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824B1 -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 - Google Patents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824B1
KR102503824B1 KR1020220046995A KR20220046995A KR102503824B1 KR 102503824 B1 KR102503824 B1 KR 102503824B1 KR 1020220046995 A KR1020220046995 A KR 1020220046995A KR 20220046995 A KR20220046995 A KR 20220046995A KR 102503824 B1 KR102503824 B1 KR 102503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egion
weight
parts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문
Original Assignee
(주)다울푸른도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울푸른도장 filed Critical (주)다울푸른도장
Priority to KR102022004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3B69/00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는, 타격자에 의해 타격되는 것으로서, 탄성 재질의 충전재 및, 상기 충전재를 감싸는 것으로서, 폐 차량용 시트 외피로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하는 타격 본체; 상기 타격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에 따르면, 폐 차량용 시트 외피를 재활용하여 타격 본체, 나아가 타격 본체 및 손잡이를 제작함으로써 재활용 소재 이용에 따라 환경 보호 및 업사이클링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Hitting mitts using recycled materials}
본 발명은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재활용 소재를 이용하여 타격용 미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보호 및 업사이클링(Upcycling)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타격용 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권도나 복싱 등의 무술이나 격투기 훈련 때에는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는 샌드백이나 손에 잡거나 끼울 수 있는 미트 등이 주로 사용된다. 샌드백은 중량 및 부피가 커 고정되어 있고, 미트는 중량 및 부피가 작은 반면에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임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격투기 훈련자는 샌드백이나 미트에 주먹이나 발 또는 정강이나 무릎 등으로 타격할 때에 지정되지 않은 위치에 타격을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해진 표적을 타격하는 집중적인 훈련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 중에서도 미트는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로운 움직임을 줄 수는 있어 격투기 훈련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이루어진 미트가 개발되어 대중에 널리 공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타격용 미트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실용 제 20-1999-0022631호에 ‘연습용핸드미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쿠션 부재로서 토이론을 사용하여 형성한 미트의 손잡이부에 에바 스폰지 경도를 강화시켜 손잡이부가 잘 꺽이지 않게 하였으며 또한 사용시에 피타격자의 손잡이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각 손가락을 위한 물결모양의 굴곡부를 형성한 핸드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쿠션 부재로서 스폰지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토이론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시에 유해한 스폰지 먼지가 나지 않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핸드미트 제조 시에는 다양한 수지, 고무, 쿠션재, 나아가 가죽 등의 재질이 이용되므로, 미트 제조 시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할 수 있을뿐더러 버려지는 미트로 인한 환경 파괴 역시 우려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활용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환경 보호에 앞장설 수 있도록 한, 타격용 미트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재활용 소재를 활용하여 제조된 타격용 미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격용 미트를 통한 훈련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타격감, 반발력,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충전재용 첨가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물성을 개선하고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품질 저하 현상을 방지하는 탄성 증진제의 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는, 타격자에 의해 타격되는 것으로서, 탄성 재질의 충전재 및, 상기 충전재를 감싸는 것으로서, 폐 차량용 시트 외피로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하는 타격 본체; 상기 타격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커버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 시트가 부착되되,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탄성 시트의 중앙 부위 일 측에 형성된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의 주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 영역보다 탄성계수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충전재는, 상기 메인 영역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것으로, 제 1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탄성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탄성계수보다 낮은 제 2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탄성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 영역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를 포함하는 탄성 증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에 따르면,
1) 폐 차량용 시트 외피를 재활용하여 타격 본체, 나아가 타격 본체 및 손잡이를 제작함으로써 재활용 소재 이용에 따라 환경 보호 및 업사이클링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고,
2) 메인 영역 및 주변 영역으로 구획된 탄성 시트가 타격용 미트의 커버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타격 연습을 수행함에 있어 메인 영역만을 타격하는 연습, 혹은 메인 영역을 피해 주변 영역만을 타격하는 연습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타격 훈련을 수행할 수 있고,
3) 타격자가 메인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타격하였을 때 느끼는 서로 다른 타격감을 충전재에서도 보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타격용 미트에서 서로 다른 부위를 타격함에 따라 서로 다른 타격감, 반발력, 탄성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훈련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훈련 효과를 높이도록 하며,
