킨다. 투입되는 지폐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반송부(20)에 의해 소정의 지폐 처리 속도로 반송로(미도시)를 따라 반송되면서 센서부(40)와 절체부(90)를 통과한 후 적재부(50)에 배출되어 적재된다.
반송부(20)는 투입되는 지폐를 반송시키는 역할을 하고, 다양한 반송 방식(예: 벨트, 롤러, 또는 이들의 혼합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롤러를 이용한 지폐 반송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반송부(20)는 지폐가 반송되는 경로인 반송로(미도시)와 지폐를 반송시키는 반송 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경우에, 상기 반송 수단은 반송로를 따라 양쪽 상하측에 서로 대향되게 구동롤러(미도시)와 아이들롤러(미도시)가 한 쌍을 이루어 모든 종류의 지폐 크기를 고려한 간격마다 복수 열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30)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어와 벨트(예: 타이밍 벨트) 등을 통해 상기 반송부(20)에 전달하여 지폐가 소정의 지폐 처리 속도로 반송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30)는 실시 환경이나 설계 의도에 따라 또는 지폐 계수 장치(100)의 성능이나 사양에 따라 1개의 모터로 형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모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센서부(40)는 투입부(10)를 지나 이어지는 반송로(미도시) 상의 소정 영역에 배치되고, 이미지센서, 자기센서, 두께센서 등 복수 종류의 센서(미도시)를 구비하며, 반송중인 지폐에 대해 각종 센싱 처리를 수행하고 그에 의해 얻어지는 각각의 센싱 신호를 제어부(60)에 전달하여 지폐들의 진위, 종류, 방향, 표리, 정사, 일련번호 등을 판별할 수 있게 하거나 지폐들의 금액, 매수, 부분합, 총합계가 산출되게 하는 등 다양한 기준에 따르는 지폐 처리들이 수행되게 한다. 상기 이미지센서(미도시)는 라인 어레이 타입으로 형성되어 지폐의 각종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로서, 지폐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서 반사되는 가시광에 의한 이미지, 지폐를 투과하는 가시광에 의한 이미지, 지폐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에 의한 이미지, 또는 지폐를 투과하는 적외선에 의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 이미지 정보를 취득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외선에 의한 반사 또는 투과 이미지 정보를 더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자기센서(미도시)는 지폐에 함유된 자기성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60)에 전달하여 진위를 판별할 수 있게 하고, 두께센서(미도시)는 지폐의 겹침 또는 테이프같은 이물 부착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60)에 전달한다. 이 밖에도, 센서부(40)는 설계 의도 및 실시 환경에 따라 다른 종류의 센서들을 더 포함하거나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재부(50)는 투입되는 지폐에 대한 판별 처리 후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지폐가 배출되도록 한 개 이상의 포켓(또는 스태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는 적재부(50)를 2개 이상의 포켓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재부(50)는 지폐 판별 결과가 판별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정되거나(예: 미탑재 권종 지폐, 이종 매체, 체인 에러, 스큐 에러 등) 위폐로 판정되거나 유통에 부적합한 경우(훼손, 오염 등)로 판정되거나 이매로 판정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어떤 소정의 배출 분류 기준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지폐를 배출하여 적재하는 제 1 적재부(예: 리젝포켓부)(도 5의 51)와, 지폐 판별 결과가 상술한 제 1 적재부(51)로 배출되게 하는 경우를 제외한 다른 경우, 즉 정상 처리 지폐로 판정되거나, 해당 국가권이나 권종으로 판정되거나, 유통에 적합한 지폐로 판정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또다른 소정의 적재 분류 기준에 따라 판정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지폐를 식별하여 적재하는 제 2 적재부(예: 포켓 또는 스태커부)(도 5의 53, 55)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2 적재부(53, 55)는 하나 이상의 포켓이나 스태커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50)는 그 밖에도 3개(53, 55, 57)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의도하는 적재량에 따라 각기 다른 모양이나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각각의 적재부(50)는 판별 결과에 따라 지폐를 그 지폐의 속성이나 설정해놓은 분류 기준(예를 들면, 권종, 면방향, 표리, 국가권, 진위, 오류유무, 정사 등)에 따라 분류하여 적재할 수 있다. 