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771B1 -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771B1
KR102509771B1 KR1020210138711A KR20210138711A KR102509771B1 KR 102509771 B1 KR102509771 B1 KR 102509771B1 KR 1020210138711 A KR1020210138711 A KR 1020210138711A KR 20210138711 A KR20210138711 A KR 20210138711A KR 102509771 B1 KR102509771 B1 KR 102509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pedal
semi
cruising
autonomous driving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복
Original Assignee
심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복 filed Critical 심재복
Priority to KR102021013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K2370/17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크루즈 운전 및 반자율 주행 등 운전자의 직접적인 페달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순간에는 기존 차량들에 적용되어 있는 오토 홀드와 유사하게 페달에 일정 수준의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를 수행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으로부터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수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의 속도를 운전자에 의해 셋팅된 속도로 자동으로 조정하는 동시에 가속 페달 홀딩 신호 및 페달 홀딩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컨트롤 유닛; 엔진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가속 페달 홀딩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속 페달의 위치를 홀딩시키는 가속 페달 홀딩 유닛; 및 엔진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페달 홀딩 표시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속 페달의 홀딩 상태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Accelerator pedal holding device for smart cruising and semi-autonomous driv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25년 이후 제네시스 및 아우디 등 주요 자동차 제조사에서 내연기관 자동차를 단종시키고 전기차만 양산하고 대부분의 자동차 제조사에서 전기차를 출시하는 등 전기차의 시대가 도래한다.
전기차 부분의 선두주자인 테슬라의 반자율주행 기능과 더불어 자동차 구매자들의 전기차에 대한 첨단 기능 특히 스마트 혹은 어댑티브 스마트 크루즈와 반자율 주행 및 자율주행(증강현실 네비게이션 기반등 포함)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현재 반자율 주행 및 스마트 크루즈 시에도 운전자는 핸들을 잡고 발은 가속 페달 또는 제동 페달을 밟을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반자율 주행 시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오른쪽 발의 위치는 가속 페달 또는 제동 페달 위거나 그 앞 빈공간이다.
가속 페달 혹은 제동 페달 위에 발을 두는 경우, 발을 편하게 두면 발의 무게 때문에 페달이 조작되어 크루즈가 풀리거나 예상치 못한 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다. 이에 발목과 다리에 힘을 주어 살짝 대고 있어야 하기에 직접 페달을 조작하지 않는 반자율 주행 시에도 발목 등에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가 있다.
페달 앞 빈공간에 발을 두는 경우 발은 편히 둘수 있으나 유사시 페달 조작이 필요한 순간에 잘못된 페달의 조작 혹은 조작을 실패하거나 늦게 조작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루즈 운전 및 반자율 주행 등 운전자의 직접적인 페달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순간에는 기존 차량들에 적용되어 있는 오토 홀드와 유사하게 페달에 일정 수준의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루즈 운전 시 편하게 발을 페달에 내려두고 조작이 필요한 순간 힘을 주면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운전 피로도 감소 및 유사시 페달 조작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재 가속 페달 우측에 센터 콘솔에서부터 내려오는 벽이 있으나 이 부분에 여유 공간을 마련하고 페달 등과 유사한 각도의 풋레스트를 설치하여 발 뒤꿈치는 페달 조작시와 같은 위치에 두되 발 바닥은 풋레스트에 두어 편안하게 발을 내려 놓음과 동시에 유사시에 페달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는 차량의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를 수행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으로부터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수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의 속도를 운전자에 의해 셋팅된 속도로 자동으로 조정하는 동시에 가속 페달 홀딩 신호 및 페달 홀딩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컨트롤 유닛; 엔진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가속 페달 홀딩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속 페달의 위치를 홀딩시키는 가속 페달 홀딩 유닛; 및 엔진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페달 홀딩 표시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속 페달의 홀딩 상태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는 가속 페달의 일측에 위치된 센터 콘솔의 측벽; 측벽에 내부로 함몰되어 발이 들어 갈 수 있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어 발을 위치시킬 수 있는 풋레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풋레스트의 설치 각도는 가속 페달의 설치 각도 대비 -10도 내지 +10도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는 가속 페달의 밟아진 압력을 센싱하여 엔진 제어 유닛에 출력하는 가속 페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엔진 컨트롤 유닛은 가속 페달 센서로부터 센싱된 가속 페달의 밟아진 압력이 기준값보다 크면 가속 페달 홀딩 유닛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에 의한 셋팅 속도와 가속 페달의 기준값은 비례할 수 있다.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에 의해 셋팅 속도가 증가하면 가속 페달의 기준값도 증가할 수 있고,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에 의해 셋팅 속도가 감소하면 가속 페달의 기준값도 감소할 수 있다.
