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233B1 - 용접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용접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233B1
KR102510233B1 KR1020220139750A KR20220139750A KR102510233B1 KR 102510233 B1 KR102510233 B1 KR 102510233B1 KR 1020220139750 A KR1020220139750 A KR 1020220139750A KR 20220139750 A KR20220139750 A KR 20220139750A KR 102510233 B1 KR102510233 B1 KR 10251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rame
vertical
rear side
vertical movement
movemen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출
김대환
김진선
김미옥
Original Assignee
방성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성출 filed Critical 방성출
Priority to KR102022013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9End effectors other tha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 B25J19/0083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using gai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91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3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having parallel kinematics
    • B25J9/004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having parallel kinematics with kinematics chains having a rotary joint at the base
    • B25J9/004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having parallel kinematics with kinematics chains having a rotary joint at the base with kinematics chains of the type rotary-rotary-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6Revolute coordinat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되는 용접 보조장치는, 용접기가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 마운팅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재; 마운팅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재; 상하 이동부재를 좌우 이동부재의 양측면 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하는 접철 연결부재; 및 마운팅 프레임, 상하 이동부재, 좌우 이동부재 및 접철 연결부재를 용접장의 벽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보조장치{WELDING CARRIER}
본 발명(Disclosure)은, 용접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접 토치와 연결된 와이어 피더,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의 이동을 보조하는 용접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례로,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장의 바닥에는 용접 토치 측으로 전극 와이어를 송급하기 위한 와이어 피더, 보호가스(shield gas)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호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등이 어지럽게 널려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용접장에서는 와이어 피더와 함께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을 이동시키면서 용접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 등이 용접장의 바닥에 널려 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 위로 지게차 등이 지나면서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을 파손시키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중량물인 와이어 피더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부하 증가로 인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으며, 높을 곳을 용접 시 전극 와이어를 끌고 올라간 상태로 용접을 진행해야하기 때문에 용접자세의 불안정으로 인해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7564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2149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7409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861호.
본 발명(Disclosure)은, 용접 토치와 연결된 와이어 피더를 포함하는 용접기,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을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용접 보조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상하 방향 이동 시 용접기를 수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용접 보조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는, 용접기가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 마운팅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재; 마운팅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재; 상하 이동부재를 좌우 이동부재의 양측면 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하는 접철 연결부재; 및 마운팅 프레임, 상하 이동부재, 좌우 이동부재 및 접철 연결부재를 용접장의 벽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에서, 지지부재는, 다수의 볼트를 매개로 벽면에 고정되는 수직한 판 형태의 지지판; 및 좌우 이동부재를 좌우로 선회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되, 지지축은 지지판의 전방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지지축은 상단 및 하단 측은 지지판의 전방 상부 및 하부 측에서 마련된 지지브라켓들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에서, 지지판의 전방 양측에는 좌우 이동부재와 벽면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범퍼 튜브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에서, 범퍼 튜브 내부에는 점탄성체가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에서, 좌우 이동부재는, 지지부재의 전방 측에서 지지부재의 전방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좌우 이동 암;을 포함하되, 좌우 이동 암의 후방 측은 지지축에 좌우 선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 이동 암의 전방 측에 인접한 상부에는 벽면으로부터 연장된 견인 와이어가 연결되는 견인고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에서, 좌우 이송부재의 좌우 이송 암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 1 연결부; 및 제 1 연결부에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 1 연결부는, 후방 측이 상기 좌우 이동 암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한 판 형태의 제 1 연결판; 및 제 1 연결판의 전방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되 상단 및 하단 측이 제 1 연결판의 전방 상부 및 하부 측에 마련된 제 1 연결브라켓들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연결축;을 