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843B1 -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843B1
KR102504843B1 KR1020210064630A KR20210064630A KR102504843B1 KR 102504843 B1 KR102504843 B1 KR 102504843B1 KR 1020210064630 A KR1020210064630 A KR 1020210064630A KR 20210064630 A KR20210064630 A KR 20210064630A KR 102504843 B1 KR102504843 B1 KR 102504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ra
venting
inner liner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057A (ko
Inventor
조성윤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8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1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 B60C5/14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29D2030/0655Constructional or chemical features of the flexible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29D2030/0659Details or accessories for the flexible co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82Inner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프리포머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트레드 쿠션 고무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상기 트레드 쿠션 고무의 폭을 조절하는 토출폭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다 외측면의 흡음 패턴 적용을 통한 공기입 타이어의 이상 소음 저감을 위한 타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에 주로 사용되는 레이디얼 타이어(radial tire)는 이너 라이너(inner liner), 카카스 코드(carcass cord), 사이드 월(side wall)이 조립된 상태에서 벨트(belt), 캡 플라이(cap fly), 트레드(tread)가 부착되어 반제품이 된다. 그리고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bladder)를 반제품의 이너 라이너에 밀착시킨 뒤 이를 팽창시켜 그린 케이스(green case)로 성형한다. 이후 그린 케이스를 소정의 규격과 형상을 갖는 타이어 금형틀에 삽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가류(curing) 공정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레이디얼 타이어를 완성한다.
이때 타이어 반제품을 금형에 넣고 가류 공정을 수행할 시,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는 타이어 반제품의 외면이 금형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타이어 반제품을 압착시키며, 동시에 타이어 가류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과 압력을 타이어 반제품에 전달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를 통해 타이어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반제품 타이어로부터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브라다를 통해 가류 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라다를 이용한 가류 공정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라다를 이용한 가류 공정시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다의 표면은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엠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브라다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마루부 및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부에는 벤팅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골부의 끝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골부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 벤팅부 및 상기 골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제2 벤팅부의 크기는 상기 제1 벤팅부의 크기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마루부는 상기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엠보싱부의 측단면은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에서, 상기 엠보싱부의 골부 및 마루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및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이너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은 엠보싱부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엠보싱부는 마루부 및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루부 및 골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엠보싱부의 측단면은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조 방법은, 표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브라다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나이너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브라다를 통해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에 엠보싱 형상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브라다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라이너에 밀착시키는 단계 전, 표면부가 엠보싱부로 형성된 브라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다의 엠보싱부의 골부에 벤팅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은, 브라다의 표면이 사인 파동형으로 형성된 엠보싱 구조로 형성되어 가류 공정시 브라다와 밀착된 반제품 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은, 엠보싱부의 골부에 형성된 벤팅부를 통해 가류 공정시 발생하는 공기를 브라다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엠보싱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표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벤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가 타이어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가 타이어의 내측면을 밀착하여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엠보싱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의 엠보싱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엠보싱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표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100)는, 브라다의 표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엠보싱부(110)를 포함하고, 엠보싱부(110)는 타이어가 위치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마루부(111) 및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112)를 포함하고, 골부(112)에는 벤팅부(200)가 형성된다.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100)는 타이어를 금형에 넣고 가류하는 가류 공정에서, 타이어의 외면이 금형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타이어의 내측에서 타이어를 금형 방향으로 압착시키며, 동시에 타이어 가류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열과 압력을 반제품 타이어로 전달할 수 있다.
