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506B1 -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506B1
KR102507506B1 KR1020210046400A KR20210046400A KR102507506B1 KR 102507506 B1 KR102507506 B1 KR 102507506B1 KR 1020210046400 A KR1020210046400 A KR 1020210046400A KR 20210046400 A KR20210046400 A KR 20210046400A KR 102507506 B1 KR102507506 B1 KR 102507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hell
contact
insula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9142A (ko
Inventor
준지 오오사카
요헤이 요코야마
아키히로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91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73481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2280A external-priority patent/JP73668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5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74938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0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54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1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455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32981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12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41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719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55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72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617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545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842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7430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842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760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05298U external-priority patent/JP3230774U/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205016A external-priority patent/JP7502167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142A/ko
Publication of KR10250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셸(110)의 슬릿(110C)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자유단(110E)과 셸(11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단(110F)을 가지고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셸(110)의 높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고정단(110F)은 기판에 부착할 수 있는 부위(110B)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자유단(110E)은 당해 부위(110B)로부터 떨어져 있다.

Description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개시는 2개의 기판의 평행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이 기판 대 기판 커넥터와 이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카운터 파트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추어져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가 저감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2개의 기판의 접속을 위해, 일반적으로, 2개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사용된다.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제1 기판의 일면에 고정되어 있고,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제2 기판의 일면에 고정되어 있다. 평행 접속의 경우, 제1 기판의 일면과 제2 기판의 일면이 평행하게 마주보는 상태에서,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와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추어진다.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와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추어져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선행 기술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17-3365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2개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특허문헌 1에서, 일방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제1 전기 커넥터(10)로 호칭되고 있고, 타방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제2 전기 커넥터(20)로 호칭되고 있음)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도 27의 복사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10)의 셸은 캔틸레버 스프링인 접촉편(12i)을 가지고 있다. 제1 전기 커넥터(10)와 제2 전기 커넥터(20)가 서로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접촉편(12i)은 제2 전기 커넥터(20)의 셸의 내벽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에 의해, 제1 전기 커넥터(10)와 제2 전기 커넥터(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제1 전기 커넥터(10)의 셸은 일방의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에 접합하고 있고, 제2 전기 커넥터(20)의 셸은 타방의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에 접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2개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고려하여, 일방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가지고 있는 캔틸레버 스프링의 자유단은 일방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부착되는 기판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캔틸레버 스프링의 고정단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와 이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카운터 파트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카운터 파트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면한다.
최근, 고화질의 화상이나 영상 등의 대량의 디지털 정보를 고속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의 포터블 통신 기기 등의 전자기기가 보급되고 있다. 대량의 디지털 정보를 고속 처리하기 위해, 전자기기의 내부에서는 고주파 신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내부에서는, 일반적으로, 신호 전송 회로와 다수의 소형 전자 부품이 기판 위에 고밀도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부품 혹은 신호 전송 회로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같은 전자기기의 내부에 존재하는 다른 전자 부분 등의 장애를 유발하는 인트라 시스템 EMI(Intrasystem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의 저감이 요망된다.
그런데, 방사된 전자파의 전달로서 전자파가 기판 상의 신호 전송 회로 등을 흐르는 「도체 전도」와 전자파가 공간을 전도하는 「공간 전도」가 알려져 있다. 전자 부품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경우,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도전성 셸에 의해,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내부로부터의 전자파(電磁波)의 공간 전도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감안하여, 본 발명으로서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내부로부터의 전자파의 공간 전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셸을 가지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당해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 섹션에서 말하는 기술사항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한정하기 위해서가 아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이익을 받는 자(예를 들면, 출원인과 권리자임) 이외의 사람에 의한 그러한 한정을 용인하는 가능성의 표명도 아니고, 단지, 본 발명의 요점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기재된다. 다른 관점에서의 본 발명의 개요는, 예를 들면, 이 특허출원의 출원시의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본 발명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도전성 셸은 캔틸레버 스프링을 가지고 있고, 이 캔틸레버 스프링은 선행기술에서 채용되고 있는 캔틸레버 스프링의 뻗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캔틸레버 스프링은 도전성 셸의 슬릿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자유단과 도전성 셸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단을 가지고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은 도전성 셸의 높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의 고정단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부착되는 기판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캔틸레버 스프링의 자유단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와 이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카운터 파트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카운터 파트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EMI의 저감이 실현된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도 27.
도 2는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사시도.
도 3은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제1 인슐레이터의 사시도.
도 5는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제1 셸의 사시도.
도 6은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제2 인슐레이터의 사시도.
도 9는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제2 셸의 사시도.
도 10은 실시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는 실시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b는 실시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는 선행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b는 선행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실시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EMI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도 2∼13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의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 및 실시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5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커넥터 어셈블리(500)는 제1 기판(1)에 부착할 수 있는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와, 제2 기판(2)에 부착할 수 있고, 또한,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와 끼워 맞출 수 있는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를 포함한다(도 10 참조).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제1 셸(110)과,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제1 인슐레이터(130)와, 도전성을 가지는 8개의 제1 콘택트(150)와, 2개의 도체 부품(170)을 포함한다.
