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401B1 - 음료제조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료제조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401B1
KR102501401B1 KR1020207006281A KR20207006281A KR102501401B1 KR 102501401 B1 KR102501401 B1 KR 102501401B1 KR 1020207006281 A KR1020207006281 A KR 1020207006281A KR 20207006281 A KR20207006281 A KR 20207006281A KR 102501401 B1 KR102501401 B1 KR 10250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traction
diagram showing
beverag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499A (ko
Inventor
가이슌 기하라
가이šœ 기하라
다이스케 도리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Publication of KR2020003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of liquid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nfectio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추출대상을 원료로 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음료제조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음료제조장치의 각 제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1)과, 조작자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유닛(12)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10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자동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로 상기 각 제조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동모드에서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상기 각 제조동작이 자동제어된다. 상기 매뉴얼 모드에서는, 상기 조작유닛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상기 각 제조동작이 제어된다.

Description

음료제조장치 및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음료의 제조기술에 관한 것이다.
커피음료 등을 제조하는 음료제조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3).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05-081544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024703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66697호 공보
일부의 음료(예를 들면 커피음료)는 기호성이 강한 음료로서, 맛이나 향기의 차이가 그 평가에 영향을 준다. 음료의 제조의 자동화는 양산성(量産性)의 점에서 유리하지만, 음료제조장치를 제공하는 점포 등에 특유한 음료를 제공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의 기호(嗜好)에 맞는 음료가 제조 가능한 음료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추출대상(예를 들면 로스트 커피콩)을 원료로 하여 음료(예를 들면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음료제조장치로서,
상기 음료제조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음료제조장치의 각 제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조작자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자동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로 상기 각 제조동작을 제어 가능하고,
상기 자동모드에서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상기 각 제조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고,
상기 매뉴얼 모드에서는, 상기 조작유닛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상기 각 제조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추출대상으로부터 음료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와,
상기 추출장치를 덮는 커버체와,
한잔의 음료액의 제조에 필요한 일련의 제조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음료제조장치로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추출장치에 의하여 음료액이 추출되는 모습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유닛은, 유저에 의한 스타트 조작에 따라서 자동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로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자동모드는,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의 각 제조동작을 순차적으로 자동실행할 수 있는 모드이고,
상기 매뉴얼 모드는,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제조동작의 실행중에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제조동작을 종료하고 다음의 제조동작을 시작할 수 있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매뉴얼 모드에 있어서 실행된 일련의 제조동작의 제어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저장된 상기 일련의 제어동작의 제어내용을 상기 자동모드에 있어서 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장치가 설치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고,
상기 추출장치는, 상기 추출대상과 액체가 수용되는 추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부에 의하여, 추출대상으로부터 음료액이 상기 추출용기내에서 추출되는 모습을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뉴얼 모드는,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제조동작과는 다른 제조동작의 실행중에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다른 제조동작을 종료하고 다음의 제조동작을 시작할 수 있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대상으로부터 음료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와, 상기 추출장치를 덮는 커버체를 구비한 음료제어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추출장치에 의하여 음료액이 추출되는 모습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방법은,
유저에 의한 스타트 조작에 따라서 자동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로 한잔의 음료액의 제조에 필요한 일련의 제조동작을 제어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모드는,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의 각 제조동작을 순차적으로 자동실행할 수 있는 모드이고,
상기 매뉴얼 모드는,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제조동작의 실행중에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제조동작을 종료하고 다음의 제조동작을 시작할 수 있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의 기호에 맞는 음료가 제조 가능한 음료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료제조장치의 개요도.
[도2]도1의 음료제조장치의 제어장치의 블럭도.
[도3]콩처리장치의 사시도.
[도4]분쇄장치의 종단면도.
[도5]분리장치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6]형성유닛의 종단면도.
[도7]도6의 형성유닛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8]단면적의 비교 설명도.
[도9]다른 예의 설명도.
[도10]구동유닛 및 추출용기의 사시도.
[도11]도10의 추출용기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도10의 추출용기의 분해사시도.
[도13]상부유닛 및 하부유닛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14]도13의 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15]뚜껑유닛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상하의 마개부재의 개폐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중부유닛의 모식도.
[도18]중부유닛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중부유닛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도2의 제어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21]도2의 제어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22]도2의 제어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23]추출용기의 자세변화에 의한 온수 및 분쇄두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중부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25]도2의 제어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26]도2의 제어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27]콩처리장치(2) 및 추출장치(3)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8]흡인유닛의 단면도.
[도29]수평이동기구의 부분 사시도.
[도30]아암부재의 부분 사시도.
[도31]캐니스터의 분해사시도.
[도32]캐니스터의 통부의 단면도.
[도33]캐니스터의 구성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34]장착상태에 있어서의 캐니스터 주변의 수직 단면도.
[도35]장착상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캐니스터 주변의 사시도.
[도36]장착상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캐니스터 주변을 상으로부터 본 도.
[도37]장착상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캐니스터 주변을 밑에서부터 본 도.
[도38]장착상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캐니스터 주변의 수직 단면도.
[도39]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40]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41]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42]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43]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44]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45]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46]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47]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48]집합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9]집합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0]집합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1]집합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2]집합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3]집합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4]집합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5]하우징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6]도55의 하우징의 동작 설명도.
[도57]하우징의 별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8]도57의 하우징의 동작 설명도.
[도59]태그를 붙인 캐니스터, 수납자루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0]스톡커의 모식도.
[도61]스톡커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7]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8]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9]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0]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9]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0]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1]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2]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3]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4]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5]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6]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7]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8]조작유닛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1. 음료제조장치의 개요>
도1은 음료제조장치(1)의 개요도, 도2는 제조장치(1)의 제어장치(11)의 블록도이다. 음료제조장치(1)는, 로스트 커피콩(roast coffee豆)과 액체(여기서는 물)로부터 커피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로서, 1회의 제조동작에 대해 컵 1잔의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료제조장치(1)는 콩처리장치(2), 추출장치(3) 및 제어장치(11)를 포함한다.
제어장치(11)는 음료제조장치(1)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장치(11)는, 처리부(11a), 기억부(11b) 및 I/F(인터페이스)부(11c)를 포함한다. 처리부(11a)는 예를 들어 CPU 등의 프로세서이다. 기억부(11b)는 예를 들어 RAM이나 ROM이다. I/F부(11c)는 외부 디바이스와 처리부(11a) 사이의 신호의 입출력을 행한다.
처리부(11a)는 기억부(11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조작유닛(12)으로부터의 지시 혹은 센서군(13)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액추에이터군(14)을 제어한다. 조작유닛(12)은 사용자의 지시입력을 접수하는 유닛으로서, 예를 들어 터치패널, 기계식 스위치이다. 사용자는 조작유닛(12)을 통해 커피음료의 제조를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군(13)은 음료제조장치(1)에 설치된 각종 센서(예를 들어 온수(여기서 온수는 탕수(湯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끊인 물, 끊은 물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탕량(湯量), 탕온(湯溫), 급탕(給湯)도 온수의 양, 온수의 온도, 온수의 공급의 의미로 사용된다)은 음료제조장치(1)에 설치된 각종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모터, 전자밸(電磁valve), 히터 등)이다.
콩처리장치(2)는, 로스트 커피콩으로부터 분쇄두(粉碎豆)를 생성한다. 추출장치(3)는, 콩처리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한다. 추출장치(3)는, 유체공급유닛(7), 후술하는 구동유닛(8), 추출용기(9) 및 전환유닛(10)을 포함한다. 콩처리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두는 추출용기(9)에 투입된다. 유체공급유닛(7)은, 추출용기(9)에 온수를 투입한다. 추출용기(9) 내에서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된다. 추출된 커피액을 포함한 온수가 전환유닛(10)을 통해 커피음료로서 컵(C)으로 송출된다.
<2. 유체공급유닛 및 전환유닛>
유체공급유닛(7) 및 전환유닛(10)의 구성에 대해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체공급유닛(7)에 대해 설명한다. 유체공급유닛(7)은, 추출용기(9)에 온수 공급이나 추출용기(9) 내의 기압제어 등을 행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기압을 숫자로 예시하고 있는 경우에,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절대압을 의미하며, 게이지압이란 대기압을 0기압으로 하는 기압이다. 대기압이란, 추출용기(9)의 주위 기압 또는 음료제조장치의 기압을 가리키고, 예를 들어 음료제조장치가 해발 0m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약어] ICAO〕)이 1976년에 제정한 국제표준기(=「International Standard Atmosphere」〔[약어] ISA〕)의 해발 0m에서의 기준기압(1013.25hPa)이다.
유체공급유닛(7)은 배관(L1~L3)을 포함한다. 배관(L1)은 공기가 유통하는 배관이며, 배관(L2)은 물이 유통하는 배관이다. 배관(L3)은 공기와 물이 둘 다 유통 가능한 배관이다.
유체공급유닛(7)은, 가압원으로서 컴프레서(70)를 포함한다. 컴프레서(70)는 대기를 압축하여 송출한다. 컴프레서(70)는 예를 들어 모터(도시생략)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컴프레서(70)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는, 체크밸브(71a)를 통해 리저브 탱크(어큐뮬레이터)(71)에 공급된다. 리저브 탱크(71) 내의 기압은 압력센서(71b)에 의하여 감시되어 소정의 기압(본 실시형태에서는 7기압(게이지압으로 6기압))으로 유지되도록, 컴프레서(70)가 구동된다. 리저브 탱크(71)에는 배수용 드레인(71c)이 설치되어 있고, 공기의 압축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을 배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탱크(72)에는 커피음료를 구성하는 온수(물)가 축적된다. 물탱크(72)에는, 물탱크(72) 내의 물을 가온하는 히터(72a) 및 물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72b)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72a)는 온도센서(72b)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축적되는 온수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본 실시형태에서는 섭씨 120도)로 유지한다. 히터(72a)는 예를 들어 온수의 온도가 섭씨 118도에서 ON이 되고, 섭씨 120도에서 OFF가 된다.
또한, 물탱크(72)에는 수위센서(72c)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센서(72c)는 물탱크(72) 내의 온수의 수위를 검출한다. 수위센서(72c)에 의하여 소정의 수위보다 수위가 내려간 것이 검출되면, 물탱크(72)에 물이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도시하지 않은 정수기를 통해 수돗물이 공급된다. 정수기로부터의 배관(L2) 도중에는 전자밸브(72d))가 설치되어 있고, 수위센서(72c)에 의하여 수위의 저하가 검출되면 전자밸브(72d))가 개방되어 물이 공급되고,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면 전자밸브(72d))가 폐쇄되어 물공급이 차단된다. 이렇게 하여 물탱크(72) 내의 온수가 일정한 수위로 유지된다. 또, 물탱크(72)에의 급수는 1회 커피음료의 제조에 사용하는 온수를 배출할 때마다 행하여도 된다.
또한, 물탱크(72)에는 압력센서(72g)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센서(72g)는 물탱크(72) 내의 기압을 검출한다. 물탱크(72)에는 압력조절밸브(72e) 및 전자밸브(72f)를 통해 리저브 탱크(71) 내의 기압이 공급된다. 압력조절밸브(72e)는 리저브 탱크(71)로부터 공급되는 기압을 소정의 기압으로 감압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3기압(게이지압으로 2기압)으로 감압한다. 전자밸브(72f)는 압력조절밸브(72e)로 압력이 조절된 기압의 물탱크(72)에 대한 공급과 차단을 전환한다. 전자밸브(72f)는, 물탱크(72)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물탱크(72) 내의 기압이 3기압으로 유지되도록 개폐가 제어된다. 물탱크(72)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수돗물의 수압에 의하여 물탱크(72)에 원활하게 수돗물이 보급되도록, 전자밸브(72h)에 의하여 물탱크(72) 내의 기압을 수돗물의 수압보다 낮은 압력(예를 들어 2.5기압 미만)으로 감압한다. 전자밸브(72h)는 물탱크(72) 내를 대기에 개방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감압시에는 물탱크(72) 내를 대기에 개방한다. 또한, 전자밸브(72h)는 물탱크(72)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경우 이외에 물탱크(72) 내의 기압이 3기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물탱크(72) 내를 대기에 개방하여, 물탱크(72) 내를 3기압으로 유지한다.
물탱크(72) 내의 온수는, 체크밸브(72j), 전자밸브(72i) 및 배관(L3)을 통해 추출용기(9)에 공급된다. 전자밸브(72i)를 개방함으로써 추출용기(9)에 온수가 공급되고, 폐쇄함으로써 온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추출용기(9)에 대한 온수의 공급량은, 전자밸브(72i)의 개방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급량을 계측하여 전자밸브(72i)의 개폐를 제어하여도 된다. 배관(L3)에는 온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73e)가 설치되어 있어, 추출용기(9)에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가 감시된다.
또한, 리저브 탱크(71)의 기압은 압력조절밸브(73a), 전자밸브(73b)를 통해 추출용기(9)에 공급된다. 압력조절밸브(73a)는 리저브 탱크(71)로부터 공급되는 기압을 소정의 기압으로 감압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5기압(게이지압으로 4기압)으로 감압한다. 전자밸브(73b)는 압력조절밸브(73a)로 압력이 조절된 기압의 추출용기(9)에 대한 공급과 차단을 전환한다. 추출용기(9) 내의 기압은 압력센서(73d)로 검출된다. 추출용기(9) 내를 가압할 때에, 압력센서(73d)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전자밸브(73b)가 개방되고, 추출용기(9) 내를 소정의 기압(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최대 5기압(게이지압으로 4기압))으로 가압한다. 추출용기(9) 내의 기압은 해방밸브(73c)로 감압 가능하다. 해방밸브(73c)는 추출용기(9) 내를 대기에 개방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압력 이상시(예를 들어 추출용기(9) 내가 5기압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용기(9) 내를 대기에 개방한다.
1회 커피음료의 제조가 끝나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추출용기(9) 내를 수돗물로 세정한다. 전자밸브(73f)는 세정시에 개방되고, 추출용기(9)에 수돗물을 공급한다.
다음에 전환유닛(10)에 대해 설명한다. 전환유닛(10)은, 추출용기(9)로부터 송출되는 액체의 송출처(送出處)를 주입부(10c)와 폐기탱크(T) 중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유닛이다. 전환유닛(10)은, 전환밸브(10a)와 전환밸브(10a)를 구동하는 모터(10b)를 포함한다. 전환밸브(10a)는, 추출용기(9) 내의 커피음료를 송출하는 경우는 주입부(10c)로 유로를 전환한다. 커피음료는 주입부(10c)로부터 컵(C)에 따라진다. 세정시의 폐액(수돗물) 및 잔사(분쇄두)를 배출하는 경우는 폐기탱크(T)로 유로를 전환한다. 전환밸브(10a)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3포트의 볼밸브(ball valve)이다. 세정시에는 전환밸브(10a)를 잔사가 통과하기 때문에, 전환밸브(10a)는 볼밸브가 적합하고, 모터(10b)는 그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유로를 전환한다.
<3. 콩처리장치>
도3을 참조하여 콩처리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콩처리장치(2)의 사시도이다. 콩처리장치(2)는, 저장장치(貯藏裝置)(4) 및 분쇄장치(粉碎裝置)(5)를 포함한다.
<3-1. 저장장치>
저장장치(4)는, 로스트 후의 커피콩이 수용되는 복수의 캐니스터(4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캐니스터(40)는 3개 설치되어 있다. 3개의 캐니스터(40)를 구별하는 경우에, 캐니스터(40A, 40B, 40C)라고 한다. 각 캐니스터(40A~40C)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하고, 조작유닛(12)에 대한 조작입력에 의하여, 커피음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종류가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란, 예를 들어 커피콩의 품종이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다. 또한, 종류가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란, 동일한 품종의 커피콩이지만 로스트 정도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어도 된다. 또한, 종류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란, 품종도 로스트 정도도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어도 된다. 또한, 3개의 캐니스터(40)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 종류의 품종의 로스트 커피콩이 혼합된 로스트 커피콩이 수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각 품종의 로스트 커피콩은 로스트 정도가 동일한 정도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캐니스터(40)를 설치하였지만, 하나의 캐니스터(40)만이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캐니스터(40)를 설치한 경우에, 동일한 종류의 볶은 커피콩이 전부 또는 복수의 캐니스터(40)에 수용되어도 된다.
각 캐니스터(40)에는 개별로 컨베이어(41)가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41)는 캐니스터(40)에 수용된 소정의 양의 로스트 커피콩을 하류측으로 자동으로 송출하는 송출기구(반송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컨베이어(41)는 모터(41a)를 구동원으로 하는 스크루 컨베이어로서, 로스트 커피콩을 자동으로 계량하는 계량유닛이다. 모터(41a)의 회전량(스크루의 회전량)에 의하여 로스트 커피콩의 송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각 컨베이어(41)는 하류측의 집합반송로(42)로 로스트 커피콩을 배출한다. 집합반송로(42)는, 중공(中空)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컨베이어(41)별의 투입구(42a)와, 공통의 배출구(42b)를 포함하고, 공통의 배출구(42b)로부터 분쇄장치(5)로 로스트 커피콩이 공급된다.
<3-2. 분쇄장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분쇄장치(5)를 설명한다. 도4는 분쇄장치(5)의 종단면도이다. 분쇄장치(5)는, 그라인더(5A 및 5B) 및 분리장치(6)를 포함한다. 그라인더(5A 및 5B)는,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는 기구이다. 그라인더(5A 및 5B)는, 콩을 분쇄하는 입도(粒度)가 다르다. 그라인더(5A)는 조(粗)분쇄용(초벌분쇄용, 거칠게 갈기용) 그라인더이고, 그라인더(5B)는 미(微)분쇄용(정밀분쇄용, 미세하게 갈기용) 그라인더이다.
<3-2-1. 그라인더>
그라인더(5A)는, 모터(52a) 및 본체부(53a)를 포함한다. 모터(52a)는 그라인더(5A)의 구동원이다. 본체부(53a)는 커터를 수용하는 유닛으로서, 회전축(54a)이 내장되어 있다. 회전축(54a)에는 기어(55a)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52a)의 구동력이 기어(55a)를 통해 회전축(54a)에 전달된다.
또한, 회전축(54a)에는 커터인 회전칼날(58a)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칼날(58a)의 주위에는 커터인 고정칼날(57a)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3a)의 내부는 투입구(50a) 및 배출구(51a)와 연통되어 있다. 집합반송로(42)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본체부(53a)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50a)로부터 본체부(53a)로 가로방향으로 진입하고, 회전칼날(58a)과 고정칼날(57a)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분쇄된다. 회전축(54a)의 회전칼날(58a)보다 상측에는 억제판(56a)이 설치되어 있고, 억제판(56a)은 로스트 커피콩이 상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라인더(5A)에서는 로스트 커피콩이 예를 들어 1/4 정도로 분쇄된다. 분쇄두는 배출구(51a)로부터 분리장치(6)로 배출된다.
또, 투입구(50a)에 공급된 로스트 커피콩은, 회전칼날(58a)의 상방으로부터가 아니라 측면에 닿는 높이로 공급되어도 된다. 그 경우는, 회전칼날(58a)에 의하여 로스트 커피콩이 상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억제판(56a)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라인더(5A)는, 회전칼날(58a)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분쇄된 후에 배출되는 로스트 커피콩의 크기를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회전칼날(58a)과 고정칼날(57a) 사이의 거리를 수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변화시켜도 된다.
분리장치(6)는, 분쇄두로부터 불요물(불필요한 물질)을 분리하는 기구이다. 분리장치(6)는 그라인더(5A)와 그라인더(5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우선 그라인더(5A)에서 조분쇄되고, 그 조분쇄두(粗粉碎豆)로부터 분리장치(6)에 의하여 불요물이 분리된다. 불요물이 분리된 조분쇄두는, 그라인더(5B)에 의하여 미분쇄된다. 분리장치(6)로 분리하는 불요물은 대표적으로 채프(chaff)나 미분(微粉)이다. 이들은 커피음료의 맛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분리장치(6)는 공기의 흡인력에 의하여 불요물을 분리하는 기구로서, 그 상세는 후술한다.
그라인더(5B)는, 모터(52b) 및 본체부(53b)를 포함한다. 모터(52b)는 그라인더(5B)의 구동원이다. 본체부(53b)는 커터를 수용하는 유닛으로서, 회전축(54b)이 내장되어 있다. 회전축(54b)에는 풀리(55b)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52b)의 구동력이 벨트(59b) 및 풀리(55b)를 통해 회전축(54b)에 전달된다.
또한, 회전축(54b)에는 회전칼날(58b)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칼날(58b)의 상측에는 고정칼날(57b)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3b)의 내부는 투입구(50b) 및 배출구(51b)와 연통되어 있다. 분리장치(6)로부터 낙하해 오는 분쇄두는 투입구(50b)로부터 본체부(53b)에 진입하고,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더 분쇄된다. 분말형상으로 분쇄된 분쇄두는 배출구(51b)로부터 배출된다. 또, 그라인더(5B)에서의 분쇄두의 입도(粒度)는,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의 간극을 조정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는, 하나의 그라인더(1단계 분쇄)에 의하여도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2개의 그라인더(5A, 5B)에 의한 2단계 분쇄로 함으로써, 분쇄두의 입도가 일정해지기 쉬워져서 커피액의 추출 정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콩의 분쇄시에는 커터와 콩의 마찰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2단계 분쇄로 함으로써, 분쇄시의 마찰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여 분쇄두의 열화(예를 들어 풍미가 떨어짐)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조분쇄→불요물 분리→미분쇄라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채프 등의 불요물을 분리할 때에, 불요물과 분쇄두(필요물)의 질량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는 불요물의 분리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아울러, 분쇄두(필요물)이 불요물로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분쇄와 미분쇄의 사이에 공기의 흡인을 이용한 불요물 분리처리가 들어감으로써, 공랭(空冷)에 의하여 분쇄두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분쇄두의 열화(예를 들어 풍미가 떨어짐)를 방지할 수도 있다.
<3-2-2. 분리장치>
다음에, 도3~도5를 참조하여 분리장치(6)를 설명한다. 도5는 분리장치(6)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분리장치(6)는, 흡인유닛(6A) 및 형성유닛(6B)을 포함한다. 형성유닛(6B)은, 그라인더(5A)로부터 자유낙하해 오는 분쇄두가 통과하는 분리실(SC)을 형성하는 중공체이다. 흡인유닛(6A)은, 분쇄두의 통과방향(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좌우방향)으로 분리실(SC)과 연통하여 분리실(SC)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유닛이다. 분리실(SC) 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채프나 미분 등의 경량의 물체가 흡인된다. 이에 의해,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할 수 있다.
흡인유닛(6A)은 원심분리 방식의 기구이다. 흡인유닛(6A)은, 송풍유닛(60A) 및 회수용기(60B)를 포함한다. 송풍유닛(60A)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팬모터(fan motor)로서, 회수용기(60B) 내의 공기를 상방으로 배기한다.
회수용기(60B)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61)와 하부(62)를 포함한다. 하부(62)는 상방이 개방된 바닥이 있는 통형을 이루고 있고, 불요물을 축적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61)는 하부(62)의 개구에 장착되는 덮개부를 구성한다. 상부(61)는, 원통 형상의 외주벽(61a)과, 이와 동축 상에 형성된 배기통(61b)을 포함한다. 송풍유닛(60A)은 배기통(61b) 내의 공기를 흡인하도록 배기통(61b)의 상방에서 상부(6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61)는 지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통형의 접속부(61c)를 포함한다. 접속부(61c)는 형성유닛(6B)과 접속되어 분리실(SC)과 회수용기(60B)를 연통시킨다. 접속부(61c)는 배기통(61b)의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송풍유닛(60A)의 구동에 의해, 도5에서 화살표 d1~d3로 나타내는 기류(氣流)가 발생한다. 이 기류에 의해, 분리실(SC)로부터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가 접속부(61c)를 통과하여 회수용기(60B) 내로 흡인된다. 접속부(61c)는 배기통(61b)의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는 배기통(61b)의 주위를 선회한다. 공기 중의 불요물(D)은, 그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여 회수용기(60B)의 일부에 모아진다(하부(62)의 바닥면 상에 퇴적한다). 공기는 배기통(61b)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배기된다.
배기통(61b)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핀(fin)(61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핀(61d)은 배기통(61b)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개개의 핀(61d)은, 배기통(61b)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핀(61)을 설치함으로써, 불요물(D)을 포함한 공기가 배기통(61b) 주위를 선회하는 것을 촉진한다. 또한, 핀(61)에 의하여 불요물(D)의 분리가 촉진된다. 이 결과, 흡인유닛(6A)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인더(5A 및 5B)에 의한 분쇄두의 낙하경로에 형성유닛(6B)을 배치하는 한편, 낙하경로의 측방에 원심분리 방식의 흡인유닛(6A)을 배치하고 있다. 원심분리 방식의 기구는 상하방향으로 길어지기 쉬운데, 흡인유닛(6A)을 낙하경로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흡인유닛(6A)을 그라인더(5A) 및 그라인더(5B)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병설(竝設)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억제하는 것에 기여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2개의 그라인더(5A 및 5B)에 의하여 2단계 분쇄를 행하는 경우에, 장치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흡인유닛(6A)의 이러한 배치가 장치의 소형화에 유효하다.
도3~도 9를 참조하여 형성유닛(6B)을 설명한다. 도6은 형성유닛(6B)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형성유닛(6B)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형성유닛(6B)의 평면도로서, 단면적의 비교 설명도이다.
형성유닛(6B)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상하로 둘로 나눈 2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형성유닛(6B)은 관부(63) 및 분리실 형성부(64)를 포함하고, 평면에서 보아 스푼 형상을 가지고 있다. 관부(63)는, 흡인유닛(6A)과의 연통로(63a)를 형성하는 통체로서, 가로방향(후술하는 중심선(C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분리실 형성부(64)는 관부(63)에 접속되어 분리실(SC)을 형성하는, 중앙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원환(圓環) 형상의 중공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함에 있어서, 그라인더(5A)로부터 낙하해 오는 분쇄두에 가로방향의 풍압을 작용시켜 불요물을 흡인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는, 원심분리 방식보다 연직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분리실 형성부(6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통상부(筒狀部)(65)를 포함한다. 통상부(65)는 그 상하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분리실(SC) 내로 돌출되어 있다. 통상부(65)는 상측의 일단에 개구부(65a)를 가지며, 개구부(65a)는 분리실(SC)과 연통한, 분쇄두의 투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65a)는 분리실(SC) 밖에 위치하고 있고, 그라인더(5A)의 배출구(51a)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두가 빠짐없이 분리실 형성부(64)로 유입된다. 통상부(65)는 하측의 타단에 개구부(65b)를 가진다. 개구부(65b)는 분리실(SC) 내에 위치하고 있다. 개구부(65b)가 분리실(SC)에 면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두가 빠짐없이 분리실(SC)로 유입된다.
