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248A - 모두를 위한 스피커 - Google Patents
모두를 위한 스피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8248A KR20190038248A KR1020180023477A KR20180023477A KR20190038248A KR 20190038248 A KR20190038248 A KR 20190038248A KR 1020180023477 A KR1020180023477 A KR 1020180023477A KR 20180023477 A KR20180023477 A KR 20180023477A KR 20190038248 A KR20190038248 A KR 201900382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aker
- vibrating
- unit
- vibration
- generating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8—Visual indication of individual signal lev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가 개시된다. 상기 스피커는, 특정 액체의 스피커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부; 중앙부에 특정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소리 발생 모듈의 상측에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며, 진동 운동하는 진동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을 구비한 소리 발생 모듈; 및 상기 진동부의 내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진동 유닛의 내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진동 유닛의 진동에 따라 진동 운동함으로써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적 패턴을 제공하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소리란, 물체의 진동에 의하여 생긴 음파가 귀청을 울리어 귀에 들리는 것을 의미하며, 청각 장애인들은 청신경의 기능에 이상이 생겨 이러한 소리와 말을 듣기가 어려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한편, 종래의 스피커는 전기 신호를 소리로 바꾸어 출력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소리를 출력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청각에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지금까지 이러한 스피커를 이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최근, 청각 장애인들은 청각을 제외한 나머지 감각 기능에는 문제가 없다는 점을 착안하여, 청각 장애인들에게 대체 감각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는 기술들이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피커가 시각적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대체 감각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가 개시된다. 상기 스피커는, 특정 액체의 스피커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부; 중앙부에 특정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소리 발생 모듈의 상측에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며, 진동 운동하는 진동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을 구비한 소리 발생 모듈; 및 상기 진동부의 내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진동 유닛의 내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진동 유닛의 진동에 따라 진동 운동함으로써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가 발생하는 진동에 따라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소리를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에게 음악을 새롭게 즐기는 방법을 제시한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소리 발생 모듈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와 소리 발생 모듈이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가 구비된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상면도로서, 커버부(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소리 발생 모듈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와 소리 발생 모듈이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가 구비된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상면도로서, 커버부(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하나 이상의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의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이는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의 (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의 스피커가 도시되며, (b)에는 소리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의 스피커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0)의 상부에는 특정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1000)의 상부에는 커버부(100)가 구비되어 특정 액체의 스피커(1000)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000)는 진동을 발생시켜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스피커(1000)에서 특정 액체가 형성하는 패턴은 스피커(1000)가 출력하는 소리의 파형, 파장, 진동수(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1000)가 진동을 발생시켜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피커(1000)가 출력하는 소리를 시각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0)는 내부에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바디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1000)는 진동을 발생시켜 바디부(500)와 스피커(1000)의 적어도 일부분을 진동시킬 수 있다. 스피커(1000)에서 바디부(500)가 진동하는 패턴은 스피커(1000)가 출력하는 소리의 파형, 파장, 진동수(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피커(1000)의 바디부(500) 또는 스피커(1000) 자체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접촉함으로써, 스피커(1000)가 출력하는 소리를 촉각적으로(진동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1000)의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0)는 커버부(100), 완충부(200), 진동부(300), 소리 발생 모듈(400) 및 바디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특정 액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특정 액체의 스피커(1000)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000)가 진동을 발생시켜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며 진동하는 경우, 커버부(100)는 특정 액체가 진동하여 스피커(10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액체는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하고, 점성을 가지며 물에 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액체는 기름(oil)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액체는 진동하여 상측의 커버부(100)에 접촉하여도 방울이 맺히지 않고, 커버부(100)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정 액체는 밀폐된 공간에 긴 시간동안 수용되어도 변질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100)는 상부 커버(110) 및 하부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110)는 패턴을 형성하는 특정 액체가 스피커(1000)의 상측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110)는 투명한 유리, 플라스틱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0)를 형성하는 소재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커버(120)는 상부 커버(110)를 바디부(500)와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커버(120)의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부 커버(110)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0) 및 하부 커버(12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110)는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커버(1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1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하부 