적재부(50)가 여러 개로 구성될수록 한 번에 여러 개의 분류 기준으로 지폐를 분류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센서부(40)로부터 전달받는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다양한 판별 처리를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여러 종류의 지폐를 다양한 국가권(또는 권종)으로 섞어서 임의의 방향으로 투입하는 경우에도 센서부(40)로부터 취득한 복수 종류(가시광, 적외선 등)의 지폐 이미지로부터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 후 지폐의 국가권 및 권종을 판별하고, 소정의 센싱 신호(예: 자기신호, 자외선신호, 적외선신호 등)를 통해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며, 지폐의 일련번호를 판별하여 일련번호를 추출하거나 일련번호영역의 이미지만을 추출하고 이를 저장하고, 분류, 검색 및/또는 전송 등을 수행하고, 투입되는 지폐들의 매수와 금액, 권종별 부분합 및 총합계를 산출하며, 지폐의 신권/구권 구분, 지폐의 앞면/뒷면/위/아래 방향 구분,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투입하고 원하는 권종만을 분리 추출,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투입하고 원하는 금액에 해당하는 지폐를 추출, 낡거나 찢어지거나 오염 등의 훼손된 지폐를 정상권과 구분하여 추출, 상기와 같은 여러 기준에 따른 지폐 판별 결과에 의한 지폐 분류 배출 및 적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60)는 지폐 계수 장치(100)의 각종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 및 명령을 해독하고 산술논리연산이나 각종 데이터 처리나 제어를 수행하며, 지폐 계수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반송 중인 지폐의 상태나 상기 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입출력부(80)를 통해 표시해주는 등 지폐 계수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전반적인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출력부(80)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가 투입될 때에 센서부(40)를 통해 얻어지는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 후 이미지 전처리 결과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상기 이종 매체나 상기 미탑재 권종 지폐에 대해 단순 계수만 행하여 배출 및 출력할 수 있게 처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이 종료된 후 적재부(50)에 적재되어 있던 지폐를 사용자가 회수해 가면 제어부(60)는 다시 원래의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던 상태로 복귀 또는 리셋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몇 가지 예를 들어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저장부(7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센서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소정의 정보들과 함께 지폐 계수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정보, 지폐 처리 모드별로 제어 또는 처리해야 할 정보, 각 센서들의 설정값, 계수결과, 정사결과, 에러정보, 위폐정보, 로그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70)는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한 설정 데이터, 지폐 계수 장치(100)의 동작 및 지폐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SW 프로그램, 권종(국가권 포함) 판별, 정사 판별, 위폐 판별, 지폐 방향 판별, 일련번호 판별 등 다양한 지폐 판별 처리에 이용되는 각종 기준 정보 및 판별 알고리즘들을 저장하고, 필요시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독출되어 제공된다. 특히, 저장부(70)는 지폐의 권종(또는 국가권 포함) 판별에 필요한 판별 알고리즘 및 권종별(또는 국가권별) 기준 정보를 소정의 권종 수(또는 국가권 수)만큼 저장하고 있다. 이것은, 예컨대 지폐 계수 장치(100)가 10개의 국가권을 탑재하고 있다면 상기 저장부(70)가 상기 10개의 국가권을 판별할 수 있는 판별 알고리즘 및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상기 10개의 국가권이 탑재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각 국가권마다 대략 5개의 권종이 있다고 하면 50개의 권종을 판별할 수 있는 판별 알고리즘 및 기준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입출력부(80)는 지폐 계수 장치(100)의 전면에 마련되고, 통상적으로 LCD, LED 또는 OLED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지폐 계수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나 설정을 입력받거나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장치의 동작 상황과 지폐 처리 결과(예: 에러정보, 진위, 매수, 권종 및 금액 등)를 출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부(8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작 상태에 따라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거나 설정 및 조작을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버튼은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 방식인 경우엔 디스플레이부상에서의 아이콘이나 메뉴로 제공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 근방에 하나 이상의 누름식 버튼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입출력부(80)는 지폐 계수 장치(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통신기능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착탈식 또는 별개의 독립된 주변장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입출력부(8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지폐 계수 장치(100)의 지폐 처리 모드가 소정의 지폐 처리 모드(예: 프리 모드, 밸류 모드, 정사 모드 등)로 선택되거나 