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254A - 여객 흐름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여객 흐름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254A
KR20100069254A KR1020080127895A KR20080127895A KR20100069254A KR 20100069254 A KR20100069254 A KR 20100069254A KR 1020080127895 A KR1020080127895 A KR 1020080127895A KR 20080127895 A KR20080127895 A KR 20080127895A KR 20100069254 A KR20100069254 A KR 20100069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ssenger
designated area
area
passe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riority to KR1020080127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254A/ko
Publication of KR20100069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3Recognition of crowd images, e.g. recognition of crowd conges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여객 흐름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객 흐름 관리 방법은 소정의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여객의 흐름 조절을 위한 지정영역의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객의 운송을 위한 영역에서 여객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여객 흐름에 따른 안내 정보를 여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여객의 흐름을 조절하고 병목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80127895
여객 흐름 관리, 모니터링, 병목 현상, 상황 안내

Description

여객 흐름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ssenger flow}
본 발명은 여객의 흐름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정의 영역에 대하여 획득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여객의 흐름을 조절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대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유비쿼터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유비쿼터스는 물이나 공기처럼 시공을 초월해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로,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유비쿼터스에 대해서는 전자 태그와 모바일 서비스 연동한 물류ㆍ택배 서비스, 놀이공원미아방지시스템, 의료보험 카드서비스, 공항 수화물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유비쿼터스의 실현 방안으로서 공항 등 여객의 운송을 위한 영역에서의 여객 흐름 관리를 위한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 여객 관리 시스템은 단순히 여객에게 필요한 절차를 안내하는 수준이었다. 종래의 여객 관리는 티켓 발권 창구의 위치 안내, 출국 심사를 위한 장소 안내, 특정 비행기나 여객선의 탑승을 위한 게이트 안내가 전부였다.
예를 들어, 여객들은 자신이 탑승하고자 하는 여객기나 여객선을 위한 티켓 발권 창구의 위치를 안내받아, 시각적으로 혼잡도를 판단하여 다수의 티켓 발권 창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기하여야 하였다.
이러한 여객 관리 시스템에서는 혼잡도가 단순히 시각적, 주관적으로 판단되므로 입구와 가까운 창구로 여객이 몰리는 병목 현상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티켓 발권의 경우, 다수의 일행이 함께 대기하면 실제로 소요될 시간은 적음에도 불구하고 시각적으로는 굉장히 혼잡한 창구로 판단되는 오류를 범할 경우가 많았다.
이렇듯 종래의 여객 관리 시스템은 여객이 수행하여야 할 절차(티켓 발권이나 보안 검색 등)에 대한 정보는 안내하고 있으나, 여객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전무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객의 운송을 위한 공간에서 여객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및/또는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보다 정확한 안내 정보를 여객에게 제공하여 여객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여객 흐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여객 흐름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객 흐름 관리 방법은 (a) 소정의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여객의 흐름 조절을 위한 상기 지정영역의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지정영역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정영역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배경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 영상과 상기 촬영 영상의 차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여객의 수를 산출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지정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지정영역을 출입하는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정영역은, 복수의 티켓 발권 창구를 포함하는 티켓 발권 영역, 복수의 보안 검색대를 포함하는 보안 검색 영역, 복수의 출국 심사대를 포함하는 출국 심사 영역 및 상기 여객이 운송 수단에 탑승하는 탑승장으로 연결되는 복수 탑승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탑승 게이트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영역에 포함된 서브 지정영역들의 각 식별 정보 및 상기 서브 지정영역들 각각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여객의 수가 가장 적은 서브 지정영역을 최소 서브 지정영역으로 선택하여 상기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지정영역들은 동일한 기능의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영역에 포함된 서브 지정영역들의 각 식별 정보 및 상기 서브 지정영역들 각각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현재 여객이 상기 각 서브 지정영역들에서 대기할 경우에 예상되는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지정영역들은 동일한 기능의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지정영역이 수행하는 목적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목적에 따라 상기 상황 안내 정보가 제공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여객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여객의 개인 통신 단말로 상기 상황 안내 정보가 전송되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지정영역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정영 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지정영역을 출입하는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여객의 수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된 여객의 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여객 흐름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소정의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감시부;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여객의 흐름 조절을 위한 상기 지정영역의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부는, 상기 지정영역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및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지정영역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배경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의 차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여객의 