커버(120)가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110)는 돔(dome) 형태로 형성되어 특정 액체가 상부 커버(110)에 접촉하는 경우, 특정 액체가 상부 커버(11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부 커버(110) 및 하부 커버(120)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부(200)는 제 1 완충부(220) 및 제 2 완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완충부(220)는 진동부(300) 및 소리 발생 모듈(400)의 진동 유닛(4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진동부(300)의 내측은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고, 제 1 완충부(220)는 진동부(300)의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의 하면과 진동 유닛(410)의 내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완충부(220)는 진동부(300)의 내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진동 유닛(410)의 내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완충부(220)는 진동부(300)가 소리 발생 모듈(400)의 진동의 크기에 따라 미세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완충부(22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진동부(300)의 내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부(3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완충부(220)는 두께가 얇아지면서 진동부(30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완충부(220)는 진동부(300)가 충분히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 1 완충부(220)는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완충부(220)의 하면의 넓이가 상면의 넓이보다 좁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완충부(220)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완충부(210)는 하부 커버(120) 및 진동부(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완충부(210)는 하부 커버(120)의 외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진동부(300)의 외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완충부(210)는 하부 커버(120)의 외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진동부(300)의 외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고 진동부(300)가 소리 발생 모듈(400)의 진동의 크기에 따라 미세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완충부(210)는 진동부(300)의 진동이 커버부(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완충부(21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진동부(3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부(30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2 완충부(210)는 두께가 얇아지면서 진동부(300)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완충부(210)는 진동부(300)가 충분히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완충부(210)는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진동부(300)에 수용된 특정 액체가 스피커(1000)의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완충부(210)는 진동부(3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완충부(210)는 진동부(300)의 외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진동 유닛(410)의 외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완충부(210)는 진동부(300)의 외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진동 유닛(410)의 외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고 진동부(300)가 소리 발생 모듈(400)의 진동의 크기에 따라 미세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완충부(21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진동부(3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부(3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2 완충부(210)는 두께가 얇아지면서 진동부(30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완충부(210)는 진동부(300)가 충분히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완충부(210)는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진동부(300)의 내측이 상기 제 2 완충부(210)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다. 제 2 완충부(210)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완충부(20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200)는 스펀지(sponge)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스프링 혹은 접착제 소재, 접착용 테이프, 접착용 직물, 탄성을 가진 부재,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200)의 소재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부(300)는 중앙에 특정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소리 발생 모듈(400)의 상측에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며, 진동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300)는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가 하측으로 오목하여 특정 액체가 진동부(300)의 중앙부에 수용될 수 있다.
진동부(300)는 소리 발생 모듈(400)의 진동 유닛(4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따라 진동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유닛(410)이 진동하면 진동 유닛(410)과 진동부(300) 사이의 공기가 진동하게 되고, 상기 공기의 진동이 진동부(300)에 전달되어 진동부(300)가 진동 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진동 유닛(410)이 진동하면서 진동부(300)에 진동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진동부(300)가 진동 운동할 수 있다.
진동부(300)는 진동 유닛(410)의 진동에 따라 진동 운동함으로써 진동부(300)의 중앙에 수용된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진동부(300)의 형태 및 진동 유닛(410)으로부터 진동을 전달받는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발생 모듈(400)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4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소리 발생 모듈(400)은 진동 유닛(410)을 소리 발생 모듈(400)의 하부에 지지시키는 복수의 프레임(42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발생 모듈(400)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 유닛(4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유닛(410)은 진동하면서 공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진동하면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진동 유닛(410)의 중앙부에는 진동부(300) 및 제 1 완충부(220)의 적어도 일부가 내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유닛(410)은 중앙부가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소리 발생 모듈(400)은 복수의 프레임(4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프레임(420)은 진동 유닛(410)의 상부를 소리 발생 모듈(400)의 하부와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프레임이 진동 유닛(410)의 상부의 가장자리와 소리 발생 모듈(40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420)이 진동 유닛(410)과 소리 발생 모듈(400)의 하부를 연결하는 경우, 진동 유닛(410)과 복수의 프레임(4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0)는 바디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500)에는 커버부(100), 진동부(300), 소리 발생 모듈(400), 제 2 완충부(210) 및 제 1 완충부(220)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500)는 커버부(100), 진동부(300), 소리 발생 모듈(400), 제 2 완충부(210) 및 제 1 완충부(220) 중 적어도 두 개를 결합시킬 수 있다.