설정 변경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출력부(80)를 조작하여 원하는 지폐 처리 모드로 변경하거나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폐 처리 모드는 지폐 처리 장치(100)의 성능이나 사양에 따라 복수의 서브 모드를 트리 구조로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지폐 계수 장치(100)에서 밸류 모드는 그 서브 모드로 하나의 국가권만 판별 처리하고 다른 국가권의 지폐는 별도로 분류 배출하도록 처리하는 싱글 국가권 모드, 여러 국가권의 지폐들이 섞여 투입되는 경우에도 각 국가권별로 판별 처리하고 그 결과를 각기 출력해주는 혼합국가권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절체부(90)는 센서부(40)를 지나서 하류측 지폐 반송로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고 지폐 판별 결과에 따라 해당 지폐를 복수의 적재부(50) 중 어느 적재부(51 또는 53)로 배출시켜야 할지 반송로가 분기되는 곳에 배치되며, 적재부(50)의 수에 따라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절체부(90)는 센서부(40)의 마지막 센서를 지폐가 통과한 후 제어부(60)가 판별 결과를 출력하여 해당 지폐를 어느 적재부로 배출시켜야 할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시간만큼 상기 마지막 센서로부터의 거리를 확보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100)의 동작 및 계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100)는 복수의 지폐 처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전원 온(On)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출력부(8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복수의 지폐 처리 모드 중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지폐 계수 장치(10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된 지폐 판별 처리 모드를 수행할 준비를 완료한다. 또 다르게는, 사용자가 상기 지폐 판별 처리 모드를 많이 사용하는 모드이면, 별도로 사용자가 입출력부(80)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전원 온(On) 시에 상기 지폐 판별 처리 모드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전원이 온(On)되면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지폐 판별 처리 모드를 수행할 준비가 완료된다.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권종의 지폐들이 섞인 상태로 또는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가 섞여 있든 아니든 처리할 복수의 지폐가 지폐 계수 장치(100)의 투입부(10) 상에 올려 놓여진다. 이 때 상기 투입부(10)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지폐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지폐가 투입부(10) 상에 올려 놓아져 있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가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상기 올려 놓여진 지폐를 한 장씩 자동으로 지폐 계수 장치(100) 내로 투입한다(도 2의 S10). 이렇게 투입되는 지폐들은 반송부(20)에 의해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면서 센서부(40)를 통과하게 되고 지폐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것과 함께 적재부로 배출된다.
제어부(60)는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센서부(40)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 정보에 대해 외곽선을 추출하고 스큐를 보정하거나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이미지 전처리(image pre-processing)를 수행한다(S20). 이어서, 제어부(60)는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와 같은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고(S30),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했으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배출한다(S40).
그리고, 제어부(60)는,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권종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투입되는 지폐가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면 정상 판별 처리하여 정해진 적재부(50)로 배출시키면서 권종별 금액, 매수 등을 입출력부(80)에 출력시키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지 않으면 에러 신호를 발생시켜 분류 배출하는 등의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60)는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들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도 성공하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정상 처리 및 출력하고(S50), 상기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나 권종 판별이 안되는 상태, 즉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라고 결정하는 경우에 입출력부(80)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에서 단순 계수만 행하여 출력하는 처리로 전환하여 수행하고, 그 계수 결과로 매수 등을 출력시킨다(S60).
