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407B1 -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407B1
KR102498407B1 KR1020200163702A KR20200163702A KR102498407B1 KR 102498407 B1 KR102498407 B1 KR 102498407B1 KR 1020200163702 A KR1020200163702 A KR 1020200163702A KR 20200163702 A KR20200163702 A KR 20200163702A KR 102498407 B1 KR102498407 B1 KR 10249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ssenger
boarding pass
f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5534A (ko
Inventor
조미령
김유신
신경호
김인태
우기찬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6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4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승객이 비행기에 탑승할 때 얼굴 인식을 이용한 탑승객 정보를 기초로 탑승객의 기내 좌석 안내와 편의 서비스를 안내 및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SSENGER GUIDING AND IN-FLIGHT CONVENIENCE}
본 발명은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이 비행기에 탑승할 때 얼굴 인식을 이용한 탑승객 정보를 기초로 탑승객의 기내 좌석 안내와 편의 서비스를 안내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행기가 이륙하기 전 승객들을 모두 탑승시키는 데 일정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때 걸리는 탑승시간을 줄이는 것은 항공사의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서, 탑승시간을 줄임으로써 승객들의 대기 시간을 줄여 고객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항공사에게는 보다 높은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다.
현재의 많은 항공사들은 탑승 방법을 '등급(Class)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등급 방식은 예를 들어, 비행기의 좌석 번호가 1번부터 40번까지 있고, 각 번호별로 좌석이 A, B, C, D, E, F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기내의 통로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B 좌석과 C 좌석, D 좌석과 E 좌석이 배치되고, A 좌석과 F 좌석은 창가이다.
이런 경우 등급 방식은 예를 들어, 1번 ~ 10번을 '퍼스트 클래스', 나머지 11번부터 40번까지의 좌석들중에 11번 ~ 20번을 '비즈니스 클래스' 21번 ~ 40번을 '이코노미 클래스'로 분류한다.
한편, 탑승객이 비행기의 캐빈에 탑승할 때, 승무원은 캐빈 입구에서 개별 탑승객의 탑승권과 좌석 위치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탑승객은 승무원의 간단한 자리 안내에 따라 배정된 좌석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탑승객이 자신의 좌석 번호와 위치를 정확히 숙지하지 못한 경우, 탑승 시간의 지연과 함께 좌석 위치의 추가 안내에 따른 승무원의 업무 효율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111694호(발명의 명칭: 비행기 탑승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안내장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객이 비행기에 탑승할 때 얼굴 인식을 이용한 탑승객 정보를 기초로 탑승객의 기내 좌석 안내와 편의 서비스를 안내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승객의 얼굴을 인식한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승객의 탑승권 정보를 맵핑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승객의 얼굴이 기내 탑승중에 인식되면, 인식된 승객의 얼굴과 맵핑된 탑승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서 검색하여 기내의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기내의 캐비닛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캐비닛 프레임 및 캐비닛 덮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승객의 얼굴을 인식한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승객의 탑승권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획득한 탑승권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권을 발권하는 탑승권 발급부; 상기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탑승권 정보를 연결한 맵핑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이 인식되면, 인식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맵핑된 탑승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맵핑 정보를 기초로 검색하고, 검색된 탑승권 정보로부터 좌석 정보를 추출하여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좌석 위치가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내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발권된 탑승권을 스캔하여 획득한 탑승권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탑승권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탑승권 발급부는 승객으로부터 탑승권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승객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탑승권 정보와 얼굴 촬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탑승권 정보에 기반한 탑승권을 출력하는 인쇄부;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및 상기 얼굴 촬영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탑승권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탑승권 발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기내 확인부는 관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 저장된 맵핑 정보와 비교하여 탑승권 정보를 추출하는 탑승자 매칭부; 기내 캐비닛에 설치되고, 상기 탑승권 정보가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된 승객의 얼굴 정보를 기초로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탑승자 매칭부로 전송하고, 상기 탑승자 매칭부에서 검색된 탑승권 정보로부터 좌석 정보를 추출하여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좌석 