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500B1 - 유리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유리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500B1
KR102510500B1 KR1020210040076A KR20210040076A KR102510500B1 KR 102510500 B1 KR102510500 B1 KR 102510500B1 KR 1020210040076 A KR1020210040076 A KR 1020210040076A KR 20210040076 A KR20210040076 A KR 20210040076A KR 102510500 B1 KR102510500 B1 KR 10251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furnace
heating unit
discharge
gla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864A (ko
Inventor
최서용
정정수
홍성훈
이지훈
박경록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5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01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302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an inorganic matrix
    • G21F9/305Glass or glass like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05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of glass-forming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2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 C03B5/033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by using resistance heaters above or in the glass bath, i.e. by indirect resistance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6Outlets, e.g. drains, siphons; Overflows, e.g. for supplying the float tank, tw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유리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유리배출장치는 유리 용융물이 구비되는 용융로; 및 상기 용융로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용융로 내부의 상기 용융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융로는 하방 내주면이 상방에서 상기 배출유닛을 향하여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융로의 상기 용융물은 상기 배출유닛 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배출장치{Discharging device for molten glass}
본 발명은 유리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의 유리화 처리는 설비기동,유리용융,폐기물 투입, 용융유리 배출 과정으로 이루질 수 있다. 유리배출장치는 용융된 유리를 배출하기 위해 용융로의 바닥판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유리화설비 배출장치는 용융물의 배출이 실제적으로는 용이하지 않아 용융로 안에 일정부분 배출되지 못한 내용물이 쌓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히팅엘리먼트(Heating Element)의 손상일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4727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CCIM85 Bottom Slab 비접촉 저항가열 유리배출장치로서 유리화 설비의 용융물의 배출운전시 Heating Element의 구배(勾配)를 따라 용융물을 원활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유리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히팅유닛에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히팅엘리먼트를 비접촉 가열시켜 배출구의 고화되거나 고화 이전의 점성이 높아진 용융물을 녹여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유리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히팅유닛의 전류를 차단하면 히팅엘리먼트가 식어 용융물의 배출을 정지되도록 하여, 용융물의 설정 주기별로 배출가능한 유리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접촉 저항가열 방식으로 배출을 보조하여 기존의 직접가열식 배충방식보다 배출장치의 수명과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는 유리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유리배출장치는, 유리 용융물이 구비되는 용융로; 및 상기 용융로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용융로 내부의 상기 용융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융로는 하방 내주면이 상방에서 상기 배출유닛을 향하여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융로의 상기 용융물은 상기 배출유닛 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되는 유리배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용융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용융로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플랜지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용융로의 상기 하방 내주면과 접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방 내주면과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비접촉 저항가열식 히팅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히팅유닛은, 다수의 수직히팅부와 상기 수직히팅부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시키는 절곡히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유닛의 높이는 상기 몸체부 외주면 높이의 90% 이상을 차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용융로 하부의 삽입공간 상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삽입공간의 내벽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의 중심부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수직히팅부와 상기 절곡히팅부 중 어느 한곳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수평히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히팅부는 상기 용융로 하부면에 접하며, 상기 접촉면을 히팅하면서 상기 용융로 외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리배출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CIM85 Bottom Slab 비접촉 저항가열 유리배출장치로서 유리화 설비의 용융물의 배출운전시 Heating Element의 구배(勾配,)를 따라 용융물을 원활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유리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히팅유닛에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히팅엘리먼트를 비접촉 가열시켜 배출구의 고화되거나 고화 이전의 점성이 높아진 용융물을 녹여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유리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히팅유닛의 전류를 차단하면 히팅엘리먼트가 식어 용융물의 배출을 정지되도록 하여, 용융물의 설정 주기별로 배출가능한 유리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 저항가열 방식으로 배출을 보조하여 기존의 직접가열식 배충방식보다 배출장치의 수명과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는 유리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배출장치가 저온용융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저온용융로에 용융물이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유리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리배출장치는 배출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닛(110)은 몸체부(111), 연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상기 배출유닛(110)이 설치되는 상기 용융로(50)는 챔버(51), 투입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닛(110)은 상기 용융로(50)의 하방인 상기 챔버(52)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용융로(50) 내부의 상기 용융물(10)을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용융로(50)의 상기 챔버(52)는 하방 내주면(511,512)이 상방에서 상기 배출유닛(110)을 향하여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융로(50)의 상기 용융물(10)은 상기 배출유닛(110) 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닛(110)의 상기 몸체부(111)는 상기 용융물(10)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닛(110)의 상기 연결부(112)는 상기 몸체부(111)와 함께 상기 용융로(50) 내부와 연통되는 중공(H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12)는 상기 몸체부(111)로부터 플랜지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용융로(50)의 상기 하방 내주면(511,512)과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2)는 상기 하방 내주면(511,512)과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11)의 외주면에는 비접촉 저항가열식 히팅유닛(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유닛(120)은, 다수의 수직히팅부(121)와 상기 수직히팅부(121)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시키는 절곡히팅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히팅유닛(120)의 높이는 상기 몸체부(111) 외주면 높이의 90% 이상을 차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닛(110)은 상기 용융로(50) 하부의 삽입공간(H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1)는 상기 삽입공간(H2)의 내벽부(513,514)로부터 상기 삽입공간(H2)의 중심부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팅유닛(120)은 상기 수직히팅부(121)와 상기 절곡히팅부(122) 중 어느 한곳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수평히팅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히팅부(123)는 상기 용융로(50) 하부면에 접할 수 있다. 수평히팅부(123) 상기 접촉면(P1)을 히팅하면서 상기 용융로(50) 외부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용융물
50: 용융로
110: 배출유닛
111: 몸체부
112; 연결부
120: 히팅유닛
121: 수직히팅부
122: 절곡히팅부
123: 수평히팅부

