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976B1 -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976B1
KR102500976B1 KR1020220144157A KR20220144157A KR102500976B1 KR 102500976 B1 KR102500976 B1 KR 102500976B1 KR 1020220144157 A KR1020220144157 A KR 1020220144157A KR 20220144157 A KR20220144157 A KR 20220144157A KR 102500976 B1 KR102500976 B1 KR 10250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agnolia extract
toothpaste
gel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규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이손의료재단
이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이손의료재단, 이창규 filed Critical 의료법인 이손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22014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976B1/ko
Priority to KR1020230019111A priority patent/KR20240062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 상기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매그놀리아 추출물에 녹차 분말, 칡 분말, 천연감미료, 베이킹소다, 버진코코넛 오일 및 페퍼민트 에센션 오일을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 및 상기 첨가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겔화제 수용액을 혼합하는 겔화제수용액혼합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치약은 폐기처분되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이 함유되어 충치예방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미세플라스틱을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불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세정력과 구취제거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ECO-FRIENDLY TOOTHPASTE FOR CARIES PREVENTION USING MAGNOLIA EXTRACT}
본 발명은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이 함유되어 충치예방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미세플라스틱을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불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세정력과 구취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치약을 제공하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치(dental caries; 치아우식증)는 인류가 오래 전부터 고민해온 질환중의 하나로서 설탕이 일상적인 감미료로 이용되게 되면서 충치의 발병율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 질환은 한때 문명의 척도가 되기도 하였으나,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만연되고 있는 문화병의 하나로 선진국은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도 발병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있는 추세다. 충치는 치아의 파괴를 동반한 감염성 질환으로 치구(齒垢; 치아세균막; dental plaque)내 세균, 음식물, 타액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다인성 질환이다. 치구내 세균 중에서도 스트랩토코쿠스 뮤탄스 [Streptococcus mutans(S mutans)]가 주 원인균이며, 치면에 부착, 증식 및 산 생성 과정을 거쳐 치아우식을 유발한다. 즉, 충치균(S mutans)은 치면의 피막에 부착한 후 자신이 생산하는 글루코실트랜스퍼라제(glucosyltransferase(Gtase))에 의하여 음식물 중의 자당(sucrose)으로부터 과당 폴리머(glucose polymer)인 불용성 글루칸(glucan)을 합성한다. 이 불용성 글루칸(glucan)은 거의 대부분이 α-1,3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합성된 글루칸(glucan)은 치면에서 증식하는 세균간의 결합을 증가시키며, 이렇게 치면에 부착한 충치균(S mutans)은 치면에 자리잡고 당질 대사과정에서 젖산(lactic acid) 등 유기산을 생성하여 치아의 에나멜질을 탈회(decalcification)시켜 충치를 유발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유발되는 충치는 양치질을 통해 예방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양치질에는 사용되는 치약은 연마제, 트리클로산, SLS(라우릴황산나트륨) 및 불소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연마제는 미세 플라스틱을 발생시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불소가 첨가된 치약을 과도한 농도로 사용하거나 자주 사용하면 불소의 섭취로 인한 문제점 뿐만 아니라, 치아의 법랑질 약화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법랑질의 약화는 치아의 표면에 충치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314505호(2001.10.30.) 한국특허등록 제10-1194016호(2012.10.17.)
