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952B1 - 바이트 홀더 - Google Patents

바이트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952B1
KR102506952B1 KR1020210093457A KR20210093457A KR102506952B1 KR 102506952 B1 KR102506952 B1 KR 102506952B1 KR 1020210093457 A KR1020210093457 A KR 1020210093457A KR 20210093457 A KR20210093457 A KR 20210093457A KR 102506952 B1 KR102506952 B1 KR 10250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uter body
metal plate
core material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2773A (ko
Inventor
이강재
홍종해
김신동
박희종
한덕훈
정희주
석상기
Original Assignee
유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3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9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2Boring bars
    • B23B29/022Boring bars with vibration re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4Cooling or lubric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트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바이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 홀더는 내부에 후단부가 개방된 결합공(11)이 형성된 외부몸체(10)와, 상기 결합공(11)에 결합고정된 심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몸체(10)는 상기 심재(20)보다 연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심재(20)는 상기 외부몸체(10)보다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트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강도와 연성 및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외부몸체(10)와 심재(20)를 열간압입방법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여 구성됨으로, 강도가 높으면서,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공할 때 진동과 굽힘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몸체(10)와 심재(20)의 공진주파수가 서로 달라서 공진에 의해 진동이 증폭되거나, 바이트 홀더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가공 정밀도와 가공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트 홀더{bite holder}
본 발명은 바이트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트 홀더 내부에 고강도 재질의 심재를 구성하여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바이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이나 머신센터(MCT) 등에 구비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는 대상물을 가공할 때 사용되는 바이트는 가공장치에 구비된 바이트 홀더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바이트 홀더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선단부에 형성된 안착부에 상기 바이트를 나사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길이가 긴 대상물에 형성된 구멍의 내주면을 가공할 경우, 바이트가 대상물의 구멍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트 홀더는 길이가 긴 바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길이가 긴 바형상의 바이트 홀더에 고정된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공할 경우, 바이트 홀더에 굽힘 현상과 진동이 발생하여 대상물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없으며, 경우에 따라 바이트 홀더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11-003448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이트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바이트 홀더 내부에 고강도 재질의 심재를 구성하여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바이트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공장치에 구비되며 선단부에 바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바이트 홀더에 있어서, 내부에 후단부가 개방된 결합공(11)이 형성된 외부몸체(10)와, 상기 결합공(11)에 결합고정된 심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몸체(10)는 상기 심재(20)보다 연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심재(20)는 상기 외부몸체(10)보다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트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몸체(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단부 상면에 상기 바이트가 안착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1)은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심재(20)는 외경이 상기 결합공(1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큰 원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몸체(10)를 가열한 후 상기 결합공(11)에 심재(20)를 압입하는 열간압입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심재(20)를 결합공(11)에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트 홀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공(11)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링형상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오목홈(13)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심재(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목홈(13)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트 홀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몸체(10)는 금속판(60)을 제조하는 금속판 제조단계와, 상기 금속판 제조단계에서 제작된 금속판(60)을 제1 가압성형기(30)를 이용하여 U자로 1차 벤딩한 후 벤딩된 금속판(60)을 코어(50)의 둘레면에 배치하고 제2 가압성형기(40)를 이용하여 금속판(60)이 상기 코어(50)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2차로 벤딩하여 외부몸체(10)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코어(50)의 둘레면에 결합된 외부몸체(10)를 가열하여 팽창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어(50)를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코어(50)로부터 분리된 외부몸체(10)의 선단부를 압착 및 용접하여 상기 안착부(12)를 형성하는 마무리단계를 통해 제조되며, 상기 코어(50)는 외부형상이 상기 심재(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51a)가 형성된 코어본체(51)와, 상기 코어본체(51)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공간부(51a)의 내부 전방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52a)이 연결된 급수관(52)과, 상기 코어본체(51)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제어밸브(54)가 구비된 배수관(53)으로 구성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밸브(54)를 밀폐하고 상기 급수관(52)을 통해 공간부(51a)의 내부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코어(50)의 둘레면에 감기는 금속판(60)의 압력에 의해 코어(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밸브(54)를 개방하고 상기 급수관(52)을 통해 공간부(51a)의 내부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물이 코어(50)의 열을 흡수하여 상기 배수관(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코어(50)를 냉각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트 홀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 홀더는 강도와 연성이 서로 다른 외부몸체(10)와 심재(20)를 열간압입방법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여 구성됨으로, 강도가 높으면서, 바이트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공할 때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몸체(10)와 심재(20)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달라서 공진에 의해 진동이 증폭되거나, 바이트의 떨림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함으로써, 깊이가 깊은 내경가공시에 도 바이트와 바이트홀더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하고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어 가공 내면의 가공정밀도와 표면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율적인 다양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 