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016B1 - 브러시 터프팅 기 및 터프팅 텅 - Google Patents
브러시 터프팅 기 및 터프팅 텅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9016B1 KR102499016B1 KR1020187033430A KR20187033430A KR102499016B1 KR 102499016 B1 KR102499016 B1 KR 102499016B1 KR 1020187033430 A KR1020187033430 A KR 1020187033430A KR 20187033430 A KR20187033430 A KR 20187033430A KR 102499016 B1 KR102499016 B1 KR 1024990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ue
- tufting
- tip
- guide
- brus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4—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 A46D3/042—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for fixing bristles using an anchor or stapl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8—Parts of brush-making machines
- A46D3/082—Magazines for bristles; Feeding bristles to magazines; Knot pi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e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선단(34)을 갖는 터프팅 공구(12)를 포함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에서, 터프팅 공구(12)는 수평 축(40)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반면, 터프팅 텅(52)은 선단(34)에서 선형적으로 안내된다. 더 나아가, 터프팅 텅(52)이 기재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단을 갖는 터프팅 공구(tufting tool)로서, 다발 인계 위치와 터프팅 위치 사이에서 제1 축을 중심으로 그 선단과 선회할 수 있으며, 다발을 포함하는 앵커(anchor)를 가이드를 따라 마무리된 브러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강모 캐리어(bristle carrier)에 스터핑(stuffing)하는 텅을 위한 상기 가이드를 선단에서 포함하는, 터프팅 공구를 포함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기를 위한 터프팅 텅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브러시 터프팅 기는 EP 1 803 372 B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브러시 터프팅 기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다발 제거기와, 또한 수직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터프팅 공구를 포함한다. 다발 제거기는 강모 매거진(bristle magazine)으로부터 다발을 분리하여 이들 다발을 선단 바로 뒤의 터프팅 공구에 인계한다. 이 선단은 텅을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여, 텅은 앵커를 포함하여 픽업된 다발을 가이드를 따라 마무리된 브러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강모 캐리어에 안내하여, 이를 강모 캐리어의 개구에 충돌시킨다.
앵커는 금속 플레이트렛(platelet) 또는 와이어 루프일 수 있다.
분리된 다발을 픽업한 후, 터프팅 공구는 강모 캐리어를 향해 회전하게 되며, 텅은 이러한 회전 움직임을 따르며 이미 이 회전 움직임 동안 또는 터프팅 위치에 도달한 후 선단 내로 더 깊이 관통하여, 마지막으로 앵커를 포함하는 다발을 강모 캐리어에 충돌시킨다.
선단에서의 호-형상 가이드를 갖는 터프팅 공구와 텅 모두는 원호 부분 상에서 움직인다.
대안적으로, DE 43 24 249 A1으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선형 텅을 갖는 선형 가동성 터프팅 공구가 있다.
그러한 브러시 터프팅 기는 더욱 빠른 주기 시간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브러시 터프팅 기를, 더 빠른 주기 시간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기는, 선단을 갖는 터프팅 공구로서, 다발 인계 위치와 터프팅 위치 사이에서 제1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다발을 포함하는 앵커를 가이드를 따라 강모 캐리어에 스터핑하는 텅을 포함하는, 터프팅 공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기에서는, 텅의 가이드가 선단에서 선형적으로 연장하며, 터프팅 위치에서 텅의 전방 단부는 터프팅 공구에 대해 선형 충돌 움직임을 실행시킨다. 텅은 전방의 안내된 부분 - 이 부분은 강모 캐리어 인근에 장착되며 터프팅 위치 내로 공급 시 선단에서 가이드에 장착됨 - 과, 후방의 구동-측 부분을 가지며, 후방 부분의 횡단면은 전방 부분의 횡단면보다,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특히 3배 이상 더 크다. 텅 및 선단의 각각의 위치에서, 후방 부분은 선형 가이드 내로 국지적으로(sectionally) 돌출한다. 가이드에서의 마찰력은 그에 따라 증가하며, 이는 텅의 더 뻣뻣한 부분이 가이드 내로 돌출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더 안정된 부분이 횡단면이 균일하게 더 커지며 그에 따라 가이드(들) 밖에 놓여서, 가이드는 여기서 존재하지 않음이 틀림없다. 그러므로 후방 부분은 구동-측 단부 부분까지 안내되지 않아, 텅의 공급 및 후속한 복귀 움직임 동안 이 부분에서만 구부려진다.