4) 충전재에 첨가되는 탄성 증진제를 통해 탄성력을 높임과 동시에 연신율, 인장강도, 내산화성, 내열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친환경적인 재생 가능 성분을 더하여 환경에 친화적인 성분들로 수지의 물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장기 사용 시에도 그 품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격용 미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타격용 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격용 미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 영역 및 주변 영역의 형성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충전재의 영역 분할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탄성 증진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격용 미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타격용 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타격용 미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는 타격 본체(100)와 손잡이(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격 본체(100)는 타격자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는 부위로서, 탄성 재질의 충전재(200) 및 충전재(200)를 감싸는 커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충전재(200)는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쿠션 및 탄성을 갖는 스펀지나 스티로폼, 혹은 종래의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쿠션감과 함께 탄성을 제공하여 타격자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피타격자에게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이때 커버(300)의 경우 충전재(200)를 감싸는 것으로, 타격용 미트의 외관을 형성하여 밖으로 드러난다. 이때 커버(300)의 재질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커버(300)는 폐 차량용 시트 외피(자동차 시트의 외피)를 커버(300)로 이용하여 폐차에서 얻어진 차량용 시트 외피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차량용 시트의 외피라 함은 자동차에 구비된 좌석(시트)의 외피를 일컫는 것으로, 이러한 차량용 시트 외피는 일반적으로 합성가죽 또는 천연가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폐 차량용 시트 외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타격용 미트의 커버(300) 역시 합성가죽 또는 천연가죽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커버(300)의 일 측에는 지퍼와 같은 별도의 개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어 개폐수단을 매개로 하여 충전재(200)를 커버(300)와 분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충전재(200)와 커버(300)를 분리할 수 있는 경우 충전재(200) 또는 커버(300)를 교체하거나 별도로 분리 세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타격 본체(100)의 일 측에는 손잡이(400)가 형성되는데, 손잡이(400)는 피타격자가 타격용 미트를 잡고 있을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피타격자의 어깨에 타격용 미트를 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혹은 손잡이(400)를 매개로 타격용 미트를 프레임 등에 끼워 고정하거나 보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손잡이(400)의 길이나 형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가장 일반적으로는 종래의 손잡이(400)와 같이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손잡이(400)의 경우 커버(300)와 동일한 폐 차량용 시트 외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손잡이(400)가 ∩형상을 갖는 경우, 타격 본체(100)에 포함된 커버(300)에 손잡이(400)의 양 단이 재봉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손잡이(400)가 타격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언급된 방식 이외에도 다른 고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타격용 미트에 의하면, 폐 차량용 시트 외피를 재활용하여 타격 본체(100), 나아가 타격 본체(100) 및 손잡이(400)를 제작하게 되므로, 재활용 소재 이용에 따라 환경 보호 및 업사이클링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설명에서 폐 차량용 시트 외피를 타격용 미트의 손잡이(400), 그리고 타격 본체(100)의 커버(300)의 재질로 채택함에 따라 업사이클링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하였는데, 여기에서 더 나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충전재(200) 역시 폐타이어, 폐 폴리염화비닐(PVC), 폐 폴리에틸렌(PE), 폐 폴리프로필렌(PP), 폐 폴리스티렌(PS), 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폐 폴리우레탄(P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충전재(200) 역시 재활용 소재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격용 미트를 이루는 모든 구성에 있어 재활용 소재를 채택하도록 하여, 제품 제작에 있어 재활용 소재를 일부 사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재활용 소재를 전면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환경을 보호하고 업사이클링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 영역 및 주변 영역의 형성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타격 본체(100)의 커버(300)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 시트(310)가 더 부착될 수 있되, 이때 바람직하게 탄성 시트(310)는 메인 영역(311) 및 주변 영역(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 시트(310)는 바람직하게 커버의 표면(전면)에 부착되는 판상체로, 커버(300)와 유사하거나 커버(300)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보다 편리한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탄성 시트(310)의 경우 공지의 본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커버(300)의 표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벨크로 테이프, 체결끈, 밴드 등을 매개로 커버(300)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탄성 시트(310)는 타격자에 의한 타격에 대한 완충 효과를 높이거나 혹은 타격에 대한 반발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 가능한 것으로, 커버(300) 표면에서 탄성 시트(310)가 붙은 부분의 반발력을 타 부위보다 강화하여 반발이 있을 때의 타격감을 익히기 위한 훈련을 수행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 탄성 시트(310)의 표면에는 서로 다른 영역이 형성될 수 있는데, 탄성 시트(310)를 통해 형성되는 영역은 바람직하게 메인 영역(311) 및 주변 영역(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영역(311) 및 주변 영역(312)은 탄성 시트(310)의 표면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시트를 더 덧대어 붙이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탄성 시트(310)의 중앙 부위 일 측에 메인 영역(311)이 형성되고, 