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367A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367A
KR20060059367A KR1020040098416A KR20040098416A KR20060059367A KR 20060059367 A KR20060059367 A KR 20060059367A KR 1020040098416 A KR1020040098416 A KR 1020040098416A KR 20040098416 A KR20040098416 A KR 20040098416A KR 20060059367 A KR20060059367 A KR 20060059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circuit device
voice coil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716B1 (ko
Inventor
오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음전자
주성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음전자, 주성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음전자
Priority to KR102004009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7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형상의 제1자석, 상기 제1자석의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는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을 격리시키는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및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은 상기 진동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효율이 뛰어난 박판형 스피커를 구현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진동판, 댐퍼, 자기회로장치, 자석

Description

스피커{Speaker}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스피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스피커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5는, 도3의 스피커의 자기회로장치에서의 자로(磁路)를 표현한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스피커 301: 프레임
301a: 측판 301b: 후판
301c: 설치공간 302: 자기회로장치
302a: 제1자석 302b: 격리체
302c: 전단면플레이트 302d: 측면플레이트
303: 보빈 304: 음성코일
305: 진동판 306: 댐퍼
307: 제2자석 308: 에지 서라운드
309: 더스트 캡 310: 지지대
605: 제1자석 610: 격리체
615: 제2자석 620: 자기회로장치
625: 하부플레이트 630: 측면플레이트
635: 상부플레이트 640: 보빈
645: 음성코일 650: 댐퍼
655: 진동판 660: 프레임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全長)이 짧으면서도 효율이 뛰어난 박판형 스피커를 구현시키기 위한 기구적 구성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재생시키는 장치로써, 종래의 스피커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공개번호 2000-0005319호를 비롯한 다수의 공개 문서에 개시되어 있다.
도1은, 그러한 종래의 스피커(100)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스피커(100)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100)는, 각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나팔형상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내측에서 진동하며 중공(中孔)을 가진 콘 형상의 진동판(12)과, 상기 진동판(12)의 전단을 상기 프레임(11)의 전단에 탄력적으로 지지시키는 에지 서라운드(13, edge surround)와, 상기 진동판(12)의 후 측에서 전단측이 상기 진동판(12)의 중앙 부위에 고착되는 보빈(14)과, 외측 둘레는 상기 프레임(11)에 고착 지지되고 내측 둘레는 상기 보빈(14)에 고착된 댐퍼(15, damper)와, 상기 보빈(14)에 권선된 음성코일(16)과, 상기 음성코일(16)의 외측에 배치되는 도넛 형상의 영구자석(17)과,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영구자석(17) 사이에 고착 배치되는 도넛 형상의 상부 플레이트(18)와, 상기 영구자석(17)의 하부를 덮는 하부 플레이트(19)와, 상기 영구자석(17) 및 상부 플레이트(18)와의 사이에 상기 보빈(14)이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공간(22)을 두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9)에서 상기 보빈(14)의 내측으로 돌출 마련된 폴피스(20) 및 스피커(100) 내부를 외부의 먼지로부터 차단시키며 상기 진동판(12)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더스트 캡(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스피커(100)는 도시되지 아니한 증폭기로부터 음성전기신호가 상기 음성코일(16)에 입력되면, 상기 음성코일(16)에서는 그러한 음성전기신호에 따른 자속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음성코일(16)이 발생시키는 자속과 상기 영구자석(17), 상하부 플레이트(18, 19) 및 폴피스(20)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장치에 의해 진동공간에 형성된 자계 사이에 상호 자기적 간섭이 발생하여 상기 음성코일(16)은 상기 음성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자기력을 받게 되고, 이러한 자기력에 의해 보빈(14)이 진동하면, 보빈(14)과 함께 진동판(12)이 진동하면서 전방의 공기를 진동시켜 음향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에지서라운드(13)와 댐퍼(15)는 상기 보빈(14) 및 진동판(12)의 진동 시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특히 댐퍼(15)는 상하로 튀어 나가려는 보빈(14) 및 진동판(12)의 왕복운동에 필요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존의 스피커(100)는 자기회로장치를 이루는 영구자석(17), 상하부 플레이트(18, 19) 및 폴피스(20)가 프레임의 후 측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 마련되기 때문에, 스피커의 전장이 길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전장이 짧은 박판형 스피커를 생산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10-2004-0043857을 통해, 측면을 이루는 측판과 후면을 이루는 후판에 의해 형성된 설치공간상에 자기회로장치를 위치시키고 상기 자기회로장치가 진동판의 전방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전장이 짧은 박판형 스피커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을 소형스피커에 적용함에 있어서 자석이 소형임에 따라 음성코일이 진동하는 진동공간상에 형성되는 자계강도가 약할 수 있는 개연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피커의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자기회로장치 등의 각 구성이, 박판형 스피커의 제조에 적합한 공간적 배치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스피커를 제공하고 또한,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자계강도를 높임으로서 스피커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기둥형상의 제1자석, 상기 제1자석의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는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을 격리시키는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및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은 상기 진동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보다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기둥형상의 제1자석, 상기 제1자석의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는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을 격리시키는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로 권선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및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은 상기 보빈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보다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기둥형상의 제1자석, 상기 제1자석의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는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을 격리시키는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로 권선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일측은 상기 