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감시부는, 상기 지정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가 상기 지정영역 을 출입하는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한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수집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가공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정영역은, 복수의 티켓 발권 창구를 포함하는 티켓 발권 영역, 복수의 보안 검색대를 포함하는 보안 검색 영역, 복수의 출국 심사대를 포함하는 출국 심사 영역 및 상기 여객이 운송 수단에 탑승하는 탑승장으로 연결되는 복수 탑승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탑승 게이트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황 안내 정보는, 상기 지정영역에 포함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지정영역들의 각 식별정보, 상기 서브 지정영역들 각각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 가장 적은 여객의 수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지정영역의 식별정보 및 상기 각 서브 지정영역들에 대기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예상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황 안내 정보는, 상기 지정영역의 상황을 안내하는 음성 출력 단말 및 영상 표시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감시부는, 상기 지정영역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및 상기 지정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가 상기 지정영역을 출입하는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한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정보 수집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태그 정보의 조 합을 통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객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여객 흐름에 따른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병목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등 여객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및/또는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여객 흐름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안내 정보를 여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 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항 내 지정영역(110)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 예를 들어 공항, 항만, 지하철 및 터미널 등의 장소에서 여객의 흐름을 모니터링하여, 여객의 흐름을 조절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환경에서 센서(130)나 카메라(120)로부터 수신된 정보(영상 정보나 태그 정보)로부터 여객의 흐름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여객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안내를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티켓 발권 영역, 보안 검색 영역, 출국 심사 영역, 탑승 게이트 영역과 같이 여객이 특정 목적을 위하여 순서를 기다리는 지정영역(110)에 설치된 센서(130) 또는 카메라(120)로부터 태그 정보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여객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티켓팅 창구를 지정영역(110)의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객들은 티켓을 발권받기 위하여, 창구를 선택하여 대기하여야 한다. 이때, 새로운 여객이 대기하고자 하는 경우, A번 창구(112a)보다는 C번 창구(112c)를 선호할 것이다.
도 1과 같이 창구의 수가 3개이고, 대기 중인 사람이 적으면 금방 판단이 되나, 창구의 수가 많거나, 대기자 수가 많은 경우에는 사람이 직접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B번 창구(112b)는 대기자 중 한 명이 큰 짐을 소지하고 있어 실제보다 길이 길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이러한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에 대한 상황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해당 상황에 따라 여객을 적절하게 유도하기 위한 안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20)를 통하여 지정영역(110)이 촬영된다.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는 A번 창구(112a)는 대기자 6명, B번 창구(112b)는 대기자 6명, C번 창구(112c)는 대기자 3명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영역(110)에 설치된 센서(130)에 의하여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태그 정보에 따라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B번 창구(112b)는 6명이 대기 중이다. 그러나 맨 앞에 4명은 가족으로 결국 한 명의 대기자로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각 창구마다 줄을 서는 입구에 센서(130), 예를 들어 RFID 리더기를 설치하여 여객들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태그 정보는 식별정보나 발 권하고자 하는 티켓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B번 창구(112b)의 대기자 수를 3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20) 혹은 센서(130)를 통하여 획득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황 안내 정보는 상술한 각 창구의 식별정보와 대기자 수일 수도 있고, 최저 대기자가 존재하는 창구의 식별번호(상술한 예에서 C번 창구(112c))나 각 창구에 대기하는 경우에 예상 소요시간일 수도 있다.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생성된 상황 안내 정보를 전광판이나 스피커로 출력한다. 혹은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생성된 상황 안내 정보를 해당 정보가 필요한 여객의 개인 통신 단말(1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공항 등과 같이 여객의 운송을 위한 영역의 혼잡함을 줄이기 위하여, 여객들에게 현재 상황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객들은 상황 안내 정보에 따라 가장 적은 시간이 소요되는 가장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객 흐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여객 흐름 관리 시스템은 지정영역(110)에 설치된 카메라(120) 및/또는 센서(130), 여객 흐름 관리 장치, 여객들에게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 및/또는 전광판이나 여객들이 소지하는 개인 통신 단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지정영역(110)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여객 흐름 관리 장치로 전달한다. 영상 정보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다수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120)는 디지털 카메라(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130)는 당해 지정영역(110)에 출입하는 여객의 정보를 여객 흐름 관리 장치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센서(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된 리더기로서, RFID 리더기일 수 있다. RFID 리더기는 지정영역(110)을 출입하는 여객이 소지한 전자 태그로부터 해당 여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자 태그는 여객의 전자 여권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태그 정보는 여객에 대한 다양한 정보로써,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성명, 주소, 출입국 정보, 개인 통신 단말(150)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태그 정보는 여권 발급시에 부여된 여권 식별정보일 수도 있다.