바디부(50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소리 발생 모듈(4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500)의 하측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소리 발생 모듈(400)의 하부가 상기 원형의 개구부를 통과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500)의 적어도 일부는 소리 발생 모듈(400)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1000)가 소리를 출력하면 바디부(500)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피커(1000)의 바디부(500)에 신체의 일부를 접촉하면서 소리를 촉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0)는 소리를 출력하며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진동을 이용하여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000)는 소리를 출력하며 스피커(1000)의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피커(1000)를 보거나 만지면서 소리를 시각적, 촉각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소리 발생 모듈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발생 모듈(400)은 진동 유닛(410) 및 복수의 프레임(420)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 발생 모듈(400)은 외부에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 유닛(4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발생 모듈(400)은 외부에서 수신한 전기적인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 유닛(410)을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다.
소리 발생 모듈(400)의 내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진동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내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발생 모듈(400)의 진동 유닛(410)은 중앙부가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부(300)의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는 소리 발생 모듈(400)의 내측 상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진동부(300) 및 제 1 완충부(220)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 유닛(410)의 중앙부에 수용될 수 있다. 소리 발생 모듈(400) 및 진동 유닛(410)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유닛(410)은 소리 발생 모듈(400)이 수신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이한 패턴으로 진동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420)은 진동 유닛(410)의 상부를 소리 발생 모듈(400)의 하부와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420)이 진동 유닛(410)의 상부를 소리 발생 모듈(400)의 하부와 연결함으로써, 진동 유닛(410)과 복수의 프레임(4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유닛(410)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와 소리 발생 모듈이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0)의 진동부(300)와 소리 발생 모듈(400)은 제 1 완충부(220) 및 제 2 완충부(21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1000)는 진동부(300)의 외측부와 소리 발생 모듈(400)의 외측부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 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 수단(230)은 진동부(300)의 외측부와 소리 발생 모듈(400)의 외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수단(230)은 금속 스프링, 접착용 테이프, 접착용 직물, 탄성을 가진 부재,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는 중앙부가 한 쪽 방향으로 절곡된 사각형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결합 수단(230)의 소재 및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가 구비된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0)는 진동부(300) 및 제 1 완충부(220) 및 제 2 완충부(21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지 않고, 특정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1000)는 방수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부재(310)는 소리 발생 모듈(4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특정 액체가 소리 발생 모듈(4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 부재(310)는 특정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 부재(310)는 진동 유닛(4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중앙부가 아래로 오목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액체는 방수 부재(310)의 중앙부에 수용될 수 있다.
