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436B1 -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436B1
KR102509436B1 KR1020220005549A KR20220005549A KR102509436B1 KR 102509436 B1 KR102509436 B1 KR 102509436B1 KR 1020220005549 A KR1020220005549 A KR 1020220005549A KR 20220005549 A KR20220005549 A KR 20220005549A KR 102509436 B1 KR102509436 B1 KR 102509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mproving
light scattering
cosmetic composition
transpa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773A (ko
Inventor
전승현
이설훈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2001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산란 감소 물질을 피부에 적용하여 각질화의 진행에 따라 일어나는 피부 광특성 및 피부 결의 변화, 칙칙해짐과 같은 피부 톤의 변화 등을 개선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광산란 감소 물질을 조성물에 포함하여 각질 세포 사이에 광산란 감소 물질이 스며들어 구성성분의 결정화를 줄이고, 각질 세포 내에 침투된 광특성 개선 물질이 각질 세포 내에 잔류하여 수분과 결합함으로써 광산란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피부투명화, 피부 톤, 피부 결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optical characteristic of skin comprising optical clearing agents}
본 발명은 광산란 감소 물질을 피부에 적용하여 각질화의 진행에 따라 일어나는 피부 광특성 및 피부 결의 변화, 칙칙해짐과 같은 피부 톤의 변화 등을 개선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질은 표피 아래 존재하는 표피세포(keratinocyte) 가 각질층까지 이동하면서 분화하는 턴 오버(turn over) 라는 표피세포의 분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형성되어 최종적으로 각질세포가 된다. 투명했던 피부세포는 분화 과정에서 수분을 잃으면서 세포 구성성분이 결정화되고, 멜라닌 색소 등이 피부 표면에 가까워지면서 수분을 잃고 산화됨에 따라서 각질층이 불투명해지고 빛이 바라며 칙칙해 보이게 된다(도 1 참조).
따라서 각질 탈락이 턴 오버 기간(28일)에 맞게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컨셉의 제품, 강제로 벗겨내어(peeling) 최외각 각질을 탈락시키는 제품 또는 시술 등이 있으나 전자의 경우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주어야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후자의 경우 피부가 일시적으로 맑아지는 효과가 있지만 피부 자극이 강하고 근본적으로 각질의 투명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불편을 감수하면서도 각질 관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 (즉, 피부 색을 개선하고 투명하게 보일 수 있는)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피부관리를 해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피부의 광산란을 보정하기 위해 오일(특허문헌 1 참조)을 이용하여 수분과 함께 얇은 막을 형성시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나 일시적인 방법이고 자연스러운 이미지 구현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생체조직은 콜라겐, 탄성섬유, 세포,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성분들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직의 종류, 세포의 탈수분화 정도, 구성 성분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지만, 피부조직의 광산란이 일어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광학에서는 현미경을 통해 생체조직을 선명하고 깨끗한 분석하기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에 광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글리세린, 글루코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설폭사이드 올레산 등과 같은 광산란 감소 물질(optical clearing agent, OCA)을 사용해 오고 있다.