종래 기술에서, 선단의 움직임이 그 전방 부분에서의 텅의 움직임을 결정한다는 규칙이 항상 있었다. 선단 영역에서의 움직임 변화는, 이 영역에서 매우 얇은 선단에 추가로 로딩하지 않도록 그리고 무엇보다도 움직임의 경로를 안전하고 손쉽게 결정하고 설계하기 위해, 이뤄지지 않아야 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점은, 선단이 원형 경로 상에서 움직이고 있었을 때, 텅의 전방 단부는, 텅이 선단에서 가이드 밖으로 움직이고 있었을 때 이 원형 경로를 또한 계속해야 한다는 점이다. 역으로, 텅은, 선단 자체가 선형적으로 전후로 움직이고 있었을 때 선단에서 가이드 밖으로 선형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 텅은 선단의 회전 움직임 동안 원호 세그먼트 형태로 형성되었으며 선단에서의 가이드는 또한 원호 부분을 나타내었지만, 선형 충돌 움직임이 본 발명에서는 터프팅 공구의 회전 움직임에도 선형 가이드에 의해 실현된다. 터프팅 공구의 회전 움직임은 선형 움직임에 비해 유리하며, 이는 역방향 회전 움직임이 적은 노력, 큰 정밀도 및 특히 고속으로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형 움직임이 그 전방 단부에서 텅에 의해 실행된다는 사실로 인해, 이 움직임은 더 빨리 실행될 수 있다. 선형 충돌 움직임으로 인해, 가이드에 대한 마찰은 감소한다. 더 나아가, 앵커를 포함한 다발의 움직임은 전체 움직임의 마지막 부분에서 선형이며, 결국 선단 및 텅의 전방 단부에 대해 감소한 공간 요건을 야기한다. 텅이 터프팅까지 그 움직임의 마지막 각도에서 또한 원형 경로 상에서 연장할 때, 움직임의 불리한 측면 성분이, 다발이 눌릴 때 발생하여, 선단의 단부에 로딩되며, 가이드에서 추가 마찰을 발생시킨다. 증가한 횡단면으로 인해, 구부려지게 되는 영역은 탄성 텅에서 실현되어, 텅은 증가한 서비스 수명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강모 캐리어는, 예컨대 개구가 구비된 플레이트렛일 수 있으며, 이것은 후에 브러시 본체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되어 공통 브러시 본체를 얻거나, 강모 캐리어는 또한 브러시 본체 자체가 될 수 있다.
텅의 전방 부분의 횡단면은, 특히 그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동일하고 및/또는 텅의 후방 부분의 횡단면은 그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동일하여, 더 용이한 제조성을 제공한다.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에서, 전환 부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부분에서, 횡단면의 특정한 연속 전환이, 특히 횡단면이 서로에게 그 반경에 있어서 합쳐짐으로써, 이뤄진다. 이러한 구성은 노치 인장(notch tensions)을 회피시키며, 이러한 인장은 그렇지 않을 경우에 형성되는 쇼울더에서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에서 존재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체결 부분이 구동-측 단부에서 후방 부분과 이웃할 수 있어서, 구동-측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 및/또는 돌출부가 여기서 폭 방향으로 존재할 수 있어서, 구동 측 상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텅의 각 위치에서 그리고 선단의 각 위치에서, 후방 부분은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 가이드 내로 국지적으로 돌출한다.
이 제2 가이드는, 선형적으로 또는 회전 구동부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원호의 형태로 연장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성은 양측 상에서 및 선단의 가이드와 유사하게 상단 및 하단에서 텅을 안내하는 것이다. 예컨대, 안내 홈이 상부 또는 하부 부분에 설계될 수 있으며, 상단 부분 또는 하단 부분 상에 또는 그 아래에 있는 부분은 편평할 수 있거나, 또한 안내 홈의 일부분이 구비될 수 있어서, 제2 가이드는 함께 폐쇄된다. 대안으로서, 텅은 적어도 일 측 상에서 롤러를 따라 연장할 수 도 있으며 롤러에 의해 안내될 수 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후방 부분은 선단으로부터 이격되며 그리하여 선단의 가이드로부터 이격된 제2 가이드 내로 돌출하며, 그러나 제2 가이드 내로는, 전방 부분이 또한 돌출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에서는, 텅 및 선단의 각 위치에서, 후방 부분은 제2 가이드 내로 국지적으로 돌출하지만, 이때 구동-측 체결 부분까지 안내되지 않아, 텅의 공급 및 복귀 움직임 동안 오로지 이 안내되지 않은 부분에서 구부려진다.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 가이드는 선단에서 가이드와 정렬된 선형 가이드일 수 있다. 즉, 이것은 선단에서의 가이드와 하나의 평면에 있다.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 가이드는 선단과 기계적으로 단단히 결합된 베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 2개의 가이드는 공동 가이드까지의 거리 없이 서로에게 합쳐진다.
바람직하게는 언제나, 즉 선단의 위치 및 텅의 위치와 독립적으로,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의 전환부가 이 제2 가이드에 위치한다. 이점은 특히 유리하며, 이는 이 부분이 강도 및 장기간 안정성에 있어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텅은 일체형의 균일한 두께의 스프링 강 스트립(strip)이어야 한다. 스프링 강 스트립은 텅이 많은 노력 없이도 회전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게 한다. 텅을 움직일 때, 텅의 상이한 영역이 상이하게, 즉 언급한 바와 같이 원형 경로를 따라서 및 선형 가이드를 따라서 움직인다.
텅은 바람직하게는 그 자신의 회전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별도의 회전 아암이 텅을 구동하기 위해 존재한다. 이 구성이 의미하는 점은, 텅이 한편으론 그 피구동 단부의 영역에서 원호를 따라 움직이며, 다른 한편으론 선단에서의 가이드의 영역에서 선형적으로 움직인다는 점이다.
