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335B1 - 용접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접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7335B1 KR102177335B1 KR1020200080360A KR20200080360A KR102177335B1 KR 102177335 B1 KR102177335 B1 KR 102177335B1 KR 1020200080360 A KR1020200080360 A KR 1020200080360A KR 20200080360 A KR20200080360 A KR 20200080360A KR 102177335 B1 KR102177335 B1 KR 102177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nnection
- welding
- groove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29—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situated alongside the workpie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2—Stee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모재 사이를 용접하여 결합하는 용접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안착부의 용이한 이동을 돕는 이동부,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재의 크기나 높이에 따라 용접을 수행함에 있어서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용접(welding)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고체 사이에 직접 결합이 되도록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를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나누어 융접법과 압접법이 있다.
융접법은 접합부에 금속재료를 가열, 용융시켜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원자 결합을 재배열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아크용접, 가스용접, 테르밋용접 등이 있다. 압접법은 접합부에 외부의 강한 물리적 압력을 가해 접합하는 방법으로 가스압접이나 단접(鍛接)처럼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가열하는 방법을 특히 가열압접 또는 고온압접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압접을 사용하는 재료에는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이 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며 상온에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용접이 가능하여 냉간압접이라고 한다.
용접결과의 좋고 나쁨을 용접성이라고 하는데 이것에는 용접 시 그 대상이 되는 모재, 용접봉, 작업 조건의 모든 것이 영향을 받는다. 요즘 굉장히 두꺼운 판의 용접에 사용되고 있는 슬래그의 저항발열을 이용한 용접법인 일펙트로슬래그법(electroslag method)이나, 녹는점이 높은 재료의 용접이 가능한 전자빔용접법(electron-beammethod) 등 새로운 용접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외에도 초음파진동을 가하는 초음파용접, 정밀한 용접과 절단에 이용하는 레이저용접 등이 있다.
이러한 용접 기술은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는데, 특히, 자동차나 선박 제조 시에는 그 활용도가 높다 할 수 있다.
통상적인 용접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선박과 같이 거대한 대형 구조물을 부분적으로 용접함에 있어 모든 용접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기는 사실상 곤란하다.
즉, 용접을 위해 작업자가 피용접물 쪽으로 이동하여 피용접물 앞에 일일이 간이작업대를 설치한 다음, 용접기를 이동시켜 용접 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용접하는 과정에서 기술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각 모재의 크기와 높이에 맞추어 편리하게 용접이 가능한 용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은, 다수의 모재 사이를 용접하여 결합하는 용접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안착부의 용이한 이동을 돕는 이동부,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며 앞뒤로 구동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며 좌우로 구동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며 좌우로 구동하는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용접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평평하게 형성된 상판과 울타리와 같이 형성된 보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하이동이 가능하고, 일단 하측에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지지체; 타단이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제3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지체와 연결되는 타단의 하측에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체; 및 일단이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기 제1 지지체의 타단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체의 상하이동을 돕는 유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체가 수평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체의 타단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 탈착하여 길이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접기기는, 열을 가하여 상기 다수의 모재 사이를 용접하는 용접헤드; 상기 용접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접본체; 및 상기 용접본체와 상기 용접헤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용접본체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용접헤드로 전달하는 전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관통홈; 상기 안착부의 타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고정홈; 상기 관통홈과 상기 고정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관통체; 및 상기 고정홈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가 상기 관통체의 둘레를 따라 180도로 회전 가능한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이동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1 연결고정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2 연결고정부; 일단은 상기 제1 연결고정부와 제2 연결고정부의 지지대에 마련된 홈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고정부와 제2 연결고정부의 지지대에 마련된 홈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홈에 넉넉하게 탈착이 가능한 다수 개의 연결체; 및 네 모서리에 상기 연결체의 고정이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3 연결고정부; 상기 이동부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4 연결고정부; 및 상기 제3 연결고정부와 제4 연결고정부의 지지대에 마련된 홈보다 큰 지름을 갖되, 상기 제3 연결고정부와 제4 연결고정부의 홈이 맞닿는 부분은 상기 홈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제2 연결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모재의 크기와 높이에 맞추어 용접기계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기술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용접기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제1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제2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제3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지지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개시된 