메인 영역(311)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주변 영역(312)과 메인 영역(311)은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영역(311)에 비해 주변 영역(312)의 탄성계수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타격자가 탄성 시트(310), 그 중에서도 메인 영역(311)에 타격을 강하는 경우 보다 강한 반발감, 나아가 보다 강한 탄성을 느낄 수 있으며, 주변 영역(312)에 타격을 강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약한 반발감, 상대적으로 약한 탄성 및 높은 충격 완화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메인 영역(311) 및 주변 영역(312)으로 구획된 탄성 시트(310)가 타격용 미트의 커버(30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타격 연습을 수행함에 있어 메인 영역(311)만을 타격하는 연습, 혹은 메인 영역(311)을 피해 주변 영역(312)만을 타격하는 연습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타격 훈련을 수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도 5는 충전재의 영역 분할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와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설명에서 커버(300)에 탄성 시트(310)가 부착됨에 따라 타격용 미트에 메인 영역(311) 및 주변 영역(312)이 형성될 수 있다 하였는데, 이때 충전재(200) 역시 메인 영역(311) 및 주변 영역(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완충력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를 위해 충전재(200) 역시 제 1 탄성 영역(210) 및 제 2 탄성 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 1 탄성 영역(210)은 메인 영역(311)에 대응되는 부위(위치)에 형성되고, 제 2 탄성 영역(220)은 주변 영역(312)에 대응되는 부위(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충전재(200)와 커버(300)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경우 충전재(200)가 커버(300) 내측에서 움직일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하는 만큼, 제 1 탄성 영역(210)은 메인 영역(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나 바람직하게는 메인 영역(311)보다 넓은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 2 탄성 영역(220) 역시 주변 영역(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나 바람직하게는 주변 영역(312)보다 넓은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 영역(210) 및 제 2 탄성 영역(220)이 구비된 충전재(200)에 있어, 제 1 탄성 영역(210) 및 제 2 탄성 영역(22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충전재(200)의 두께보다는 얇으나 상술한 탄성 시트(310)의 두께보다는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하여 충분한 탄성력과 충격에 대한 완충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 영역(210)을 이루는 재질은 제 1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 재질이며, 제 2 탄성 영역(220)을 이루는 재질은 제 1 탄성계수보다 낮은 제 2 탄성계수를 가져, 상술한 메인 영역(311) 및 주변 영역(312)의 서로 다른 탄성력 및 반발력을 충전재(200)에서도 보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격자가 메인 영역(311) 및 주변 영역(312)을 타격하였을 때 느끼는 서로 다른 타격감을 충전재(200)에서도 보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타격용 미트에서 서로 다른 부위를 타격함에 따라 서로 다른 타격감, 반발력, 탄성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훈련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술한 제 1 탄성 영역(210)은 제 2 탄성 영역(220)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탄성력을 보다 강화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제 1 탄성 영역(210)을 이루는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를 포함하는 탄성 증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탄성 영역(210)을 형성하는 재질은, 충전재를 이루는 기본 재질, 즉 폐타이어, 폐 폴리염화비닐(PVC), 폐 폴리에틸렌(PE), 폐 폴리프로필렌(PP), 폐 폴리스티렌(PS), 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폐 폴리우레탄(P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탄성 베이스 90 내지 99 중량부와 탄성 증진제 1 내지 10 중량부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술한 재활용 탄성재에 탄성 증진제를 첨가하여 제 1 탄성 영역(210)을 이루는 탄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탄성 증진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를 유효 성분으로써 포함하는데, 폴리페닐렌설파이드는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탄성력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방향족 고리에 황이 결합된 전도성을 갖는 전도성 고분자이며 혼합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가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재(200)를 이루는 기본 탄성 베이스에 혼합될 시 기계적 강도 및 탄성력을 개선하여 제 1 탄성 영역(210)의 탄성계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탄성 증진제를 첨가하여 제 1 탄성 영역(210)을 이루는 조성물을 제조함에 따라, 높은 수준의 탄성력 뿐 아니라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과 같은 제 1 탄성 영역(210)의 물성 개선을 꾀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 증진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탄성 증진제를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탄성 증진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탄성 증진제는,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S11),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S12), 탄성 증진제를 완성하는 단계(S1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11)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20 내지 50 중량부와, 자일리톨(Xylitol) 20 내지 30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한다.
폴리이소부틸렌은 2-메틸-1-프로펜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고무이다. 무색 또는 엷은 노란색의 끈기가 있고 탄력성 있는 고무 모양의 반고체이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을 정도로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탄력이 높은 수지계 베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일리톨은 당알코올계 감미료로써, 폴리이소부틸렌을 포함하는 수지계 물질인 탄성 증진제, 나아가 탄성 증진제가 포함된 수지 재질의 제 1 탄성 영역 조성물에 첨가 시 제조된 제 1 탄성 영역(210)의 연신율 및 탄성력을 포함하는 기계적 물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폴리이소부틸렌과 자일리톨은 정제수를 용매로 하여 용해된다.
