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257B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257B1
KR102499257B1 KR1020170136272A KR20170136272A KR102499257B1 KR 102499257 B1 KR102499257 B1 KR 102499257B1 KR 1020170136272 A KR1020170136272 A KR 1020170136272A KR 20170136272 A KR20170136272 A KR 20170136272A KR 102499257 B1 KR102499257 B1 KR 10249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voice coil
joined
wea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187A (ko
Inventor
윤의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257B1/ko
Priority to US16/757,612 priority patent/US11228841B2/en
Priority to PCT/KR2018/010076 priority patent/WO2019078481A1/ko
Priority to EP18867907.0A priority patent/EP3681174B1/en
Publication of KR2019004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201Damping aspects of the outer suspension of loudspeaker diaphragms by addition of additional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스피커가 개시된다. 개시된 스피커는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자기 회로 장치; 상기 자기 회로 장치에 의해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 및 상기 보이스 코일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피커{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개선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오디오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진동부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하는 음향기기로서, 그 동작원리에 따라 마그네틱형, 다이나믹형, 콘덴서형, 압전형, 세라믹형 등 다수의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와, 자속의 경로를 제공하는 요크부와, 보이스 코일이 감겨진 보빈으로 구성된 자기 회로 장치와, 프레임과, 보빈의 운동에 따라 진동하는 다이아프램과, 다이아프램의 진동 방향을 조정하는 댐퍼와, 다이아프램의 외측 테두리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엣지로 구성된 진동계를 구비한다.
따라서, 보이스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화된 보이스 코일이 마그네트에서 발생한 자속과 상호 작용하여 전후방으로 운동하고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이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스피커의 진동계는 엣지와 댐퍼 두 가지 부품으로 상하 진폭의 제어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피커의 진동계는 진동계가 상하 진폭(대진폭)으로 진행될 때, 비선형 특성을 갖게 되어 분할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분할 진동 및 비선형 특성에 의해 주파수 특성의 원치 않는 왜율(distortion factor) 증가와 주파수 특성 왜곡(distor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진동판의 선형성을 확보하면서도 왜율과 왜곡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저역 한계주파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는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자기 회로 장치; 상기 자기 회로 장치에 의해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 및 상기 보이스 코일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재봉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외측 둘레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댐퍼의 둘레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부분의 일 측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하나의 조직을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댐퍼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댐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접합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보다 조밀한 수(embroidery)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접합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하중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 보강부는 함몰부 또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제1 콜게이션(corrugation)을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콜게이션과 상이한 크기의 제2 콜게이션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는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자기 회로 장치; 상기 자기 회로 장치에 의해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 및 상기 보이스 코일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에 재봉에 의해 접합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접합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하중 보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댐퍼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중 보강부는 함몰부 또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보다 조밀한 수(embroidery)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하나의 조직을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는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자기 회로 장치; 상기 자기 회로 장치에 의해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 및 상기 보이스 코일의 운동을 가이드하며,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갖는 제2 부분을 갖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접합되는 제1 하중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접합되는 제2 하중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하중 보강부와 상기 제2 하중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스피커는 댐퍼의 일 부분이 다른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갖도록 마련되므로 진동판의 선형성을 확보하면서도 왜율과 왜곡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스피커는 댐퍼의 일 부분이 다른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갖도록 마련되므로 저역 한계주파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댐퍼의 단면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댐퍼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댐퍼의 다양한 조직 결합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1)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자기 회로 장치(20)와, 자기 회로 장치(20)에 의해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진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스피커(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중심에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1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바디(11)는 그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플렌지(12a)와, 제1 플렌지(12a)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플렌지(12b)와, 제2 플렌지(12b)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 플렌지(12c)와, 제3 플렌지(12c)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바디(11)의 하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 플렌지(1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렌지(12b)는 제1 플렌지(12a)보다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3 플렌지(12c)는 제2 플렌지(12b)보다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4 플렌지(12d)는 제3 플렌지(12c)보다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의 외형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넓어지는 깔대기 및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0)은 진동판(3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진동판(31)의 형상보다 크게 형성되어 진동판(31)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프레임(10)을 포함한 다른 구성 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프레임(10)의 수직 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이라 하고, 수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고 한다.
