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650B1 - 전기저항용접기 - Google Patents

전기저항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650B1
KR100866650B1 KR1020070084609A KR20070084609A KR100866650B1 KR 100866650 B1 KR100866650 B1 KR 100866650B1 KR 1020070084609 A KR1020070084609 A KR 1020070084609A KR 20070084609 A KR20070084609 A KR 20070084609A KR 100866650 B1 KR100866650 B1 KR 10086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jig
pressurized
pressu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찬
이상춘
Original Assignee
조현찬
이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찬, 이상춘 filed Critical 조현찬
Priority to KR102007008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650B1/ko
Priority to PCT/KR2008/004929 priority patent/WO2009025530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5Monitoring devices
    • B23K11/252Monitoring devices using digital means
    • B23K11/253Monitoring devices using digital means the measured parameter being a displacement or a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5Monitoring devices
    • B23K11/252Monitoring devices using digital means
    • B23K11/258Monitoring devices using digital means the measured parameter being a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09Pressur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13Method or apparatus with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저항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대를 중앙에 설치한 몸체의 하부에 발판부를 형성하고, 발판부의 하부로 몸체를 이송하는 이송바퀴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용접대 중앙에 형성된 용접베이스의 상부에 가압축고정부를 구비한 용접지지구를 형성하고, 용접지지구의 일측으로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형성한 용접고정부와, 상기 용접고정부의 상부에 가압축고정부로 고정된 가압축으로 지지되는 가압몸체를 형성하고, 가압몸체의 일측으로 가압실린더를 형성하며, 가압몸체의 하부에 가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이송 가압하는 가압고정구를 형성하고, 가압고정구의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가압전원부를 형성한 가압부와, 상기 용접고정부의 용접지지구의 전면으로 고정지그를 고정지그체결구로 체결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고정지그고정구를 형성하고, 가압고정구의 일측으로 고정지그에 합형되는 위치의 상부에 가압지그를 가압지그체결구로 체결 구비한 가압지그고정구를 형성한 지그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용접고정부의 전원연결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지그부의 가압전원부에 공급하여 가압에 의해 접촉부분에 전원을 공급하여 접촉열에 의해 접합하도록 형성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전기저항용접기, 몸체부, 용접대, 가압지그, 고정지그, 가압실린더

Description

전기저항용접기 {electric resistance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전기저항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은 용접 (鎔接, welding)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고체 사이에 직접 결합이 되도록 접합시키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를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나누어 융접법과 압접법이 있다. 융접법은 접합부에 금속재료를 가열, 용융시켜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원자 결합을 재배열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아크용접, 가스용접, 테르밋용접 등이 있다. 압접법은 접합부에 외부의 강한 물리적 압력을 가해 접합하는 방법으로 가스압접이나 단접(鍛接)처럼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가열하는 방법을 특히 가열압접 또는 고온압접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압접을 사용하는 재료에는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이 연성(延性)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며 상온에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용접이 가능하여 냉간압접(冷間壓接)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용접 방법 중에 금, 은 과 같은 귀금속을 용접하는 경우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아크용접을 실시하면 용융점이 낮은 연질의 귀금속이 고온과 고압의 아크열에 의해 열손상이 발생하여 아크용접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을 땜질하는 솔더(solder) 용접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용접대상물을 일차로 가열한 상태에서 접착부위에 용접첨가물을 도포하여 용접할 용접대상물을 접착한 상태에서 가압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큰힘을 가하면 용접첨가물이 외부로 누출되어 제거하여야 하는 이차작업이 필요하고, 작은 힘으로 가압하면 결합부위가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지 못하고, 결합틈새가 형성되어 분리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솔더 용접방법은 귀금속에 용접첨가물을 첨가하여 용접 접합함에 따라 귀금속에 다른 물질이 혼입되어 귀금속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스용접의 불꽃을 이용하여 용접 접합되는 용접대상물을 고열로 가열하여 접합부분을 용융한 상태에서 접합을 실시하여 용접되는 귀금속 자체를 용융시켜 접합함에 따라 다른 물질의 혼입이 없어 귀금속의 가치를 상승되고, 용융 접합됨에 따라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스용접 방법은 고온으로 용융 시에 연질의 귀금속의 표면이 변색되어 이차로 가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스용접의 불꽃의 취급이 어려움에 따라 높은 숙련도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생산속도가 현저히 증대되고,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귀금속을 용융한 상태로 접합하는 것으로 고가의 귀금속이 용융되어 소실됨에 따라 가공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용접할 물제에 전류를 통하여 접촉부에 발생되는 전기 저항열로서 모재를 용융 상태로 만들고 외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용접하는 전기저항용접법을 이용하여 귀금속을 접합하는 용접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전기저항용접법은 아크 용접에 비하여 많은 전류를 단시간에 흐르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밀한 제어장치가 요구되며 용접 온도는 아크 온도보다 저온이고 작업속도가 빠르고 용접 부분의 안정성이 크다.