(S12)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이어서, 제 1 물질 75 내지 90 중량부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10 내지 30 중량부 및, 커드란(Curdlan)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한다.
폴리페닐렌설파이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고탄성을 갖는 전도성 고분자이며, 액형으로 혼합성이 뛰어나 제 1 물질에 쉽게 혼합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닌다.
커드란은 미생물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다당류의 일종으로 증점제 및 안정제로 이용되어 탄성 증진제의 점도, 나아가 탄성 증진제가 첨가된 제 1 탄성 영역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나아가 자일리톨의 기능을 보조하여 자일리톨을 통한 연신율 및 탄성력 증대 효과를 보조할 수 있다.
(S13) 탄성 증진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제 2 물질 85 내지 95 중량부와,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Triblockcopolymer) 1 내지 10 중량부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Tetrahydrocurcumin)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탄성 증진제를 완성한다.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에 폴리락타이드가 각각 결합된 삼중블록공중합체로서, 높은 수준의 탄성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재생 가능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친환경적이면서도 탄성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물질이다.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커큐민, 다시 말해 강황의 유효 성분 중 하나로 강력한 항산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탄성 증진제가 첨가된 제 1 탄성 영역 조성물의 내산화성을 높이며 나아가 장기 사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 증진제가 제 1 탄성 영역(210)을 이루는 조성물에 첨가됨에 따라 제 1 탄성 영역 조성물의 탄성력을 높임과 동시에 연신율, 인장강도, 내산화성, 내열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친환경적인 재생 가능 성분을 더하여 환경에 친화적인 성분들로 수지의 물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장기 사용 시에도 그 품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 증진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탄성 증진제를 포함하는 탄성재의 실시예 1 내지 2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예는 종래의 실리콘 탄성 패드 및 폴리우레탄 탄성 패드이다.
<실시예 1>
폴리이소부틸렌 40g, 자일리톨 25g, 정제수 35g을 혼합하여 제 1 물질 100g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 1 물질 80g, 폴리페닐렌설파이드 15g, 커드란 5g을 혼합하여 제 2 물질 100g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 2 물질 90g,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 7g,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3g을 혼합하여 탄성 증진제 100g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탄성 증진제를 폴리우레탄과 혼합하여 탄성 증진제 3 중량%를 포함하는 탄성재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가로 20cm, 세로 20cm, 두께 1cm의 패드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실시예 2>
탄성 증진제로서 폴리페닐렌설파이드를 준비하였다.
제조된 탄성 증진제를 폴리우레탄과 혼합하여 탄성 증진제 3 중량%를 포함하는 탄성재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가로 20cm, 세로 20cm, 두께 1cm의 패드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비교예 1>
종래의 실리콘 탄성 패드(가로 20cm, 세로 20cm, 두께 1cm)
<비교예 2>
종래의 폴리우레탄 탄성 패드(가로 20cm, 세로 20cm, 두께 1cm)
이때,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비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여기서 각 값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폴리이소부틸렌 0.86 -
자일리톨 0.54 -
정제수 0.76 -
폴리페닐렌설파이드 0.41 3.00
커드란 0.14 -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 0.21 -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0.09 -
폴리우레탄 97.00 97.00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패드에 대해, 다음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1. 인장강도 및 신장율 시험: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KS M 6518에 준하여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2. 경도 시험: SHORE A TYPE의 경도계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3. 복원율 시험: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10N의 힘을 가한 뒤, 10초 내에 회복되는 두께를 이용하여 복원율을 측정하였다.