위치가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내 확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기내 확인부는 기내 화장실 사용, 승무원 호출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미리 설정된 화면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탑승권 발급부와, 관리 서버와, 기내 확인부를 이용한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방법으로서, a) 탑승권 발급부가 승객의 얼굴을 인식한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승객의 탑승권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획득한 탑승권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권을 발권하는 단계; b) 관리 서버가 a) 단계에서 전송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탑승권 정보를 연결한 맵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c) 기내 확인부가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맵핑된 탑승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맵핑 정보를 기초로 검색하며, 검색된 탑승권 정보로부터 좌석 정보를 추출하여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좌석 위치가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b) 단계는 a) 단계에서 발권된 탑승권을 탑승권 확인부가 스캔을 통해 탑승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a) 단계는 a-1) 탑승권 발급부가 승객으로부터 탑승권 정보와 승객의 얼굴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탑승권 발급부가 탑승권 정보에 기반하여 탑승권을 출력하고, 상기 얼굴 촬영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탑승권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c) 단계는 c-1) 기내 확인부가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 촬영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2) 상기 기내 확인부가 관리 서버에 저장된 맵핑 정보와 비교하여 탑승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3) 상기 기내 확인부가 추출된 탑승권 정보를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3) 단계는 기내 확인부가 탑승권 정보로부터 좌석 정보를 추출하여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좌석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에 좌석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c-4) 상기 기내 확인부가 기내 화장실 사용, 승무원 호출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화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객이 비행기에 탑승할 때 얼굴 인식을 이용한 탑승객 정보를 기초로 탑승객의 기내 좌석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내의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탑승객의 좌석 위치를 신속하게 안내함으로써, 탑승객의 탑승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내의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기내 공용 시설의 사용 상태, 승무원 호출, 비행 정보 및 여행 정보 등의 편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탑승객의 편의성 개선과 승무원의 업뮤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탑승권 발급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탑승권 확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4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기내 확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5는 도2의 탑승권 발급부를 이용한 탑승객의 좌석 선택과 얼굴 인식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도4의 기내 확인부에서 탑승객의 이동 경로 안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7은 도4의 기내 확인부에서 캐비닛을 이용한 탑승객의 이동 경로 안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도4의 기내 확인부에서 편의 제공 과정을 설명학 위한 예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탑승권 발급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탑승권 확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4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기내 확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은 승객의 얼굴을 인식한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승객의 탑승권 정보를 맵핑하여 관리 서버(20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승객의 얼굴이 기내 탑승중에 인식되면, 인식된 승객의 얼굴과 맵핑된 탑승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0)에서 검색하여 기내의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기내의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탑승권 발급부(100)와, 관리 서버(200)와, 탑승권 확인부(300)와, 기내 확인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탑승권 발급부(100)는 공항의 로비 또는 라운지 등에 설치되어 승객의 얼굴을 인식한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승객의 탑승권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획득한 탑승권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권을 발권하는 구성으로서, 입력부(110)와, 스캐너(120)와, 카메라(130)와, 디스플레이부(140)와, 인쇄부(150)와, 데이터 통신부(160)와, 탑승권 발급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키오스크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승객으로부터 이름, 여권번호, 목적지 정보, 항공기 정보, 좌석 정보 등을 포함한 탑승권 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서,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캐너(120)는 여권, 사진 등의 정보를 스캔을 통해 입력받는다.