지지부의 구성 중 길이를 조정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3에 개시된 용접기기의 구성 중 일부인 전선조정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용접기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제1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제2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제3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지지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개시된 지지부의 구성 중 길이를 조정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3에 개시된 용접기기의 구성 중 일부인 전선조정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10)은 용접기기(100), 안착부(300), 지지부(500), 이동부(700) 및 고정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접기기(100)는 다수의 모재 사이를 용접하기 위하여 모재 사이에 직접 맞닿아 열을 가하는 용접 토치 등의 헤드를 포함할 수 있고, 헤드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300)는 용접기기(100)를 고정할 수 있으며, 용접기기(100)를 고정하기 위하여 평평하게 형성된 상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용접기기(100)를 보호하기 위한 울타리 등의 모양으로 형성된 보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접기기(100)는 단순히 안착부(300)의 평평하게 형성된 상판에 올려져 있을 수 있으나 못이나 자석 등 기기가 안정적으로 안착이 가능한 도구를 이용하여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안착부(300)는 타단에 연결된 지지부(50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용접기기를 이용하여 용접 시스템을 이동시키는 기술자의 편의를 위하여 좌우 180도로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지지부(500)는 안착부(300)와 이동부(700)의 사이에 다수 개의 연결체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단에 유압기를 구비할 수도 있고 길이 조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지지부(500)의 내부로 출입가능한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동부(700)는 지지부(500)와 고정부(900)의 사이에 다수 개의 연결체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지지부(500)의 좌우 이동 거리를 넓힐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도울 수 있다.
고정부(900)는 이동부(700)와 다수 개의 연결체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에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못이 관통될 수 있는 자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900)는 상술한 못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된다고 서술하였으나 그 고정 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등과 같이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10')은 용접기기(100), 안착부(300), 지지부(500), 이동부(700), 고정부(900), 제1 연결부(1000), 제2 연결부(5000) 및 제3 연결부(90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접기기(100), 안착부(300), 지지부(500), 이동부(700), 고정부(9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연결부(1000)는 안착부(300)의 타단과 지지부(500)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고, 지지부(500)의 내부로 관통할 수 있는 홈과 기둥체로 형성된 관통체를 구비하여 지지부(500)의 내부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부(5000)는 지지부(500)의 타단과 이동부(700)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고, 제3 연결부(9000)는 이동부(700)의 타단과 고정부(900)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지지부(500)와 이동부(700)의 좌우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기술자는 용접기기(100)를 보다 넓은 좌우 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용접기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용접기기(100)는 다수의 모재 사이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용접하는 용접헤드(190), 용접헤드(190)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접본체(110) 및 용접본체(110)와 용접헤드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선부(150)는 내부에 다수의 전선이 구비되어 있어 용접본체(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용접헤드(190)로 전달하여 용접헤드(190)에 발열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용접기기(100)는 전선조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용접기기(100)의 구성 중 일부인 전선조정부(13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3에 개시된 용접기기의 구성 중 일부인 전선조정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선조정부(130)는 용접본체(110)와 용접헤드(190) 사이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전선부(150)를 유용하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되어 기술자가 용접헤드(190)를 당김에 따라 수축되거나 이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3에 개시된 용접기기의 구성 중 일부인 전선조정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선조정부(130)는 제1 조정부(131), 제2 조정부(132), 제3 조정부(133), 제4 조정부(134), 자성부착부(137), 조정구동부(135) 및 조정지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조정부(130)는 기술자가 전선부(150)를 아래로 당기는 경우 조정구동부(135)가 일정 거리씩 회전 구동하여 제1 조정부(131)를 제2 조정부(132)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조정부 내지 제4 조정부(134)의 외주면에는 전선부(150)가 안착할 수 있도록 전선부(150)의 형상대로 홈이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부(150)가 원형 모양인 경우 원형 모양으로 홈이 생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전선부(150)가 사각진 모양인 경우 사각진 모양으로 홈이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조정부 내지 제4 조정부(134)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의 하단에는 전선부(150)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볼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조정부 내지 제4 조정부(134)의 외면에는 자석스티커 등의 자성을 띄게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제1 조정부 내지 제4 조정부(134)의 외면은 자성을 띌 수 있다.
제1 조정부 내지 제4 조정부(134)와 전선조정부(130)의 사이에는 스프링 등의 수축 이완이 가능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전선부(150)가 당겨짐에 따라 제1 조정부 내지 제4 조정부(134)의 사이 간격이 일시적으로 좁혀진 뒤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자성부착부(137)는 전선부(15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자성을 띄고 있어 제1 조정부 내지 제4 조정부(134)의 외주면에 자성에 의하여 탈부착될 수 있다.