4. 반발탄성 시험: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측정하기 위해 KS M ISO 8307에 준하여 5회 반복 시험한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5. 영구압축줄음율 시험: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오지 않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KS M 6518에 준하여 영구압축줄음율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및 신장율, 경도, 복원율, 반발탄성, 영구압축줄음율 시험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인장강도
(MPa)
신장율
(%)
경도
(HS)
복원율
(%)
반발탄성
(%)
영구압축
줄음율(%)
실시예 1 15 316 90 96 80 3
실시예 2 13 309 88 94 79 6
비교예 1 10 300 80 87 67 10
비교예 2 9 208 75 85 66 12
상술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탄성 증진제를 포함하는 패드는 비교예의 종래의 실리콘 탄성 패드 및 폴리우레탄 탄성 패드에 비하여 인장강도, 신장율, 경도, 복원율, 반발탄성, 영구압축줄음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사이의 비교를 통해, 폴리페닐렌설파이드를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 2보다 다양한 물질의 혼합 조성으로 이루어진 실시예 1의 패드가 인장강도, 신장율, 경도, 복원율, 반발탄성, 영구압축줄음율을 포함하는 기계적 물성이 보다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타격 본체 200 : 충전재
210 : 제 1 탄성 영역 220 : 제 2 탄성 영역
300 : 커버 310 : 탄성 시트
311 : 메인 영역 312 : 주변 영역
400 : 손잡이

Claims (6)

  1.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로서,
    타격자에 의해 타격되는 탄성 재질의 충전재 및, 상기 충전재를 감싸는 것으로서 폐 차량용 시트 외피로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하는 타격 본체;
    상기 타격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커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중앙 부위 일 측에 형성된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의 주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 영역보다 탄성계수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탄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재는,
    상기 메인 영역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 1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탄성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탄성계수보다 낮은 제 2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탄성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 영역은, 탄성 증진제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증진제는,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20 내지 50 중량부와, 자일리톨(Xylitol) 20 내지 30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물질 75 내지 90 중량부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10 내지 30 중량부 및, 커드란(Curdlan)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물질 85 내지 95 중량부와, 폴리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락타이드 삼중블록공중합체(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Triblockcopolymer) 1 내지 10 중량부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Tetrahydrocurcumin)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탄성 증진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용 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폐타이어, 폐 폴리염화비닐(PVC), 폐 폴리에틸렌(PE), 폐 폴리프로필렌(PP), 폐 폴리스티렌(PS), 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폐 폴리우레탄(P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용 미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46995A 2022-04-15 2022-04-15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 KR10250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995A KR102503824B1 (ko) 2022-04-15 2022-04-15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995A KR102503824B1 (ko) 2022-04-15 2022-04-15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824B1 true KR102503824B1 (ko) 2023-02-24

Family

ID=8533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995A KR102503824B1 (ko) 2022-04-15 2022-04-15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8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248U (ko) * 2012-08-22 2014-03-04 박용성 격투기 훈련용 음각 타격 미트
WO2020145398A1 (ja) * 2019-01-11 2020-07-16 株式会社Adeka 添加剤組成物、こ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20146450A (ja) * 2019-02-25 2020-09-17 ローリングス・スポーティング・グッズ・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Rawlings Sporting Goods Company,Inc. 弾性指裏を備えたグローブ
KR102377723B1 (ko) * 2021-10-29 2022-03-24 키담 주식회사 성장기 어린이의 운동 능력을 향상하는 기능성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248U (ko) * 2012-08-22 2014-03-04 박용성 격투기 훈련용 음각 타격 미트
WO2020145398A1 (ja) * 2019-01-11 2020-07-16 株式会社Adeka 添加剤組成物、こ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20146450A (ja) * 2019-02-25 2020-09-17 ローリングス・スポーティング・グッズ・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Rawlings Sporting Goods Company,Inc. 弾性指裏を備えたグローブ
KR102377723B1 (ko) * 2021-10-29 2022-03-24 키담 주식회사 성장기 어린이의 운동 능력을 향상하는 기능성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251B2 (en) Impact and/or vibration absorbent material and protective articles making use thereof
US8312562B2 (en) Impact and/or vibration absorbent material and protective articles making use thereof
JP3594330B2 (ja) アイアン系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H05309002A (ja) 履 物
JP2004041721A5 (ko)
US20040191446A1 (en) Reinforced polymer shock absorbing pad
US8220071B2 (en) Ball glove incorporating a force attenuation system
KR102503824B1 (ko)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타격용 미트
WO2017134317A1 (es) Equipamiento protectivo para la transmisión de una puntuación deportiva
CN107129626A (zh) 一种弹性鞋底及其制备方法
JP2019162357A (ja) ソール構造およびシューズ
US20070032320A1 (en) Thermoplastic elastomers in sports balls
JP5274112B2 (ja) 緩衝パーツ
JP2004337262A (ja)
US20090082128A1 (en) Grip for golf club
JPH0693844B2 (ja) シューズ用ミッドソール
CN209771290U (zh) 一种防护结构及护具
JPH09206408A (ja) スポーツ用部材
JPH0610811Y2 (ja) スポーツシューズの靴底
KR100661085B1 (ko) 충격완화 기능성 웰빙 신발
CN2693036Y (zh) 一种防震鞋
CN221044364U (zh) 一种对脚趾防护的训练鞋
JPH0671441B2 (ja) シューズ
CN220587555U (zh) 一种运动型膝盖护具
JP4791215B2 (ja) 履物の鼻緒被覆物及び鼻緒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