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978B1 -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978B1
KR102501978B1 KR1020220111258A KR20220111258A KR102501978B1 KR 102501978 B1 KR102501978 B1 KR 102501978B1 KR 1020220111258 A KR1020220111258 A KR 1020220111258A KR 20220111258 A KR20220111258 A KR 20220111258A KR 102501978 B1 KR102501978 B1 KR 102501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connector
support
co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창
한국찬
박일섭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시뮬레이터로부터의 복수 개의 전선이 각각 단자대의 각 단자에 직접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이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합된 단자대 커넥터를 통해 일체로 단자대에 결합됨으로써, 각 커넥터유닛에 의한 결합력이 전체 단자대 커넥터에 공유됨으로써 단자대 커넥터와 단자대 사이의 결합력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시뮬레이터와 단자대가 보다 강하게 전기적인 연결될 수 있는 단자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 {CONNECTOR FOR TERMINAL BLOCK}
본 발명은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립식 단자대에 전선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인 전기적 결합력을 갖는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을 받아 다수 곳으로 전기를 분배하는 배전반은 변전소나 공장 등에 널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전반에는 전원의 공급상태를 나타내는 다수의 계기와, 비상시 전원을 온/오프하는 다수의 스위치 등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전류와 전압의 시험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전반의 하측에는 단자대가 결합되어 있다.
배전반의 다양한 동작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 예컨대 시뮬레이터 등은 배전반의 단자대와 복수 개의 전선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배전반의 다양한 동작을 시험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작업자가 단자대의 단자 각각에 구비된 볼트를 풀어서 시험장치와 연결된 복수 개의 전선의 터미널을 물리고 다시 볼트를 조여 터미널과 단자를 연결함에 따라 터미널과 단자와의 연결작업 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작업자가 복수 개의 전선을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전선의 꼬임이 발생하여 작업성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험장치로부터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단자대의 복수 개의 단자 각각에 구비된 볼트를 조이고 푸는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볼트나 너트의 나사산이 훼손되거나 망가지는 문제점은 물론 이에 따른 접점불량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7078호 “계량기와 시험단자대의 연결전선구조”는 고압계량기의 접속단자들과 시험단자대의 접속단자들 사이에 연결되는 여러가닥의 연결전선구조에 있어서, 고압계량기의 접속단자들에 접속되는 여러가닥의 연결전선부는 단일의 플러그형 접속단자로 이루어지고, 시험단자대의 접속단자들에 접속되는 연결전선부는 잭형 접속단자들로 이루어지는 연결전선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해서도 시험단자대에 접속단자들에 접속되는 연결전선부는 작업자가 일일이 단자대의 단자에 체결시켜야 하는 바, 여전히 결선 착오의 위험을 수반하며, 작업시간의 지연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복되는 시험 마다 매번 전선을 단자대에 일일이 다시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복수 개의 전선을 단자대에 연결시키는 데에 있어서, 단자대의 볼트를 풀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복수 개의 전선을 단자대에 연결시킬 수 있는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시험장치의 복수 개의 전선이 하나의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를 통해 단자대의 복수 개의 단자에 연결됨으로써, 각 전선이 개별적으로 각 단자대의 단자에 연결되는 것보다 강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어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에 더해, 조립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자대의 복수 개의 단자와 동일한 수의 단자를 갖도록 조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번 시험장치로부터의 복수 개의 전선이 단자대의 복수 개의 단자에 대응하여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에 연결되면 이후에는 시험장치로부터의 전선을 단자대 커넥터에 연결할 필요 없이 단자대 커넥터를 단자대에 결합시키는 것 만으로 시험장치로부터의 복수 개의 전선을 단자대의 복수 개의 단자에 연결시킬 수 있어 반복 시험이 편리한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자대 커넥터는 제1 장치의 단자대의 복수의 단자와 제2 장치의 복수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자대 커넥터로서, 각각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측 단부는 상기 제1 장치의 단자대의 각 단자에 연결되고 후측 단부는 상기 제2 장치의 각 전선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단자대의 각 단자와 상기 제2 장치의 각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판의 전측 단부에는 상기 단자대의 각 단자와 체결되어 상기 접속판의 전측 단부를 상기 단자대의 각 단자에 밀착 접촉한 상태로 결합시키는 접촉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은 측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각 접촉돌기에 의한 결합력이 상기 단자대 커넥터 전체로 공유됨으로써 상기 단자대 커넥터와 상기 단자대 사이의 결합력이 상승하고, 상기 단자대 커넥터와 상기 단자대 사이의 결합력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상기 단자대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강하게 연결된다.