보빈에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과(過)운동을 억제하는 댐퍼;및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은 상기 댐퍼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보다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측면을 이루는 측판과 후면을 이루는 후판에 의해 형성된 내부 설치공간을 가지는 프레임; 상 기 프레임의 설치공간상에 위치하고, 제1자석과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상기 격리체의 후(後)단면에 부착된 제2자석;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및 상기 음성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측면을 이루는 측판과 후면을 이루는 후판에 의해 형성된 내부 설치공간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설치공간상에 위치하고, 제1자석과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상기 격리체의 후(後)단면에 부착된 제2자석;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로 권선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측면을 이루 는 측판과 후면을 이루는 후판에 의해 형성된 내부 설치공간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설치공간상에 위치하고, 제1자석과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상기 격리체의 후(後)단면에 부착된 제2자석;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로 권선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및 일측은 상기 보빈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과(過)운동을 억제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상기 자기회로장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을 유도하는 자성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체부는, 상기 제1자석의 전(前)단면에 고착되는 전단면플레이트;및
상기 전단면플레이트의 외주 하(下)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자석을 둘러싸는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보다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를 구성하는 격리체는 자성체인 것을 더 구체적인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 마련되어 상기 자기회로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바라 본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 마련되어 상기 격리체를 지지하는 중공이 형성된 지지대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지지대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격리체의 후(後)단면에 부착되는 것을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3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도2의 스피커(300)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300)는, 측면을 이루는 측판(301a)과 후면을 이루는 후판(301b)에 의해 형성된 내부 설치공간(301c)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설치공간(301c)상에 위치하고, 기둥 형상인 제1자석(302a)과 격리체(302b)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302e)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302)와, 상기 자기회로장치(302)에 의해 발생된 자속을 유도하는 자성체부와, 상기 자기회로장치(302)의 제1자석(302a)의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는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302a)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자석(302a)에서 발생한 자속을 상기 제1자석(302a) 외측으로 강하게 반발시키는, 상기 격리체(302b)의 후단면에 부착된 제2자석(307)과, 상기 자기회로장치(302)의 소정의 진동공간(302e)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302e)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304)과, 상기 음성코일(304)로 권선되어 상기 음성코일(304)과 함께 진동하는 보빈(303)과, 상기 보빈(303)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303)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305)과, 일측은 상기 보빈(303)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303)의 과(過)운동을 억제하는 댐퍼(306)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 마련되어 상기 격리체(302b)를 지지하는 중공이 형성된 지지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을 다음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은, 전방으로 확장 개구된 사발모양으로서, 그 내부공간은 스피커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각 장치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면서 설치되는 설치공간(301c)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확장 개구된 측으로 음향이 퍼져나가기 때문에 확장 개구된 측 방향을 전방(前方)으로, 그 반대 방향을 후방(後方)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는, 측면을 이루는 측판(301a)과 후면을 이루는 후판(301b)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설치공간(301c)으로 정의하며, 음향이 퍼져나가는 방향을 전방으로,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상기 자기회로장치(302)는, 상기 프레임의 후판(301b)에 고정된 소정 높이의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비자성체 재질을 갖는 지지대(31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자기회로장치(302)를 구성하는 제1자석(302a)은 격리체(302b)를 사이에 두고 제2자석(307)과 대응되도록 마련된다(상기 제1자석(302a)과 제2자석 (307)의 중심축은 동축을 이룸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자석(302a)의 격리체(302b)와 부착되는 부분이 N극이라면 제2자석(307)의 격리체(302b)와 부착되는 부분도 N극이 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1자석(302a)과 제2자석(307)은 상기 격리체(302b) 사이에서 같은 극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자석(302a)에 의해 격리체(302b) 상에서 발생한 자속을 외(外)측으로 강하게 밀어내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석은 기둥 형상을 가짐으로써 대칭적인 자속을 제공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상을 가짐으로써 최적의 대칭적인 자속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자기회로장치(302)에 의해 발생된 자속을 유도하여 소정의 진동공간(302e)을 형성케하는 자성체부가 상기 자기회로장치(302)의 외(外)측으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자성체부는 상기 제1자석(302a)의 전단면에 직접 고착되는 원판형상의 전단면플레이트(302c)와 이 전단면플레이트의 외주 후방 쪽으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측면플레이트(302d)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302d)는 상기 제1자석(302a)의 측면을 소정 간격을 두고 둘러싸도록 하며, 이 때 상기 측면플레이트(302d)와 제1자석(302a)의 측면 사이의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공간이 보빈(303) 또는 음성코일(304)이 진동하는 진동공간(302e)이 된다. 도5는, 이러한 자기회로장치(302)와 제2자석(307) 및 자성체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로(磁路)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자석(302a)의 N극에서 발생한 자속이 제2자석(307)의 N극에서 발생한 자속에 반발하여 외측으로 강하게 밀리고 그 자속이 자성체부의 측면플레이트(302d) 및 격리체(302c)로 유도되어 상기 측면 플레이트(302d)와 제1자석(302a) 사이의 소정의 진동공간(302e)에 강한 자계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빈(303)은 원통형상으로써 상기 제1자석(302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측면플레이트(302d)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이러한 보빈(303)은 상기 진동공간(302e)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진동한다.
