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288B1 -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288B1
KR102361288B1 KR1020150034758A KR20150034758A KR102361288B1 KR 102361288 B1 KR102361288 B1 KR 102361288B1 KR 1020150034758 A KR1020150034758 A KR 1020150034758A KR 20150034758 A KR20150034758 A KR 20150034758A KR 102361288 B1 KR102361288 B1 KR 102361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late
bumper
pole piece
speak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755A (ko
Inventor
강승원
윤의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288B1/ko
Priority to EP16159728.1A priority patent/EP3068144A1/en
Priority to US15/068,039 priority patent/US10129653B2/en
Publication of KR2016010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2Aspects regarding the stray flux internal or external to the magnetic circuit, e.g. shielding, shape of magnetic circuit, flux compensation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7Suspension between moving magnetic core and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자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높은 진폭 동작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스피커 장치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트에서 발생한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는 폴 피스와, 폴 피스의 하단에서 마그네트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백 플레이트 및 폴 피스와의 사이에 자기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플레이트는 자기공간을 확장시켜 출력음의 진폭을 크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피커 장치{SPEAKER APPARATUS}
본 발명은 자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높은 진폭 동작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오디오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진동부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하는 음향기기로서, 그 동작원리에 따라 마그네틱형, 다이나믹형, 콘덴서형, 압전형, 세라믹형 등 다수의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와, 자속의 경로를 제공하는 요크부와, 보이스 코일이 감겨진 보빈으로 구성된 자기 회로부와, 프레임과, 보빈의 운동에 따라 진동하는 다이아프램과, 다이아프램의 진동 방향을 조정하는 댐퍼와, 다이아프램의 외측 테두리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엣지로 구성된 진동계를 구비한다.
따라서, 보이스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화된 보이스 코일이 마그네트에서 발생한 자속과 상호 작용하여 전후방으로 운동하고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이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킨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박형화 및 슬림화 추세에 따라 스피커의 박형화 및 슬림화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박형화 및 슬림화에 의해 스피커의 진동계는 한정적인 사이즈를 가지게 되고, 그에 따른 진폭의 제한이 발생할 수가 있다.
이러한 진폭의 제한은 동일한 출력의 스피커 보다 BL(Speaker force factor)수치가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음질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높은 진폭 동작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높은 진폭 동작 영역을 확보하여 자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소형으로 제작하여도 높은 진폭을 확보하여 풍부한 사운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한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는 폴 피스; 상기 폴 피스의 하단에서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백 플레이트; 및 상기 폴 피스와의 사이에 자기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자기공간을 확장시켜 출력음의 진폭을 크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는 네오디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폴 피스와의 사이에 자기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마그네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백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범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백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자기공간에 배치되어 전류 인가 시에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진동에 의해 음압을 발생시키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사각형 또는 오각형 또는 원추형 또는 링형 또는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폴 피스; 상기 폴 피스에 설치되어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폴 피스와의 사이에 자기공간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자기공간에 배치되어 전류 인가 시에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진동에 의해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상기 폴 피스의 하단에서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백 플레이트; 상기 백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의 진폭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공간을 확장시키도록 마련되는 범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는 네오디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사각형, 오각형, 원추형, 링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그 상면과 하면에 접착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상기 백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높은 진폭 동작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풍부한 사운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으로 제작하여도 높은 진폭을 확보할 수 있어, 슬림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은 진폭 동작 영역의 확보를 위한 별도의 추가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이 용이하며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의 A-A’ 부분의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도 5 의 C-C’ 부분의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범퍼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플레이트가 장착된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장치(1)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마련되는 진동계(1a)와 자기 회로부(1b)를 포함한다.