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속판의 전측 하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각 커넥터유닛은 상기 접속판의 전측 하면에 돌출된 접촉돌기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대의 각 단자에 밀착 접촉함으로써 상기 각 커넥터유닛과 상기 각 단자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각 커넥터유닛은 상기 접촉돌기의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각 단자의 고정볼트에 밀착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자석과 상기 자석의 측면을 둘러싼 전도성 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자석에 의한 자력과 상기 전도성 층에 의한 전기전도성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커넥터유닛은 내부에 상기 접속판을 수용하고, 측면이 개방된 절연지지체; 및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지지체의 개방된 측면을 덮음으로써 상기 절연지지체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절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대 커넥터는 서로 이웃하는 커넥터유닛의 어느 하나의 커넥터유닛의 절연커버와 다른 하나의 커넥터유닛의 절연지지체가 맞닿은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절연지지체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판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벽판;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판의 하단부에서 상기 접속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바닥판; 및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전측에서 상기 바닥판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전측지지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커버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나사결합홀이 통공되고, 상기 전측지지기둥에는 상기 절연커버의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체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지지체돌출부가 상기 절연커버의 각 커버나사결합홀에 끼움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측벽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나사결합홀이 통공되고, 상기 절연커버에는 상기 절연커버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커버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커버돌출부가 이웃하는 커넥터유닛의 측벽판에 형성된 각 지지체나사결합홀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이 측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체나사결합홀은 상기 각 지지체돌출부부터 상기 측벽판에 걸쳐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커버나사결합홀은 상기 각 커버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은 서로 측방향으로 배열된 후 상기 각 커넥터유닛의 각 지지체나사결합홀 및 상기 각 커버나사결합홀을 관통하는 하나의 결합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체나사결합홀 및 상기 각 커버나사결합홀은 단면이 원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기둥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나사결합홀은 상기 측벽판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상기 각 커버돌출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각 커버돌출부의 외경보다 큰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지지체나사결합홀과, 전측지지기둥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상기 제1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결합부재의 외경보다는 큰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지지체나사결합홀로 구성될 수 있다.
시뮬레이터로부터의 복수 개의 전선이 각각 단자대의 각 단자에 직접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이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합된 단자대 커넥터를 통해 일체로 단자대에 결합됨으로써, 각 커넥터유닛에 의한 결합력이 전체 단자대 커넥터에 공유됨으로써 단자대 커넥터의 단자대에 대한 결합력이 보다 상승되고, 이에 따라 시뮬레이터와 단자대가 전기적으로 강하게 연결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후측에 시뮬레이터로부터의 각 전선이 연결된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이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단자대 커넥터의 전측이 단자대의 각 단자에 결합되어 시뮬레이터와 단자대를 연결함으로써 이후 다시 같은 배전반의 시험이 필요할 시, 시뮬레이터로부터의 각 전선이 이전 시험에서 이미 연결된 단자대 커넥터를 바로 단자대에 연결하여 시뮬레이터와 배전반을 연결시킴으로써 시뮬레이터로부터의 복수 개의 전선의 배선을 위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가 단자대에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가 단자대에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향상된 전기적 결합력을 갖는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간략하게 “단자대 커넥터”로 