G. Vargas는 글리세롤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주사로 주입하면, 피부 속 혈관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비특허문헌 1 및 2 참조). 또한 일본 Riken 연구소의 H. Hiroshi는 4M의 우레아를 처리하고 마우스의 뇌를 투명화하는데 성공하였고(비특허문헌 3 참조), 같은 연구소의 K. Meng-Tsen은 80% 이상의 프럭토스 용액을 이용하여 역시 마우스 뇌를 투명화시켜 생체 광학 연구에 기여한바 있다(비특허문헌 4 참조). 일반적으로 OCA는 ECM의 탈수, 조직 세포 사이에 광산란 감소 물질이 흡수됨으로 인한 대체, 콜라겐의 구조 변화로 굴절률을 일정하게 맞추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명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광학에서는 조직 내 혈관의 분석 및 진단 혹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부 속의 문신, 색소침착 등을 치료하는데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조직 속 깊은 부위까지 OCA를 전달하여 조직의 투명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OCA를 진피층에 직접 주사하는 방법, 표피를 손상시키거나 제거하여 투과를 높이는 방법, 초음파를 이용한 OCA의 진피층으로의 전달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피(각질층)의 피부 장벽 역할을 극복하여 생체조직의 투명화를 유도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인체에 OCA를 주사하거나 효과적인 흡수를 유도하면 피부의 자극, 홍반, 심하면 괴사까지 일어나는 부작용이 보고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광학적 측정에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각질층 투명화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OCA 성분의 농도를 줄여 피부에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면 우레아의 경우 화장품법 허용 한도 이내의 함량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OCA 성분 자체의 유해성으로 인해 여전히 피부 자극을 느끼거나, 제형 내에서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1968호
G. Vargas, Laser Sur. Med. 1999, vol.24, pp.133 G. Vargas, Photochem. Photobiol. 2003, vol.77(5), pp.541 H. Hiroshi, Nat. Neurosci. 2011, vol.14(11), pp.1481 K. Meng-Tsen, Nat. Neurosci. 2013, vol.16(8), pp.1154
본 발명은 광산란 감소 물질을 조성물에 포함하여 각질 세포 사이에 광산란 감소 물질이 스며들어 구성성분의 결정화를 줄이고, 각질 세포 내에 침투된 광특성 개선 물질이 각질 세포 내에 잔류하여 수분과 결합함으로써 광산란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피부투명화, 피부 톤, 피부 결을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일리톨 (Xylitol), 에리스리톨 (Erythritol), 소르비톨 (Sorbitol), 트레할로스 (Trehalose), 프로판다이올 (Propanedi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베타인 (Betaine), 올리고 히알루론산 (Oligo Hyaluronic acid), 질산나트륨(NaNO3), 염화나트륨(NaCl), 황산나트륨(Na2SO4), 탄산나트륨(Na2CO3), 질산칼륨(KNO3), 염화칼륨(KCl), 황산칼륨(K2SO4), 탄산칼륨(K2CO3), 질산암모늄((NH4)(NO3)), 염화암모늄(NH4Cl), 황산암모늄((NH4)2SO4), 탄산암모늄((NH4)2CO3), 질산마그네슘(Mg(NO3)2ㆍH2O), 염화마그네슘(MgCl2), 황산마그네슘(MgSO4), 세린 (Serine), 카르니틴 (Carnitine) 및 카르노신 (Carnos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광산란 감소 물질(optical clearing agent)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300 내지 100,000 D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및 프로판다이올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및 프로판다이올의 혼합물은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및 프로판다이올이 1 : 0.01 내지 20 : 0.01 내지 2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피부 투명화, 피부 톤 개선 또는 피부 결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오일세럼, 세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바디워시,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라우, 아이새도우 및 네일 에나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크림, 젤, 연고, 액체, 파우더, 분무제 및 패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산란 감소 물질을 조성물에 포함하여 각질 세포 사이에 광산란 감소 물질이 스며들어 구성성분의 결정화를 줄이고, 각질 세포 내에 침투된 광특성 개선 물질이 각질 세포 내에 잔류하여 수분과 결합함으로써 광산란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피부투명화, 피부 톤, 피부 결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광선과 피부 각 층에서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a) 물 처리 및 세척 후 건조시킨 각질 테이프 및 (b) 광산란 감소물질 처리 및 세척 후 건조시킨 각질 테이프 사진 및 편광 현미경 이미지 (브라이트 필드 이미지 및 다크 필드 이미지), (c) 우레아(10%)의 광산란 감소 결과 그래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광산란 감소물질들의 광산란 감소 정도를 우레아의 광산란 감소 효율과 상대적으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은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에 따른 광산란 감소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트레할로스, 프로판디올, 소르비톨 단일물 및 혼합물의 조성에 따른 광산란 감소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는 대조군 1과 실험군 11을 처리한 각질을 3D 레이저 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일리톨 (Xylitol), 에리스리톨 (Erythritol), 