통상부(65)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개구부(65a) 및 개구부(65b)는 중심선(CL) 상에 위치하는 동일한 중심의 원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두가 통상부(65)를 통과하기 쉬워진다. 통상부(65)는,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개구부(65a) 측으로부터 개구부(65b) 측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통상부(65)의 내벽이 깔때기 형상이 되기 때문에, 낙하해 오는 분쇄두가 내벽에 충돌하기 쉬워진다. 그라인더(5A)로부터 낙하해 오는 분쇄두는, 분말끼리 밀착되어 덩어리가 되어 낙하해 오는 경우가 있다. 분쇄두가 덩어리 상태이면, 불요물의 분리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덩어리가 된 분쇄두가 통상부(65)의 내벽에 충돌함으로써 덩어리를 부서뜨려 불요물을 분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분쇄두의 덩어리를 부서뜨리는 점에서는, 통상부(65)의 내벽은 깔때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부(65)의 도중의 부위에 개구부(65a)보다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작은 장소가 있고, 이에 의해, 중심선(CL)에 대해 경사진(수평이 아닌) 내벽이 있으면 덩어리와의 충돌을 촉진하면서 분쇄두를 원활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부(65)는 분리실(SC) 내로 돌출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분리실 형성부(64)의 외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만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단, 통상부(65)를 분리실(SC) 내로 돌출시킴으로써, 통상부(65) 주위의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관부(63)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영역(R1)에서 풍압에 의한 불요물의 분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분리실 형성부(64)는, 불요물을 분리한 후의 분쇄두가 배출되는, 분리실(SC)과 연통하는 배출구(66)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구(66)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개구부(65b)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 통상부(65)를 통과한 분쇄두는, 분리실(SC)을 통과하여 배출구(66)로부터 자유낙하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배출구(66)는 중심선(CL)상에 위치하는 원형의 개구(開口)로서, 개구부(65a) 및 개구부(65b)와 동심원(同心圓)의 개구이다. 이 때문에 분쇄두가 분리실 형성부(64)를 자유낙하에 의하여 통과하기 쉬워져, 분리실 형성부(64) 내에 분쇄두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개구부(65b)의 단면적(SC1)보다 배출구(66)의 단면적(SC2)이 크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개구부(65b)와 배출구(66)가 상하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따라서, 배출구(66)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개구부(65b)를 투영하면, 배출구(66)의 내측에 개구부(65b)가 들어가게 된다. 다시 말하면, 개구부(65b)는 배출구(66)를 상하방향으로 연장한 영역 내에 들어간다. 개구부(65b)와 배출구(66)가 동일한 중심선 상에 없지만 겹쳐 있는 구성이나, 적어도 한쪽이 원형이 아니지만 겹쳐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단면적(SC2)에 대한 단면적(SC1)의 비율은, 예를 들어 95% 이하 혹은 85% 이하이고, 또한 예를 들어 60% 이상 혹은 70% 이상이다. 개구부(65b), 배출구(66)는 동심원이기 때문에, 중심선(CL) 방향으로 보면 서로 겹쳐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65b)로부터 자유 낙하하는 분쇄된 콩이 배출구(66)로부터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낙하하는 분쇄된 콩이 배출구(66)의 가장자리에 충돌하여 관부(63)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한 분쇄된 콩이 흡인 유닛(6A)에 흡인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보다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의 개구 면적이 작다고 예시하였지만,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과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의 개구 면적은 동일해도 되고,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보다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의 개구 면적이 커도 된다.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보다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의 개구 면적이 작다고 예시하였지만,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과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의 개구 면적은 동일해도 되고,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보다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의 개구 면적이 커도 된다. 흡인 유닛(예를 들어 6A)에 의해 배출구(66) 및 투입구(예를 들어 65a, 65a')로부터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투입구(예를 들어 65a, 65a')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의 양보다 배출구(66)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도록 해도 된다. 이는, 분리실 내로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나,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의 개구 면적의 크기보다 배출구(66)의 단면적 크기가 큰 것으로 실현되어도 되고,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의 개구 면적의 크기보다 배출구(66)의 단면적 크기가 큰 것으로 실현되어도 되며,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로부터 분리실까지의 거리보다 배출구(66)로부터 분리실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되어도 되고,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로부터 배기통(61b)까지의 거리보다 배출구(66)로부터 배기통(61b)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되어도 되며,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로부터 송풍 유닛(60A)까지의 거리보다 배출구(66)로부터 송풍 유닛(60A)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형성 유닛(6B)이나 분리실(SC)을 구성하는 부재(63~65)의 내벽부 중 어느 하나나 통형부(65)나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에 있어서, 그라인더(5A 및 5B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이 그라인더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전해져서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음료 제조 장치(1)의 경우, 이들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그라인더의 동작 중에는 형성 유닛(6B)이나 분리실(SC)을 구성하는 부재(63~65)의 내벽부 중 어느 하나나 통형부(65)나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가 진동하고, 진동에 의해 상기 분리실(SC) 내에 발생하는 난류화된 공기에 의해,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로부터 분리실(SC)에 진입하는 가벼운 불요물에 제동을 가하여 이 불요물을 흡인 유닛(예를 들어 6A)에 의해 흡인하기 쉽게 하고 있다. 특히, 실시예에서의 음료 제조 장치(1)와 같이 형성 유닛(6B)은 그라인더(5A) 및 그라인더(5B) 중 그라인더(5A)와 직접 접촉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하나의 그라인더에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형성 유닛(6B)에 적당한 진동을 부여하여 가벼운 불요물을 흡인하기 쉽게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흡인유닛(6A)에 의하여 흡인되는 공기는 주로 배출구(66)로부터 흡인된다. 이 때문에, 배출구(66)와 그라인더(5B)의 투입구(50b)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의 흡인이 촉진된다. 화살표(d4)는 흡인유닛(6A)에 의하여 흡인되는 공기의 기류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배출구(66)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불요물이 배출구(66)로부터 배출되기 어려워지고, 분쇄두와 불요물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흡인유닛(6A)에 의하여 흡인되는 공기는 개구부(65a)로부터도 흡인된다.
배출구(66)를 획정하는 주위벽에는, 난류촉진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난류촉진부(67)는, 배출구(66)로부터 분리실(SC)로 흡인되는 공기에 난류를 발생시킨다. 난류촉진부(67)를 형성함으로써, 특히 개구부(65b)와 배출구(66) 사이의 영역(R2)에서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통상부(65)의 주위에서 풍속이 향상되므로, 영역(R2)에서의 난류발생을 상승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투입구(65a)에 투입된 분쇄두는 영역(R2)을 통과할 때에 난류의 영향을 받아 교반(攪拌)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특히 상기와 같이 개구부(65b)의 단면적(SC1)보다 배출구(66)의 단면적(SC2)이 크기 때문에, 분쇄두는 영역(R2)을 반드시 통과한다. 난류에 의해, 채프나 미분 등의 불요물이 분쇄두로부터 분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분리실(SC)이 작은 공간이어도 불요물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분리실(SC)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줄이는 것에 기여하며, 본 실시형태와 같이 2개의 그라인더(5A, 5B)로 2단계 분쇄를 행하는 경우의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난류촉진부(67)는 복수의 난류촉진요소(67a)를 포함한다. 난류촉진요소(67a)는, 상하방향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돌기이다. 난류촉진요소(67a)의 돌출방향은 어느 방향이어도 되지만, 분리실(SC) 내에 난류를 보다 발생시키기 쉽게 하는 점에서 하방향에서부터 지름방향 내측 방향의 범위 내의 방향이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돌출방향이 하방향이면, 낙하해 온 분쇄두가 걸리는 일이 없어 보다 바람직하다.
난류촉진요소(67a)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을 단면의 상부 바닥이 중심선(CL)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선단부의 내측에 모따기(67b)가 실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난류촉진요소(67a)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지만, 배출구(66)의 형상을 3차원적으로 복잡하게 하는 형상이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난류촉진요소(67a)는, 배출구(66)의 주위방향(d5)으로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영역(R)으로 여러 방향에서 공기가 불어와 난류의 발생이 촉진된다. 인접하는 난류촉진요소(67a)의 피치는 다른 피치로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등피치(等pitch)이다. 난류촉진요소(67a)는 12개 형성되어 있지만, 난류촉진요소(67a)의 수는 임의이다.
<3-2-3. 다른 구성예>
도 9를 참조하여 분리실 형성부(64)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난류촉진요소(67a)는, 돌기 외에 노치나 구멍이어도 된다. 도 9의 EX1의 예는, 난류촉진요소(67a)를 배출구(66)의 주위벽에 형성한 관통구멍으로 한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구멍도 영역(R2)에서의 난류발생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의 EX2의 예는, 통상부(65)를 설치하지 않은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투입구(65a')의 단면적(SC1')보다 배출구(66)의 단면적(SC2)을 크게 한 구성이 적합하다.
통상부(65)의 개구부(65b)는 수평면 상의 개구가 아니라 경사면 상의 개구이어도 된다. 도 9의 EX3의 예는, 통상부(65)에 있어서 관부(63) 측의 하단이 반대측 하단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영역(R1) 측으로 분쇄두가 안내되기 쉬워져서 분리실(SC)에서의 분쇄두의 체류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분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4. 구동유닛 및 추출용기>
<4-1. 개요>
추출장치(3)의 구동유닛(8) 및 추출용기(9)에 대해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은 구동유닛(8) 및 추출용기(9)의 사시도이다.
구동유닛(8)은 프레임(F)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F)은, 상하의 빔부(F1, F2) 및 빔부(F1, F2)를 지지하는 기둥부(F3)를 포함한다. 구동유닛(8)은, 상부유닛(8A), 중부유닛(8B) 및 하부유닛(8C)의 3개의 유닛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상부유닛(8A)은 빔부(F1)에 지지되어 있다. 중부유닛(8B)은 빔부(F1)와 빔부(F2)의 사이에서 빔부(F1)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유닛(8C)은 빔부(F2)에 지지되어 있다.
추출용기(9)는, 용기본체(90) 및 뚜껑유닛(91)을 포함하는 챔버이다. 추출용기(9)를 챔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중부유닛(8B)은, 용기본체(90)를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아암부재(820)를 구비한다. 아암부재(820)는, 홀딩부재(820a)와, 좌우로 이격(離隔)된 한 쌍의 축부재(820b)를 포함한다. 홀딩부재(820a)는 C자형의 클립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서, 그 탄성력에 의하여 용기본체(90)를 지지한다. 홀딩부재(820a)는 용기본체(90)의 좌우의 측부를 지지하여 용기본체(90)의 전방 측을 노출시키고 있다. 이에 의하여 용기본체(90)의 내부를 정면에서 볼 때 시인(視認)하기 쉬워진다.
홀딩부재(820a)에 대한 용기본체(90)의 착탈은 수동조작으로 행하며, 홀딩부재(820a)에 용기본체(90)를 전후방향 후방으로 눌러붙임으로써 용기본체(90)가 홀딩부재(820a)에 장착된다. 또한, 용기본체(90)를 홀딩부재(820a)로부터 전후방향 전방으로 뽑아냄으로써 용기본체(90)를 홀딩부재(820a)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한쌍의 축부재(820b)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로드(rod)로서, 홀딩부재(820a)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재(820b)의 수를 2개로 하였지만, 1개이어도 좋고, 3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홀딩부재(820a)는, 한 쌍의 축부재(820b)의 앞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기구에 의하여 한쌍의 축부재(820b)는 전후방향으로 진퇴하고, 이에 따라 홀딩부재(820a)가 전후로 진퇴하여, 용기본체(90)를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동작을 할 수 있다. 중부유닛(8B)은,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출용기(9)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회동동작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4-2. 추출용기>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추출용기(9)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추출용기(9)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2는 추출용기(9)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용기(9)는 중부유닛(8B)에 의하여 상하가 반전된다. 도10 및 도11의 추출용기(9)는, 뚜껑유닛(91)이 상측에 위치하는 기본자세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의 위치관계를 말하는 경우에,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은 기본자세에서의 상하의 위치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용기본체(90)는 바닥이 있는 용기로서, 네크부(90b), 어깨부(90d), 몸통부(90e) 및 바닥부(90f)를 갖는 보틀(bottle) 형상을 가지고 있다. 용기본체(90)의 전체 또는 일부는 투과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투과부는 무색투명 또는 유색 투명의 재료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용기본체(90)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시인 가능해진다. 네크부(90b)의 단부(용기본체(90)의 상단부)에는, 용기본체(90)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개구(90a)를 획정하는 플랜지부(90c)가 형성되어 있다.
네크부(90b) 및 몸통부(90e)는 모두 원통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네크부(90b)는, 내부공간의 단면적 혹은 단면형상이 같은 영역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90e)도 단면적 혹은 단면형상이 같은 영역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네크부(90b)보다도 길다. 내부공간의 단면적은, 네크부(90b)보다도 몸통부(90e)쪽이 크다. 몸통부(90e)에 대한 네크부(90b)의 단면적의 비율은, 예를 들면 65%이하, 50%이하 또는 35%이하이며, 또한 예를 들면 10%이상 또는 20%이상이다. 어깨부(90d)는, 네크부(90b)과 몸통부(90e) 사이의 부분으로서, 그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몸통부(90e)측에서 네크부(90b)측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네크부(90b)는, 바닥부(90f)보다도 개구(90a)에 가까운 위치에 대하여 설명상 이름을 붙이는 것 뿐으로서, 반드시 내부공간의 단면적은, 네크부(90b)보다도 몸통부(90e)쪽이 큰 것에 한정되지 않고, 네크부(90a)를 몸통부(90e)의 일부로 하여도 좋다. 즉 추출용기(9)는 도10 등에 나타내는 것 같은 잘록한 부분을 구비하는 형상이지 않아도 좋아, 토막 형상 또는 토막 형상이면서 개구(90a) 또는 개구(90a)의 근방에 부호 90c로 표시한 플랜지부가 형성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뚜껑유닛(91)은, 개구(90a)를 개폐하는 유닛이다. 뚜껑유닛(91)의 개폐동작(승강동작)은 상부유닛(8A)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90)는, 본체부재(900) 및 바닥부재(901)를 포함한다. 본체부재(900)는 네크부(90b), 어깨부(90d), 몸통부(90e)를 형성하는 상하가 개방된 통부재이다. 바닥부재(901)는 바닥부(90f)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본체부재(900)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체부재(900)와 바닥부재(901)의 사이에는 씰부재(seal 部材)(902)가 삽입되어, 용기본체(90) 내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바닥부재(901)의 중심부에는 볼록부(901c)가 설치되고, 이 볼록부(901c)에는 축구멍(90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구멍(901b)의 주위에는 복수의 연통공(901a)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901a)은 용기본체(90) 내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관통구멍으로서, 주로 용기본체(90) 내를 세정할 때의 폐액 및 잔사 배출에 이용된다.
축구멍(901b)은 바닥부재(901)를 관통하고 있고, 여기에는 마개부재(903)의 축(903a)이 삽입된다. 마개부재(903)는, 용기본체(90)의 내측으로부터 연통공(901a)을 개폐한다. 마개부재(903)와 바닥부재(901)의 내측면(상면) 사이에는 씰부재(904)가 설치되어 있고, 마개부재(903)의 폐쇄시에 용기본체(90) 내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바닥부재(901)의 외측(하측)에 있어서, 축(903a)에는 코일스프링(905), 원통모양의 스프링 받이(906)가 장착되고, 또한 축(903a)의 단부에 E링(907)이 결합한다. 코일스프링(905) 및 스프링 받이(906)는 바닥부재(901)와 E링(907) 사이에 지지되고, 코일스프링(905)은 마개부재(903)를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볼록부(901c)에는 씰부재(908)가 설치되어 있고, 씰부재(908)는, 상부유닛(8A) 또는 하부유닛(8C)과 바닥부재(901)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뚜껑유닛(91)은, 모자형상의 베이스 부재(911)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911)는, 볼록부(911d) 및 폐쇄시에 플랜지부(90c)와 겹치는 돌출부(911c)를 가진다. 베이스 부재(911)에는, 용기본체(90)에서의 마개부재(903)와 동일한 개폐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베이스 부재(911)의 중심부에는 축구멍(911b)이 형성되어 있고, 축구멍(911b)의 주위에는 복수의 연통공(911a)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911a)은 용기본체(90) 내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관통구멍으로서, 주로 용기본체(90) 내에 온수의 주입과 커피음료의 송출에 이용된다.
축구멍(911b)은 베이스 부재(911)를 관통하고 있고, 여기에는 마개부재(913)의 축(913a)이 삽입된다. 마개부재(913)는, 용기본체(90)의 내측으로부터 연통공(911a)을 개폐한다. 마개부재(913)와 베이스 부재(911)의 내측면 사이에는 씰부재(914)가 설치되어 있고, 마개부재(913)의 폐쇄시에 용기본체(90) 내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베이스 부재(911)의 외측(상측)에 있어서, 축(913a)에는 코일스프링(915), 원통모양의 스프링 받이(916)이 장착되고, 또한 축(913a)의 단부에 E링(917)이 결합한다. 코일스프링(915) 및 스프링 받이(916)는 베이스재(911)와 E링(917) 사이에 지지되고, 코일스프링(915)은 마개부재(913)를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볼록부(911d)에는 씰부재(918a), 링스프링(918b)이 설치되어 있다. 씰부재(918a)는, 상부유닛(8A) 또는 하부유닛(8C)과 베이스 부재(911)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링스프링(918b)은, 뚜껑유닛(91)이 열릴 때에 뚜껑유닛(91)을 상부유닛(8A)에 지지하기 위한 결합부재이다.
베이스 부재(911)의 내측(하측)에는 고정부재(919)가 고정된다. 고정부재(919)는, 필터(910) 및 홀딩부재(910a)를 지지한다. 필터(910)는 커피음료와 분쇄두의 잔사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로서, 예를 들어 금속필터이다. 금속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커피오일을 포함한 커피음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홀딩부재(910a)는, 필터(910)의 변형을 억제하는 다공부재(多孔部材)이다. 씰부재(919a)는 고정부재(919)에 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고정부재(919)는 탄성부재로서, 고정부재(919)와 씰부재(919a)는 뚜껑유닛(91)의 폐쇄시에 뚜껑유닛(91)과 용기본체(90)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또, 플랜지부(90c)와 돌출부(911c)를 기밀하게 접촉시킴으로써, 씰부재(919a)를 이용하지 않는 구성도 채용이 가능하다.
<4-3. 상부유닛 및 하부유닛>
상부유닛(8A) 및 하부유닛(8C)에 대해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3은 상부유닛(8A) 및 하부유닛(8B)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14는 도13의 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상부유닛(8A)은, 조작유닛(81A)을 포함한다. 조작유닛(81A)은, 용기본체(90)에 대한 뚜껑유닛(91)의 개폐조작(승강) 및 마개부재(903 및 913)의 개폐조작을 행한다. 조작유닛(81A)은, 지지부재(800), 홀딩부재(801), 승강축(802) 및 프로브(80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800)는, 프레임(F)에 대한 상대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홀딩부재(801)를 수용하는 수용부(800b)를 포함한다. 수용부(800b)는 하방으로 개구되고 천장부가 폐쇄된 원통형 공간이다. 또한, 지지부재(800)는, 배관(L3)과 수용부(800b) 내를 연통시키는 연통부(800a)를 구비한다. 배관(L3)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수돗물 및 기압이 연통부(800a)를 통해 수용부(800b) 내로 유입된다.
홀딩부재(801)는, 뚜껑유닛(91)을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부재이다. 홀딩부재(801)는, 뚜껑유닛(91)의 볼록부(911d) 또는 바닥부재(901)의 볼록부(901c)가 삽입되는 수용부(801b)를 포함한다. 수용부(801b)는 하방으로 개구되고 천장부가 폐쇄된 원통형 공간이다. 또한, 홀딩부재(801)는, 수용부(800b)와 수용부(801b)를 연통시키는 연통부(801a)를 구비한다. 배관(L3)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수돗물 및 기압이 연통부(800a) 및 연통부(801a)를 통해 수용부(801b) 내로 유입된다. 홀딩부재(801)는, 수용부(800b) 내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설치된 가동부재이다. 홀딩부재(801)에는, 홀딩부재(801)와 수용부(800b)의 사이를 씰(seal)하는 씰부재(801c)가 형성되어 있어, 홀딩부재(801)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00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수용부(80lb) 내벽에는, 지름방향 내측으로 융기한 결합부(801d)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801d)와 뚜껑유닛(91)의 링스프링(918b)이 결합함으로써 뚜껑유닛(91)이 홀딩부재(801)에 지지된다. 홀딩부재(801)와 뚜껑유닛(91)을 상하방향으로 분리시키는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링스프링(918b)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결합부(801d)와 링스프링(918)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뚜껑유닛(91)과 홀딩부재(801)가 분리된다.
승강축(802)은, 그 축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02)은 지지부재(800)의 천장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지지부재(800)에 대해 상하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800)에는, 승강축(802)이 통과하는 구멍의 부분에 씰부재(800c)가 설치되어 있어, 승강축(802)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00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승강축(802)의 하단부에는 홀딩부재(801)의 천장부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축(802)의 승강에 의하여 홀딩부재(801)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볼록부(911d)나 볼록부(901c)에 대한 홀딩부재(801)의 장착과 분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90)에 대한 뚜껑유닛(91)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도15는 뚜껑유닛(91)이 개방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뚜껑유닛(91)을 지지한 홀딩부재(801)가 상승위치에 있고, 지지된 뚜껑유닛(91)이 용기본체(90)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 도15는 일부 부품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승강축(802)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0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02a)에는 너트(804b)가 나사 부착되어 있다. 상부유닛(8A)은 모터(804a)를 구비하고, 너트(804b)는 모터(804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된다. 너트(804b)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802)이 승강한다.
승강축(802)은, 중심축에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관형상의 축으로서, 이 관통구멍에 프로브(803)가 상하로 슬라이드 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프로브(803)는 홀딩부재(801)의 천장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지지부재(800) 및 홀딩부재(801)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홀딩부재(801)에는, 프로브(803)가 지나는 구멍의 부분에 씰부재(801e)가 설치되어 있어, 프로브(803)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0l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프로브(803)는, 마개부재(903)의 축(903a)(및 마개부재(913)의 축(913a))과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프로브(803)를 강하시킴으로써 마개부재(903)의 축(903a)을 하방으로 압압하여, 마개부재(903)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또, 프로브(803)를 이용하지 않고, 추출용기(9)에 공급하는 공기의 기압이나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마개부재(903)를 압압하여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기압이나 수압을 코일 스프링(905)의 가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하면 된다.
도16은 마개부재(903)(및 마개부재(913))의 개폐태양을 나타낸다. 홀딩부재(801)가 강하위치에 있고, 볼록부(911d)가 홀딩부재(801)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브(803)(도16에서 도시생략)의 강하에 의하여 마개부재(913)가 점선으로 나타내는 개방상태로 변위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추출용기(9)의 상하가 반전된 경우에, 마개부재(903)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도16은 일부 부품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프로브(803)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0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03a)에는 너트(805b)가 나사 부착되어 있다. 상부유닛(8A)은 모터(805a)를 구비하고, 너트(805b)는 모터(805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너트(805b)의 회전에 따라 프로브(803)가 승강한다.
하부유닛(8C)은, 조작유닛(81C)을 포함한다. 조작유닛(81C)은 조작유닛(81A)을 상하로 반전시킨 구성으로서, 마개부재(903 및 913)의 개폐조작을 행한다. 조작유닛(81C)도 뚜껑유닛(91)의 개폐가 가능한 구성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유닛(81C)을 뚜껑유닛(91)의 개폐에는 이용하지 않는다.
이하, 조작유닛(81A)의 설명과 거의 동일하지만, 조작유닛(81C)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유닛(81C)은 지지부재(810), 홀딩부재(811), 승강축(812) 및 프로브(81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810)는, 프레임(F)에 대한 상대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홀딩부재(811)를 수용하는 수용부(810b)를 포함한다. 수용부(810b)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바닥부가 폐쇄된 원통형 공간이다. 또한, 지지부재(810)는, 전환유닛(10)의 전환밸브(10a)와 수용부(810b) 내를 연통시키는 연통부(810a)를 구비한다. 용기본체(90) 내의 커피음료, 수돗물, 분쇄두의 잔사가 연통부(810a)를 통해 전환밸브(10a)로 유입된다.
홀딩부재(811)는, 뚜껑유닛(91)의 볼록부(911d) 또는 바닥부재(901)의 볼록부(901c)가 삽입되는 수용부(811b)를 포함한다. 수용부(811b)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바닥부가 폐쇄된 원통형 공간이다. 또한, 홀딩부재(811)는, 수용부(810b)와 수용부(811b)를 연통시키는 연통부(811a)를 구비한다. 용기본체(90) 내의 커피음료, 수돗물, 분쇄두의 잔사가 연통부(810a 및 811b)를 통해 전환밸브(10a)로 유입된다. 홀딩부재(811)는, 수용부(810b) 내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부재이다. 홀딩부재(811)에는, 홀딩부재(811)와 수용부(810b)의 사이를 씰링하는 씰부재(811c)가 형성되어 있어, 홀딩부재(811)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10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수용부(81lb) 내벽에는, 지름방향 내측으로 융기한 결합부(811d)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811d)와 뚜껑유닛(91)의 링스프링(918b)이 결합함으로써 뚜껑유닛(91)이 홀딩부재(811)에 지지된다. 홀딩부재(811)와 뚜껑유닛(91)을 상하방향으로 분리시키는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링스프링(918b)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결합부(811d)와 링스프링(918b)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뚜껑유닛(91)과 홀딩부재(811)가 분리된다.
승강축(812)은 그 축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12)은 지지부재(810)의 바닥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지지부재(81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810)에는, 승강축(812)이 지나는 구멍의 부분에 씰부재(810c)가 설치되어 있어, 승강축(812)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10b)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승강축(812)의 하단부에는 홀딩부재(811)의 바닥부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축(812)의 승강에 의하여 홀딩부재(811)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볼록부(901c)나 볼록부(911d)에 대한 홀딩부재(811)의 장착과 분리를 행할 수 있다. 승강축(812)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12a)에는 너트(814b)가 나사 부착되어 있다. 하부유닛(8C)은 모터(814a)를 구비하고, 너트(814b)는 모터(814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된다. 너트(814b)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812)이 승강한다.
승강축(812)은, 중심축에 관통구멍을 갖는 관형상의 축으로, 이 관통구멍에 프로브(813)가 상하로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삽입되어 있다. 프로브(813)는 홀딩부재(811)의 바닥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지지부재(810) 및 홀딩부재(811)에 대해 상하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홀딩부재(811)에는, 프로브(813)가 통과하는 구멍의 부분에 씰부재(811e)가 설치되어 있어, 프로브(813)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11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프로브(813)는, 마개부재(913)의 축(913a)(및 마개부재(903)의 축(903a))과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프로브(813)를 상승시킴으로써 마개부재(903)의 축(903a)을 상방으로 압압하여, 마개부재(903)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또, 프로브(813)를 이용하지 않고, 추출용기(9)에 공급하는 공기의 기압이나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마개부재(913)를 압압하여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기압이나 수압을 코일 스프링(915)의 가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뜸들이기 위한 액체(예를 들어 온수)의 투입, 추출용기(9)의 청소를 위한 액체(예를 들어 정수, 온수, 세제)의 투입 중에 적어도 한쪽 또는 둘 다는, 액체의 투입부(마개부재(913)나 마개부재(903))를 미리 개방해 두고 액체를 압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이나, 투과부(101)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이는 방법이나 액체의 분사력 정도를 통상과 다르도록 하기 위해, 투입부(마개부재(913)나 마개부재(903))를 폐쇄 또는 전개방(全開放)보다 적은 개방으로 해 두고, 투입하는 액체의 수압으로 이 투입부를 개방시키는 것이 적합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순간적으로 추출용기(9) 내에 액체가 진입하거나, 추출용기(9)의 내벽부나 추출대상(예를 들어, 볶은 커피의 분쇄두)에 샤워 형상으로 쏟아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도16은 마개부재(913)(및 마개부재(903))의 개폐태양을 나타낸다. 홀딩부재(811)가 상승위치에 있고, 볼록부(901c)가 홀딩부재(811)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브(813)(도16에서 도시생략)의 상승에 의하여 마개부재(903)가 점선으로 나타내는 개방상태로 변위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추출용기(9)의 상하가 반전된 경우에, 마개부재(913)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프로브(813)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13a)에는 너트(815b)가 나사 부착되어 있다. 하부유닛(8C)은 모터(815a)를 구비하고, 너트(815b)는 모터(815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너트(815b)의 회전에 따라 프로브(813)가 승강한다.
<4-4. 중부유닛>
중부유닛(8B)에 대해 도10 및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7은 중부유닛(8B)의 모식도이다. 중부유닛(8B)은, 추출용기(9)를 지지하는 지지유닛(81B)을 포함한다. 지지유닛(81B)은, 상술한 아암부재(820) 외에 로크기구(821)를 지지하는 유닛본체(81B')를 포함한다.
로크기구(821)는, 뚜껑유닛(91)을 용기본체(90)에 대해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기구이다. 로크기구(821)는, 뚜껑유닛(91)의 돌출부(911c)와 용기본체(90)의 플랜지부(90c)를 상하로 협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재(821a)를 포함한다. 한 쌍의 파지부재(821a)는, 돌출부(911c)와 플랜지부(90c)를 삽입시켜 결합하는 C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모터(822)의 구동력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개폐된다. 한 쌍의 파지부재(821a)가 폐쇄상태인 경우에, 도17에 있어서 원형내의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파지부재(821a)는 돌출부(911c)와 플랜지부(90c)를 상하에서 에워싸도록하여 이들에 결합하여, 뚜껑유닛(91)이 용기본체(90)에 대해 기밀하게 잠겨진다. 이 로크상태에서는, 홀딩부재(801)를 승강축(802)에 의하여 상승시켜 뚜껑유닛(91)을 개방하고자 하여도 뚜껑유닛(91)은 이동하지 않는다(로크는 해제되지 않는다). 즉, 홀딩부재(801)를 이용하여 뚜껑유닛(91)을 개방하는 힘보다 로크기구(821)에 의한 로크 힘이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상시에 용기본체(90)에 대해 뚜껑유닛(91)이 개방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파지부재(821a)가 개방상태인 경우에, 도17에 있어서 원형내의 도면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911c)와 플랜지부(90c)로부터 각 파지부재(821a)가 이격된 상태가 되고, 뚜껑유닛(91)과 용기본체(90)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 파지부재(821a)의 C자형 단면은, 도면의 예의 경우 직사각형상(상변과 하변이 평행)이지만, 개구단 측에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돌출부(911c)와 플랜지부(90c)를 보다 견고하게 잠글 수 있다.
홀딩부재(801)의 결합부(801d)와 뚜껑유닛(91)의 링스프링(918b)이 결합상태에 있고, 또한 홀딩부재(801)를 강하위치로부터 상승위치로 상승시키는 경우에, 한 쌍의 파지부재(821a)가 개방상태인 경우에는 용기본체(90)로부터 뚜껑유닛(91)이 분리된다. 반대로 한 쌍의 파지부재(821a)가 폐쇄상태인 경우에는 결합부(801d)와 링스프링(918b)의 결합이 해제되어, 홀딩부재(801)만이 상승하게 된다.
중부유닛(8B)은, 모터(823)를 구동원으로 하여 아암부재(820)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기구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아암부재(820)에 지지된 용기본체(90)를 후방측의 추출위치(상태 ST1)와 전방측의 콩투입위치(상태 ST2)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18은 용기본체(90)의 이동태양을 나타낸다. 도18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용기본체(90)의 위치는 추출위치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용기본체(90)의 위치는 콩투입위치이다. 콩투입위치는, 용기본체(90)에 분쇄두를 투입하는 위치로서, 뚜껑유닛(91)이 분리된 용기본체(90)의 개구(90a)에 그라인더(5B)로 분쇄두가 투입된다. 추출위치는, 용기본체(90)가 조작유닛(81A) 및 조작유닛(81C)에 의한 조작이 가능해지는 위치이며, 프로브(803, 813)와 동축상의 위치로서 커피액 추출을 행하는 위치이다. 도10, 도13~도16은 모두 용기본체(90)가 추출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분쇄두의 투입과 커피액 추출 및 물공급에서 용기본체(90)의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커피액 추출시에 발생하는 증기가 분쇄두의 공급부인 그라인더(5B)의 배출구(51b)에 부착되기 어려워지고, 증기의 수분으로 분쇄두가 배출구(51b)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7로 되돌아가, 중부유닛(8B)은, 모터(824)를 구동원으로 하여 지지유닛(81B)을 전후방향의 축(825)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용기본체(90)(추출용기(9))의 자세를 네크부(90b)가 상측인 정립자세(正立姿勢)(상태 ST1)로부터 네크부(90b)가 하측인 도립자세(倒立姿勢)(상태 ST3)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13은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 상태를 나타낸다. 도19는 추출용기(9)를 회동하여 그 자세를 변화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추출용기(9)의 회동 중에는, 로크기구(821)에 의하여 용기본체(90)에 뚜껑유닛(91)이 잠겨진 상태가 유지된다. 도19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추출용기(9)는 도립자세 상태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추출용기(9)는 정립자세와 도립자세의 중간자세(회동 도중의 자세)를 나타낸다. 정립자세와 도립자세에서 추출용기(9)는 상하가 반전된다. 정립자세에서의 볼록부(901c)의 위치에, 도립자세에서는 볼록부(911d)가 위치한다. 또한, 정립자세에서의 볼록부(911d)의 위치에, 도립자세에서는 볼록부(901c)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도립자세에서는 마개부재(903)에 대한 개폐조작을 조작유닛(81A)이 행할 수 있고, 또한 마개부재(913)에 대한 개폐조작을 조작유닛(81C)이 행할 수 있다.