호칭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는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작업자는 원하는 개수 만큼의 커넥터유닛을 조립함으로써 단자대 커넥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가 단자대에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1)는 전력장치와 시험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력장치는 배전반(2)으로, 시험장치는 배전반(2)의 동작 신호 출력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터(3)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단자대를 구비하고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다양한 장치가 전력장치가 될 수 있으며, 전력장치에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양한 장치가 시험장치가 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에는 단자대 커넥터(1), 배전반(2)의 단자대(4) 등이 배전반(2)의 크기와 거의 유사할 정도로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실제 구성의 비율과는 상이함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배전반(2)에는 발전소로부터 보내져온 전기의 전압을 강압하고, 분전반으로 분배하기 위한 스위치, 릴레이 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의 다양한 동작을 시험할 수 있도록 외부 시뮬레이터(3)와 배전반(2)을 연결하는 단자대(4)가 구비된다. 배전반(2)에 구비된 단자대(4)는 배전반(2) 내부의 제어회로로부터의 각 전선(6)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내부단자(5a) 및 배전반(2) 외부의 시뮬레이터(3)로부터의 각 전선(6)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외부단자(5b)로 구성된다. 각 내부단자(5a)와 각 외부단자(5b)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뮬레이터(3)와 배전반(2)의 단자대(4),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뮬레이터(3)의 각 전선과 단자대(4)의 각 외부단자(5b)를 연결하는 단자대 커넥터(1)에 관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단자대(4)의 단자(5)는 단자대(4)의 외부단자(5b)를 지칭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시뮬레이터(3)로부터의 복수 개의 전선이 직접 단자대(4)의 복수 개의 단자에 연결됨으로써 시뮬레이터(3)와 배전반(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뮬레이터(3)로부터의 복수 개의 전선(7)이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1)의 일단에 연결되고, 일단에 시뮬레이터(3)로부터의 복수 개의 전선(7)이 연결된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1)의 타단이 배전반(2)의 단자대(4)에 결합됨으로써 시뮬레이터(3)와 배전반(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자대 커넥터(1)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는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 및 결합부재(210)로 구성된다. 각 커넥터유닛(10)은 시뮬레이터(3)의 복수 개의 전선(7) 중 어느 하나의 전선을 단자대(4)의 복수 개의 단자(5)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연결시킨다. 즉, 각 커넥터유닛(10)을 통해 시뮬레이터(3)의 각 전선(7)과 단자대(4)의 각 단자(5)가 일대일로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는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이 서로 측방향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3개의 커넥터유닛(10)이 조립된 단자대 커넥터(1)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나의 단자대 커넥터(1)에 포함된 커넥터유닛(1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하나의 단자대 커넥터(1)에 포함된 커넥터유닛(10)이 지나지게 많아지는 경우 단자대 커넥터(1)의 보관 문제나 파손의 위험성 증가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는 3개 내지 30개의 커넥터유닛(10)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단자대(4)의 단자(5)가 단자대 커넥터(1)를 구성하는 커넥터유닛(10)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복수 개의 단자대 커넥터(1)를 이용하여 시뮬레이터(3)와 단자대(4)를 연결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자대(4)의 단자(5)가 50개인 경우, 20개의 커넥터유닛(10)으로 구성된 단자대 커넥터(1) 두 개와, 10개의 커넥터유닛(10)으로 구성된 단자대 커넥터(1) 한 개를 이용하여 시뮬레이터(3)와 단자대(4)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자대 커넥터(1)가 단자대(4)에 결합되는 방향을 전측으로 설정하고,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자대 커넥터(1)를 구성하는 각 커넥터유닛(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판(110), 밀착판(120), 브라켓(130), 코일스프링(140), 고정볼트(150), 절연지지체(160) 및 절연커버(170)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의 접속판(110), 밀착판(120), 브라켓(130) 및 고정볼트(150)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접속판(11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측 단부에는 시뮬레이터(3)의 각 전선(7)이, 전측 단부에는 단자대(4)의 각 단자(5)가 연결된다. 시뮬레이터(3)의 각 전선이 연결되는 접속판(110)의 후측 단부에는 고정볼트(150)가 삽입되기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삽입공(110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속판(110)의 후측 단부는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걸림부(1101)를 형성할 수 있다.