홀더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 홀더의 후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 홀더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 홀더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 홀더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 홀더의 제2 실시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공장치에 구비되며 선단부에 바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바이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바이트 홀더는 내부에 후단부가 개방된 결합공(11)이 형성된 외부몸체(10)와, 상기 결합공(11)에 결합고정된 심재(2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부몸체(10)는 연성과 충격흡수성이 상기 심재(20)보다 높은 금속재질, 예를 들어, 연철이나 기타 연성이 높은 다양한 종류의 합금재질이나 SCM계와 같은 통상의 강도와 인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으로 구성되고, 전단부 상단면에 바이트가 안착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1)은 후방에서 볼 때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단부는 상기 외부몸체(10)의 안착부(12)보다 조금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심재(20)는 강도가 상기 외부몸체(10)보다 높은 금속재질, 예를 들어 초경이나 SKD계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외경이 상기 결합공(1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내경에 비해 미세하게 큰 원봉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몸체(10)를 가열하여 외부몸체(10)가 팽창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몸체(10)의 결합에 심재(20)를 압입한 후, 외부몸체(10)를 천천히 냉각시키는 열간압입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심재(20)를 결합공(11)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이트 홀더는 강도와 연성이 서로 다른 외부몸체(10)와 심재(20)를 열간압입방법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여 구성함으로, 강도가 높은 이종결합된 바이트홀더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바이트홀더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공할 때 처짐 변형과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몸체(10)와 심재(20)의 공진주파수가 서로 달라서 공진에 의해 진동이 증폭되거나, 바이트 홀더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외부몸체(10)에 형성된 결합공(11)의 내주면에 원형방향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오목홈(13)이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13)은 측단면 형상이 지름이 작은 호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심재(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목홈(13)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열간압연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심재(20)를 상기 외부몸체(10)에 결합하면, 상기 오목홈(13)과 결합돌기(21)가 상호 맞물려 외부몸체(10)와 심재(2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부몸체(10)는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60)을 제조하는 금속판 제조단계와, 상기 금속판(60)을 코어(50)와 제1 및 제2 가압성형기(30,40)를 이용하여 코어(50)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벤딩하여 외부몸체(10)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코어(50)를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코어(50)로부터 분리된 외부몸체(10)의 선단부를 압착 및 용접하여 상기 안착부(12)를 형성하는 마무리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 금속판 제조단계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몸체(10)를 펼친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절단된 금속판(60)을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금속판(60)의 양측면은 45°로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성형단계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 제조단계에서 제작된 금속판(60)을 제1 가압성형기(30)를 이용하여 U자로 1차 벤딩한 후 벤딩된 금속판(60)을 코어(50)의 둘레면에 배치하고 제2 가압성형기(40)를 이용하여 금속판(60)이 상기 코어(50)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2차로 벤딩하여 외부몸체(10)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코어(5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형상이 상기 심재(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51a)가 형성된 코어본체(51)와, 상기 코어본체(51)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공간부(51a)의 내부 전방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52a)이 연결된 급수관(52)과, 상기 코어본체(51)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제어밸브(54)가 구비된 배수관(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본체(51)는 상기 금속판(60)에 비해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심재(20)에 형성된 결합돌기(21)와 동일한 형태의 성형돌부(51b)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수단(52a)은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상기 급수수단(52a)을 통해 공간부(51a)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가압성형기(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U자홈(31a)이 형성된 하부금형(31)과, 상기 하부금형(31)의 상측에 구비되고 하측에는 돌출부(32a)가 형성되며 유압실린더(33)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금형(32)으로 구성되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31)에 상기 금속판(60)을 올려놓고,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32)을 하강시키면, 상기 돌출부(32a)가 금속판(60)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U자홈(31a)의 내부로 밀어 넣음으로써, 금속판(60)을 U자형으로 벤딩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압성형기(4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벤딩된 금속판(60)이 삽입되는 하부성형홈(41a)이 형성된 하부금형(41)과, 상기 하부금형(41)의 상측에 구비되고 하측면에는 반원형상의 상부성형홈(42a)이 형성되며 유압실린더(43)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금형(42)으로 구성되어,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벤딩된 금속판(60)을 상기 코어(50)의 하측 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성형홈(41a)에 삽입하고,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금형(42)을 하강시키면, 상부금형(42)의 상부성형홈(42a)에 의해 금속판(60)이 가압변형되어 금속판(60)이 코어(50)의 둘레부를 감싸는 관체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관체형상의 외부몸체(10)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코어(50)의 둘레면에는 성형돌부(51b)가 형성됨으로, 상기 외부몸체(10)의 내주면에 상기 오목홈(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가압성형기(40)를 이용하여 금속판(60)을 관체형상으로 변형할 때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수단(52a)을 제어하여 상기 공간부(51a)의 내부에 물을 충진하여 공간부(51a) 내부의 공기가 모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밸브(54)를 제어하여 배수관(53)을 밀폐하고, 상기 급수수단(52a)을 제어하여 공간부(51a)의 내부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제2 가압성형기(40)에 의해 금속판(6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코어(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코어(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어(5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51a)가 형성됨으로, 강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변형될 수 있는데, 공간부(51a)의 내부에 비압축성유체인 물이 고압으로 공급되면, 상기 제2 가압성형기(40)를 이용하여 금속판(60)을 벤딩할 때 코어(50)가 내측으로 가압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제2 가압성형기(40)에 의해 성형되는 금속판(60)이 코어(50)의 외측면에 강하게 밀착가압되면, 금속판(60)이 코어(50)의 외측 형상대로 성형된다.