스피커(1)의 프레임(10) 하측에는 자기 회로 장치(20)가 마련되고, 내부 상측에는 진동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10)은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중공의 깔대기 또는 원뿔 형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자기 회로 장치(20)는 스피커(1)에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부분이다. 자기 회로 장치(20)는 마그네트(21)와, 마그네트(21)의 상, 하에 각각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22a), 하부 플레이트(22b), 그리고 마그네트(21)의 중앙에 배치되는 폴피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하부 플레이트(22b)와 폴피스(2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부 플레이트와 폴피스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폴피스(23)는 마그네트(21)에서 발생한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21)는 하나의 N극과, 하나의 S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극을 갖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착자될 수 있다. 이하, 전방이란 스피커에서 음파가 진행하는 방향으로서 도 1의 상측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그 반대 방향으로서 하측을 의미한다.
마그네트(21)는 네오디움, 페라이트 또는 기타 영구 자석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21)는 중공의 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2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마그네트(21)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22a)와 하부 플레이트(22b)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플레이트(22a)는 후술하게 되는 프레임(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4 플렌지(12d)와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진동부(30)는 자기 회로 장치(20)와 연동하여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25)과, 보이스 코일(25)이 감긴 보빈(24)과, 보이스 코일(25)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31)과, 진동판(31)과 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엣지(32)와, 보이스 코일(25)의 운동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고 좌우 방향 운동은 구속하도록 마련되는 댐퍼(100)와, 보빈(24)에 결합되는 더스트 캡(35)을 포함할 수 있다.
더스트 캡(35)은 보빈(24)의 상측 단부에 장착되어 보빈(24) 및 보이스 코일(25) 등 진동부(3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스트 캡(35)은 진동판(31)의 내측 중앙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25)은 전류 인가 시에 자화되면서 마그네트(21)에서 발생한 자속과 상호 작용하여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진동판(31)은 음향에 따라 진동을 달리하여 외부로 소리를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동판(31)은 중앙부 하측으로 오목해지는 깔대기 형상 또는 콘의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진동판(31)은 스피커(1)의 음질, 음색 및 주파수 특성을 결정짓는 핵심 구성 요소로서, 그 재질, 질량 및 구조에 따라 음향 특성을 다르게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스피커(1)에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보빈(24)의 보이스 코일(25)로 전기적 신호가 흐르고, 이에 따라 마그네트(21)에 의한 자기장 속에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25)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보이스 코일(25)의 왕복 운동은 보빈(24)과 접합을 이루는 진동판(31)을 상하로 진동시켜 진동판(31)에 접해있는 공기를 압축 또는 팽창시킴으로써 음파를 발생시키고,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엣지(32)는 진동판(31)과 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엣지(32)는 프레임(10)과 진동판(31) 사이에서 진동판(31)을 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다. 엣지(32)는 그 중심에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엣지(32)는 그 중심이 진동판(31)의 상측 테두리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엣지(32)는 시트 형상의 재료로 성형할 수 있다.
엣지(32)의 일 단부는 프레임(10)의 바디(11)의 제1 플렌지(12a)에 접촉될 수 있다. 엣지(32)의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는 진동판(31)의 외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10)의 제1 플렌지(12a)는 엣지(32)의 일 단부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엣지(32)는 진동판(31)과 프레임(10)에 각각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댐퍼의 단면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댐퍼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댐퍼의 다양한 조직 결합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댐퍼(100)는 제1 부분(101)과, 제1 부분(101)과 상이한 조직을 갖는 제2 부분(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01)은 제2 부분(103)과 재봉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제1 부분(101)은 제2 부분(103)의 내측 둘레에 접합될 수 있다. 제2 부분(103)은 제1 부분(101)의 외측 둘레에 접합될 수 있다.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3)은 댐퍼(1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부분(101)은 제2 부분(103)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도 있다.