상기 음성코일(304)은, 상기 보빈(303)에 권선되며, 미 도시된 증폭기로부터 음성전기신호를 입력받고, 그러한 음성전기신호에 상응하는 자속을 발생시킨다. 이 때 증폭기로부터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음성전기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음성코일(304)에서 발생되는 자속도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그에 따라 자기회로장치(302)에 의해 진동공간(302e)상에 일정하게 형성된 자계와 음성코일(304)에서 발생되는 변화되는 자속 사이에 상호 자기적인 간섭을 하게 됨으로써, 보빈(303)을 진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성코일(304)이 보빈(303)에 권선되어 보빈(303)이 진동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보빈(303)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마이크로스피커와 같은 소형스피커에서는 상기 보빈(303)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경우 상기 음성코일(304)의 후단이 후술하는 진동판(305)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진동공간(302e)에서 진동함으로써 진동판(305)에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판(305)은, 전방으로 확장되는 콘형상으로서, 중심축상에 중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중공의 둘레로 상기 보빈(303)의 후단 또는 음성코일(304)의 후단이 고착된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305)의 외주연은 상기 프레임의 측판(301a)의 전단에 고착 지지되며, 진동판(305)의 내주연은 상기 보빈 (303)의 후단 또는 음성코일(304)의 후단에 직접 고착되기 때문에, 보빈(303) 또는 음성코일(304)이 진동함에 따라 상기 진동판(305)도 함께 진동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이 짧은 박판형 스피커를 구현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진동판(305)의 전방에 상기 자기회로장치(302)의 제1자석(302a)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댐퍼(306)는, 여러 가지 역할을 하지만, 진동판(305) 및 보빈(303)의 과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기도 하고, 보빈(303)의 흔들림을 억제시키기도 한다. 댐퍼(306)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일반적인 종류의 댐퍼(306)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볼 때 중공을 가진 원판형상이고, 그 외측 둘레는 프레임의 측판(301a)에 고착 지지되고, 그 내측 둘레는 보빈(303)의 후단에 고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이 짧은 박판형 스피커를 구현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댐퍼(306)의 전방에 자기회로장치(302)의 제1자석(302a)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댐퍼(306)는 필수적 구성은 아니며, 마이크로스피커와 같은 소형스피커 등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후판(301b)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중공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중공의 전방으로 원통형상의 지지대(310)가 돌출되어 그 지지대(310)의 전(前)단이 상기 자기회로장치(302), 특히 상기 격리체(302b)를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기회로장치(302)를 견고하게 위치시킨다. 한편, 상기 제2자석(307)은 상기 지지대(310)의 중공(이는, 후판(301b)의 중공이기도 하다)에 삽입되어 상기 격리체(302b)의 후단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자석(302a)에서 발생한 자속에 반발자속을 제공하게 된다.