<제1 인슐레이터, 제1 콘택트, 도체 부품>
도 4에 도시하는 제1 인슐레이터(130)는 원피스(one-piece)의 절연 부품이며, 평평한 H자 형상의 바닥부(131)와, 바닥부(131)의 4개의 코너부에 서 있는 L자 형상의 측벽부(132)를 포함한다. 측벽부(132)가 서 있는 바닥부(131)의 4개의 코너부는 바닥부(131)가 장방형이라고 가정한 경우의 4개의 코너부에 상당한다. 즉, 2개의 측벽부(132)는 바닥부(131)의 중앙 판부(131a)를 사이에 끼는 바닥부(131)의 2개의 측판부(131b)의 일방에 위치하고 있어, 나머지 2개의 측벽부(132)는 타방 판부(131b)에 위치하고 있다. 4개의 측벽부(132)는 바닥부(131)로부터 같은 방향(도 4에 나타내는 Z 방향)으로 뻗어 있다.
4개의 측벽부(132)의 각각에 대하여, 측벽부(132)는, H자 형상의 바닥부(131)의 중앙 판부(131a)를 정면으로 보는 측벽부(132)의 내측에, 오목부(132a)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132a)는 제1 인슐레이터(130)의 상면에 개구를 가지고 있다. 설명에 있어서의 「상」과 「하」는 도 4에 도시하는 제1 인슐레이터(130)의 높이 방향(즉, 도 4에 도시하는 Z 방향)에 있어서 지면(紙面)의 「상」과 「하」에 따른다. 4개의 측벽부(132)의 각각에 대하여, 측벽부(132)는, 측벽부(132)의 외측에, 2개의 오목부(132b)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오목부(132b)의 각각은 제1 인슐레이터(130)의 상면에 개구를 가지고 있다.
H자 형상의 바닥부(131)의 중앙 판부(131a)에 6개의 L자 형상의 제1 콘택트(150)가 부착되어 있고, H자 형상의 바닥부(131)의 2개의 측판부(131b)의 각각에 1개의 L자 형상의 제1 콘택트(150)가 부착되어 있다. 중앙 판부(131a)에 부착되어 있는 6개의 제1 콘택트(150)는 동수의 제1 콘택트(150)를 가지는 2개의 평행한 콘택트열을 형성하고 있다. 2개의 콘택트열은 중앙 판부(131a)의 두 가장자리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콘택트열의 길이 방향은 중앙 판부(131a)의 두 가장자리가 뻗는 방향(즉, Y 방향)과 평행하다. 측판부(131b)에 부착되어 있는 2개의 제1 콘택트(150)를 연결하는 직선은 콘택트열과 평행하며, 2개의 콘택트열의 사이를 통과한다.
중앙 판부(131a)에 부착되어 있는 6개의 제1 콘택트(150)의 각각에 대하여, 제1 콘택트(150)의 일단(150a)은 측벽부(132)가 일어서는 방향으로 바닥부(131)로부터 돌출해 있고, 제1 콘택트(150)의 타단(150b)은 바닥부(131)와 평행하며 또한 콘택트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앙 판부(131a)로부터 중앙 판부(131a)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측판부(131b)에 부착되어 있는 2개의 제1 콘택트(150)의 각각에 대하여, 제1 콘택트(150)의 일단(150c)은 측벽부(132)가 일어서는 방향으로 바닥부(131)로부터 돌출해 있고, 제1 콘택트(150)의 타단(150d)은 바닥부(131)와 평행하며 또한 콘택트열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측판부(131b)로부터 측판부(131b)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측판부(131b)에 부착되어 있는 2개의 제1 콘택트(150)는 고주파 전류를 위한 콘택트이고(고속 전송), 중앙 판부(131a)에 부착되어 있는 6개의 제1 콘택트(150)는 저주파 전류를 위한 콘택트이다(저속 전송).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수백 MHz 이상이다.
바닥부(131)의 2개의 측판부(131b)의 각각에 1개의 도체 부품(170)이 부착되어 있다. 도체 부품(170)은 중앙 판부(131a)와 측판부(131b)의 경계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원피스의 도체 부품(170)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고, 가늘고 긴 막대 형상부(170a)와, 막대 형상부(170a)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수직으로 뻗는 2개의 벽부(170b)를 포함한다.
벽부(170b)는, 측벽부(132)가 일어서는 방향으로, 바닥부(131)로부터 돌출해 있고, 콘택트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는 막대 형상부(170a)의 양쪽의 단부(170c)는, 바닥부(131)와 평행한 방향으로, 측판부(131b)로부터 측판부(131b)의 외측을 향하여 약간 돌출해 있다. 일방의 도체 부품(170)의 일방의 벽부(170b)와, 타방의 도체 부품(170)의 일방의 벽부(170b)는 일방의 콘택트열의 가상 연장선상에 위치해 있고, 일방의 도체 부품(170)의 타방의 벽부(170b)와, 타방의 도체 부품(170)의 타방의 벽부(170b)는 타방의 콘택트열의 가상 연장선상에 위치해 있다.