소르비톨 (Sorbitol), 트레할로스 (Trehalose), 프로판다이올 (Propanedi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베타인 (Betaine), 올리고 히알루론산 (Oligo Hyaluronic acid), 질산나트륨(NaNO3), 염화나트륨(NaCl), 황산나트륨(Na2SO4), 탄산나트륨(Na2CO3), 질산칼륨(KNO3), 염화칼륨(KCl), 황산칼륨(K2SO4), 탄산칼륨(K2CO3), 질산암모늄((NH4)(NO3)), 염화암모늄(NH4Cl), 황산암모늄((NH4)2SO4), 탄산암모늄((NH4)2CO3), 질산마그네슘(Mg(NO3)2ㆍH2O), 염화마그네슘(MgCl2), 황산마그네슘(MgSO4), 세린(Serine), 카르니틴(Carnitine) 및 카르노신 (Carnos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광산란 감소 물질(optical clearing agent)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피부 광산란'은 외부의 빛이 피부 내로 침투할 때 피부 내의 각질층에서 빛이 산란되어 흩어지지 않고 표피 및 진피층까지 침투한 후, 피부 밖으로 반사되어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광산란이 증가한다는 의미는 피부로 침투된 빛이 다시 반사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에 화장품이나 외용제 등의 조성물을 바르면 피부 수분량, 피부 표면 거칠기, 피부 상태 등의 여러 가지가 달라진다. 각각의 변수들은 피부에 대한 빛의 거동(굴절률, 반사량, 경로차)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본 발명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프로판다이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올리고 히알루론산, 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질산칼륨, 염화칼륨, 황산칼륨, 탄산칼륨, 질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탄산암모늄, 질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세린, 카르니틴 및 카르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광산란 감소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피부 최외곽 층인 각질층에 고르게 전달되어 구성 성분의 결정화를 줄이고, 각질 세포 내에 침투된 광특성 개선 물질이 각질 세포 내에 잔류하여 수분과 결합함으로써 광산란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피부를 더 투명하게 보이게 하고, 피부 톤 및 피부 결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결 개선'은 각질층이 건조되어 들뜨지 않고 이로 인해 피부 부드러움 증가, 개선 내지 향상되거나, 거칠기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 피부 톤 개선'은 자신의 피부 빛깔의 강약이나 짙고 옅음 따위의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광특성 개선 물질이 피부 각질의 칙칙함을 개선시켜 본연 그대로의 맑은 피부로 개선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40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3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이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의 광특성 개선 효과가 미비하고 40 중량%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가 딱딱해지고 변형이 생길 수 있으며, 피부를 지나치게 투명화하여 자연스런 피부 광택에 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올리고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300 내지 100,000 Da, 구체적으로는 300 내지 50,000 Da, 더 구체적으로는 500 내지 10,000 Da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광산란 감소 효능 및 피부 광특성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및 프로판다이올의 혼합물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및 프로판다이올의 혼합물은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및 프로판다이올이 1 : 0.01 내지 20 : 0.01 내지 20의 중량비, 구체적으로는 1 : 0.1 내지 15 : 0.1 내지 15의 중량비, 더 구체적으로는 1 : 0.5 내지 10 : 0.5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피부 투명화, 피부 톤 개선 또는 피부 결 개선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보조제 예를 들어,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뿐만 아니라,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와 함께 일반 화장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화장료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일례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오일세럼, 세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바디워시,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라우, 아이새도우 및 네일 에나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보조제, 예를 들어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젤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통상적인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일례로, 크림, 젤, 연고, 액체, 파우더, 분무제 및 패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피시험자의 각질을 각질테이프(D-Squame sampling disk, 22 mm diameter, CuDermTM)을 이용해 채취한 후 100 ul의 물(대조군), 우레아를 각각 도포하고 3~4시간 후 물로 세척 후 건조시켜 광산란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물)의 경우 도포 및 세척 후 건조시킬 경우, 각질 내에 남아있지 않고 산란 감소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우레아의 경우, 처리 및 세척 후 건조시켜도 각질 세포 내로 침투하여 물 분자를 홀딩하고 있기 때문에 산란이 감소하고 투명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a의 우측 하단 그림).