자기 회로부(1b)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21)와, 마그네트(21)에서 발생한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는 요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계(1a)는 프레임(10)과, 전류 인가시에 자화되면서 마그네트(21)에서 발생한 자속과 상호 작용하여 운동하는 보이스 코일(25)과, 보이스 코일(25)이 감기도록 마련되는 보빈(24)과, 보이스 코일(25)의 운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31)과, 보이스 코일(25)의 운동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고 좌우 방향의 운동은 구속하는 댐퍼(34)와, 진동판(31)의 외측 테두리를 프레임(10)에 결합시키는 엣지(32)와, 프레임(10)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캡(35)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스피커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중심에 중공의 원통 형성으로 형성되는 바디(11)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의 바디(11)는 그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플렌지(12a)와, 제1 플렌지(12a)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플렌지(12b)와, 제2 플렌지(12b)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 플렌지(12c)와, 제3 플렌지(12c)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바디(11)의 하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 플렌지(12d)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의 외형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넓어지는 원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은 진동판(3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진동판(31)의 형상 보다 크게 형성되어 진동판(31)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프레임(10)은 상측의 직경이 하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레임은 원통형, 평면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피커 장치(1)의 프레임(10) 하측에는 자기 회로부(1b)가 배치되고, 내부 상측에는 진동계(1a)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계(1a)는 자기 회로부(1b)와 연동하여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25)과, 보이스 코일(25)이 감긴 보빈(24)과, 보이스 코일(25)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31)과, 보이스 코일(25)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31)과, 진동판(31)과 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엣지(32)와, 보이스 코일(25)의 운동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고 좌우 방향 운동은 구속하도록 마련되는 댐퍼(34)와, 보빈(24)에 결합되는 더스트 캡(35)을 포함할 수 있다.
더스트 캡(35)은 보빈(24)의 상측 단부에 장착된다. 더스크 캡(35)은 보빈(24) 및 보이스 코일(25) 등 진동계(1a)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더스트 캡(35)은 진동판(31)의 내측 중앙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25)은 전류 인가 시에 자화되면서 후술하게 되는 마그네트(21)에서 발생한 자속과 상호 작용하여 운동하도록 마련된다.
진동판(31)은 음향에 따라 진동을 달리하여 외부로 소리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진동판(31)은 중앙부 하측으로 오목해지는 콘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진동판은 원형, 평면형, 사각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31)은 스피커 장치(1)의 음질, 음색 및 주파수 특성을 결정짓는 핵심 구성 요소로서, 그 재질, 질량 및 구조에 따라 음향 특성을 다르게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자기 회로부(1b)는 스피커 장치(1)에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부분이다. 자기 회로부(1b)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21)와, 마그네트(21)에서 발생한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는 요크부(20)를 포함한다.
자기 회로부(1b)의 마그네트(21)는 하나의 N극과, 하나의 S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극을 갖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착자될 수 있다. 이하, 전방이란 스피커 장치에서 음파가 진행하는 방향으로서 도 1의 상측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그 반대 방향으로서 하측을 의미한다.
마그네트(21)는 중공의 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2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적층 가능하도록 평편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트(21)의 두께는 스피커 장치(1)의 출력에 의한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21)는 네오디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그네트(21)는 네오디움인 것을 예를 들어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는 페라이트 또는 기타 영구 자석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마그네트(2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마그네트는 평면형, 사각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요크부(20)는 원통 형상의 폴 피스(22)와, 폴 피스(22)의 하단에 마련되는 백 플레이트(26)와, 폴 피스(22)의 상측에 마련되는 탑 플레이트(28)와, 백 플레이트(26)와 마그네트(21) 사이에 마련되는 범퍼 플레이트(50)를 포함한다.
폴 피스(22)는 마그네트(21)의 중앙에 배치된다.백 플레이트(26), 탑 플레이트(28), 그리고 범퍼 플레이트(50)는 스틸, 합금, 또는 기타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낮은 자기 저항의 자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26)와, 탑 플레이트(28)와 범퍼 플레이트(50)는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되거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백 플레이트(26)는 폴 피스(22)의 하단에 연결되어 마련된다. 폴 피스(22)는 백 플레이트(26)의 중심부에서 전방(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폴 피스(22)는 백 플레이트(2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폴 피스(22)는 백 플레이트(26)를 단조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평판 형상의 판재의 가장자리를 해머 등으로 두들기거나 가압하는 기계적 방법으로 중심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폴 피스(22) 형상을 형성하고, 가장자리에 백 플레이트(26) 형상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백 플레이트(26)와 폴 피스(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백 플레이트(26)와 폴 피스(22)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폴 피스(22)는 마그네트(21)에서 발생한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8)는 마그네트(21)의 전방 즉,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8)는 대략 중공을 갖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탑 플레이트(28)의 중공에는 폴 피스(2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탑 플레이트(28)의 상면에는 프레임(10)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돌기(28a)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28a)는 상면 중심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8)의 고정돌기(28a)는 프레임(10)의 제4 플렌지(12d)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28)는 프레임(10)과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28a)를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탑 플레이트(28)는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적측 가능하도록 평편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 플레이트(28)와 폴 피스(22)의 사이에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공간(S)이을 형성된다.