텅에 대한 가이드는 터프팅 공구의 회전 아암 상에 자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텅의 회전 아암의 축은 또한 제1 축이다.
터프팅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캠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및/또는 회전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캠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한 캠 구동부는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가능한 변형에서는, 터프팅 공구를 위한 그리고 텅의 회전 구동부를 위한 캠은 동일한 캠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매우 간단하게 강제 동기화를 제공한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별도의 전기 서보모터에 의해 터프팅 공구를 위한 및 텅을 위한 회전 아암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서보모터의 제어가 회전 아암의 움직임의 동기화를 제공한다.
제1 축으로부터의 선단의 전방 단부의 거리는 적어도 200mm, 특히 적어도 300mm여서, 가이드의 움직임은 매우 큰 호 반경에서도 발생한다. 이 상대적으로 큰 회전 반경은 또한, 다발 인계 위치와 터프팅 위치 사이에서 회전 아암에 대한 회전각이 매우 작음, 예컨대 2°와 5°사이가 됨을 보장한다. 그러나 이 작은 회전각은 이미 터프팅 공구의 전체 스트로크를 실행하기에 충분하다.
터프팅 공구의 공급 스트로크는 예컨대 다발 인계 위치와 터프팅 위치 사이에서 선단의 전방 단부로부터 측정할 때 단지 15 내지 20mm에 이를 수 있다. 이 작은 스트로크는 또한 큰 주기 시간을 보장한다. 종래 기술에서, 25mm의 대응 스트로크가 보통이었다. 스트로크의 감소 백분율은 그러므로 막대하다.
선단에서의 가이드는 실질적으로 선형적으로, 예컨대 수평으로 연장할 수 있다. 터프팅 위치에 관련되는 이 수평 코스는, 선형 가이드가 원형 세그먼트의 형상을 갖는 것보다 제조하기 훨씬 용이하므로, 부품의 서로에 대한 정렬 및 특히 그 제조를 간략화한다.
제1 축은 수평으로 정렬되는 축일 수 있는 반면, EP 1 803 372B1에서, 축은 수직으로 정렬되었다.
강모 캐리어가 길쭉한 형상을 가질 때, 강모 캐리어의 길이 방향은 특히 제1 축에 평행하게 또는 약간 각을 이루게(즉, 15°내지 25°) 정렬된다. 터프팅 공구의 회전 움직임은 그러므로 강모 캐리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놓인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기는 소위 다발 디스플레이서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다발 디스플레이서는 선단 전방에 놓이는 별도의 부재이며, 그 다음 강모 터프트가 측면에 인접하게 터프팅될 때, 이미 강모 캐리어에 정착한 다발을 이 측면으로 강제한다. 선단 자체가 내려가는 움직임을 하며 터프팅된 강모 터프트를 변위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기에 의해, 그러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서는 필요치 않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기는 더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또한 덜 복잡하여, 더 높은 주기 시간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기는 부가적으로, 분리된 다발을 터프팅 공구, 특히 수평 평면에 공급하는 다발 제거기를 포함한다.
다발 제거기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거나 회전할 수 있는 판형 원호 세그먼트 또는 회전 디스크일 수 있다.
터프팅 공구는 강모 캐리어에 대해 정렬될 수 있어서, 다발 인계 위치로부터 터프팅 위치로 제1 축 방향에서 본 선단의 전방 단부는 수직 하방으로 향하는 구성요소로 움직임을 실행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점은, 선단의 단부가 정상으로부터 하방으로 강모 캐리어에 각을 이루고 움직여, 즉 약간 내려가, 이미 터프팅된 강모가 옆으로 강제된다는 점이다.
선단에서, 즉 단부의 영역에서 그 바닥 측 상에서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경사진 표면이 단부를 향해 각을 이루고 상방으로 향하며, 이미 터프팅된 강모 터프트에 대한 디플렉터(deflector) 표면을 형성한다. 물론, 상부 측은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될 수 있어서, 선단은 단부를 향해 테이퍼링된다.
터프팅 공구에 면하는 다수의 강모 캐리어에 대한 홀더를 갖고 수직의 제2 축을 중심으로 예컨대 회전하는 드럼이 사용될 수 있다. 드럼의 홀더에 배열되는 터프팅 공구에 면하는 강모 캐리어는 그에 따라 직접 채워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이것은 여러 위치를 점유할 수 있는 일종의 회전 공구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기용 텅, 즉 터프팅 텅에 관한 것이다. 텅은, 선단에서 가이드에 장착되도록 강모 캐리어 인근의 전방 부분과, 후방 구동-측 부분을 포함하는 균일한 두께의 스프링 강 스트립이며, 후방 부분의 횡단면은 전방 부분의 횡단면보다 크며, 텅은 0.2mm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구동-측 단부에서, 텅은, 구동 측 상에 부착을 위해 폭 방향으로의 돌출부 및/또는 리세스를 갖는 체결 부분을 갖는다.