도 2b는 우레아(10%)를 처리한 경우 편광현미경(Leica DM 1000)의 브라이트 필드 이미지 및 다크 필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브라이트 필드 이미지는 특수한 광학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시료를 단순 확대하는 기본 관찰 방법으로 시료의 구조를 확인하는 데는 적합하나, 산란광을 확인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다크 필드 이미지는 시료에 닿는 직접 조명광은 밖으로 유도하고, 오로지 샘플에서 나오는 산란광만을 대물렌즈로 취하는 관찰법으로 현미경의 상부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각질세포에서 산란되어 흰색으로 보이며, 산란이 감소할수록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우레아를 처리했을 경우에 보다 각질 산란이 감소하여 검은색으로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c는 편광현미경의 다크 필드 모드를 통해 각질테이프에서 시료의 도포 부위과 무도포 부위 5곳을 이미지로 얻은 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Python)을 이용해 수치화하여 광산란 감소 효율을 비교한 결과이다. 분석된 이미지의 수치는 30-200 범위로 표현되며 이미지에 흰색이 많을수록 값이 높게 나타난다. 무도포 부위 이미지 수치의 평균값과 도포 부위 이미지 수치의 평균값을 구하여 무도포 부위 대비 도포 부위의 이미지 수치 감소율을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우레아 10%를 처리한 경우 광산란 감소가 대조군(물) 대비 17%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광산란 감소 물질, 프로판디올,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디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카르니틴, 카르노신 및 세린을 1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산란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를 동일 농도에서의 상대값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농도(10 중량%) 의 우레아, 글리세롤, 수크로즈, 소듐 락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및 헥산디올 용액을 제조하여 비교평가하였다(도 3a). 올리고 히알루론산(500~10,000 Da) 및 염화나트륨은 1 중량% 용액으로 제조하여 동일 농도(1 중량%)의 우레아와 비교 평가하였다(도 3b).
실험 결과는 편광현미경을 통해 얻은 이미지를 분석하여 얻은 광산란 감소 효율을 우레아(10 중량%)의 광산란 감소 효율을 100%로 한 상대값 (상대 광산란 개선율) 으로 표시하여 도 3a에 나타냈고, 우레아(1 중량%)의 광산란 감소 효율을 100%로 한 상대값(상대 광산란 개선율)으로 표시하여 도 3a에 나타냈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광산란 감소물질 모두 각각 모두 유의미한 광산란 감소 효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올리고 히알루론산, 트레할로스, 프로판다이올, 소르비톨,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염화나트륨의 경우 우레아는 물론 글리세롤, 수크로즈, 소듐 락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및 헥사네디올 모두에 대비하여 그와 유사하거나 더 높은 산란 감소 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광산란 물질인 올리고 히알루론산의 광산란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히알루론산과 비교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하기 표 1의 물질을 처리하였으며, 결과값은 우레아의 광산란 감소 효율을 100%로 한 상대값으로 표시하여 도 3에 나타냈다.
구분 물질 농도
실험군 1 분자량 300,000 Da 이상 히알루론산(500,000 Da) 1 중량%
실험군 2 분자량 100,000 ~ 300,000 Da 히알루론산(100,000 Da) 1 중량%
실험군 3 분자량 10,000 Da 이하 히알루론산(500 ~ 10000 Da) 1 중량%
실험 결과, 실험군 1 및 2의 상대적 광산란 감소율이 50% 정도에 머무른 반면 분자량 10,000 Da 이하의 히알루론산인 실험군 3의 경우 광산란 감소율이 180% 로서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이러한 결과는 이는 분자량이 작은 히알루론산의 경우, 각질 내 케라틴으로 침투하여 물을 홀딩하기 때문으로 생각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광산란 물질인 트레할로스, 프로판다이올 및 소르비톨의 혼합 비율에 따른 광산란 감소 효과를 실험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하기 표 2의 조성물을 처리하였으며(함량은 중량%), 결과값은 우레아의 광산란 감소 효율을 100%로 한 상대값으로 표시하여 도 5에 나타냈다.