전자 태그는 예를 들어, 일정한 주파수에 따라 태그 정보가 독출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일 수 있다. 전자 태그는 여객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IC 칩과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IC 칩 내의 기억 장치에는 전자 태그 인증을 위한 인증번호(ID code)와 기타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 리더기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태그 내의 자료를 보내기 위한 기억 영역이 있다. RFID 태그는 전원의 유무에 따라 능동형 태그와 수동형 태그로 구별된다. 이와 같은 RFID 태그의 유형 등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서(130), 바람직하게는 RFID 리더기는 지정영역(110)의 입구 역할을 수행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당해 센서(130)에 인접한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내장된(또는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하여 여객 흐름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센서(130, RFID 리더기)는 판독된 태그 정보 및 당해 센서(130, RFID 리더기)가 설치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복수의 센서(130, RFID 리더기)에 의해 판독된 태그 정보를 수집하여 각 지역의 여객 흐름을 분석할 수 있다.
카메라(120)나 센서(130)의 구현 방법은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장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카메라(120) 또는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지정영역(110)의 상황에 적절한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생성된 상황 안내 정보를 스피커나 전광판 등과 같이 여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로 출력한다.
이하, 여객 흐름 관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기능부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감시부(210), 제어부(220), 출력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시부(210)는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감시부(210)는 상술한 카메라(120) 및/또는 센서(130)로부터 지정영역(110)의 촬영 영상 및/또는 여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감시부(210)는 수신된 정 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정영역(110) 내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본 명세서는 감시부(210)가 여객 흐름 관리 장치에 포함되고, 카메라(120)나 센서(130)와는 분리되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시부(210)가 카메라(120)나 센서(130)와 함께 구현되는 형태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감시부(210)가 카메라(120)로부터 지정영역(110)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감시부(210)는 영상 획득 모듈(212) 및 영상 처리 모듈(214)을 포함한다.
영상 획득 모듈(212)은 지정영역(110)의 촬영 영상을 획득한다. 상세하게는, 영상 획득 모듈(212)은 카메라(120)가 촬영한 지정영역(110)의 영상을 수신한다.
영상 처리 모듈(214)은 수신된 지정영역(110)의 영상으로부터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상세하게는, 영상 처리 모듈(214)은 촬영된 영상 정보로부터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 처리모듈은 이미 지정영역(110)에 여객이 존재하지 않는 영상, 즉 배경 영상과 촬영된 지정영역(110)의 영상의 차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 모듈(214)은 차영상으로부터 여객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감시부(210)가 지정영역(110)에 설치된 센서(130)로부터 지정영역(110)에 출입한 여객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감시부(210)는 센싱 정보 수집 모듈(216) 및 정보 가공 모듈(218)을 포함한다.