제1 부분(101)은 반경 방향을 따라 제1 구간(S1)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부분(103)은 제2 구간(S2)만큼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3)은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3)의 면적은 설계상 필요한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이한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부분(101)은 제1 콜게이션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103)은 제2 콜게이션을 가질 수 있다. 제1 콜게이션은 제2 콜게이션과 상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00)는 제1 부분(101)의 제1 콜게이션의 골 사이의 간격 및 골의 깊이가 제2 부분(103)의 제2 콜게이션의 골 사이의 간격 및 골의 깊이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댐퍼(100)는 제1 부분(101)의 제1 콜게이션의 골 사이의 간격 및 골의 깊이가 제2 부분(103)의 제2 콜게이션의 골 사이의 간격 및 골의 깊이보다 작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부분(101)의 제1 콜게이션의 골 사이의 간격 및 골의 깊이는 제2 부분(103)의 제2 콜게이션의 골 사이의 간격 및 골의 깊이와 같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부분(101)의 내측에는 보이스 코일(25)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공(105)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105)은 보이스 코일(25)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댐퍼(100)는 보이스 코일(25)이 중공에 삽입된 채로 고정됨에 따라 보이스 코일(25)의 상하 방향 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의 운동은 제한할 수 있다.
제2 부분(103)의 제1 부분(101)과 접합되는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는 바디(11)의 제3 플렌지(12c)에 고정되는 고정부(109)가 형성될 수 있다. 댐퍼(109)는 고정부(109)가 바디(11)에 고정된 상태로 제1 부분(101)의 콜게이션 및 제2 부분(103)의 콜게이션이 요동을 치면서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제1 부분(101)은 제2 부분(103)과 대략 동일한 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부분(101)은 필요에 따라 제2 부분(103)보다 큰 면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제2 부분(103)보다 작은 면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3)이 갖는 조직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평직은 씨실(111)과 날실(112)이 각각 한 올씩 번갈아 상하로 부침하면서 교차하므로, 교차점이 가장 많고 짜임새가 단단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능직은 씨실(111a) 또는 날실(112a)이 두 올이나 그 이상 건너뛰어서 교차되므로, 교차점이 평직에 비해 적고, 짜임새 또한 평직에 비해 덜 단단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자직은 씨실(111b) 또는 날실(112b)의 교차점을 가장 적게 하면서 연속시키지 않고 분산시켜 표면에 씨실(111b) 또는 날실(112b)만 나타나게 한 조직으로서, 교차점이 가장 적으며, 따라서, 짜임새가 가장 약하다.
제1 부분(101)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하나의 조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부분(101)은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기계적 강성을 높이기 위해 평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부분(101)은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기계적 강성을 낮추기 위해 수자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부분(101)은 제2 부분(103)과 조합된 상태로 필요한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2 부분(103)의 조직을 고려하여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하나의 조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분(103)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하나의 조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분(103)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제1 부분(101)과 상이한 조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100)의 설계상 필요한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부분(101)이 평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2 부분(103)은 능직 또는 수자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부분(101)이 능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2 부분(103)은 평직 또는 수자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부분(101)이 수자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2 부분(103)은 평직 또는 능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분(103)은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기계적 강성을 높이기 위해 평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분(103)은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기계적 강성을 낮추기 위해 수자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분(103)은 제1 부분(101)과 조합된 상태로 필요한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부분(101)의 조직을 고려하여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하나의 조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댐퍼(100)는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3)이 접합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부재(107)는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3)이 상이한 조직을 가지고 있으므로, 재봉을 하더라도 견고하게 접합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보강 부재(107)는 재봉에 의해 접합할 때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3)이 더욱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보강 부재(107)는 제1 부분(101) 및/또는 제2 부분(103)보다 조밀한 수(embroidery)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댐퍼(100)는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3)이 접합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하중 보강부(101a, 103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 보강부(101a, 103a)는 제1 부분(10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하중 보강부(101a)와, 제2 부분(103)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하중 보강부(10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중 보강부(101a)는 제1 부분(101)의 제2 부분(103)과 접합되는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중 보강부(103a)는 제2 부분(103)의 제1 부분(101)과 접합되는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1 하중 보강부(101a) 및 제2 하중 보강부(103a)는 설계상 필요한 댐퍼(100)의 하중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 길이만큼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100)는 일 부분이 다른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설계상 필요에 