접속판(110)의 전측 단부의 하면에는 단자대(4)의 단자(5)와 체결되어 접속판(110)의 전측 단부와 단자대(4)의 단자(5)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접촉돌기(110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촉돌기(1103)는 접속판(110)의 전측 단부의 하면에 돌출되어 있어, 각 단자대(4)의 단자(5),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5)의 고정볼트(51)에 밀착 접촉됨으로써 각 커넥터유닛(10)을 단자대(4)의 각 단자(5)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접촉돌기(1103)에 의해 커넥터유닛(10)이 단자(5)의 고정볼트(51)에 밀착 접촉됨에 따라 시뮬레이터(3)의 각 전선(7)와 단자대(4)의 각 단자(5)가 보다 강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는 단자대 커넥터(1)를 구성하는 각각의 커넥터유닛(10)이 각각 접촉돌기(1103)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이 서로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단자대(4)에 결합함으로써 단자대(4)에 대한 단자대 커넥터(1)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커넥터유닛(10)의 접촉돌기(1103)와 하나의 단자(5) 사이의 결합력은 다소 약할 수 있으나, 이러한 각각의 커넥터유닛(10)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룬 상태로 단자대(4)와 결합함으로써 일부의 커넥터유닛(10)의 접촉돌기(1103)에서 결합력이 저하되더라도 다른 커넥터유닛(10)의 접촉돌기(1103)들에 의해 결합이 유지될 수 있어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각각이 접촉돌기(1103)를 구비한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이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 일체로 단자대(4)에 결합함으로써 단자대(4)에 대한 단자대 커넥터(1)의 결합력이 증가함에 따라 시뮬레이터(3)와 단자대(4)가 보다 강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촉돌기(1103)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속판(110)의 전측 단부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돌기(1103)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단자대(4)의 상방에 단자대 커넥터(1)를 위치시키고, 각 커넥터유닛(10)의 접촉돌기(1103)가 각 단자(5)의 고정볼트(51)에 접촉하도록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자석의 자력에 의해 단자대 커넥터(1)와 단자대(4)를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촉돌기(1103)는, 자석과 자석을 둘러싼 전도성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돌기(1103)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돌기공(미도시)에 원기둥형 자석이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돌기(1103)가 자석과 자석을 둘러싸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석의 자력에 의해 각 단자(5)의 고정볼트(51)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전도성 물질을 통해 강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접촉돌기(1103)의 자석이 다소 전기 전도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전도성 층에 의해 우수한 전기 전기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유리하다.
접속판(110)은 시뮬레이터(3)의 각 전선(7)과 단자대(4)의 단자(5)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도체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접속판(110)은 구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판(110)에는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파여진 고정홈(1104)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속판(110)에는 좌측단부로부터 우측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파여진 고정홈(1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1104)이 절연지지체(160)에 형성된 접속판끼움부(1633)에 맞물려 끼워짐으로써 별도의 나사체결 없이도 접속판(110)이 절연지지체(160) 내에서 고정될 수 있어 제작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밀착판(12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판(110)의 후측 단부 상에 적층되어 이후 적층될 브라켓(130)과 접속판(110) 사이의 밀착력을 강화시킨다. 밀착판(120)에는 접속판(110)의 후측 단부에 형성된 볼트삽입공(1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삽입공(1201)이 형성된다. 밀착판(120) 또한 도체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철이 이용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판(1301)과, 각각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판(1301)의 길이방향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평상판(1302) 및 수평하판(1303)으로 구성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30)의 수평상판(1302)은 접속판(110)의 후측 단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수평하판(1303)은 접속판(110)의 후측 단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브라켓(130)의 수직판(1301)은 고정볼트(150)의 볼트 체결 상태에 따라 승하강된다. 브라켓(130)의 수평상판(1302)에는 접속판(110)의 후측 단부에 형성된 볼트삽입공(1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삽입공(1303)이 형성된다. 브라켓(130) 또한 도체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철이 이용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140)은 브라켓(130)의 수평하판(1303)의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브라켓(130)을 강제로 상승시킨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150)는 브라켓(130)의 수평상판(1302)의 상단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배열된 접속판(110), 밀착판(120), 브라켓(130) 각각에 형성된 볼트삽입공(1102, 1201, 1304)에 체결되며, 고정볼트(150)와 브라켓(130)의 수평상판(1302) 사이에는 시뮬레이터(3)로부터의 전선의 터미널이 끼워진다.
고정볼트(150)가 접속판(110), 밀착판(120), 브라켓(130) 각각에 형성된 볼트삽입공(1102, 1201, 1304)에 체결됨에 따라 코일스프링(140)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브라켓(130)이 하강하게 되고, 이는 코일스프링(140)을 압축시켜 브라켓(130)을 상승시키는 힘을 증가하게 함으로써 고정볼트(150)와 수평상판(1302) 사이에서 시뮬레이터(3)로부터의 전선(7)의 터미널이 보다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의 절연지지체(160)에 접속판(110), 밀착판(120), 브라켓(130), 고정볼트(150) 및 코일스프링(140)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의 절연지지체(16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밀착판(120), 브라켓(130), 고정볼트(150) 등이 결합된 접속판(110)이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절연지지체(160)는 측벽판(161), 바닥판(162), 전측지지기둥(163) 및 후측벽판(164)으로 구성된다. 측벽판(161)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속판(110)의 좌측단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바닥판(162)은 측벽판(16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판(161)의 하단부에 측벽판(161)에 수직하게 결합한다. 전측지지기둥(163)은 바닥판(162)의 전측에서 바닥판(162)과 측벽판(161)에 수직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측지지기둥(163)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측벽판(164)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판(162)의 후측에서 바닥판(162)과 측벽판(161)에 수직하게 결합한다.