엔진 컨트롤 유닛은 가속 페달의 홀딩이 종료된 후에도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엔진 컨트롤 유닛은 가속 페달의 홀딩이 종료된 후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루즈 운전 및 반자율 주행 등 운전자의 직접적인 페달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순간에는 기존 차량들에 적용되어 있는 오토 홀드와 유사하게 페달에 일정 수준의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루즈 운전 시 편하게 발을 페달에 내려두고 조작이 필요한 순간 힘을 주면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운전 피로도 감소 및 유사시 페달 조작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 가속 페달 우측에 센터 콘솔에서부터 내려오는 벽이 있으나 이 부분에 여유 공간을 마련하고 페달 등과 유사한 각도의 풋레스트를 설치하여 발 뒤꿈치는 페달 조작시와 같은 위치에 두되 발 바닥은 풋레스트에 두어 편안하게 발을 내려 놓음과 동시에 유사시에 페달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동작 중 센터 콘솔 벽에 마련된 풋레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CU(Engine Control Unit),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ECU, ESC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ECU, ESC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ECU, ESC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ECU, ESC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100)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 속도 센서(120), 가속 페달 센서(130), ECU(140), 클러스터(150),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ESC(170), 제동 유닛(180) 및 제동 램프(1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은 내연 기관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은 차량의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를 수행하도록 관련 전기적 신호를 ECU(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은 크루즈 스위치(111) 및 속도 조절 스위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크루즈 스위치(111)는 운전자에 의해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을 시작하도록 하거나 또는 종료하도록 하며, 관련 전기적 신호를 ECU(140)에 출력할 수 있다. 속도 조절 스위치(112)는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원하는 크루즈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며, 관련 전기적 신호를 ECU(140)에 출력할 수 있다.
속도 센서(120)는 차량의 속도를 센싱하여 ECU(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속도 센서(120)는 엔진에 설치되거나 또는 바퀴에 설치되어, 차량의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가속 페달 센서(130)는 운전자에 의해 밟혀진 가속 페달(205)의 압력, 각도 및/또는 세기를 센싱하여 ECU(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가속 페달 센서(130)는 가속 페달(205)의 후단에 설치됨으로써, 가속 페달(205)의 밟아진 압력, 각도 및/또는 세기를 센싱하고, 이를 ECU(140)에 출력할 수 있다.
ECU(140)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 속도 센서(120) 및 가속 페달 센서(13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정해진 로직대로 전기적 신호를 클러스터(150),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 및/또는 ESC(170) 등에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ECU(140)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으로부터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수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의 속도를 운전자에 의해 셋팅된 속도로 자동으로 조정하는 동시에 가속 페달 홀딩 신호 및 페달 홀딩 표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ECU(140)는 내연 기관에 제공되는연료량 및 공기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전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클러스터(150)는 ECU(140)로부터 페달 홀딩 표시 신호를 입력받아 가속 페달의 홀딩 상태를 운전자에게 표시한다. 일부 예들에서, 클러스터(150)는 차량 속도 및 엔진 회전수 등을 표시하는 운전자 전방의 대시 보드이거나 또는 맵이나 네비게이션 등을 표시하는 운전자 전방 측부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은 ECU(140)로부터 가속 페달 홀딩 신호를 입력받아 가속 페달의 위치를 오토 홀딩시킨다. 일부 예들에서,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이 구현될 경우, 이는 가속 페달의 후단에 가속 페달의 밟아지는 각도를 구속하는 메카니즘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이 구현될 경우, 이는 이미 존재하는 가속 페달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가속 페달의 밟아진 각도, 압력 및/또는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가속 페달의 밟아진 각도, 압력 및/또는 세기에 관련된 전기적 신호를 ECU(140)가 입력받아도, ECU(140)가 상기 전기적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ECU(140)는 가속 페달 센서(130)로부터 센싱된 가속 페달의 밟아진 압력, 세기 및/또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클 경우,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에 의한 셋팅 속도와 가속 페달의 기준값은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ECU(140)의 메모리는 셋팅 속도에 비례하는 기준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에 의해 셋팅 속도가 증가하면 가속 페달의 기준값도 증가하고,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에 의해 셋팅 속도가 감소하면 가속 페달의 기준값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크루징 속도가 셋팅되어 차량이 움직일 경우 크루징을 해제하고 더 가속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크게 가속 페달을 밟아야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크루징 속도가 셋팅되어 차량이 움직일 경우 크루징을 해제하고 더 가속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게 가속 페달을 밟아도 된다.