<제1 셸>
도 4에 도시하는 제1 인슐레이터(130)에 부착되는 제1 셸(110)은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제1 인슐레이터(130)는 제1 셸(110)의 내부에 위치한다(도 2 참조). 제1 셸(110)은 제1 인슐레이터(130)를 따르는 제1 측벽부(110A)를 가지고 있다. 제1 셸(110)의 제1 측벽부(110A)는 제1 기판(1)에 부착할 수 있는 제1 부위(110B)를 가지고 있다. 제1 셸(110)의 제1 측벽부(110A)는 슬릿(110C)을 가지고 있다. 제1 셸(110)의 제1 측벽부(110A)는 슬릿(110C)에 위치하고, 또한, 자유단(110E)과 제1 셸(110)의 제1 측벽부(110A)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단(110F)을 가지고 있는, 캔틸레버 스프링(110D)을 가지고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제1 셸(110)의 높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고정단(110F)은 제1 셸(110)의 제1 부위(110B)에 가깝고,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자유단(110E)은 제1 셸(110)의 제1 부위(110B)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제1 셸(110)의 상세를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제1 셸(110)은 2개의 금속 부품(111)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금속 부품(111)은 서로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원피스의 금속 부품(111)은 스테이플(staple) 형상의 외관을 가지고 있고, 가늘고 긴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제1 판부(111a)와, 2개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제2 판부(111b)를 포함한다. 2개의 제2 판부(111b)는 제1 판부(111a)의 길이 방향(즉, 도 5에 나타내는 X 방향)에서의 양단의 근방으로부터 같은 방향(즉, 도 5에 나타내는 Y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판부(111a)의 상단부 및 2개의 제2 판부(111b)의 상단부는 금속 부품(111)의 내측을 향해 90도 만곡되어 있다. 설명에 있어서의 「상」과 「하」는 도 5에 도시하는 금속 부품(111)의 높이 방향(즉, 도 5에 나타내는 Z 방향)에 있어서 지면의 「상」과 「하」에 따른다.
제1 판부(111a)의 상단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끝으로부터 일방의 제2 판부(111b)의 상단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까지, 일방의 직각 삼각형 형상의 브레이스(brace)(111d)가 뻗어 있다. 제1 판부(111a)의 상단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의 끝으로부터 타방의 제2 판부(111b)의 상단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까지, 타방의 직각 삼각형 형상의 브레이스(111d)가 뻗어 있다. 제1 판부(111a)의 상단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근방으로부터, 2개의 직사각형 판 형상의 훅(111c)이 하방을 향해 뻗어 있다. 훅(111c)은 훅(111c)의 신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발톱(111g)을 가지고 있다. 제2 판부(111b)의 하단부는 U자 형상 노치(111b1)를 가지고 있다.
제1 판부(111a)는, 제1 판부(111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슬릿(110C) 및 캔틸레버 스프링(110D)을 가지고 있다. 제1 판부(111a)가 갖는 슬릿(110C)의 일부는, 금속 부품(111)의 절곡 가공에 의해 생기는 제1 판부(111a)와 제2 판부(111b) 사이의 간극을 겸하고 있다. 혀 모양의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슬릿(110C)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자유단(110E)과 고정단(110F)을 가지고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제1 판부(111a)의 높이 방향(즉, Z 방향)으로 뻗어 있고,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고정단(110F)은 제1 판부(111a)에 고정되어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고정단(110F)은 제1 판부(111a)의 하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자유단(110E)은 제1 판부(111a)의 상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판부(111b)는, 제1 판부(111a)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2 판부(111b)의 부위에, 슬릿(110C) 및 캔틸레버 스프링(110D)을 가지고 있다. 혀 모양의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슬릿(110C)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자유단(110E)과 고정단(110F)을 가지고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제2 판부(111b)의 높이 방향(즉, Z 방향)으로 뻗어 있고,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고정단(110F)은 제2 판부(111b)에 고정되어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고정단(110F)은 제2 판부(111b)의 하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자유단(110E)은 제2 판부(111b)의 상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판부(111a)는 제1 판부(111a)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가늘고 긴 반원통형의 볼록부(111e)를 가지고 있다. 제1 판부(111a)의 볼록부(111e)는 제1 판부(111a)의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판부(111a)의 볼록부(111e)의 양단은 캔틸레버 스프링(110D)으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판부(111b)는 제2 판부(111b)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가늘고 긴 반원통형의 볼록부(111e)를 가지고 있다. 제2 판부(111b)의 볼록부(111e)는 제2 판부(111b)의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2 판부(111b)의 볼록부(111e)의 일단은 캔틸레버 스프링(110D)으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다.