또, 파지부재(821a)에는 파지부 커버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 회전동작시의 로크기구(821) 전체의 회전반경을 억제하기 위해, 회전면의 정면에서 보아 파지부 커버의 외측을 깎는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막으면서 로크기구의 보호가 가능해진다.
도17의 예에서는 유닛본체(81B')에 대해 아암부재(820)가 전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진퇴하는 기구로 하였지만, 도24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본체(81B')에 아암부재(820)를 고정하는 기구도 채용 가능하다. 도24의 예에서는, 모터(823)를 구동원으로 한 기구에 의하여 유닛본체(81B')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아암부재(820)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용기본체(90)를 추출위치와 콩투입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5. 동작 제어예>
처리부(11a)가 실행하는 음료제조장치(1)의 제어 처리예에 대해 도20~도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0은 1회의 커피음료 제조동작에 관한 제어예를 나타낸다. 제조 지시 전의 음료제조장치(1)의 상태를 대기상태라고 부른다. 대기상태에서의 각 기구의 상태는 이하와 같다.
추출장치(3)는 도10의 상태에 있다. 추출용기(9)는 정립자세이고 또한 추출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로크기구(821)는 폐쇄상태이고, 뚜껑유닛(91)은 용기본체(90)의 개구(90a)를 폐쇄하고 있다. 홀딩부재(801)는 강하위치에 있고, 볼록부(911d)에 장착되어 있다. 홀딩부재(811)는 상승위치에 있고, 볼록부(901c)에 장착되어 있다. 마개부재(903) 및 마개부재(913)는 폐쇄상태에 있다. 전환밸브(10a)는 조작유닛(81C)의 연통부(810a)를 폐기탱크(T)와 연통시킨다. 대기상태는 도10의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추출용기(9)는 정립자세이고 또한 추출위치에 위치하고, 로크기구(821)는 개방상태이며, 뚜껑유닛(91)은 용기본체(90)의 개구(90a)를 개방하고 있도록 하여도 좋다.
대기상태에서 커피음료의 제조 지시가 있으면, 도20의 처리가 실행된다. S1에서는 예열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는, 용기본체(90) 내에 온수를 주입하여 용기본체(90)를 사전에 가온하는 처리이다. 우선, 마개부재(903 및 913)를 개방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배관(L3), 추출용기(9), 폐기탱크(T)가 연통상태가 된다.
전자밸브(72i)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500ms)만큼 개방한 뒤에 폐쇄한다. 이에 따라 물탱크(72)로부터 추출용기(9)내로 온수가 주입된다. 계속하여 전자밸브(73b)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500ms)만큼 개방한 뒤에 폐쇄한다. 이에 따라 추출용기(9)내의 공기가 가압되어, 폐기탱크(T)로의 온수의 배출을 촉진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여 추출용기(9)의 내부 및 배관(L2)이 예열되고, 이에 계속되는 커피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온수가 식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예열처리에서 온수가 추출용기(9) 내에 주입될 때에, 필터(910)를 온수가 통과한다. 전번의 커피음료의 제조에서 사용한 분쇄두의 잔사나, 커피액 추출에 의하여 발생한 오일이 필터(910)에 부착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이것이 씻겨 흘러가 배출된다.
S2에서는 그라인드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고, 그 분쇄두를 용기본체(90)에 투입한다. 우선, 로크기구(821)를 개방상태로 하고, 홀딩부재(801)를 상승위치로 상승시킨다. 뚜껑유닛(91)은 홀딩부재(801)에 지지되어 홀딩부재(801)와 함께 상승한다. 이 결과, 뚜껑유닛(91)은 용기본체(90)로부터 분리된다. 홀딩부재(811)는 강하위치로 강하한다. 용기본체(90)를 콩투입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저장장치(4) 및 분쇄장치(5)를 작동한다. 이에 의해, 저장장치(4)로부터 1잔 분량의 로스트 커피콩이 그라인더(5A)에 공급된다. 그라인더(5A 및 5B)에서 로스트 커피콩이 2단계로 분쇄되고, 또한 분리장치(6)에서 불요물이 분리된다. 분쇄두는 용기본체(90)에 투입된다.
용기본체(90)를 추출위치로 되돌린다. 홀딩부재(801)를 강하위치로 강하하여 용기본체(90)에 뚜껑유닛(91)을 장착한다. 로크기구(821)를 폐쇄상태로 하고, 뚜껑유닛(91)을 용기본체(90)에 기밀하게 잠근다. 홀딩부재(811)는 상승위치로 상승한다. 마개부재(903, 913) 중에서, 마개부재(903)는 개방상태로 하고 마개부재(913)는 폐쇄상태로 한다.
S3에서는 추출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용기본체(90) 내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한다. 도21은 S3의 추출처리의 흐름도이다.
S11에서는, 추출용기(9) 내의 분쇄두를 뜸들이기 위해, 1잔 분량의 온수보다 적은 양의 온수를 추출용기(9)에 주입한다. 여기서는, 전자밸브(72i)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00ms) 개방하고 폐쇄한다. 이에 의해, 물탱크(72)로부터 추출용기(9) 내로 온수가 주입된다. 그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5000ms) 대기하고 S11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 의하여 분쇄두를 뜸들일 수 있다. 또, 이 처리 후의 추출용기(9) 내의 압력 및 온도는 약간 상승하지만 처리 전과 큰 차이는 없다.
분쇄두를 뜸들임으로써 분쇄두에 포함되는 탄산가스를 방출시키고, 그 후의 추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분쇄두 전체를 뜸들이기 위해, 뜸들임용 온수는 분쇄두에 대해 균등한 양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뜸들임용 온수를 추출용기(9) 내에 주입할 때에, 전자밸브(72h)를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물탱크(72)를 감압하면서 주입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뜸들임용 온수의 열기를 떨어뜨려 콩에 대해 가능한 한 균등하게 온수를 주입하도록 할 수 있어 뜸들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뜸들일 때의 추출용기(9) 내의 기압은, 후술하는 그 후의 침지식 추출시(S14)의 기압보다 낮은 기압(온수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으로 행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탄산가스의 방출을 촉진할 수 있다. 액체(예를 들어 온수)에 분쇄두를 접촉시킬 때에, 예를 들어 뜸들일 때에, 침지할 때 등에 이 분쇄두로부터 방출되는 탄산가스에 대해서는, 뜸들임 후에 한 번 해방밸브(73c)를 개방하여 대기에 개방하여도 되고, 해방하지 않고 나중에 분쇄두를 액체(예를 들어 온수)에 침지할 때에 이 탄산가스의 압력도 더하여 침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음료제조장치(1)의 경우에, 2기압(절대압으로 3기압) 또는 0기압(절대압으로 1기압)으로 분쇄두의 뜸들임을 행하고, 그 후 2기압(절대압으로 3기압)으로 1잔 분량의 액체(예를 들어 온수)를 추출용기(9)에 주입하며, 4기압(절대압으로 5기압)으로 침지하고, 대기압(0기압(절대압으로 1기압))으로 돌비(突沸)시키며, 추출용기(9)를 회전시킨 후, 추출용기(9) 내에 압력을 0.7기압(절대압으로 1.7기압)을 부여하면서 침지나 추출용기(9) 밖으로 송출을 행하지만, 분쇄두로부터 방출되는 탄산가스의 압력도 가미하여 분쇄두의 뜸들임이나 침지나 송출을 행하여도 되고, 뜸들임은 실행 전에 탄산가스를 대기로 방출하고 나서 행하거나, 4기압 침지 전에 탄산가스를 대기로 방출하거나, 이 4기압 전의 2기압 침지 전에 탄산가스를 대기로 방출하거나, 이 4기압 후의 0.7기압 침지나 송출 전에 탄산가스를 대기로 방출하여도 된다. 뜸들임은 탄산가스의 압력도 플러스하여 행하거나, 4기압 침지를 탄산가스의 압력도 플러스하여 행하거나(예를 들어, 4기압+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침지를 행하거나), 4기압 전의 2기압 침지를 탄산가스의 압력도 플러스하여 행하거나(예를 들어, 2기압+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침지를 행하거나), 4기압 후의 0.7기압 침지를 탄산가스의 압력도 플러스하여 행하여도(예를 들어, 0.7기압+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침지를 행하여도) 된다.
또, 뜸들임 유무를 설정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여도 된다. 뜸들임을 행하지 않는 경우는, 물 주입이 한 번에 끝나기 때문에 커피음료 제조 완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S12에서는, 1잔 분량의 온수가 추출용기(9)에 수용되도록 나머지 양의 온수를 추출용기(9)에 주입한다. 여기서는, 전자밸브(72i)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7000ms) 개방하고 폐쇄한다. 이에 의해, 물탱크(72)로부터 추출용기(9) 내에 온수가 주입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수의 양을 전자밸브(72i)의 개방시간으로 관리하고 있지만, 온수 주입량을 유량계로 측정하는 것이나 다른 방법의 계량에 의하여 관리하여도 된다.
S12의 처리에 의해, 추출용기(9) 내를 1기압에서 섭씨 100도를 초과하는 온도(예를 들어 섭씨 110도 정도)의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어서 S13에 의하여 추출용기(9) 내를 가압한다. 여기서는 전자밸브(73b)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ms) 개방하고 폐쇄하며, 추출용기(9) 내를 온수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예를 들어 4기압 정도(게이지압으로 3기압 정도))으로 가압한다. 그 후, 마개부재(903)를 폐쇄상태로 한다.
이어서, 이 상태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7000ms) 유지하여 침지식 커피액 추출을 행한다(S14). 이에 의하여 고온고압 하에서 침지식에 의한 커피액 추출이 이루어진다. 고온고압 하에서의 침지식 추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기대된다. 첫번째는, 고압으로 함으로써, 분쇄두의 내부에 온수를 침투시키기 쉽게 하여 커피액 추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두번째는, 고온으로 함으로써, 커피액 추출이 촉진된다. 세번째는, 고온으로 함으로써 분쇄두에 포함되는 오일의 점성을 낮추어 오일 추출이 촉진된다. 이에 의하여 향이 좋은 커피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고온에서 커피액을 추출하면 알싸한 맛이 나오기 쉽다는 견해가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리장치(6)에서 알싸한 맛의 근원이 되는 채프 등의 불요물을 제거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온에서 커피액을 추출한 경우이어도 알싸한 맛을 억제할 수 있다.
온수(고온수)의 온도는 섭씨 100도를 초과하면 되지만, 보다 고온인 것이 커피액 추출의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온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비용 상승이 된다. 따라서, 온수의 온도는, 예를 들어 섭씨 105도 이상, 또는 섭씨 110도 이상, 혹은 섭씨 115도 이상으로 하고, 예를 들어 섭씨 130도 이하, 또는 섭씨 120도 이하로 하여도 된다. 기압은 온수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이면 된다.
S15에서는 추출용기(9) 내를 감압한다. 여기서는, 추출용기(9) 내의 기압을 온수가 비등하는 기압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마개부재(913)를 개방상태로 하고, 해방밸브(73c)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ms) 개방하고 폐쇄한다. 추출용기(9) 내가 대기에 개방된다. 그 후, 마개부재(913)를 다시 폐쇄상태로 한다.
추출용기(9)내가 비등점압보다도 낮은 기압으로 급격하게 압력이 내려가 추출용기(9)내의 온수가 단숨에 비등(沸騰)한다. 추출용기(9)내의 온수, 분쇄두는, 추출용기(9)내에서 폭발적으로 비산(飛散)한다. 이에 따라 온수를 균일하게 비등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두의 세포벽의 파괴를 촉진시킬 수 있고, 그 후의 커피액의 추출을 더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비등에 의하여 분쇄두와 온수를 교반시키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커피액의 추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피액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해방밸브(73c)의 밸브개방에 의하여 추출용기(9)내의 기압을 급감압(急減壓)시키고 있다. 급감압이라고 함은, 예를 들면 돌비 상태나 돌비에 가까운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 속도로 감압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추출용기(9)내의 기압을 증기압(포화 수증기압, 평형 증기압 등으로 하여도 좋다) 미만의 압력까지 내려 가는 것 같은 속도로 감압하는 것이나, 추출용기(9)내의 액체(예를 들면 온수나 온수와 커피액의 혼합물)를 비등점을 넘은 온도에서 돌연히 비등시키는 것 같은 속도로 감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돌비(예를 들면 비등하지 않고 있었던 액체(예를 들면 온수)가 비등점을 넘은 온도에서 돌연히 비등하는 현상 등)에 의하여 분쇄두의 세포의 파괴나 분쇄두와 온수의 교반을 하더라도 좋다.
S16에서는 추출용기(9)를 정립자세로부터 도립자세로 반전시킨다. 여기에서는, 홀딩부재(801)를 상승위치에, 홀딩부재(811)을 강하위치로 각각 이동한다. 그리고 지지유닛(81B)을 회전시킨다. 그 후에 홀딩부재(801)를 강하위치로, 홀딩부재(811)을 상승위치로 각각 되돌린다. 도23은 반전의 전후에서의 추출용기(9)내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 좌측은 정립자세의 추출용기(9)를 나타내고, 동 도면 우측은 도립자세의 추출용기(9)를 나타낸다. 네크부(90b)나 필터(910)를 포함하는 뚜껑유닛(91)이 하측에 위치한다. 정립자세에서 도립자세로의 반전은, 추출용기(9)의 회전을 따르는 동작을 함으로써, 추출용기(9)를 180도 회전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180도미만의 어떤 각도(예를 들면 170도)에 회전시키거나, 180도를 넘는 어떤 각도(예를 들면 190도) 회전시켜도 좋다. 추출용기(9)를 ±90도를 넘는 각도까지 회전시키면 좋은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정립자세나 도립자세에 대해서는, 추출용기(9)의 개구(90a)를 구성하는 어떤 부위와 추출용기(9)의 개구(90a)를 구성하지 않는 부위 중에서 당해 구성부위로부터 가장 먼 부위에 대해서, 정립자세는 당해 먼 부위보다도 당해 구성부위 쪽이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자세이며, 도립자세는, 당해 먼 부위보다도 당해 구성부위 쪽이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자세로 하더라도 좋고, 정립자세는 당해 먼 부위보다도 당해 구성부위 쪽이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정지한 자세이며, 도립자세는, 당해 먼 부위보다도 당해 구성부위 쪽이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정지한 자세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정립자세로부터 도립자세로의 회전시에 소정의 횟수(예를 들면 1회, 복수회 등)만큼 360도 회전하는 등 정립자세로부터 도립자세로의 자세변화의 사이에 어떤 동작을 하여도 좋고, 또한 단순한 회전이 아니라, 정립자세를 취하는 추출용기(9)의 위치와 도립자세를 취하는 추출용기(9)의 위치가 전후상하좌우에서 별도의 위치이더라도 좋다.
S17에서는, 투과식 커피액 추출을 행하여 컵(C)으로 커피음료를 송출한다. 여기서는, 전환밸브(10a)를 전환하여 주입부(10c)와 조작유닛(81C)의 개구부(810a)를 연통시킨다. 또한, 마개부재(903, 913)를 모두 개방상태로 한다. 나아가 전자밸브(73b)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0ms) 개방하고, 추출용기(9) 내를 소정 기압(예를 들어 1.7기압(게이지압으로 0.7기압))으로 한다. 추출용기(9) 내에서, 커피액이 온수에 용해된 커피음료가 필터(910)를 투과하여 컵(C)으로 송출된다. 필터(910)는 분쇄두의 잔사가 누출되는 것을 규제한다. S14에서 침지식 추출과 S17에서 투과식 추출을 병용함으로써 커피액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하여 추출처리가 종료된다. 여기서는, 투과식 커피액 추출 전에 상기 탄산가스에 의한 압력을 대기에 개방하지 않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투과식 커피액 추출 전에 해방밸브(73c)를 개방하여 추출용기(9) 내의 분쇄두로부터 방출된 탄산가스를 대기에 개방함으로써, 상기 탄산가스에 의한 압력을 대기에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S17에서의 투과식 커피액 추출시에는, 마개부재(903)만을 개방상태로 하고, 한번 대기압에 개방하여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침지식 추출 중간에 발생한 탄산가스에 의하여 상승한 추출용기(9) 내의 기압을 내릴 수 있다. 이 동작을 행한 후에, 마개부재(913)를 개방상태로 하고, 전자밸브(73b)를 개방함으로써 커피액을 추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추출처리의 종료판단은, 추출처리 중인 추출용기(9)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판단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1.7기압을 유지하기 위해, 1.7기압을 밑돈 경우에 전자밸브(73b)의 개폐에 의하여 가압을 행하여, 가압으로부터 다음 가압까지의 시간 간격이 송출 개시시로부터 절반 이하가 된 경우에 송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추출처리를 종료하여도 된다. 또한, 단위시간당 가압 횟수가 증가하는 것에 의하여 판단을 행하여도 된다.
여기서, 도23을 참조하여 S16의 반전동작과 S17의 투과식 커피액 추출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 상태에서는, 분쇄두가 몸통부(90e)로부터 바닥부(90f)에 걸쳐 퇴적된다. 한편, 추출용기(9)가 도립자세 상태에서는, 분쇄두가 어깨부(90d)로부터 네크부(90b)에 걸쳐 퇴적된다. 네크부(90b)의 단면적(SC12)보다 몸통부(90e)의 단면적(SC11)이 크고, 도립자세에서 분쇄두의 퇴적두께(H2)는 정립자세에서 퇴적두께(H1)보다 두꺼워진다. 즉, 분쇄두는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얇고 넓게 퇴적되고, 도립자세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껍고 좁게 퇴적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S14의 침지식 추출은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온수와 분쇄두를 광범위에 걸쳐 접촉시킬 수 있어 커피액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이 경우는 온수와 분쇄두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S17의 투과식 추출은 추출용기(9)가 도립자세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온수가 보다 많은 분쇄두와 접촉하면서 퇴적된 분쇄두를 통과하게 된다. 온수가 보다 남김 없이 분쇄두와 접촉하게 되어 커피액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추출용기(9)의 내부공간의 단면적을 개구(90a) 측에서 작게 함에 있어서, 개구(90a)까지 서서히 좁히는(연속적으로 경사진) 형상이 되도록 네크부(90b)를 형성하여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네크부(90b)가 단면적이 일정해지는 장소가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분쇄두의 단위부피당 투과하는 온수의 양을 균일하게 접근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과추출(過抽出)을 막으면서 투과식에 의한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추출용기(9)의 단면 형상은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각통(角筒) 형상 등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함으로써 커피액을 보다 균일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용기(9)를 반전시키는 때에는 온수와 분쇄두가 교반되므로, 커피액의 추출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어깨부(90d)가 몸통부(90e)와 네크부(90b)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전시에 분쇄두를 몸통부(90e)로부터 네크부(90b)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감압 후에 추출용기(9) 내의 교반을 목적으로 하여 추출용기(9)를 흔드는 동작을 행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30도의 범위 내에서 추출용기(9)의 자세를 기울였다 되돌리는 동작을 복수회 반복하여도 된다. 이 흔드는 동작은 추출용기(9)의 반전 전에 행하여도 되고 반전 후에 행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압 전에 S14에서 침지식 추출을 행하고 있지만, 감압 후에 침지식 추출을 행하도록 하여도 되고, 이 경우 S14의 처리를 삭제하여도 되고, S14의 처리도 행하여 감압 전후로 침지식 추출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S15의 감압방법으로서 추출용기(9) 내를 대기에 개방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추출용기(9) 내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대기압 이상 혹은 대기압 이하)의 용기와 도통(導通)시키는 방식 등 어떠한 방식을 채용하여도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방식이 그 후의 추출에서의 온도, 송출되는 커피음료의 온도, 감압의 용이성, 감압폭 측면에서 유리하다. 물론 해방밸브(73c)의 개방시간을 조정하여 감압 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은 어떤 압력(예를 들어 1.1기압 등)이 되도록 하여도 된다. 감압 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은 어떤 압력(예를 들어 0.9기압 등)이 되도록 하여도 된다. 물론 감압 후의 압력을 대기압이 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추출용기(9) 내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온고압의 온수를 추출용기 내에 주입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추출용기(9) 내에 물 또는 원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수를 주입한 후에 가압, 가열하는 방식을 채용하여도 된다.
도20으로 되돌아가, S3의 추출처리 후는 S4의 배출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추출용기(9) 내의 청소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도22는 그 흐름도이다.
S21에서는, 추출용기(9)를 도립자세로부터 정립자세로 반전시킨다. 여기서는, 우선 마개부재(903, 913)를 폐쇄상태로 한다. 홀딩부재(801)를 상승위치로, 홀딩부재(811)를 강하위치로 각각 이동시킨다. 그리고, 지지유닛(81B)을 회전시킨다. 네크부(90b)나 필터(910)를 포함한 뚜껑유닛(91)이 상측에 위치한다. 그 후, 홀딩부재(801)를 강하위치로, 홀딩부재(811)를 상승위치로 각각 되돌린다. 필터(910)를 분리하지 않고 추출용기(9) 내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추출용기(9)의 반전시 진동 혹은 반전 완료시 충격으로, 필터(910)에 부착된 분쇄두의 잔사가 필터(91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S22에서는, 마개부재(913)를 개방상태로 한다. 전자밸브(73f)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2500ms) 개방하고 폐쇄한다. 이에 의해, 수돗물(정수)이 추출용기(9) 내에 주입된다. 청소에는 물탱크(72)의 온수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온수를 소비하면 커피음료의 연속 제조 성능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돗물(정수)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에는 물탱크(72)의 온수나 도시하지 않은 세제 탱크로부터 송출되는 세제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910) 측의 단부 부근(네크부(90b))에 단면 외형이 일정해지는 장소가 있다. 이 때문에, 청소용 물을 추출용기(9) 내에 주입할 때에 추출용기(9)의 벽면을 따라 물을 흘려보낼 수 있어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S22의 물 주입 전 또는 S21의 반전 전에 추출용기(9) 내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00ms 등)만큼 대기에 개방하여도 된다. 추출용기(9) 내의 잔압을 뺄 수 있어 S22의 물 주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용기(9) 내를 대기에 개방한 경우에, 추출용기(9) 내가 게이지압으로 0기압이 된다. 따라서, 물 주입시에는, 수압으로 마개부재(913)가 자동으로 개방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마개부재(913)를 개방상태로 하는 처리는 필요 없다. 수압으로 마개부재(913)를 개방상태로 한 경우에, 마개부재(913)가 폐쇄상태로 복귀하는 힘과 수압의 균형에 따라, 물이 추출용기(9)의 내벽면 등을 타고 흐르기 쉬워지고 추출용기(9)의 내부 전체에 물이 공급되기 쉬워진다.
S23에서는, 마개부재(903)를 개방상태로 한다. 전환밸브(10a)는 조작유닛(81C)의 연통부(810a)를 폐기탱크(T)와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 배관(L3), 추출용기(9), 폐기탱크(T)가 연통상태가 된다. 전자밸브(73b)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000ms) 개방하였다가 폐쇄한다. 이에 따라 추출용기(9)내가 가압되어, 추출용기(9)내의 물이 분쇄두의 잔사와 함께 폐기탱크(T)로 배출된다. 그 후에 마개부재(903, 913)를 폐쇄상태로 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청소에 이용한 물이 커피음료의 송출용 연통공(911a)과는 별도의 연통공(901a)으로부터 송출되기 때문에, 연통공(911a)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연통공(901a)은 연통공(911a)보다 커도 되고, 이에 의하여 잔사 등을 배출하기 쉬워진다. 또한, 추출용기(9) 내의 가압은 S22의 물 주입 도중에 개시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S23에서 물이나 잔사의 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출용기(9) 내의 가압은, 예를 들어 5기압(게이지압으로 4기압) 정도로 단숨에 가압함으로써 잔사를 보다 힘차게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추출용기(9) 내에서 물이 날아올라가 추출용기(9) 내의 구석구석에 물을 공급하여 내부 전체의 세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S23의 처리 종료 후에 마개부재(903, 913)를 폐쇄상태로 하지 않고 개방상태인 채로 하여도 된다.
이상에 의하여 1회의 커피음료 제조 처리가 종료된다. 이후, 마찬가지의 처리가 제조 지시마다 반복된다. 1회의 커피음료 제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60~90초 정도이다.
<제2실시형태>
추출용기(9)의 청소에 관한 다른 처리예에 대해 설명한다.
<배출처리>
도22에 예시한 배출처리에서는, S22 및 S23의 물 주입, 물 및 잔사의 배출을 1회만 행하도록 하였지만, 복수회 행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추출용기(9) 내를 보다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25는 도22의 배출처리를 대신하는 배출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5의 S21~S23의 처리는 도22의 S21~S23의 처리와 동일하다. S23의 처리 후, S24에서는 규정 횟수의 청소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규정 횟수란 예를 들어 2회이다.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S22로 되돌아가서 S22 및 S23의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완료되어 있는 경우는 1회의 배출처리를 종료한다.
또, S22 및 S23의 처리를 반복함에 있어서, 물의 양이나 가압 정도 혹은 타이밍을 변경하여도 된다.
또한, S22의 물 주입시에 마개부재(903)를 폐쇄상태로 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 추출용기(9) 내에 물을 모아 마개부재(913)도 폐쇄상태로 하고, 추출용기(9)의 반전동작을 1회 또는 복수회 행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추출용기(9) 내의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25의 예와 같이 S22의 물 주입 처리를 복수회 행하는 경우에, 2회째 이후의 물 주입 처리에 있어서 이러한 추출용기(9)의 반전동작을 행하여도 된다. 첫회는 추출용기(9) 내에 잔존하는 잔사의 양이 많아 용기 내에서 그 비산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재청소처리>
커피액 추출 후 이외의 타이밍에서 추출용기(9)의 청소를 행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대기상태에 행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가 조작유닛(12)으로부터 지시한 경우에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피액 추출 직후 이외의 타이밍에서 행하는 추출용기(9)의 청소처리를 재청소처리라고 한다. 도26은 재청소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31에서는 물 주입 처리를 행한다. S22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S32에서는 S31에서 주입한 물의 배수를 행한다. S23과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이상에 의하여 1단위의 처리가 종료된다.
또, S31의 물 주입시에 마개부재(903)를 폐쇄상태로 하고 있어도 된다. 도22나 도25의 배출처리의 경우는, 물 주입시에 마개부재(903)를 폐쇄상태로 하지 않고, 도26의 재청소처리의 경우만 물 주입시에 마개부재(903)를 폐쇄상태로 하여도 된다. 혹은, 도22나 도25의 배출처리의 경우도 물 주입시에 마개부재(903)를 폐쇄상태로 하지만, 배출처리의 경우와 재청소처리의 경우에 물 주입량을 다르게 하여도 된다. 나아가 물 주입량은 사용자가 조작유닛(12)으로부터 지시 가능하여도 된다.
또한, 재청소처리는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인 경우에 실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추출용기(9)를 반전시켜 도립자세로 하여 실행하여도 된다.
또한, 커피음료의 제조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물탱크(72)의 온수를 이용한 재세정 처리를 자동으로 행하여도 된다. 이 동작을 행함으로써, 유로 내에 차가워져 굳어진 커피액의 기름 성분 등을 씻어 흘려보낼 수 있다.
<제3실시형태>
콩처리장치(2) 및 추출장치(3)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또는 기능이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각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또는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도 콩처리장치(2)의 하측에 추출장치(3)가 배치되어 있고, 기본적인 구조는 공통되어 있다. 콩처리장치(2)는 저장장치(4), 분쇄장치(5)를 포함한다. 분쇄장치(5)는 조립(粗粒)용 그라인더(5A), 미립(微粒)용 그라인더(5B) 및 이들의 사이에서 불요물을 분쇄두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장치(6)를 포함한다.
분리장치(6)의 형성유닛(6B)과 그라인더(5B)의 사이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반송관(500)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분리장치(6)에서 불요물이 제거된 분쇄두는, 반송관(500)을 통과하여 그라인더(5B)에 공급된다(실질적으로 자연낙하).
그라인더(5B)에는 노즐 타입의 송출관(501)이 설치되어 있다. 그라인더(5B)에서 미립화된 분쇄두는 송출관(501)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송출관(501)은, 그 출구가, 용기본체(90)가 콩투입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딱 용기본체(90)의 개구(90a)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27의 태양은, 용기본체(90)가 추출위치에 위치하고, 송출관(501)의 출구는 용기본체(90)의 전방에서 약간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추출위치에서의 용기본체(90)는, 그라인더(5B)의 바로 아래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송출관(501)을 만곡시켜 그라인더(5B)의 바로 아래로부터 어긋난 위치로 분쇄두를 송출하도록 한다.