즉, 상기 금속판(60)이 완전한 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 벤딩됨과 동시에, 내주면에 오목홈(13)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단계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어(50)의 둘레면에 결합된 외부몸체(10)를 가열기(70)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외부몸체(10)가 팽창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시 안된 이젝터를 이용하여 코어(50)를 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외부몸체(10)에 결합된 코어(50)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제어밸브(54)를 개방하고 상기 급수관(52)을 통해 공간부(51a)의 내부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물이 코어(50)의 열을 흡수하여 상기 배수관(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코어(50)를 냉각시킨다.
즉, 상기 외부몸체(10)는 코어(50)에 밀착되도록 성형됨으로, 상기 코어(50)에 형성된 성형돌부(51b)와, 완성된 외부몸체의 오목홈(13)이 상호 결합되어 코어(50)를 단순히 밀어내는 것만으로는 코어(50)를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외부몸체(10)를 가열하여 팽창시킨 후 코어(50)를 밀어내어 분리하여야 하는데, 외부몸체(10)는 코어(50)에 밀착되어 있음으로, 외부몸체(10)를 가열하여 팽창시킬 때 코어(50)에도 열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코어(50)가 함께 팽창되어 코어(50)를 밀어내어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수단(52a)과 제어밸브(54)를 제어하여 코어(50)를 냉각시키면, 코어(50)는 팽창되지 않고 외부몸체(10)만 팽창됨으로, 코어(50)의 외주면과 외부몸체(10)의 내주면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코어(50)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코어(5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마무리단계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50)로부터 분리된 외부몸체(10)의 선단부를 별도의 가압성형기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안착부(12)를 형성한 후, 용접기를 이용하여 외부몸체(10)의 각 부분을 용접 및 추가 가공하여 외부몸체(10)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외부몸체(10)가 완성되면, 전술한 제1 실시 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열간압입방법을 이용하여 외부몸체(10)에 심재(20)를 결합함으로써, 바이트 홀더를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이트 홀더는 상기 결합공(11)의 내주면에는 링형상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오목홈(13)이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심재(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목홈(13)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1)가 형성됨으로, 심재(20)를 외부몸체(10)를 상호 결합하면, 상기 오목홈(13)과 결합돌기(21)가 상호 결합되어, 심재(20)와 외부몸체(1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외부몸체(10)는 오목홈(13)이 형성된 금속판(60)을 코어(50)를 이용하여 벤딩하여 성형함으로, 오목홈(13)을 정확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50)는 외부형상이 상기 심재(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51a)가 형성된 코어본체(51)와, 상기 코어본체(51)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공간부(51a)의 내부 전방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52a)이 연결된 급수관(52)으로 구성되어, 코어(50)를 외부몸체(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외부몸체(10)를 가열할 때, 코어(50)의 공간부(51a)에 물을 공급하여 냉각시킴으로써, 코어(50)가 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고, 코어(5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외부몸체
11: 결합공 12: 안착부
13: 오목홈
20. 심재 21: 결합돌기
30: 1차 가압성형기 40: 2차 가압성형기
50: 코어 60: 금속판
70: 가열기

Claims (4)

  1. 가공장치에 구비되며 선단부에 바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바이트 홀더에 있어서,
    내부에 후단부가 개방된 결합공(11)이 형성된 외부몸체(10)와, 상기 결합공(11)에 결합고정된 심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몸체(10)는 연성과 충격흡수성이 상기 심재(20)보다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심재(20)는 강도가 상기 외부몸체(10)보다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하되;
    상기 외부몸체(10)는 금속판(60)을 제조하는 금속판 제조단계와, 상기 금속판 제조단계에서 제작된 금속판(60)을 제1 가압성형기(30)를 이용하여 U자로 1차 벤딩한 후 벤딩된 금속판(60)을 코어(50)의 둘레면에 배치하고 제2 가압성형기(40)를 이용하여 금속판(60)이 상기 코어(50)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2차로 벤딩하여 외부몸체(10)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코어(50)의 둘레면에 결합된 외부몸체(10)를 가열하여 팽창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어(50)를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코어(50)로부터 분리된 외부몸체(10)의 선단부를 압착 및 용접하여 안착부(12)를 형성하는 마무리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단부 상면에 상기 바이트가 안착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1)은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심재(20)는 외경이 상기 결합공(1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큰 원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몸체(10)를 가열한 후 상기 결합공(11)에 심재(20)를 압입하는 열간압입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심재(20)를 결합공(11)에 결합하도록 제조하며;
