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923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923B1
KR102504923B1 KR1020190178442A KR20190178442A KR102504923B1 KR 102504923 B1 KR102504923 B1 KR 102504923B1 KR 1020190178442 A KR1020190178442 A KR 1020190178442A KR 20190178442 A KR20190178442 A KR 20190178442A KR 102504923 B1 KR102504923 B1 KR 102504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parts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423A (ko
Inventor
이진성
권영철
오현지
이기림
이범희
정현택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923B1/ko
Priority to PCT/KR2020/018721 priority patent/WO2021137490A1/ko
Publication of KR2021008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3 내지 23 중량부; 멜라민 포스페이트 5 내지 40 중량부;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 1 내지 27 중량부; 및 평균 입자 크기가 0.2 내지 3 ㎛이고,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인 산화아연 0.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및 상기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1 : 0.2 내지 1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저연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난연성, 저연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내충격 폴리스티렌(HIPS) 수지는 기계적 강도 및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 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충격 폴리스티렌 수지는 불꽃에 대한 저항성이 없고, 외부의 점화 요인에 의해 불꽃이 점화되면 수지 자체가 분해하면서 원료를 제공하여 연소를 확대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내충격 폴리스티렌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난연제와 난연 보조제를 첨가하는 첨가형 난연화법이 있으며, 통상 비활성 원소인 할로겐 또는 인 등을 함유한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화를 달성한다. 내충격 폴리스티렌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난연제는 주로 할로겐 함유 유기화합물과 안티몬 함유 무기화합물을 혼합 사용하여 난연성 수지를 제조한다. 상기 할로겐 함유 유기화합물로는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브롬화에폭시올리고머,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 2,4,6-트리스(2,4,6-트리브로모페녹시)-1,3,5 트리아진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충격 폴리스티렌 수지에 UL 94 V-0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할로겐 화합물과 삼산화안티몬을 과량으로 투입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기계적 물성 저하, 유동성 등이 저하되고, 연소 시 많은 할로겐계 가스가 발생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없이, 난연성, 저연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6895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 저연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3 내지 23 중량부; 멜라민 포스페이트 5 내지 40 중량부;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 1 내지 27 중량부; 및 평균 입자 크기가 0.2 내지 3 ㎛이고,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인 산화아연 0.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및 상기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1 : 0.2 내지 1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 3 내지 30 중량%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70 내지 97 중량%의 중합체일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가 0.01 내지 1일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하기 식 1에 의한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이 1,000 내지 2,000 Å일 수 있다:
[식 1]
미소결정 크기(D) =
Figure 112019135753570-pat00001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X선 회절 피크(peak)의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및 상기 멜라민 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1 : 0.5 내지 1 : 7일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및 상기 산화아연의 중량비는 1 : 0.008 내지 1 : 0.8일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페라진 디포스페이트 7 내지 38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기준에 따라 측정한 2.0 mm 두께 이상의 시편에서 난연도가 V-0 이상일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746A에 의거하여 측정한 100 mm × 100 mm × 2 mm 크기 시편의 GWFI(Glow Wire Flammability Index)가 825 내지 960℃일 수 있고, UL746A에 의거하여 측정한 125 mm × 13 mm × 1.5 mm 크기 시편의 HWI(Hot Wire Ignition) 등급이 0 또는 1일 수 있다.
11. 상기 1 내지 10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E662에 의거하여 측정한 100 mm × 100 mm × 3 mm 시편의 연기 밀도가 190 내지 300일 수 있다.
12. 상기 1 내지 11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4"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4 내지 17 kgf·cm/cm일 수 있다.