센싱 정보 수집 모듈(216)은 센서(130)로부터 지정영역(110)에 출입한 여객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센서(130)는 바람직하게는 RFID 리더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ID 리더기는 A번 창구(112a) 등 각 창구에 줄을 서는 여객들이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전자 태그가 부착되어 있고, 해당 여객이 센서(130)를 지나칠 때마다 센서(130)는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태그 정보는 여객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여객의 항공기 탑승 시간이나 탑승 항공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가공 모듈(218)은 수신된 태그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정영역(110)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도 1에 도시된 예를 들면, 정보 가공 모듈(218)은 A번 창구(112a)에는 6명, B번 창구(112b)에는 3명, C번 창구(112c)에는 3명과 같이,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영상 기반이 아닌 센서(130)의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하므로, 한번의 티켓팅을 위한 다수의 사람을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B번 창구(112b)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6명이 아닌 3명으로 판단하여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카메라(120)로 촬영된 영상과 센서(130)로부터 수집된 태그 정보의 조합을 통하여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 감시부(210)의 영상 획득 모듈(212)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정영역(110)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을 수신한다. 그리고 감시부(210)의 센싱 정보 수집 모듈(216)은 센서(130)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감시부(210)는 촬영 영상과 태그 정보를 조합하여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산출하 여 해당 지정영역(110)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즉, 감시부(210)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지정영역(110)을 촬영한 영상과 지정영역(110)에 설치된 센서(130)로부터 수집된 태그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감시부(210)가 획득한 상황 정보에 따라, 해당 지정영역(110)에 대한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지정영역(110)은 서브 지정영역(110)을 포함한다. 서브 지정영역(110)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공항의 티켓 발권 창구는 항공기별로 나누어 발권 창구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C번 창구(112c)에 사람이 적어도 C번 창구(112c)에서 티켓을 발권할 수 없는 항공기를 이용하는 여객은 여전히 C번 창구(112c)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지정영역(110)들의 식별정보와 각 서브 지정영역(110)에 대한 상황 정보를 구분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지정영역(110)과 해당 서브 지정영역(110) 내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서브 지정영역(110)들 중에서 가장 적은 여객이 존재하는 최소 서브 지정영역(110)을 선택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각 서브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기초로, 각 서브 지정영역(110)에 대기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1명당 5분이 소요되는 기준으로 10명이 존재하면 50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첫번째 여객은 5분, 두번째 여객 이후로는 6분과 같이 여객과 여객 의 교체 시간을 고려하여 차등적으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예상 소요시간의 산출 기준은 해당 영역의 목적 및 축적된 데이터에 따라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술한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황 안내 정보는 지정영역(110)에 포함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지정영역(110)들의 각 식별정보, 서브 지정영역(110)들 각각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 가장 적은 여객의 수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지정영역(110)의 식별정보 및 각 서브 지정영역(110)들에 대기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예상 소요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여객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안내 멘트를 상황 안내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A번 창구(112a)에 너무 많은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B번 창구(112b)로 안내하는 멘트를 상황 안내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상술한 동작으로 통하여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지정영역(110)들의 구분, 각 서브 지정영역(110)의 식별정보, 예상 소요시간의 산출 기준 등의 미리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저장 영역으로부터 필요한 기준 정보를 독출하여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230)는 여객의 운송을 위한 영역에 전체적으로 방송되는 단말 기기들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이로써, 공항 내에 여객들에게 전체적으로 현재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30)는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단말이나 전광판 등의 영상 표시 단말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개인 통신 단말(150)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30)는 부산행 2시 비행기의 티켓을 발권하는 A번 및 B번 창구(112b) 중에서 A번 창구(112a)가 너무 혼잡하고, B번 창구(112b)는 비교적 한산한 경우에 부산행 2시 비행기를 탑승하고자 하는 여객의 개인 통신 단말(150)로 해당 상황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20)가 저장 영역으로부터 해당 상황 안내 정보를 필요로 하는 여객의 개인 통신 단말(150)의 식별번호(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를 독출하고, 출력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개인 통신 단말(150)로 상황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통신 단말(150)은 여객이 소지한 통신 단말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W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뿐만 아니라 핸드헬드 PC(Hand-Held PC) 및 노트북 PC(Notebook PC) 등과 같이 무선 인터넷망과 통신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한다.