전기 저항 용접의 열원은 저항 발열과 방산열의 차이로써 얻어지므로 열전도율이 좋은 모재는 열이 전달되기 쉽고 또한 접촉부가 냉각되어 많은 전류를 짧은 시간 내에 흐르게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유 전기 저항이 크고 열전도율이 작으며 용융점은 낮고 또한 소성 구역 온도 범위가 넓은 금속일수록 저항 용접이 쉽다. 조작은 거의 기계적이고 다른 용접법처럼 사람의 기능의 우열에 영향이 적고 또한 용접에 필요한 시간도 적으므로 대량 생산에 적당하다. 현재 전기 저항 용접법은 금속 아크 용접법에 이어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자동차 비행기 공업은 물론 제관 공업 기타 방면에도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의 저항에 의해 접촉부분을 낮은 열로 접합하는 것으로 연질의 용융점이 낮은 귀금속을 접합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용접방법으로 귀금속의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접합강도를 향상시키고, 열변형을 최소화 하며, 인건비를 축소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그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용접대상물을 지그부에 안치한 상태로 가압실린더로 가압하면서 각 지그에 전원을 공급 시켜 통전에 의해 가압된 용접대상물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용융 접합됨에 따라 가압실린더로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가압으로 접합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는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대를 중앙에 설치한 몸체의 하부에 발판부를 형성하고, 발판부의 하부로 몸체를 이송하는 이송바퀴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용접대 중앙에 형성된 용접베이스의 상부에 가압축고정부를 구비한 용접지지구를 형성하고, 용접지지구의 일측으로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형성한 용접고정부와, 상기 용접고정부의 상부에 가압축고정부로 고정된 가압축으로 지지되는 가압몸체를 형성하고, 가압몸체의 일측으로 가압실린더를 형성하며, 가압몸체의 하부에 가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이송 가압하는 가압고정구를 형성하고, 가압고정구의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가압전원부를 형성한 가압부와, 상기 용접고정부의 용접지지구의 전면으로 고정지그를 고정지그체결구로 체결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고정지그고정구를 형성하고, 가압고정구의 일측으로 고정지그에 합형되는 위치의 상부에 가압지그를 가압지그체결구로 체결 구비한 가압지그고정구를 형성한 지그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용접고정부의 전원연결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지그부의 가압전원부에 공급하여 가압에 의해 접촉부분에 전원을 공급하여 접촉열에 의해 접합하도록 형성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가압몸체의 내측으로 가압실린더의 작동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블럭을 가압고정구와 결합되어 가압실린더의 작동으로 가압블럭을 가압시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가압지그를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접촉부분의 전기저항으로 발생되는 접합열로 인하여 가압접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가압몸체의 상부 일측으로 가압블럭에 결합되어 가압되는 깊이를 외부에 표시하는 가압깊이측정구를 형성하여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고정지그에 안치된 용접대상물에 가압되는 가압지그의 가압깊이를 측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몸체부의 일측으로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제어스위치로 전압을 제어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스위치를 형성하고, 전원공급스위치에 일측으로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부를 형성하며, 몸체부의 발판부 일측으로 전원을 제어하는 발판스위치를 형성하여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전압을 조절하면서 발판스위치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는 용접대상물을 지그부에 안치한 상태로 가압실린더로 가압하면서 각 지그에 전원을 공급 시켜 통전에 의해 가압된 용접대상물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용융 접합됨에 따라 가압실린더로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가압으로 