카메라(130)는 승객의 얼굴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CCD 센서, CMOS 센서 또는 광학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전변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입력부(110)와 스캐너(120), 카메라(130)를 통해 획득한 탑승권 정보와 얼굴 촬영 정보를 승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LED, LCD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쇄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획득한 탑승권 정보를 탑승권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프린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인쇄부(150)를 종이 등에 탑승권 정보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탑승권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데이터 통신부(160)는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서, 탑승권 정보와 얼굴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탑승권 발급 제어부(170)는 카메라(130)를 이용하여 획득한 승객의 얼굴 촬영 정보를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식과정을 통해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부(110) 및 스캐너(120)를 통해 획득한 탑승권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즉, 탑승권 발급 제어부(170)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 예약 화면(500)을 통한 선택 좌석(510) 정보와, 탑승자 이미지(5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선택 좌석(510)와 탑승자 이미지(520)를 기반으로 생성한 얼굴 인식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탑승권 발급부(100)로부터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탑승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얼굴 인식 정보와 탑승권 정보를 연결한 맵핑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저장된 맵핑 정보를 기내 확인부(400)로 전송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기내 확인부(400)로부터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얼굴 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연동된 맵핑 정보로부터 탑승권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탑승권 정보를 상기 기내 확인부(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관리 서버(200)는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 인식 과정이 기내 확인부(400)에서 수행할수 있도록 얼굴 인식 정보와 탑승권 정보가 연결된 맵핑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기내 확인부(400)에서 전송된 얼굴 인식 정보를 기초로 탑승권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탑승권 확인부(300)는 승객이 항공기에 탑승하기 위한 게이트에 설치되고, 승객이 항공기에 탑승하기 위해 제출하는 발권된 탑승권을 스캔하여 탑승권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탑승권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데이터 통신부(310)와, 스캐너(320)와, 디스플레이부(330)와, 탑승권 확인 제어부(340)와, 데이터 저장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통신부(310)는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서, 스캐너(320)를 통해 획득한 탑승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스캐너(320)는 발권된 탑승권을 스캐닝하여 탑승권 정보를 획득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스캐너(320)를 통해 획득한 탑승권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탑승권 확인 제어부(340)는 스캐너(320)를 통해 획득한 탑승권 정보가 데이터 통신부(310)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 저장부(350)는 스캐너(320)를 통해 획득한 탑승권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기내 확인부(400)는 항공기 기내에 설치되어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이 인식되면, 인식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맵핑된 탑승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맵핑 정보를 기초로 검색하고, 검색된 탑승권 정보로부터 좌석 정보를 추출하여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좌석 위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데이터 통신부(410)와, 카메라(420)와, 탑승자 매칭부(430)와, 디스플레이부(440)와, 기내 확인 제어부(450)와, 센서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통신부(41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데이터는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탑승권 정보가 맵핑된 정보 또는 기내 탑승을 위해 촬영된 승객의 얼굴 정보일 수 있다.
카메라(420)는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복수개 설치될 수 있고, CCD 센서, CMOS 센서 또는 광학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전변환 센서를 이용한 촬영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탑승자 매칭부(430)는 카메라(420)로부터 촬영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맵핑 정보와 비교하여 승객의 탑승권 정보를 추출한다.
탑승자 매칭부(430)는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 인식 과정에서 카메라(420)를 통해 획득한 승객의 얼굴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승객의 얼굴 정보에 대응한 탑승권 정보를 수신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 매칭부(43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얼굴 인식 정보와 탑승권 정보가 연결된 맵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 인식 과정에서 카메라(420)를 통해 획득한 승객의 얼굴 정보를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획득한 얼굴 인식 정보를 상기 맵핑 정보에 포함된 얼굴 인식 정보와 비교한 결과로부터 탑승권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40)는 탑승권 정보가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기내에 설치된 캐비닛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40)는 LED,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가요성(Flexible) 재질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 및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40)는 캐비닛 프레임(700)과 캐비닛 덮개(7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객이 기내에 탑승하면 기내에 설치된 경로 안내 화면(600)을 통해 경로 표시선(610), 경로 표시선 1(620)을 통해 좌석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승객이 좌석 위치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캐비닛 프레임(7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40)를 통해 경로 표시선(610)과 좌석 안내 표시 이미지(611)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캐비닛 덮개(7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40)를 통해 좌석 안내 표시 이미지(611')와 경로 표시선이 디스플레이되도록함으로써, 승객이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좌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즉, 디스플레이부(440)는 승객이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좌석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캐비닛 프레임(700)과 캐비닛 덮개(710)를 통해 예를 들면, 화살표 등을 통해 이동 방향과 경로를 표시함으로써, 승객이 표시되는 화살표를 따라 좌석 위치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기내 확인 제어부(450)는 카메라(420)를 통해 촬영된 승객의 얼굴 정보를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얼굴 인식 정보를 탑승자 매칭부(430)로 전송한다.