저장부(240)는 여객 흐름 관리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상술한 제어부(220)가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분 정보(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지정영역(110)들의 구분, 각 서브 지정영역(110)의 식별정보, 예상 소요시간의 산출 기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여객의 동일한 탑승 정보를 갖는 여객들의 개인 통신 단말(150)의 식별번호(전화번호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20)의 요청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저장 영역의 포인터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감시부(210), 제어부(220), 출력부(230), 저장부(240)는 기능적으로 표현하였다. 즉, 각각의 기능부는 분리되어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며, 각 기능부는 하나의 회로(하나의 논리부로서 마이크로 회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객 흐름 관리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여객의 운송을 위한 영역에서 여객들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 및 해당 정보로 여객들에게 안내를 수행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지정영역(110)에서 영상 또는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황 정보에 따른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한 다. 이로써, 여객들은 혼잡한 영역을 피하여 티켓 발권이나 보안 검색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공항 등의 관리자로서는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이룰 수 있으며, 여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여객의 운송을 위한 영역이 공항인 경우, 지정영역(110)은 복수의 티켓 발권 창구를 포함하는 티켓 발권 영역, 복수의 보안 검색대를 포함하는 보안 검색 영역, 복수의 출국 심사대를 포함하는 출국 심사 영역 및 상기 여객이 운송 수단에 탑승하는 탑승장으로 연결되는 복수 탑승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탑승 게이트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객 흐름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310에서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카메라(120) 또는 RFID 리더기로부터 지정영역(110)에 대한 영상이나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카메라(120)가 지정영역(110)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지정영역(110)에 설치된 센서(130), 즉 바람직하게는 RFID 리더기로부터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를 수집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카메라(120)가 수신된 지정영역(110)을 촬영한 영상 정보와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산출하여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영상 정보와 태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1차적으로 고려하고, 다른 하나의 정보를 2차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태그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여객의 수를 검증할 수 있다. 혹은,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여객의 수를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검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및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B번 창구(112b)와 같은 상황에서도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어서, 단계 S320에서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서브 지정영역(110)의 식별정보를 독출하고, 해당 서브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산출한다.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수신된 영상 정보 및/또는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지정영역(110)의 식별정보 및 각 서브 지정영역(110) 내의 여객의 수를 산출한다.
상세하게는,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지정영역(110)의 촬영 영상으로부터 여객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센서(130)가 설치된 서브 지정영역(110)에 출입한 여객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지정영역(110)은 지정영역(110) 중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 는 영역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단계 S330에서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지정영역(110)들 중에서 특정 영역에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병목 현상은 서브 지정영역(110)들 사이에 여객의 수가 비대칭적인 경우이다. 즉, 하나의 서브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가 다른 서브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보다 상대적으로 많아 비대칭적으로 혼잡한 경우이다.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병목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350 및 단계 S360을 수행한다. 즉,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각 서브 지정영역(110) 내의 여객의 수를 포함하는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병목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S340 내지 단계 S360을 수행한다.
단계 S340에서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최소 서브 지정영역(110)을 선택하고, 각 서브 지정영역(110)에 대기하는 경우 소요될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한다.
최소 서브 지정영역(110)은 서브 지정영역(110)들 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여객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예상 소요시간은 해당 서브 지정영역(110)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에 대응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50 및 단계 S360에서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각 서브 지정영역(110) 내의 여객의 수, 최소 서브 지정영역(110) 및 예상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S350). 그리고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생성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최소 서브 지정영역(110)의 식별정보 및 각 서브 지정영역(110)에 현재 대기하는 경우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스피커, 전광판 등의 방송 기기들로 출력한다.
이로써, 여객들은 현재 자신이 원하는 목적(티켓 발권, 보안 검색대 통과, 출국 심사 등)을 이루기 위하여 가장 원활히 소통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여객들은 예상 소요시간을 안내받음으로써 좀 더 계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객들은 보안 검색대나 출국 심사대에서의 예상 소요시간이 긴 경우에 티켓 발권부터 서둘러 탑승 시간에 맞추도록 노력할 수 있다.