    상기 코어(50)는 외부형상이 상기 심재(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51a)가 형성된 코어본체(51)와, 상기 코어본체(51)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공간부(51a)의 내부 전방까지 연장되며 고압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52a)이 연결된 급수관(52)과, 상기 코어본체(51)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제어밸브(54)가 구비된 배수관(53)으로 구성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밸브(54)를 밀폐하고 상기 급수관(52)을 통해 공간부(51a)의 내부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코어(50)의 둘레면에 감기는 금속판(60)의 압력에 의해 코어(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밸브(54)를 개방하고 상기 급수관(52)을 통해 공간부(51a)의 내부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물이 코어(50)의 열을 흡수하여 상기 배수관(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코어(50)를 냉각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트 홀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1)의 내주면에는 링형상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오목홈(13)이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심재(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목홈(13)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트 홀더.
  4. 삭제
KR1020210093457A 2021-07-16 2021-07-16 바이트 홀더 KR10250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457A KR102506952B1 (ko) 2021-07-16 2021-07-16 바이트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457A KR102506952B1 (ko) 2021-07-16 2021-07-16 바이트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773A KR20230012773A (ko) 2023-01-26
KR102506952B1 true KR102506952B1 (ko) 2023-03-07

Family

ID=8511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457A KR102506952B1 (ko) 2021-07-16 2021-07-16 바이트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9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094A (ja) * 2011-08-05 2013-02-21 Mitsubishi Materials Corp クーラント穴付き切削工具
US20200276627A1 (en) * 2019-03-01 2020-09-03 Bhaven Chakravarti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ion of metallurgically bonded clad billet and products thereof, and metallurgically bonded clad bill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618B1 (ko) * 2004-05-20 2006-06-19 한국과학기술원 절삭 바이트 장착용 하이브리드 바이트 홀더
KR20110034483A (ko) 2009-09-28 2011-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바이트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094A (ja) * 2011-08-05 2013-02-21 Mitsubishi Materials Corp クーラント穴付き切削工具
US20200276627A1 (en) * 2019-03-01 2020-09-03 Bhaven Chakravarti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ion of metallurgically bonded clad billet and products thereof, and metallurgically bonded clad bil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773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1317B1 (en) Molding device
WO2006109761A1 (ja) 超伝導加速空洞の製造方法
KR102506952B1 (ko) 바이트 홀더
JPWO2020194646A1 (ja) 逆止弁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逆止弁の製造方法
KR101641786B1 (ko) 하이드로포밍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강관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US6425752B1 (en) Bubbler tube with integral inlet pipe and bimetal core for injection molding tools and method of making the bubbler tube
EP1844875B1 (en) Method and device for upsetting cylindrical material
JP2760269B2 (ja) バルジ形状配管の製造方法
KR20070106202A (ko) 냉간단조용 금형
JP4914356B2 (ja) 内側異形部を後方押出し加工するための方法
JP2001321844A (ja) 金属管のハイドロフォーム方法および金型
US3994149A (en) Press for hydrostatic extrusion of tubes
KR101179763B1 (ko) 하이드로포밍을 이용한 다중복합강관 및 그 제조방법
JP6580935B2 (ja) 拡管機
JP4318552B2 (ja) パイプベンダー
JP2006122943A (ja) 液圧成形用ノズルおよび液圧成形装置
KR20200130796A (ko) 형단조용 금형
JP3816405B2 (ja) ハイドロフォーム法、ハイドロフォーム筒状部材
WO2020071333A1 (en) Rack bar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622040B1 (ko) 시스템 에어컨 설치용 분지관 및 그 제조방법
JP7158237B2 (ja) 中空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630759B2 (ja) バルジ成形方法
JP2007075844A (ja) 液圧バルジ加工製品およびその液圧バルジ成形方法
KR20120135835A (ko) 단면이 원형인 내면을 가지는 중공체 제조 방법
KR102187388B1 (ko) 형단조용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