포함하며, 제 2 연결부는, 후방 측이 제 1 연결판의 전방 측에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수직한 판 형태의 제 2 연결판; 및 제 2 연결판의 후방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되 상단 및 하단 측이 제 2 연결판의 후방 상부 및 하부 측에 마련된 제 2 연결브라켓들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연결축;을 포함하되, 제 1 연결축의 상단 및 하단과 제 2 연결축의 상단 및 하단 측은 각각 수평한 링크 플레이트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에서, 상하 이동부재는, 접철 연결부재의 제 2 연결판 후방 측에서 마운팅 프레임의 후방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1 상하 이동 암; 및 제 2 연결판의 후방 측에서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후방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2 상하 이동 암;을 포함하되, 제 1 상하 이동 암 및 제 2 상하 이동 암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하로 이격 배치되고, 제 1 상하 이동 암의 후방 측 및 제 2 상하 이동 암의 후방 측은 제 1 상부 힌지핀 및 제 1 하부 힌지핀을 매개로 제 2 연결판의 전방 측에 형성된 제 1 선회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상하 이동 암의 전방 측 및 제 2 상하 이동 암의 전방 측은 제 2 상부 힌지핀 및 제 2 하부 힌지핀을 매개로 마운팅 프레임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 2 선회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에서, 상하 이동부재는, 제 1 상하 이동 암 및 제 2 상하 이동 암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 작동시키는 전동 실린더;를 더 포함하되, 전동 실린더는 전동 실린더 로드를 마운팅 프레임의 전방 측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제 1 선회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동 실린더 로드의 연장단은 제 2 상하 이동 암의 하부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에서, 상하 이동부재는, 제 1 상하 이동 암 및 제 2 상하 이동 암의 상하 방향 이동 시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가스쇼바;를 더 포함하되, 가스쇼바는 피스톤 로드를 마운팅 프레임 측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제 1 선회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의 연장단은 제 1 상하 이동 암의 하부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에서, 마운팅 프레임은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마운팅 프레임의 후방 측에는 제 2 선회브라켓이 형성되고, 마운팅 프레임의 전방 측에는 용접 토치와 와이어 피더로 이루어진 용접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기와,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 등을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곳 용접 시에도 안전하게 용접자세를 잡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 등이 용접장의 바닥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업자들이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 등에 걸쳐 넘어지는 안전사고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이동부재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상하 이동 암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마운팅 프레임 및 마운팅 프레임에 설치된 용접기를 수직한 상태를 유지시키며 승강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 암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100)는 용접기(W/M)가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170)과, 마운팅 프레임(17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재(150)와, 마운팅 프레임(17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재(120) 및 상하 이동부재(150)를 좌우 이동부재(120)의 양측면 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하는 접철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100)는 마운팅 프레임(170), 상하 이동부재(150), 좌우 이동부재(120) 및 접철 연결부재(1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10)를 더 포함한다.
먼저, 지지부재(110)는 용접장의 벽면(W)에 마운팅 프레임(170), 상하 이동부재(150), 좌우 이동부재(120) 및 접철 연결부재(130)를 지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재(110)는 작업자의 신장(身長) 보다 높은 위치, 대략 2m 높이에 마운팅 프레임(170), 상하 이동부재(150), 좌우 이동부재(120) 및 접철 연결부재(130)를 지지시킨다.
이를 위해서, 지지부재(110)는 다수의 볼트(bolt) 등을 매개로 벽면(W)에 고정되는 수직한 판 형태의 지지판(112)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110)는 좌우 이동부재(120)를 좌우로 선회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114)을 더 포함한다.
지지축(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에 밀착된 지지판(112)의 후방에 대향하는 지지판(112)의 전방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지지축(114)은 상단 및 하단 측은 지지판(112)의 전방 상부 및 하부 측에서 마련된 지지브라켓(116)들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판(112)의 전방 양측에는 좌우 이동부재(120)가 갑작스럽게 좌우로 이동할 때 벽면(W)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내부에 점탄성체가 충전된 범퍼 튜브(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점탄성체는 갑작스럽게 압력이 가해지면 경화되고, 압력을 회수하면 연화되며, 또한 천천히 압력을 가지면 유동하는 성질을 가진 것으로, 좌우 이동부재(120)가 갑작스럽게 좌우로 이동하여 급격하게 범퍼 튜브를 가압하면 점탄성체는 경화되면서 좌우 이동부재(120)가 벽면(W)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고, 좌우 이동부재(120)가 천천히 좌우로 이동하면서 범퍼 튜브를 가압하면 점탄성체는 유동되면서 좌우 이동부재(120)가 좌우로 이동하게 한다.
여기서, 점탄성체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점탄성체는 물과 녹말이 혼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녹말은 옥수수 녹말, 감자 녹말, 고구마 녹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좌우 이동부재(120)는 마운팅 프레임(170), 상하 이동부재(150) 및 접철 연결부재(130)를 지지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입체적인 단면형상을 가지는 좌우 이동 암(122)을 포함한다.
일례로, 좌우 이동 암(122)은 내부가 중공된 사각단면 또는 내부가 중공된 육각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좌우 이동 암(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0)의 전방 측에서 지지부재(110)의 전방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는데, 좌우 이동 암(122)의 후방 측은 지지부재(110)의 지지축(114)에 좌우 선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좌우 이동 암(122)의 연장단, 즉 전방 측에 인접한 상부에는 좌우 이동 암(12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도록 벽면(W)으로부터 연장된 견인 와이어(T/W)가 연결되는 견인고리(124)가 장착된다.