부호 309에 의해 도시된 구성은, 상기 자기회로장치(302)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차단시키며, 더불어 상기 진동판(305)을 지지하기도 하는 더스트 캡(309)이다. 이 더스트 캡(309) 또한 소형스피커 등에서는 생략이 가능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자석(302a)과 격리체(302b)를 포함하여 자기회로장치(302)로 나타내고 제2자석(307)이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자석(302a), 격리체(302b) 및 제2자석(307)을 모두 포함하여 자기회로장치(302)로 나타낼 수 있고, 그러한 자기회로장치(302)로부터 진동공간(302e)에 자계를 형성시키도록 한다고 표현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한편, 측판(301a)과 후판(301b)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은 궁극적으로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작동에 대하여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자석(302a)에서 발생한 자속은 상기 제2자석(307)의 반발자속의 영향으로 상기 격리체(302b)의 외측으로 강하게 밀리게 되고, 그 외측으로 밀리게 된 자속은 측면플레이트(302d) 및 격리체(302c)로 유도되어 다시 상기 제1자석(302a)의 반대극으로 수렴하게 된다. 그렇게 됨으로써 상기 측면플레이트(302d)와 제1자석(302a) 사이에 형성된 진동공간(302e)에 일정한 자계를 형성시키게 된다.
한편, 미 도시된 증폭기로부터 음성코일(304)에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음성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음성코일(304)은 그러한 변화되는 음성전기신호에 대응하는 변화하는 자속을 발생시킨다. 그렇게 변화하는 자속은 상기 진동공간(302e)에 일정하게 형성된 자계와 상호 자기적인 간섭을 하게 되고, 그러한 자기적인 간섭에 의해서 음성코일(304)은 전후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음성코일(304)이 보빈(303)에 권선되어 있다면, 상기 음성코일(304)이 진동함에 따라 보빈(303)도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보빈(303)의 후단에 고착된 진동판(305)이 진동하게 되며, 그러한 진동판(305)의 진동은 상기 진동판(305)의 전방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진동시켜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음성전기신호가 궁극적으로 역학적 음향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빈(303)이 생략된 채로 상기 음성코일(304)의 후단이 상기 진동판(305)에 직접 연결되어 진동판(305)에 음압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댐퍼(306)는 보빈(303)의 후단을 지지하면서 보빈(303)의 과진동이나 측방향으로의 진동을 억제시킨다.
<제2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는, 기둥 형상의 제1자석(605), 상기 제1자석(605)의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는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605)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제2자석(615) 및 상기 제1자석(605)과 제2자석(615)을 격리시키는 격리체(61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 시키는 자기회로장치(620)와, 상부플레이트(635), 하부플레이트(625) 및 측면플레이트(630)로 이루어져 상기 자기회로장치(620)에 의해 발생된 자속을 유도하는 자성체부와, 상기 자기회로장치(620)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645)과, 상기 음성코일(645)로 권선되어 상기 음성코일(645)과 함께 진동하는 보빈(640)과, 상기 보빈(640)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640)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655)과, 일측은 상기 보빈(640)에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660)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640)의 과(過)운동을 억제하는 댐퍼(650) 및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6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진동판(655)에서 음압이 발생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그 작동을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자석(605)의 N극에서 발생한 자속은 상기 제2자석(615)의 반발자속의 영향으로 상기 격리체(610)의 외측으로 강하게 밀리게 되고, 그 외측으로 밀리게 된 자속은 상부플레이트(635), 측면플레이트(630)로 유도되어 궁극적으로 상기 제1자석(605)의 S극으로 수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자속의 N극에서 발생한 자속은 상기 제1자석(605)의 반발자속의 영향으로 상기 격리체(610)의 외측으로 강하게 밀리게 되고, 그 외측으로 밀리게 된 자속은 상부플레이트(635), 측면플레이트(630) 및 하부플레이트(625)로 유도되어 다시 상기 제2자석(615)의 S극으로 수렴하게 된다. 그렇게 됨으로써 상기 측면플레이트(630)와 제1자석(605) 및 제2자석(615) 사이에 형성된 진동공간에 일정한 자계를 형성시키게 된다.