13.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연성, 저연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B)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C) 멜라민 포스페이트; (D)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 및 (E) 산화아연;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A)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본 발명의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통상의 내충격 폴리스티렌(HIPS)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 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프렌고무,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엔계 고무,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부타디엔계 고무,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고무 입자)는 평균 입자 크기가 0.05 내지 6 ㎛, 예를 들면 0.15 내지 4 ㎛, 구체적으로 0.25 내지 3.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z-평균)는 라텍스(latex) 상태에서 광 산란(light scat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메쉬(mesh)에 걸러서, 고무질 중합체 중합 중 발생하는 응고물 제거하고, 라텍스 0.5 g 및 증류수 30 ml를 혼합한 용액을 1,000 ml 플라스크에 따르고 증류수를 채워 시료를 제조한 다음, 시료 10 ml를 석영 셀(cell)로 옮기고, 이에 대하여, 광 산란 입도 측정기(malvern社, nano-zs)로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자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3 내지 30 중량%, 예를 들면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70 내지 97 중량%, 예를 들면 80 내지 9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내화학성, 가공성, 내열성과 같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중합 시,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의 단량체를 부가하여 중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량체의 첨가량은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4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내화학성, 가공성 및 내열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는 개시제의 존재 없이 열중합에 의해 중합되거나, 개시제의 존재 하에 중합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와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같은 아조계 개시제 중 1종 이상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는 괴상중합, 현탁중합, 유화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B)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본 발명의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melamine pyrophosphate)는 멜라민 포스페이트,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 및 산화아연과 함께 적용되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는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23 중량부, 예를 들면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난연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멜라민 포스페이트
본 발명의 멜라민 포스페이트(melamine phosphate)는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 및 산화아연과 함께 적용되어, 적은 함량으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멜라민 포스페이트(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멜라민 포스페이트는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7 내지 3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난연성, 외관 특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B) 및 상기 멜라민 포스페이트(C)의 중량비(B:C)는 1 : 0.5 내지 1 : 7, 예를 들면 1 : 0.55 내지 1 : 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D)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
본 발명의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piperazine pyrophosphate)는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및 산화아연과 함께 적용되어, 적은 함량으로도 차르(char) 형성이 용이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는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7 중량부, 예를 들면 3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난연성, 외관 특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B) 및 상기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D)의 중량비(B:D)는 1 : 0.2 내지 1 : 4.5, 예를 들면 1 : 0.25 내지 1 : 4일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및 상기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의 중량비가 1 : 0.2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 : 4.5 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난연성, 외관 특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E) 산화아연
본 발명의 산화아연은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와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입도분석기(Beckman Coulter社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 LS I3 320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한 단일 입자(입자가 뭉쳐서 2차 입자를 형성하지 않음)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0.2 내지 3 ㎛, 예를 들면 0.5 내지 3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아연은 질소가스 흡착법을 사용하여, BET 분석 장비(Micromeritics社 Surface Area and Porosity Analyzer ASAP 2020 장비)로 측정한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 예를 들면 1 내지 7 m2/g일 수 있으며, 순도가 99%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내충격성, 저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형, 플레이트형, 막대(rod)형, 이들의 조합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가 0.01 내지 1.0, 예를 들면 0.1 내지 1.0, 구체적으로 0.1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측정된 FWHM 값(회절 피크(peak)의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기준으로 Scherrer's equation(하기 식 1)에 적용하여 연산된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이 1,000 내지 2,000 Å, 예를 들면 1,200 내지 1,800 Å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식 1]