한편, 측벽판(161)은 전측 하단부 일부가 제거되어 전측 상단부 일부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벽판(161)은 전측지지기둥(163)보다 전측에 위치하면서, 접속판(110)보다 하측에 위치한 영역이 제거됨으로써 ‘『’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접속판(110)의 전측 하단부가 완전히 개방되고, 이는 각 커넥터유닛(10)의 접속판(110)의 전측 하면에 배치된 접촉돌기(1103)가 단자대(4)의 각 단자(5)에 밀착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커넥터유닛(10)과 각 단자(5) 사이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시뮬레이터(3)와 단자대(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강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측지지기둥(163)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면이 측벽판(161)에 접하도록 고정된다. 전측지지기둥(163)의 우측면에는 전측지지기둥(163)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돌출부(163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지지체돌출부(1631)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지지체돌출부(163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지지체돌출부(1631)는 절연커버(170)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돌출부(1631)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지지체돌출부(1631)가 한 개 형성되는 경우, 지지체돌출부(1631)를 축으로 하여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커넥터유닛(10)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체돌출부(1631)는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지지체(160)에는 측면판(161), 전측지지기둥(163) 및 각 지지체돌출부(1631)를 관통하는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이 형성된다. 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은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을 관통하는 하나의 결합부재(210)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이동 불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은 단면이 원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기둥이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측벽판(161)의 두께방향으로는 단면이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지지체나사결합홀(1632a)이 형성되고, 전측지지기둥(163)의 두께 및 각 지지체돌출부(1631)의 길이방향에 걸쳐서는 단면이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지지체나사결합홀(163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체나사결합홀(1632a)은 절연커버(170)의 커버돌출부(171)의 외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이웃하는 커넥터유닛(10)의 커버돌출부(171)가 측벽판(161)의 제1 지지체나사결합홀(1632a)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 지지체나사결합홀(1632b)은 제1 지지체나사결합홀(1632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2 지지체나사결합홀(1632b)은 결합부재(210)의 외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다.
후측벽판(164)에는 절연지지체(16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방으로 홈이 형성된 걸림부끼움홈(1641)이 형성된다. 한편, 전측지지기둥(163)에는 전측지지기둥(163)의 우측면으로부터 좌측면을 향하여 지면과 수평하게 파여진 접속판끼움홈(1633)이 형성된다.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접속판(110)의 후측 단부가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1101)가 후측벽판(164)의 걸림부끼움홈(1641)에 끼워지고 접속판(110)의 좌측단부로부터 우측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파여진 고정홈(1104)이 전측지지기둥(163)의 접속판끼움홈(1633)에 끼워짐으로써 접속판(110)이 절연지지체(160)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걸림부끼움홈(1641)과 접속판끼움홈(1633)의 위치는 접속판(110)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 높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별도의 나사 체결 없이 접속판(110)의 걸림부(1101) 및 고정홈(1104)을 절연지지체(160)에 끼우는 것 만으로 접속판(110)을 절연지지체(160)에 고정시킬 수 있어 설치가 매우 간편하며, 간단한 구조로 고장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절연지지체(160)는 절연성을 가지고 있어 좌우측에 결합되는 다른 커넥터유닛(10)과 절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접속판(110)이 설치된 절연지지체(160)에 절연커버(170)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절연커버(170)는 측벽판(161)과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속판(110)이 설치된 절연지지체(160)의 개방된 우측에 결합함으로써 절연지지체(160)의 내부공간을 폐쇄시킨다.