텅은, 길이를 따라 스프링 강 스트립의 폭을 규정하는 2개의 반대편 길이 방향 에지를 가지며, 길이 방향 에지 중 하나는 완전히 선형적으로 연장하며, 다른 하나의 길이 방향 에지는 쇼울더를 가져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의 전환을 형성한다.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텅에 대한 간단한 펀칭 공구의 사용을 허가한다. 더 나아가, 텅은 측방향 에지 중 하나 상에서 가이드되며, 이것은 이 에지의 선형 연장으로 인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텅은 또한 터프팅 기와 연계하여 앞서 기재한 특성 모두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역으로, 터프팅 기는 본 발명에 따른 텅과 연계하여 언급한 속성 및 특성을 가질 수 있음을 강조해야 한다.
추가 장점 및 특성을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볼 수 있다.
도 1은, 부가적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브러시 터프팅 기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강모 매거진이 생략된 도 1의 브러시 터프팅 기를 도시하며, 별도로 도시된 텅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기에 속해 있지 않다.
도 3은, 텅이 다발 인계 위치에 있는 도 1의 터프팅 공구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장치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텅의 변형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부가적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브러시 터프팅 기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강모 매거진이 생략된 도 1의 브러시 터프팅 기를 도시하며, 별도로 도시된 텅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기에 속해 있지 않다.
도 3은, 텅이 다발 인계 위치에 있는 도 1의 터프팅 공구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터프팅 장치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텅의 변형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브러시용 다수의 홀더를 가진 드럼(10), 터프팅 공구(12), 강모 매거진(14), 다발 제거기(16) 및 터프팅을 위한 텅(52)을 포함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를 도시한다. 더 나아가, 상징적으로 화살표로 나타내는, 예컨대 와이어 루프 또는 금속 플레이트렛 형태의 소위 앵커(20)를 위한 피더(18)가 제공된다.
브러시 터프팅 기에서, 강모 캐리어(22), 예컨대 개구를 가진 플레이트렛 - 이후에 마무리된 브러시의 일부분임 - 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벽한 브러시 본체 형태인 강모 캐리어(22)가 채워진다.
드럼(10)은 회전 홀딩 공구로서 설계되며, 여기서 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캐리어(26) 상에는, 강모 캐리어(22)를 위한 여러 홀더가 수용되며, 이러한 강모 캐리어는, 특정 위치에서 캐리어(26)에 공급되며 다른 위치에서 제거되며 채워진다.
축(24)은 바람직하게는 수평이거나 (수평에 15°내지 25°로) 약간 각을 이루고 있거나, 기다란 강모 캐리어(22)가 그 길이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마찬가지로 축(24)에 약간 각을 이루고 정렬된다.
아래에 예시한 터프팅 움직임 동안, 채워지는 강모 캐리어(22)는, 캐리어(26)를 수직 평면에서 움직임으로써 2개의 축에서 움직여서, 채워질 강모 캐리어의 연속되는 개구는 항상 제공되는 그 다음 강모 터프트에 면하며 그와 정렬된다.
강모 매거진(14)은, 주문된 강모(28)가 서로 나란히 위치 지정된 기계적으로 사전 인장된 베어링을 포함한다. 판형 원호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수직 축(30)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다발 제거기(16)가 강모(28)를 갖는 매거진을 따라 이동하며 다발을 제거하며, 이는 다발 제거기(16)가 그 이동 외부 에지 상에 노치(32)를 갖고 있기 때문이며, 노치는 강모 다발로 채워진다.
터프팅 공구는 전방 단부(36)를 갖는 선단(34)을 포함하며, 선단은 도 1에 도시한 터프팅 위치와 다발 인계 위치 사이에서 제1, 바람직하게는 수평 축(40)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선단(34)은 그러므로 원형 경로 상에서 움직인다.
터프팅 위치에서, 단부(36)는 강모 캐리어(22)와 접촉할 수 있거나 강모 캐리어의 표면에 상당히 가깝게 될 수 있다.
다발 인계 위치에서, 단부(36)는 점선(44)에 위치한다. 다발 인계 위치와 터프팅 위치 사이에 얻어지는 스트로크는 단지 15mm와 20mm 사이에 이른다.
터프팅 공구(12)는 회전 아암(46)을 포함하며, 이 아암은, 한 단부에서 베어링(48)과 결합된다. 이 베어링(48)은 축(40)에 대응하는 베어링이다.
회전 아암(46)의 반대편 단부는 선단(34)에 합쳐지는 베이스(50)를 지닌다.
선단(34)에서, 횡단면이 슬롯형인 가이드(56)가 구비되며, 이러한 가이드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선단(34)에서 가이드(56)는 선형적으로 연장한다.
베이스(50)는, 그 상부 측 상에, 가이딩 홈으로서, 즉 도 2에 도시한 텅(52)을 위해 설계되는 홈(51)을 가지며, 이러한 텅(52)은 도 2에서 양방향 화살표에 따라 베이스(50)에 대해 왕복 운동한다. 텅(52)은 베이스(50) 상에서 안내되며, 리드(57)(도 3 참조)가 베이스 상에 배치되며,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최종 제2 가이드(58)의 상부 단부를 형성하며, 이러한 가이드는 마찬가지로 선형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가이드(56)와 동일 평면에 놓인다.