미소결정 크기(D) =
Figure 112019135753570-pat00002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금속형태의 아연을 녹인 후, 850 내지 1,000℃, 예를 들면 900 내지 950℃로 가열하여 증기화시킨 후, 산소 가스를 주입하고 20 내지 30℃로 냉각한 다음, 400 내지 900℃, 예를 들면 500 내지 800℃에서 30 내지 150분, 예를 들면 60 내지 120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9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의 함량이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난연성, 외관 특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B) 및 상기 산화아연(E)의 중량비(B:E)는 1 : 0.008 내지 1 : 0.8, 예를 들면 1 : 0.008 내지 1 : 0.7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내충격성, 저연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F) 피페라진 디포스페이트 및/또는 (G) 폴리올레핀 수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F) 피페라진 디포스페이트
본 발명의 일 구체예 따른 피페라진 디포스페이트(piperazine diphosphate)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피페라진 디포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피페라진 디포스페이트는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 내지 38 중량부, 예를 들면 8 내지 37 중량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G) 폴리올레핀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이들을 가교시킨 중합체;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는 블렌드;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elt-flow index)가 1 내지 50 g/10분, 예를 들면 4 내지 30 g/10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예를 들면 15 내지 45 중량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성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충격보강제, 산화방지제, 적하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180 내지 250℃, 예를 들면 200 내지 23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기준에 따라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가 V-0 이상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746A에 의거하여 측정한 100 mm × 100 mm × 2 mm 크기 시편의 GWFI(Glow Wire Flammability Index)가 825 내지 960℃, 예를 들면 850 내지 960℃일 수 있고, UL746A에 의거하여 측정한 125 mm × 13 mm × 1.5 mm 크기 시편의 HWI(Hot Wire Ignition) 등급이 0 또는 1일 수 있다. (등급 0: 120초 초과 후 발화, 등급 1: 60초 초과 120초 이하에서 발화, 등급 2: 30초 초과 60초 이하에서 발화, 등급 3: 15초 초과 30초 이하에서 발화, 등급 4: 7초 초과 15초 이하에서 발화, 등급 5: 7초 이하에서 발화)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E662에 의거하여 측정한 100 mm × 100 mm × 3 mm 시편의 연기 밀도가 190 내지 300, 예를 들면 210 내지 295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4"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4 내지 17 kgf·cm/cm, 예를 들면 4.1 내지 15 kgf·cm/c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할로겐계 난연제를 적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난연성, 저연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전기 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제조사: IDEMITSU, 제품명: PSI060)를 사용하였다.
(B)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제조사: Budenheim, 제품명: Budit 311MPP)를 사용하였다.
(C)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제조사: BASF, 제품명: Melapur®MP)를 사용하였다.
(D)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제조사: Hainan Zhongxin Chemical, Cas No.: 66034-17-1)를 사용하였다.
(E) 산화아연
(E1) 금속형태의 아연을 녹인 후, 900℃로 가열하여 증기화시킨 후, 산소 가스를 주입하고 상온(25℃)으로 냉각하여, 1차 중간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해당 1차 중간물을 700℃에서 90분 동안 열처리를 진행한 후, 상온(25℃)으로 냉각하여 제조한 산화아연을 사용하였다.
(E2) 산화아연(제조사: 리즈텍비즈, 제품명: RZ-950)을 사용하였다.
(E3) 산화아연(제조사: 한일화학, 제품명: TE30)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 산화아연(E1, E2 및 E3)의 평균 입자 크기, 비표면적 BET, 순도,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 및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을 나타내었다.
(E1) (E2) (E3)
평균 입자 크기 (㎛) 1.2 0.890 3.7
비표면적 BET (m2/g) 4 15 14
순도 (%) 99 97 97
PL 크기비(B/A) 0.28 9.8 9.5
미소결정 크기 (Å) 1,417 503 489
(F) 피페라진 디포스페이트
피페라진 디포스페이트(제조사: 롯데케미칼)를 사용하였다.
(G) 폴리올레핀 수지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I)가 5 g/mol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제조사: 롯데케미칼)를 사용하였다.
물성 측정 방법
(1) 평균 입자 크기(단위: ㎛): 입도분석기(Beckman Coulter社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 LS I3 320 장비)를 사용하여, 평균 입자 크기(부피 평균)를 측정하였다.
(2) 비표면적 BET(단위: m2/g): 질소가스 흡착법을 사용하여, BET 분석 장비(Micromeritics社 Surface Area and Porosity Analyzer ASAP 2020 장비)로 비표면적 BET를 측정하였다.
(3) 순도 (단위: %): TGA 열분석법을 사용하여, 800℃ 온도에서 잔류하는 무게를 가지고 순도를 측정하였다.
(4) PL 크기비(B/A):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법에 따라, 실온에서 325 nm 파장의 He-Cd laser (KIMMON사, 30mW)를 시편에 입사해서 발광되는 스펙트럼을 CCD detector를 이용하여 검출하였으며, 이때 CCD detector의 온도는 -70℃ 를 유지하였다.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출 시편은 별도의 처리 없이 레이저(laser)를 시편에 입사시켜 PL 분석을 진행하였고, 산화 아연 파우더는 6 mm 직경의 펠렛타이저(pelletizer)에 넣고 압착하여 편평하게 시편을 제작한 뒤 측정하였다.