본체부(53)에는, 분쇄두의 입도를 조정하는 기어(53b')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53b')는 도시하지 않은 입도 조정 기구에 의하여 조작된다.
<흡인유닛>
도27과 도28을 참조하여 흡인유닛(6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28은 흡인유닛(6A)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흡인유닛(6A)은, 제1실시형태의 흡인유닛(6A)과 마찬가지로 원심분리 방식의 기구이다. 기본적인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즉, 송풍유닛(60A)에 의하여 회수용기(60B) 내의 공기를 상방으로 배기한다. 이에 의해, 접속부(61c)를 통해 형성유닛(6B)으로부터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가 배기통(61b)의 주위를 선회하고, 불요물(D)이 그 중량에 따라 회수용기(60B)에 낙하한다. 공기가 배기통(61b)의 주위를 선회할 때에, 핀(61d)에 의하여 공기의 선회와 불요물(D)의 분리가 가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회수용기(60B)의 하부(62)가 상측의 만곡부(62A)와 하측의 회수부(62B)를 포함하고, 이들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만곡부(62A)는, 상부(6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후 전방측으로 굴곡된 원통체이다.
회수부(62B)는 굴곡이 없는 곧은 바닥이 있는 원통체로서, 만곡부(62A)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수부(62B)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하측에 비스듬하게 경사져 장착되어 있다. 불요물(D)은 회수부(62B)의 일부에 모아진다(바닥부에 퇴적된다). 불요물(D)을 폐기하는 경우에, 회수부(62B)를 만곡부(62A)로부터 분리한다. 그 때에, 회수부(62B)를 전방 하방으로 뽑아내면 되므로, 사용자가 장치 정면으로부터 회수부(62B)의 분리 작업을 행하기 쉽다.
회수용기(60B)의 상부(61)는, 원심분리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부(62A)를 설치함으로써, 원심분리 성능과 회수부(62B)의 착탈 용이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회수용기(60B)의 하부(62)는, 외부로부터 내부가 시인 가능한 투과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혹은, 만곡부(62A)는 비투과성 부재로 하고, 회수부(62B)만을 투과성을 갖는 부재로 하여도 된다. 어떤 경우든 사용자가 불요물(D)의 퇴적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중부유닛>
도27, 도29 및 도30을 참조하여 중부유닛(8B)의 구성, 특히 용기본체(9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29는 중부유닛(8B)이 구비하는 수평 이동 기구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30은 아암부재(820)의 부분 사시도이다.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아암부재(820)는 홀딩부재(820a)와,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축부재(820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축부재(820b)는, 유닛본체(81B')에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안내되면서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재(820b)의 수를 2개로 하였지만, 1개로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한 쌍의 축부재(820b)의 후단부에는 각각 랙(820c)이 설치되어 있다. 이 랙(820c)은, 모터(823)(도17)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니언이 맞물려서 피니언의 회전에 의하여 아암부재(8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 범위는, 랙(820c)의 전후단이 다른 구성(예를 들어 유닛본체(81B')의 전방측 원판부 등)과 간섭함으로써 제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랙-피니언 기구에 의하여 아암부재(820)를 수평 이동시켰지만, 볼 나사 기구 등 다른 구동기구를 이용하여도 된다.
홀딩부재(820a)는, 한 쌍의 축부재(820b)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홀딩부재(820a)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서, 그 탄성력에 의하여 용기본체(90)를 지지한다. 홀딩부재(820a)에 대한 용기본체(90)의 착탈은 수동조작으로 행하여, 홀딩부재(820a)에 용기본체(90)를 전후방향 후방으로 눌러붙임으로써 용기본체(90)가 홀딩부재(820a)에 장착된다. 또한, 용기본체(90)를 홀딩부재(820a)로부터 전후방향 전방으로 뽑아냄으로써 용기본체(90)를 홀딩부재(820a)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홀딩부재(820a)는, 바닥부(BP), 좌우의 측부(SP), 상부(UP) 및 좌우의 결합부(EP)를 일체로 포함하는 환상(環狀)의 틀을 구성한다. 홀딩부재(820a)를 환상의 틀로 함으로써, 그 탄성변형을 허용하면서 전체적으로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바닥부(BP)는 평면에서 보아 전방측이 열린 C자형을 가지고 있고, 용기본체(90)는 바닥부(BP) 상에 탑재된다. 좌우의 측부(SP)는 바닥부(BP)의 후방측의 좌우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축부재(820b)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용기본체(90)를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의 측부(SP)는 용기본체(90)의 바로 옆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부(UP)는 좌우의 측부(SP)의 상단부 사이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상방으로 볼록형의 아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용기본체(9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UP)는 용기본체(90)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어깨부(90d)에 아치 부분이 약간 겹친다. 이에 의하여 용기본체(90)가 부주의하게 위로 변위하는 것이 억제된다.
좌우의 결합부(EP)는, 좌우의 측부(SP)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약간 내측을 향해 있다. 용기본체(90)를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의 결합부(EP)는 용기본체(90)의 측방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 위치하고, 그 선단부는 네크부(90b)를 전방측으로부터 누른다. 이에 의하여 용기본체(90)가 홀딩부재(820a)로부터 전방측으로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홀딩부재(820a)는, 용기본체(90)를 지지한 상태에서, 정면으로부터 용기본체(90)의 전방측이 시인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용기본체(90)의 동작을 확인하기 쉽다. 또한, 용기본체(90)의 전체 또는 일부가 투과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그 내부가 정면으로부터 보기 쉬워져서 커피액의 추출상황을 시인하기 쉽다.
유닛본체(81B')의 후방측에는 롤러(RL)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RL)는, 유닛본체(81B')가 회전할 때에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원형의 가장자리를 미끄러지게 되어 있다. 롤러(RL)는, 유닛본체(81B')의 원주를 따라 120도마다 3개나 90도마다 4개 설치하여도 된다. 유닛본체(81B')가 어느 회전각도이어도, 이 롤러(RL)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 프레임의 원형의 가장자리에 의하여 그 무게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롤러(RL)로부터 홀딩부재(820a)까지의 거리가, 유닛본체(81B')의 후방에서 지지하는 부분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짧게 함으로써, 상하방향의 휨을 경감할 수도 있다.
<저장장치>
<캐니스터 및 그 착탈구조(제1예)>
도27과 도31~도34를 참조하여 저장장치(4)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니스터(40)가 홀더 유닛(43)에 착탈이 자유로운 카트리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 교환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도31은 캐니스터(40)의 분해 사시도, 도32는 캐니스터(40)의 통부의 단면도, 도33은 캐니스터(40)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34는 장착 상태에서의 캐니스터(40) 주변의 수직 단면도이다.
홀더 유닛(43)은, 복수의 장착부(44)를 포함한다. 하나의 장착부(44)에 하나의 캐니스터(40)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홀더 유닛(43)은 3개의 장착부(44)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시에 3개의 캐니스터(40)를 장착할 수 있다. 3개의 캐니스터(40)를 구별하는 경우에, 캐니스터(40A, 40B, 40C)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의 캐니스터(40)는,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하는 가늘고 긴 중공의 콩 용기이다. 캐니스터(40)는 통부(401), 덮개부(402), 접속부(403), 패킹(404), 출구형성부(405) 및 출구개폐부(408)의 각 부재를 포함한다.
통부(401)는,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로스트 커피콩의 수용 공간을 획정한다. 통부(401)의 양단부는, 모두 로스트 커피콩의 출입이 가능한 입구를 구성한다. 통부(401)에 있어서, 덮개부(402)측 단부의 입구는, 캐니스터(40)로부터 음료제조장치(1) 내로(컨베이어(41)로) 로스트 커피콩이 이동할 때에는 로스트 커피콩이 통과하지 않는 입구로서, 덮개부(402)를 개방하고 로스트 커피콩을 보충하는 경우에 로스트 커피콩이 통과하는 입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통부(401)는 투과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의 잔량을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통부(401)의 둘레벽에는, 스케일(SC)이 그 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설치되어 있다. 스케일(SC)에는, 로스트 커피콩의 잔량의 기준이 되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도3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SC)은, 통부(401)를 형성하는 판형 재료의 단부를 접속하는 접속 부분으로서도 기능한다.
통부(401)의 한쪽 단부에는, 환상의 패킹(404)을 통해 원통 형상의 접속부(403)가 결합된다. 패킹(404)은 접속부(403)의 플랜지부와 통부(401)의 끝 가장자리 사이를 씰링하지만, 생략하여도 된다. 접속부(40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402)는 이 암나사에 나사 맞춤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403)에 대해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장착한 상태로 덮개부(402)를 돌려 분리하고 로스트 커피콩을 보충할 수도 있다.
덮개부(402)는 반구(半球)의 껍데기 형상을 가지고 있고, 통부(401)의 한쪽 단부를 폐쇄한다. 덮개부(402)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덮개부(402)를 돌리기 쉽게 되어 있다.
출구형성부(405)는, 통부(401)의 다른 쪽 단부에 접착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출구형성부(405)는 상방으로 개방된 컵 형상의 부재로서, 그 둘레벽에는 출구(405a)가 형성되어 있다. 출구(405a)는 로스트 커피콩의 출입이 가능한 것으로서, 통부(401)에 수용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출구(405a)로부터 외부로 배출 가능하다. 즉, 출구(405a)는, 캐니스터(40)로부터 음료제조장치(1) 내로(컨베이어(41)로) 로스트 커피콩이 이동할 때에 로스트 커피콩이 통과하는 것으로서, 분쇄장치(5)에 대한 콩 공급용이다.
출구형성부(405)에는 돌기부(405b)가 더 형성되어 있어, 통부(401)의 개구부(401a)를 통과하여 통부(401)의 둘레벽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돌기부(405b)에는 장착부(44)에 대한 캐니스터(40)의 장착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가 부여되어 있다.
출구형성부(405)에는 또한 돌기부(405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검출편(405c)이 형성되어 있고, 검출편(405c)도 개구부(401a)를 통과하여 통부(401)의 둘레벽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검출편(405c)은, 장착부(44)에 대한 캐니스터(40)의 장착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출구형성부(405)의 바닥부에는 코일 스프링(40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출구형성부(405)의 바닥부에는 고정부재(406)가 조립된다. 도31은 출구형성부(405)에 고정부재(406)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출구형성부(405)에 출구개폐부(408)가 장착되고 나서, 출구형성부(405)와 고정부재(406)로 출구개폐부(408)를 에워싸도록 하여 출구형성부(405)에 고정부재(406)가 조립된다.
출구개폐부(408)는, 출구형성부(405)를 받아들이는 상방으로 개방된 컵 형상의 부재로서, 출구(405a)를 개폐하는 덮개 기구 혹은 덮개 부재를 구성한다. 출구개폐부(408)의 둘레벽에는 개구부(408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08a)가 출구(405a)와 겹치면 출구(405a)가 개방상태가 되고, 출구개폐부(408)의 둘레벽이 출구(405a)와 겹치면 출구(405a)가 폐쇄상태가 된다. 즉, 출구개폐부(408)는, 통부(40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출구형성부(40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출구형성부(405)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출구개폐부(408)는, 후술하는 장착부(44) 측의 기구에 의하여 조작되어 출구(405a)를 개폐한다.
출구개폐부(408)의 바닥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통부(408b)가 설치되고, 이 통부(408b)의 내측 공간(408b')은 코일 스프링(407)이 배치되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상술한 고정부재(406)는, 통부(408b)를 삽입 통과하여 출구형성부(405)에 조립된다. 코일 스프링(407)은, 출구개폐부(408)를 출구형성부(405)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시(常時) 가압시킨다.
통부(408b)의 주위에는 돌기(408c)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고정부재(406)에 형성된 후크부(406a)가 결합되는 노치(408d)가 형성되어 있다.
도33을 참조하여 출구개폐부(408)의 회전규제 상태 및 회전허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33은 출구형성부(405), 출구개폐부(408) 및 고정부재(406)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태(ST11)는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미장착 상태에 있어서, 출구형성부(405) 및 출구개폐부(408) 등을 2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노치(408d)에 후크부(406a)가 결합되어 있고, 통부(40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출구형성부(405)에 대해 출구개폐부(408)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출구(405a)는 폐쇄상태에 있다. 코일 스프링(407)의 가압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개폐부(408)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출구형성부(405)가 가압되고 있다. 이에 의해, 노치(408d)와 후크부(406a)의 결합이 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노치(408d)와 후크부(406a)는,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출구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개방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기구로서 기능한다.
상태(ST12)는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출구형성부(405) 및 출구개폐부(408) 등을 2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장착부(44)에는 출구개폐부(408)와 접촉하는 접촉부(후술하는 셔터부(443))가 설치되어 있고, 장착부(44)에 대한 캐니스터(40)의 장착에 의해, 코일 스프링(407)의 가압에 저항하여 출구개폐부(408)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개폐부(408) 측으로 출구개폐부(408)가 상대 변위한다.
이에 따라 노치(408d)가 후크부(406a)로부터 이간하여, 양자의 결합이 해제된다. 통부(40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출구형성부(405)에 대하여 출구개폐부(408)가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도33의 상태 ST12에서는 출구(405a)는 폐쇄상태에 있지만, 출구개폐부(408)를 회전시킴으로써 출구(405a)를 개방상태로 할 수 있다.
도34는,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그 주변 구조도 포함한 수직 단면도이다. 장착부(44)는, 캐니스터(40)의 단부가 삽입되는 컵 형상의 본체부(441)를 포함한다. 본체부(441)는 그 전방측이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여기에 캐니스터(40)의 통부(401)의 단부, 출구형성부(405) 및 출구개폐부(408)가 수용되고, 그 후방측은 격자 형상(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41)의 둘레벽의 끝 가장자리에는, 돌기부(405b)가 결합되는 홈(4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41a)에 인접하여, 검출편(405c)을 검출하는 센서(441b)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441b)는 예를 들어 포토 인터럽터이며, 센서(441b)가 검출편(405c)을 검출하면, 캐니스터(40)가 장착되었다고 처리부(11a)는 인식한다. 센서(441b)가 검출편(405c)을 검출하지 못하면, 캐니스터(40)가 장착되되지 않았다고 처리부(11a)는 인식한다.
또한, 본체부(441)의 둘레벽에는, 캐니스터(40)로부터 로스트 커피콩을 받아들이는 수용부(44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수용부(442))는 컨베이어(41)의 내부와 연통한 개구이다. 캐니스터(40)의 출구(405a)로부터 배출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수용부(442))를 통과하여 컨베이어(41)로 유도된다.
본체부(441) 내에는, 출구개폐부(408)의 외형에 피트하는 컵 형상을 갖는 부재인 셔터부(443)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부(443)는, 본체부(441) 내에서 캐니스터(40)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수용부(442))를 개폐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본체부(441)의 둘레벽에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롤러(441d)가 배치되어 있다(도27 참조). 본체부(441)의 둘레벽에는, 롤러(441d)를 내부로 노출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롤러(441d)는, 캐니스터(40)의 지름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셔터부(443)는 그 외주면이 본체부(441)의 내부에서 복수의 롤러(441d)에 접촉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캐니스터(40)가 미장착인 경우에, 셔터부(443)는 수용부(442))를 폐쇄하여 컨베이어(41) 내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34는 셔터부(443)가 수용부(442))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캐니스터(40)가 장착된 후, 모터(41a)의 구동에 의하여 셔터부(443)를 회전하여 수용부(442))를 개방할 수 있다.
셔터부(443)는 회전부재(444)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부재(444)는 출구개폐부(408)를 조작하여 회전시켜 출구(405a)를 개폐한다. 회전부재(444)는 구동축(445)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445)은, 캐니스터(40)가 장착된 경우에 그 중심축선과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모터(41a)의 구동력을 회전부재(444)에 전달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회전부재(444)는 전방측 상방으로 개구된 원통형 부재이다. 회전부재(444)의 둘레벽의 끝 가장자리에는 홈(44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444a)에는 출구개폐부(408)의 돌기(408c)가 결합된다. 이 결합에 의해, 회전부재(444)를 회전하면 출구개폐부(408)도 회전하여 출구(405a)를 개폐하게 된다. 도34는 출구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폐쇄상태로 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회전부재(444)의 회전에 따라, 셔터부(443)가 수용부(442))를 폐쇄하면서 출구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폐쇄상태로 한 상태(도34의 상태. 폐쇄상태라고 칭함)와, 셔터부(443)가 수용부(442))를 개방하면서 출구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개방상태로 한 상태(로스트 커피콩을 장치 내에 공급하는 상태. 개방상태라고 칭함)로 저장장치(4)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들 상태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셔터부(443)의 회전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처리부(11a)에 인식시킬 수 있다(피드백 제어). 별도의 예로서, 모터(41a)로서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고, 그 제어량(스텝수)으로 저장장치(4)의 상태 인식과 전환을 행하여도 된다(오픈루프 제어).
구동축(445)에는 베벨기어(445a)가 설치되어 있고, 베벨기어(445a)는 구동축(46)에 설치한 베벨기어(445b)와 맞물려 있다.
구동축(46)은, 모터(41a)의 출력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45a)와 맞물리는 기어(45b)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41a)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한다. 구동축(46)과 베벨기어(445b) 사이에는 단방향 클러치(445c)가 삽입되어 있다. 단방향 클러치(445c)는, 구동축(46)의 일방방향의 회전만을 베벨기어(445b)에 전달한다. 즉, 모터(41a)를 일방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모터(41a)의 구동력이, 베벨기어(445b), 베벨기어(445a), 구동축(445)의 경로로 회전부재(444)에 전달되지만, 모터(41a)를 이와는 역인 타방방향으로 회전시켰였을 경우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컨베이어(41)는, 캐니스터(40)로부터의 로스트 커피콩을 반송하는 반송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컨베이어(41)는 캐니스터(40) 측이 아니라 장착부(44) 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컨베이어(41)는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장착부(44) 측에 남도록 설치되어 있다. 캐니스터(40)와 컨베이어(41)를 일체로 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다른 몸체로 구성함으로써 캐니스터(40)의 간략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컨베이어(41)의 스크류축은, 단방향 클러치(47a)를 통해 구동축(46)에 연결되어 있다. 단방향 클러치(47a)의 구동 전달 방향은, 단방향 클러치(445c)와 반대 방향이다. 즉, 모터(41a)를 타방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는, 모터(41a)의 구동력이 스크류축(47)에 전달되어 로스트 커피콩이 반송되지만, 모터(41a)를 이와는 반대인 일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41a)의 회전방향을 정역으로 전환함으로써, 회전부재(444)의 회전(즉,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의 회전)과 스크류축(47)의 회전을 배타적으로 행할 수 있다.
캐니스터(40)의 장착 및 분리에 관한 처리부(11a)의 제어예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에 장착되면, 센서(441b)에 의하여 이것이 검출된다. 처리부(11a)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개방상태로 한다. 돌기(408c)는, 본체부(441)의 내주벽에 설치된 스토퍼(441c)와 캐니스터(40)의 축선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을 놓아도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돌기(408c)는, 출구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출구(405a)가 개방된 채로 캐니스터(40)가 분리되어 캐니스터(40) 내의 로스트 커피콩이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가 개방상태가 됨으로써, 캐니스터(40) 내의 로스트 커피콩이 수용부(442))를 통과하여 컨베이어(41) 내로 유입된다. 이 상태로 대기한다.
커피음료의 제조시에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스크류축(47)을 회전하고 정지한다. 이에 의하여 집합반송로(42)로 로스트 커피콩이 반송된다. 스크류축(47)의 회전량에 의해, 커피음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로스트 커피콩의 양이 자동 계량된다. 1회 커피음료의 제조에서 복수의 로스트 커피콩을 블렌드하여 커피음료의 제조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는, 캐니스터(40) 사이에 컨베이어(41)에 의한 집합반송로(42)로의 반송량 비율을 바꾸어도 된다. 이에 의해, 복수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이 블렌드된 분쇄두를 추출용기(9)에 공급할 수 있다.
캐니스터(40)를 교환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조작유닛(12)으로부터 교환 지시를 행한다. 처리부(11a)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폐쇄상태로 되돌린다. 사용자는 장착부(44)로부터 캐니스터(40)를 분리할 수 있다.
<캐니스터 및 그 착탈구조(제2예)>
도31~도3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예의 캐니스터(40) 및 장착부(44)와 부분적으로 다른 제2예의 캐니스터(40) 및 장착부(44)에 대해 도35~도4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예의 각 구성 중에서 제1예와 동일한 구성 또는 기능이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예에서의 각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또는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35~도37은, 제2예의 캐니스터(40) 및 장착부(44)를 여러 방향에서 본 외관도를 나타낸다. 제1예의 장착부(44)의 본체부(441)에 있어서 그 후방측이 격자 형상(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는데, 제2예의 본체부(441)도 마찬가지 구성이며, 그 구조가 도36 등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체부(441)의 후방측은 복수의 리브(441e)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측의 회전부재(444) 등이 시인 가능해진다.
회전부재(444)에는, 그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격된 2개의 검출편(444b)을 가지고 있다. 포토 인터럽터 등의 센서(441f)가 2개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2개의 검출편(444b)을 검출한다. 처리부(11a)는, 센서(441f)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회전부재(444)의 회전위치를 인식한다. 즉, 제1예에서 서술한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가 폐쇄상태에 있는지 개방상태에 있는지를 인식한다.
도38은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그 주변구조도 포함시킨 수직 단면도이다. 제2예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제1예와 같지만, 출구(405a)의 주연에 있어서, 출구형성부(405)의 둘레벽에 탄성변형부(405d)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변형부(405d)는, 출구(405a)의 주연으로부터 출구형성부(405)의 둘레벽에 평행한 슬릿을 넣어서 형성한 부분으로서, 이에 따라 그 주위의 부위보다도 변형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탄성변형부(405d)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2예는, 출구개폐부(408)의 회전규제 및 회전허용에 관한 구성이 제1예와 다르다. 이 점을 도39, 도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9의 상태 ST21은 출구개폐부(408)가 회전규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39의 상태 ST22는 출구개폐부(408)가 회전허용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40은 도39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이 도면의 상태 ST21, ST22는 도39의 상태 ST21, ST22에 대응한다.
제2예에서는, 제1예에서의 출구형성부(405)의 코일 스프링(407), 고정부재(406)의 후크부(406a)가 설치되지 않고, 출구형성부(405)에 대해 출구개폐부(408)가 통부(401)의 축방향으로 상대 변위하는 구성이 아니라 이 축을 중심으로 한 상대 회전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예의 스케일(SC)은 홈(GR)을 가지며, 여기에 슬라이더(409)가 조립되어 있다. 슬라이더(409)는 스케일(SC)의 표면측 부재와 이면측 부재를 2개의 볼트로 체결하여 구성되어 있고, 홈(GR)을 따라 스케일(SC)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제1예의 돌기부(405b), 검출편(405c)에 상당하는 구성으로서, 슬라이더(409)는 돌기부(405b'), 검출편(405c')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409)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NB)도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409)는, 스케일(SC)에 형성된 오목부(CT1, CT2) 중 어느 하나와 결합 가능한 볼록부(409a)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409)는, 볼록부(409a)가 오목부(CT1)와 결합하는 제1위치와, 볼록부(409a)가 오목부(CT2)와 결합하는 제2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상태 ST21이나 상태 ST22는 슬라이더(409)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40의 상태 ST23은 슬라이더(409)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슬라이더(409)는 기본적으로 제1위치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로스트 커피콩의 물림(biting) 해제시에 제2위치에 수동으로 슬라이드된다.
제2예의 스케일(SC)의 단부에는, 출구형성부(405) 측으로 개구된 통형의 지지부(SC')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SC')에는, 제1예의 코일 스프링(407), 후크부(406a)를 대신하는 코일 스프링(407'), 가동부재(406a')가 지지되어 있다. 출구개폐부(408)의 끝 가장자리에는, 제1예의 노치(408d)를 대신하는 노치(408d')가 형성되어 있다. 상태 ST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406a')가 노치(408d')와 결합함으로써 통부(40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출구형성부(405)에 대해 출구개폐부(408)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때에, 출구(405a)는 폐쇄상태에 있다. 코일 스프링(407')에 의해, 가동부재(406a')가 노치(408d') 측으로 상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노치(408d')와 가동부재(406a')의 결합이 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노치(408d')와 가동부재(406a')는,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출구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개방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기구로서 기능한다.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장착하면, 상태 ST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부(443)의 끝 가장자리에 가동부재(406a')가 접촉하고, 코일 스프링(407')의 가압에 저항하여 지지부(SC') 내로 밀어넣어진다. 이에 의하여 가동부재(406a')와 노치(408d')의 결합이 해제되어, 통부(40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출구형성부(405)에 대해 출구개폐부(408)가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제2예에서의, 캐니스터(40)의 장착 및 분리에 관한 처리부(11a)의 제어예에 대해 주로 도38~도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에 장착되면, 셔터부(443)의 끝 가장자리에 가동부재(406a')가 접촉하고, 이에 의하여 가동부재(406a')와 노치(408d')의 결합이 해제된다(상태 ST22의 상태).
캐니스터(40)의 장착이 센서(441b)에 의하여 검출되고, 처리부(11a)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개방상태로 한다. 도41의 상태 ST31은 출구개폐부(408)가 폐쇄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상태 ST32는 상태 ST31로부터 출구개폐부(408)가 개방상태로 이행한 경우를 예시한다.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가 개방상태가 되면, 돌기(408c)는, 본체부(441)의 내주벽에 설치된 스토퍼(441c)와 캐니스터(40)의 축선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을 놓아도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돌기(408c)는, 출구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출구(405a)가 개방된 채로 캐니스터(40)가 분리되어 캐니스터(40) 내의 로스트 커피콩이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가 개방상태가 됨으로써, 캐니스터(40) 내의 로스트 커피콩이 수용부(442))를 통과하여 컨베이어(41) 내로 유입된다. 이 상태로 대기한다.
커피음료의 제조시에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스크류축(47)을 회전시키고 정지한다. 이에 의하여 집합반송로(42)로 로스트 커피콩이 반송된다. 스크류축(47)의 회전량에 따라, 커피음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로스트 커피콩의 양이 자동 계량된다.
수용부(442))의 밑에는, 콩잔량 검출센서(SR)가 설치되어 있다. 콩잔량 검출센서(SR)는, 예를 들어 투과식 센서(포토 인터럽터)이다. 이 위치에서 콩이 없다고 검출되고 나서 소정 횟수(예를 들어 2잔분)의 커피음료의 제조를 행하면, 캐니스터(40)의 속이 비어 있음을 통지하여도 된다.
캐니스터(40)를 교환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작유닛(12)으로부터 교환 지시를 행한다. 처리부(11a)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폐쇄상태로 되돌린다. 도41의 상태 ST33은, 상태 ST32로부터 출구개폐부(408)가 폐쇄상태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가 폐쇄상태가 되면, 돌기(408c)와 스토퍼(441c)의 결합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장착부(44)로부터 캐니스터(40)를 분리할 수 있다. 장착부(44)로부터 캐니스터(40)를 분리하면, 코일 스프링(407')의 가압에 의하여 다시 가동부재(406a')가 노치(408d')와 결합한다(상태 ST21의 상태). 이에 의해, 통부(40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출구형성부(405)에 대해 출구개폐부(408)가 회전하는 것이 다시 규제되고, 부주의하게 출구(405a)로부터 캐니스터(40)에 잔류한 로스트 커피콩이 흘러넘치는 것이 방지된다.
<물림의 대책>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돌리는 경우에, 출구(405a)의 노출 정도(개구면적)가 출구개폐부(408)의 둘레벽과 겹침에 따라 서서히 좁아진다. 도41의 점선보다 하측에는, 출구개폐부(408)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출구(405a)의 노출 정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출구형성부(405)에 있어서 출구(405a)를 획정하는 둘레벽의 가장자리(ED1)와, 출구개폐부(408)에 있어서 개구부(408a)를 획정하는 둘레벽의 가장자리(ED2)는, 모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 되고, 또한 통부(401) 측에서 출구(405a)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장자리(ED1)와 가장자리(ED2)의 사이에 위치하는 로스트 커피콩이 통부(401) 측으로 밀려나오기 쉬워지고, 복수의 지점에서 콩의 물림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가장자리(ED1 및 ED2)를 볼록한 형상으로 하지 않고, 직선 형상으로 하면서 통부(401) 측에서 출구(405a)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가장자리(ED1)의 단부는 탄성변형부(405d)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구(405a)의 폐쇄 직전에 로스트 커피콩을 탄성변형부(405d)와 가장자리(ED2)의 사이에서 물림이 된 경우에, 탄성변형부(405d)가 변형되어 콩이 튀기 쉬워진다. 이에 의하여 로스트 커피콩의 물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로스트 커피콩의 물림 방지에 관한 제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42~도44는 캐니스터(40)의 지름방향의 단면도로서, 수용되는 로스트 커피콩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42~도44는 캐니스터(40)의 장착으로부터 분리까지의 제어를 예시한다.
도42는, 장착부(44)에 캐니스터(40)가 장착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가 폐쇄상태에 있다. 도43은, 도42의 상태로부터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가 개방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다. 출구(405a) 및 수용부(442))가 개방되어 컨베이어(41) 내에 로스트 커피콩이 유출된다.
도44는, 다시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폐쇄상태로 되돌리는 상태를 나타낸다. 출구(405a)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한 번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의 회전을 정지한다. 출구(405a)는 그 일부가 폐쇄된 상태가 되고, 예를 들어 로스트 커피콩이 한 알 통과 가능할 정도로 개방해 둔다. 모터(41a)가 스테핑 모터인 경우에, 그 제어량(스텝수)으로 출구(405a)의 개방도 제어가 가능하다.