접합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는 몸체부의 중앙으로 용접대를 형성하고, 몸체부의 하부에 이송바퀴를 구비함으로써, 이송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구비된 용접대에서 용이하게 작업하도록 구성하여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는 몸체부의 용접대 상부에 전원연결부를 구비한 용접지지구를 형성한 용접베이스를 형성하고, 용접지지구에 용접대상물이 안치되는 고정지그를 고정지체결구로 체결고정한 고정지그고정구를 형성하여 전원연결부의 전원이 용접대상물이 안치된 고정지그 측으로 인가되도록 형성하며, 용접베이스의 상부로 가압부의 가압실린더로 가압하면서 가압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가압고정구에 가압지그체결구로 체결된 가압지그로 용접대상물을 안치한 상태로 가압실린더를 동작시키면 제어부에서 설정된 전압이 인가된 가압지그와 고정지그와 합형되면서 접촉부분에 전기저항에 의한 열이 발생하여 접합함에 따라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접합됨에 따라 가압압력이 일정하여 유지되어 접합효율을 향상시키고, 가압실린더의 가압력에 의해 접함됨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가 필요하지 않음에 따라 인건비를 축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는 전원이 인가되는 고정지그에 용접대상물을 안치한 상태에서 가압실린더의 작동의 의해 합형되어 가압되는 가압지그 측으로 고정지그에 안치된 용접대상물에 접합되는 용접대상물을 안치한 상태에서 가압실린더로 가압하면 용접대상물의 접합면으로 인가된 전원으로 저항열이 발생하여 용융접합 됨에 따라, 용접대상물 자체가 용융되어 접합되어 다른 물질의 혼입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의 혼입에 따른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는 고정지그에 용접대상물을 안치한 상태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가압하여 접합시키도록 접합 용접대상물을 안치한 가압지그를 작동시키는 가압실린더를 가압블럭에 결합한 상태로 가압지그를 순차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가압지그를 전원이 인가되도록 고정지그에 일차적으로 가압하여 접촉에 의한 접촉열을 발생하여 용융되면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가압블럭을 가압시켜 접촉된 용접대상물을 가압하여 접합시켜 순차적인 가압에 따라 접합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는 용접대상물을 가압하는 가압실린더가 설치된 가압부의 가압몸체의 중앙으로 가압깊이측정구를 형성하여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가압되는 깊이를 외부에 표시하면서 가압함으로써, 가압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가압에 따른 접합효율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는 용접대상물을 접합시키도록 고정지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구와 가압지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가압전원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여 접합시키는 제어부는 전압표시부로 접합전압을 표시하면서 전압제어스위치로 공급전압을 제어하고, 전압공급스위치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며, 발판스위치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함에 따라 발판스위치를 사용자의 발로 제어하여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과도한 전압에 의한 용접대상물의 과열을 방지하여 접합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는 제어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통전하도록 연결한 고정지그와 가압지그에 용접대상물을 안치한 상태에서 가압지그를 가압실린 더로 가압하여 접촉부분에서 발생되는 저항열로 인해 용융되어 접합시킴에 따라 인가된 전원으로 접촉부분에 가압실린더의 가압력에 의해 접합시킴에 따라 접합효율을 증대시키고, 가압력을 용접대상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저항용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저항용접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저항용접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저항용접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저항용접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100)는 용접대(112)를 구비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용접대(112) 상부에 용접베이스(121)를 형성한 