접철 연결부재(130)는 좌우 이동부재(120)와 상하 이동부재(150)를 연결시키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부재(150)를 좌우 이동부재(120) 양측면 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해 마운팅 프레임(170)에 설치된 용접기(W/M)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철 연결부재(130)는 좌우 이동 암(122)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 1 연결부(132) 및 제 1 연결부(132)에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제 1 연결부(132)는 후방 측이 좌우 이동 암(122)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한 판 형태의 제 1 연결판(134)과, 제 1 연결판(134)의 전방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되 상단 및 하단 측이 제 1 연결판(134)의 전방 상부 및 하부 측에 마련된 제 1 연결브라켓(136)들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연결축(138)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연결부(140)는 후방 측이 제 1 연결판(134)의 전방 측에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수직한 판 형태의 제 2 연결판(142)과, 제 2 연결판(142)의 후방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되 상단 및 하단 측이 제 2 연결판(142)의 후방 상부 및 하부 측에 마련된 제 2 연결브라켓(144)들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연결축(146)을 포함한다.
이때, 이격 배치된 제 1 연결축(138)의 상단 및 하단과 제 2 연결축(146)의 상단 및 하단 측은 각각 수평한 링크 플레이트(148)들에 의해 연결된다.
이렇게 링크 플레이트(148)들에 의해 제 1 연결부(132)에 연결된 제 2 연결부(140)는 제 1 연결부(132)의 제 1 연결축(138)을 중심으로 제 1 연결부(132)의 좌우 방향으로 선회되는데, 이에 의해 제 2 연결부(140)에 지지되는 상하 이동부재(150)는 좌우 이동부재(120)의 양측면 측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제 1 연결축(138) 및 제 2 연결축(146)을 연결하는 링크 플레이트(148)들에 의해 상하 이동부재(150)의 측면은 좌우 이동부재(120)의 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접히게 된다.
상하 이동부재(150)는 마운팅 프레임(170)을 지지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제 1 상하 이동 암(152)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을 포함한다.
제 1 상하 이동 암(152)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은 각각 좌우 한 쌍을 이루도록 제공되며, 제 1 상하 이동 암(152)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격 배치되되, 제 1 상하 이동 암(152)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은 제 2 연결판(142) 후방 측에서 제 2 연결판(142)의 전방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상하 이동 암(152)의 후방 측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의 후방 측은 서로 간섭되지 않게 제 1 상부 힌지핀(H1) 및 제 1 하부 힌지핀(h1)을 매개로 제 2 연결판(142)의 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 제 2 연결판(142)의 전방에는 제 2 연결판(142)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선회브라켓(156)이 장착된다.
그리고 제 1 상하 이동 암(152)의 전방 측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의 전방 측은 서로 간섭되지 않게 제 2 상부 힌지핀(H1) 및 제 2 하부 힌지핀(h1)을 매개로 마운팅 프레임(170)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 마운팅 프레임(170)의 후방 측에는 마운팅 프레임(170)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2 선회브라켓(158)이 장착된다.
한편, 상하 이동부재(150)는 제 1 상하 이동 암(152)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 작동시키는 통상의 전동 실린더(16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전동 실린더(160)는 전동 실린더 로드(162)를 마운팅 프레임(170) 측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선회브라켓(156)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동 실린더 로드(162)의 연장단은 제 2 상하 이동 암(154)의 하부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전동 실린더(160)가 전동 실린더 로드(162)를 신장시키면 제 1 상하 이동 암(152)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은 제 1 상부 힌지핀(H1) 및 제 1 하부 힌지핀(h1)을 중심으로 상부 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전동 실린더(160)가 전동 실린더 로드(162)를 수축시키면 제 1 상하 이동 암(152)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은 제 1 상부 힌지핀(H1) 및 제 1 하부 힌지핀(h1)을 중심으로 하부 측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마운팅 프레임(170)에 설치된 용접기(W/M)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전동 실린더(160)와 제 1 선회브라켓(156)의 연결관계 및 전동 실린더 로드(162)와 제 2 상하 이동 암(154)의 연결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하 이동부재(150)는 제 1 상하 이동 암(152)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의 상하 방향 이동 시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통상의 가스쇼바(164; 가스스프링)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스쇼바(164)는 전동 실린더(160)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로드(166)를 마운팅 프레임(170) 측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선회브라켓(156)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166)의 연장단은 제 1 상하 이동 암(152)의 하부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가스쇼바(164)와 제 1 선회브라켓(156)의 연결관계 및 피스톤 로드(166)와 제 1 상하 이동 암(152)의 연결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운팅 프레임(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직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때, 마운팅 프레임(170)의 후방 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상부 힌지핀(H2) 및 제 2 하부 힌지핀(h2)을 매개로 제 1 상하 이동 암(152)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4)이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선회브라켓(158)이 장착된다.