본 발명의 목적은 매그놀리아 추출물이 함유되어 충치예방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미세플라스틱을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불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세정력과 구취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그놀리아 리리프로라 데스르의 잎을 건조한 후에 분쇄하고, 분쇄된 매그놀리아 리리프로라 데스르의 잎 분말 100 중량부를 정제수 500 내지 1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가열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 상기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매그놀리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녹차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칡 분말 2 내지 3 중량부, 천연감미료 1 내지 2 중량부, 베이킹소다 150 내지 200 중량부, 버진코코넛 오일 35 내지 45 중량부 및 페퍼민트 에센션 오일 45 내지 55 중량부를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 및 상기 첨가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겔화제 수용액 200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겔화제수용액혼합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겔화제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다당류 함유 겔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가지형 고분자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혼합단계에서는 상기 매그놀리아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바나나 껍질 분말 30 내지 50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바나나 껍질 분말은 바나나 껍질을 함수율이 15 내지 25%를 나타내도록 -10 내지 35℃의 온도로 건조한 후에 분쇄기에 투입하고 0.01 내지 0.1 밀리미터의 입자크기로 분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천연감미료는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로스, 결정과당, 스테비아,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알루로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다당류 함유 겔화제는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플루란, 폴리사카라이드, 키토산, 알긴산, 아라비아검, 타마린드씨검, 아이리쉬모스, 폴리글루탐산, 히아루론산, 트라가칸트검, 젤란검, 카라야검, 잔탄검, 한천, 덱스트란, 펙틴 및 셀룰로오즈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지형 고분자는 구아검, 콜라겐, 펩티다아제, 트립신 및 펩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은 매그놀리아 추출물이 함유되어 충치예방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미세플라스틱을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불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세정력과 구취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치약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은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S101), 상기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매그놀리아 추출물에 녹차 분말, 칡 분말, 천연감미료, 베이킹소다, 버진코코넛 오일 및 페퍼민트 에센션 오일을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S103) 및 상기 첨가제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겔화제 수용액을 혼합하는 겔화제수용액혼합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S101)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매그놀리아 리리프로라 데스르(Magnolia liliflora Desr.)의 잎을 건조한 후에 분쇄하고, 분쇄된 매그놀리아 리리프로라 데스르의 잎 분말 100 중량부를 정제수 500 내지 1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은 구강 내 치아에서 충치를 유발하는 진균이나 박테리아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충치를 예방하고 잇몸 염증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치석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첨가제혼합단계(S103)는 상기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매그놀리아 추출물에 녹차 분말, 칡 분말, 천연감미료, 베이킹소다, 버진코코넛 오일 및 페퍼민트 에센션 오일을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매그놀리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녹차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칡 분말 2 내지 3 중량부, 천연감미료 1 내지 2 중량부, 베이킹소다 150 내지 200 중량부, 버진코코넛 오일 35 내지 45 중량부 및 페퍼민트 에센션 오일 45 내지 5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차 분말은 10 내지 20 중량부가 함유되며, 카테킨(C15H1406)이 다량함유되어 있는데, 카테킨은 플라보이드 그룹의 Flaven-3 ols에 속하고 암세포 성장에 필요한 효소의 성장을 억제하고, 암세포를 죽게 만드는 효능과 알츠하이머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최근에는 항균, 소염작용 및 특히 충치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졌으며, 나쁜 세균의 군집인 플라그가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여 치주질환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녹차 분말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녹차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되는 치약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칡(Pueraria thunbergiana) 분말은 이소플라본, 푸에라린,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우수한 항염효과를 나타내어 치주염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상기 칡 분말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칡 분말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치약의 기호도를 지나치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천연감미료는 1 내지 2 중량부가 함유되며, 치약에 단맛을 부여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로스, 결정과당, 스테비아,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알루로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일리톨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은 비소화성 당류로 인간의 소화효소로 분해되지 않아 칼로리가 낮으며 혈당지수도 상대적으로 낮고, 건강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대장에서 장내 유익균의 먹이로 활용되어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의 역할을 하며, 장내를 산성화하여 미네랄 성분의 용해도를 증가시켜 칼슘흡수를 촉진하고, 혈청지질 개선, 난충치성, 궤양성 대장염 예방 등의 기능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자일로스는 자작나무나 옥수숫대 등에서 추출하는 성분으로 백설탕에 비해 당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낮은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결정과당은 과일에 다량 분포하는 성분으로 적은 양으로도 우수한 단맛을 나타내면서도 낮은 당지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스테비아는 잎에서 추출한 글리코시드로 단맛을 낸 것으로, 백설탕의 약 300배에 달하는 단맛을 낼 수 있으며, 칼로리가 거의 없어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능을 나타낸다.