탑 플레이트(28)와 백 플레이트(26)는 마그네트(2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마그네트(21)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서로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백 플레이트(26)와 마그네트(21) 사이에는 범퍼 플레이트(50)가 마련된다.
범퍼 플레이트(50)는 대략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범퍼 플레이트(50)의 중공에는 폴 피스(22)가 삽입될 수 있다. 범퍼 플레이트(50)는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적층이 가능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된다.
폴 피스(22)의 상단으로부터 탑 플레이트(28), 마그네트(21), 범퍼 플레이트(50), 그리고 백 플레이트(26)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범퍼 플레이트(5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범퍼 플레이트(50)의 두께는 스피커 출력에 따른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이때, 범퍼 플레이트(50)의 두께는 자기 공간(S)을 확대하도록 하여, 보이스 코일(25)의 진폭을 높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탑 플레이트(28)와 마그네트(21), 범퍼 플레이트(27), 그리고 백 플레이트(26)는 접착 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요크부(20)는 마그네트(21)의 N극에서 출발하여 탑 플레이트(28)와 폴 피스(22)와, 입력된 전기 신호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 공간(S)과, 백 플레이트(26)를 거쳐 마그네트(21)의 S극에 도달하는 자기력선을 포함한다.
한편, 자기 공간(S)은 범퍼 플레이트(50)에 의해 확대되며, 확대된 자기 공간(S)을 통해 보빈(25) 위에 감겨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25)의 유동 거리가 증대될 수 있다.
즉, 종래의 탑 플레이트와 백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공간 보다 백 플레이트(26)와 마그네트(21) 사이의 범퍼 플레이트(50) 두께 만큼 넓어지는 자기 공간(S)에 의해 보이스 코일(25)이 진동하기 위한 유동 거리는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이스 코일(25)의 유동 거리(L)는 스피커 장치(1)의 출력에 따라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유동 거리(L)는 탑 플레이트(28)와 마그네트(21)와 범퍼 플레이트(50)의 두께와 동일 하거나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이스 코일 유동 거리의 확보는 출력음의 진폭을 크게 하여 저역 성분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풍부한 음질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보이스 코일(25)은 자기갭(40) 내부의 자속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이스 코일 유동 거리의 확보는 높은 진폭을 얻을 수 있고, 자력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 플레이트가 장착된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장치(1A)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마련되는 진동계(1a)와 자기 회로부(1b)를 포함한다.
자기 회로부(1b)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21)와, 마그네트(21)에서 발생한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는 요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회로부(1b)의 마그네트(21)는 하나의 N극과, 하나의 S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극을 갖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착자될 수 있다. 이하, 전방이란 스피커 장치에서 음파가 진행하는 방향으로서 도 1의 상측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그 반대 방향으로서 하측을 의미한다.
마그네트(21)는 네오디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그네트(21)는 네오디움인 것을 예를 들어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는 페라이트 또는 기타 영구 자석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요크부(20)는 원통 형상의 폴 피스(22)와, 폴 피스(22)의 하단에 마련되는 백 플레이트(26)와, 폴 피스(22)의 상측에 마련되는 탑 플레이트(28)와, 백 플레이트(26)와 마그네트(21) 사이에 마련되는 범퍼 플레이트(60)를 포함한다.
폴 피스(22)는 마그네트(21)의 중앙에 배치된다. 백 플레이트(26), 탑 플레이트(28), 그리고 범퍼 플레이트(60)는 스틸, 합금, 또는 기타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낮은 자기 저항의 자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26)와, 탑 플레이트(28)와 범퍼 플레이트(60)는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되거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백 플레이트(26)는 폴 피스(22)의 하단에 연결되어 배치된다. 폴 피스(22)는 백 플레이트(26)의 중심부에서 전방(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폴 피스(22)는 마그네트(21)에서 발생한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8)와 폴 피스(22)의 사이에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공간(S)이 형성된다.
탑 플레이트(28)와 백 플레이트(26)는 마그네트(2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마그네트(21)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서로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백 플레이트(26)와 마그네트(21) 사이에는 범퍼 플레이트(60)가 배치된다.
범퍼 플레이트(60)는 제1범퍼 플레이트(61)와, 제2범퍼 플레이트(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범퍼 플레이트(61)와 제2범퍼 플레이트(62)는 그 중심에 폴 피스(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범퍼 플레이트(61)와 제2범퍼 플레이트(62)는 서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면과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 피스(22)의 상단으로부터 탑 플레이트(28), 마그네트(21), 범퍼 플레이트(50), 그리고 백 플레이트(26)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범퍼 플레이트(60)는 두 개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범퍼 플레이트의 개수는 두 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범퍼 플레이트의 두께는 스피커 출력에 따른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다.