한편, 전선조정부(130)는 용접기기(100)의 전선부(150)의 전선 조정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지만 용접기기(100) 또는 이 외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또는 선의 조정을 위하여 설치 및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제3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000)는 지지부(500)의 내부로 관통할 수 있도록 지지부(500)의 일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관통홈(1100), 안착부(300)의 타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고정홈(1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000)는 관통홈(1100)과 고정홈(1500) 사이에 연결되어 지지부(500)의 내부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관통체(1300) 및 고정홈(150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부(300)가 관통체(1300)의 둘레를 따라 좌우 180도로 회전 가능한 회전구동부(1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5000)는 이동부(700)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1 연결고정부(5300), 지지부(500)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2 연결고정부(5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은 제1 연결고정부(5300)와 제2 연결고정부(5700)의 지지대에 마련된 홈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1 연결고정부(5300)와 제2 연결고정부의 지지대에 마련된 홈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지지대의 홈에 넉넉하게 탈착이 가능한 다수 개의 연결체(5100)를 포함할 수 있고, 네 모서리에 연결체(5100)의 고정이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중심부(5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연결부(9000)는 고정부(900)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3 연결고정부(9300) 및 이동부(700)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4 연결고정부(9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부(9000)는 제3 연결고정부(9300)와 제4 연결고정부(9700)의 지지대에 마련된 홈보다 큰 지름을 갖되, 제3 연결고정부(9300)와 제4 연결고정부(9700)의 지지대에 마련된 홈과 맞닿는 부분은 홈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제2 연결중심부(9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개시된 용접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지지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지지부(500)는 제1 지지체(510), 제2 지지체(590) 및 유압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체(510)는 타단이 제2 연결부(50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일단의 하측에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지지체(590)는 타단이 제1 지지체(51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이 제3 연결부(9000)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지지체(510)와 연결되는 타단의 하측에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유압부(550)는 일단이 제2 연결부(5000)이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제1 지지체(510)의 타단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지지체(510)의 상하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여기서, 유압부(550)는 유압실린더 등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 또는 플런저(plunger)를 왕복 직선 운동시켜 기계적인 일을 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단 유압부(550)는 상술한 유압실린더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지지체(510)의 상하이동을 돕기 위한 장치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도 7에 개시된 지지부의 구성 중 길이를 조정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지지체(510)의 일단의 하측에 다수 개의 홀(503, 504, 50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지지체(590)의 타단의 하측에는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다수 개의 돌기(506, 507, 508)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용접 시스템(10)을 사용하는 기술자에 의해 제2 지지체(590)가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지지체(590)의 타단의 하측에 형성된 돌기(506, 507, 508)가 제1 지지체(510)의 일단의 하측에 형성된 홀(503, 504, 505)에 삽입되면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용접 시스템
100: 용접기기
300: 안착부
500: 지지부
700: 이동부
900: 고정부
1000: 제1 연결부
5000: 제2 연결부
9000: 제3 연결부
100: 용접기기
300: 안착부
500: 지지부
700: 이동부
900: 고정부
1000: 제1 연결부
5000: 제2 연결부
9000: 제3 연결부
Claims (2)
- 다수의 모재 사이를 용접하여 결합하는 용접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안착부의 용이한 이동을 돕는 이동부,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며 앞뒤로 구동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며 좌우로 구동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며 좌우로 구동하는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용접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평평하게 형성된 상판과 울타리와 같이 형성된 보호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하이동이 가능하고, 일단 하측에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지지체;
타단이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제3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지체와 연결되는 타단의 하측에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체; 및