방수 부재(310)는 특정 액체가 투과되지 않도록 방수 기능을 가진 직물 소재, 합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부재(310)의 종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0)의 진동 유닛(410)은 방수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1000)는 진동부(300), 완충부(200) 및 방수 부재(31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정 액체는 진동 유닛(410)의 내측 상부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상면도로서, 커버부(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0) 내부에 수용된 특정 액체는 스피커가 발생시키는 진동에 따라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특정 액체는 스피커(1000)의 커버부(100)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피커(1000)의 내부에서 패턴을 형성하는 특정 액체를 스피커(1000)의 상부 커버(110)를 통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액체는 스피커(1000)가 출력하는 소리의 주파수, 크기, 파형,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이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스피커(1000)가 포함하는 커버부(100), 완충부(200), 진동부(300), 소리 발생 모듈(400) 및 바디부(500)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전술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0)는 제어부(700) 및 수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60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 정보는, 음원 데이터, 제목 정보, 아티스트 정보, 장르 정보, 빠르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음성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전달이 필요한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와이브로 단말기(Wibro Terminal),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네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발생 모듈(400)은 수신부(600)가 수신한 음원 정보의 음원 데이터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음원 데이터는 전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리 발생 모듈(400)은 전기 신호의 크기, 파형, 진동수(주파수), 파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0)는 상기 수신부(600)로부터 음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획득한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소리 발생 모듈(400)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음원 정보의 빠르기 정보(100bpm)에 기초하여 소리 발생 모듈(400)이 특정 진동(0.4초마다 한 번 진동, 0.5초마다 세 번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 액체는 특정 음원 정보에 따라 특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0)는 획득한 음원 정보를 분석하여 분위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분석된 분위기 정보에 기초하여 소리 발생 모듈(4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수신부(600)로부터 획득한 음원 정보(음원 데이터, 제목 정보: A, 아티스트 정보: B, 장르 정보: Soul, 빠르기 정보: 65BPM)를 분석하여 해당 음원 정보에 대한 분위기 정보(음원의 분위기: 잔잔함)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1000)의 저장부(미도시)에는 분위기 정보(음원의 분위기: 잔잔함)와 진동 정보(0.8초마다 한 번 진동)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700)는 해당 분위기 정보와 매칭되는 진동 정보를 저장부(미도시)로부터 획득하여 소리 발생 모듈(400)이 상기 진동 정보에 기초하여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액체는 특정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분위기 정보에 따라 특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분위기 정보에 맞는 이퀄라이저 세팅으로 패턴을 통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제어부(700)가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소리 발생 모듈(400)을 제어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 스피커에 있어서,
특정 액체의 스피커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부;
중앙부에 특정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소리 발생 모듈의 상측에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며, 진동 운동하는 진동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을 구비한 소리 발생 모듈; 및
상기 진동부의 내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진동 유닛의 내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진동 유닛의 진동에 따라 진동 운동함으로써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도록 야기하는,
스피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의 외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진동 유닛의 외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부는,
상기 진동부의 내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진동 유닛의 내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피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완충부는,
상기 진동부의 외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진동 유닛의 외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피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의 외측부와 상기 소리 발생 모듈의 외측부를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스피커.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금속 스프링, 접착용 테이프, 접착용 직물, 탄성을 가진 부재,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피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진동부, 소리 발생 모듈, 제 1 완충부 및 제 2 완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바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버부, 진동부, 소리 발생 모듈, 제 2 완충부 및 제 1 완충부 중 적어도 두 개를 고정시키는,
스피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진동 유닛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 유닛의 진동에 따라 진동 운동하는,
스피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하측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소리 발생 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스피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패턴을 형성하는 특정 액체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바디부에 결합하는 하부 커버;
를 포함하는,
스피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돔(dom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부 및 제 2 완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리 발생 모듈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부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탱하는,