상기 자일리톨은 자작나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우수한 단맛을 나타내면서도 치아건강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데, WHO와 FDA에서 검증된 천연 감미료로 뮤탄스균을 막아주는 동시에 구강내 침분비를 촉진시킨다. 침에는 치아복원에 필수적인 칼슘성분이 녹아있어 침 분비가 원활할수록 충치가 억제되기 때문에, 자일리톨이 함유된 치약은 침의 분비를 촉진하여 충지균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에리스리톨은 옥수수에서 추출한 포도당을 발효하여 제조되는데, 백설탕에 비해 단맛은 덜하지만 당지수가 낮아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나타내며, 상기 알루로스는 무화과나 포도에 존재하는 당으로, 우수한 단맛을 내면서도 체중감량에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베이킹소다(탄화수소나트륨, Sodium Bicarbonate)는 150 내지 200 중량부가 함유되며, 연마제의 역할을 하여 치석이나 플라그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구취 제거 및 치야 미백효과를 나타내는데, 상기 베이킹소다의 함량이 15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베이킹소다의 함량이 2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치주염 개선 등의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버진코코넛 오일과 상기 페퍼민트 에센션 오일은 우수한 항균효과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치약에 고급스러운 향을 부여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첨가제혼합단계(S103)에서는 균질한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매그놀리아추출물에 고상형 성분인 녹차 분말, 칡 분말, 천연감미료, 베이킹소다를 우선 혼합하여 교반한 후에, 액상형 성분인 버진코코넛 오일 및 페퍼민트 에센션 오일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첨가제혼합단계(S103)에서는 상기 매그놀리아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바나나 껍질 분말 30 내지 50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바나나 껍질에는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페놀, 타닌, 사포닌, 미네랄,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인 및 철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치주질환 예방과 구취제거 효과가 더욱 향상된 치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바나나 껍질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치태를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무탄(Streptococcus mutans) 연쇄상구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이때, 상기 바나나 껍질 분말은 함수율이 15 내지 25%를 나타내도록 -10 내지 35℃의 온도로 건조한 후에 분쇄기에 투입하고 0.01 내지 0.1 밀리미터의 입자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바나나껍질에 함유된 유용성분의 파괴를 억제하고 고유의 향이 유지될 수 있도록 40 내지 80%의 습도조건에서 상기의 온도로 자연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바나나 껍질 분말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바나나 껍질 분말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매그놀리아 추출물의 함량이 줄어들어 치약의 충치예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겔화제수용액혼합단계(S105)는 상기 첨가제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겔화제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첨가제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겔화제 수용액 200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겔화제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다당류 함유 겔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가지형 고분자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다당류 함유 겔화제와 가지형 고분자가 함유된 겔화제 수용액이 함유되어 제조되는 치약은 팽윤도(degree of swelling)가 150% 이상인 하이드로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하이드로겔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치약은 연마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자극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세정력이 월등하게 향상된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친수성 고분자(Hydrophilic Polymer)의 사슬이 가교(crosslinking)를 이루어 3차원 망상구조(Treedimensional Network)를 형성한 것으로 물을 함유하면서 물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 재료일 수 있는데, 상기 친수성 고분자들은 친수성이 강한 극성기를 갖는데, 이온성기로는 -COOH, -NH2, -SOH3 등이 있고, 비이온성기로는 -OH, -OR, -CONH2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의 극성기들은 공유결합, 이온결합, 수소결합 및 반데르발스결합 등에 의해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당류 함유 겔화제는 곧은사슬 중합체를 가교로 하여 3차원 그물을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다관능성 화합물로 하이드로겔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당류는 글리코사이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단당류 단위체의 긴 사슬로 구성된 중합체 탄수화물 분자이며, 가수분해시 단당류 또는 올리고당으로 분해되는데, 상기 다당류를 구성하는 단위체는 변형될 수 있고, 다당류 구조에 따라 단위체인 단당류와 별개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당류가 한 종류인 경우 동질다당류(homopolysaccharide) 또는 호모글리칸(homoglycan)으로 호칭될 수 있고, 다당류를 구성하는 단당류가 2가지 이상인 경우는 이질다당류(heteropolysaccharide) 또는 헤테로글리칸(heteroglycan)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다당류는 Cx(H2O)y의 화학식을 가지며 여기서 x는 통상적으로 200 내지 2500의 큰 수일 수 있다. 