부가적으로, 제2 가이드(58)는 또한 호형일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 2개의 상이한 실시예에 따른 텅(52)은 다시 별도로 도시한다. 두 실시예에 대해, 다음이 적용된다: 텅(52)은 항상 전방의 안내되는 부분(53)을 가지며, 이 부분은 상대적으로 좁은 횡단면을 가지며, 선단(34)과 베이스(50)의 영역에서 제1 가이드(56)와 제2 가이드(58)에서 안내된다. 게다가, 텅(52)은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55)을 가지며, 이 후방 부분은 도 2의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설계되지만,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별되게 더 길며, 후방 부분(55)의 횡단면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의 팩터만큼, 특히 적어도 3의 팩터만큼 전방 부분(53)의 횡단면보다 더 크다. 두 실시예는 공통으로, 전방 부분(53)의 영역에서, 텅(52)의 횡단면이 각각 이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며, 후방 부분(55)의 영역에서 또한 후방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점을 갖는다.
일체형 텅(52)은, 도 3의 도면에서 측정됨에 따라, 적어도 0.2mm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스프링 강 스트립이다. 도면 평면에서, 그러나 텅(52)은 도 2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별되게 더 넓다.
전방 부분(53)과 후방 부분(55) 사이에는, 소위 전환 부분(90)이 존재하며, 횡단면의 전환은 연속적으로 실현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방 부분(53)은 길이 방향에서 볼 때 후방 부분(55)에 대해 중앙으로 연장하여, 대칭 축이 길이 방향으로 생성된다. 반경을 통해, 더 넓은 후방 부분(55)은 이때 전환 부분(90)의 영역에서 더 좁은 전방 부분(53)에 합쳐진다.
도 2의 실시예에서, 텅(52)의 각 위치에서 전방 부분(53)은 제1 및 제2 가이드(56, 58)에서 연장한다.
게다가 별도인 것으로 앞서 도시한 텅(52)의 경우, 후방 부분(55)은 제2 가이드(58)에 들어가지 않으며, 이는 후방 부분(55)은 길이 방향으로 너무 짧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2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부분(55)이 더 길어질 때, 이 부분은, 국지적으로, 즉 그 전방 단부 부분이, 어느 때라도 가이드(58) 내로 돌출하며, 이점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텅(52)의 후방 체결 단부(92)는 회전 구동부(82)에 의해 원호를 따라 움직인다. 회전 구동부(82)는 제1 축(40)과 일치하는 축을 갖는 회전 아암(84)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한 텅(52)은 도 2의 텅보다 제조가 손쉬우며, 그 동작 모드가 양호하다. 다음에서, 도 2의 텅과의 유일한 차이점을 기술할 것이며, 기타 모든 특성은 도 2의 텅과 동일하다. 전방 부분(53)은 후방 부분(55)에 대해 중앙에 배열되기보다는 2개의 길이 방향 에지(94, 100) 중 하나 상에 연장부로서 연장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점은, 전방 부분(53), 전환 부분(90) 및 후방 부분(55)의 영역에서, 길이 방향 에지(94)가 연속적으로 선형인 에지로서 설계된다는 점이다. 체결 부분(92)의 영역에서만, 폭 방향으로 돌출부(96)가 있으며, 이 돌출부는 텅(52)을 분리하여 구동부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리세스(98)가 또한 동일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반대편 길이 방향 에지(100) 각각은 전방 부분(53) 및 후방 부분(55)의 영역에서의 길이 방향 에지(94)에 대해 선형이지만, 전환 부분(90)의 영역에 쇼울더가 있다. 여기서, 이 쇼울더에 의해 코너가 만들어지기보다는 오히려 리세스 없는 반경(104) 또는 포인트형 리세스(102) 중 어느 하나(점선으로 도시함)에 의해 만들어진다.
텅(52)이 도 2에서 점선으로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이 실시예의 더 넓은 부분(55)은 각 위치에서 텅(52) 및 선단(34)으로부터 가이드(58) 내로 돌출한다. 도 3은 후방 부분(55)의 안내되지 않은 영역(106)을 도시하며, 이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오로지 텅(52)의 구부러짐이 동작시 실현된다.
선단(34)과 베이스(50) 사이에, 삽입 개구(60)(도 1 참조)가 구비되며, 이것은 측면을 향해 개방되며, 그 내부로, 강모 터프트가 다발 제거기(16)에 의해 삽입될 수 있으며, 앵커(20)가 피더(18)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텅(52)의 전방 단부(54)는 선단(34)에 의해 관통하여 푸시될 수 있어서, 별도의 강모 터프트를 접을 수 있으며, 이들 터프트를 앵커(20)와 함께 강모 캐리어(22)에서 개구에 충돌시킨다.
선단(34)의 단부(36)는 제1 축(40)으로부터 거리를 가지며, 이 거리는 적어도 200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mm에 이른다.
다발 인계 위치와 터프팅 위치 사이의 회전각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3°이며, 그에 따라 매우 작다.
회전 아암(46)은 서보모터에 의해 또는 이하에서 예시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앞서 언급한 3°만큼 앞뒤로 회전한다.