절연지지체(160) 및 절연커버(170)는 절연지지체(160) 및 절연커버(170)에 평행한 면에 투사 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짐으로써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의 측방향 결합 시 절연지지체(160)의 측면 전체와 절연커버(170)의 측면 전체가 접촉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커넥터유닛(10) 사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절연커버(170)의 우측면에는 절연커버(170)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돌출부(17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커버돌출부(171)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커버돌출부(17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커버돌출부(171)의 높이는 절연지지체(160)의 측벽판(161)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으며, 직경은 각 지지체돌출부(1631)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절연커버(170)에 형성되는 커버돌출부(171)의 개수는 절연지지체(160)에 형성된 지지체돌출부(1631)의 개수와 동일하며, 형성되는 위치 또한 절연지지체(160)의 지지체돌출부(1631)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170)에는 각 커버돌출부(171)를 관통하는 커버나사결합홀(17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커버나사결합홀(172)은 각 지지체돌출부(163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예컨대, 각 지지체돌출부(1631)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 커버나사결합홀(172)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각 지지체돌출부(1631)의 높이가 절연커버(170)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되므로 각 지지체돌출부(1631)는 절연커버(170)의 두께면에 끼워진다.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각 커버나사결합홀(172)은 각 지지체돌출부(1631)가 꼭 끼워질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커버나사결합홀(172)은 단면이 원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기둥이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측벽판(161)의 평면부의 두께방향으로는 단면이 제2 직경을 가지는 제1 커버나사결합홀(172a)이 형성되고, 측벽판(161)의 커버돌출부(171)의 길이방향에 걸쳐서는 단면이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커버나사결합홀(17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커버나사결합홀(172a)은 절연지지체(160)의 지지체돌출부(1631)의 외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지지체돌출부(1631)가 절연커버(170)의 제1 커버나사결합홀(172a)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 커버나사결합홀(172b)은 제1 커버나사결합홀(172)보다 작은 직경을, 결합부재(210)의 외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커버(170)의 각 커버나사결합홀(172)에 절연지지체(160)의 각 지지체돌출부(1631)가 끼워짐으로써 절연커버(170)가 절연지지체(16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절연지지체(160)와 절연커버(170)는 이중결합클립(220)에 의해 이중결합될 수 있다. 이중결합클립(220)은 사각판의 길이방향 양단이 같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 즉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절연지지체(160)와 절연커버(170)는 각 지지체돌출부(1631)와 각 커버나사결합홀(172)의 끼움 결합에 더해, 절연지지체(160)와 절연커버(170)를 동시에 감싸면서 끼워지는 이중결합클립(220)에 의해 이중으로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중결합클립(220)은 절연지지체(160)와 절연커버(170)의 후측 하단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판(110)이 설치된 절연지지체(160)에 절연커버(170)가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커넥터유닛(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측방향으로 조립된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으로 구성된다. 도 8은 세 개의 커넥터유닛(10)으로 구성되는 단자대 커넥터(1)의 세 개의 커넥터유닛(10)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커넥터유닛(10)의 절연커버(170)의 각 커버돌출부(171)가 이웃하는 타 커넥터유닛(10)의 절연지지체(160)의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에 끼워짐으로써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이 측 방향으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서는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은 측벽판(161)측에서는 이웃하는 커넥터유닛(10)의 커버돌출부(17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큰 직경을 가져야 하고, 지지체돌출부(1631) 측에서는 지지체돌출부(1631)가 커버나사결합홀(17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야 한다. 즉,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설정됨으로써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이 연속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의 측벽판(161) 측이 지지체돌출부(1631) 측 보다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절연지지체(160)의 각 지지체돌출부(1631)가 절연커버(170)의 각 커버나사결합홀(172)에 끼워지고, 지지체돌출부(1631)가 끼워진 절연커버(170)의 커버돌출부(171)가 다시 이웃하는 커넥터유닛(10)의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의 조립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마지막에 조립되는 커넥터유닛(10), 즉 최우측에 배치되는 커넥터유닛(10)의 절연커버(170)에는 우측으로 더 이상 커넥터유닛(10)이 연결되지 않으므로, 절연커버(170)에 커버돌출부(171)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9는 측방향으로 조립된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에 결합부재(210)가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은 일 커넥터유닛(10)의 각 커버돌출부(171)가 이웃하는 타 커넥터유닛(10)의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에 끼워짐으로써 측방향으로 조립된다. 