중합체 골격의 반복되는 단위체가 6다당인 경우, 화학식은 (C6H10O5)n으로 단순화시키고, 일반적으로 n은 40≤n≤300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당류 함유 겔화제는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플루란, 폴리사카라이드, 키토산, 알긴산, 아라비아검, 타마린드씨검, 아이리쉬모스, 폴리글루탐산, 히아루론산, 트라가칸트검, 젤란검, 카라야검, 잔탄검, 한천, 덱스트란, 펙틴 및 셀룰로오즈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당류와 사슬 형상으로 결합하는 가지형 고분자(Branched Polymer)는 상기 다당류와 사슬 형상으로 결합하여 하이드로겔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지형 고분자는 온도의 상승과 함께 고무상이 되어 점탄성을 나타내고 결국 가소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지형 고분자의 온도를 더욱 상승시키면 연화하여 액화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정한 용매에 접하면 이것을 흡수하여 부피가 증가하는 팽윤(膨潤) 현상을 나타내는데, 상기 가지형 고분자는 일정한 용매 중에서 팽윤한 후 용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지형 고분자는 하이드로겔 치약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다당류와 이온 반발력으로 하이드로겔 치약 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지형 고분자는 구아검, 콜라겐, 펩티다아제, 트립신 및 펩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겔화제 수용액의 혼합량이 20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겔화제 수용액의 혼합량이 3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매그놀리아 추출물이나 녹차 분말과 같은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치약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매그놀리아 추출물의 제조
매그놀리아 리리프로라 데스르의 잎을 공기중에서 자연건조한 후에, 분쇄기에 투입하고 평균입자크기가 0.05 밀리미터를 나타내도록 분쇄한 후에, 분쇄된 매그놀리아 리리프로라 데스르의 잎 분말 100 중량부를 정제수 800 중량부에 투입하고 80℃의 온도에서 60분 동안 가열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바나나껍질 분말의 제조
바나나 껍질을 60%의 습도조건에서 15℃의 온도로 건조여 함수율이 20%로 조절한 후에, 함수율이 조절된 바나나 껍질을 분쇄기에 투입하고 입자크기가 0.01 내지 0.1 밀리미터를 나타내도록 분쇄한 후에 살균 오존처리로 살균하여 바나나껍질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겔화제 수용액의 제조
정제수 100g에 카라기난 10g, 구아검 30g 및 글리세린 200g을 혼합하고, 85℃로 가열한 후에, 호모믹서기에 투입하고 3500rpm의 속도로 20분 동안 교반하여 겔화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매그놀리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녹차 분말 15 중량부, 칡 분말 2.5 중량부, 천연감미료(자일리톨) 1.5 중량부, 베이킹소다 180 중량부, 버진코코넛 오일 40 중량부 및 페퍼민트 에센션 오일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예 3를 통해 제조된 겔화제 수용액 2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3를 통해 제조된 겔화제 수용액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3를 통해 제조된 겔화제 수용액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매그놀리아 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바나나 분말 40 중량부, 녹차 분말 15 중량부, 칡 분말 2.5 중량부, 천연감미료(자일리톨) 1.5 중량부, 베이킹소다 180 중량부, 버진코코넛 오일 40 중량부 및 페퍼민트 에센션 오일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예 3를 통해 제조된 겔화제 수용액 2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겔화제 수용액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겔화제 수용액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라울루 프레쉬 자몽 치약.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겔화제 수용액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겔화제 수용액 5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치약의 세정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세정력의 측정은 Stookey 등에 의하여 개발된 세정력 평가법(PCR : Pellicle cleaning ratio) 측정법의 원리를 이용하였다.
인위적으로 착색시킨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시편(이하 HAP시편)을 제조한 후 색차계(Minolta CR-321 Japan)를 사용하여 초기 명도 값을 측정하고 각 실험군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편을 모든 실험군 별로 분배하였다.