Claims (4)

  1. 유리 용융물이 구비되는 용융로; 및
    상기 용융로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용융로 내부의 상기 용융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융로는 하방 내주면이 상방에서 상기 배출유닛을 향하여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융로의 상기 용융물은 상기 배출유닛 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되고,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용융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용융로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플랜지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용융로의 상기 하방 내주면과 접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방 내주면과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비접촉 저항가열식 히팅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히팅유닛은,
    다수의 수직히팅부와 상기 수직히팅부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시키는 절곡히팅부가 구비되되,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용융로 하부의 삽입공간 상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삽입공간의 내벽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의 중심부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수직히팅부와 상기 절곡히팅부 중 어느 한곳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수평히팅부가 구비되는, 유리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40076A 2021-03-29 2021-03-29 유리배출장치 KR10251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76A KR102510500B1 (ko) 2021-03-29 2021-03-29 유리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76A KR102510500B1 (ko) 2021-03-29 2021-03-29 유리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64A KR20220134864A (ko) 2022-10-06
KR102510500B1 true KR102510500B1 (ko) 2023-03-14

Family

ID=8359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76A KR102510500B1 (ko) 2021-03-29 2021-03-29 유리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5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267A (ja) * 2000-01-13 2001-07-27 Shinko Electric Co Ltd 誘導加熱溶解炉の底部出湯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02B2 (ja) * 1988-10-21 1995-01-30 動力炉・核燃料開発事業団 廃棄物処理用溶融炉及びその加熱方法
KR101247276B1 (ko) 2011-09-19 2013-03-2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용융유리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267A (ja) * 2000-01-13 2001-07-27 Shinko Electric Co Ltd 誘導加熱溶解炉の底部出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64A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5995T3 (es) Unidad integral de pared lateral y tapa de agujero de colada para un horno electrico de colada inferior excentrica.
US5648981A (en) Cooling system for a two component furnace roof
KR102510500B1 (ko) 유리배출장치
EP1484770A1 (en) Glass mel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8195223A1 (en) Cooling system for a surface of a metallurgical furnace
KR102174237B1 (ko) 중력주조에 적용되는 중공성형을 위한 바이메탈 중공관 및 중공성형방법
KR101669135B1 (ko) 복합 용해로
JP4496356B2 (ja) 導電性沈殿物を抜き出すための炉内構造物を有するガラス溶融炉及びこれを用いた高レベル放射性廃液のガラス固化処理方法
JP2021011393A (ja)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70117677A (ko) 황동의 용융 및 정련 일체형 시스템
CN207567103U (zh) 一种加锡装置及加锡设备
SK17002002A3 (sk) Spôsob zamedzenia spoločného prúdenia strusky pri odpichu kovovej taveniny a zariadenie na jeho vykonávanie
KR101202645B1 (ko) 포러스 플러그
JP7167984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KR20200048159A (ko) 용융물 교반 장치 및 방법
US368905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f molten metal
KR101572381B1 (ko) 고로 대탕도의 용융물 배출 장치
CN100465562C (zh) 用于使熔融相从熔炼炉中流出的装置和方法
KR200230184Y1 (ko) 제강용 턴디쉬의 슬래그 유출방지장치
KR100923881B1 (ko) 제강 레이들용 아르곤가스 자동주입장치
KR100397160B1 (ko) 패널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807848B2 (ja) 鋳造装置
KR100460055B1 (ko)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JP3909317B2 (ja) 地金切りブローランスチップ
JP3223036B2 (ja) ガラス溶融炉の流下ノズル閉塞防止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