그리고, 이러한 단순 계수 처리 작업이 종료된 후, 즉 투입부(10)상에 놓여 있던 지폐(또는 매체)들이 모두 투입되어 처리된 후, 적재부(50)에 적재되어 있던 지폐(또는 매체)를 사용자가 회수하면 제어부(60)는 다시 원래의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던 상태로 복귀 또는 리셋시키는 처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지폐 계수 방법은 실시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별도의 지폐 처리 모드로 지폐 계수 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별도의 지폐 처리 모드를 본 명세서에서는 일명 밸류앤프리(Value & Free) 모드(또는 자동 전환 모드)라 칭하기로 한다.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워질 수 있으나, 밸류 모드에서처럼 동작하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조건에서 프리 모드에서처럼 동작하고 다시 밸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더 쉽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는 지폐 계수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화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예들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가 2개의 적재부(50, 즉 51, 53)로 구성된 경우(예: 도 5의 (a))의 본 발명의 지폐 계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고,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가 적어도 3개 이상의 적재부(50, 즉 51, 53, 55)로 구성된 경우(도 5의 (b))의 본 발명의 지폐 계수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100)는 1개의 리젝 포켓부(51)와 1개의 스태커부(53)로 형성되는 적재부(50)를 구비하고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폐 계수 장치(100)는, 전원 온(On)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출력부(80)를 조작하여 복수의 지폐 처리 모드 중 밸류앤프리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설정된 밸류앤프리 모드를 수행할 준비를 완료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지폐 처리 장치(100)가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엔 전원 온(On) 시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를 수행할 준비가 완료된다.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권종의 지폐들이 섞인 상태로 또는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가 섞여 있든 아니든 처리할 복수의 지폐(또는 매체)가 지폐 계수 장치(100)의 투입부(10) 상에 올려 놓여진다. 이 때 상기 투입부(10)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지폐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상기 지폐가 투입부(10) 상에 올려 놓아져 있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가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상기 올려 놓여진 지폐를 한 장씩 자동으로 지폐 계수 장치(100) 내로 투입한다(도 3의 S1). 이렇게 투입되는 지폐들은 반송부(20)에 의해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면서 센서부(40)를 통과하게 되고 제어부(60)에 의해 지폐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것과 함께 적재부(50), 즉 리젝 포켓부(51)나 스태커부(53)로 배출되어 적재되게 된다.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60)는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센서부(40)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 정보에 대해 외곽선을 추출하고 스큐를 보정하거나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이미지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한다(S2). 이어서, 제어부(60)는 상기 투입 지폐에 대해 상기와 같은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고(S3),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리젝 포켓부(51)로 배출한다(S4).
그리고, 제어부(60)는,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S3)에서, 상기 투입 지폐의 권종 판별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즉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권종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투입 지폐가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면, 정상 판별 처리하여 스태커부(53)로 배출시키면서 권종별 금액, 매수, 합계액 등을 입출력부(80)에 출력시키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지 않으면(예컨대,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인 경우) 미판별 권종으로 분류하여 리젝 포켓부(51)로 배출하는 등의 밸류 모드에서와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즉, 밸류앤프리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밸류 모드에서와 같은 지폐 처리를 수행함을 의미한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해,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60)는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들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를 성공하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한 경우엔 밸류 모드에서와 같이 정상 처리 및 출력을 한다(S5). 