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452B1 -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 - Google Patents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452B1
KR102509452B1 KR1020220094230A KR20220094230A KR102509452B1 KR 102509452 B1 KR102509452 B1 KR 102509452B1 KR 1020220094230 A KR1020220094230 A KR 1020220094230A KR 20220094230 A KR20220094230 A KR 20220094230A KR 102509452 B1 KR102509452 B1 KR 10250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yer
acrylic
waterproof shee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경
Original Assignee
박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경 filed Critical 박기경
Priority to KR102022009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with fibres or particles being present as additives in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1/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 방수층(10),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30), 상기 개질 아스팔트층(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이형지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에 의하면, 인장강도 및 신율 특성이 우수하여 환경변화나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균열, 파손, 탈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방수 효과가 우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차열 도료와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방수 및 차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Acrylic waterproofing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 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자가 점착식으로 시공이 용이하며, 보관시 시트의 손상이 없는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 토목 구조물의 경우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스며들어 수분의 일부가 증발되지 않고 건축물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 경우, 실거주자의 쾌적한 주거 환경의 유지라는 환경적 측면뿐만 아니라, 누수로 인한 철근 및 철골의 부식이나 중성화, 동결융해, 유해물질의 침입 등으로 인한 열화 가속화 및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 발생 등 내구성 저하의 방지 측면에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는 방수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은 크게 침투성 방수공법과 피막식 방수공법으로 나누어는데, 상기 침투성 방수공법은 방수제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치밀하게 변화시켜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고, 상기 피막식 방수공법은 구조물의 내외부에 여러 겹의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그 외 건축물의 시공 결함에 대처하여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수공법이다.
피막식 방수공법은,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종류와 시공방법에 따라 아스팔트 방수, 우레탄 방수, 시트 방수, 도막 방수 등으로 구분되며,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막재와 시트를 동시에 시공하는 복합방수시공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우레탄 방수제나 아스팔트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시공은,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스프레이나 롤러 등을 이용하여 방수제 용액을 수차례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과정이 전부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시간당 작업량이 적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시트 방수공법은 방수제를 포함하여 방수 성능을 갖는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하는 방법으로,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부착시켜 방수 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 방수공법은 가열 토치를 사용하여 융착식으로 시공한다.
그러나 아스팔트 방수시트는 경도에 비해 탄성과 유동성이 낮아 저온 성능 및 구조물 거동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 크랙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수 시공은 단순 방수만을 위한 것으로, 차열 효과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차열 도료를 시공해야 하는바, 이러한 방수시트는 차열 도료와의 접착성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도 있다.
KR 10-1020646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크릴 방수층과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을 포함하여 아크릴 방수시트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차열방수 시공을 함으로써, 환경변화나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것은 물론, 방수 및 차열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관성이 우수한 아크릴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 방수시트는, 아크릴 방수층(10),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30), 상기 개질 아스팔트층(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이형지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 45~70wt%, 폴리부타디엔-b-폴리아크릴 디블록 코폴리머 1~5wt% 및 잔량의 증류수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방수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은, 스투키 섬유재 분말 1~5중량%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30)은, SBS 5~15중량%, 부틸고무 1~5중량%, 탄산칼슘 15~20중량%, 프로세스 오일 1~8중량%, 석유수지 또는 식물성 전분으로 되는 접착부여제 1~5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엘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되는 접착보조제 5~10중량% 및 잔부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지층(40)의 상면에 내열성 필름(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내열성 필름(50)은 PET 필름에 접착층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열방수방법은, 상기 준비된 아크릴 방수시트의 이형지(40) 및 내열성 필름(50)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형지(40) 및 내열성 필름(50)이 제거된 방수시트를 구조물의 바닥면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된 방수시트의 상면에 차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열 도료는, 0.1~0.5㎛의 실리카 입자 5~10중량%, 루타일 이산화티탄 20~25중량%, 탄화칼슘 10~20중량%, 나노탄소분말 1~2중량%, 불가리아 추출물 1~2중량%, 수지 바인더 20~30중량%, 다가 알코올 1~3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에 의하면, 인장강도 및 신율 특성이 우수하여 환경변화나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균열, 파손, 탈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며, 차열 도료와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방수 및 차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 방수시트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아크릴 방수층(10)과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30)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방수성, 인장강도 및 신율 특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개선된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 방수시트는, 도 1과 같이, 아크릴 방수층(10),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30), 상기 개질 아스팔트층(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이형지층(40), 상기 이형지층(40)의 상면에 구비되는 내열성 필름(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아크릴 방수층(10)과 개질 아스팔트층(30)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방수 성능이 우수함은 물론, 인장강도 및 신율 특성이 우수하며, 차열도료와의 접착성 역시 개선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은 개질 아스팔트층(30)의 문제점인 탄성이 낮아 환경변화와 구조물의 거동에 쉽게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신율, 탄성 및 인장 강도가 우수하여 크랙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방수 저항력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개질 아스팔트층(30)과 함께 방수성 역시 현저히 개선해준다.