이 상태로 컨베이어(41)를 구동하여 수용부(442))의 주변으로부터 로스트 커피콩을 제거한다. 그 후, 컨베이어(41)를 정지하고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전부 폐쇄하여 폐쇄상태로 완전히 되돌린다. 이에 의해, 로스트 커피콩을 물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42~도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형성부(405), 출구개폐부(408) 및 셔터부(443)의 끝 가장자리의 단면 형상은 쐐기 형상 혹은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로스트 커피콩과 끝 가장자리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므로, 그 물림 방지에 기여한다.
또한, 도34나 도3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442))의 주변 공간은 후방측보다 전방측이 용적을 크게 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돌리는 경우에, 서서히 좁아지는 출구(405a)의 주변 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로스트 커피콩의 물림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측을 좁힘으로써, 여기에 잔류하는 로스트 커피콩을 줄일 수 있고, 도44의 상태로 컨베이어(41)를 구동할 때에, 컨베이어(41)에 의하여 반출되는 로스트 커피콩(예를 들어 폐기됨)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45~도47도 캐니스터(40)의 지름방향의 단면도로서, 수용되는 로스트 커피콩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45~도47은, 비교적 대량의 로스트 커피콩이 수용부(442)) 및 캐니스터(40)에 잔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되돌리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45는,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가 개방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비교적 대량의 로스트 커피콩이 출구(405a)나 수용부(442)) 부근에 체류되어 있다.
도46은,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폐쇄상태로 되돌리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44의 예와 마찬가지로 출구(405a)가 완전히 폐쇄하기 전에 한 번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 상태로 컨베이어(41)를 구동하여 수용부(442))의 주변으로부터 로스트 커피콩을 제거한다. 그 후, 컨베이어(41)를 정지하고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폐쇄상태로 완전히 되돌린다. 그러나, 도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트 커피콩을 물리는 경우가 있다.
처리부(11a)는, 예를 들어 소정 시간 내에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가 폐쇄상태로 되돌아왔음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에게 물림의 발생을 통지한다. 로스트 커피콩의 물림은, 출구(405a)를 약간 넓혀 주면 해소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동으로 출구형성부(405)(통부(401))를 약간 돌려 출구(405a)를 약간 넓혀 주면 된다. 그러나,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돌기부(405b')와 홈(441a)의 결합에 의하여 출구형성부(405)(통부(401))를 수동으로 회전할 수 없다.
그래서, 도40의 상태 ST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슬라이더(409)를 제2위치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하여 돌기부(405b')가 홈(441a)으로부터 이탈하여 양자의 결합이 해제된다. 출구형성부(405)(통부(401))를 수동으로 회전하여 물림을 해소할 수 있다. 그 후는 사용자가 슬라이더(409)를 제1위치로 수동으로 되돌리고, 조작유닛(12)으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 재개를 지시한다. 처리부(11a)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폐쇄상태로 완전히 되돌린다.
<수용부 및 집합반송로>
저장장치(4)는, 장착부(44)마다의 수용부(442))와는 별도로 장착부(44)와는 다른 부위에 수용부를 구비하여도 된다. 그 구성예에 대해 다시 도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7의 예에서는, 수용부(442))와는 별도의 수용부(42c)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42c)는, 집합반송로(42)의 전방측 벽부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사용자는, 이 수용부(42c)로부터 로스트 커피콩을 손으로 혹은 깔때기 형상의 기구를 이용하여 집합반송로(42) 내에 투입할 수 있다. 투입된 로스트 커피콩은 자중(自重)으로 배출구(42b)로부터 분쇄장치(5)에 공급되어 그 커피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수용부(42c)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40)에 수용되지 않은 특별한 로스트 커피콩을 이용하여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별한 한 잔의 커피음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제조 처리 프로그램은 선택 가능하여도 되고, 사용자가 설정한 제조 조건으로 동작하는 제조 처리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니스터(40)로부터 로스트 커피콩의 공급을 받는 수용부(442))와, 개별적으로 로스트 커피콩의 공급을 받는 수용부(42c)를 설치함으로써, 수용부(442))에 의하여 동종의 커피음료의 양산성을 확보하면서, 수용부(42c)에 의하여 개별적인 요구에 대응 가능한 음료제조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수용부(442))로부터 분쇄장치(5)(특히 조립 그라인더(5A))까지의 공급경로(RT1)(도27 외, 도34도 참조)보다 수용부(42c)로부터 분쇄장치(5)(특히 조립 그라인더(5A))까지의 공급경로(RT2)가 경로 길이 짧다. 수용부(42c)로부터 로스트 커피콩을 투입하면, 대체로 직접 배출구(42b)로 낙하하여 분쇄장치(5)에 공급된다. 이는, 투입된 로스트 커피콩의 전량을 보다 확실히 분쇄장치(5)에 공급할 수 있어 콩의 낭비나 계량 오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공급경로(RT2)는, 공급경로(RT1)의 도중에 합류한 경로이다. 각각 완전히 독립한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보다 구조를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공급경로(RT2) 상에는 컨베이어(41)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수용부(42c)로부터 투입된 로스트 커피콩은 자동 계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자유롭게 계량하여 원하는 양의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부(42c)로부터 투입함으로써 커피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공급경로(RT2) 상에 로스트 커피콩을 자동 계량하는 기구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집합반송로(42)는, 그 전방벽이 전방 상방으로 경사져 있어 전체적으로 경사진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기울임으로써, 수용부(42c)에서 로스트 커피콩을 받기 쉬워지고, 또한 컨베이어(41)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도 분쇄장치(5)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수용부(42c)는 개구부이므로, 수용부(42c)를 통해 컨베이어(41)의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수용부(42c)는 점검창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집합반송로(42) 및 수용부(42c)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48의 예는, 수용부(42c)를 2개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42c)는 복수 설치하여도 된다. 일방의 수용부(42c)에는 힌지(42e)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덮개(42d)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수용부(42)를 덮개(42d)로 폐쇄해 둠으로써 집합반송로(42)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42e)를 설치하는 부위는 덮개(42d)의 상측, 하측, 이면측, 표면측 어느 것이라도 된다. 다른 쪽의 수용부(42c)는, 호퍼 형상의 관부재(42f)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관부재(42f)는, 도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반송로(42)로부터 분리 가능하여도 된다. 개구부(42g)는, 관부재(42f)의 장착용 구멍이다. 이 개구부(42g)는, 집합반송로(42)의 내부나 컨베이어(41)를 육안 점검하는 점검구멍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49는 좌우에 벽부를 구비하는 덮개(42d)를 예시한다. 좌우 벽부를 구비함으로써, 개방하여 로스트 커피콩을 투입할 때에 덮개(42d) 옆으로 흘러넘치기 어려워진다. 수용부(42c)를 통해 육안으로 시인 가능한 것은, 컨베이어(41)의 상태뿐만 아니라 수용부(442))로부터 받아들인 로스트 커피콩의 상태나 수용부(442))로부터 받아들인 로스트 커피콩이 기계 내로 송출되는 상태나 수용부(442))로부터 받아들인 로스트 커피콩이 기계 내로 송출되는 동작이 이루어져 있거나 송출되는 것을 지령하는 조작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송출되지 않은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442))로부터 받아들인 로스트 커피콩이 하류(예를 들어 밀(mill) 측)로 흐르는 상태를 육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442))로부터 받아들인 로스트 커피콩이 하류(예를 들어 밀측)로 흐르는 것을 사용자가 수용부(42c)를 통해 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수용부(42c)로부터 받아들인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부(442))로부터 시인 불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도50의 구성예 EX11은, 배출구(42b)가 수용부(42c) 혹은 집합반송로(42)의 좌우방향 폭의 중심선(CL)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집합반송로(42)의 좌측 바닥부(LB)와 우측 바닥부(RB)에서 경사가 다르다. 좌우 비대칭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집합반송로(42) 내의 특정 부위에 로스트 커피콩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도50의 구성예 EX12는, 분쇄장치(5)(특히 조립 그라인더(5A))의 측부에 배출구(42b)를 연결하여 로스트 커피콩을 공급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라인더의 구성에 따라서는, 커터의 측방으로부터 로스트 커피콩이 공급되는 것이 위로부터 공급되는 경우보다 원활하게 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배출구(42b)의 위치는, 집합반송로(42)의 바닥부 외에 좌우의 측부, 전방부 또는 후방부이어도 된다.
도51의 예는, 복수의 배출구(42b)를 설치하고, 또한 집합반송로(42) 내에 로스트 커피콩을 어느 하나의 배출구(42b)로 배분하는 배분기구(42h)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도51의 예는 2개의 배출구(42b)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한쪽은 분쇄장치(5)에 접속되고 다른 쪽은 폐기 상자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41)에 잔류한 로스트 커피콩을 폐기하는 경우에, 배분기구(42h)에 의하여 집합반송로(42)로 유입되는 로스트 커피콩을 폐기 상자측 배출구(42b)로 배분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용부(42c)(도51에는 도시생략)를 통해 투입된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장치(5) 측의 배출구(42b)로 배분한다.
도52~도54는, 저장장치(4)를 덮는 하우징(1a)의 예를 예시한다. 하우징(1a)은 음료제조장치(1)의 외장을 형성한다. 도52는 캐니스터(40)를 장착한 상태로의 하우징(1a)의 사시도, 도53은 하우징(1a)의 정면도, 도54는 도53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하우징(1a)은, 힌지부(1c)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본체 하우징에 대해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은 하우징(1a)이 폐쇄상태인 경우의 설명이다. 또한, 하우징(1a)에는 전원 스위치(1b)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a)에는 수용부(42c)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42c)는 덮개(42d)에 의하여 개폐된다. 수용부(42c)의 개구 윤곽은, 상측이 덮개(42d)에 의해, 하측이 하우징(1a)에 의하여 획정되어 있다.
도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42c)의 배후에는 집합반송로(42)가 배치되어 있고, 수용부(42c)는 집합반송로(42)와 연통한다. 덮개(42d)를 개방하여 수용부(42c)에 로스트 커피콩을 투입하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반송로(42)에 로스트 커피콩이 안내되고, 집합반송로(42)로부터 도54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분쇄장치(5)로 배출된다. 수용부(42c)의 내주벽은 집합반송로(42) 전면으로 향하여 경사진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있고, 투입된 로스트 커피콩이 집합반송로(42)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집합반송로(42)의 투입구(42a)는 집합반송로(42)의 후방벽에 형성되어 있다. 캐니스터(40)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컨베이어(41)를 통해 반송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반송로(42)로 유입되고, 도54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분쇄장치(5)로 배출된다. 덮개(42d)를 개방하면, 수용부(42c)를 통해 내부의 컨베이어(41)(도시생략)를 시인할 수 있고 그 점검을 행할 수 있다.
힌지(42e)의 근방에는 자석(42e')이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42d)에는 개방시에 자석(42e')에 접촉하는 부위에 금속 플레이트(42d')가 설치되어 있고, 자석(42e')이 금속 플레이트(42d')를 흡착함으로써, 덮개부(42d)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42d)의 선단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오목부에 손가락을 걸기 쉬워 덮개부(42d)를 조작하기 쉽게 되어 있다.
<제4실시형태>
음료제조장치(1)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 구성예1>
도55는, 하우징(100)으로 내부기구가 둘러싸인 음료제조장치(1)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우징(100)은, 전방벽, 후방벽, 상벽, 좌우 측벽을 포함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벽에는 캐니스터(40)가 배치되고, 또한 수용부(42c)가 배치되어 있다. 전방벽의 하방에는 취출구(104)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놓인 컵에는 커피음료가 주입된다.
전방벽에는, 하우징(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투과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투과부(101)를 설치함으로써, 음료제조장치(1)의 전방측으로부터 내부기구를 시인할 수 있고 그 동작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커피음료의 제조 과정을 커피음료의 구입자 등이 관찰할 수도 있다. 하우징(100)에 있어서, 투과부(101) 이외의 부위는 기본적으로 비투과부이지만, 다른 투과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투과부(101)는, 관통구멍 또는 투명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유리나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부재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0) 내의 증기 등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투명부재는, 무색투명이어도 되고 유색 투명이어도 된다. 증기를 하우징(100) 밖으로 송출하는 증기 경로를 마련하여도 되고, 이러한 증기 경로는 예를 들어 하우징 내의 소정 장소에 설치된 증기 입구, 음료제조장치(1)의 배면부에 증기 출구, 증기 입구 및 증기 출구를 연결하는 증기파이프, 증기 출구 또는 증기 출구 근방의 증기 경로의 공기나 증기를 음료제조장치(1) 밖으로 송출하는 증기 송출용 팬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증기 입구는, 그라인더(5A)의 입구 근방, 출구 근방, 그라인더(5B)의 입구 근방, 출구 근방, 콩투입위치에 위치하는 추출용기(9)의 개구(90a) 근방 등의 어느 하나의 위치, 또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되는 투과부(101)를 투명부재로 구성하고, 이 투과부(101)에 증기가 유출되는 구멍이나 노치를 형성하거나, 하우징에 구멍이나 노치나 간극 등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증기유출부를 탑재하는 경우는, 증기유출부는 콩투입위치에 위치하는 추출용기(9) 쪽이 증기 입구보다 가깝게 되는 위치관계로 하여도 되고, 증기유출부는 추출위치에 위치하는 추출용기(9) 쪽이 증기 입구보다도 가깝게 되는 위치관계로 하여도 되며, 증기유출부는 그라인더(예를 들어 그라인더 5A나 5B 중 적어도 한쪽) 쪽이 증기 입구보다 가깝게 되는 위치관계로 하여도 되고, 증기유출부는 콩투입위치에 위치하는 추출용기(9) 쪽이 증기 입구보다도 멀어지게 되는 위치관계로 하여도 되며, 증기유출부는 추출위치에 위치하는 추출용기(9) 쪽이 증기 입구보다도 멀어지게 되는 위치관계로 하여도 되고, 증기유출부는 그라인더(예를 들어 그라인더 5A나 5B 중 적어도 한쪽) 쪽이 증기 입구보다도 멀어지게 되는 위치관계로 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투과부(101)는 판형의 투명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힌지(102)에 의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과부(101)를 개방하면 내부기구에 액세스할 수 있고 그 유지보수도 가능해진다. 도56은 투과부(101)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투과부(101)의 하부에는 손잡이(103)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03)를 파지함으로써, 용이하게 투과부(101)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투과부(101)로 개폐되는 개구부(105)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손잡이(10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투과부(101)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105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투과부(101)의 개방방향은 상방향이지만, 힌지(102)를 투과부(101)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하방향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투과부(101)의 개폐방향은 상하방향이 아니라 좌우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투과부(101)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기구를 설치하여도 되고, 이러한 기구는 예를 들어 힌지(102)에 설치하여도 된다. 투과부(101)는, 측벽이나 상벽에도 설치하여도 된다.
<하우징 구성예2>
하우징(100)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57은, 다른 구성예의 하우징(100)으로 내부기구가 둘러싸인 음료제조장치(1)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구성예2의 하우징(100)에 대해, 도55 및 도56의 하우징(100)과 동일한 구성 또는 기능이 공통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L자형 본체(110)와, 본체(110)의 스테이지(111) 상에 배치된 내부기구(IM)를 둘러싸는 투과부(101)를 포함한다. 투과부(101)는 껍데기 형상의 투명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투과부(101)는 내부기구(IM)의 전방측, 좌우 측방, 상방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있고, 음료제조장치(1)의 전방, 측방 및 상방으로부터 내부기구(IM)를 시인 가능하다.
내부기구(IM)의 발열이나 증기에 의하여 투과부(101)가 흐려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투과부(101)의 내측 부위에 있어서, 배판(112)에는 환기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환기부(112a)는 외기와 연통한 구멍이어도 되고, 덕트이어도 된다. 환기부(112a)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부와 하부에 복수 설치되어 있지만, 그 배치는 도시한 형태 이외의 배치도 채용 가능하다.
내부기구(IM)의 증기나 누수에 의하여 스테이지(111) 상이 젖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스테이지(111)에는 배수부(111a)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부(111a)에는, 도시하지 않은 폐기탱크에 접속되는 파이프가 접속된다.
상술한 구성예1과 마찬가지로, 구성예2도 투과부(101)는 힌지(102)에 의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과부(101)를 개방하면 내부기구(IM)에 액세스할 수 있고 그 유지보수도 가능해진다. 투과부(101)의 하부에는 손잡이(103)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03)를 파지함으로써, 용이하게 투과부(101)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스테이지(111)의 전단에 있어서, 손잡이(10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손잡이(103)와 접촉하는 스토퍼(105a)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103)와 스토퍼(105a)는 자력에 의하여 흡착하는 금속판 및 자석을 설치하여도 된다.
도58은, 투과부(101)의 개폐상태를 나타낸다. 도58의 상측에 나타내는 폐쇄상태에서는, 내부기구(IM)의 부분을 제외하고 투과부(101)를 통하여 음료제조장치(1)의 일 측방으로부터 타 측방까지를 볼 수도 있다. 구성예2에서는 힌지(102)가 투과부(101)의 상부에서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투과부(101)의 개방방향은 상방향이지만, 힌지(102)를 투과부(101)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앞쪽 방향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투과부(101)의 개폐방향은 상하방향이 아니라 좌우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투과부(101)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기구를 설치하여도 되고, 이러한 기구는 예를 들어 힌지(102)에 설치하여도 된다. 투과부(101)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를 마련하여, 투과부(101)의 개방 조작이 검출되면 커피음료의 제조동작을 중지하는 제어를 행하여도 된다. 또한, 투과부(101)의 개폐를 규제하는 로크기구를 마련하여, 커피음료의 제조동작 중에는 로크기구를 작동하여 투과부(101)의 개방을 금지하는 제어를 행하여도 된다.
<하우징에 둘러싸인 기구와 시인 가능한 기구>
구성예1이나 구성예2에서 나타낸 하우징(100)에 둘러싸이는 기구는, 콩처리장치(2) 및 추출장치(3)의 전부 또는 일부이어도 된다. 구성예1과 같이 캐니스터(40)는 그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취출구(104)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있어도 되고 내측에 있어도 된다. 그라인더(5A)로부터 송출되는 분쇄두는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지 못하고, 그라인더(5B)로부터 송출되는 분쇄두는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투과부(101)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내부기구로서는, 저장장치(4), 분쇄장치(5), 추출장치(3)의 전부 또는 일부를 들 수 있다. 가능한 한 많은 기구가 음료제조장치(1)의 정면측으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기구가 좌우로 어긋나 배치되어도 된다.
분쇄장치(5)에 대해 추가로 말하면, 분리장치(6)의 전부 또는 일부를 들 수 있다.
분리장치(6) 중에서는, 특히 회수용기(62B)의 전부 또는 일부가 투과부(101)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면, 회수용기(62B) 내의 불요물을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시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수용기(62B) 내의 불요물이 송풍유닛(60A)의 송풍으로 흩날리는 상태를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28의 구성예의 경우에, 점선(L11)보다 전방측 부분만이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는 것도 가능하여도 된다.
또한, 분쇄장치(5)에 대해 추가로 말하면, 조립 그라인더(5A)나 미립 그라인더(5B)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는 것도 가능하여도 된다.
추출장치(3)에 대해 추가로 말하면, 추출용기(9)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는 것도 가능하여도 된다. 추출용기(9)의 반전동작 등의 추출용기(9)의 자세 변화나, 추출용기(9)(용기본체(90))의 전후방향의 수평 이동 등의 동작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는 것도 가능하여도 된다. 추출용기(9) 내의 제1마개부재(예를 들어 913)의 개폐를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되고 시인할 수 없도록 하여도 된다. 추출용기(9) 내의 제2마개부재(예를 들어 903)의 개폐를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되고 시인할 수 없도록 하여도 된다. 추출용기(9) 내의 뚜껑유닛(예를 들어 91)의 개폐를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되고 시인할 수 없도록 하여도 된다.
<제5실시형태>
로스트 커피콩의 정보관리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태그>
복수의 캐니스터(40)에 종류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을 수납하는 경우에, 어느 장착부(44)에 어느 로스트 커피콩의 캐니스터(40)가 장착되어 있는가에 대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 방법으로서 캐니스터(40)에,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구비하는 태그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59는 그 일례를 나타낸다.
도59의 캐니스터(40)의 통부(401)에 태그(TG)가 설치되어 있다. 태그(TG)는, 예를 들면 RFID 태그, 바코드가 붙여진 태그이다. 태그(TG)는 통부(401)에 접착제로 부착하여도 좋다. 태그(TG)를 설치하는 부위는 통부(401)에 한정되지 않고,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덥개부(402)나 출구개폐부(408)이더라도 좋다. 태그(TG)는 캐니스터(40)의 복수의 부위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태그(TG)는 캐니스터(40)에 수용하기 전의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하는 수용자루(120)에 설치되어도 좋다.
음료제조장치(1)는, 태그(TG)의 정보를 읽어내는 리더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읽은 정보를 처리부(11a)가 취득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리더는 장착부(44)별로 설치되어도 좋은데, 이 경우에, 정보를 읽어낸 리더와 장착부(44)의 대응관계로부터, 캐니스터(40)나 장착부(44)의 대응관계(로스트 커피콩의 종류와 장착부(44)의 대응관계)를 특별히 지정할 수 있다.
태그(TG)의 읽기는 휴대형의 단말에서 하고, 무선통신에 의하여 처리부(11a)가 휴대형의 단말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취득하여도 좋다.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에 관한 정보는, 원산지, 로스팅 정도, 로스팅한 날, 로스팅한 사람, 커피음료로 하였을 때의 맛이나 풍미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태그(TG)는, 수용되는 로스트 커피콩으로부터 커피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조건(레시피)에 관한 정보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처리부(11a)는 태그(TG)로부터 읽어낸 제조정보에 따라서 그 로스트 커피콩으로부터 커피음료의 제조제어를 하여도 좋다. 제조정보로서는, 탕온(湯溫), 추출시의 압력, 추출시간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스톡커>
음료제조장치(1)의 부속품으로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캐니스터(40)를 보관하는 스톡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0은 그 일례인 스톡커(130)의 모식도이다.
스톡커(130)는, 캐니스터(40)가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부(131a∼131c)(총칭할 때에는 장착부(131)라고 한다)를 포함한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세개의 장착부(131c)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 사용하지 않고 있는 캐니스터(40)가 장착되어 있다. 스톡커(130)는, 각 장착부(131)에 대응하는 표시부(132a∼132c)(총칭할 때에는 표시부(132)이라고 한다)를 구비한다. 표시부(132a)는 장착부(131a)에 대응하고, 표시부(132b)는 장착부(13lb)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표시부(132c)는 장착부(131c)에 대응하고 있다. 표시부(132)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다.
표시부(132)는, 대응하는 장착부(131)에 장착되어 있는 캐니스터(40)에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의 정보를 표시한다. 동 도면의 예의 경우에,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를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좌측의 표시부(132a)는, 「A」라고하는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이, 대응하는 장착부(131a)에 장착되어 있는 캐니스터(40)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부(132)에 표시하는 정보는, 상기한 태그(TG)로부터 취득하더라도 좋다. 각 장착부(131)는 태그(TG)를 읽어내는 리더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장착부(131)에 캐니스터(4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대응하는 표시부(132)에는, 미장착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더라도 좋다. 도61의 EX21은, 장착부(131c)에 캐니스터(40)가 장착되어 있지 않고, 표시부(132c)에는, 미장착을 나타내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또, 각 장착부(131)에는 캐니스터(40)의 장착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도 좋다.
캐니스터(40)에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의 정보가 미등록인 경우에, 대응하는 표시부(132)에는, 미등록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태그(TG)에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다. 도61의 EX22는, 장착부(131c)에 캐니스터(40)가 장착되어 있지만, 그 로스트 커피콩의 정보가 등록되고 있지 않아, 표시부(132c)에는 미등록을 나타내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를 함으로써, 유저에게 정보의 등록을 촉진할 수 있다.
스토커(130)는 태그(TG)에 정보를 써넣은 라이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빈 캐니스터(40)(또는 새로운 콩을 보충한 캐니스터(40))가 스톡커(130)에 장착된 경우에는, 이 캐니스터(40)에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의 정보를 라이터(writer)로부터 태그(TG)에 기억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로스트 커피콩과 캐니스터(40)가 반드시 일대일로 결부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정보의 등록의 방법은, 예를 들면 휴대형의 단말로부터 정보를 스톡커(130)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별도의 방법으로서, 스톡커(130)에 부착된 리더에 의하여 로스트 커피콩의 수용자루(120)(도59)의 태그(TG)를 읽어내서 등록하더라도 좋다.
<제6실시형태>
음료제조장치(1)는, 점포나 시설에 설치되는 업무용의 음료제공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유닛(12)을, 화상표시기능을 갖춘 터치패널로 하였을 경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유저로서 커피음료의 제공을 받는 사람(예를 들면 구입자)이나, 제공자(점원, 커피 전문가)에 대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피음료의 제공을 받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에, 조작유닛(12)은 예를 들면 레스토랑의 각 테이블에 배치되어, 그 테이블의 손님이 이용 가능한 단말이더라도 좋다. 제공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에, 점포의 관리실에 설치되어도 좋다. 제어장치(11)는, 조작유닛(12)의 표시장치(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의 표시제어 및 조작유닛(12)에 대한 지시에 대응한 콩처리장치(2) 및 추출장치(3)의 동작제어를 한다.
도62는 조작유닛(12)에 표시되는 초기화면(SHOP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초기화면은, 「메뉴선택」, 「프로필선택」, 「주문확인」, 「미각차트선택」, 「과거주문」, 「점원호출」, 「관리자 전용」의 각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표시화면이 천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이러한 기능버튼으로서 기능하는 아이콘은 입체적인 버튼 형상이고 또한 앞면에 명칭이 기재된 표시로 되어 있다.
「메뉴선택」은, 유저가 주로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로부터 커피음료를 선택하는 데에도 적절한 기능버튼이다. 「메뉴」는, 기본적으로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에 대응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정보로서의 「메뉴」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와 후술하는 추출 프로필의 종류의 조합이다. 「프로필선택」은, 유저가 주로 커피음료의 제조조건(제조동작에 관한 특성)의 종류로부터 커피음료를 선택하는 데에도 적절한 기능버튼이다.
「주문확인」은, 현재 접수되어 있는 커피음료의 주문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버튼이다. 「미각차트선택」은, 후술하는 미각차트(味覺 chart)를 이용한 커피음료의 선택방식으로서, 유저가, 주로 미각(味覺), 향(香)이라고 하는 로스트 커피콩을 특징짖는 복수 종류의 특성으로부터 커피음료를 선택하는 데에도 적절한 기능버튼이다. 「과거주문」은, 과거에 이루어진 주문을 참조하여 커피음료를 선택하는 데에도 적절한 기능버튼이다. 「점원호출」은 서비스의 제공 담당자를 호출하기 위한 기능버튼이다. 「관리자 전용」은 특정인에게만 허용되는 조작을 하기 위한 기능버튼이다.
<메뉴선택>
도63은, 유저에 의하여 「메뉴선택」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선택된 기능버튼을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흑백의 반전표시에 의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64는, 도63의 표시에 있어서 「메뉴선택」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블렌드A∼블렌드E로 표시된 메뉴선택을 위한 메뉴 아이콘이 5개 표시되어 있다. 각 메뉴 아이콘은, 커피컵의 무늬, 블렌드A 등의 메뉴명, 가격(...원)의 표시를 포함하는 기능버튼이다. 화면 좌상에는 "P.1/8"이라고 표시되어 있어, 메뉴선택화면이 8쪽이라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BACK」 아이콘은,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다. 「P.2/8」 아이콘은 다음 화면으로 진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으로서, 메뉴선택화면은 8쪽이라는 것이 나타나 있다. 「P.2/8」 아이콘의 좌측의 공란(空欄)의 기능버튼은 전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이지만, 도64의 예에서는 표시중인 메뉴선택화면이 1쪽째로서, 전화면(전 쪽)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공란의 표기로 하고 있다. 이 아이콘을 터치하여도 조작이 무효로 된다. 이렇게 조작이 무효로 되는 기능버튼의 아이콘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공란의 표기로 하고 있다.
도65는, 도64의 표시에 있어서 「블렌드A」가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었을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66은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66의 표시는, 블렌드A의 상세정보를 나타내는 메뉴상세화면이다. 여기에서는, 블렌드A의 로스트 커피콩의 생산국, 상표, 정제방법, 로스팅방법, 추출PROFILE이 P01(표준)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추출PROFILE」이라고 함은, 이 로스트 커피콩을 사용하여 음료제조장치(1)로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의 제조조건의 종류이다(이하, 추출 프로필이라고 할 경우가 있다). 「P01(표준)」이라 함은, 표준적인 제조조건을 나타내고 있다.
메뉴상세화면에는, 또한 블렌드A의 커피음료를 실제로 시험한 시음자의 코멘트로서, 「과일맛과 뒷맛의 산뜻함이 특징!」으로 표시되어 있다.
메뉴상세화면에는, 또한 미각차트가 표시되어 있다. 미각차트는, 커피음료를 특징짖는, 맛, 향기라고 하는 복수 종류의 특성의 레벨을 표시하는 차트이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향기」, 「단맛」, 「쓴맛」, 「신맛」, 「감칠맛」의 5종류의 특성이 3단계의 레벨로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이들의 각 정보를 참조하여 자기의 기호에 맞을지를 검토할 수 있다. 특히 미각차트를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커피음료의 특징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쉬어져, 원하는 종류의 커피음료를 선택하기 쉬워진다.