이는 후속 투입 지폐들도 밸류 모드에서처럼 처리함을 의미한다. 즉, 이미지 전처리와 권종 판별에 성공한 지폐는 스태커부(53)로 배출하여 적재하고 그 판별 결과(권종별 금액, 매수, 합계 등)를 출력하며, 그 외 리젝 사유(위폐, 겹침, 에러, 미탑재 권종, 이종 매체 등)인 경우 리젝 포켓부(51)로 분류 배출한다. 그리고, 투입부(10)에 놓인 지폐가 모두 처리 완료된 후, 리젝 포켓부(51)에 적재되어 있던 지폐(또는 매체)들을 투입부(10)에 다시 올려 놓고 재투입하고(이 때 스태커부에 적재된 지폐는 먼저 회수할 수 있음)(S5), 이들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가 실패하면 상기와 같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리젝 포켓부(51)로 배출하고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고 첫장이 탑재 권종이 아닐 것이므로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도록 프리 모드로 전환해 단순 계수만 수행하고 스태커부(53)로 배출하며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한다(S6). 또한, 이 때 스태커부(53)에 적재된 지폐들을 사용자가 회수하면 제어부(60)는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 또는 리셋되게, 즉 밸류 모드에서와 같이 처리되게 다시 자동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상기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나 권종 판별이 안되는 경우에는,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도록 프리 모드로 전환하여 단순 계수만 수행하고(후속 지폐들도 프리 모드처럼 처리) 상기 첫장 및 후속 지폐(또는 매체)들을 스태커부(53)로 배출하며 그 계수 결과로 매수 등을 출력시킨다(S6). 이 때, 두번째 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도 성공하고 권종 판별도 성공하는 경우에도 프리 모드에서처럼 단순 계수만 하고 스태커부(53)로 적재되게 하고, 후속 지폐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러한 단순 계수 처리 작업, 즉 프리 모드에서의 처리가 종료된 후, 스태커부(53)에 적재되어 있던 지폐(또는 매체)를 사용자가 회수하면 제어부(60)는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 또는 리셋되게, 즉 밸류 모드에서와 같이 처리되게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4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100)는 제 1 내지 제 3 포켓부(51, 53, 55)로 형성되는 적재부(50)를 구비하고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 도 5(b)에서와 같은 3개의 포켓부로 적재부(50)를 구성한 예를 설명하겠으나, 4개 이상의 포켓부를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예에 국한해 설명한 것임을 유의한다. 또한, 상기 예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폐 계수 장치(100)는, 밸류앤프리 모드 하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권종의 지폐들이 섞인 상태로 또는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가 섞여 있든 아니든 처리할 복수의 지폐(또는 매체)가 투입부(10) 상에 올려 놓여지면 한 장씩 자동으로 상기 장치(100)내로 투입시킨다(S100). 이렇게 투입되는 지폐들은 반송부(20)에 의해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면서 센서부(40)를 통과하게 되고 제어부(60)에 의해 지폐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것과 함께 설정한 분류 기준에 따라 적재부(50), 즉 제 1 내지 제 3 포켓부(51, 53, 55)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되어 적재되게 된다.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60)는 상기 투입되는 지폐(또는 매체)에 대해 센서부(40)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다(S200). 이어서, 제어부(60)는 상기 투입되는 지폐들에 대해 상기와 같은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고(S300),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제 1 포켓부(51)(즉, 3개의 포켓부 중 하나를 리젝된 지폐를 적재하는 포켓부로 할당할 수 있음)로 배출한다(S400).
그리고, 제어부(60)는,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한 지폐들에 대해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S300)에서, 상기 지폐의 권종 판별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즉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권종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가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면, 밸류 모드에서와같이 정상 처리하여 제 2 포켓부(53)로 배출시키면서 권종별 금액, 매수, 합계액 등을 입출력부(80)에 출력시키고(S500), 권종 판별에 실패하면, 즉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지 않으면(예컨대,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인 경우) 미판별 권종으로 분류하는 것과 함께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는 것으로 전환하여 제 3 포켓부(55)로 배출하고 그 계수 결과(예: 매수)를 출력한다(S600).