용접고정부(120)와, 상기 용접고정부(120)의 상부에 가압실린더(132)를 형성한 가압부(130)와, 상기 용접고정부(120)에 용접대상물(1)이 안치 되는 고정지그(141)를 형성하고, 가압부(130)의 가압지그(144)를 형성한 지그부(14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면서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대(112)를 중앙에 설치한 몸체(111)의 하부에 발판부(113)를 형성하고, 발판부(113)의 하부로 몸체(111)를 이송하는 이송바퀴(114)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용접고정부(120)는 몸체부(110)의 용접대(112) 중앙에 형성된 용접베이스(121)의 상부에 가압축고정부(123)를 구비한 용접지지구(122)를 형성하고, 용접지지구(122)의 일측으로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124)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압부(130)는 용접고정부(120)의 상부에 가압축고정부(123)로 고정된 가압축(133)으로 지지되는 가압몸체(111)를 형성하고, 가압몸체(111)의 일측으로 가압실린더(132)를 형성하며, 가압몸체(111)의 하부에 가압실린더(132)의 작동으로 이송 가압하는 가압고정구(134)를 형성하고, 가압고정구(134)의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가압전원부(13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가압부(130)는 가압몸체(111)의 내측으로 가압실린더(132)의 작동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블럭(136)을 가압고정구(134)와 결합되어 가압실린더(132)의 작동으로 가압블럭(136)을 가압시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가압지그(144)를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접촉부분의 전기저항으로 발생되는 접합열로 인하여 가압 접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부(130)는 가압몸체(111)의 상부 일측으로 가압블럭(136)에 결합 되어 가압되는 깊이를 외부에 표시하는 가압깊이측정구(137)를 형성하여 가압실린더(132)의 작동에 의해 고정지그(141)에 안치된 용접대상물에 가압되는 가압지그(144)의 가압깊이를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그부(140)는 용접고정부(120)의 용접지지구(122)의 전면으로 고정지그(141)를 고정지그체결구(143)로 체결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고정지그고정구(142)를 형성하고, 가압고정구(134)의 일측으로 고정지그(141)에 합형되는 위치의 상부에 가압지그(144)를 가압지그체결구(146)로 체결 구비한 가압지그고정구(14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몸체부(110)의 일측으로 용접고정부(120)의 전원연결부(124)에 전원을 공급하고 지그부(140)의 가압전원부(135)에 공급하여 가압에 의해 접촉부분에 전원을 공급하여 접촉열에 의해 접합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몸체부(110)의 일측으로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제어스위치(152)로 전압을 제어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스위치(151)를 형성하고, 전원공급스위치(151)에 일측으로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부(153)를 형성하며, 몸체부(110)의 발판부(113) 일측으로 전원을 제어하는 발판스위치(154)를 형성하여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전압을 조절하면서 발판스위치(154)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저항용접기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기의 몸체부(110)를 하부에 형성된 이송바 퀴(114)를 이용하여 몸체부(110)를 이송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접합할 모재인 용접대상물(1)에 일측으로 용접대(112)의 상부에 용접고정부(120)의 용접지지구(122)에 지지된 고정지그고정구(142) 측으로 고정지그체결구(143)로 체결된 고정지그(141)에 안치 시킨다.
이렇게, 고정지그(141)에 용접대상물(1)의 일측을 안치한 상태에서 용접고정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연결부(124)에 전원을 연결하여 용접베이스(121)를 통해 용접지지구(122)에 고정된 고정지그(141)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지그(141)에 용접대상물(1)의 일측을 안치한 상태에서 용접고정부(120)에 가압축(133)으로 지지된 가압실린더(132)가 구비된 가압몸체(111)의 하부에 형성된 가압고정구(134)에 가압지그(144)를 가압지그체결구(146)로 체결한 가압지그고정구(145)를 형성하고, 가압지그(144)에 용접으로 접합할 용접대상물(1)의 타측을 안치시킨다.