실험세치제 30과 인공타액 40ml를 혼합한 각각의 세치제 슬러리 용액에 280g의 하중에서 분당 왕복 90회의 속도로 1시간(약 5,400회) 잇솔질 한 후 잇솔질 전후의 명도값 변화를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1>
Figure 112022116163152-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치약은 비교예 1과 같이 불소성분이 함유된 치약보다 월등한 세정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겔화제 수용액의 함량이 줄어들어 하이드로겔의 제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못한 비교예 2의 치약은 세정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치약의 항균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항균성은 제조된 치약을 BHI(Brain Heart Infusion)에 0.01%~0.9% 까지 농도별로 투입한 후에 구강질환의 요인이 되는 시험 균주(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Streptococcus Mutans; ATCC 27607)를 접종하여 40℃에서 24시 간 배양하면서, 시험균이 자라지 않는 MIC(성장저해최소농도)(㎍/㎖ medium)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2>
Figure 112022116163152-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치약은 항균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과 비교예 3을 통해 제조된 치약은 항균성능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치약의 양치감과 구취제거 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양치감과 구취제거 성능은 피시험자 50명을 대상으로 제조된 치약을 1주일 간 하루 3번 사용하도록 한 후에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5점:매우 우수, 4점:우수,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이다.}
<표 3>
Figure 112022116163152-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치약은 양치감과 구취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치약은 양치감이나 구취제거 효과가 낮았고, 비교예 2의 경우 양치감이 지나치게 저하되었으며, 비교예 3의 경우는 구취제거 효과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은 매그놀리아 추출물이 함유되어 충치예방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미세플라스틱을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불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세정력과 구취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치약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S101 ;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
S103 ; 첨가제혼합단계
S105 ; 겔화제수용액혼합단계

Claims (5)

  1. 매그놀리아 리리프로라 데스르의 잎을 건조한 후에 분쇄하고, 분쇄된 매그놀리아 리리프로라 데스르의 잎 분말 100 중량부를 정제수 500 내지 1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가열하여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
    상기 매그놀리아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매그놀리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바나나 껍질 분말 30 내지 50 중량부, 녹차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칡 분말 2 내지 3 중량부, 천연감미료 1 내지 2 중량부, 베이킹소다 150 내지 200 중량부, 버진코코넛 오일 35 내지 45 중량부 및 페퍼민트 에센션 오일 45 내지 55 중량부를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 및
    상기 첨가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겔화제 수용액 200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겔화제수용액혼합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나나 껍질 분말은 바나나 껍질을 함수율이 15 내지 25%를 나타내도록 -10 내지 35℃의 온도로 건조한 후에 분쇄기에 투입하고 0.01 내지 0.1 밀리미터의 입자크기로 분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겔화제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다당류 함유 겔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가지형 고분자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감미료는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로스, 결정과당, 스테비아,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알루로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함유 겔화제는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플루란, 폴리사카라이드, 키토산, 알긴산, 아라비아검, 타마린드씨검, 아이리쉬모스, 폴리글루탐산, 히아루론산, 트라가칸트검, 젤란검, 카라야검, 잔탄검, 한천, 덱스트란, 펙틴 및 셀룰로오즈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지형 고분자는 구아검, 콜라겐, 펩티다아제, 트립신 및 펩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KR1020220144157A 2022-11-02 2022-11-02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KR10250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157A KR102500976B1 (ko) 2022-11-02 2022-11-02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KR1020230019111A KR20240062881A (ko) 2022-11-02 2023-02-14 매그놀리아 추출물이 포함된 친환경 치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157A KR102500976B1 (ko) 2022-11-02 2022-11-02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111A Division KR20240062881A (ko) 2022-11-02 2023-02-14 매그놀리아 추출물이 포함된 친환경 치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976B1 true KR102500976B1 (ko) 2023-02-16