일부 예들에서,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에 의한 셋팅 속도와 가속 페달의 기준값은 비례하지 않고 고정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ECU(140)는 가속 페달의 홀딩이 종료된 후에도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도록 엔진 또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ECU(140)는 가속 페달의 홀딩이 종료된 후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도 종료하여 엔진 또는 모터가 운전자에 의한 가속 페달 및 제동 페달과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이 동작한다고 해도 내리막길 등에서 차량의 속도가 셋팅된 크루징 속도보다 가속될 수 있다. 이때, ECU(140)는 속도 센서(120)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 속도가 크루징 셋팅 속도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연료량/공기량을 감소시키는(또는 모터 속도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ESC(170)에 쿠루징 셋팅 속도를 전송하여 차량이 크루징 셋팅 속도까지 감속되도록 한다. 일부 예들에서, ESC(170)는 원하는 속도로 차량이 감속되도록 제동 유닛(180)에 제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동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제동 램프(190)에 제동 신호를 출력하여 후방 차량이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내연 기관 차량일 경우, 제동 유닛(180)은 유압 브레이크 메카니즘일 수 있고,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차량일 경우 제동 유닛(180)은 회생 제동 발전기 유닛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제어의 주체는 ECU(140)이다.
ECU(140)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으로부터 스마트 크르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 수행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
ECU(140)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으로부터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수행 신호가 입력되면,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이 가속 페달을 오토 홀딩하도록 한다(S2).
또한, ECU(140)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110)으로부터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수행 신호가 입력되면, 클러스터(1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클러스터(150)에 가속 페달이 오토 홀딩 중임을 표시하도록 한다(S3)
ECU(140)는 가속 페달 센서(130)를 통해 가속 페달(205)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S4).
일부 예들에서, 가속 페달(205)의 조작 신호는 운전자에 의해 밟혀진 가속 페달(205)의 압력, 세기 및/또는 각도일 수 있다.
ECU(140)는 운전자에 의해 밟혀진 가속 페달 센서(130)의 센싱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에 제어 신호(해제 신호)를 출력하여 가속 페달(205)의 홀딩이 종료되도록 한다(S5). 물론, ECU(140)는 운전자에 의해 밟혀진 가속 페달 센서(130)의 센싱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가속 페달 홀딩 유닛(160)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루즈 운전 및 반자율 주행 등 운전자의 직접적인 페달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순간에는 기존 차량들에 적용되어 있는 오토 홀드와 유사하게 페달에 일정 수준의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루즈 운전 시 편하게 발을 페달에 내려두고 조작이 필요한 순간 힘을 주면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운전 피로도 감소 및 유사시 페달 조작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100) 동작 중 센터 콘솔 벽(202)에 마련된 풋레스트(20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 페달(205)의 일측에 센터 콘솔(201)의 측벽(202)이 구비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측벽(202)에 내부로 함몰되어 발이 들어 갈 수 있는 공간인 함몰부(203) 및 함몰부(203)에 구비되어 발을 위치시킬 수 있는 풋레스트(20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풋레스트(204)의 설치 각도는 가속 페달(205)의 설치 각도 대비 -10도 내지 +10도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풋레스트(204)의 설치 각도는 가속 페달(205)의 설치 각도와 동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언제든지 풋레스트(204)로부터 발을 가속 페달(205)이나 제동 페달(206)로 쉽게 움직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풋레스트(204)에는 가속 페달(205)을 조작하는 오른쪽 발이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동 페달(206)의 일측(좌측)에도 왼쪽 발을 놓는 풋레스트(20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오른쪽 발을 놓은 우측 풋레스트(204) 및 왼쪽발을 놓는 좌측 풋레스트(207)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 가속 페달(205)의 우측에 센터 콘솔(201)에서부터 내려오는 벽(202)이 있으나 이 부분에 여유 공간인 함몰부(203)를 마련하고 가속 페달(205)과 유사한 각도의 풋레스트(204)를 설치하여 발 뒤꿈치는 페달(205)의 조작시와 같은 위치에 두되 발 바닥은 풋레스트(204)에 두어 편안하게 발을 내려 놓음과 동시에 유사시에 페달(205,206)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110;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 111; 크루즈 스위치
112; 속도 조절 스위치 120; 속도 센서
130;가속 페달 센서 140; ECU
150; 클러스터 160; 가속 페달 홀딩 유닛
170; ESC 180; 제동 유닛
190; 제동 램프 201; 센터 콘솔
202; 측벽 203; 함몰부
204; 풋레스트 205; 가속 페달
206; 제동 페달 207; 풋레스트

Claims (8)

  1. 차량의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를 수행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
    상기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으로부터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수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의 속도를 운전자에 의해 셋팅된 속도로 자동으로 조정하는 동시에 가속 페달 홀딩 신호 및 페달 홀딩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컨트롤 유닛;
    상기 엔진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가속 페달 홀딩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속 페달의 위치를 홀딩시키는 가속 페달 홀딩 유닛;
    가속 페달의 밟아진 압력을 센싱하여 상기 엔진 컨트롤 유닛에 출력하는 가속 페달 센서; 및