또한,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이미지 전처리와 권종 판별이 성공했으나 위폐, 겹침, 체인에러 등의 리젝 사유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제 1 포켓부(51)로 배출되게 처리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포켓부(51, 53, 55)는 소정의 분류 기준에 따라 각기 다르게 할당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포켓부(51, 53, 55)에 적재된 지폐들을 사용자가 회수하면 제어부(60)는 다시 처음의 밸류앤프리 모드로 된다. 또한, 4개 이상의 포켓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 만큼 더 한 번의 투입으로 여러 분류 기준에 따라 한번에 분류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 설명 과정에서, 균등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중복되지 않게 생략한 것도 있고 각 실시예에서 앞에서 설명한 것과 차이가 있는 구성요소나 동작방법 등의 설명에 초점을 맞추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였음을 유의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지폐란 용어는 일부 실시예에서도 지폐(또는 매체)로도 표기하였지만, 실시예나 문맥에 따라 지류형 이종 매체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해석됨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기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특정한 구성이나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수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들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지폐 처리 장치 10: 투입부
20: 반송부 30: 구동부
40: 센서부 50; 51, 53, 55: 적재부
60: 제어부 70: 저장부
80: 입출력부 90: 절체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리젝 포켓부와 스태커부를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의 지폐 계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폐 계수 장치가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상기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상기 리젝 포켓부로 배출하고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를 성공하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는 경우엔 상기 첫장 및 후속 투입 지폐에 대해 밸류 모드에서와 같이 처리 및 출력을 하고 리젝된 지폐는 상기 리젝 포켓부로 분류 배출하며, 상기 지폐가 모두 처리 완료된 후 상기 리젝 포켓부에 있던 지폐를 재투입하고 재투입된 지폐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가 실패하면 상기 리젝 포켓부로 배출하고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도록 전환해 단순 계수만 수행하고 상기 스태커부로 배출하며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상기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나 권종 판별이 안되는 경우에는, 상기 첫장 및 후속 지폐에 대해 상기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도록 프리 모드로 전환하여 단순 계수만 수행하고 상기 스태커부로 배출하며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방법.
  7. 제 1, 제 2 및 제 3 포켓부를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의 지폐 계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폐 계수 장치가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상기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들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거나 리젝 사유가 있는 지폐를 제 1 포켓부로 배출하고,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한 지폐에 대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지폐의 권종 판별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밸류 모드에서와같이 정상 처리하여 제 2 포켓부로 배출시키면서 판별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지폐의 권종 판별이 실패하면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는 것으로 전환하여 제 3 포켓부로 배출하고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에 의해 처리된 지폐들이 회수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복귀 또는 리셋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방법.
KR1020180043656A 2018-04-14 2018-04-14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 KR10251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656A KR102511132B1 (ko) 2018-04-14 2018-04-14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656A KR102511132B1 (ko) 2018-04-14 2018-04-14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024A KR20190120024A (ko) 2019-10-23
KR102511132B1 true KR102511132B1 (ko) 2023-03-17

Family

ID=6846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656A KR102511132B1 (ko) 2018-04-14 2018-04-14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720B1 (ko) * 2019-12-10 2021-07-07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지폐 감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07B1 (ko) 2013-10-23 2015-02-12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634A (ko) * 2001-09-11 2003-03-17 주식회사 엑스티엠 정액인출기능을 갖는 지폐 계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01691B1 (ko) * 2006-03-13 2010-12-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권종인식방법
EP2869277B1 (en) * 2006-10-24 2020-12-30 Glory Ltd. Bill recognizing and coun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07B1 (ko) 2013-10-23 2015-02-12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024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0476B2 (en) Apparatus for sorting mixed bills and barcoded tickets and method therefor
JP5914687B2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仕分け装置及び紙葉類仕分けシステム
EP2782076B1 (en) Sheet processing method,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system
JP6019561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CN1685373B (zh) 钞票的识别方法和识别装置
WO2008050459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différenciation de feuille de papier
JP2017004154A (ja) 紙幣処理装置
US11055679B2 (en) Bunch document recycler
EP1808824A2 (en) Sheet processing method and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2010086006A (ja) 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の照合方法。
CN106469484B (zh) 货币处理装置
JPWO2009028074A1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2511132B1 (ko)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
WO2010010606A1 (ja) 紙葉類処理方法
JP2016201046A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方法
WO2016063658A1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JP3368906B2 (ja) 金券類受入装置
KR101404879B1 (ko) 바코드 티켓과 지폐의 동시 계수가 가능한 지폐계수기
JP6752103B2 (ja) 紙幣識別装置、紙幣取扱装置
KR102568847B1 (ko) 지폐 처리 속도를 가변시키는 지폐 처리 장치
WO2013186865A1 (ja) 紙幣処理装置
JPH0546842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在高管理方法
JPS62206435A (ja) 紙葉類の鑑別装置
EP3291186B1 (en) A bank note handling machine
JPS59180794A (ja) 紙弊鑑別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