Family

ID=853261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157A KR102500976B1 (ko) 2022-11-02 2022-11-02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KR1020230019111A KR20240062881A (ko) 2022-11-02 2023-02-14 매그놀리아 추출물이 포함된 친환경 치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111A KR20240062881A (ko) 2022-11-02 2023-02-14 매그놀리아 추출물이 포함된 친환경 치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09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505B1 (ko) 1999-07-10 2001-11-30 정숙자 충치예방용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5193A (ko) * 2003-05-14 2003-07-02 전준모 칡뿌리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가공하여 물엿 등과 혼합하여환처럼 만들어 추잉껌 배이스와 혼합하여 제조된 치아씹으면서 닦는 재료
KR20040054317A (ko) * 2002-12-18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성 연마제를 함유하는 구강위생 조성물
KR20090065903A (ko) * 2007-12-18 2009-06-23 (주)광진상사 항균용 마그놀리아 릴리플로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약제학적 조성물
KR101194016B1 (ko) 2012-03-22 2012-10-24 신동목 구강 통증 개선과 구강항균 및 신경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치약 조성물
JP6608071B2 (ja) * 2015-10-07 2019-11-20 クン チェ,ボン マグノリア花抽出物、その画分、またはそれらから単離された化合物を活性成分として含む、歯周組織の成長を促進するための、および歯周炎を予防および処置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
KR102296156B1 (ko) * 2020-12-21 2021-08-31 (주)제노랩 기능성이 개선된 하이드로겔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505B1 (ko) 1999-07-10 2001-11-30 정숙자 충치예방용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4317A (ko) * 2002-12-18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성 연마제를 함유하는 구강위생 조성물
KR20030055193A (ko) * 2003-05-14 2003-07-02 전준모 칡뿌리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가공하여 물엿 등과 혼합하여환처럼 만들어 추잉껌 배이스와 혼합하여 제조된 치아씹으면서 닦는 재료
KR20090065903A (ko) * 2007-12-18 2009-06-23 (주)광진상사 항균용 마그놀리아 릴리플로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약제학적 조성물
KR101194016B1 (ko) 2012-03-22 2012-10-24 신동목 구강 통증 개선과 구강항균 및 신경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치약 조성물
JP6608071B2 (ja) * 2015-10-07 2019-11-20 クン チェ,ボン マグノリア花抽出物、その画分、またはそれらから単離された化合物を活性成分として含む、歯周組織の成長を促進するための、および歯周炎を予防および処置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
KR102296156B1 (ko) * 2020-12-21 2021-08-31 (주)제노랩 기능성이 개선된 하이드로겔 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881A (ko)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5269B2 (en) Carrageenan products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CN109431857B (zh) 一种含透明质酸的牙膏及其制备方法
WO2006135601A1 (en) Composition for the mineralization of dental hard tissues and the reduction of caries-inducive microflora
CN102970969B (zh) 洁牙组合物
CN111329875A (zh) 用于修复口腔软组织细胞的口腔护理组合物及应用
CN113908109A (zh) 一种蜂胶抗敏牙膏及其制备方法
KR102500976B1 (ko) 매그놀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충치 예방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CN107320357B (zh) 一种含多糖的化妆品
KR102296156B1 (ko) 기능성이 개선된 하이드로겔 치약 조성물
US8097285B2 (en) Use of sericin for improving the feeling in use of denture
CN111374904B (zh) 一种口腔护理组合物
CN112807268B (zh) 一种源于原汁的无粘腻妆食同源芦荟胶及其制备方法
CN113244121B (zh) 一种美白抑菌牙膏
KR20170053073A (ko) 백화고 추출물이 포함된 시린이 방지용 치약
CN113304055A (zh) 具有仿生再矿化修复作用的牙本质脱敏糊剂及其制备工艺
KR20240057634A (ko) 바나나껍질을 이용한 치주질환 개선용 친환경 치약의 제조방법
CN115518004B (zh) 一种辅助改善口腔健康的组合物及其应用
CN113332183B (zh) 脱敏牙膏及其制备方法
KR102588162B1 (ko)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한 구강제제 및 그 제조방법
CN114344194B (zh) 一种含透明质酸或其盐的口腔护理组合物、应用及其产品
JP4920874B2 (ja) 医薬品組成物及び飲食物
CN114796081B (zh) 甘蔗渣/磷酸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708799B (zh) 一种温和型防龋儿童液体牙膏及其制备方法
KR102496590B1 (ko) 가교제의 독성 물질 억제 활성으로 조직 내 염증 방지효과 및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JP2005029496A (ja) 歯質強化組成物、口腔用組成物、飲食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