그리고 마운팅 프레임(170)의 전방 측에는 용접기(W/M)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마운팅 프레임(170)과 용접기(W/M)의 연결관계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용접기(W/M)가 마운팅 프레임(170)의 전방 측에 설치될 수 있다면 마운팅 프레임(170)과 용접기(W/M)는 어떠한 연결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용접기(W/M)는 용접 토치(T)와 와이어 피더(F) 일 수 있으며, 용접 토치(T) 및 와이어 피더(F)의 구성 및 이들의 연결관계 또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용접 토치(T)에 보호가스(shield gas)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호스(도시되지 않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은 좌우 이동부재(120), 접철 연결부재(130), 상하 이동부재(150)의 하부 또는 상부 또는 측면에 지지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용접 토치(T)와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의 연결관계 또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운팅 프레임(170)에는 작업자 마운팅 프레임(170)을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마운팅 프레임(170)에는 용접 토치(T)를 걸어 놓을 수 있는 고리(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100)는 용접기(W/M)와,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 등을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곳 용접 시에도 안전하게 용접자세를 잡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100)는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 등이 용접장의 바닥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업자들이 가스호스 및 전원케이블 등에 걸쳐 넘어지는 안전사고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보조장치(100)는 상하 이동부재(150)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상하 이동 암(152, 154)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마운팅 프레임(170) 및 마운팅 프레임(170)에 설치된 용접기(W/M)를 수직한 상태를 유지시키며 승강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Claims (10)

  1. 용접기가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
    상기 마운팅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재;
    상기 마운팅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재;
    상기 상하 이동부재를 상기 좌우 이동부재의 양측면 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하는 접철 연결부재; 및
    2m 높이의 용접장의 벽면에 상기 마운팅 프레임, 상기 상하 이동부재, 상기 좌우 이동부재 및 상기 접철 연결부재를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다수의 볼트를 매개로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수직한 판 형태의 지지판; 및
    상기 좌우 이동부재를 좌우로 선회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축은 상기 지지판의 전방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단 및 하단 측은 상기 지지판의 전방 상부 및 하부 측에서 마련된 지지브라켓들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좌우 이동부재와 상기 벽면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범퍼 튜브가 장착되되, 상기 범퍼 튜브의 내부에는 물과 녹말이 혼합된 점탄성체가 충전되며,
    상기 좌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전방 측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전방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좌우 이동 암;
    좌우 이송 암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 이동 암의 후방 측은 상기 지지축에 좌우 선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 이동 암의 전방 측에 인접한 상부에는 상기 벽면으로부터 연장된 견인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결부는,
    후방 측이 상기 좌우 이동 암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한 판 형태의 제 1 연결판; 및
    상기 제 1 연결판의 전방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되 상단 및 하단 측이 상기 제 1 연결판의 전방 상부 및 하부 측에 마련된 제 1 연결브라켓들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후방 측이 상기 제 1 연결판의 전방 측에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수직한 판 형태의 제 2 연결판; 및
    상기 제 2 연결판의 후방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되 상단 및 하단 측이 상기 제 2 연결판의 후방 상부 및 하부 측에 마련된 제 2 연결브라켓들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연결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연결축의 상단 및 하단과 상기 제 2 연결축의 상단 및 하단 측은 각각 수평한 링크 플레이트들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상하 이동부재는,
    상기 상기 제 2 연결판 후방 측에서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후방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1 상하 이동 암; 및