일방의 금속 부품(111)은 제1 인슐레이터(130)의 일방의 측판부(131b)에 위치하고 있는 2개의 측벽부(132)에 부착되고, 타방의 금속 부품(111)은 제1 인슐레이터(130)의 타방 판부(131b)에 위치하고 있는 2개의 측벽부(132)에 부착된다. 이때, 발톱(111g)을 가지는 훅(111c)은 측벽부(132)의 오목부(132a)에 압입된다. 이 결과, 2개의 금속 부품(111)은 일방의 금속 부품(111)의 2개의 제2 판부(111b)의 선단과 타방의 금속 부품(111)의 2개의 제2 판부(111b)의 선단이 서로 마주 향하는 상태에서, 제1 인슐레이터(130)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의 2개의 금속 부품(111)이 제1 셸(110)을 구성하고 있다. 도체 부품(170)의 막대 형상부(170a)의 단부(170c)는 제2 판부(111b)의 U자 형상 노치(111b1)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셸(110)이 제1 인슐레이터(13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판부(111a)와 제2 판부(111b)는 제1 인슐레이터(130)의 외측을 따르고 있다. 즉, 제1 판부(111a)와 제2 판부(111b)가 제1 측벽부(110A)에 상당한다. 제1 판부(111a)의 하단부 및 2개의 제2 판부(111b)의 하단부(단, U자 형상 노치(111b1)를 제외함)는 제1 기판(1)에 부착할 수 있는 부위이며, 제1 부위(110B)에 상당한다. 따라서,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고정단(110F)은 제1 셸(110)의 제1 부위(110B)에 가깝고,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자유단(110E)은 제1 셸(110)의 제1 부위(110B)로부터 떨어져 있다.
각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제1 셸(11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가지고 있다. 자유단(110E)과 고정단(110F)의 사이에 위치하는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중앙부(110G)는 제1 측벽부(110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자유단(110E)은 제1 셸(110)의 제1 측벽부(110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캔틸레버 스프링(110D)에 제1 셸(110)의 높이 방향(즉, Z 방향)의 외력을 가했을 때,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고정단(110F)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1 셸(110)의 내측을 향해 기울 수 있다. 캔틸레버 스프링(110D)이 외력에 의해 기울었을 때,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자유단(110E)은 측벽부(132)의 오목부(132b)에 들어간다. 바꾸어 말하면, 측벽부(132)의 오목부(132b) 덕분에,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자파의 공간 전도를 차단하는 관점에서, 도전성 셸의 슬릿은 고주파 전류를 위한 콘택트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슬릿(110C) 및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저주파 콘택트(즉, 중앙 판부(131a)에 부착되어 있는 6개의 제1 콘택트(150))보다도 고주파 콘택트(즉, 측판부(131b)에 부착되어 있는 2개의 제1 콘택트(150))의 근처에 위치해도 된다. 즉,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슬릿 및 캔틸레버 스프링의 위치에 관한 설계상의 제약이 적다.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는 제1 기판(1)의 일면에 부착된다. 제1 기판(1)의 일면은 그라운드 패드와 신호 라인을 가지고 있다. 제1 콘택트(150)의 타단(150b, 150d)은 제1 기판(1)의 신호 라인과 접촉하고 있다. 도체 부품(170)의 막대 형상부(170a) 및 제1 셸(110)의 제1 부위(110B)는 제1 기판(1)의 그라운드 패드와 접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는 땜납을 사용하여 제1 기판(1)에 부착된다.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제2 셸(210)과,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제2 인슐레이터(230)와, 도전성을 가지는 8개의 제2 콘택트(250)를 포함한다.