이때,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 45~70wt%, 폴리부타디엔-b-폴리아크릴 디블록 코폴리머 1~5wt% 및 잔량의 증류수로 구성되는 아크릴 방수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제조 및 시공 과정에서는 수용성이나, 건조 후에는 물에 다시 녹지 않고 유사결정 상태로 존재하여 방수 성능을 포함한 각종 물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으로, 물 15~45중량%,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acrylate) 45~60중량%,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3~10중량%, 개시제인 BPO(Benzoyl peroxide) 0.1~5중량% 및 중화제인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2~10중량%를 반응시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중화제는 건조 후 수용성 아크릴 수지가 물에 재용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 성능을 발휘하게 해준다.
상기 폴리부타디엔-b-폴리아크릴 디블록 코폴리머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를 낮추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아크릴 방수 조성물은 소포제, 안정제, 충전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은 1~1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부직포층(20)은 방수시트에 강도를 부여하는 것은 물론, 환경 변화에 따른 방수시트와 구조물의 거동 차이 등에 의한 탈리, 접합부 파단 등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직포층(20)은 그 종류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예시적으로 PET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를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부직포층(20)은 그 두께를 제한하지 않는바, 0.1~3mm 정도이면 족하다.
상기 부직포층(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30)은 구조물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면으로, 아스팔트에 SBS(Styrene-Butadiene-Styrene)를 혼합하여 개질한 아스팔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질제인 SBS 5~15중량%, 개질 보조제인 부틸고무 1~5중량%, 충진제인 탄산칼슘 15~20중량%, 상용화제인 프로세스 오일 1~8중량%, 석유수지 또는 식물성 전분으로 되는 접착부여제 1~5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엘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되는 접착보조제 5~10중량% 및 잔부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로 구성된 개질 아스팔트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질 아스팔트층(30)은 접착부여제, 부틸고무, 접착보조제 등으로 인해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여, 자착력을 가지므로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고온과 저온의 온도차이에도 탄성과 유연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우수한 방수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개질 아스팔트층(30)은 상기 아크릴 방수층(10)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현저히 우수한 방수성 및 내구성을 보인다.
상기 개질 아스팔트층(30)은 1~1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층(40)은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20)의 접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형지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내열성 필름(50)은 상기 이형지층(40)의 상면에 구비되어 아크릴 시트를 열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은 내열성이 좋지 못해 여름철 고온에서 아크릴 방수시트를 장기보관할 경우, 아크릴 방수층(10)이 녹아 시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는바, 상기 내열성 필름(50)을 통해 이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내열성 필름(50)은 내열성의 PET 필름에 점착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점착층에 의해 이형지에 점착된다. 아울러, 상기 내열성 필름(50)은 반드시 요구되는 구성은 아닌바, 이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수시트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내구성 및 방수성능이 우수함은 물론, 자착식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편의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술되는 차열 도료와의 접착성 역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은 스투키 섬유재 분말 1~5중량%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투키 섬유재 분말은, 식물인 스투키로부터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스투키는 섬유질이 풍부하고 점성이 크며,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의 내구성 및 내후성을 더욱 개선해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아크릴 방수시트 상에 시공될 차열 도료와의 접착성을 개선해준다.
상기 스투키 섬유재 분말은 스투키 식물의 지상부로부터 길이 400~1,000㎛ 및 직경 20~40㎛의 미세섬유질로 가공하여 분말화시킨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투키 식물의 지상부를 수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1~2mm로 분쇄한 후, 초음파 분쇄기에 투입하여 100~500W의 전력으로 30~5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방법은 공지된 초음파 분쇄기 사용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시트는 각 층을 라미네이트하거나, 부직포(20)의 상, 하면에 각각의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조방법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방수시트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열방수방법은, 상기 준비된 아크릴 방수시트의 이형지(40) 및 내열성 필름(50)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형지(40) 및 내열성 필름(50)이 제거된 방수시트를 구조물의 바닥면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된 방수시트의 상면에 차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 방수시트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아크릴 방수시트는 앞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준비한 방수시트로부터 이형지(40) 및 내열성 필름(50)을 제거하여,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30)이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40) 및 내열성 필름(50)가 제거된 방수시트를 구조물의 표면에 접착한다. 이때, 구조물의 표면은 전처리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임은 당연하며, 평탄화 작업, 치핑 작업 등을 추가로 수행한 상태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된 방수시트 상에 차열 도료를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차열 도료로는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 방수시트와의 접착성 및 차열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차열 도료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차열 도료의 도포 전 프라이머를 도포할 수도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로는 아크릴계 프라이머를 사용하면 족하다.