이때, 범퍼 플레이트(60)는 자기 공간(S)을 확대 가능하게 하여, 보이스 코일(25)의 진폭을 높게 할 수 있다.
즉, 자기 공간(S)은 범퍼 플레이트(60)에 의해 확대되며, 확대된 자기 공간(S)을 통해 보빈(25) 위에 감겨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25)의 유동 거리는 증대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25)의 유동 거리는 종래의 탑 플레이트와 백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공간 보다 백 플레이트(26)와 마그네트(21) 사이의 범퍼 플레이트(50) 만큼 넓어지는 자기 공간(S)에 의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진동계(1a)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0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범퍼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플레이트(50A)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 형상의 펌퍼 플레이트(50A)는 그 중심에 폴 피스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공(5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공(51A)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각 형상의 범퍼 플레이트(50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플레이트(50B)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원 형상의 펌퍼 플레이트(50B)는 그 중심에 폴 피스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공(5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공(51B)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원 형상의 범퍼 플레이트(50B)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가 적층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플레이트(50C)는 팔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팔각형상의 펌퍼 플레이트(50C)는 그 중심에 폴 피스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공(5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공(51C)은 팔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팔각 형상의 범퍼 플레이트(50C)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플레이트(50D)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름모 형상의 펌퍼 플레이트(50D)는 그 중심에 폴 피스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공(51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공(51D)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름모 형상의 범퍼 플레이트(50D)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사각 형상의 범퍼 플레이트(50A), 타원 형상의 범퍼 플레이트(50B), 팔각 형상의 범퍼 플레이트(50C), 그리고 마름모 형상의 범퍼 플레이트(50D)는 스피커 장치(1)의 출력에 따라 다양한 두께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장치(1)의 진동계(1a)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진동계의 진동판 형상이 타원인 스피커 장치에는 타원 형상의 범퍼 플레이트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A: 스피커 장치 1a : 진동계
1b : 자기 회로부 10 : 프레임
20 : 요크부 21 : 마그네트
22 : 폴 피스 24 : 보빈
25 : 보이스 코일 26 : 백 플레이트
28 : 탑 플레이트 50,60 : 범퍼 플레이트
61 : 제1범퍼 플레이트 62 : 제2범퍼 플레이트

Claims (13)

  1. 개구를 갖는 프레임;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한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는 폴 피스;
    상기 폴 피스의 하단에서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백 플레이트; 및
    상기 폴 피스와의 사이에 자기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폴 피스와의 사이에 자기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마그네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백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공간을 확장시켜 출력음의 진폭을 크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범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로 마련되는 범퍼 플레이트는 서로 적층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에 결합되도록 그 상면 중심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자기 공간은 상기 복수개로 마련되는 범퍼 플레이트의 두께와 상기 고정돌기의 두께만큼 증대되는 스피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네오디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백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자기공간에 배치되어 전류 인가 시에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진동에 의해 음압을 발생시키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사각형 또는 오각형 또는 원추형 또는 링형 또는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8.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폴 피스;
    상기 폴 피스에 설치되어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폴 피스와의 사이에 자기공간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자기공간에 배치되어 전류 인가 시에 진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진동에 의해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상기 폴 피스의 하단에서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백 플레이트;
    상기 백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의 진폭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범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제1플렌지와, 상기 제1플렌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플렌지와, 상기 제2플렌지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플렌지와, 상기 제3플렌지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플렌지를 포함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는 상기 제4플렌지에 삽입되도록 상면 중심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이스 코일의 유동 거리는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백 플레이트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공간과 상기 복수개의 범퍼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넓어지는 자기 공간에 의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네오디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사각형, 오각형, 원추형, 링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그 상면과 하면에 접착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로 마련되는 범퍼 플레이트는 서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면과 하면이 편평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플레이트는 상기 백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KR1020150034758A 2015-03-13 2015-03-13 스피커 장치 KR102361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758A KR102361288B1 (ko) 2015-03-13 2015-03-13 스피커 장치