<제2 인슐레이터, 제2 콘택트>
도 8에 도시하는 제2 인슐레이터(230)는 원피스의 절연 부품이며,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관을 가진다. 제2 인슐레이터(230)는, 제2 인슐레이터(230)의 중앙부에, 제2 인슐레이터(230)의 길이 방향(즉, 도 8에 나타내는 Y 방향)과 평행하게 뻗는 2개의 홈(230a)을 가지고 있다. 일방의 홈(230a)을 따라 3개의 제2 콘택트(250)가 부착되어 있고, 타방의 홈(230a)을 따라 3개의 제2 콘택트(250)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6개의 제2 콘택트(250)의 각각은 띠 형상의 금속판을 구부린 형상을 가지고 있고, U자 형상부(250a)와, U자 형상부(250a)의 일단으로부터 뻗어 있는 L자 형상부(250b)를 가지고 있다. 제2 콘택트(250)의 U자 형상부(250a)는 제2 인슐레이터(230)의 홈(230a)에 위치하고 있다. U자 형상부(250a)는 위를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설명에서의 「상」과 「하」는 도 8에 도시하는 제2 인슐레이터(230)의 높이 방향(즉, Z 방향)에 있어서 지면의 「상」과 「하」에 따른다. 제2 콘택트(250)의 단부(즉, L자 형상부(250b)의 단부)는 제2 인슐레이터(2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벽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인슐레이터(230)는 제2 인슐레이터(2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2개의 오목부(230b)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오목부(230b)에, 나머지 2개의 제2 콘택트(250)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제2 콘택트(250)의 각각은 금속판을 구부린 형상을 가지고 있고, U자 형상부(250c)와, U자 형상부(250c)의 바닥부로부터 뻗어 있는 다리부(250d)를 가지고 있다. U자 형상부(250c)는 위를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제2 콘택트(250)의 단부(즉, 다리부(250d)의 단부)는 제2 인슐레이터(230)의 폭 방향(즉, X 방향)에 있어서의 측벽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인슐레이터(230)는 제2 콘택트(250)가 위치하는 일방의 오목부(230b)와 6개의 제2 콘택트(250)가 위치하는 홈(230a)의 사이, 및 제2 콘택트(250)가 위치하는 타방의 오목부(230b)와 6개의 제2 콘택트(250)가 위치하는 홈(230a)의 사이의 각각에, 제2 인슐레이터(230)의 폭 방향으로 뻗는 슬릿(230c)을 가지고 있다. 즉, 제2 인슐레이터(230)는 2개의 슬릿(230c)을 가지고 있다.
제2 인슐레이터(230)는 제2 인슐레이터(230)의 중앙부와 제2 인슐레이터(2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를 연결하는 교량부(230d)를 가지고 있다. 슬릿(230c)은 2개의 교량부(230d)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셸>
도 9에 도시하는 원피스의 제2 셸(210)은 바닥부(210b)와, 제2 기판(2)에 부착할 수 있는 제2 부위(210B)를 가지고 있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제2 측벽부(210A)를 가지고 있다. 제2 셸(210)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바닥부(210b)는 4개의 평판부(210b1)와 2개의 직립부(210b2)를 가지고 있다. 평판부(210b1)는 제2 측벽부(210A)의 코너부에 위치한다. 직립부(210b2)는 제2 셸(210)의 폭 방향(즉, 도 9에 나타내는 X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평판부(210b1)의 일방으로부터 타방까지 뻗어 있다. 각 직립부(210b2)는 제2 셸(210)의 폭 방향으로 뻗어 있고, 바닥부(210b)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 있다.
각 직립부(210b2)는 2개의 역U자 형상부(210b21)와, 1개의 교량부(210b22)와, 2개의 다리부(210b23)를 가지고 있다. 역U자 형상부(210b21)는 평판부(210b1)로부터 수직으로 제2 셸(210)의 위를 향하여 뻗고, 수직으로 제2 셸(210) 아래를 향하여 되꺾여 있다. 설명에 있어서의 「상」과 「하」는 도 9에 도시하는 제2 셸(210)의 높이 방향(즉, Z 방향)에 있어서 지면의 「상」과 「하」에 따른다. 교량부(210b22)는 일방의 역U자 형상부(210b21)로부터 타방의 역U자 형상부(210b21)까지 뻗어 있다. 2개의 다리부(210b23)는 교량부(210b22)의 중앙부로부터, 제2 셸(210)의 위를 향하여 뻗어 있다. 다리부(210b23)는, 다리부(210b23)의 선단에, 제2 셸(210)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발톱(210b24)을 가지고 있다. 역U자 형상부(210b21)는 역U자 형상부(210b2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발톱(210b25)을 가지고 있다.
제2 측벽부(210A)의 각 변은 제2 측벽부(210A)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가늘고 긴 반원통형의 볼록부(210e)를 가지고 있다. 볼록부(210e)는 제2 측벽부(210A)의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2 셸(210)은 제2 인슐레이터(230)에 부착되고, 이 결과, 제2 인슐레이터(230)는 제2 셸(210)의 내부에 위치한다(도 6 참조). 이때, 제2 셸(210)의 2개의 직립부(210b2)는 제2 인슐레이터(230)의 2개의 슬릿(230c)에 수용된다. 발톱(210b25)을 가지는 역U자 형상부(210b21)의 사이에, 제2 인슐레이터(230)의 교량부(230d)가 압입된다. 제2 셸(210)의 제2 측벽부(210A)는 제2 인슐레이터(230)의 외측을 둘러싸고 있다. 제2 셸(210)의 제2 측벽부(210A)의 하단부가 제2 기판(2)에 부착할 수 있는 제2 부위(210B)에 상당한다.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는 제2 기판(2)의 일면에 부착된다. 제2 기판(2)의 일면은 그라운드 패드와 신호 라인을 가지고 있다. 상술의 6개의 제2 콘택트(250)의 L자 형상부(250b)의 단부 및 상술의 2개의 제2 콘택트(250)의 다리부(250d)의 단부는 제2 기판(2)의 신호 라인과 접촉하고 있다. 제2 셸(210)의 제2 부위(210B) 및 제2 셸(210)의 교량부(210b22)는 제2 기판(2)의 그라운드 패드와 접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는, 땜납을 사용하여, 제2 기판(2)에 부착된다.