실험군4 실험군5 실험군6 실험군7 실험군8 실험군9 실험군10
소르비톨 0 0 10 7 1 2 3.3
프로판디올 0 10 0 2 7 1 3.3
트레할로스 10 0 0 1 2 7 3.3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실험 결과, 각각의 단일 물질을 처리한 실험군 1 내지 3 대비하여 각 물질들을 모두 조합한 실험군 4 내지 7에서 산란 감소 효율이 현저히 상승할 뿐만 아니라 우레아 대비 상대값으로 표현한 광산란 개선율 또한 상당히 높아서 현저한 상승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실시예 5]
본 발명의 피부 결 개선을 확인하기 위해 각질 테이프를 이용해 피시험자의 각질을 채취한 후, 200 ul의 물(대조군 1) 및 실험군 11 (하기 표 참조)을 도포하고 4시간 후 물로 세척 후 건조시켰다. 피부 결 개선은 3차원 레이저 현미경(Keyence VK-X200)을 이용해 표면 두께(surface thickness)및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및 도 6에 나타냈다.
실험군 11 대조군 1 비고
구성 프로판디올 7%,
트레할로스 2%,
소르비톨 1%
정제수 up to 100
각질두께 (μm) 16.3 14.2 약 15% 증가
거칠기 (μm) 3.2 3.8 약 14% 감소
구체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11을 처리한 샘플에서 각질 두께는 15% 증가하였고, 거칠기가 14%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광산란 감소물질이 각질 세포 내로 침투하여 건조 후에도 수분을 홀딩하고 있기 때문에 각질의 두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거칠기가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피부 투명도 개선을 확인하기 위해 피시험자 10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2 및 실험군 12, 13 (하기 표 참조)를 도포하고 3시간 후 바디워시로 세정 후 도포 전과 달라지는 피부 투명도를 피부 투명도 측정기(Translucency Meter, TLS850)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트레할로스 소르비톨 K값 변화율(%)
대조군 2 10 0 0 0 0.17
실험군 12 0 2 7 1 1.76
실험군 13 0 7 2 1 2.03
실험 결과는 표 4에 나타냈으며, 대조군 2에 비해 실험군 12, 13을 처리했을 경우 피부 투명도가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자일리톨 (Xylitol), 에리스리톨 (Erythritol), 소르비톨 (Sorbitol), 프로판다이올 (Propanediol) 및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광산란 감소 물질(optical clearing agent)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각질 세포 내로 침투하여, 물로 피부를 세척한 후에도 수분과 결합된 상태로 각질 세포 내에 잔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트레할로스 (Trehalose), 베타인 (Betaine), 올리고 히알루론산 (Oligo Hyaluronic acid), 질산나트륨(NaNO3), 염화나트륨(NaCl), 황산나트륨(Na2SO4), 탄산나트륨(Na2CO3), 질산칼륨(KNO3), 염화칼륨(KCl), 황산칼륨(K2SO4), 탄산칼륨(K2CO3), 질산암모늄((NH4)(NO3)), 염화암모늄(NH4Cl), 황산암모늄((NH4)2SO4), 탄산암모늄((NH4)2CO3), 질산마그네슘(Mg(NO3)2ㆍH2O), 염화마그네슘(MgCl2), 황산마그네슘(MgSO4), 세린 (Serine), 카르니틴 (Carnitine) 및 카르노신 (Carnos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및 프로판다이올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및 프로판다이올의 혼합물은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및 프로판다이올이 1 : 0.01 내지 20 : 0.01 내지 2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감소 물질은 피부 투명화, 피부 톤 개선 또는 피부 결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오일세럼, 세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바디워시,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라우, 아이새도우 및 네일 에나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크림, 젤, 연고, 액체, 파우더, 분무제 및 패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층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05549A 2018-02-08 2022-01-13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KR102509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15933 2018-02-08
KR1020180015933 2018-02-08
KR1020190101994A KR102353161B1 (ko) 2018-02-08 2019-08-20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994A Division KR102353161B1 (ko) 2018-02-08 2019-08-20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773A KR20220011773A (ko) 2022-01-28
KR102509436B1 true KR102509436B1 (ko) 2023-03-14

Family

ID=677748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069A KR102015903B1 (ko) 2018-02-08 2018-06-11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산란 감소용 조성물
KR1020190101994A KR102353161B1 (ko) 2018-02-08 2019-08-20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KR1020220005549A KR102509436B1 (ko) 2018-02-08 2022-01-13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069A KR102015903B1 (ko) 2018-02-08 2018-06-11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산란 감소용 조성물