「PROFILE」 아이콘은, 추출 프로필을 커스터마이즈(customize) 하는 것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ORDER」 아이콘은, 선택중인 커피음료의 주문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66의 예에서는, 「BACK」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67은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67의 예에서는, 「P.2/8」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다음 화면으로 진행하여 도68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68의 예에서는, 「블렌드G」가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도69은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69의 표시는, 「블렌드G」의 메뉴상세화면이다. 도66에 나타낸 「블렌드A」의 메뉴상세화면과 화면의 구성은 공통이다. 미각차트는, 「향기」, 「단맛」, 「쓴맛」, 「신맛」, 「감칠맛」의 5종류의 특성이 각 3단계의 레벨로 표시되어 있고, 특징의 항목을 「블렌드A」와 같은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같은 기준에서 블렌드A와 블렌드G의 차이를 유저가 인식하기 쉽다. 그러나 반드시 특징의 항목을 공통적으로 할 필요는 없고, 메뉴에 의하여 특징의 항목이 다르게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69의 예에서는 「ORDER」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70은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70에는, 주문의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OK」가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71의 화면으로 천이하고, 주문을 접수한 「블렌드G」의 메뉴상세화면이 다시 표시되고 또한 「주문을 접수하였습니다」라는 접수확인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이 후에 처리부(11a)는, 「블렌드G」에 대응하는 설정을 읽어내어, 대응하는 로스트 커피콩을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하고, 그 제조조건에 따라서 음료제조장치(1)를 제어하여 커피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한다. 도71의 표시에 있어서는 「SHOP」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62에 나타낸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다음에 메뉴상세화면에 있어서, 「PROFILE」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2는 도68의 화면에서 「블렌드G」가 선택되고, 그 메뉴상세화면에 있어서 「PROFILE」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화면은 도73의 예로 천이한다.
「블렌드G」에는, 추출 프로필로서 「P01(표준)」이 설정되어 있다. 도73의 화면은, 「P01(표준)」의 프로필 상세화면이다. 여기에서는 제조조건으로서, 「뜸들이기 탕량」, 「뜸들이기 시간」, 「추출탕량」, 「추출시간」이 열거되어 있고, 또한 그 초기설정치로서, 80ml, 15초, 170ml, 97초로 표시되어 있다. 「뜸들이기 탕량」이라 함은, 예를 들면 도21의 추출처리에 있어서 S11의 뜸들이기에 사용하는 탕량이고, 「뜸들이기 시간」이라고 함은 뜸들이기의 시간이다. 「추출탕량」이라고 함은, 예를 들면 도21의 추출처리에 있어서 커피액의 추출에 사용하는 탕량(뜸들이기 탕량과 S12의 나머지 탕량)이며, 「추출시간」이라고 함은 S14의 침지식(浸漬式)의 커피액 추출시간이다.
유저는, 이들의 설정치를 조정할 수 있다. 「+」 아이콘은 증가를 지시하는 기능버튼이고, 「-」 아이콘은 감소를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다. 도73의 예에서는, 「뜸들이기 시간」의 증가가 지시되고 있다. 도74는 증가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뜸들이기 시간」은 초기설정치의 15초에서 25초로 증가하고 있다. 흑백이 반전된 「M」 아이콘은, 추출 프로필이 유저에 의하여 수정 중인 것을 나타내는 주의환기용의 아이콘이다.
도74의 예에서는 「ORDER」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75는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75에는, 주문의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OK」가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다. 흑백이 반전된 「C」 아이콘은, 추출 프로필이 유저에 의하여 커스터마이즈 된 것을 나타내는 주의환기용의 아이콘이다.
이에 따라 도76의 화면으로 천이하여, 주문을 접수한 「블렌드G」의 메뉴상세화면이 다시 표시되고 또한 「주문을 접수하였습니다」라는 접수확인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도71의 예와의 차이는 「C」 아이콘이 표시되어, 「추출PROFILE」이 유저에 의하여 커스터마이즈 된 것이 나타나 있다는 점에 있다.
이 후에 처리부(11a)는, 「블렌드G」에 대응하는 설정을 읽어내고, 대응하는 로스트 커피콩을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하여, 그 제조조건에 따라서 음료제조장치(1)를 제어하여 커피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한다. 그 때에, 「추출PROFILE」은 유저의 커스터마이즈에 따른 값으로 제어를 한다.
도76의 표시에 있어서는 「SHOP」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어, 도62에 나타낸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 메뉴상세화면에 표시하는 정보나, 프로필 상세화면에 표시하는 초기설정치의 정보는, 기억부(1lb)에 저장되어 있다. 도77 및 도78은, 그 예로서 메뉴상세화면의 표시에 사용되는 메뉴정보를 나타내고 있고 도79 및 도80은 추출 프로필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메뉴정보는 메뉴별 정보로서, 메뉴상세화면에 표시된다, 로스트 커피콩의 생산국, 상표, 정제방법(예를 들면 워시드(washed)를 나타내는 「W」, 펄프드 내추럴(Pulped Natural)을 나타내는 「PN」 등), 로스팅방법(예를 들면 중간정도보다 얕게 볶아진 것을 나타내는 「중천(中淺)」, 깊게 볶아진 것을 나타내는 「심(深)」, 중간정도보다 깊게 볶아진 것을 나타내는 「중심(中深)」 등), 사전(事前)에 확인한 향미(香味)로서 신맛의 정도, 쓴맛의 정도, 감칠맛의 정도나 그 이외의 맛의 정도, 향기의 종류(예를 들면 과일향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코멘트, 추출PROFILE 등의 각종 정보이다. 이러한 정보는 미각차트의 기초 데이터로서 활용된다.
추출 프로필 정보는, 추출 프로필의 종류와 그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상기한 「P01(표준)」 이외에도 「P02」 ...「P07」까지 7종류가 있다. 도73 및 도74의 표시화면상에서는, 제조조건으로서 「뜸들이기 탕량」, 「뜸들이기 시간」, 「추출탕량」, 「추출시간」을 커스터마이즈 할 수 있지만, 이 그 외에도 「입도(粒度)」가 있다. 「입도」는 분쇄두의 알의 크기에 관한 것으로서, 입도1∼입도10까지 10단계가 있다. 분쇄두의 알의 크기는, 기어(53b')에 작용하는 입도조정기구에 의하여 조정되지만, 이 그 외에도, 예를 들면 조립 그라인더(5A), 미립 그라인더(5B)의 동작시간이나 동작태양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프로필 선택>
다음에 도62의 초기화면에 있어서 「프로필선택」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메뉴선택」에서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에 추출 프로필의 종류를 관련지어져 있어, 그 내용을 커스터마이즈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종류의 변경은 할 수 없다. 「프로필선택」은, 유저가 추출 프로필의 종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다.
도81은, 유저에 의하여 「프로필선택」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도82는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82는 프로필 선택화면을 나타내고, 추출 프로필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82에서는, 「P01(표준)」 아이콘이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이에 따라 도83의 프로필 상세화면이 표시된다.
도83의 프로필 상세화면의 구성은, 도73, 도74의 화면구성과 같지만, 「입도」가 추가되어 있다. 즉, 「프로필선택」에서는 「입도」의 설정치도 커스터마이즈 대상이다.
도83의 예에서는 「BACK」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84는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84의 예에서는, 「P.2/2」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다음 화면으로 진행하여 도85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85의 예에서는 「P07(■■전용)」 아이콘이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고, 도86은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P07(■■전용)」은, 특정한 상표(■■)의 커피콩에 전용으로 준비된 추출 프로필이다. 추출 프로필은, 상표 등 콩의 특징에 특화된 종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도86의 화면에서는, 「뜸들이기 탕량」의 증가가 지시되어 있다. 도87은 증가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뜸들이기 탕량」은 초기설정치의 40ml에서 45ml로 증가하고 있다. 도87의 화면에서는, 「뜸들이기 시간」의 증가가 지시되어 있다. 도88은 증가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뜸들이기 시간」은 초기설정치의 5초부터 7초로 증가하고 있다. 도88의 화면에서는 「ORDER」가 선택되어 있다. 「ORDER」의 대상메뉴는, 「P07(■■전용)」의 추출 프로필에 관련지어진 메뉴(여기에서는 블렌드AN)가 되고, 도8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메뉴상세화면이 표시된다.
도89의 화면에서는 「ORDER」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90은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90에는 주문의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OK」가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다. 「C」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어, 추출 프로필이 유저에 의하여 커스터마이즈 된 것이 나타나 있다.
이에 따라 도91의 화면으로 천이하여, 주문을 접수한 「블렌드AN」의 메뉴상세화면이 다시 표시되고 또한 「주문을 접수하였습니다」라고 접수확인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이 후에 처리부(11a)는, 「블렌드AN」에 대응하는 로스트 커피콩을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하고, 「블렌드AN」에 대응하는 제조조건이나 「P07(■■전용)」의 추출 프로필의 커스터마이즈 후의 제조조건에 따라서 음료제조장치(1)를 제어하여 커피음료를 자동적으로 제조한다. 도91의 표시에 있어서는 「SHOP」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62에 나타낸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미각차트 선택>
다음에 도62의 초기화면에 있어서 「미각차트선택」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각차트」는, 커피음료의 특징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정보로서, 맛이나 향기를 우선하는 유저의 커피음료의 선택에 기여한다.
도92은, 유저에 의하여 「미각차트선택」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도93은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93은 미각차트 선택화면을 나타내고, 미각차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미각차트는, 기본적으로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에 대응하기 때문에, 도93의 화면에서는 각 아이콘에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블렌드A 등)이 병기(倂記)되어 있다. 다만, 미각차트가 같지만 다른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멘트」에서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77에 나타낸 「블렌드D」와 「블렌드G」는, 「로스팅」, 「신맛」, 「쓴맛」, 「감칠맛」이라고 하는 특성이 같지만 도7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코멘트」가 다르게 되어 있다.
도93에서는 「블렌드A」 아이콘이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이에 따라 도94의 미각차트 상세화면이 표시된다. 도94에는 「블렌드A」의 미각차트가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블렌드A에 관한 「향기」, 「단맛」, 「쓴맛」, 「신맛」, 「감칠맛」의 5종류의 특성이 각 3단계의 레벨로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블렌드A의 향기는 강약 3단계 평가에서는 가장 강한 레벨인 것을 나타내고 있고, 쓴맛은 3단계 평가에서 가장 약한 레벨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메뉴정보(도77, 도78)나, 대응하는 추출 프로필 정보(도79 및 도80)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CHANGE」 아이콘은, 다른 특성에 관한 미각차트의 표시를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다. 「미각차트선택」에서는 「메뉴선택」보다도, 유저에 제공되는 미각차트의 정보의 종류를 많게 하고 있다. 도94의 화면에서는 「CHANGE」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이에 따라 도95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95에는, 블렌드A에 관한 별도의 특성의 미각차트가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의 블렌드A에 관한 「과일맛」, 로스팅 정도」, 「카페인」, 「팬 강도」, 「청결컵」의 5종류의 특성이 각 3단계의 레벨로 표시되어 있다. 「팬 강도」라고 함는, 불요물의 제거시의 송풍유닛(60A)의 풍량을 의미하며, 제조조건의 1개다. 팬 강도가 강하면, 불요물의 제거가 강하게 작용하여 잡맛(잡미(雜味))이 약해진다. 팬 강도가 약하면, 불요물의 제거가 약하게 작용하여 잡맛이 늘어나기 쉽다. 「청결컵」이라 함은, 추출용기(9)의 청정도를 의미하며, 제조조건의 1개로서, 직전에 제조된 커피음료의 향기 등이 추출용기(9)에 잔류하는 정도을 제어하는 조건이다. 청정도를 강하게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전(事前)의 추출용기(9)의 청정시간을 길게 한다.
다음에 「SEARCH」 아이콘 선택시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원하는 특성을 지시하고 「SEARCH」 아이콘을 선택하면, 지시한 특성에 가까운 미각차트를 구비하는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이 검색된다.
도95의 예에서는 「BACK」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9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각차트 선택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96의 예에서는, 「P.2/4」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다음 화면으로 진행하여 도97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97의 예에서는, 「블렌드G」 아이콘이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고, 도98은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화면에 있어서, 유저는 「단맛」의 레벨을 「중」으로부터 「강」으로 시프트하는 변경지시(드래그 조작)을 하고 있다. 이 드래그 조작에 따라, 수정중인 것을 나타내는 「M」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계속되는 도98의 화면에서는, 「SEARCH」 아이콘이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98의 화면에 표시된 미각차트 또는 이것에 가까운 미각차트를 구비하는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이 검색된다.
도100은 그 검색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예가 나타나 있다. 검색결과가 1개 있었기 때문에 미각차트가 표시되어 있다. 도100에는 블렌드D의 미각차트가 표시되어 있다. 이 미각차트는, 「향기」, 「단맛」, 「쓴맛」, 「신맛」, 「감칠맛」이 각각 「중」, 「강」, 「중」, 「중」, 「중」이며, 도99의 미각차트와 같은 미각차트인 것을 알 수 있다.
도101은, 미각차트가 일치하는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이 없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그 대신에 가까운 미각차트를 구비하는 복수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이 검색되었을 경우의 화면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블렌드D」, 「블렌드P」, 「블렌드V」 등의 아이콘이 열거되어 있고, 유저는 「블렌드W」를 선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10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렌드W」의 미각차트가 표시된다. 유저는 「CHANGE」 아이콘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도10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렌드W」의 다른 특성의 미각차트가 표시된다.
도103의 화면에서는, 「SEARCH」 아이콘이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103의 화면에 표시된 미각차트 또는 이것에 가까운 미각차트를 구비하는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이 검색된다.
도104는 그 검색결과를 나타내고, 「블렌드P」, 「블렌드W」의 2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유저는 「블렌드P」를 선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10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렌드P」의 미각차트가 표시된다. 유저는 「CHANGE」 아이콘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도10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렌드P」의 다른 특성의 미각차트가 표시된다. 도105의 미각차트와 도106의 미각차트에서는, 일부의 특성이 중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CHANGE」 아이콘에 의하여 전환되는 미각차트는, 모든 특성이 다르게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도106의 화면에서는 「ORDER」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107은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07에는, 주문의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OK」가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108의 화면으로 천이하고, 주문을 접수한 「블렌드P」의 메뉴상세화면이 다시 표시되고 또한 「주문을 접수하였습니다」라고 하는 접수확인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이 후에 처리부(11a)는, 「블렌드P」에 대응하는 로스트 커피콩을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하고, 「블렌드P」에 대응하는 제조조건에 따라서 음료제조장치(1)를 제어하여 커피음료를 자동적으로 제조한다. 도108의 표시에 있어서는 「SHOP」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62에 나타낸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어느 것이나 하나의 화면중에 1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에 관한 미각차트를 표시하도록 하였지만, 2종류 이상의 로스트 커피콩에 관한 미각차트를 동시에 표시하더라도 좋다. 도109는 그 일례를 나타낸다.
도109의 화면에는, 「블렌드B」의 미각차트와 「블렌드E」의 미각차트가 동시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특성으로서, 「흔든 횟수」가 포함되어 있다. 「흔든 횟수」라고 함은, S16의 반전동작의 앞 또는 뒤에 추출용기(9)내의 교반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상기한 흔드는 동작의 횟수이다. 이 횟수에 의하여 부드러운 맛이 달라질 경우가 있다. 이러한 추출용기(9)의 동작의 특성도, 미각차트의 특성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과거주문>
다음에 도62의 초기화면에 있어서 「과거주문」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과거주문」은 과거에 주문된 종류의 커피음료 중에서 지금부터 주문하고자 하는 커피음료를 주문하기 쉽게 하는 것이다. 즉, 주문의 이력(履歷)을 저장해 두고, 이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주문의 이력은, 예를 들면 점포의 테이블 단위의 그 날 또는 테이블 이용시간 중의 이력이더라도 좋다.
도110은, 유저에 의하여 「과거주문」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어, 유저의 확인처리 후에 도1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문이력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도111의 예에서는, 「P.2/23」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다음 화면으로 진행하여 도112의 화면이 표시된다. 「2015/5/1 블렌드A」의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다. 이 아이콘은 2015년5월1일에 「블렌드A」를 주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표시화면이 도113의 표시로 천이하고, 과거의 주문의 상세내용을 나타내는 과거주문 상세화면이 표시된다. 도113의 화면에서는 「ORDER」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114는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14에는, 주문의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OK」가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115의 화면으로 천이하고, 주문을 접수한 「블렌드A」의 과거주문 상세화면이 다시 표시되고, 또한 「주문을 접수하였습니다」라고 하는 접수확인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이 후에 처리부(11a)는, 「블렌드A」에 대응하는 로스트 커피콩을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하고, 「블렌드A」에 대응하는 제조조건에 따라서 음료제조장치(1)를 제어하여 커피음료를 자동적으로 제조한다. 도115의 표시에 있어서는 「SHOP」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62에 나타낸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주문확인>
다음에 도62의 초기화면에 있어서 「주문확인」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문확인」은, 주문이 끝난 커피음료의 제조상황에 관한 정보의 제공이나, 주문의 취소 등에 관한 처리를 하는 것이다. 제조상황에 관한 정보 등에 관해서는 기억부(1lb)에 기억되어, 처리부(11a)가 갱신한다.
도116은, 유저에 의하여 「주문확인」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어, 이에 따라 도117의 주문확인화면으로 천이한다. 주문확인화면에는, 접수중인 주문을 나타내는 주문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주문 아이콘은, 커피컵의 무늬, 대기번호, 블렌드A 등의 메뉴명, 「…원」 등의 가격의 표시를 포함한다. 커스터마이즈 되어 있는 주문에는, 「C」 아이콘도 포함되어 있다. 도117의 예에서는, 대기번호가 「0」인 주문 아이콘이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고, 도118의 주문상세화면으로 천이한다. 대기번호가 「0」이라고 함은, 현재 커피음료를 제조하고 있는 단계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대기번호가 「3」이라고 함은, 선행하는 주문이 3개 있는 것(자신은 4번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118의 주문상세화면에는, 주문의 대상인 커피음료의 내용과, 그 커피음료를 현재 추출중이라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추출중」의 표시). 도118의 예에서는, 「BACK」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1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문확인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119의 예에서는, 대기번호가 「3」인 「블렌드G」의 주문 아이콘이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고, 도120의 주문상세화면으로 천이한다. 도120의 주문상세화면에는, 주문의 대상인 커피음료의 내용과, 그 커피음료의 제조까지 세개의 주문이 있다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대기번호:3」의 표시).
여기에서 도120의 화면에서는 「CANCEL」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다. 「CANCEL」 아이콘은 주문을 취소하는 것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다. 도118의 표시화면에서는, 「CANCEL」 아이콘은 없다(공란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취소를 할 수 없는 주문인 것을 의미한다. 커피음료의 제조를 이미 시작한 주문은 취소할 수 없다.
「CANCEL」 아이콘의 선택에 의하여 도121의 취소확인화면으로 천이한다. 「OK」가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이에 따라 도122의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122의 화면에는, 취소된 주문의 내용이 표시되고 또한 「주문이 취소되었습니다!」라고 하는 취소확인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도122의 예에서는, 「BACK」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1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문확인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취소된 대기번호가 「3」인 「블렌드G」의 주문 아이콘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123의 예에서는, 「BACK」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62에 나타낸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점원호출>
다음에 도62의 초기화면에 있어서 「점원호출」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원호출」은, 커피음료의 제공측의 담당자의 호출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다.
도124의 화면에서는 「점원호출」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125은 그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25에는, 점원의 호출에 관한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YES」가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담당자를 호출하는 통지 등이 점포내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126의 화면으로 천이하고, 「점원을 불렀습니다!」라는 확인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OK」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62에 나타낸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관리자 전용>
다음에 도62의 초기화면에 있어서 「관리자 전용」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리자 전용」은, 커피음료의 제공을 받는 유저가 조작하는 것을 예정하지 않고 있는 기능버튼으로서, 점포나 시설의 담당자, 특히 음료제조장치(1)의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것을 예정한 기능버튼이다. 「관리자 전용」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패스워드의 입력 등 조작이 예정되어 있는 인간만이 알고 있는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더라도 좋다.
도127의 화면에서는 「관리자 전용」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128은 그 후에 표시되는 관리자 전용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관리자 전용화면은, 「주문처리」, 「머신 모니터」, 「전문가 모드」, 「메뉴편집」, 「미각차트 편집」, 「프로필 편집」, 「각종설정」, 「SHOP」의 각 아이콘이 기능버튼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메뉴편집」, 「미각차트 편집」, 「프로필 편집」, 「각종설정」, 「SHOP」은 각종 정보의 편집이나 설정을 위한 기능버튼이다. 이하에서, 「주문처리」, 「머신 모니터」, 「전문가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문처리>
도128의 예에서는, 「주문처리」가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129의 주문처리화면으로 천이한다.
주문처리화면은, 레스토랑의 테이블 단위로 처리상황을 나타내는 주문처리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다. 주문처리 아이콘은, 주문의 대기상황(처리중, 대기:1 등), 주문의 내용(블렌드G 등), 테이블 번호를 포함한다. 추출 프로필이 커스터마이즈 되어 있는 주문인 경우에, 「C」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129의 예에서는, 「P.2/2」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다음 화면으로 진행하여 도130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130의 예에서는, 「대기:8」, 「블렌드A」, 「테이블:3」의 주문처리 아이콘이 선택되어, 도131의 주문상세화면이 표시된다. 주문상세화면에는, 주문내용, 테이블 번호, 대기번호 등이 표시된다. 도131의 화면에서는 「CANCEL」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손님의 희망에 의하여 점원이 주문을 취소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CANCEL」 아이콘의 선택에 의하여 도132의 취소확인화면으로 천이한다. 「YES」가 선택되어, 이에 따라 도133의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133의 화면에는, 취소된 주문의 내용이 표시되고 또한 「테이블:3, 취소하였습니다!」라고 취소확인의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도133의 예에서는, 「BACK」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도13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문처리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취소된 주문처리 아이콘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134의 예에서는, 「P.1/2」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전화면(전 쪽)으로 되돌아가서 도135의 주문처리화면이 표시된다. 도135의 예에서는, 「처리중」, 「블렌드G」, 「테이블:3」의 주문처리 아이콘이 선택되어, 도136의 머신 모니터 화면이 표시된다. 선택된 주문처리 아이콘이 「처리중」인 경우에, 음료제조장치(1)에 있어서의 제조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머신 모니터 화면이 표시된다. 또, 제4실시형태의 하우징의 구성예에 의하면, 실제 기계의 투과부(101)로부터 직접 동작상황을 확인할 수도 있다.
머신 모니터 화면에는, 「린스」, 「대기」, 「예비가열」, 「콩투입」, 「뜸들이기」, 「추출」이라고 하는 커피음료의 제조공정이 열거되어, 현재의 공정항목이 흑백이 반전되어 표시되어 있다. 「린스」라고 함은 추출용기(9)의 청소다. 「예비가열」이라고 함은 도20의 S1의 예열이다. 「뜸들이기」, 「추출」은 도21의 처리이다. 도136의 예에서는 「뜸들이기」의 공정중이다.
「머신」란에는 음료제조장치(1)의 동작상황이 표시되어 있다. 「용기내압」은 추출용기(9)내의 기압이다. 「탱크압」은 물탱크(72)내의 기압, 「탕온(湯溫)」은 물탱크(72)내의 수온, 「탕량(湯量)」은 물탱크(72)의 수량(수위), 「메뉴」는 제조중인 커피음료의 원료가 되는 로스트 커피콩이다. 「콩」은, 저장장치(4)의 캐니스터(40A∼40C)에 저장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다. 제조중인 커피음료에 사용하고 있는 로스트 커피콩의 캐니스터(40)(여기에서는 A)가 흑백이 반전되어 표시되어 있다. 「특별한 한잔」은, 수용부(42c)로부터 로스트 커피콩을 투입하여 커피음료를 제조할 경우를 나타낸다.
「PROFILE」에는 제조조건이 표시되어 있고, 추출 프로필의 종류(도136의 예에서는, 「P01(표준)」.), 그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제조상황의 진행에 따라 머신 모니터 화면은 리얼타임(real time)으로 갱신된다. 도137은 도136의 표시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제조공정이 「추출」공정의 단계에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138은, 도137의 표시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제조중이었던 한잔의 커피음료의 제조가 끝나고, 다음의 제조공정의 준비로서 「린스」공정의 단계에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다음의 주문에 관한 정보는 확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메뉴」, 「PROFILE」 등은 비표시로 되어 있다.
도139는, 도138의 표시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린스」공정이 종료하고, 다음의 주문에 관한 정보가 확정되어 「대기」공정중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도140은, 도139의 표시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대기」공정에 있어서의 준비가 완료되어, 다음의 주문에 관한 커피음료의 제조시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START」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고, 이 아이콘의 조작에 의하여 커피음료의 제조의 시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39의 표시의 단계에서는 이 「START」 아이콘은 표시되고 있지 않아,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141에서는 「START」 아이콘이 선택되어, 커피음료의 제조가 시작된다.
도142는, 도141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예비가열」공정이 시작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도143은, 도142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콩투입」공정 중인 것이 표시되어 있고, 저장장치(4)에 의하여 분쇄장치(5)로 로스트 커피콩이 공급되어, 분쇄두가 추출용기(9)에 공급된다.
도144는, 도143으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뜸들이기」 공정중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도145는, 도144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추출」공정중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도146은, 도145의 표시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제조중이었던 한잔의 커피음료의 제조가 끝나고, 다음의 제조공정의 준비로서 「린스」공정의 단계에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147은, 도146의 표시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린스」공정이 종료하고, 다음의 주문에 관한 정보가 확정하여 「대기」공정중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도148은 「대기」공정중에 「RINSE」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RINSE」 아이콘은, 제2실시형태의 재청소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기능버튼이다.
도149는 도148의 표시화면이 전환하여, 재청소처리에 온수를 사용할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YES」가 선택되어, 온수의 사용이 지시되어 있다. 「NO」를 선택하면 상온수가 사용된다.
도150은, 도149의 표시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재청소처리로서의 「린스」공정을 실행중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도151은, 「STOP」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STOP」 아이콘은, 음료제조장치(1)의 현재의 공정의 동작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는 것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다.
도152는 도151의 표시화면이 전환하여, 강제정지를 할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YES」가 선택되어, 「린스」공정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도153은 도152의 표시화면이 전환하여, 정지중인 「린스」공정을 재개할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YES」가 선택되어, 「린스」공정이 재개된다. 그 후에 도154, 도15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가 갱신되어, 「린스」공정, 「대기」공정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156은, 도153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NO」가 선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린스」공정은 재개되지 않고, 다음의 「대기」공정으로 이행한다. 도157의 표시화면은 「대기」공정으로 이행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158은, 도157의 표시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대기」공정에 있어서의 준비가 완료되고, 다음의 주문에 관한 커피음료의 제조시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즉 「START」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159에서는, 「START」 아이콘이 선택되어, 커피음료의 제조가 시작된다.
도142는, 도141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예비가열」공정이 시작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도143은, 도142로부터 갱신된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콩투입」공정중인 것이 표시되어 있고, 저장장치(4)에 의하여 분쇄장치(5)로 로스트 커피콩이 공급되어, 분쇄두가 추출용기(9)에 공급된다.
도160은, 「대기」공정중에 「BACK」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도16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문처리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161에서는, 또한 「BACK」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고, 이에 따라 도16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리자 전용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머신 모니터>
도136∼도161의 예는, 「주문처리」의 선택으로부터 머신 모니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했지만, 도16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리자 전용화면에 있어서 「머신 모니터」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16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표시화면이 표시된다.
도164의 표시화면에서는, 「메뉴」로서 블렌드P가 선택되어 있다. 블렌드P에 대응하는 로스트 커피콩이 어느 쪽의 캐니스터(40)에 수용되어 있는지가 자동적으로 검색된다. 대응하는 로스트 커피콩이 있으면, 「콩」의 A∼C 중에서 대응하는 종류의 표시의 흑백이 반전된다. 없으면 흑백의 반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전하지 않을 경우에, 오퍼레이터는, 「특별한 한잔」을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콩을 선택할 수 있고, 도164의 예에서는 캐니스터(40C)에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이 선택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콩C」가 흑백의 반전표시로 되어 있다.
다만, 장치의 설정상, 블렌드P에 알맞은 로스트 커피콩은 아니기 때문에, 도165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콩C」에 의하여 커피음료의 제조를 할지를 확인하는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다시 생각하여 「NO」가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캐니스터(40)의 교환작업을 한다. 즉, 이 예에서는 제3실시형태와 같이 카트리지식의 캐니스터(40)의 사용이 상정되어 있다.
「NO」의 선택에 의하여 도166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캐니스터(40C)의 제거의 확인화면이 표시되어, 동 도면의 예에서는 「YES」가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폐쇄상태로 되돌리는 동작이 시작되고, 도16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취지가 표시된다. 도16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떼어낸다라고 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캐니스터(40C)를 장착부(44)로부터 뽑아내고, 별도의 캐니스터(40)가 장착 가능하게 된다. 떼어내기가 가능하게 된다.
별도의 캐니스터(40)를 장착할때 까지, 표시화면은 도16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기」공정중이 되고, 「콩C」의 난은 공란이 된다. 별도의 캐니스터(40)의 장착이 검출되면,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셔터부(443) 및 출구개폐부(408)를 개방상태로 회전시키는 동작이 시작되고, 도170과 같이 「캐니스터C를 부착중」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도 인식되고, 도17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착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표시가 된다. 도171의 표시화면에서 「OK」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172로 표시화면이 전환되고, 교환된 캐니스터(40C)에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으로 커피음료가 제조되는 것이 표시된다.
<추출 프로필의 변경>
머신 모니터 화면상에서, 오퍼레이터는 추출 프로필의 일부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173은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입도」란이 터치되어 그 변경이 지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표시화면은 도174의 표시화면으로 천이하고, 「입도」의 입력화면이 표시된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입도5」가 선택되어 있다.
도175는 입도조정기구에 의하여 입도를 조정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가 표시되고, 도176에서는 입도의 조정이 완료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OK」 아이콘을 선택하면 원래의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추출 프로필을 커스터마이즈 했으므로, 이후의 표시에서는 「C」 아이콘이 표시된다.