각 회전 아암(46, 84)은 각각 캠(68A, 68B 및 70A, 70B)에 의해 구동된다. 이들 캠은 공통 캠 샤프트(71) 상에 자리한다. 캠 샤프트(71)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것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캠(68A 및 68B와 70A 및 70B)은, 원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외부 둘레를 갖는 인접한 디스크 쌍으로 설계된다.
캠(68A)에 대해, 회전 아암(46) 상에 롤러(64)가 있으며, 이 롤러와, 캠(68A)은 접촉할 수 있다. 대응하는 접촉의 경우, 캠(68A)은 회전 아암(46)을 반시계 방향으로 터프팅 위치를 향해 강제한다.
터프팅 공구의 제2 아암(62) 상에서, 캠(68B)은, 이것이 접촉할 수 있는 롤러(66)를 갖는다.
캠(68A)은 그러므로 반시계 방향으로, 즉 터프팅 방향으로 터프팅 공구(12)의 회전 움직임을 책임지는 반면, 캠(68B)은 그 관련 롤러(66)를 통해 시계 방향으로 터프팅 공구의 회전 움직임을 책임진다.
대안으로서, 단 하나의 캠(68A 또는 68B)을 사용하며 또한 롤러(64 또는 66)를 이 단 하나의 캠에 대항하여 스프링을 통해 영구적으로 강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더 높은 주기율에서, 그러나 2개의 캠(68A 및 68B)이 더 유리하다.
회전 아암(46)의 구동과 유사하게, 캠(70A 및 70B)의 대응하는 설계도 회전 아암(84)의 구동을 위해 제공된다. 캠(70A)은 예컨대 회전 아암(84)과 결합되는 아암(75) 상에서 롤러(73)와 접촉한다.
도면에서 가려져 있지만, 롤러(64)에 대응하는 관련 롤러가 회전 아암(84) 상에 자리하며, 캠(70B)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텅(52)에 대한 회전 아암(84)은 캠(70A 및 70B)을 통해 2개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브러시 터프팅 기의 동작 모드를 이하에서 간략하게 설명할 것이다.
다발 인계 위치에서, 다발 제거기는 수평 평면에서 제거된 다발을 삽입 개구(60)에 회전시킨다. 이 위치에서, 텅(52)은, 이것이 다발 제거기를 위해 삽입 개구(60)를 비울 정도로 후방으로 움직인다. 이것이 의미하는 점은, 복귀 움직임이 텅(52)이 가이드(56)를 간단히 떠나며 단지 가이드(58)에 수용된다는 점에 이르게 된다는 점이다. 피더(18)는 앵커(20)를 또한 삽입 개구(60)에 이송한다(도 2 참조). 후속하여, 터프팅 공구(12)는 강모 캐리어(22)를 향해 회전한다.
도 3은, 예시한 다발 인계 위치로부터 터프팅 위치로 약간의 내려가는 움직임으로 선단(34)이 전방으로 그리고 약간 수직 하방으로 움직임을 도시한다.
단부의 영역에서 선단(34)의 바닥 측 상에, 경사진 표면(71)이 형성되며, 이 표면은 단부(36) 및 정상을 향하며, 이미 터프팅된 강모 터프트(72)를 아래로 눌러, 연속되는 터프팅 동작 동안, 텅(52), 공급된 강모 터프트 또는 앵커가 이미 터프트된 다발(72)의 강모와 접촉할 위험이 없게 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점은, 선단(34)이 이전에 구비된 별도의 또는 별도로 구동되는 다발 디스펜서의 기능을 인계받는다는 점이다.
이미 다발 인계 위치와 터프팅 위치 사이의 회전 스트로크 동안 또는 추후에 터프팅 위치에서, 회전 구동부는 텅(52)을 베이스(50)에 대해 그리하여 터프팅 공구(12)에 대해 단부(36)의 방향을 향해 움직이며, 이 피드 움직임 동안 다시 삽입된 터프트와 함께 가이드(56)에 들어간다.
가이드(56)에서 텅(52)의 전방 단부(54)의 움직임은, 텅(52)이, 선단(34)으로부터의 앵커를 포함하는 강모 터프트를 가이드(65)로부터 강모 캐리어(22) 내로 누르게 하는 충돌 움직임처럼, 선형이다.
텅(52)은 다발을 접어, 와이어 루프나 금속 플레이트렛과 함께 강모 캐리어(22)에 충돌시켜, 최종적으로 최종 터프팅 위치에 도달한다. 이 다음에 텅(52) 및 선단(34)의 복귀 움직임이 온다.