따른 기계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댐퍼(100)는 상술한 구성에 따라 저역 한계주파수도 설계상 필요한 수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200)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댐퍼(200)는 제1 부분(201)과, 댐퍼(200)의 둘레 방향에 따른 제1 부분(201)의 일 측에 접합되는 제2 부분(20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부분(201)과 제2 부분(203)은 댐퍼(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댐퍼(200)는 설계상 필요한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주 방향을 따라 조직이 상이한 부분들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분(201)과 제2 부분(203)은 상이한 조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부분(201)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하나의 조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분(203)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제1 부분(201)의 조직과 상이한 조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는 3개의 제1 부분(201)과 2개의 제2 부분(203)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부분(201) 및 제2 부분(20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설계상 필요에 따른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2 부분(203)이 제1 부분(201)보다 많은 개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제1 부분(201)의 개수와 제2 부분(203)의 개수가 동일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부분(201) 및 제2 부분(203)은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부분(201) 및 제2 부분(203)의 면적은 설계상 필요한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이한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부분(201)의 내측 단부에는 보이스 코일(25)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공(205)이 형성될 수 있다.
댐퍼(200)는 제1 부분(201)과 제2 부분(203)이 접합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2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부재(207)는 재봉에 의해 접합할 때 제1 부분(201)과 제2 부분(203)이 더욱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부분(201)의 외측 단부에는 바디(11)의 제3 플렌지(12c)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209)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203)의 외측 단부에는 바디(11)의 제3 플렌지(12c)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20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300)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댐퍼(300)는 제1 부분(301)과, 제1 부분(301)과 상이한 조직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2 부분(3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01)과 제2 부분(303)은 반경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301)은 반경 방향을 따라 제1 구간(S1)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부분(303)은 제2 구간(S2)만큼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301)의 내측 단부에는 보이스 코일(25)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공(30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303)의 제1 부분(301)과 접합되는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는 바디(11)의 제3 플렌지(12c)에 고정되는 고정부(309)가 형성될 수 있다.
댐퍼(300)는 제1 부분(301)과 제2 부분(303)이 접합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하중 보강부(301a, 303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 보강부(301a, 303a)는 제1 부분(30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하중 보강부(301a)와, 제2 부분(303)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하중 보강부(303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 보강부(301a, 303a)는 설계상 필요한 하중을 확보하기 위해 일 부분이 커팅될 수 있다. 즉, 하중 보강부(301a, 303a)는 함몰부(302) 또는 돌출부(304)를 갖는 요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함몰부(302) 또는 돌출부(304)는 설계상 필요한 하중을 확보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하중 보강부(301a, 303a)가 톱니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중 보강부(301a, 303a)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물결 무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서는 함몰부(302) 및 돌출부(304)가 복수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함몰부(302) 및 돌출부(304)는 하나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300)는 도 4에 도시된 보강 부재(107)가 생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피커
100, 200, 300; 댐퍼
101, 201, 301; 제1 부분
101a, 301a; 제1 하중 보강부
103, 203, 303; 제2 부분
103a, 303a; 제2 하중 보강부
107, 207; 보강 부재
S1; 제1 구간
S2; 제2 구간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고,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자기 회로 장치;
    상기 자기 회로 장치에 의해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엣지; 및
    상기 보이스 코일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접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하나의 조직을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콜게이션(corrugation)을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콜게이션과 상이한 크기의 제2 콜게이션을 갖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접합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보다 조밀한 수(embroidery)를 갖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재봉에 의해 접합되는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외측 둘레에 접합되는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댐퍼의 둘레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부분의 일 측에 접합되는 스피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댐퍼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피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댐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피커.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접합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하중 보강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보강부는 함몰부 또는 돌출부를 갖는 스피커.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스피커.