도177은, 추출 프로필의 별도의 변경례에 관한 머신 모니터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뜸들이기 탕량」의 변경이 선택되어 있다. 머신 모니터 화면은 도178의 화면으로 전환하고, 탕량의 증감 아이콘(+, -)과 「OK」, 「CANCEL」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희망하는 탕량이 표시되면, 도179의 표시화면과 같이 「OK」 아이콘을 선택하여, 「뜸들이기 탕량」의 설정변경을 확정시킬 수 있다.
도180은, 추출 프로필의 다른 변경례에 관한 머신 모니터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뜸들이기 시간」의 변경이 선택되어 있다. 머신 모니터 화면은 도181의 화면으로 전환하고, 시간의 증감 아이콘(+, -)과, 「OK」, 「CANCEL」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희망하는 시간이 표시되면, 도182의 표시화면과 같이 「OK」 아이콘을 선택하여, 「뜸들이기 시간」의 설정변경을 확정시킬 수 있다.
또, 「추출탕량」이나 「추출시간」도 「뜸들이기 탕량」이나 「뜸들이기 시간」과 동일한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에서는 표시하지 않고 있는 정보이어도 추출 프로필내의 정보를 머신 모니터 화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183의 표시화면에서는, 「START」 아이콘이 선택되어, 커피음료의 제조가 시작된다. 도184의 표시화면에서는, 「예비가열」공정이 시작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도185의 표시화면에서는 「BACK」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다. 머신 모니터 화면의 표시는 종료하여 관리자 전용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커피음료의 제조는 계속된다.
<전문가 모드>
다음에 도128의 관리자 전용화면에 있어서 「전문가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커피음료의 제조는, 메뉴 및 추출 프로필 또는 수정후의 추출 프로필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조건에 따라서 각 제조동작 내지 각 공정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자동모드에서의 제조이다. 「전문가 모드」를 선택하면, 매뉴얼 모드에서의 커피음료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매뉴얼 모드에서는, 조작유닛(12)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지시에 따라서 각 제조동작 내지 각 공정이 실행된다. 따라서 「전문가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새로운 메뉴의 개발이나, 특정한 고객에 대한, 말하자면 그 때만의 특별한 커피음료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자동모드와 매뉴얼 모드를 구비함으로써 커피음료의 양산성과 독자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도186에서는, 「전문가 모드」 아이콘이 선택되어, 표시화면은 도187의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187은 전문가 모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매뉴얼 모드에서는, 오퍼레이터는 이 전문가 모드 화면을 이용하여 음료제조장치(1)를 동작시킨다.
전문가 모드 화면은, 「상태표시」영역, 「상태표시·설정」영역, 「공정·명령」영역, 「로그」영역 및 기능버튼(START, BACK, 후술하는 STOP)을 포함한다.
도188은, 「상태표시」영역 및 「상태표시·설정」영역의 설명도이다. 「상태표시」영역에는, 음료제조장치(1)가 구비하는 각종 센서의 검출결과나 콩의 설정정보가 표시된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 「용기내압」은 추출용기(9)내의 기압이다. 「탱크압」은 물탱크(72)내의 기압, 「탕온」은 물탱크(72)내의 수온, 「탕량」은 물탱크(72)의 수량(수위), 「입도」는, 상기한 10단계의 분쇄두의 알의 크기의 설정이다. 「상태표시」영역의 정보는 리얼타임으로 갱신되어, 오퍼레이터는 각 정보의 변화를 감시하면서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상태표시·설정」영역에는, 음료제조장치(1)가 구비하는 각종 가동기구의 동작상태나, 추출 프로필, 콩의 설정의 정보가 표시되고 또한 오퍼레이터가 터치함으로써 동작상태를 변경 가능한 기능버튼을 겸용하고 있다.
「PROFILE」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추출 프로필의 정보가 표시된다. 도188의 예에서는, 「P01(표준)」이 설정되어 있다. 오퍼레이터가 특히 조작을 지시하지 않을 경우에, 설정중인 추출 프로필에 의거하여 커피음료의 제조제어가 실행된다. 「PROFILE」를 터치하면, 그 설정변경이 가능하다. 「콩」은, 저장장치(4)의 캐니스터(40A∼40C)에 저장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수용부(42c)로부터 로스트 커피콩을 투입하거나, 캐니스터(40A∼40C)에 저장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을 혼합하거나 하는 것도 자유롭다.
「콩」보다 밑의 난에는, 각종 가동기구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도188의 예에서는, 각종 가동기구별로 좌측의 난과 우측의 난의 합계로 두개의 동작상태가 표시되어 있고, 흑백의 반전표시가 되어 있는 난이 현재의 상태로서, 도면의 예에서는 좌측의 난이 모두 흑백의 반전표시로 하고 있다. 좌측의 난의 동작상태가 초기상태다. 이하, 대표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기」는 추출용기(9)의 용기본체(90)의 위치를 나타내고, 「추출」(초기상태)은 추출위치를, 「밀」은 콩투입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오퍼레이터가 「밀」을 터치하면, 용기본체(90)가 콩투입위치로 이동되고, 「추출」을 터치하면 추출위치로 되돌아간다.
「자세」는 추출용기(9)의 자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초기상태)이 정립자세, 「하」가 도립자세를 각각 나타낸다. 오퍼레이터가 「하」를 터치하면, 추출용기(9)를 도립자세로 변화시키고, 「상」을 터치하면 정립자세로 변화시킨다. 도중의 위치에서의 정지도 할 수 있다.
「뚜껑」은 뚜껑유닛(91)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개방」(초기상태)은 뚜껑유닛(91)이 용기본체(90)를 개방한 상태를, 「폐쇄」는 폐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오퍼레이터가 「폐쇄」를 터치하면 뚜껑유닛(91)이 용기본체(90)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개방」을 터치하면 이간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로크」는 로크기구(821)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해제」(초기상태)는 용기본체(90)와 뚜껑유닛(91)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를, 「고정」은 로크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오퍼레이터가 「고정」을 터치하면 로크기구(821)가 잠금상태가 되고, 「해제」를 터치하면 로크가 해제된다.
「프로브A」, 「프로브B」는, 승강축(802), 승강축(812)의 상태에 관한 것이고, 「마개A」, 「마개B」는, 마개부재(903), 마개부재(913)의 상태에 관한 것이다. 「급탕밸브」, 「가압밸브」, 「감압밸브」, 「급수밸브」, 「출구밸브」는 유체공급유닛(7), 전환유닛(10)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밸브이다. 「콩A」, 「콩B」, 「콩C」는, 캐니스터(40A∼40C)에 있어서의 로스트 커피콩의 공급상태에 관한 것이다. 「밀A」, 「밀B」는 초벌분쇄용의 그라인더(5A), 정밀분쇄용의 그라인더(5B)의 동작상태에 관한 것이고, 「팬」은 송풍유닛(60A)의 동작상태에 관한 것이다. 이들도 오퍼레이터의 터치에 의하여 동작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상태표시·설정」란에 있어서의 각종 가동기구의 동작전환(터치조작)은, 기본적으로 임의의 터치조작을 접수할 수 있지만, 공정을 무시한 조작이나, 미리 금지되어 있는 상태와 조작의 관계에 해당하는 경우 등은 무효로 한다.
「상태표시·설정」란에 있어서의 각종 가동기구의 동작전환(터치조작)을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커피음료의 전 제조공정을 완수할 수 있다. 그러나 동(同) 난은 각종 가동기구의 동작이 열거되어 있을 뿐이므로, 공정과의 대응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 이것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숙련을 요한다. 「공정·명령」영역은, 그 보조를 하는 표시이다.
「공정·명령」영역은, 커피음료의 제조에 관한 공정과, 대표적인 동작 등에 관한 아이콘을 기능버튼으로서 표시함으로써 숙련을 요하지 않고, 커피음료의 전 제조공정을 완수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공정·명령」영역에 대한 조작과, 「상태표시·설정」에 대한 조작을 병용함으로써 독창적인 제조방법을 창출하기 쉬워진다.
도189는 「공정·명령」영역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난에는, 현재의 공정에 관계되지 않는 표시나, 조작이 무효가 되는 아이콘의 표시는 없지만, 도189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대강 모든 표시를 하고 있다.
최상단의 공정 표시란은 현재의 공정을 나타내는 표시란이다. 「린스」, 「예비가열」, 「콩투입」, 「뜸들이기」, 「추출」은, 커피음료의 제조의 각 공정을 나타내고, 그 의미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미 말한 바와 같다.
둘째 단의 진행지시란에는, 공정별로 「AUTO」, 「NEXT」, 「수동」이라고 하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AUTO」 아이콘과 「수동」 아이콘은 택일적으로 선택되는 아이콘이다. 「AUTO」 아이콘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추출 프로필대로 그 공정을 제어하는 것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며, 이 경우는 그 공정의 제어가, 말하자면 반자동화 되어 있다(이하, 1공정자동화처리라고 부른다.). 「수동」 아이콘은, 오퍼레이터 자신이 공정의 제어를 모두 지시하는 것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다. 「NEXT」는 현 공정을 종료하고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기능버튼이다.
진행지시란보다도 아래로는, 각 공정의 개별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명령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린스」공정에 할당되어 있는 명령 아이콘은, 「<1>용기준비」, 「<2>급수」, 「<3>배탕」, 「<4>용기개방」, 「<a>자세→하」, 「<b>자세→상」, 「<c>가압」, 「<d>감압」, 「<e>급탕」이다. <1>∼ <4>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숫자가 할당된 명령 아이콘은 사용빈도가 높은 명령에 관한 것이고, <a>∼<e>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영문자가 할당된 명령 아이콘은 사용빈도가 낮은 명령에 관한 것이다.
다음에 「로그」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90은 「로그」영역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전문가 모드」에 있어서의 커피음료의 제조과정(제어내용)은 모두 기록되어, 기억부(1lb)에 저장된다. 「로그」영역에는 기록되는 제어내용을 리얼타임으로 이력표시한다. 기록된 제어내용은, 새로운 「메뉴」나 추출 프로필로서 등록할 수도 있다.
<조작례>
전문가 모드 화면을 이용한, 커피음료의 제조과정의 예를 설명한다. 우선, 1공정자동화처리에 사용하는 추출 프로필을 설정한다. 현재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에, 「상태표시·설정」영역의 「PROFILE」를 터치한다. 이렇게 하면 도19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로필 선택화면이 표시된다. 이 선택화면에는 추출 프로필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19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2/2」 아이콘이 선택되면 다음 화면으로 진행하여 도193의 화면이 표시된다. 「P07(■■전용)」 아이콘이 선택되어, 도194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194의 화면은, 「P07(■■전용)」의 프로필 상세화면이다. 도83에서 설명한 프로필 상세화면과 동일한 화면으로서, 각종 설정치의 증감이 가능하다. 「SELECT」 아이콘이 선택되어, 추출 프로필은 「P07(■■전용)」으로 설정된다.
도19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문가 모드 화면으로 되돌아가고, 「START」 아이콘이 선택되어, 제조가 시작된다. 이에 따라 도19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STOP」 아이콘이 표시되어서, 제조중지를 지시 가능하게 된다. 또, 도195의 단계에서는 제조가 시작되지 않고 있으므로, 「STOP」 아이콘은 표시되고 있지 않고, 도196의 단계에서는 이미 시작된 것이므로 「START」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무효인 아이콘은 표시되지 않는다.
도197은 제조시작 직후의 「공정·명령」영역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린스」가 흑백반전표시로 되어, 현재의 공정이 「린스」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린스」공정 이외의 각 명령 아이콘에는 문자표시가 없고, 선택조작이 무효로 되어 있는 것이 암시되어 있다. 도19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그」영역의 정보도 갱신된다.
「린스」는 커피음료의 제조동작의 최후에 추출용기(9)를 청소하기 위하여 하는 것이므로, 커피음료의 제조동작을 연속적으로 하는 것이라면 건너뛰더라도 좋다. 전회(前回)의 제조동작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처음으로 하면 좋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NEXT」 아이콘이 선택되어, 「린스」공정은 즉시 건너뛰어서 도199의 예비가열공정으로 이행하고 있다.
도199는, 「예비가열」공정이 시작된 「공정·명령」영역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AUTO」 아이콘이 터치되어, 「예비가열」공정이 1공정자동화처리로 진행될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1공정자동화처리에서는, 설정중인 추출 프로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음료제조장치(1)의 동작제어가 진행되어 가고, 그 상황이 전문가 모드 화면에 표시된다. 또, 오퍼레이터가 「수동」 아이콘을 터치하면, 1공정자동화처리는 해제된다.
도200∼도206은, 1공정자동화처리가 진행되어 전문가 모드 화면의 표시가 변해가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200은, 오퍼레이터가 터치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1>용기준비」가 이루어지고, 이 명령 아이콘이 흑백반전표시로 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201은 「<1>용기준비」의 뒤에 「<2>입도설정」이 시작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 「<1>용기준비」는, 「예비가열」을 할 때의 추출용기(9)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적절한 상태로 하는 명령으로서, 용기본체(90)는 추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뚜껑유닛(91)이 폐쇄되고 또한 로크기구(821)로 로크 되는 등의 초기상태로 하는 명령이다. 이 명령이 실행되고 있는 것은,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202는 그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어, 「뚜껑」, 「로크」, 「프로브A」, 「프로브B」가 초기상태로부터 변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입도설정」에서는, 설정중인 추출 프로필에서 규정된 입도에 대응하여, 기어(53b')에 작용하는 입도조정기구를 제어한다.
또, 「<1>용기준비」 아이콘은, 각 공정의 최초의 명령 아이콘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치되어 있다. 가령 다른 명령 아이콘이 먼저 터치되었다고 하더라도, 「<1>용기준비」를 실행하고 나서, 터치된 것 이외의 명령 아이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비가열」의 공정이면, 당해 공정으로 이행하고 나서 「<1>용기준비」 아이콘이 터치되지 않고 「<3>급탕」 아이콘이 터치되어도, 「<1>용기준비」가 이루어졌을 경우의 용기의 상태와 같은 상태로 용기를 변화시키고 나서, 「<3>급탕」이 실행된다. 또한 예를 들면 명령 아이콘 「<3>급탕」에 의하여 추출용기(9) 내로 온수를 공급한 뒤에, 어떠한 사정으로 로크기구(821)의 로크가 외력에 의하여 해제되어, 그 후 「<4>배탕」 아이콘이 터치되면, 우선 로크기구(821)가 로크하고 있는 상태로 제어상 변화시키고 나서 배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는 다른 공정의 각 명령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도203, 도204는 1공정자동화처리로 「<3>급탕」, 「<4>배탕」의 각 제어가 실시되고, 또한 도205, 도206은 이에 따라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도 변화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207은, 「예비가열」공정의 종료 후에 「NEXT」 아이콘이 선택되어서, 다음의 「콩투입」공정으로 이행하는 것이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지시된 것이 나타내어지고 있고, 도208은 이 단계에서의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09∼도219는, 오퍼레이터가 「콩투입」공정을 매뉴얼 조작에 의하여 할 경우의 전문가 모드 화면의 표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제4실시형태의 하우징의 구성예에 의하면, 실제 기계의 투과부(101)로부터 직접 동작상황을 확인할 수도 있어, 매뉴얼 조작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도209에서 「<1>용기준비」 아이콘이 선택되어, 이에 따라 추출용기(9)의 준비동작이 이루어진다. 도210에서는, 「<3>콩B투입」 아이콘 및 「<a> <5>∼<7>」 아이콘의 양방이 선택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의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는 도211의 표시이다.
여기에서 「<a> <5>∼<7>」 아이콘은, <5>∼<7>의 각 명령을 반복하는 것을 지시하는 명령 아이콘이다. 즉, 「<5>밀A 회전」, 「<6>밀B 회전」 및 「<7>팬 회전」의 3개의 명령 아이콘이 터치되었을 경우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도2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5>밀A 회전」, 「<6>밀B 회전」 및 「<7>팬 회전」의 각 명령 아이콘도 흑백반전표시로 하여 현재 실행중인 것이 나타내어진다. 이들 명령 아이콘의 선택에 의하여 캐니스터(40B)의 콩「■■」이 분쇄장치(5)에 투입됨과 아울러 초벌분쇄 그라인더(5A), 정밀분쇄 그라인더(5B), 송풍유닛(60A)의 구동이, 터치되어 있는 기간에 걸쳐 계속된다. 이 시점에서의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는 도213의 표시로서, 「콩B」이 송출, 「밀A」, 「밀B」, 「팬」이 각각 회전의 상태에 있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캐니스터(40B)의 분쇄두는 용기본체(90)에 공급된다.
도214는, 「<3>콩B투입」 아이콘 및 「<a> <5>∼<7>」 아이콘의 선택이 종료했을 때의 표시예다. 이에 따라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는, 도2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갱신되어, 「콩B」의 송출, 「밀A」, 「밀B」, 「팬」의 회전이 정지하고 있는 표시로 변한다.
여기에서 오퍼레이터는, 「상태표시·설정」란상에서, 도2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콩C」의 송출, 「밀A」의 회전, 「밀B」의 회전을 선택하면, 캐니스터(40C)의 로스트 커피콩이 분쇄장치(5)에 공급되어, 그 분쇄두도 용기본체(90)에 공급된다. 「팬」은 정지상태인 채로이므로, 캐니스터(40C)의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에는 채프 등이 잔류한 상태에서 용기본체(90)에 공급되고, 이미 공급되어 있는 캐니스터(40B)의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와 섞이게 된다. 이러한 콩의 혼합이나 준비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태표시·설정」란으로부터의 동작지시도 할 수 있다. 동일한 동작지시는, 「공정·명령」영역의 「<4>콩C 투입」, 「<5>밀A 회전」, 「<6>밀B 회전」의 각 명령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도 가능지만, 「상태표시·설정」란은, 가동기구의 동작을 지시하기 쉽도록 아이콘이 배열 되어 있기 때문에, 숙련자는 이 쪽이 쓰기 쉬울 경우가 있다.
나아가서, 도217의 예에서는, 「<5>밀A 회전」, 「<6>밀B 회전」의 각 명령 아이콘이 선택되어, 도218의 예에서는, 대응하여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가 갱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219에서는 「NEXT」 아이콘이 선택되어, 다음의 「뜸들이기」 공정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의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는 도220에 나타내는 표시가 된다.
「뜸들이기」 공정을 매뉴얼 조작으로 할 경우를 예시한다. 도221, 도222는,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1>용기준비」 아이콘을 선택하지 않고, 「<2>급탕」 아이콘을 선택하였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미 설명한 대로, 이 경우는, 「<1>용기준비」에 대응하는 제어를 실행하고 나서 「<2>급탕」에 대응하는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천이는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제어에 대응하여, 도2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용기준비」에 대응하는 표시가 된 후에, 도224에 나타내는 「<2>급탕」에 대응하는 표시가 된다.
도225∼도230은, 추출용기(9)를 흔드는 동작을 오퍼레이터가 행하게 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25의 단계에서는 「<a>자세→하」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로부터 도립자세로 자세가 변화되는 제어가 실행되어,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는 도226, 도227로 천이한다. 도227에서는, 「자세」에 대해서, 「상」, 「하」의 쌍방이 흑백반전표시가 되어 있지 않지만, 이것은,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로부터 도립자세의 사이의 도중의 자세에 있다는 것을 뜻하고 있다.
도228은, 추출용기(9)가 도립자세에 이르기 전에, 「<b>자세→상」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추출용기(9)는 도중의 자세로부터 정립자세로 되돌려지게 된다. 도229의 단계에서는 다시 「<a>자세→하」 아이콘이 선택되고, 또한 도230의 단계에서는 다시 「<b>자세→상」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추출용기(9)는 예를 들면 30∼60도의 흔들림 폭으로 반복하여 흔들려져서, 「뜸들이기」 공정에 오퍼레이터의 독자적인 변화를 가할 수 있다.
도231은, 「공정·명령」영역에 있어서 「NEXT」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232는 이 때의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뜸들이기」 공정이 종료하고, 다음의 「추출」공정으로 진행하게 된다.
「추출」공정을 매뉴얼 조작으로 할 경우를 예시한다. 도233의 단계에서 「<1>용기준비」 아이콘이 선택되어, 그 후에 도23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급탕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다. 이들의 제어가 순차적으로 실행되어, 「상태표시·설정」란은 도235, 도234로 천이하여 급탕이 실행되고 있는 것이 표시된다.
도237의 단계에서는 「<3>가압」 아이콘이 선택되어, 추출용기(9)내의 가압제어가 실행된다. 「상태표시·설정」란은 도238, 도239로 천이하여 가압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것이 표시된다.
도240∼도244는, 추출용기(9)를 흔드는 동작을 오퍼레이터가 행하게 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40의 단계에서는 「<a>자세→하」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로부터 도립자세로 자세가 변화되는 제어가 실행되어,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는 도241, 도242로 천이한다. 도242에서는, 「자세」에 대해서, 「상」, 「하」의 쌍방이 흑백반전표시가 되지 않고 있지만, 이것은,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로부터 도립자세 사이의 도중의 자세에 있는 것을 뜻하고 있다.
도243은, 추출용기(9)가 도립자세에 이르기 전에, 「<a>자세→상」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추출용기(9)는 도중의 자세로부터 정립자세로 되돌려져,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는 도244로 천이한다. 이렇게 하여 추출용기(9)에 흔드는 동작이 이루어지고, 침지식의 커피액의 추출에 오퍼레이터 독자적인 변화가 주어진다.
도245의 단계에서는 「<4>감압」 아이콘이 선택되어, 추출용기(9)내의 감압제어가 실행된다. 「상태표시·설정」란은 도246, 도247로 천이하여 감압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것이 표시된다. 추출용기(9)내의 온수가 비등(沸騰)한다.
도248의 단계에서는 「<5>자세→하」 아이콘이 선택되어,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로부터 도립자세에 회전된다. 「상태표시·설정」란은 도249의 표시로 천이하여 추출용기(9)가 도립자세로 변화된 것이 표시된다.
커피음료를 추출용기(9)로부터 송출하는 처리로 이행한다. 도250의 단계에서는 「<3>가압」 아이콘이 선택되어, 추출용기(9)내의 가압제어가 실행된다. 이것은 커피음료의 송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압제어다. 「상태표시·설정」란은 도251의 표시로 천이하여 추출용기(9)내가 가압되어 있는 것이 표시된다. 도252의 단계에서는 「<6>송출」 아이콘이 선택되어, 추출용기(9)내의 커피음료가 외부로 송출되는 제어가 실행되고, 대응하여 「상태표시·설정」란은 도253의 표시로 천이한다.
도254는, 「공정·명령」영역에 있어서 「NEXT」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추출」공정이 종료하고, 다음의 「린스」공정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255은 「린스」공정이 실행되는 화면을 나타내고, 도256은 「AUTO」 아이콘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1공정자동화처리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추출 프로필에 따라서 「린스」공정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도257∼도263은 그 각단계의 「공정·명령」란 및 「상태표시·설정」란의 표시예를 시계열순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264는, 「공정·명령」영역에 있어서 「NEXT」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피음료의 제조의 일련의 공정이 종료한다. 이렇게 하면 도26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번의 제어내용을 「메뉴」로서 등록할지의 문의화면이 나타난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YES」가 선택되어, 「로그」에 기록된 일련의 제어명령의 정보가 새로운 메뉴로서 등록된다. 도266은, 등록내용(메뉴의 ID와, 대응하는 추출 프로필의 ID)이 표시된다.
도265의 문의화면에서 「No」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도26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뉴」로서가 아니라, 추출 프로필 만을 등록할 것인가 아닌가의 문의화면이 나타난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YES」가 선택되어, 「로그」에 기록된 일련의 제어명령의 정보가 새로운 추출 프로필로서 등록된다. 도268은, 등록내용(추출 프로필의 ID)이 표시된 것이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한 각 실시형태는 서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오로지 커피음료를 대상으로 하였지만, 일본차, 홍차 등의 차, 수프 등의 각종 음료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추출대상으로서, 커피콩, 커피의 생두, 커피콩의 분쇄두, 로스트 커피콩,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 볶지 않은 커피콩, 볶지 않은 커피콩의 분쇄두 등 분말의 커피콩, 인스턴트의 커피, 포드(pod)에 들어 간 커피 등을 예시하고, 음료로서 커피음료 등을 예시하고, 음료액으로서 커피액을 예시해 왔지만, 이들만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대상으로서, 일본차, 홍차, 오룡차(烏龍茶) 등의 차잎, 분쇄한 차잎, 야채, 분쇄된 야채, 과일, 분쇄한 과일, 곡식, 분쇄한 곡식,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를 분쇄한 것,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를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를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가다랭이 등의 어류, 가다랭이 등의 어류를 분쇄한 것, 가다랭이 등의 생선을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 가다랭이 등의 생선을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다시마 등의 해초류, 다시마 등의 해초류를 분쇄한 것, 다시마 등의 해초류를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 다시마 등의 해초류를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소, 돼지, 새 등의 살을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 당해 살 등을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소의 뼈, 돼지의 뼈, 새의 뼈 등의 살을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 당해 뼈 등을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등의 추출재료이면 좋고, 음료로서, 일본차, 홍차, 오룡차, 야채쥬스, 과일쥬스, 국물요리, 맛국물(出汁), 수프 등 음료이면 좋고, 음료액으로서, 일본차의 엑기스, 홍차의 엑기스, 오룡차의 엑기스, 야채의 엑기스, 과일의 엑기스, 버섯의 엑기스, 생선 등의 엑기스, 살의 엑기스, 뼈의 엑기스 등의 엑기스류이면 좋다. 또, 실시예 중에서 물, 수돗물, 정수, 온수, 세정수라고 기재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물을 온수로 치환하거나, 온수를 물로 치환하여도 좋은 등 어느 하나의 것을 다른 것으로 치환하여도 좋고, 모두 액체, 수증기, 고온수, 냉각수, 냉수 등으로 치환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추출대상(예를 들면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과 온수를 추출용기(9)에 넣는다 라고 하는 기재라면, 추출대상(예를 들면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과 냉수(단지 물이라도 좋다)를 추출용기(9)에 넣는다 라고 하는 기재로 치환하여도 좋고, 이 경우이면 콜드브루(cold brew, 더치커피(Dutch coffee), 탕수가 아닌 물로 우려낸 커피) 등의 추출방법이나 음료제조장치로서 파악하여도 좋다.
<실시형태의 정리>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장치 또는 방법을 적어도 개시한다.
A1.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분리장치(예를 들어 6)로서,
상기 분쇄두가 통과하는 분리실(예를 들어 SC)을 형성하는 형성유닛(예를 들어 6B)과,
상기 분쇄두의 통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분리실과 연통하며 이 분리실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유닛(예를 들어 6A)을 구비하고,
상기 형성유닛은,
상기 분리실과 연통한, 상기 분쇄두의 투입구(예를 들어 65a, 65a')와,
상기 분리실과 연통한, 상기 분쇄두의 배출구(예를 들어 66)를 가지며,
상기 흡인유닛의 흡인에 의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분리실로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2. 상기 배출구의 개구면적(예를 들어 SC2)은, 상기 투입구의 개구면적(예를 들어 SC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3. 상기 형성유닛은 통상부(예를 들어 65)를 구비하고,
상기 통상부의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는 상기 투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통상부의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는 상기 분리실에 면하고,
상기 배출구의 개구면적은, 상기 타단 개구부의 개구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4. 상기 통상부의 내부공간은, 그 단면적이 상기 일단 개구부 측으로부터 상기 타단 개구부 측을 향하여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예를 들어 도6)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5. 상기 통상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통상부의 상기 흡인유닛 측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는, 반대측 하단의 적어도 일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예를 들어 도 9, EX3)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6. 상기 흡인유닛의 흡인에 의해,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분리실로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7. 상기 통상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단 개구부는, 상기 배출구를 상하방향으로 연장한 영역 내에 들어가는(예를 들어 도 8)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8. 상기 일단 개구부, 상기 타단 개구부 및 상기 배출구는 모두 원형이며, 또한 동일한 중심선(예를 들어 CL) 상에 배치되어 있는(예를 들어 도 8)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9. 상기 형성유닛은,
상기 동일한 중심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흡인유닛과의 연통로를 형성하는 관부(예를 들어 63)와,
상기 관부에 접속되며 상기 분리실을 형성하는 분리실 형성부(예를 들어 64)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실 형성부는, 상기 동일한 중심선을 중심으로 한 원환 형상을 가지고 있는(예를 들어 도 8)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10. 상기 배출구의 주위벽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분리실로 받아들여지는 공기의 흐름을 흩뜨리는 난류촉진부(예를 들어 6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11. 상기 난류촉진부는, 복수의 난류촉진요소(예를 들어 67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12. 상기 복수의 난류촉진요소는, 상기 배출구의 주위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13. 상기 복수의 난류촉진요소는, 복수의 돌기, 복수의 노치 또는 복수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14. 상기 통상부는 상기 분리실 내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통상부의 상기 일단 개구부는 상기 분리실 밖에 위치하며,
상기 통상부의 상기 타단 개구부는 상기 분리실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15. 로스트 커피콩을 거칠게 분쇄하는 제1그라인더(예를 들어 5A)와,
상기 제1그라인더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상기 분리장치와,
상기 분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두를 미세하게 분쇄하는 제2그라인더(예를 들어 5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예를 들어 5).
A16. 상기 분쇄장치와,
상기 분쇄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예를 들어 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예를 들어 1).