이렇게, 가압지그(144)에 용접대상물(1)의 타측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가압지그(144)에 통전되도록 가압고정구(134)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전원부(135)에 전원을 연결하여 가압지그고정구(145)를 통하여 가압지그(144)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지그(141)와 가압지그(144)에 용접접합될 용접대상물(1)을 안치한 상태에서 제어부(150)의 전원공급스위치(151)를 작동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공급된 전원의 전압을 전압제어스위치(152)를 통하여 전압표시부(153)로 전압의 강도를 표시하면서 제어 조절한 상태로 전원연결부(124)와 가압전원부(135)로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때, 몸체부(110)의 하부에 발판부(113) 측으로 발판스위치(154)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발판스위치(154)를 밟아서 작동을 제어함에 따라 비상시나 과전압공급 및 과열에 따른 이상 작동을 제어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가압실린더(132)를 작동시키면 가압지그(144)가 고정지그(141) 측으로 합형되면서 용접대상물(1)의 접합부분으로 접촉되고, 접촉된 접합부분에 통전되면서 조절된 전압에 따라 저항열이 발생되어 용융이 시작된다.
상기와 같이, 용접대상물(1)을 저항열에 의해 접합되도록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압몸체(111)의 형성된 가압깊이측정구(137)에서 가압깊이를 측정하면서 가압블럭(136)이 구비된 가압실린더(132)를 작동시켜 순차적으로 가압력을 상승하여 접합강도를 증대시킨다.
이렇게, 용융접합이 완료되면 가압실린더(132)를 작동시켜 고정지그(141)에 합형된 가압지그(144)를 이송하여 접합완료된 용접대상물(1)을 취출하여 용접을 완료한다.
따라서, 용접대상물(1)을 지그부(140)에 고정한 상태에서 통전시켜 가압실린더(132)로 가압한 상태로 접합함에 따라 접합 시에 다른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용접대상물 자체를 용융 접합시키고, 전기저항에 의해 저온으로 접합부분만 용융됨으로써, 용접대상물(1)의 이차가공이 소용되지 않고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용접접합 품질을 향상시키며, 가압실린더(132)의 작동에 의해 가압함에 따라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접합강도를 향상하고, 작업자가 가압실린더(132)의 작동에 의해 접합함에 따라 숙련도가 필요하지 않음에 따라 인건비를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가압수단으로 가압실린더(132)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가압수단은 이미 알려진 여러 가지 구성( 예를 들면 모터를 이용하여 가압한다거나, 레크와 피니언과 같은 기어장치를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되는 가압수단)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저항용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저항용접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저항용접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저항용접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저항용접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접기 110 : 몸체부
111 : 몸체 112 : 용접대
113 : 발판부 114 : 이송바퀴
120 : 용접고정부 121 : 용접베이스
122 : 용접지지구 123 : 가압축고정부
124 : 전원연결부 130 : 가압부
131 : 가압몸체 132 : 가압실린더
133 : 가압축 134 : 가압고정구
135 : 가압전원부 136 : 가압블럭
137 : 가압깊이측정구 140 : 지그부
141 : 고정지그 142 : 고정지그고정구
143 : 고정지그체결구 144 : 가압지그
145 : 가압지그고정구 146 : 가압지그체결구
150 : 제어부 151 : 전원공급스위치
152 : 전압제어스위치 153 : 전압표시부
154 : 발판스위치

Claims (4)

  1.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대를 중앙에 설치한 몸체의 하부에 발판부를 형성하고, 발판부의 하부로 몸체를 이송하는 이송바퀴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용접대 중앙에 형성된 용접베이스의 상부에 가압축고정부를 구비한 용접지지구를 형성하고, 용접지지구의 일측으로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형성한 용접고정부와,
    상기 용접고정부의 상부에 가압축고정부로 고정된 가압축으로 지지되는 가압몸체를 형성하고, 가압몸체의 일측으로 가압실린더를 형성하며, 가압몸체의 하부에 가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이송 가압하는 가압고정구를 형성하고, 가압고정구의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가압전원부를 형성한 가압부와,
    상기 용접고정부의 용접지지구의 전면으로 고정지그를 고정지그체결구로 체결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고정지그고정구를 형성하고, 가압고정구의 일측으로 고정지그에 합형되는 위치의 상부에 가압지그를 가압지그체결구로 체결 구비한 가압지그고정구를 형성한 지그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용접고정부의 전원연결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지그부의 가압전원부에 공급하여 가압에 의해 접촉부분에 전원을 공급하여 접촉열에 의해 접합하도록 형성한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가압몸체의 내측으로 가압실린더의 작동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블럭을 가압고정구와 결합되어 가압실린더의 작동으로 가압블럭을 가압시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가압지그를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접촉부분의 전기저항으로 발생되는 접합열로 인하여 가압접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항용접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가압몸체의 상부 일측으로 가압블럭에 결합되어 가압되는 깊이를 외부에 표시하는 가압깊이측정구를 형성하여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고정지그에 안치된 용접대상물에 가압되는 가압지그의 가압깊이를 측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항용접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몸체부의 일측으로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제어스위치로 전압을 제어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스위치를 형성하고, 전원공급스위치에 일측으로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부를 형성하며, 몸체부의 발판부 일측으로 전원을 제어하는 발판스위치를 형성하여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전압을 조절하면서 발판스위치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항용접기.