또한, 기내 확인 제어부(450)는 관리 서버(200)를 이용한 탑승권 정보의 매칭을 검색하는 경우, 카메라(420)를 통해 촬영한 승객의 얼굴 정보가 탑승자 매칭부(430)에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내 확인 제어부(450)는 탑승자 매칭부(430)에서 검색 또는 수신된 탑승권 정보로부터 해당 승객의 좌석 정보를 추출하고, 승객이 해당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좌석 위치가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4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기내 확인 제어부(450)는 센서부(460)를 통해 임의의 감지 신호, 예를 들어, 기내 화장실 사용, 승무원 호출 등의 신호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440)를 통해 감지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도8을 참조하면, 승객으로부터 승무원 호출 신호와 승객이 필요한 물품의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좌석의 상부에 설치된 캐비닛 프레임 또는 캐비닛 덮개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요청 정보, 화살표 및 좌석 정보를 포함한 승무원 호출 화면(630)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승무원에 의한 편의 서비스가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센서부(460)는 기내 화장실 사용, 승무원 호출 신호를 감지하여 기내 확인 제어부(450)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기내 확인 제어부(450)가 센서부(46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440)로 기내 화장실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화면, 승무원 호출 화면 등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9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1 및 도9를 참조하면, 탑승권 발급부(100)가 승객의 얼굴을 인식한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승객의 탑승권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획득한 탑승권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권을 발권(S100)한다.
상기 S100 단계에서, 탑승권 발급부(100)는 승객으로부터 탑승권 정보와 승객의 얼굴 촬영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탑승권 정보에 기반하여 탑승권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탑승권 발급부(100)는 얼굴 촬영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탑승권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S100 단계에서 전송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탑승권 정보를 연결한 맵핑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맵핑 정보는 항공기에 설치된 기내 확인부(400)로 전송될 수 있다.
계속해서, S100 단계에서 발권된 탑승권은 탑승권 확인부(300)가 스캔을 통해 탑승권 정보를 확인(S200)하여 승객이 항공기 탑승을 위해 게이트를 통과한 후 항공기로 이동하는지 확인한다.
기내 확인부(400)는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맵핑된 탑승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맵핑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하며, 검색된 탑승권 정보로부터 좌석 정보를 추출하여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좌석 위치가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40)를 이용하여 표시(S300)한다.
즉 S300 단계는 기내 확인부(400)가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 촬영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기내 확인부(40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맵핑 정보와 상기 얼굴 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승객의 탑승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탑승권 정보를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40)로 출력한다.
이때, 기내 확인부(400)는 탑승권 정보로부터 좌석 정보를 추출하여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440)를 통해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좌석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440)에 좌석 정보가 표시되되도록 한다.