EP16159728.1A EP3068144A1 (en) 2015-03-13 2016-03-10 Speaker apparatus
US15/068,039 US10129653B2 (en) 2015-03-13 2016-03-11 Speake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758A KR102361288B1 (ko) 2015-03-13 2015-03-13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55A KR20160109755A (ko) 2016-09-21
KR102361288B1 true KR102361288B1 (ko) 2022-02-10

Family

ID=5552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758A KR102361288B1 (ko) 2015-03-13 2015-03-13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29653B2 (ko)
EP (1) EP3068144A1 (ko)
KR (1) KR102361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7708A (zh) 2017-06-06 2017-10-20 余姚德诚科技咨询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电动式扬声器
CN107277705A (zh) * 2017-06-06 2017-10-20 余姚德诚科技咨询有限公司 盆形电喇叭控制平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3975A (en) * 1988-05-19 1990-06-12 Electro-Voice, Inc. Dynamic loudspeaker for producing high audio power
DE9113037U1 (ko) * 1991-10-19 1992-01-09 Nokia Unterhaltungselektronik (Deutschland) Gmbh, 7530 Pforzheim, De
JPH06197399A (ja) 1992-12-25 1994-07-15 Minebea Co Ltd スピーカ用磁気回路
JPH10285690A (ja) * 1997-04-01 1998-10-23 Sony Corp 音響変換器
US6111969A (en) * 1997-05-09 2000-08-29 Babb; Burton A. High fidelity, broad band acoustic loudspeaker
US6721435B2 (en) * 2000-02-22 2004-04-13 Babb Laboratories Acoustic loudspeaker with energy absorbing bearing and voice coil, and selective sound dampening and dispersion
US6639994B1 (en) * 2000-08-16 2003-10-28 Jl Audio, Inc. Loudspeaker having adjustable motor strength
JP3946047B2 (ja) 2002-01-21 2007-07-1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ピーカの磁気回路
US6996247B2 (en) * 2002-11-05 2006-02-07 Step Technologies, Inc. Push-push multiple magnetic air gap transducer
US20040131223A1 (en) * 2003-01-06 2004-07-08 Stiles Enrique M. Electromagnetic transducer having a hybrid internal/external magnet motor geometry
JP2004248007A (ja) 2003-02-14 2004-09-02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
US7142685B2 (en) * 2003-08-27 2006-11-28 Dei Headquarters, Inc. Adjustable loudspeaker
US20060251286A1 (en) * 2005-04-13 2006-11-09 Stiles Enrique M Multi-gap air return motor for electromagnetic transducer
JP4845677B2 (ja) * 2006-10-31 2011-12-2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装置
KR20080085467A (ko) * 2007-03-20 2008-09-24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EP2348754B1 (en) 2008-11-19 2017-01-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US8467557B2 (en) 2009-09-24 2013-06-18 MS Electronics LLC Coaxial speaker system with improved transition between individual speakers
US8249292B1 (en) * 2010-01-13 2012-08-21 Eminence Speaker, LLC Mechanically adjustable variable flux speaker
US8781150B2 (en) * 2011-02-14 2014-07-15 Robert Bosch Gmbh Multiple magnetic air gap motor
US9467783B2 (en) * 2013-10-25 2016-10-11 Tymphany Worldwide Enterprises Limited Low profile loudspeaker trans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8144A1 (en) 2016-09-14
KR20160109755A (ko) 2016-09-21
US20160269829A1 (en) 2016-09-15
US10129653B2 (en)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4915B2 (en) Speaker device
JP6926341B2 (ja) 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ー
US9538291B2 (en) Speaker
US9271071B2 (en) Loudspeaker
JP2019514299A (ja) 騒音遮蔽イヤー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61288B1 (ko) 스피커 장치
KR101622155B1 (ko) 센터 진동판 형상을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US9674614B2 (en) Speaker unit
KR101848735B1 (ko) 막대자석을 이용한 멀티 음역 재생이 가능한 스피커
KR200454024Y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JP5327616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
KR102499257B1 (ko) 스피커
JP5825522B2 (ja) スピーカ装置
KR101074248B1 (ko) 스피커 유닛
CN108702577A (zh) 扬声器
JP6781911B2 (ja) 単一指向性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
JP2018074471A (ja) 電気音響変換装置
JP2000059879A (ja) スピーカ装置
KR100962585B1 (ko) 다기능 스피커
KR20060059367A (ko) 스피커
KR20230144194A (ko) 점진동 스피커
KR20180003538U (ko) 수동 복사 스피커
KR20070115417A (ko) 스피커
JP2000032592A (ja) スピーカ装置
JPH11341593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