  13. 삭제
  14.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고,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자기 회로 장치;
    상기 자기 회로 장치에 의해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엣지; 및
    상기 보이스 코일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에 재봉에 의해 접합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접합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하중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하나의 조직을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평직, 능직 및 수자직 중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콜게이션(corrugation)을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콜게이션과 상이한 크기의 제2 콜게이션을 갖는 스피커.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댐퍼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피커.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보강부는 함몰부 또는 돌출부를 갖는 스피커.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보다 조밀한 수(embroidery)를 갖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19. 삭제
  20.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자기 회로 장치;
    상기 자기 회로 장치에 의해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엣지; 및
    상기 보이스 코일의 운동을 가이드하며,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조직을 갖는 제2 부분을 갖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접합되는 제1 하중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접합되는 제2 하중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하중 보강부와 상기 제2 하중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스피커.
KR1020170136272A 2017-10-20 2017-10-20 스피커 KR10249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272A KR102499257B1 (ko) 2017-10-20 2017-10-20 스피커
US16/757,612 US11228841B2 (en) 2017-10-20 2018-08-30 Speaker
PCT/KR2018/010076 WO2019078481A1 (ko) 2017-10-20 2018-08-30 스피커
EP18867907.0A EP3681174B1 (en) 2017-10-20 2018-08-30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272A KR102499257B1 (ko) 2017-10-20 2017-10-20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187A KR20190044187A (ko) 2019-04-30
KR102499257B1 true KR102499257B1 (ko) 2023-02-14

Family

ID=6617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272A KR102499257B1 (ko) 2017-10-20 2017-10-20 스피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28841B2 (ko)
EP (1) EP3681174B1 (ko)
KR (1) KR102499257B1 (ko)
WO (1) WO2019078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937B1 (ko) * 2020-10-19 2022-01-11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이중 댐퍼형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686B2 (ja) * 1994-10-07 2001-09-10 フオスター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用ダンパー
US7382892B2 (en) * 2005-05-05 2008-06-03 Yen-Chen Chan Evenly elastically deformable damper for speaker
US8041068B2 (en) * 2006-05-10 2011-10-18 Panasonic Corporation Loudspeaker
KR100873737B1 (ko) 2007-01-05 2008-12-12 주식회사 한국토프톤 장방형 슬림 스피커의 댐퍼
KR100930537B1 (ko) 2009-09-03 2009-12-09 주식회사 블루콤 고출력 진동판 결합 구조를 갖춘 마이크로 스피커
KR101116307B1 (ko) 2010-03-25 2012-03-14 주식회사 비에스이 슬림형 스피커
KR101322853B1 (ko) 2012-09-11 2013-10-29 비에취어쿠스텔 주식회사 저음보강 스피커
US9277303B2 (en) * 2014-01-22 2016-03-01 Bose Corporation Treatment for loudspeaker suspension element fabric
US9743194B1 (en) 2016-02-08 2017-08-22 Sonos, Inc. Woven transduc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1174A4 (en) 2020-11-04
EP3681174B1 (en) 2023-08-23
EP3681174A1 (en) 2020-07-15
US20200329314A1 (en) 2020-10-15
KR20190044187A (ko) 2019-04-30
WO2019078481A1 (ko) 2019-04-25
US11228841B2 (en)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867B1 (ko) 스피커
US7961553B2 (en)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JP5400246B1 (ja) スピーカおよびそのエッジ構造
EP2869595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WO2010050068A1 (ja) スピーカ装置及び自動車
JP5025824B2 (ja) 入れ子状の複合スピーカー駆動ユニット
JP7091142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
US10142736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2499257B1 (ko) 스피커
CN111357301B (zh) 振动板、以及具有该振动板的电声换能器
KR102361288B1 (ko) 스피커 장치
KR102564872B1 (ko) 위상반전 구조를 갖는 패시브 라디에이터 진동 스피커
JP7126762B2 (ja) 音響用の加振装置および前記加振装置を使用した発音装置
JP2018191289A (ja) 振動板アセンブリ、トランスデューサー及び製造方法
WO2016167126A1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2500980B1 (ko) 익사이터
KR100962585B1 (ko) 다기능 스피커
JP2021158684A (ja) スピーカ装置
JP2016082566A (ja) 電気音響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