(5) 미소결정 크기(crystallite size, 단위: Å): 고분해능 X-선 회절분석기(High Resolution X-Ray Diffractometer, 제조사: X'pert사, 장치명: PRO-MRD)을 사용하였으며,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측정된 FWHM 값(회절 피크(peak)의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기준으로 Scherrer's equation(하기 식 1)에 적용하여 연산하였다. 여기서, 파우더 형태 및 사출 시편 모두 측정이 가능하며, 더욱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사출 시편의 경우, 600℃, 에어(air) 상태에서 2시간 열처리하여 고분자 수지를 제거한 후, XRD 분석을 진행하였다.
[식 1]
미소결정 크기(D) =
Figure 112019135753570-pat00003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12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2, 3, 4 및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0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44,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30℃, 금형 온도: 70℃)에서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3, 4 및 5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난연도: UL-94 기준에 따라, 2.0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2) GWFI(Glow Wire Flammability Index)(단위: ℃): UL746A에 의거하여, 100 mm × 100 mm × 2 mm 크기 시편의 GWFI를 측정하였다. (GWFI의 결과는 표에 기재된 온도 조건에서 측정했을 때 평가를 통과하였다는 의미이며, 960℃가 기기에서 측정 가능한 최고 온도임)
(3) HWI(Hot Wire Ignition): UL746A에 의거하여, 125 mm × 13 mm × 1.5 mm 크기 시편의 HWI 등급을 측정하였다. (0 등급: 120초 초과 후 발화, 1 등급: 60초 초과 120초 이하에서 발화, 2 등급: 30초 초과 60초 이하에서 발화, 3 등급: 15초 초과 30초 이하에서 발화, 4 등급: 7초 초과 15초 이하에서 발화, 5 등급: 7초 이하에서 발화)
(4) 연기 밀도: ASTM E662에 의거하여, 100 mm × 100 mm × 3 mm 시편의 연기 밀도를 측정하였다.
(5)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1/4"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5 12 20 12 12 12
(C) (중량부) 22 22 22 7 37 22
(D) (중량부) 12 12 12 12 12 3
(E1) (중량부) 1 1 1 1 1 1
(E2) (중량부) - - - - - -
(E3) (중량부) - - - - - -
(F) (중량부) 22 22 22 22 22 22
(G) (중량부) - - - - - -
난연도 V-0 V-0 V-0 V-0 V-0 V-0
GWFI 960 960 960 960 960 960
HWI 0 등급 1 등급 0 등급 1 등급 1 등급 0 등급
연기밀도 285 280 260 290 265 293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10 8 4.5 9 4.3 9.2
실시예
7 8 9 10 11 12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12 12 12 12 12 12
(C) (중량부) 22 22 22 22 22 22
(D) (중량부) 25 12 12 12 12 12
(E1) (중량부) 1 0.1 9 1 1 1
(E2) (중량부) - - - - - -
(E3) (중량부) - - - - - -
(F) (중량부) 22 22 22 8 37 22
(G) (중량부) - - - - 25
난연도 V-0 V-0 V-0 V-0 V-0 V-0
GWFI 960 960 960 960 960 960
HWI 1 등급 1 등급 1 등급 1 등급 1 등급 0 등급
연기밀도 269 287 270 295 256 266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4.7 10.2 4.1 11 4.4 7
비교예
1 2 3 4 5 6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2 25 12 12 12 12
(C) (중량부) 22 22 4 41 22 22
(D) (중량부) 12 12 12 12 0.5 29
(E1) (중량부) 1 1 1 1 1 1
(E2) (중량부) - - - - - -
(E3) (중량부) - - - - - -
(F) (중량부) - - - - - -
(G) (중량부) - - - - - -
난연도 fail V-0 fail V-0 fail V-0
GWFI 750 775 775 750 750 750
HWI 2 등급 2 등급 2 등급 2 등급 2 등급 2 등급
연기밀도 320 290 330 292 325 288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5.2 3 5.3 2.5 4.8 2.7
비교예
7 8 9 10 11 12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12 12 12 12 12 12
(C) (중량부) 22 22 22 22 22 22
(D) (중량부) 12 12 12 12 - -
(E1) (중량부) 0.01 13 - - 1 1
(E2) (중량부) - 1 - - -
(E3) (중량부) - - - 1 - -
(F) (중량부) - - - - 5 40
(G) (중량부) - - - - - -
난연도 fail V-0 V-1 fail fail V-0
GWFI 775 775 750 775 775 750
HWI 2 등급 2 등급 2 등급 2 등급 2 등급 2 등급
연기밀도 340 278 325 310 350 275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5.5 1.5 4.5 0.9 6.3 2.0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12)은 난연성, 저연성, 내충격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멜라민 포스페이트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3),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멜라민 포스페이트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5),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산화아연을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산화아연을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산화아연 (E1) 대신에, 산화아연 (E2)를 적용할 경우(비교예 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산화아연 (E3)를 적용할 경우(비교예 1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피페라니진 피로포스페이트 대신에, 피페라진 디포스페이트를 소량 또는 과량 적용할 경우(비교예 11 및 1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저연성, 및/또는 내충격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3 내지 23 중량부;
    멜라민 포스페이트 5 내지 40 중량부;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 1 내지 27 중량부; 및