Claims (15)
- 선단(34)을 갖는 터프팅(tufting) 공구(12)를 포함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로서, 상기 터프팅 공구(12)는, 다발 인계 위치와 터프팅 위치 사이에서 제1 축(40)을 중심으로 그 선단(34)과 선회할 수 있으며, 상기 선단(34)에서, 다발과 함께 앵커(20)를 가이드(56)를 따라 마무리된 브러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강모 캐리어(22)에 스터핑하는 텅(52)을 위한 상기 가이드(56)를 포함하되,
상기 텅(52)의 가이드(56)가 상기 선단(34)에서 선형적으로 연장하며, 상기 텅(52)의 전방 단부(54)가 상기 터프팅 위치에서 상기 터프팅 공구(12)에 대해 선형 충돌 움직임을 실행하며, 상기 텅(52)은, 전방의 안내되는 부분(전방 부분)(53)으로서, 상기 강모 캐리어(22) 인근에 장착되며 상기 터프팅 위치 내로 공급 시 상기 선단(34)에서 상기 가이드(56)에 장착되는, 상기 전방 부분(53)과, 후방의 구동-측 부분(후방 부분)(55)을 가지며, 상기 후방 부분(55)의 횡단면이 상기 전방 부분(53)의 횡단면보다 더 크고, 상기 후방 부분(55)이 상기 텅(52)과 상기 선단(34)의 각각의 위치에서 선형 가이드(58) 내로 국지적으로(sectionally) 돌출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텅(52)의 전방 부분(53)의 횡단면 및 상기 텅(52)의 후방 부분(55)의 횡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그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 부분(53)과 상기 후방 부분(55) 사이에는, 전환 부분(90)이 존재하며, 상기 전환 부분에서, 횡단면들의 연속 전환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텅(52) 및 상기 선단(34)의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후방 부분(55)이 상기 선단(34)으로부터 이격되는 선형 가이드(58) 내로 국지적으로 돌출하며, 구동-측 체결 부분(92)까지 국지적으로 안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선단(34)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가이드(58)가 상기 선단(34)에서의 상기 가이드(56)와 정렬되는 선형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텅(52)이 일체형의 균일한 두께의 스프링 강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텅(52)이 회전 구동부(82)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56)가 상기 터프팅 공구(12)의 회전 아암(46) 상에 홀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텅(52)이 그 자신의 피구동 회전 아암(8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프팅 공구(12) 및 상기 텅(52)의 회전 아암들(46, 84)은 동일 축(40)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터프팅 공구(12)가 적어도 하나의 캠(68A, 68B)에 의해 구동되는 것 및 상기 회전 구동부(82)가 적어도 하나의 캠(70A, 70B)에 의해 구동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아암들(46, 84)이 이들 자신의 전기 서보모터들에 의해 회전하며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터프팅 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브러시 터프팅 기를 위한 텅으로서,
상기 텅(52)이 균일한 두께의 스프링 강 스트립이며, 상기 선단(34)에서 상기 가이드(56)에 장착되도록 상기 강모 캐리어 인근에 있는 전방 부분(53)과, 후방의 구동-측 부분(55)을 가지며, 상기 후방 부분(55)의 횡단면이 상기 전방 부분(53)의 횡단면보다 2배 이상 더 크며, 상기 텅(52)이 0.2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텅(52)이, 길이를 따라 상기 스프링 강 스트립의 폭을 규정하는 2개의 반대편 길이 방향 에지(94, 100)를 가지며, 상기 전방 부분(53) 및 후방 부분(55)과, 상기 전방 부분(53)과 상기 후방 부분(55) 사이의 전환 부분(90)의 영역에서 상기 길이 방향 에지들 중 하나(94)가 완전히 선형적으로 연장하며, 다른 하나의 길이 방향 에지(100)가 상기 전방 부분(53)과 상기 후방 부분(55) 사이에 전환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환 부분(90)에 쇼울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텅(52)의 구동-측 단부에서, 상기 텅(52)이, 구동 측 상에 부착하기 위해, 리세스(98)를 가진 체결 부분(92) 및 폭 방향으로의 돌출부(9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6107334.2A DE102016107334B4 (de) | 2016-04-20 | 2016-04-20 | Bürsten-Stopfmaschine und Stopfzunge |
DE102016107334.2 | 2016-04-20 | ||
PCT/EP2017/059296 WO2017182525A1 (de) | 2016-04-20 | 2017-04-19 | Buersten-stopfmaschine und stopfzun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5948A KR20180135948A (ko) | 2018-12-21 |
KR102499016B1 true KR102499016B1 (ko) | 2023-02-13 |
Family
ID=5863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3430A KR102499016B1 (ko) | 2016-04-20 | 2017-04-19 | 브러시 터프팅 기 및 터프팅 텅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EP (2) | EP4201257B1 (ko) |
KR (1) | KR102499016B1 (ko) |
CN (1) | CN109068843B (ko) |
DE (1) | DE102016107334B4 (ko) |
ES (1) | ES2939858T3 (ko) |
TW (1) | TWI728097B (ko) |
WO (1) | WO20171825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1026347B1 (de) * | 2018-10-30 | 2020-01-08 | Bart Gerard Boucherie | Bürsten-Stopfmaschine und Verfahren zum Stopfen |
DE102019126766A1 (de) * | 2019-10-04 | 2021-04-08 | Gb Boucherie Nv | Verfahren zum Überprüfen einer Stopfzunge eines Stopfwerkzeugs einer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sowie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