    상기 제 2 연결판의 후방 측에서 상기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후방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2 상하 이동 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하 이동 암 및 상기 제 2 상하 이동 암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하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1 상하 이동 암의 후방 측 및 상기 제 2 상하 이동 암의 후방 측은 제 1 상부 힌지핀 및 제 1 하부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제 2 연결판의 전방 측에 형성된 제 1 선회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상하 이동 암의 전방 측 및 상기 제 2 상하 이동 암의 전방 측은 제 2 상부 힌지핀 및 제 2 하부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 2 선회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 이동부재는,
    상기 제 1 상하 이동 암 및 상기 제 2 상하 이동 암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 작동시키는 전동 실린더; 및 상기 제 1 상하 이동 암 및 상기 제 2 상하 이동 암의 상하 방향 이동 시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가스쇼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동 실린더는 전동 실린더 로드를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전방 측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선회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동 실린더 로드의 연장단은 상기 제 2 상하 이동 암의 하부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스쇼바는 피스톤 로드를 상기 마운팅 프레임 측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선회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연장단은 상기 제 1 상하 이동 암의 하부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수직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후방 측에는 상기 제 2 선회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전방 측에는 용접 토치와 와이어 피더로 이루어진 상기 용접기가 설치되며,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는 작업자가 상기 마운팅 프레임을 파지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용접 토치를 걸어 놓을 수 있는 고리가 장착되는 용접 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39750A 2022-10-26 2022-10-26 용접 보조장치 KR10251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750A KR102510233B1 (ko) 2022-10-26 2022-10-26 용접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750A KR102510233B1 (ko) 2022-10-26 2022-10-26 용접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233B1 true KR102510233B1 (ko) 2023-03-15

Family

ID=8564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750A KR102510233B1 (ko) 2022-10-26 2022-10-26 용접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302B1 (ko) * 2023-02-27 2024-01-29 정동해 다관절 아암을 갖는 산업공구 취급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85A (ja) * 1994-06-28 1996-01-16 Toyota Motor Corp ロボット
KR200360861Y1 (ko) 2004-06-04 2004-09-07 주식회사 로템 용접기 와이어 피딩기의 이동장치
KR20100057564A (ko) 2010-05-04 2010-05-31 하나물류기계 주식회사 용접 보조장치
KR20140052149A (ko) 2012-10-19 2014-05-07 (주)에이원엔지니어링 용접기 지지장치
KR20160017409A (ko) 2014-08-06 2016-02-16 심명순 용접장치용 캐리어
KR102049016B1 (ko) * 2018-09-21 2019-11-27 주식회사 울트라 차체 루프용 패널의 이송장치
KR102177335B1 (ko) * 2020-06-30 2020-11-10 원동원 용접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85A (ja) * 1994-06-28 1996-01-16 Toyota Motor Corp ロボット
KR200360861Y1 (ko) 2004-06-04 2004-09-07 주식회사 로템 용접기 와이어 피딩기의 이동장치
KR20100057564A (ko) 2010-05-04 2010-05-31 하나물류기계 주식회사 용접 보조장치
KR20140052149A (ko) 2012-10-19 2014-05-07 (주)에이원엔지니어링 용접기 지지장치
KR20160017409A (ko) 2014-08-06 2016-02-16 심명순 용접장치용 캐리어
KR102049016B1 (ko) * 2018-09-21 2019-11-27 주식회사 울트라 차체 루프용 패널의 이송장치
KR102177335B1 (ko) * 2020-06-30 2020-11-10 원동원 용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302B1 (ko) * 2023-02-27 2024-01-29 정동해 다관절 아암을 갖는 산업공구 취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233B1 (ko) 용접 보조장치
US20110188982A1 (en) Working machine
KR102485124B1 (ko) 토치 회전식 가스 용접기용 용접 보조장치
JPH0741354B2 (ja) 鍛造用マニプレータ
CN204572025U (zh) 用于采矿顶板的支撑系统和地下采矿的锚杆机
CN109946695B (zh) 隧道衬砌质量检测装置和检测车辆
JPH07197466A (ja) 水中作業機械の吊下装置
CN209858728U (zh) 隧道衬砌质量检测装置和检测车辆
CN207774741U (zh) 一种带移动配重的变幅装置和高空作业平台
CN107879295A (zh) 一种带移动配重的变幅装置和高空作业平台
CN212924194U (zh) 一种汽车起重机自动扶梯
CN107814330A (zh) 一种组合型后悬架举升平台
NO180574B (no) Oppretterbenk for personbiler
CN114803816A (zh) 起升装置及作业机械
CN208218274U (zh) 半电动平衡式折叠吊机
CN202147111U (zh) 一种翻转起重机伸缩臂的链式翻转机
CN210543007U (zh) 消防车
JP2004001951A (ja) 運転室昇降機構を備えた作業機械
JP3564808B2 (ja) コンテナスプレッダ
CN214988571U (zh) 一种驾驶室位置可调节的抓料机
CN211534207U (zh) 折叠吊船装置
CN219492310U (zh) 一种拱、锚、喷一体化作业台车
CN214055265U (zh) 一种拱架夹持机械手
KR102612322B1 (ko) 4방향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CN219344694U (zh) 工作台支撑装置及锚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