    평균 입자 크기가 0.2 내지 3 ㎛이고,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인 산화아연 0.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및 상기 피페라진 피로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1 : 0.2 내지 1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 3 내지 30 중량%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70 내지 97 중량%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은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가 0.01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하기 식 1에 의한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이 1,000 내지 2,000 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식 1]
    미소결정 크기(D) =
    Figure 112019135753570-pat00004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X선 회절 피크(peak)의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및 상기 멜라민 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1 : 0.5 내지 1 :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및 상기 산화아연의 중량비는 1 : 0.008 내지 1 :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페라진 디포스페이트 7 내지 38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기준에 따라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가 V-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746A에 의거하여 측정한 100 mm × 100 mm × 2 mm 크기 시편의 GWFI(Glow Wire Flammability Index)가 825 내지 960℃이고, UL746A에 의거하여 측정한 125 mm × 13 mm × 1.5 mm 크기 시편의 HWI(Hot Wire Ignition) 등급이 0 또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E662에 의거하여 측정한 100 mm × 100 mm × 3 mm 시편의 연기 밀도가 19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4"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4 내지 17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90178442A 2019-12-30 2019-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50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442A KR102504923B1 (ko) 2019-12-30 2019-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PCT/KR2020/018721 WO2021137490A1 (ko) 2019-12-30 2020-12-1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442A KR102504923B1 (ko) 2019-12-30 2019-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423A KR20210085423A (ko) 2021-07-08
KR102504923B1 true KR102504923B1 (ko) 2023-02-28

Family

ID=7668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442A KR102504923B1 (ko) 2019-12-30 2019-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4923B1 (ko)
WO (1) WO2021137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840B1 (ko) * 2021-08-30 2024-02-2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1351A (ja) * 2015-08-04 2017-02-09 株式会社Adeka 難燃性樹脂組成物
KR101994558B1 (ko) * 2017-12-29 2019-06-28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40757B (es) * 2010-04-14 2016-07-25 Dow Global Tech Llc * Composición a base de copolímero de bloque estirénico con propiedades pirorretardantes mejoradas.
CN105209576A (zh) * 2013-08-21 2015-12-30 株式会社艾迪科 阻燃剂组合物和阻燃性合成树脂组合物
JP6482405B2 (ja) * 2015-06-23 2019-03-13 株式会社Adeka 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1351A (ja) * 2015-08-04 2017-02-09 株式会社Adeka 難燃性樹脂組成物
KR101994558B1 (ko) * 2017-12-29 2019-06-28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490A1 (ko) 2021-07-08
KR20210085423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70417A1 (en) Flame-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s
KR10250492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9455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726180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KR101096797B1 (ko)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96199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3556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iang et al. A novel transparent cross-linked poly (methyl methacrylate)-based copolymer with enhanced mechanical, thermal, and flame-retardant properties
KR10253287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1837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17142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2320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355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1006538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3935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7473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651182B1 (ko) 나노복합체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6802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2503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55967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869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587957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JPH11199782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2097328A (ja) 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