상기 차열 도료는 그 효과를 고려할 때 0.1~2mm의 두께로 시공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차열 도료는, 0.1~0.5㎛의 실리카 입자 5~10중량%, 루타일 이산화티탄 20~25중량%, 탄화칼슘 10~20중량%, 나노탄소분말 1~2중량%, 불가리아 추출물 1~2중량%, 수지 바인더 20~30중량%, 다가 알코올 1~3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구형상으로, 비표면적이 30m2/g 이하이고, 중공이 없으며, 진구도가 0.7 이상인 무공질 실리카 입자로, 그 크기가 0.1~0.5㎛인 것이 바람직한바, 이러한 실라카 입자는 높은 반사율을 가지며, 중공구조가 존재하지 않아 열을 축적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루타일 이산화티탄은 루타일(rutile) 구조를 가진 이산화티탄으로, 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차열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탄화칼슘은 충진제로서 사용된다.
상기 나노탄소분말은 나노그래파이트(nanographite)임이 바람직한데, 상기 나노탄소분말은 차열 도료의 차열성, 단열성,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을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나노탄소분말의 입도는 1~100nm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불가사리를 가수분해효소 처리하여 추출된 것으로, 우수한 항균효과를 가져 차열 도료의 표면 오염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불가사리로는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아무르불가사리는 각종 어패류나 치어들까지 잡아먹는 수산자원을 황폐화시키는 주범으로 한 지역에 집단으로 서식하고, 왕성한 식욕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대형 이매패류(조개류)뿐만 아니라 고둥류, 게류, 따개비류를 포함해 먹을 수 있는 먹이는 모두 먹어 치우는 강력한 포식활동을 하므로, 이를 대량 폐기하기 위함이다.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상기 불가사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0~1000중량부의 물, 0.2~2중량부의 가수분해효소, 구체적으로 프로테아제를 투입하고, 40~60℃에서 10~20시간 동안 처리한 후, 이를 원심분리시켜 상등액만을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글리세린, 다이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바인더는 도료의 기본 구성으로, 아크릴 에멀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예시적으로 어드그린코트(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열방수방법에 의하면, 방수성 및 차열성이 우수함은 물론, 아크릴 방수시트와 차열 도막과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환경변화나 구조물의 거동에 대해 우수한 저항성을 보이며, 내구성 역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 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아크릴 방수층 20: 부직포층
30: 개질 아스팔트층 40: 이형지층
50: 내열성 필름

Claims (7)

  1. 아크릴 방수층(10),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30),
    상기 개질 아스팔트층(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이형지층(40)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 45~70wt%, 폴리부타디엔-b-폴리아크릴 디블록 코폴리머 1~5wt%, 스투키 섬유재 분말 1~5중량% 및 잔량의 증류수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방수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30)은 SBS 5~15중량%, 부틸고무 1~5중량%, 탄산칼슘 15~20중량%, 프로세스 오일 1~8중량%, 석유수지 또는 식물성 전분으로 되는 접착부여제 1~5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되는 접착보조제 5~10중량% 및 잔부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로 구성되고,
    상기 이형지층(40)의 상면에 내열성 필름(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내열성 필름(50)은 PET 필름에 접착층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방수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아크릴 방수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아크릴 방수시트의 이형지(40) 및 내열성 필름(50)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형지(40) 및 내열성 필름(50)이 제거된 방수시트를 구조물의 바닥면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된 방수시트의 상면에 차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방수시트는 아크릴 방수층(10), 상기 아크릴 방수층(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자착식 개질 아스팔트층(30), 상기 개질 아스팔트층(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이형지층(40), 상기 이형지층(40)의 상면에 구비되는 내열성 필름(50)을 포함하며,
    상기 차열 도료는 0.1~0.5㎛의 실리카 입자 5~10중량%, 루타일 이산화티탄 20~25중량%, 탄화칼슘 10~20중량%, 나노탄소분말 1~2중량%, 불가리아 추출물 1~2중량%, 수지 바인더 20~30중량%, 다가 알코올 1~3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방수방법.