CN112690559B (zh) * | 2020-12-15 | 2023-10-31 | 安徽环美刷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机场刷用压料结构 |
EP4377326A1 (en) | 2021-07-30 | 2024-06-05 | CureVac SE | Cap analogs having an acyclic linker to the guanine derivative nucleobase |
WO2024160895A1 (en) | 2023-01-31 | 2024-08-08 | CureVac SE | Cap analogs with 5'-terminal acyclic guanosine derivativ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5056968A1 (de) * | 2005-11-30 | 2007-05-31 | Zahoransky Ag | Stopfeinrichtung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257097B (de) * | 1966-03-02 | 1967-12-28 | Zahoransky Anton Fa | Stopfwerkzeug fuer Buerstenherstellungsmaschinen |
DE3016790A1 (de) * | 1980-05-02 | 1981-11-05 | Fa. Anton Zahoransky, 7868 Todtnau | Buerstenherstell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uersten |
DE59107318D1 (de) * | 1991-11-21 | 1996-03-07 | Boucherie Nv G B |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Zungenposition in der Stopfeinheit in einer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DE4324249A1 (de) * | 1993-07-20 | 1995-01-26 | Zahoransky Anton Gmbh & Co |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Stopfwerkzeug-Stößers |
CN2209477Y (zh) * | 1994-12-17 | 1995-10-11 | 龙昌兄弟股份有限公司 | 毛刷自动制造机 |
CN2733996Y (zh) * | 2004-05-28 | 2005-10-19 | 深圳市龙岗区平湖白坭坑柏萌刷品厂 | 一种码钉植毛机的机头 |
DE202005020231U1 (de) * | 2005-12-27 | 2006-03-30 | Firma G.B. Boucherie N.V. | Bürsten-Stopfmaschine |
CN201414542Y (zh) * | 2009-05-15 | 2010-03-03 | 王勇 | 植毛机机头 |
DE102011010033A1 (de) * | 2011-02-02 | 2012-08-02 | Zahoransky Ag | Vorrichtung zum Stopfen von Borstenbündeln in Bündelaufnahmelöcher eines Trägerkörpers |
CN203435881U (zh) * | 2013-06-21 | 2014-02-19 | 扬州市海星数控制刷设备有限公司 | 一种五轴植毛机 |
BE1022749B1 (de) * | 2014-12-22 | 2016-08-29 | Gb Boucherie Nv | Bürsten-Stopfmaschine |
-
2016
- 2016-04-20 DE DE102016107334.2A patent/DE102016107334B4/de active Active
-
2017
- 2017-04-19 KR KR1020187033430A patent/KR10249901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4-19 CN CN201780025071.9A patent/CN109068843B/zh active Active
- 2017-04-19 WO PCT/EP2017/059296 patent/WO2017182525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4-19 EP EP23157760.2A patent/EP4201257B1/de active Active
- 2017-04-19 ES ES17719830T patent/ES2939858T3/es active Active
- 2017-04-19 EP EP17719830.6A patent/EP3445207B8/de active Active
- 2017-04-20 TW TW106113238A patent/TWI728097B/zh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5056968A1 (de) * | 2005-11-30 | 2007-05-31 | Zahoransky Ag | Stopfeinrichtu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28097B (zh) | 2021-05-21 |
EP4201257B1 (de) | 2024-10-09 |
EP3445207A1 (de) | 2019-02-27 |
EP3445207B1 (de) | 2023-02-22 |
ES2939858T3 (es) | 2023-04-27 |
EP3445207B8 (de) | 2023-04-12 |
CN109068843B (zh) | 2020-08-21 |
DE102016107334B4 (de) | 2020-03-19 |
WO2017182525A1 (de) | 2017-10-26 |
CN109068843A (zh) | 2018-12-21 |
TW201742573A (zh) | 2017-12-16 |
DE102016107334A1 (de) | 2017-10-26 |
EP4201257A1 (de) | 2023-06-28 |
KR20180135948A (ko) | 2018-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9016B1 (ko) | 브러시 터프팅 기 및 터프팅 텅 | |
KR102565289B1 (ko) | 브러쉬 스터핑 머신 | |
US7866757B2 (en) | Brush stuffing machine | |
JP4538036B2 (ja) | タフティング機用グリッパ | |
US7635169B2 (en) | Tuft picker device for a brush making machine | |
US20190276957A1 (en) | Needle for loop formation on a knitting or warp-knitting machine, knitting or warp-knitting machine having a plurality of such needle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needle | |
US7836729B2 (en) | Transfer needle with internal spring tip | |
CN101597836B (zh) | 织针驱动的脱圈沉降片 | |
JPH0433902B2 (ko) | ||
CN108149366A (zh) | 具有行进工作头的用于织机的折边装置的控制杆机构 | |
TWI582287B (zh) | 刺繡機及其操作方法 | |
CN110636777B (zh) | 毛刷填塞设备 | |
CN112930129B (zh) | 刷子填塞机以及用于填塞的方法 | |
US20060010926A1 (en) | Loop-forming system and sinker for such a system | |
CN102234872B (zh) | 调线装置的导纱器 | |
BE1022941A1 (fr) | Outil d'insertion et machine de fabrication de brosses | |
CN115701918A (zh) | 套圈工具尖端,用于其的引导滑块以及刷填塞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