브라다 표면에는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라다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무늬에 대응되도록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형성되는 무늬에 따라 완제품 타이어의 주행시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형성되는 무늬가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증폭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타이어의 주행시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증폭되어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더 커질 수 있다. 반대로,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형성되는 무늬가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타이어의 주행시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되어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표면은,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엠보싱부를 포함하고, 엠보싱부는 마루부 및 골부로 형성되며, 마루부가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밀착되고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를 압착하여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를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완제품 타이어의 주행시, 타이어에서 소음이 발생할 경우,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타이어의 내측면 이너라이너 구조로 인해 타이어의 소음이 저감되어 타이어의 주행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 구조의 경우 평면 구조에 비해 소리를 받아들이는 면적이 넓어져서 흡음력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다(100)의 골부(112)에는 벤팅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벤팅부(200)는 가류 공정시 반제품 타이어로부터 가류되면서 나오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벤팅부(200)는 골부(112)에 형성될 수 있다. 가류 공정시, 브라다(100)의 마루부(111)가 타이어 이너라이너(350)에 먼저 밀착되므로,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의 표면부와 상대적으로 나중에 밀착되는 골부(112)에 벤팅부(200)가 형성됨으로써, 반제품 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엠보싱부(110)를 통해 이너라이너(350)에 엠보싱부(350)가 형성되면서, 브라다(100)의 골부(112)와 이너라이너(350) 사이의 공간이 차츰 감소하게 되므로, 감소되는 공간으로 밀려들어온 공기는 골부(112) 내부 공간을 차지하며 들어오는 이너라이너(350)에 의해 압력을 받아 골부(112)에 배치된 벤팅부(200)를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공기 배출 내용은 도 5 및 도 6을 추가로 참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벤팅부(200)는 골부(112)의 끝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류 공정시 골부(112)의 내부에 밀려들어온 공기가, 골부(112)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며 들어오는 이너라이너(350)에 의해 골부(112)의 끝단부에 배치된 벤팅부(200)로 자연스럽게 빠져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부(110)의 측단면은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의 소음 발생시, 소리의 흐름은 타이어의 회전 방향으로 움직이며,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소리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소리는 음파가 중첩될 때 증폭 또는 상쇄를 하게 되는데, 미세한 속도 변화, 이동 방향의 변화로부터 중첩이 발생할 수 있다. 3차원 패턴은 지금의 패턴 대비해서 더 많은 소리의 상쇄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브라다의 엠보싱부(110)의 측단면이 사인(sin)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 표면을 사인 파동형의 엠보싱 구조로 제조함으로써, 이너라이너(350)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흠음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사인 파동형의 형태를 통해 음파를 상쇄시켜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부의 골부 및 마루부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주행시 타이어 소음을 보다 더 감경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의 벤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부(200', 210')는, 골부(112)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 벤팅부(200') 및 골부(11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벤팅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골부(112)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 벤팅부(200')를 통해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공기가, 골부(112)의 둘레 및 제1 벤팅부(20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벤팅부(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류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공기 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벤팅부(210')의 벤팅홀 크기는 제1 벤팅부(200')의 벤팅홀 크기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가 타이어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가 타이어의 내측면을 밀착하여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엠보싱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조 방법은, 표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브라다(100)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라이너(350)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브라다(100)를 통해 이너라이너(350)의 내측면에 엠보싱 형상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다(100)의 마루부(111)는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밀착될 수 있다. 마루부(111)는 타이어의 이너라이너(350)에 밀착된 상태로 팽창하여 이너라이너(350)의 표면에 엠보싱 형상을 만들 수 있다. 도 6에는 브라다(100)가 팽창하여 이너라이너(350)의 내측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너라이너(350)의 내측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타이어의 구조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다(100)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라이너(350)에 밀착시키는 단계 전, 표면부가 엠보싱 형상을 가지는 엠보싱부(110)로 형성된 브라다를 제조하는 단계 및 브라다(100)의 엠보싱부(110)의 골부(112)에 벤팅부(20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형상의 이너라이너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은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의 엠보싱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in 방향은 타이어(300)의 내측면 방향을 의미하고, out 방향은 타이어(300)의 외측면 방향을 의미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타이어(300)는 공기압 타이어(pneumatic tire)로서 트레드(310), 트레드(310)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320), 사이드월(320)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0)는 트레드(3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바디 플라이(340)와 벨트층(3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벨트층(370)의 상부에는 캡 플라이(3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0)는 트레드(310)와 한 쌍의 사이드월(320)의 내측에 위치하여 타이어(30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타이어(3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310)는 타이어(300)를 자동차에 장착 후 주행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드(310)는 자동차의 주행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310)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자동차의 구동록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3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3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3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3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3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3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루브(315)는 트레드(3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315)는 트레드(3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3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루브(315)의 개수 및 형태를 타이어(3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루브(315)는 복수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310)는 복수 개의 그루브(315)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은 자동차의 주행 시에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300)의 반경 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와, 타이어(3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 블록의 표면에는 조종 안정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들과, 트레드 패턴들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들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배추를 위핸 복수의 그루브들과,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트레드 블록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타이어(30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이드월(320)은 트레드(31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타이어(300)의 측면을 형성한다. 사이드월(320)은 트레드(310)와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비드(330) 및 바디 플라이(340) 등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로, 사이드월(320)은 일단이 트레드(31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단이 타이어 림(Rim)과 접촉할 수 있다.
비드(330)는 사이드월(320)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며,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로 형성되어, 타이어(300)와 타이어 림(Rim)의 결합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비드(330)는 바디 플라이(340)에 의해 감싸지도록 배치되어, 타이어(300)를 타이어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비드(330)는 비드 코어와 비드 필러를 구비할 수 있다. 비드 코어는 비드 필러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복수 개의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가 꼬아져 형성될 수 있다. 비드 필러는 비드 코어로부터 사이드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는 비드 코어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는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비드(330)는 복수 개의 삽입 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홈은 림(Rim)의 장착 돌기에 삽입되어, 타이어가 림에 장착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340)는 타이어(300)의 골격을 이루고 타이어(300)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섬유 코드에 고무재가 토핑(Topp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340)는 타이어(300)가 받는 하중 및 충격 등을 흡수하며, 타이어(300)의 공기압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바디 플라이(340)는 타이어(300)의 내측면에서 외곽을 향해 턴업(Turn-up)되어 비드(3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3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플라이(3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350)는 바디 플라이(340)의 내측면(in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350)는 타이어(300)의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3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너 라이너(35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350)는 밀도가 높은 부틸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 라이너(350)는 바디 플라이(340)의 내부에 배치되어 비드(33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350)는 바디 플라이(34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양단은 비드(330)와 접촉할 수 있다.