  7. 제1항의 아크릴 방수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아크릴 방수시트의 이형지(40) 및 내열성 필름(50)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형지(40) 및 내열성 필름(50)이 제거된 방수시트를 구조물의 바닥면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된 방수시트의 상면에 차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열 도료는 0.1~0.5㎛의 실리카 입자 5~10중량%, 루타일 이산화티탄 20~25중량%, 탄화칼슘 10~20중량%, 나노탄소분말 1~2중량%, 불가리아 추출물 1~2중량%, 수지 바인더 20~30중량%, 다가 알코올 1~3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방수방법.
KR1020220094230A 2022-07-28 2022-07-28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 KR10250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230A KR102509452B1 (ko) 2022-07-28 2022-07-28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230A KR102509452B1 (ko) 2022-07-28 2022-07-28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452B1 true KR102509452B1 (ko) 2023-03-15

Family

ID=8564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230A KR102509452B1 (ko) 2022-07-28 2022-07-28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4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46B1 (ko) 2010-10-29 2011-03-09 정춘수 섬유에 파일사 필라를 형성한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복합방수공법
KR101436550B1 (ko) * 2014-03-12 2014-09-03 (주)본텍 복합방수시트
KR101561567B1 (ko) * 2015-05-04 2015-10-22 (주)두온에너지원 차열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KR20180000937A (ko) * 2016-06-24 2018-01-04 김동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KR101949897B1 (ko) * 2018-04-04 2019-05-02 최종각 항균 불연 친환경 세라믹 규조토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079569B1 (ko) * 2019-08-06 2020-02-21 (주)페트로산업 수용성 아크릴계 방수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46B1 (ko) 2010-10-29 2011-03-09 정춘수 섬유에 파일사 필라를 형성한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복합방수공법
KR101436550B1 (ko) * 2014-03-12 2014-09-03 (주)본텍 복합방수시트
KR101561567B1 (ko) * 2015-05-04 2015-10-22 (주)두온에너지원 차열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KR20180000937A (ko) * 2016-06-24 2018-01-04 김동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KR101949897B1 (ko) * 2018-04-04 2019-05-02 최종각 항균 불연 친환경 세라믹 규조토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079569B1 (ko) * 2019-08-06 2020-02-21 (주)페트로산업 수용성 아크릴계 방수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7686B (zh) 一种混凝土砂浆粘结施工的预铺防水卷材的制备方法
KR101964680B1 (ko) 아스팔트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시공방법
CN1834160B (zh) 可延展加橡胶沥青毡以及具有沥青玛帝脂铺展膜和所述毡的叠层防水材料
KR102036879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WO2014029763A1 (de) Wasserdichte membran mit guter haftung zu beton
KR102006272B1 (ko) 부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CN104354432A (zh) 一种采用预铺反粘施工的高分子自粘胶膜防水卷材及其生产方法
KR101468017B1 (ko) 건물 외벽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1859999B1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CN102561686A (zh) 低温、潮湿环境下聚氨酯防水涂膜施工方法
CN106671537A (zh) 一种防震防水卷材及制备方法
KR101641469B1 (ko) 노후 포장도로 반사균열 억제를 위한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실란트
KR102058021B1 (ko)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20090040615A (ko)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 및 접착 쿠킹재와 pvc필름을이용한 복합방수방근층 구조와 그 복합방수방근공법 및여기에 사용되는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 및 접착 쿠킹재
KR101027655B1 (ko) 옥상 및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방근층을 겸비한 고무아스팔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509452B1 (ko) 아크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차열방수방법
KR20190043897A (ko) 박리 방지형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345436B1 (ko)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이 포함된 이중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CN105696358B (zh) 环保型复合防水卷材及其生产方法
KR102092819B1 (ko) 방근성이 강화된 복합방수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5062857U (zh) 一种侧墙防水保护结构
KR101745921B1 (ko) 탄소섬유를 활용한 고내구성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 시공방법
KR20200094347A (ko) 수용성 단열 탄성 방수제 및 그의 시공 방법
CN109988527A (zh) 一种柔性聚合物水泥密封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731882B1 (ko) 인도네시아 천연아스팔트를 활용한 저비용 및 고성능 도막식 교면 방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