    상기 엔진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페달 홀딩 표시 신호를 입력받으면 가속 페달의 홀딩 상태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엔진 컨트롤 유닛은 상기 가속 페달 센서로부터 센싱된 가속 페달의 밟아진 압력이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가속 페달 홀딩 유닛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상기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에 의한 셋팅 속도와 가속 페달의 기준값은 비례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속 페달의 일측에 위치된 센터 콘솔의 측벽;
    측벽에 내부로 함몰되어 발이 들어 갈 수 있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어 발을 위치시킬 수 있는 풋레스트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풋레스트의 설치 각도는 가속 페달의 설치 각도 대비 -10도 내지 +10도 범위인,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에 의해 셋팅 속도가 증가하면 가속 페달의 기준값도 증가하고,
    상기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유닛에 의해 셋팅 속도가 감소하면 가속 페달의 기준값도 감소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컨트롤 유닛은 가속 페달의 홀딩이 종료된 후에도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를 유지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컨트롤 유닛은 가속 페달의 홀딩이 종료된 후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 모드도 종료하는,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KR1020210138711A 2021-10-18 2021-10-18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KR10250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711A KR102509771B1 (ko) 2021-10-18 2021-10-18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711A KR102509771B1 (ko) 2021-10-18 2021-10-18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771B1 true KR102509771B1 (ko) 2023-03-14

Family

ID=8550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711A KR102509771B1 (ko) 2021-10-18 2021-10-18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77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506B1 (ko) * 1995-12-28 1998-12-15 김태구 정속주행용 액셀레이터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292285A (ja) * 2008-06-04 2009-12-17 Honda Motor Co Ltd ペダル反力制御装置
KR200472653Y1 (ko) * 2014-02-17 2014-05-13 남상익 어린이 통학용 차량
JP2018083518A (ja) * 2016-11-23 2018-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ットレスト
JP2018095123A (ja) * 2016-12-14 2018-06-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KR20210048636A (ko) * 2019-10-23 2021-05-04 주식회사 만도 스마트 순항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17472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1160632A (ja) * 2020-04-01 2021-10-1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運転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506B1 (ko) * 1995-12-28 1998-12-15 김태구 정속주행용 액셀레이터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292285A (ja) * 2008-06-04 2009-12-17 Honda Motor Co Ltd ペダル反力制御装置
KR200472653Y1 (ko) * 2014-02-17 2014-05-13 남상익 어린이 통학용 차량
JP2018083518A (ja) * 2016-11-23 2018-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ットレスト
JP2018095123A (ja) * 2016-12-14 2018-06-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KR20210048636A (ko) * 2019-10-23 2021-05-04 주식회사 만도 스마트 순항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17472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1160632A (ja) * 2020-04-01 2021-10-1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運転制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0144A1 (en) Driving takeover apparatus
CN111098708B (zh) 车辆的控制装置
JP6249303B2 (ja) 車両の停止維持装置
JP2018053901A (ja) パワートレイン制御システム
JP2018090064A (ja) 走行制御装置、車両、走行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5922977B (zh) 车辆的制动装置及其制动方法
CN112644468A (zh) 停车辅助装置、停车辅助方法以及非暂时性存储介质
US10018234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asting operation in hybrid vehicle, system including the same, method thereof
CN110962863B (zh) 控制装置、控制方法及存储介质
KR102509771B1 (ko) 스마트 크루징 및 반자율 주행시의 가속 페달 홀딩 장치
US9789873B2 (en) Vehicle coas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17957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of vehicle to prevent jerk when parking or stopping vehicle
US20210291822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US11613258B2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12644469A (zh) 停车辅助装置、停车辅助方法以及记录介质
US20200247408A1 (en) Inter-vehicle distance controlle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20200101956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3199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ly starting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N111645683A (zh) Acc系统请求esc动态驻车方法、系统、车辆及存储介质
CN116160865A (zh) 车辆控制方法、装置、介质及车辆
CN116373613A (zh) 车辆控制方法以及车辆控制系统
CN106274901B (zh) 用于控制车辆行驶的方法
CN110962850B (zh) 控制装置、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11951832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JP2010249080A (ja) 路面勾配判定方法及び車載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