벨트층(370)은 트레드(310)와 바디 플라이(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370)은 타이어(300)가 장착된 자동차의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3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3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벨트층(370)은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벨트 코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층(370)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벨트층은 이너라이너(35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370)과 트레드(310)의 사이에는 캡 플라이(360)가 배치될 수 있다. 캡 플라이(360)는 특수 코드지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주행시 벨트층(37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고, 고속 주행시 벨트층(3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캡 플라이(360)는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캡 플라이(360)는 벨트층(370)과 바디 플라이(340)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시 벨트층(37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310), 트레드(31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이너라이너(350)를 포함하고, 이너라이너(350)의 내측면은 엠보싱부(350)로 형성된다.
이때, 엠보싱부(350)는 마루부(351) 및 골부(352)를 포함하고, 마루부(351) 및 골부(352)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엠보싱부(350)의 측단면은, 브라다(100)의 측단면과 대응되도록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라다(100)의 팽창에 의해 이너라이너(350)의 표면부에 엠보싱 형상을 가지는 엠보싱부(350)가 형성됨으로써,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이너라이너(350)를 통과하려 할 경우, 엠보싱 형상의 이너라이너(350)에 의해 상기 소음이 상쇄되어 주행시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브라다
110: 엠보싱부
111: 마루부
112: 골부
200: 벤팅부
200': 제1 벤팅부
210': 제2 벤팅부
300: 타이어
350: 이너라이너(이너라이너 엠보싱부)
351: 이너라이너 마루부
352: 이너라이너 골부

Claims (12)

  1.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다의 표면은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엠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브라다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마루부 및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부에는 벤팅부가 형성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골부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부는 상기 골부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제1 벤팅부 및 상기 골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 벤팅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팅부의 크기는 상기 제1 벤팅부의 크기보다 더 작은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부는 상기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밀착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측단면은 사인 파동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골부 및 마루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표면부가 엠보싱부로 형성된 브라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브라다의 엠보싱부의 골부에 벤팅부를 형성하는 단계;
    표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된 브라다를 타이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이너라이너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브라다를 통해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에 엠보싱 형상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제조 방법.
  12. 삭제
KR1020210064630A 2021-05-20 2021-05-20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4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630A KR102504843B1 (ko) 2021-05-20 2021-05-20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630A KR102504843B1 (ko) 2021-05-20 2021-05-20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57A KR20220157057A (ko) 2022-11-29
KR102504843B1 true KR102504843B1 (ko) 2023-03-02

Family

ID=8423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630A KR102504843B1 (ko) 2021-05-20 2021-05-20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8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940A (ja) * 1999-05-10 2000-11-21 Yokohama Rubber Co Ltd:The 加硫用ブラダー
KR101366713B1 (ko) 2011-12-26 2014-02-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용 브래더
JP2018065299A (ja) 2016-10-20 2018-04-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9032B2 (ja) * 1992-11-04 1997-03-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
JP4736546B2 (ja) * 2005-06-07 2011-07-27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及びこの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を使用したタイヤ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940A (ja) * 1999-05-10 2000-11-21 Yokohama Rubber Co Ltd:The 加硫用ブラダー
KR101366713B1 (ko) 2011-12-26 2014-02-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용 브래더
JP2018065299A (ja) 2016-10-20 2018-04-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57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2383B (zh) 充气轮胎
JP7298622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6994865B (zh) 充气轮胎
CN102463856A (zh) 刺穿密封剂叠片
CN1572545A (zh) 带有改良的胎面轮廓的子午线乘用车轮胎
US20190105947A1 (en) Tire
JP521712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240171A (ja) 空気入りバイアス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04843B1 (ko) 타이어 가류용 브라다,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CN108340738B (zh) 充气轮胎及其制造方法
US11207929B2 (en) Pneumatic tire
KR101890371B1 (ko) 공기입 타이어
CN105073445A (zh) 充气轮胎及其制造方法
JP2018114781A (ja) 更生タイヤ
KR20050060016A (ko) 래디얼 플라이 공기 타이어
JP6518136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99916B1 (ko) 탈부착형 중량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타이어
KR20200047197A (ko) 공기입 타이어
KR102425078B1 (ko) 타이어
US20230001742A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KR102605834B1 (ko) 타이어
US11752801B2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KR102149457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471064B1 (ko) 타이어
JP5084255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