KR1020070084609A 2007-08-22 2007-08-22 전기저항용접기 KR10086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609A KR100866650B1 (ko) 2007-08-22 2007-08-22 전기저항용접기
PCT/KR2008/004929 WO2009025530A2 (en) 2007-08-22 2008-08-22 Electric resistance wel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609A KR100866650B1 (ko) 2007-08-22 2007-08-22 전기저항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650B1 true KR100866650B1 (ko) 2008-11-04

Family

ID=4028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609A KR100866650B1 (ko) 2007-08-22 2007-08-22 전기저항용접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6650B1 (ko)
WO (1) WO200902553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589B1 (ko) * 2021-05-17 2021-09-16 아시아기계기술 주식회사 전기저항 용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9737A (zh) * 2012-10-19 2014-05-07 张欢 电阻电焊机
CN103769734A (zh) * 2012-10-19 2014-05-07 张欢 电阻电焊机
CN103769735A (zh) * 2012-10-19 2014-05-07 张欢 电阻电焊机
CN103769738A (zh) * 2012-10-19 2014-05-07 张欢 电阻电焊机
CN103769736A (zh) * 2012-10-19 2014-05-07 张欢 电阻电焊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18A (ja) * 1996-03-26 1998-01-13 Dengensha Mfg Co Ltd 抵抗スポット溶接機
JP2003205371A (ja) * 2002-01-15 2003-07-22 Miyachi Technos Corp 接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589B1 (ko) * 2021-05-17 2021-09-16 아시아기계기술 주식회사 전기저항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5530A2 (en) 2009-02-26
WO2009025530A3 (en)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650B1 (ko) 전기저항용접기
JP6113087B2 (ja) Tig溶接装置
US4529115A (en) Thermally assisted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and process
CN201693266U (zh) 电阻热与超声振动复合加热钎焊设备
JP2011194464A (ja) スポット溶接方法及びスポット溶接装置
CN109396694A (zh) 用于螺纹紧固件焊接并通过光束定位的工件及其制作方法
JP2012183552A (ja) ヒータチップ及び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CN102665995A (zh) 电阻焊接方法、电阻焊接件及电阻焊接机控制装置;电阻焊接评估方法及电阻焊接评估程序
CN102784988A (zh) 一种辅助振动感应钎焊的方法
JP6285724B2 (ja) 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
JP6259341B2 (ja) 接合装置
KR200449772Y1 (ko) 휴대용 용접 와이어의 이음장치
KR20220002382A (ko) 마찰전류 접합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302343B2 (ja) Tig溶接装置及びtig溶接方法
CN209077987U (zh) 音频器件焊接装置
JP6393066B2 (ja) Tig溶接方法及びtig溶接装置
JP2006281278A (ja) 抵抗溶接法
JP5778942B2 (ja) 片側スポット溶接装置
JPH1110351A (ja) 抵抗溶接装置
CN103464907B (zh) 薄板热自压连接方法
CN213163819U (zh) 一种机械加工焊接装置
KR20210079006A (ko) 프로젝션 용접 장치
JP2787838B2 (ja) ロウ付方法とその装置
CN219767058U (zh) 发电机定子线棒电接头电阻焊接装置
CN218799780U (zh) 一种适应于复杂曲面安装的传感器支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