B1.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방법으로서,
상기 분쇄두와 액체가 수용된 추출용기 내를 제1기압으로부터 상기 제1기압보다 낮은 제2기압으로 전환하는 감압공정(예를 들어 S15)과,
상기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공정(예를 들어 S17)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압은 소정의 온도의 상기 액체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이고,
상기 제2기압은 상기 제1기압에서 비등하지 않았던 상기 액체가 비등하는 기압이며,
상기 제1기압으로부터 상기 제2기압으로의 전환은, 상기 추출용기 내의 기압을 해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B2. 상기 추출공정에서는, 상기 추출용기로부터 이 추출용기 내의 액체를 배출하면서 투과식에 의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B3. 상기 추출공정에서는, 상기 추출용기 내에서 침지식에 의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B4. 상기 액체란 고온수이고,
상기 소정의 온도란 상기 액체의 상기 제1기압에서의 비점 이상의 온도이며,
상기 제1기압이란 대기압을 초과하는 기압이고,
상기 제2기압이란 대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B5. 상기 추출용기에 공급되는 액체는 가온된 액체이며, 또한 이 액체가 비등하지 않는 제3 기압으로 상기 추출용기에 압송되고,
상기 제3 기압은 상기 제1기압보다 낮고 상기 제2기압보다 높은 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B6. 상기 감압공정 전에, 상기 추출용기에 공급되는 액체에 의하여 상기 분쇄두를 뜸들이는 뜸들이기 공정(예를 들어 S11)을 포함하고,
상기 뜸들이기 공정에서는, 상기 추출용기 내의 기압을 상기 제3 기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B7. 상기 감압공정 전에, 상기 추출용기 내에서 침지식에 의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공정(예를 들어 S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B8.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예를 들어 3)로서,
추출용기(예를 들어 9)와,
상기 추출용기에 액체 및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급 유닛(예를 들어 7)과,
상기 공급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예를 들어 11)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분쇄두와 상기 액체가 수용된 상기 추출용기 내를 제1기압으로부터 상기 제1기압보다 낮은 제2기압으로 전환하는 감압 제어를 실행하며(예를 들어 S15),
상기 제1기압은 소정의 온도의 상기 액체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이고,
상기 제2기압은 상기 제1기압에서 비등하지 않았던 상기 액체가 비등하는 기압이며,
상기 제1기압으로부터 상기 제2기압으로의 전환은, 상기 추출용기 내의 기압을 해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C1.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예를 들어 3)로서,
개구(예를 들어 90a)를 갖는 네크부(예를 들어 90b)와 몸통부(예를 들어 90e)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두와 액체가 수용되는 추출용기(예를 들어 9)와,
상기 네크부의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두의 누출을 규제하는 필터(예를 들어 910)와,
상기 추출용기의 자세를, 상기 네크부가 상측인 제1자세로부터 상기 네크부가 하측인 제2자세로 변화시키는 구동유닛(예를 들어 8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C2. 상기 추출용기는, 상기 필터를 포함한 뚜껑유닛(예를 들어 91)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유닛은,
상기 추출용기에 대해 상기 분쇄두를 투입하는 경우(예를 들어 S2)에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추출용기 내에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를 덮는(예를 들어 S3)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C3. 상기 제1자세에서 상기 분쇄두가 상기 몸통부에 퇴적하고,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분쇄두가 상기 네크부에 퇴적하며,
상기 추출용기는, 상기 제2자세에서는 상기 제1자세보다 상기 분쇄두의 퇴적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C4. 상기 네크부는, 상기 몸통부보다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C5. 상기 추출용기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네크부 사이의 어깨부(예를 들어 90d)를 가지며,
상기 어깨부는 상기 네크부로 향하여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C6. 상기 네크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C7. 상기 제1자세는, 적어도 미리 정한 침지 시간 동안 유지되는(예를 들어 S14)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C8. 상기 제2자세는, 적어도 미리 정한 투과 시간 동안 유지되는(예를 들어 S17)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C9.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방법으로서,
제1자세의 추출용기 내에서, 이 추출용기에 제1태양으로 퇴적된 상기 분쇄두를 액체에 침지하는 침지 공정(예를 들어 S14)과,
상기 추출용기의 자세를 제1자세로부터 제2자세로 반전시켜, 상기 분쇄두를 제2태양으로 퇴적시키는 반전 공정(예를 들어 S16)과,
상기 제2자세의 상기 추출용기로부터 상기 액체를 송출하는 투과 공정(예를 들어 S17)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태양은 상기 제1태양보다 상기 분쇄두의 퇴적두께가 두꺼운 태양이며,
상기 투과 공정에서는, 상기 제2태양으로 퇴적되어 있는 상기 분쇄두를 통과시켜 상기 액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C10. 상기 추출용기는 굵은 부분(예를 들어 90e)과 가는 부분(예를 들어 90b)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세에서는 상기 굵은 부분에 상기 분쇄두가 퇴적하고,
상기 제2자세에서는 상기 가는 부분에 상기 분쇄두가 퇴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D1.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분리장치(예를 들어 6)와,
상기 분리장치에 의하여 상기 불요물이 분리된 상기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예를 들어 3)를 구비하는 음료제조장치(예를 들어 1)로서,
상기 음료제조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예를 들어 10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 상기 분리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제1투과부(예를 들어 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D2.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예를 들어 3)를 구비하는 음료제조장치(예를 들어 1)로서,
상기 음료제조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예를 들어 100)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장치는, 상기 분쇄두와 액체가 수용되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용기(예를 들어 9)와, 커피액을 추출할 때에 이 추출용기를 움직이는 구동유닛(예를 들어 8B)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 상기 추출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제1투과부(예를 들어 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D3.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불요물이 수용되는 회수용기(예를 들어 60B)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용기는, 수용되어 있는 상기 불요물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2투과부(예를 들어 62)를 포함하며,
상기 제1투과부 및 상기 제2투과부를 통해 상기 회수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불요물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D4.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회수용기 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송풍유닛(예를 들어 60A)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회수용기는, 상기 불요물을 이 회수용기의 일부에 모으는 원심분리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D5. 상기 회수용기가 상기 분리장치에 착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D6. 로스트 커피콩을 거칠게 분쇄하는 제1그라인더(예를 들어 5A)와,
로스트 커피콩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제2그라인더(예를 들어 5B)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제1그라인더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두로부터 상기 불요물을 분리하며,
상기 제2그라인더는, 상기 분리장치에 의하여 상기 불요물이 분리된 상기 분쇄두를 미세하게 분쇄하고,
상기 제2그라인더는, 상기 제1투과부를 통해 상기 제2그라인더의 적어도 일부가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D7. 상기 제1투과부는,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되는(예를 들어 도56, 도58)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D8. 상기 제1투과부는, 적어도 상기 음료제조장치의 전방 및 측방으로부터 이 장치의 내부를 시인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예를 들어 도58)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D9. 상기 제1투과부는, 곡면을 포함하는(예를 들어 도58)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D10.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커피액의 추출시에 상기 추출용기의 자세가 변화하고,
상기 제1투과부를 통해 상기 추출용기의 자세 변화를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E1. 로스트 커피콩을 원료로 한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제조장치(예를 들어 1)로서,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한 콩 용기(예를 들어 40)와,
상기 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예를 들어 44)와,
상기 로스트 커피콩을 받아들이는 제1수용부(예를 들어 442)와,
상기 로스트 커피콩을 받아들이는 제2수용부(예를 들어 42c)를 구비하고,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로스트 커피콩을 받아들이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장착부와는 다른 부위에 형성된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E2. 상기 제1수용부에 받아들여진 소정의 양의 로스트 커피콩을 하류측으로 자동으로 송출하는 송출 유닛(예를 들어 41)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용부에 받아들여진 로스트 커피콩은, 상기 송출 유닛에 의하여 자동 송출되지 않고 음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E3.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어 5A)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에서 받아들여진 로스트 커피콩은, 상기 그라인더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E4. 상기 제1수용부로부터 상기 그라인더까지의 로스트 커피콩의 공급경로(예를 들어 RT1)보다,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상기 그라인더까지의 로스트 커피콩의 공급경로(예를 들어 RT2)가 경로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E5. 상기 제1수용부에 받아들여진 로스트 커피콩이 통과하는 제1공급경로(예를 들어 RT1)와,
상기 제2수용부에 받아들여진 로스트 커피콩이 통과하는 제2공급경로(예를 들어 RT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공급경로는, 상기 제1공급경로의 도중에 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E6. 상기 송출 유닛은, 스크류 컨베이어이며, 스크류축(예를 들어 47)의 회전량에 따라 소정의 양의 상기 로스트 커피콩의 송출을 행하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E7. 상기 개구부(예를 들어 42c)를 통해 상기 송출 유닛을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E8. 상기 콩 용기는, 상기 제1수용부에 대한 로스트 커피콩의 출구(예를 들어 405a)와, 이 출구를 개폐하는 덮개 기구(예를 들어 408)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덮개 기구를 조작하여, 상기 장착부에 대한 상기 콩 용기의 장착 후에 상기 출구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자동 개방하는 구동기구(예를 들어 41a, 444, 445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E9.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덮개 기구를 조작하여, 상기 출구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자동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F1.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예를 들어 3)로서,
상기 분쇄두와 액체가 수용되며 상기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되는 용기(예를 들어 90)와,
상기 용기를, 이 용기에 상기 분쇄두를 공급하는 분쇄두 공급 위치(예를 들어 도 9의 점선의 콩투입위치)와, 이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위치(예를 들어 도 9의 실선의 추출위치)로 이동하는 구동유닛(예를 들어 8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2. 상기 추출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예를 들어 10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이동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예를 들어 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3.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용기를 상기 분쇄두 공급 위치와 상기 액체 공급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예를 들어 도 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4.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용기를 수평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는(예를 들어 도 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5.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예를 들어 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6.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홀딩부재(예를 들어 820a)와,
상기 홀딩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재(예를 들어 820b)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용기의 이동방향을 상기 용기의 정면-배면 방향으로 한 경우에, 상기 용기의 좌우의 각 측부 및 바닥부에 걸쳐 연장 설치되며(예를 들어 도29, 도30),
상기 축부재는, 상기 용기의 상기 각 측부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축부재는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7. 상기 분쇄두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상기 분쇄두가 공급된 후,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8.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예열용 액체가 공급된 후, 상기 분쇄두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상기 분쇄두가 공급되고, 그 후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9. 상기 용기의 이동방향을 상기 용기의 정면-배면 방향으로 한 경우에, 상기 투과부를 통해 상기 용기의 정면이 시인 가능하고, 또한 상기 액체 공급 위치는 상기 분쇄두 공급 위치보다 안쪽 위치인(예를 들어 도 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10.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개구(예를 들어 90a)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뚜껑유닛(예를 들어 91)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유닛은, 상기 용기 내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구멍(예를 들어 911a)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개구에 상기 뚜껑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용기 내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11.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뚜껑유닛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상기 분쇄두 공급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내에 상기 분쇄두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F12.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뚜껑유닛이 상측에 위치하는 제1자세와, 하측에 위치하는 제2자세로 상기 용기 및 상기 뚜껑유닛을 반전하는 기구와,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마개부재(예를 들어 9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세에서 상기 용기 내에 액체가 공급되며,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구멍을 개방하고, 이 구멍을 통해 커피음료가 상기 용기로부터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G1.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예를 들어 3)로서,
상기 분쇄두와 액체가 수용되며 상기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되는 추출용기(예를 들어 9)와,
상기 추출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예를 들어 7)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용기는,
상기 추출용기 내의 커피음료가 송출되는 제1구멍(예를 들어 911a)과,
상기 추출용기 내의 청소에 이용한 액체가 송출되는 제2구멍(예를 들어 90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G2. 상기 추출용기의 자세를 제1자세와 제2자세로 반전시키는 구동유닛(예를 들어 8B)을 구비하고,
상기 제1구멍은 상기 제1자세에서 상기 추출용기의 하단부에,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추출용기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구멍은 상기 제1자세에서 상기 추출용기의 상단부에,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추출용기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G3. 상기 추출용기가 상기 제1자세의 상태에서 상기 추출용기 내의 커피음료가 상기 제1구멍을 통해 송출된 후, 상기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추출용기가 상기 제2자세로 변화되고, 상기 제1구멍을 통해 상기 공급 유닛에 의하여 청소용 액체가 상기 추출용기 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G4. 상기 제1구멍으로부터 상기 추출용기 내의 상기 분쇄두가 누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필터(예를 들어 9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G5. 상기 필터는 금속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G6. 상기 금속필터는, 상기 제1자세에서 상기 추출용기의 상기 하단부 측에, 상기 제2자세에서 상기 추출용기의 상기 상단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G7. 상기 추출용기는, 상기 제1구멍을 개폐하는 제1마개부재(예를 들어 913)와, 상기 제2구멍을 개폐하는 제2마개부재(예를 들어 9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G8. 상기 추출용기는, 그 내부를 시인 가능한 투과부(예를 들어 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G9. 상기 제2구멍이 상기 제1구멍보다 크고,
상기 제1구멍으로부터 상기 청소용 액체가 상기 추출용기 내에 공급될 때에, 상기 제1구멍으로부터 공기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H1. 로스트 커피콩을 원료로 한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제조장치(예를 들어 1)로서,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한 콩 용기(예를 들어 40)와,
상기 콩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예를 들어 44)와,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로스트 커피콩을 반송 가능한 반송기구(예를 들어 41)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기구는, 상기 콩 용기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상기 장착부 측에 남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H2. 상기 콩 용기는,
상기 로스트 커피콩의 출입이 가능한 제1입구(예를 들어 통부(401)의 단부)와,
상기 로스트 커피콩의 출입이 가능한 제2입구(예를 들어 405a)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입구는,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음료제조장치 내로 상기 로스트 커피콩이 이동할 때에 통과하지 않는 입구이며,
상기 제2입구는,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음료제조장치 내로 상기 로스트 커피콩이 이동할 때에 통과하는 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H3. 상기 콩 용기는, 상기 제2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예를 들어 4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H4. 상기 콩 용기는,
통부(예를 들어 401)와,
상기 통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입구를 형성하는 형성 부재(예를 들어 405)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통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형성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H5.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개폐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제2입구를 개방 가능한 구동기구(예를 들어 41a, 444, 445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H6.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개폐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제2입구를 폐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H7.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제2입구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콩 용기의 분리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예를 들어 408c)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H8. 상기 반송기구는, 수용부(예를 들어 442)에 받아들여진 상기 로스트 커피콩을 반송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로스트 커피콩을 받아들이며,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입구를 일부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기구를 구동하고(예를 들어 도44), 그 후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입구를 전부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H9. 상기 반송기구는, 수용부(예를 들어 442)에 받아들여진 상기 로스트 커피콩을 반송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로스트 커피콩을 받아들이며,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셔터(예를 들어 44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H10. 상기 콩 용기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2입구를 개방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예를 들어 406a, 408d, 406a', 408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I1.로스트 커피콩을 원료로 하여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음료제조장치(예를 들면 1)로서,
상기 음료제조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예를 들면 100)과,
상기 음료제조장치의 각 제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예를 들면 11)과,
조작자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유닛(예를 들면 12)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예를 들면 10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자동모드(예를 들면 메뉴선택, 미각차트선택) 또는 매뉴얼 모드(예를 들면 전문가 모드)로 상기 각 제조동작을 제어 가능하고,
상기 자동모드에서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상기 각 제조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고,
상기 매뉴얼 모드에서는, 상기 조작유닛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상기 각 제조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I2.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분리장치(예를 들면 6)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불요물을 흡인하는 흡인유닛(예를 들면 6A)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조동작은, 상기 흡인유닛에 의한 상기 불요물의 흡인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I3.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와 액체가 수용되고, 상기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되는 용기(예를 들면 90)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 제조동작은, 상기 용기의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I4.상기 용기의 동작은, 적어도 상기 용기의 자세의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I5.상기 용기의 동작은, 적어도 상기 용기의 평행이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I6.상기 각 제조동작은, 상기 용기의 내부압력의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I7.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매뉴얼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제조동작의 제어내용을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I8.상기 제어유닛은, 저장한 상기 제어내용을 상기 자동모드에 있어서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J1.복수 종류의 음료가 제조 가능한 음료제조장치로서,
유저가 지시한 종류의 음료에 관한 복수 종류의 특성의 레벨(예를 들면 미각차트)을 표시하는 표시유닛(예를 들면 12)과,
유저가 선택한 종류의 음료의 제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예를 들면 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J2.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표시유닛에 표시된 상기 레벨에 관한 유저의 변경지시에 따라서(예를 들면 도98), 당해 변경지시에 대응하는 레벨을 구비하는 상기 음료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예를 들면 도100, 도101)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J3.상기 복수 종류의 음료가, 제1음료와 제2음료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유닛에 의하여 표시되는, 상기 제1음료의 상기 복수 종류의 특성과, 상기 제2음료의 상기 복수 종류의 특성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J4.상기 표시유닛은, 2종류 이상의 음료의 상기 복수 종류의 특성의 레벨이 동시에 표시 가능한(예를 들면 도10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J5.상기 복수 종류의 음료가, 제1음료와 제2음료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유닛에 의하여 표시되는, 상기 제1음료의 상기 복수 종류의 특성과, 상기 제2음료의 상기 복수 종류의 특성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J6.상기 표시유닛은, 유저가 지시한 종류의 음료에 관한, 상기 복수 종류의 특성의 레벨과는 별도의 정보(예를 들면 코멘트)가 표시 가능하고,
상기 제1음료와 상기 제2음료는, 상기 별도의 정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J7.상기 복수 종류의 특성은, 상기 제조동작에 관한 특성(예를 들면 팬 강도, 청결컵, 흔든 횟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J8.상기 음료는, 로스트 커피콩을 원료로 하는 커피음료로서,
상기 음료제조장치는,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와 액체가 수용되고, 상기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되는 추출용기(예를 들면 9)를 구비하고,
상기 제조동작에 관한 특성은, 상기 추출용기의 동작의 특성(예를 들면 흔든 횟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J9.상기 음료는, 로스트 커피콩을 원료로 하는 커피음료로서,
상기 음료제조장치는,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분리장치(예를 들면 6)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불요물을 흡인하는 흡인유닛(예를 들면 6A)을 포함하고,
상기 제조동작에 관한 특성은, 상기 흡인유닛의 동작의 특성(예를 들면 팬 강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J10.상기 음료는, 로스트 커피콩을 원료로 하는 커피음료이며,
상기 복수 종류의 특성은, 상기 커피음료의 맛과 향기에 관한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하여,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Claims (8)

  1. 추출대상(抽出對象)으로부터 음료액(飮料液)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와,
    상기 추출장치를 덮는 커버체(cover體)와,
    한잔의 음료액의 제조에 필요한 일련의 제조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음료제조장치(飮料製造裝置)로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추출장치에 의하여 음료액이 추출되는 모습을 외부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유닛은, 유저에 의한 스타트 조작에 따라서 자동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로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자동모드는,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의 각 제조동작을 순차적으로 자동실행할 수 있는 모드이고,
    상기 매뉴얼 모드는,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제조동작의 실행중에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제조동작을 종료하고 다음의 제조동작을 시작할 수 있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매뉴얼 모드에 있어서 실행된 일련의 제조동작의 제어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저장 상기 일련의 제어동작의 제어내용을 상기 자동모드에 있어서 재현(再現)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장치가 설치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고,
    상기 추출장치는, 상기 추출대상과 액체가 수용되는 추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부에 의하여, 추출대상으로부터 음료액이 상기 추출용기내에서 추출되는 모습을 외부로부터 시인(視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모드는,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제조동작과는 다른 제조동작의 실행중에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다른 제조동작을 종료하고 다음의 제조동작을 시작할 수 있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6. 추출대상으로부터 음료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와, 상기 추출장치를 덮는 커버체를 구비한 음료제어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추출장치에 의하여 음료액이 추출되는 모습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방법은,
    유저에 의한 스타트 조작에 따라서 자동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로 한잔의 음료액의 제조에 필요한 일련의 제조동작을 제어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모드는,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의 각 제조동작을 순차적으로 자동실행할 수 있는 모드이고,
    상기 매뉴얼 모드는, 상기 일련의 제조동작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제조동작의 실행중에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제조동작을 종료하고 다음의 제조동작을 시작할 수 있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207006281A 2017-08-07 2018-08-01 음료제조장치 및 제어방법 KR102501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2703 2017-08-07
JP2017152703A JP6467614B1 (ja) 2017-08-07 2017-08-07 飲料製造装置及び制御方法
PCT/JP2018/028916 WO2019031362A1 (ja) 2017-08-07 2018-08-01 飲料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499A KR20200038499A (ko) 2020-04-13
KR102501401B1 true KR102501401B1 (ko) 2023-02-17

Family

ID=6527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281A KR102501401B1 (ko) 2017-08-07 2018-08-01 음료제조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622646B2 (ko)
EP (1) EP3666132B1 (ko)
JP (1) JP6467614B1 (ko)
KR (1) KR102501401B1 (ko)
CN (1) CN110996730A (ko)
CA (1) CA3075421A1 (ko)
ES (1) ES2947058T3 (ko)
WO (1) WO2019031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7403B (zh) * 2021-03-11 2024-07-26 株式会社新创新 饮料生成装置和饮料生成方法
IT202100026822A1 (it) * 2021-10-19 2023-04-19 De Longhi Appliances Srl Macchina e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US11903517B2 (en) * 2021-11-16 2024-02-20 Daito Giken, Inc. Coffee machine
FR3137554B1 (fr) * 2022-07-08 2024-05-24 Seb Sa Procede de nettoyage optimise d’une chambre d’infusion d’une machine a caf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052A (ja) * 2003-05-26 2004-12-16 Sanden Corp カップ飲料自動販売機
JP2011167397A (ja) * 2010-02-19 2011-09-01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0218A (en) * 1980-12-29 1982-07-09 Tokyo Shibaura Electric Co Coffee maker
EP0055610B1 (en) 1980-12-27 1985-04-17 Kabushiki Kaisha Toshiba Coffee maker
JPS60109527U (ja) 1983-12-27 1985-07-25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コ−ヒ−沸し器
JPH03104289A (ja) 1989-09-19 1991-05-01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発光素子アレイ
JPH0642314Y2 (ja) * 1990-02-09 1994-11-02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飲料抽出装置
JP2976598B2 (ja) 1991-07-24 1999-11-10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DE4234746A1 (de) * 1992-10-15 1994-04-21 Braun Ag Pumpe für Haushaltsgeräte
JPH10146285A (ja) * 1996-11-18 1998-06-02 Sanyo Sangyo:Kk コーヒーの製造方法及びコーヒーチャフレス装置
JPH10191889A (ja) * 1997-01-17 1998-07-28 Kageatsu Tanaka 破砕コーヒー豆の選別装置
JP3649859B2 (ja) * 1997-06-17 2005-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コーヒー飲料の製造装置
JP3046799B2 (ja) 1998-06-25 2000-05-29 久美 佐藤 焼菓子、パン、および焼菓子の製法、並びにパン生地用組成物
JP4158342B2 (ja) * 2001-01-29 2008-10-01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コーヒー飲料の製造装置
JP4797291B2 (ja) 2001-07-13 2011-10-19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US6752069B1 (en) * 2002-02-04 2004-06-22 Grindmaster Corporation Beverage brewer with pour over feature
US6715406B2 (en) 2002-05-02 2004-04-06 Kwei Tang Chang Coffee maker
JP3972757B2 (ja) 2002-07-15 2007-09-0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の品質判定装置
KR100463341B1 (ko) * 2002-09-18 2004-12-23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06709B1 (ko) 2002-12-20 2007-04-11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과대 크기의 잉크방울을 이용한 잉크젯의 결함 보정
GB2397510A (en) * 2003-01-24 2004-07-28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20100161010A1 (en) * 2003-12-11 2010-06-24 Thomas David A Perceptible Apparatus and Methods for Reactive Effect
GB2413480B (en) * 2004-02-17 2006-08-30 Kraft Foods R & D Inc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JP4397341B2 (ja) * 2005-04-01 2010-01-13 三洋電機株式会社 ミルクフォーマー
JP4425847B2 (ja) * 2005-10-07 2010-03-03 三菱電機株式会社 茶飲料抽出装置
CN101032376A (zh) * 2006-03-10 2007-09-12 宜烽精机股份有限公司 饮品冲泡设定装置、饮品冲泡机及饮品冲泡设定方法
JP4811138B2 (ja) 2006-06-02 2011-11-09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US20080050496A1 (en) * 2006-08-25 2008-02-28 Dorin Boldor Mixing apparatus
JP5544291B2 (ja) * 2007-09-06 2014-07-09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 飲料ディスペンサー及び方法
US9668496B1 (en) * 2008-05-23 2017-06-06 Food Equipment Technoloigies Company, Inc. Method of brewing a beverage with an electric, automatic beverage maker
JP5363038B2 (ja) 2008-06-25 2013-12-11 三菱農機株式会社 ロータリ耕耘装置
US20110168026A1 (en) * 2008-10-03 2011-07-14 Nestec S.A. User friendly interface for a beverage machine
CN101738945A (zh) * 2008-11-21 2010-06-16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饮水机的加热制冷控制方法及系统
EP2279683B1 (de) * 2009-07-31 2012-01-04 René M. Kohli Verfahren zum benutzergesteuerten Herstellen eines insbesondere flüssigen Lebensmittel-Produkts
KR101099548B1 (ko) 2009-11-12 2011-12-28 벼리산업 주식회사 쌀 자동판매기
CN102217900B (zh) * 2010-04-19 2013-03-27 刘宗熹 饮料制备装置
WO2012044329A1 (en) 2010-10-01 2012-04-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JP2013066697A (ja) 2011-09-05 2013-04-18 Toru Imai 破砕コーヒー豆の渋皮(チャフ)及び微粉除去装置
CN102411320B (zh) 2011-11-29 2013-04-24 福建省武夷山市永生茶业有限公司 茶叶做青机自动控制系统
US20180000108A1 (en) * 2012-09-15 2018-01-04 Seva Coffe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ffee preparation
DE102013200686A1 (de) * 2013-01-17 2014-07-17 Franke Kaffeemaschin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etränkezubereitungsautomaten und Getränkezubereitungsautomat zur Durchführung eines solchen Verfahrens
KR20140107850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커피 로스터 제어방법
CN103207581B (zh) * 2013-04-18 2016-06-0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电热烹饪器具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ITPN20130035A1 (it) * 2013-06-26 2014-12-27 Osmap Asia Pacific Pte Ltd Macchina perfezionata per la preparazione di una o una pluralita' di bevande
US9930903B2 (en) * 2013-08-27 2018-04-03 Anthony V. Feola Frozen confection machine
CN104161462B (zh) * 2014-08-06 2017-02-01 允慧科技(上海)有限公司 用于饮品制作机的防烫伤装置及饮品冲泡和保温方法
CN106998945B (zh) 2014-12-16 2020-04-28 雀巢产品有限公司 饮料分配器
US9962030B2 (en) * 2015-01-12 2018-05-08 Voga Coffee, Inc. Coffee brewing system with features for rapid and/or multiple extraction processes
WO2016178734A1 (en) * 2015-05-07 2016-11-10 Juicero, Inc. Juicing system with supplemental liquid to form a juice beverage
US20170367526A1 (en) * 2015-06-04 2017-12-28 Voga Coffee, Inc. Coffee maker with features for rapid and/or multiple extraction process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206044374U (zh) * 2016-06-14 2017-03-29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机
DE102017116485A1 (de) * 2016-08-03 2018-02-08 Melitta Professional Coffee Solutions GmbH & Co. KG Verfahren zur Bedienung eines Getränkeautomaten aus einer Vielzahl von Getränkeautomaten
EP3536157B8 (en) * 2017-08-07 2022-05-18 Daito Giken, Inc. Separation device, pulverization device, an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JP6480525B2 (ja) 2017-08-07 2019-03-13 株式会社Tree Field 飲料製造装置
JP6467615B1 (ja) * 2017-08-07 2019-02-13 株式会社Tree Field 飲料製造装置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052A (ja) * 2003-05-26 2004-12-16 Sanden Corp カップ飲料自動販売機
JP2011167397A (ja) * 2010-02-19 2011-09-01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47058T3 (es) 2023-08-01
CN110996730A (zh) 2020-04-10
US20200163485A1 (en) 2020-05-28
CA3075421A1 (en) 2019-02-14
JP6467614B1 (ja) 2019-02-13
WO2019031362A1 (ja) 2019-02-14
JP2019030430A (ja) 2019-02-28
EP3666132A4 (en) 2020-06-24
EP3666132A1 (en) 2020-06-17
EP3666132C0 (en) 2023-06-07
US11622646B2 (en) 2023-04-11
EP3666132B1 (en) 2023-06-07
KR20200038499A (ko) 202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800B1 (ko) 음료제조장치 및 제어방법
JP6439168B1 (ja) 分離装置、粉砕装置及び飲料製造装置並びに分離方法
JP6439088B1 (ja) 抽出方法及び抽出装置
KR102501401B1 (ko) 음료제조장치 및 제어방법
JP2019030433A (ja) 粉砕装置及び飲料製造装置
JP6471304B1 (ja) 抽出装置及び抽出方法
KR102501400B1 (ko) 음료제조장치
JP2019030437A (ja) 飲料製造装置
JP6679004B2 (ja) 飲料製造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9030428A (ja) 抽出装置
JP2019030668A (ja) 抽出方法及び抽出装置
JP2019030435A (ja) 送液量調節装置
JP6993695B2 (ja) コーヒー製造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9042552A (ja) 抽出装置及び抽出方法
JP2019030427A (ja) 飲料製造装置
JP7187075B2 (ja) 抽出装置
JP6960664B2 (ja) 飲料製造装置
JP2019030432A (ja) 飲料製造装置
JP2019030429A (ja) 抽出装置
JP2019030434A (ja) 抽出装置
JP2019030717A (ja) 分離装置、粉砕装置及び飲料製造装置並びに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