KR1020190101994A KR102353161B1 (ko) 2018-02-08 2019-08-20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00730A1 (ko)
JP (2) JP2021514349A (ko)
KR (3) KR102015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9694A (zh) * 2021-02-02 2023-08-29 株式会社Lg生活健康 化妆料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9466A (ja) * 1997-04-07 1998-10-20 Kose Corp 外用剤
JP2000327553A (ja) * 1999-05-19 2000-11-28 Kose Corp 皮膚外用剤
JP4854194B2 (ja) * 2004-07-05 2012-01-1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ラメラ構造再生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077693B1 (ko) * 2004-12-14 2011-10-27 (주)아모레퍼시픽 자일리톨 및 베타-1,3-글루칸을 함유한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20110060800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세포 외 기질을 모사한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1266B1 (ko) 2010-04-06 2012-09-10 덕산하이메탈(주) 카바졸유도체를 포함하는 비스다이아릴아민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EP3134063A1 (en) * 2014-04-23 2017-03-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for hydrating skin
JP6687323B2 (ja) * 2015-02-04 2020-04-22 株式会社サンシャインコーポレーション 美容パック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Biomedical Optics vol 21 iss. 8, (2016.08.공개)*
Laser Photonics Rev.7, No. 5, pp. 732-757 (2013. 공개)*
Skin Res Technol. 2018 vol. 24 iss. 3, pp. 371-378 (2018.01.28. 온라인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773A (ko) 2022-01-28
JP2022173215A (ja) 2022-11-18
KR102353161B1 (ko) 2022-01-19
KR20190096262A (ko) 2019-08-19
JP2021514349A (ja) 2021-06-10
KR102015903B1 (ko) 2019-08-28
US20210000730A1 (en) 2021-01-07
KR20190100141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914B2 (ja) 皮膚をひきしめる効果のある化粧組成物
KR102070466B1 (ko) 화장료의 평가 방법
Zhi et al. Improve optical clearing of skin in vitro with propylene glycol as a penetration enhancer
US6275726B1 (en) Methods of enhanced light transmission through turbid biological media
KR102509436B1 (ko)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RU2610215C2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космет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против морщин
ITRM20100540A1 (it) "uso di un preparato basato su micro-patch di caffeina e polisaccaridi di betaglucano in trattamenti antirughe"
KR20200135807A (ko) 미용적 국소 적용을 위한 건조 필름의 용도
WO2019156311A1 (ko)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FR3125967A1 (fr) Utilisations cosmétiques contre la lumière bleue de microsphères poreuses d’oxyde métallique
KR102204345B1 (ko) 광산란 감소 물질을 포함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FR3062302A1 (fr) Nouvelle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a nacre ou un extrait de nacre
JP2021500393A (ja) 植物ゾウゲ抽出物(ファイテレファス属種(Phytelephas sp.))の化粧的使用
JP2553474B2 (ja) 皮膚化粧料
EP4108229A1 (en) Mild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nearly saturated, saturated or supersaturated active ingredient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580067B1 (ko) 피부 수분 밀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Zhu et al. Chemical enhancers for improving tissue optical clearing efficacy
WO2024034159A1 (ja) 化粧料及び美容方法
RU2742964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Rubin et al.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in the treatment monitoring of androgenetic alopecia topical combination therapy: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for Treatment Monitoring of Androgenetic Alopecia
WO2024110050A1 (en) Use of l-carnosine against solar elastosis
CN115335024A (zh) 使用纳米纤维用于修复皮肤的方法
JPH10101541A (ja) シミ、クスミ、シワを除去し美肌効果をもたらす化粧料組成物
KR20230150413A (ko) 다이아몬드가 코팅된 스피큘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2322784A (zh) 皮膚的美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