<커넥터 어셈블리>
제1 기판(1)의 일면에 고정된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와 제2 기판(2)의 일면에 고정된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는 제1 기판(1)의 일면과 제2 기판(2)의 일면이 평행하게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끼워 맞추어진다(도 10 참조). 서로 끼워 맞추어진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와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는 커넥터 어셈블리(500)를 구성한다. 커넥터 어셈블리(500)에 의해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의 평행 접속이 실현되고,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 어셈블리(500)에 있어서,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의 제1 셸(110)은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의 제2 셸(2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500)에 있어서, 제1 인슐레이터(130)에 있어서의 콘택트열을 형성하고 있는 6개의 제1 콘택트(150)의 일단(150a)은 제2 인슐레이터(230)의 홈에 위치하는 6개의 제2 콘택트(250)의 U자 형상부(250a)에 끼워져 있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500)에 있어서, 제1 인슐레이터(130)의 나머지 2개의 제1 콘택트(150)의 일단(150c)은 제2 인슐레이터(230)의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콘택트(250)의 U자 형상부(250c)에 끼워져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500)에 있어서, 제1 인슐레이터(130)에 부착된 도체 부품(170)의 벽부(170b)는 제2 셸(210)의 직립부(210b2)에 있어서의 역U자 형상부(210b21)와 다리부(210b23)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1 인슐레이터(130)에 부착된 도체 부품(170)과 제2 셸(210)의 직립부(210b2)의 조합체는 저주파 콘택트와 고주파 콘택트를 전자기적으로 격리하는 실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와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가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제1 셸(110)의 볼록부(111e)는 제2 셸(210)의 볼록부(210e)를 타고 넘는다. 커넥터 어셈블리(500)에 있어서, 제1 셸(110)의 볼록부(111e)와 제2 셸(210)의 볼록부(210e)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셸(110)과 제2 셸(210) 사이의 간극이 감소하므로, 커넥터 어셈블리(500)의 실드 성능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500)에 있어서,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의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의 제2 셸(210)의 제2 측벽부(210A)에 접촉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캔틸레버 스프링(110D)에 제1 셸(110)의 높이 방향의 외력을 가했을 때,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고정단(110F)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1 셸(110)의 내측을 향하여 기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를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에 끼울 때에 제2 셸(210)이 제1 셸(110)의 캔틸레버 스프링(110D)에 부딪쳐도,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좌굴(座屈)은 생기지 않는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의 제1 부위(110B)로부터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의 제2 부위(210B)까지의 거리는,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거리와 비교하여 충분히 짧아진다. 선행기술과 같이 캔틸레버 스프링이 상술의 실시형태에서 채용되고 있는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뻗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경우(도 12b 참조),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의 제1 부위(110B)로부터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의 제2 부위(210B)까지의 최단 경로는, 도 12a, 12b에서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꺾임 부분을 갖는 Z자 형상이다. 도 12a에 있어서 굵은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로는 도 12b에서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경로와 같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100)의 제1 부위(110B)로부터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200)의 제2 부위(210B)까지의 최단 경로는, 도 11a, 11b에서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꺾임 부분이 없는 스텝 형상이다. 따라서, 실시형태에 의한 캔틸레버 스프링(110D)은 양호한 그라운드 성능을 발휘한다. 즉, 커넥터 어셈블리(500)에 있어서 EMI의 저감이 실현된다.