또한, 기내 확인부(400)는 기내 화장실 사용 여부, 승무원 호출 신호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440)로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화장실 사용 여부 표시 화면, 승무원 호출 화면 등이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승객이 비행기에 탑승할 때 얼굴 인식을 이용한 탑승객 정보를 기초로 탑승객의 기내 좌석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내의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탑승객의 좌석 위치를 신속하게 안내함으로써, 탑승객의 탑승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내의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기내 공용 시설의 사용 상태, 승무원 호출, 비행 정보 및 여행 정보 등의 편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탑승객의 편의성 개선과 승무원의 업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탑승권 발급부 110 : 입력부
120 : 스캐너 130 : 카메라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인쇄부
160 : 데이터 통신부 170 : 탑승권 발급 제어부
200 : 관리서버 300 : 탑승권 확인부
310 : 데이터 통신부 320 : 스캐너
330 : 디스플레이부 340 : 탑승권 확인 제어부
350 : 데이터 저장부 400 : 기내 확인부
410 : 데이터 통신부 420 : 카메라
430 : 탑승자 매칭부 440 : 디스플레이부
450 : 기내 확인 제어부 460 : 센서부
500 : 좌석 예약 화면 510 : 선택 좌석
520 : 탑승자 이미지 600 : 경로 안내 화면
610 : 경로 표시선 611, 611' : 좌석 안내 표시 이미지
620 : 경로 표시선 1 630 : 승무원 호출 화면
700 : 캐비닛 프레임 710 : 캐비닛 덮개

Claims (12)

  1. 승객의 얼굴을 인식한 얼굴 인식 정보와 승객의 탑승권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획득한 탑승권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권을 발권하는 탑승권 발급부(100);
    상기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탑승권 정보를 연결한 맵핑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기내 확인부(400)로부터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얼굴 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연동된 맵핑 정보로부터 탑승권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탑승권 정보를 상기 기내 확인부(400)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200); 및
    항공기 기내에 설치되어 기내로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이 인식되면, 인식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맵핑된 탑승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맵핑 정보를 기초로 검색하고, 검색된 탑승권 정보로부터 좌석 정보를 추출하여 승객이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해당 승객의 좌석 위치가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40)를 이용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내 확인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기내 확인부(400)는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410);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420);
    상기 촬영된 승객의 얼굴 정보에 기반한 얼굴 인식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얼굴 인식 정보와 맵핑된 탑승권 정보를 추출하는 탑승자 매칭부(430);
    기내 캐비닛의 캐비닛 프레임(700)과 캐비닛 덮개(710)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권 정보가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40); 및
    상기 촬영된 승객의 얼굴 정보를 기초로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탑승자 매칭부(430)로 전송하고, 상기 탑승자 매칭부(430)에서 추출된 탑승권 정보로부터 좌석 정보를 추출하여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좌석 위치가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부(440)를 이용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내 확인 제어부(45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40)는 캐비닛 프레임(700)에서 승객이 좌석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경로 표시선(610)과 좌석 안내 표시 이미지(611)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캐비닛 덮개(710)에서 좌석 안내 표시 이미지(611')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40)는 캐비닛 프레임(700) 및 캐비닛 덮개(71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권된 탑승권을 스캔하여 획득한 탑승권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탑승권 확인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권 발급부(100)는 승객으로부터 탑승권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상기 승객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130);
    상기 탑승권 정보와 얼굴 촬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40);
    상기 탑승권 정보에 기반한 탑승권을 출력하는 인쇄부(150);
    상기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160); 및
    상기 얼굴 촬영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탑승권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탑승권 발급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내 확인부(400)는 기내 화장실 사용, 승무원 호출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4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46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40)로 미리 설정된 화면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8.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탑승권 발급부(100)와, 관리 서버(200)와, 기내 확인부(400)를 이용한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방법으로서,
    a) 탑승권 발급부(100)가 승객의 얼굴을 인식한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승객의 탑승권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획득한 탑승권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권을 발권하는 단계;
    b) 관리 서버(200)가 a) 단계에서 전송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와 탑승권 정보를 연결한 맵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c) 기내 확인부(400)가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을 인식하면, 상기 관리 서버(200)가 기내 확인부(400)에서 인식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연동된 맵핑 정보로부터 탑승권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탑승권 정보로부터 좌석 정보를 추출하여 좌석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좌석 위치가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40)를 이용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기내 확인부(400)가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의 얼굴 촬영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2) 상기 기내 확인부(400)가 촬영된 승객의 얼굴 정보에 기반한 얼굴 인식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얼굴 인식 정보와 맵핑된 탑승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3) 상기 기내 확인부(400)가 추출된 탑승권 정보를 기내 캐비닛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40)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40)는 캐비닛 프레임(700)에서 승객이 좌석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경로 표시선(610)과 좌석 안내 표시 이미지(611)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캐비닛 덮개(710)에서 좌석 안내 표시 이미지(611')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a) 단계에서 발권된 탑승권을 탑승권 확인부(300)가 스캔을 통해 탑승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탑승권 발급부(100)가 승객으로부터 탑승권 정보와 승객의 얼굴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탑승권 발급부(100)가 탑승권 정보에 기반하여 탑승권을 출력하고, 상기 얼굴 촬영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탑승권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c-4) 상기 기내 확인부(400)가 기내 화장실 사용, 승무원 호출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40)로 상기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화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방법.