한편, 미 도시된 증폭기로부터 음성코일(645)에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음성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음성코일(645)은 그러한 변화되는 음성전기신호에 대응하는 변화하는 자속을 발생시킨다. 그렇게 변화하는 자속은 상기 진동공간에 일정하게 형성된 자계와 상호 자기적인 간섭을 하게 되고, 그러한 자기적인 간섭에 의해서 음성코일(645)은 전후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음성코일(645)이 보빈(640)에 권선되어 있다면, 상기 음성코일(645)이 진동함에 따라 보빈(640)도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보빈(640)의 후단에 고착된 진동판(655)이 진동하게 되며, 그러한 진동판(655)의 진동은 상기 진동판(655)의 전방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진동시켜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음성전기신호가 궁극적으로 역학적 음향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상기 제1자석(605)이 상기 진동판(655)의 후방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박판형 스피커를 구현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을 계속 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 도3 내지 6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 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 내에서 응용 및 변형된 모든 범위까지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회로장치가 프레임의 설치공간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기존과는 달리 자기회로장치를 구성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됨으로써, 전장이 짧은 박판형 스피커의 구현에 이점이 있고, 또한,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에서 발생한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2자속이 제공하는 기구적 구성을 취함으로써, 음성코일 또는 보빈이 진동하는 진동공간상에 자계강도를 높일 수 있어 스피커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기둥 형상의 제1자석, 상기 제1자석의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는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을 격리시키는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및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은 상기 진동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기둥 형상의 제1자석, 상기 제1자석의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는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을 격리시키는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 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로 권선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및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은 상기 보빈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5. 기둥 형상의 제1자석, 상기 제1자석의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는 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을 격리시키는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로 권선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
    일측은 상기 보빈에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과(過)운동을 억제하는 댐퍼;및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은 상기 댐퍼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7. 측면을 이루는 후판과 후면을 이루는 후판에 의해 형성된 내부 설치공간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설치공간상에 위치하고, 제1자석과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상기 격리체의 후(後)단면에 부착된 제2자석;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및
    상기 음성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8. 측면을 이루는 측판과 후면을 이루는 후판에 의해 형성된 내부 설치공간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설치공간상에 위치하고, 제1자석과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상기 격리체의 후(後)단면에 부착된 제2자석;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로 권선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9. 측면을 이루는 측판과 후면을 이루는 후판에 의해 형성된 내부 설치공간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설치공간상에 위치하고, 제1자석과 격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진동공간에 자계를 형성시키는 자기회로장치;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제1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반발하는 반발자속을 제공하는, 상기 격리체의 후(後)단면에 부착된 제2자석;
    상기 자기회로장치의 소정의 진동공간상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 간섭하는 자속을 외부 입력전기신호에 따라 발생시켜 상기 소정의 진동공간상에서 진동하는 음성코일;
    상기 음성코일로 권선되어 상기 음성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및
    일측은 상기 보빈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과(過)운동을 억제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장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을 유도하는 자성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부는,
    상기 제1자석의 전(前)단면에 고착되는 전단면플레이트;및
    상기 전단면플레이트의 외주 후(後)단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자석을 둘러싸는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체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마련되어 상기 자기회로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마련되어 상기 격리체를 지지하는 중공이 형성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지지대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격리체의 후(後)단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1020040098416A 2004-11-29 2004-11-29 스피커 KR10066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416A KR100665716B1 (ko) 2004-11-29 2004-11-29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416A KR100665716B1 (ko) 2004-11-29 2004-11-29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67A true KR20060059367A (ko) 2006-06-02
KR100665716B1 KR100665716B1 (ko) 2007-01-09

Family

ID=3715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416A KR100665716B1 (ko) 2004-11-29 2004-11-29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7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021A1 (ko) * 2015-12-30 2017-07-06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KR20190038248A (ko) * 2017-09-29 2019-04-08 김태일 모두를 위한 스피커
KR20220077769A (ko) * 2020-12-02 2022-06-09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021A1 (ko) * 2015-12-30 2017-07-06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KR20190038248A (ko) * 2017-09-29 2019-04-08 김태일 모두를 위한 스피커
KR20220077769A (ko) * 2020-12-02 2022-06-09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716B1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765B1 (ko) 스피커장치
JP7161655B2 (ja) エアギャップの精度を向上させた高品質の電磁スピーカー
KR101047549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JP6926341B2 (ja) 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ー
KR101057078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US9538291B2 (en) Speaker
JP4385981B2 (ja) 動電型スピーカー
JP2023540061A (ja) 単一の永久磁石と1つまたはそれより多くのボイスコイルとによって駆動されるフラットスピーカー
KR200408289Y1 (ko) 바 형상의 스피커
KR100665716B1 (ko) 스피커
KR100803744B1 (ko) 스피커
US10129653B2 (en) Speaker apparatus
KR100488654B1 (ko) 두개의 자기회로부를 가지는 스피커
JP2005027286A (ja) スピーカ装置
KR100672366B1 (ko) 양방향 스피커
JP2002112387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システム
KR100654819B1 (ko) 양방향 스피커장치
KR19990041872A (ko) 이중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스피커 구조
KR20040069394A (ko) 일체형 투웨이 스피커
KR102374602B1 (ko) 솔레노이드 스피커
KR100545069B1 (ko) 스피커
KR102658276B1 (ko) 자성체 진동판을 이용한 평판형 트위터 스피커
KR20050118765A (ko) 스피커
KR100531730B1 (ko) 스피커
KR200304376Y1 (ko) 이중 보이스 코일이 구비된 진동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