도 13에, 실시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500)와 제1 비교예와 제2 비교예의 각각의 EMI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방사 전계 강도(단위: dBμV/m)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단위: GHz)이다. 제1 비교예는 캔틸레버 스프링이 상술의 실시형태에서 채용되고 있는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뻗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커넥터 어셈블리(500)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2 비교예는, 상술의 실시형태에서 채용되고 있는 캔틸레버 스프링(110D)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커넥터 어셈블리(500)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래프 중의 실선은 제1 비교예의 방사 전계 강도이고, 파선은 제2 비교예의 방사 전계 강도이며, 2점 쇄선은 커넥터 어셈블리(500)의 방사 전계 강도이다. 커넥터 어셈블리(500)와 제1 비교예와의 비교로부터, 선행기술에서 채용된 캔틸레버 스프링의 뻗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는 캔틸레버 스프링(110D)를 채용함으로써, 커넥터 어셈블리(500)의 EMI가 크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500)와 제2 비교예와의 비교로부터, 제1 셸(110)의 볼록부(111e)와 제2 셸(210)의 볼록부(210e)의 접촉에 따른 간극 저감 구조와 캔틸레버 스프링(110D)의 조합이 커넥터 어셈블리(500)의 EMI를 크게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충>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행하여, 그 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특정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그 컴포넌트를 본 발명의 교시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많은 수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의 사용은 순서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용어 「포함한다」와 그 어형 변화는 본 명세서 및/또는 첨부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특징, 스텝, 조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명확하게 하지만,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특징, 스텝, 조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그것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및/또는」이라고 하는 용어는, 그것이 만약 있다면, 관련되는 리스트된 요소의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있어서, 특히 명기하지 않는 한, 「접속」, 「결합」, 「접합」, 「연결」, 또는 그것들의 동의어, 및 그 모든 어형은, 예를 들면,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되어 있거나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 사이의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의 존재를 반드시 부정하지 않는다.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있어서, 「임의」라고 하는 용어는, 그것이 만약 있다면,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전칭 기호 ∀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임의의 X에 대하여」라고 하는 표현은 「모든 X에 대하여」 혹은 「각 X에 대하여」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를 포함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되어 있는 용어 등의 용어는 관련 기술 및 본 개시의 문맥에 있어서의 그것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명시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많은 기법 및 스텝이 개시되어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들의 각각에는 개별의 이점이 있고, 각각 다른 개시된 기법의 하나 이상,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모두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번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각자의 기법 또는 스텝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설명하는 것을 삼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세서 및 청구항은 그러한 조합이 완전하게 본 발명 및 청구항의 범위 내인 것을 이해하고 읽혀져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에 있어서 수단 또는 스텝과 결합한 모든 기능적 요소가 대응하는 구조, 재료, 행위, 및 동등물은, 그것들이 있다고 한다면, 다른 요소와 조합하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구조, 재료, 또는 행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이 허용된다. 선택되고 또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적 응용을 해설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 혹은 변형을 수반하여 다양한 실시형태로서 사용되고, 다양한 변경 혹은 변형은 기대되는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의 모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의도되어 있고, 공평, 적법 및 공정하게 주어지는 확장 범위에 따라 해석되는 경우, 같은 보호가 주어지는 것이 의도되어 있다.
1 제1 기판 2 제2 기판
100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10 제1 셸
110A 제1 측벽부 110B 제1 부위
110C 슬릿 110D 캔틸레버 스프링
110E 자유단 110F 고정단
110G 중앙부 111 금속 부품
111a 제1 판부 111b 제2 판부
111c 훅 111d 브레이스
111e 볼록부 111g 발톱
130 제1 인슐레이터 131 바닥부
131a 중앙 판부 131b 측판부
132 측벽부 132a 오목부
132b 오목부 150 제1 콘택트
150a 일단 150b 타단
150c 일단 150d 타단
170 도체 부품 170a 막대 형상부
170b 벽부 170c 단부
200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 210 제2 셸
210A 제2 측벽부 210B 제2 부위
210b 바닥부 210b1 평판부
210b2 직립부 210b21 역U자 형상부
210b22 교량부 210b23 다리부
210b24 발톱 210b25 발톱
210e 볼록부 230 제2 인슐레이터
230a 홈 230b 오목부
230c 슬릿 230d 교량부
250 제2 콘택트 250a U자 형상부
250b L자 형상부 250c U자 형상부
250d 다리부 500 커넥터 어셈블리

Claims (9)

  1. 기판에 부착할 수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로서,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셸;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인슐레이터; 및
    도전성을 가지는 적어도 1개의 콘택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셸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셸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셸은 상기 인슐레이터를 따르는 측벽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기판에 부착할 수 있는 부위를 가지고 있고,
    상기 셸의 상기 측벽부는 슬릿을 가지고 있고,
    상기 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슬릿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자유단과 상기 셸의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단을 가지고 있는, 캔틸레버 스프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은 상기 셸의 높이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의 상기 고정단은 상기 셸의 상기 부위에 가깝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셸의 상기 부위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은 상기 셸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의 부위(단, 당해 부위는 상기 자유단과 상기 고정단의 사이에 위치함)는 상기 셸의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셸의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셸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셸의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셸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셸의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적어도 2개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고주파 전류를 위한 고주파 콘택트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콘택트(단, 상기 고주파 콘택트를 제외함)는 저주파 전류를 위한 저주파 콘택트이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은 상기 저주파 콘택트보다도 상기 고주파 콘택트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적어도 2개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고주파 전류를 위한 고주파 콘택트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콘택트(단, 상기 고주파 콘택트를 제외함)는 저주파 전류를 위한 저주파 콘택트이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은 상기 저주파 콘택트보다도 상기 고주파 콘택트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적어도 2개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고주파 전류를 위한 고주파 콘택트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콘택트(단, 상기 고주파 콘택트를 제외함)는 저주파 전류를 위한 저주파 콘택트이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은 상기 저주파 콘택트보다도 상기 고주파 콘택트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적어도 2개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고주파 전류를 위한 고주파 콘택트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콘택트(단, 상기 고주파 콘택트를 제외함)는 저주파 전류를 위한 저주파 콘택트이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은 상기 저주파 콘택트보다도 상기 고주파 콘택트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9.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제1 기판에 부착할 수 있는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제2 기판에 부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와 끼워 맞추어져 있는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제1 셸;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제1 인슐레이터; 및