이렇게 서로 끼움결합한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 각각의 지지체나사결합홀(1632) 및 커버나사결합홀(172)은 서로 연통되고, 결합부재(210)는 이렇게 연통된 나사결합홀(1632, 172)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이 서로에 대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재(210)는 나사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대 커넥터(1)는 절연지지체(160)와 절연커버(170)를 결합시키는 지지체돌출부(1631)와,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 사이를 결합시키는 커버돌출부(171)가 모두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이러한 지지체돌출부(1631)와 커버돌출부(171)를 관통하도록 나사결합홀(1632, 172)이 형성되어 결합부재(210)를 통해 복수 개의 단자대(4)가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 각각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거나, 거리가 멀어지는 일 없이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절연지지체(160)가 단자대 커넥터(1)의 좌측을 형성하고, 절연커버(170)가 단자대 커넥터(1)의 우측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절연지지체(160)가 단자대 커넥터(1)의 우측을 형성하고, 절연커버(170)가 단자대 커넥터(1)의 좌측을 형성하도록 응용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1)가 단자대(4)에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단자대 커넥터(1)의 각 커넥터유닛(10)의 후측의 고정볼트(150)에 시뮬레이터(3)의 각 전선(7)이 연결되고, 각 커넥터유닛(10)의 전측은 배전반(2)의 단자대(4)에 결합한다. 이때, 각 커넥터유닛(10)의 접속판(110)의 전측 하면의 접촉돌기(1103)가 단자대(4)의 각 단자(5), 보다 구체적으로 각 단자(5)의 고정볼트(51)와 밀접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각 커넥터유닛(10)에 연결된 시뮬레이터(3)의 각 전선과 단자대(4)의 각 단자(5)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촉돌기(1103)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자는 단자대 커넥터(1)를 단자대(4)의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것 만으로 결합을 위한 특별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자력에 의해 단자대 커넥터(1)를 단자대(4)의 고정볼트(51)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이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움직임에 따라 각 접촉돌기(1103)에 의한 결합력이 단자대 커넥터(1) 전체에 대해 공유됨으로써 보다 강하게 단자대(4)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시뮬레이터(3)와 단자대(4)가 보다 강한 전기적 결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 커넥터(1)는 후측에 시뮬레이터(3)로부터의 각 전선이 연결된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 각각이 측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고정되어 조립되고, 단자대 커넥터(1)의 전측이 단자대(4)의 각 단자(5)에 결합되어 시뮬레이터(3)와 단자대(4)를 연결함으로써 이후 다시 같은 배전반(2)의 시험이 필요할 시, 시뮬레이터(3)로부터의 각 전선이 이전 시험에서 이미 연결된 단자대 커넥터(1)를 바로 단자대(4)에 연결하여 시뮬레이터(3)와 배전반(2)을 연결시킴으로써 시뮬레이터(3)로부터의 복수 개의 전선의 배선을 위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시뮬레이터(3)로부터의 복수 개의 전선이 각각 단자대(4)의 각 단자(5)에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이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합된 단자대 커넥터(1)를 통해 일체로 단자대(4)에 결합됨으로써, 각 커넥터유닛(10)에 의한 결합력이 전체 단자대 커넥터(1)에 공유됨으로써 결합력이 보다 상승되고, 이에 따라 시뮬레이터(3)와 단자대(4)가 보다 강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단자대 커넥터
2: 배전반
3: 시뮬레이터
4: 단자대
5: 단자
10: 커넥터유닛
110: 접속판
120: 밀착판
130: 브라켓
150: 고정볼트
160: 절연지지체
170: 절연커버
1631: 지지체돌출부
1632: 지지체나사결합홀
171: 커버돌출부
172: 커버나사결합홀

Claims (10)

  1. 제1 장치의 단자대(4)의 복수의 단자(5)와 제2 장치의 복수의 전선(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자대 커넥터(1)에 있어서,
    각각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측 단부는 상기 제1 장치의 단자대(4)의 각 단자(5)에 연결되고 후측 단부는 상기 제2 장치의 각 전선(7)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단자대(4)의 각 단자(5)와 상기 제2 장치의 각 전선(7)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판(110)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판(110)의 전측 하면에는 상기 단자대(4)의 각 단자(5)와 체결되어 상기 접속판(110)의 전측 단부를 상기 단자대(4)의 각 단자(5)에 밀착 접촉한 상태로 결합시키는 접촉돌기(1103)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은 측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각 접촉돌기(1103)에 의한 결합력이 상기 단자대 커넥터(1) 전체로 공유됨으로써 상기 단자대 커넥터(1)와 상기 단자대(4) 사이의 결합력이 상승하고, 상기 단자대 커넥터(1)와 상기 단자대(4) 사이의 결합력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상기 단자대 커넥터(1)에 의해 전기적으로 강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 커넥터유닛(10)은 상기 접속판(110)의 전측 하면에 돌출된 접촉돌기(1103)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대(4)의 각 단자(5)에 밀착 접촉함으로써 상기 각 커넥터유닛(10)과 상기 각 단자(5)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며,
    상기 접촉돌기(1103)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각 커넥터유닛(10)은 상기 접촉돌기(1103)의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각 단자(5)의 고정볼트(150)에 밀착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1103)는 상기 자석과 상기 자석의 측면을 둘러싼 전도성 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자석에 의한 자력과 상기 전도성 층에 의한 전기전도성을 모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커넥터유닛(10)은