일단이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기 제1 지지체의 타단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체의 상하이동을 돕는 유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체가 수평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체의 타단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제1 지지체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 탈착하여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용접기기는,
열을 가하여 상기 다수의 모재 사이를 용접하는 용접헤드;
상기 용접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접본체; 및
상기 용접본체와 상기 용접헤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용접본체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용접헤드로 전달하는 전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관통홈;
상기 안착부의 타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고정홈;
상기 관통홈과 상기 고정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관통체; 및
상기 고정홈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가 상기 관통체의 둘레를 따라 180도로 회전 가능한 회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이동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1 연결고정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2 연결고정부;
일단은 상기 제1 연결고정부와 제2 연결고정부의 지지대에 마련된 홈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고정부와 제2 연결고정부의 지지대에 마련된 홈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홈보다 적은 너비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홈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연결체; 및
네 모서리에 상기 연결체의 고정이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3 연결고정부;
상기 이동부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제4 연결고정부; 및
상기 제3 연결고정부와 제4 연결고정부의 지지대에 마련된 홈보다 큰 지름을 갖되, 상기 제3 연결고정부와 제4 연결고정부의 홈이 맞닿는 부분은 상기 홈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제2 연결중심부;를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360A KR102177335B1 (ko) | 2020-06-30 | 2020-06-30 | 용접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360A KR102177335B1 (ko) | 2020-06-30 | 2020-06-30 | 용접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7335B1 true KR102177335B1 (ko) | 2020-11-10 |
Family
ID=7354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0360A KR102177335B1 (ko) | 2020-06-30 | 2020-06-30 | 용접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733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0233B1 (ko) * | 2022-10-26 | 2023-03-15 | 방성출 | 용접 보조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0131A (ko) | 1997-11-17 | 1999-06-05 | 양재신 | 차체 매뉴얼 용접건의 레일구조 |
KR100249903B1 (ko) | 1995-12-15 | 2000-04-01 | 정몽규 | 작업 각도 조정장치가 부설된 용접기 |
KR100949995B1 (ko) | 2007-09-13 | 2010-03-29 | 주식회사 위너 | 무인 자동 용접기 |
KR20140052149A (ko) * | 2012-10-19 | 2014-05-07 | (주)에이원엔지니어링 | 용접기 지지장치 |
-
2020
- 2020-06-30 KR KR1020200080360A patent/KR1021773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9903B1 (ko) | 1995-12-15 | 2000-04-01 | 정몽규 | 작업 각도 조정장치가 부설된 용접기 |
KR19990040131A (ko) | 1997-11-17 | 1999-06-05 | 양재신 | 차체 매뉴얼 용접건의 레일구조 |
KR100949995B1 (ko) | 2007-09-13 | 2010-03-29 | 주식회사 위너 | 무인 자동 용접기 |
KR20140052149A (ko) * | 2012-10-19 | 2014-05-07 | (주)에이원엔지니어링 | 용접기 지지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0233B1 (ko) * | 2022-10-26 | 2023-03-15 | 방성출 | 용접 보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12484B2 (ja) | 溶接装置 | |
JP3538419B2 (ja) | 摩擦撹拌接合装置 | |
US2003006686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layers of materials | |
WO2014140730A2 (en) | Camera and wire feed solution for orbital welder system | |
KR102177335B1 (ko) | 용접 시스템 | |
KR20120129516A (ko) | 진동스폿용접기 및 진동스폿용접방법 | |
US20200384569A1 (en) | Joining process for neutron absorbing materials | |
JP2011194464A (ja) | スポット溶接方法及びスポット溶接装置 | |
KR20160071483A (ko) | 하이브리드 마찰교반에 의한 박판 철강소재의 접합방법 | |
KR100866650B1 (ko) | 전기저항용접기 | |
JP4409953B2 (ja) | 溶接材料及びキャリヤを用いない方法 | |
JP7040330B2 (ja) |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 |
JP2009090353A (ja) | スタッド溶接装置 | |
US665187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ssembling joined layers | |
KR102188780B1 (ko) | 용접시스템 | |
JP2021062409A (ja) | 摩擦攪拌点接合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 |
JP2022530484A (ja) | 摩擦電流接合方法および摩擦電流接合装置 | |
JP2021504141A (ja) | 摩擦撹拌溶接システムにおいて溶接ショルダの溶接方向を実質的に遅延なく変更する装置及び方法 | |
KR101752171B1 (ko) | 진동 스폿 용접 장치 | |
JPH1133737A (ja) | 被溶接物及びその溶接方法 | |
KR101734058B1 (ko) | 진동 스폿 용접용 전극 유닛 | |
KR20170074025A (ko) | 스폿 용접 장치 | |
JPH0976082A (ja) | 交差棒鋼の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 | |
KR101705551B1 (ko) | 용접건 일체형 차체부품 용접 지그장치 | |
CN115519234B (zh) | 一种超声振动辅助熔焊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