KR1020200163702A 2020-11-30 2020-11-30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9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702A KR102498407B1 (ko) 2020-11-30 2020-11-30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702A KR102498407B1 (ko) 2020-11-30 2020-11-30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534A KR20220075534A (ko) 2022-06-08
KR102498407B1 true KR102498407B1 (ko) 2023-02-10

Family

ID=8198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702A KR102498407B1 (ko) 2020-11-30 2020-11-30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4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5310A (ja) 2003-10-31 2005-05-26 Oki Electric Ind Co Ltd 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
JP2017137045A (ja) 2016-02-04 2017-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収納庫の使用状況判定装置
KR101842270B1 (ko) * 2017-06-27 2018-03-26 주식회사 에스티씨 안면 인식 정보를 이용한 항공권 발권 및 탑승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공권 발권 및 탑승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694A (ko) 2012-04-02 2013-10-11 박형진 비행기 탑승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안내장치
JP2020116974A (ja) * 2019-01-18 2020-08-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航空機用投影装置
KR102211022B1 (ko) * 2019-03-20 2021-02-02 주식회사 대한항공 탑승권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탑승권을 확인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5310A (ja) 2003-10-31 2005-05-26 Oki Electric Ind Co Ltd 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
JP2017137045A (ja) 2016-02-04 2017-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収納庫の使用状況判定装置
KR101842270B1 (ko) * 2017-06-27 2018-03-26 주식회사 에스티씨 안면 인식 정보를 이용한 항공권 발권 및 탑승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항공권 발권 및 탑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534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520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supporting compliance with customs/border requirements
US11386703B2 (en) Counter reception system and service robot
AU2014280049B2 (en) Portable use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170113801A1 (en) Cabin monitoring system and cabin of aircraft or spacecraft
US20030158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rplane security / service / maintenance management
US20090129638A1 (en) Method of providing automatic sorting packing service sorting photo images according to characters in photo images and kiosk providing the automatic sorting packing service
US2017004680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supporting compliance with customs/border requirements
JP2017010269A (ja) 画面表示装置
JP5045413B2 (ja) 写真出力システム
US11816934B2 (en) Smart airport and cabin system to avoid touch points and maintain social distancing
US20030061080A1 (en) Check-in, queuing, visa, paging and assessment systems
KR102498407B1 (ko) 승객 안내와 기내 편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0210834A (zh) 一种进出境旅客行李物品自助申报系统及方法
KR102211022B1 (ko) 탑승권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탑승권을 확인하는 방법
JP6969654B1 (ja) 案内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WO202200392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CA2187798A1 (en) Check-in, queuing, visa, paging and assessment systems
CN214122958U (zh) 一种机场自助查询系统
KR20100069254A (ko) 여객 흐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01918U (ko) 어디서나 여객의 항공 수화물 위탁 처리 및 얼굴인증기반 One-ID 간편 서비스 이용을 위한 One-ID 토큰 등록 기기 및 응용프로그램
CN213582375U (zh) 一种智慧航显自助引导终端
JP732765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01517A1 (ja) 乗客情報収集システム、乗客情報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WO202118163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831617B1 (ko) Bpp 및 btp 일체형 하이브리드 프린터, bpp 및 btp 일체형 하이브리드 프린터 기반의 홈 프린트 시스템 및 홈 프린트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