    내부에 상기 접속판(110)을 수용하고, 측면이 개방된 절연지지체(160); 및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지지체(160)의 개방된 측면을 덮음으로써 상기 절연지지체(160)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절연커버(17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대 커넥터(1)는 서로 이웃하는 커넥터유닛(10)의 어느 하나의 커넥터유닛(10)의 절연커버(170)와 다른 하나의 커넥터유닛(10)의 절연지지체(160)가 맞닿은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지지체(16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판(110)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벽판(161);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판(161)의 하단부에서 상기 접속판(1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바닥판(162); 및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62)의 전측에서 상기 바닥판(162)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전측지지기둥(163)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커버(170)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나사결합홀(172)이 통공되고,
    상기 전측지지기둥(163)에는 상기 절연커버(170)의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체돌출부(163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지지체돌출부(1631)가 상기 절연커버(170)의 각 커버나사결합홀(172)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판(161)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이 통공되고,
    상기 절연커버(170)에는 상기 절연커버(170)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커버돌출부(17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커버돌출부(171)가 이웃하는 커넥터유닛(10)의 측벽판(161)에 형성된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이 측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은 상기 각 지지체돌출부(1631)부터 상기 측벽판(161)에 걸쳐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커버나사결합홀(172)은 상기 각 커버돌출부(17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유닛(10)은 서로 측방향으로 배열된 후 상기 각 커넥터유닛(10)의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 및 상기 각 커버나사결합홀(172)을 관통하는 하나의 결합부재(210)가 체결됨으로써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체나사결합홀(1632) 및 상기 각 커버나사결합홀(172)은 단면이 원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기둥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나사결합홀(1632)은
    상기 측벽판(161)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상기 각 커버돌출부(171)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각 커버돌출부(171)의 외경보다 큰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지지체나사결합홀(1632a)과, 전측지지기둥(163)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상기 제1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결합부재(210)의 외경보다는 큰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지지체나사결합홀(163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커넥터.
KR1020220111258A 2022-09-02 2022-09-02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 KR102501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258A KR102501978B1 (ko) 2022-09-02 2022-09-02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258A KR102501978B1 (ko) 2022-09-02 2022-09-02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978B1 true KR102501978B1 (ko) 2023-02-21

Family

ID=8532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258A KR102501978B1 (ko) 2022-09-02 2022-09-02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9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3224A (ja) * 1993-03-26 1994-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タッチメント付端子台
JPH08171952A (ja) * 1994-12-16 1996-07-02 Nitto Kogyo Kk 端子台
KR101744511B1 (ko) * 2016-11-24 2017-06-09 양승민 터미널블록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3224A (ja) * 1993-03-26 1994-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タッチメント付端子台
JPH08171952A (ja) * 1994-12-16 1996-07-02 Nitto Kogyo Kk 端子台
KR101744511B1 (ko) * 2016-11-24 2017-06-09 양승민 터미널블록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8493A (en) Holder with busbars for a busbar system
CN1042679C (zh) 用于联结接触器和断路器的装置
CN101901968B (zh) 分断端子
US8366492B2 (en) Terminal reversing block
US6433998B2 (en) Switchgear
CN201556721U (zh) 接线端子和具有接线端子的电气安装设备
KR102501978B1 (ko) 조립식 단자대 커넥터
US20100173541A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terminal connector assembly therefor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CN100448125C (zh) 开闭装置的设备的连接装置
EP0673081B1 (en) Terminal box
EP1496585B1 (en) Metal closed type distributor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US5657200A (en) Tubular bus arrangement for power transport in electrical devices
KR200478315Y1 (ko) 배선용차단기의 단자 기구
JP2000243483A (ja) 端子装置および分電盤
JPH1118216A (ja) 絶縁配線配電盤及び裏配線用端子台
CN205790698U (zh) 一种防虚接接线端子
EP1227558A1 (en) Switchgear
JPH11250947A (ja) 電源用コンセントおよびスイッチ
CN114389193B (zh) 一种充气式架空进线柜
CN210136829U (zh) 插拔式底座和断路器插头及包括其的塑壳断路器
US20040242080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CN216450459U (zh) 一种电力用绝缘子
JP4523086B2 (ja) アース中継端子付住宅用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