    도전성을 가지는 제1 콘택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셸은 상기 제1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1 셸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셸은 상기 제1 인슐레이터를 따르는 제1 측벽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셸의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제1 기판에 부착할 수 있는 제1 부위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셸의 상기 제1 측벽부는 슬릿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셸의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슬릿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자유단과 상기 제1 셸의 상기 제1 측벽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단을 가지고 있는, 캔틸레버 스프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은 상기 제1 셸의 높이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의 상기 고정단은 상기 제1 셸의 상기 제1 부위에 가깝고,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제1 셸의 상기 제1 부위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제2 셸;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제2 인슐레이터; 및
    도전성을 가지는 제2 콘택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콘택트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2 셸은 상기 제2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제2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2 셸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셸은 상기 제2 인슐레이터를 둘러싸는 제2 측벽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셸의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2 기판에 부착할 수 있는 제2 부위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와 상기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상기 제1 셸은 상기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상기 제2 셸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제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상기 캔틸레버 스프링은 상기 제2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상기 제2 셸의 상기 제2 측벽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10046400A 2020-05-13 2021-04-09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KR102507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4468 2020-05-13
JPJP-P-2020-084468 2020-05-13
JPJP-P-2020-091146 2020-05-26
JP2020091146A JP7348135B2 (ja) 2020-05-26 2020-05-26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02280 2020-06-12
JP2020102280A JP7366844B2 (ja) 2020-06-12 2020-06-12 コネクタ
JP2020105098A JP7493877B2 (ja) 2020-06-18 2020-06-18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JP-P-2020-105098 2020-06-18
JP2020120397A JP7395437B2 (ja) 2020-07-14 2020-07-14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20397 2020-07-14
JPJP-P-2020-121984 2020-07-16
JP2020121984A JP7445551B2 (ja) 2020-07-16 2020-07-16 コネクタ
JPJP-P-2020-132981 2020-08-05
JP2020132981A JP7461245B2 (ja) 2020-08-05 2020-08-05 コネクタ
JPJP-P-2020-141324 2020-08-25
JP2020141324A JP7471960B2 (ja) 2020-05-13 2020-08-25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55230 2020-09-16
JP2020155230A JP7467296B2 (ja) 2020-09-16 2020-09-16 コネクタ組立体
JP2020161721A JP2022054592A (ja) 2020-09-28 2020-09-28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61721 2020-09-28
JPJP-P-2020-184224 2020-11-04
JP2020184235A JP2022074300A (ja) 2020-11-04 2020-11-04 コネクタ
JPJP-P-2020-184235 2020-11-04
JP2020184224A JP7476078B2 (ja) 2020-11-04 2020-11-04 コネクタ
JPJP-U-2020-005298 2020-12-08
JP2020005298U JP3230774U (ja) 2020-12-08 2020-12-08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JP-P-2020-205016 2020-12-10
JP2020205016A JP7502167B2 (ja) 2020-12-10 2020-12-10 基板対基板コネクタ、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142A KR20210139142A (ko) 2021-11-22
KR102507506B1 true KR102507506B1 (ko) 2023-03-08

Family

ID=7871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400A KR102507506B1 (ko) 2020-05-13 2021-04-09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5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3510A1 (en) 2015-07-29 2017-02-02 Dai-Ichi Seiko Co., Ltd. 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US20190296489A1 (en) 2017-04-07 2019-09-26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8986B1 (en) * 2006-03-21 2007-01-3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with EMI shielding shields
US7494378B1 (en) * 2008-03-06 2009-02-24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KR101496720B1 (ko) * 2013-11-08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3510A1 (en) 2015-07-29 2017-02-02 Dai-Ichi Seiko Co., Ltd. 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US20190296489A1 (en) 2017-04-07 2019-09-26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142A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5383B (zh) 基板對基板連接器、連接器組件
US6019616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grounding characteristics
US8047875B2 (en) Connector device
US10950961B2 (en) Card edge connector structure
CN113629454B (zh) 连接器装置
KR100421434B1 (ko) 향상된접지특성을가진전기커넥터
KR102507506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JP2011150848A (ja) シールド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
CN111009784A (zh) 电连接器
JP2018045938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6210228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KR102569847B1 (ko)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JP7502167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US20230008789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30006377A1 (en) Connector,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N215184851U (zh) 基板对基板连接器、连接器组件
CN111342272A (zh) 一种电连接器
JP2003508936A (ja) Emi抑制配線プレートを備えた電気部品の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emi抑制配線プレート
CN214754502U (zh) 具有屏蔽结构的卡缘连接器
JP7148009B2 (ja) 電気コネクタ
US11108177B2 (en) Card connector with frame-like tongue for protecting cantilevered contacts
CN108400461B (zh) 端子
KR100751809B1 (ko) 전자파 차단 커넥터
JP2022171889A (ja) 電気コネクタ
JP2023009153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