스피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발생 모듈의 내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진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스피커. - 스피커에 있어서,
특정 액체의 스피커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부; 및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을 구비한 소리 발생 모듈―상기 진동 유닛은 특정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함―;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진동 유닛의 진동에 따라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도록 야기하는,
스피커.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방수 코팅된,
스피커.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발생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며, 특정 액체가 상기 소리 발생 모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상기 음원 정보는 음원 데이터, 제목 정보, 아티스트 정보, 장르 정보, 빠르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음원 정보를 분석하여 분위기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분위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리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 스피커에 있어서,
특정 액체의 스피커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부;
중앙부에 특정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소리 발생 모듈의 상측에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며, 진동 운동하는 진동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을 구비한 소리 발생 모듈;
상기 진동부의 내측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진동 유닛의 내측 상면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완충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진동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진동 유닛의 진동에 따라 진동 운동함으로써 특정 액체가 패턴을 형성하도록 야기하는,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6954 | 2017-09-29 | ||
KR20170126954 | 2017-09-29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9938A Division KR20190083630A (ko) | 2017-09-29 | 2019-07-03 | 모두를 위한 스피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8248A true KR20190038248A (ko) | 2019-04-08 |
KR102004510B1 KR102004510B1 (ko) | 2019-07-26 |
Family
ID=661643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3477A KR102004510B1 (ko) | 2017-09-29 | 2018-02-27 | 모두를 위한 스피커 |
KR1020190079938A KR20190083630A (ko) | 2017-09-29 | 2019-07-03 | 모두를 위한 스피커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9938A KR20190083630A (ko) | 2017-09-29 | 2019-07-03 | 모두를 위한 스피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00451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9367A (ko) * | 2004-11-29 | 2006-06-02 | 주식회사 청음전자 | 스피커 |
KR100808196B1 (ko) | 2006-06-21 | 2008-0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피커 및 그 제어방법 |
KR20110011783U (ko) * | 2010-06-16 | 2011-12-22 | 킹스테이트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 압전형 스피커 |
KR101107051B1 (ko) * | 2010-12-28 | 2012-01-25 |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 음압 시각화장치가 채용된 스피커 |
KR20150000243A (ko) * | 2013-06-24 | 2015-01-02 | 유성우 | 열융착용 테이프로 접착된 스피커 및 그 접착방법 |
-
2018
- 2018-02-27 KR KR1020180023477A patent/KR1020045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7-03 KR KR1020190079938A patent/KR20190083630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9367A (ko) * | 2004-11-29 | 2006-06-02 | 주식회사 청음전자 | 스피커 |
KR100808196B1 (ko) | 2006-06-21 | 2008-0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피커 및 그 제어방법 |
KR20110011783U (ko) * | 2010-06-16 | 2011-12-22 | 킹스테이트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 압전형 스피커 |
KR101107051B1 (ko) * | 2010-12-28 | 2012-01-25 |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 음압 시각화장치가 채용된 스피커 |
KR20150000243A (ko) * | 2013-06-24 | 2015-01-02 | 유성우 | 열융착용 테이프로 접착된 스피커 및 그 접착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3630A (ko) | 2019-07-12 |
KR102004510B1 (ko) | 2019-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59783B2 (en) | Converting audio to haptic feedback in an electronic device | |
CN107872757B (zh) | 音频驱动器组件和阵列扬声器 | |
KR102229137B1 (ko) | 표시장치 | |
JP7387019B2 (ja) | 音響出力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 |
KR101797628B1 (ko) |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 |
CN108886542B (zh) | 系统、终端设备、方法和记录介质 | |
CN103999477A (zh) | 电子装置 | |
US20150016639A1 (en) | Miniature Speaker | |
US9363588B2 (en) | Panel-form loudspeaker | |
CN109511063B (zh) | 一种电子设备 | |
KR102004510B1 (ko) | 모두를 위한 스피커 | |
KR20170131332A (ko) |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을 출력하는 휴대 전자 기기 | |
US10362390B2 (en) | Vibration diaphragm | |
KR20160074813A (ko) | 올인원 소자 | |
CN108430652A (zh) | 包括改善后结构的振动输出装置及包括其的便携电子设备 | |
KR101395265B1 (ko) | 골 진동 이어폰 | |
US10291988B2 (en) | Vibration diaphragm | |
KR20170039116A (ko) |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 |
RU2807171C1 (ru) | Системы,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вывода акустических сигналов | |
US20240223957A1 (en) | Vibrator and hearing device | |
CN116033324A (zh) | 一种发声模组、电子设备及控制方法 | |
JP2019185610A (ja) |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操作パネルの固定方法 | |
KR20170087056A (ko) | 진동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 |
KR20170087017A (ko) | 진동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 |
WO2013088678A1 (ja) | 電子機器及び音声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