또한,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개인 통신 단말(150)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 게이트에 대한 상황 안내 정보는 해당 탑승 게이트를 이용할 여객들의 휴대폰 등의 개인 통신 단말(150)로 SMS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안내 정보가 출력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지정영역(110)에 대한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상황 안내 정보를 스피커나 전광판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방송하거나 선택적으로 개인 통신 단말(150)로 전송한다.
이로써, 여객의 운송을 위한 영역을 관리하는 측에서는 여객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관리자 측은 실시간으로 여객 흐름을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를 여객들에게 안내하여 여객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상황 안내 정보를 스피커 등을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전광판 등을 통하여 상황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 화면 410은 전광판을 통하여 상황 안내 정보가 표시된 것이다. 전광판 화면(410)은 티켓팅을 위한 각 창구와 각 창구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즉, 대기자 수)를 표시한다.
또한,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스피커나 전광판과 같이 전체적으로 방송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특정 여객에게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객 흐름 관리 장치는 특정 항공편이나 여객선 등에 탑승 예정인 여객들에게 필요한 서브 지정영역(110)들에 대한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시 화면 420은 여객이 상황 안내 정보를 수신한 경우, 개인 통신 단말(150)의 화면(420)을 예시한다.
해당 여객은 티켓 발급을 받은 상황에서, 이후 통과하여야 할 출국 심사대에 관한 상황 안내 정보를 수신하였다. 여기서, 상황 안내 정보는 각 출국 심사대의 대기자 수와 최소 여객이 대기하는 출국 심사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객들은 공항 등과 같은 여객의 운송을 위한 영역에서의 상황 안내 정보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여객은 최소한의 시간이 소요될 영역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로써, 관리자 측은 여객의 흐름을 조절하여 병목 현상 등의 문제점 을 자연스레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항 내 지정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객 흐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객 흐름 관리 과정에 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안내 정보가 출력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지정영역 112a, 112b, 112c: 서브 지정영역
120: 카메라 130: 센서
140: 안내 장치 150: 개인 통신 단말
200: 여객 흐름 관리 장치 210: 감시부
212: 영상 획득 모듈 214: 영상 처리 모듈
216: 센싱 정보 수집 모듈 218: 정보 가공 모듈
220: 제어부 230: 출력부
240: 저장부 410: 전광판 화면
420: 개인 통신 단말 화면

Claims (16)

  1. 여객의 운송을 위한 영역에서 여객의 흐름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여객의 흐름 조절을 위한 상기 지정영역의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지정영역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정영역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배경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 영상과 상기 촬영 영상의 차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여객의 수를 산출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지정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지정영역을 출입하는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영역은,
    복수의 티켓 발권 창구를 포함하는 티켓 발권 영역, 복수의 보안 검색대를 포함하는 보안 검색 영역, 복수의 출국 심사대를 포함하는 출국 심사 영역 및 상기 여객이 운송 수단에 탑승하는 탑승장으로 연결되는 복수 탑승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탑승 게이트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영역에 포함된 서브 지정영역들의 각 식별 정보 및 상기 서브 지정영역들 각각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여객의 수가 가장 적은 서브 지정영역을 최소 서브 지정영역으로 선택하여 상기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지정영역들은 동일한 기능의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영역에 포함된 서브 지정영역들의 각 식별 정보 및 상기 서브 지정영역들 각각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현재 여객이 상기 각 서브 지정영역들에서 대기할 경우에 예상되는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지정영역들은 동일한 기능의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지정영역이 수행하는 목적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목적에 따라 상기 상황 안내 정보가 제공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여객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여객의 개인 통신 단말로 상기 상황 안내 정보가 전송되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지정영역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정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지정영역을 출입하는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여객의 수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된 여객의 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방법.
  9. 여객의 운송을 위한 영역에서 여객의 흐름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감시부;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여객의 흐름 조절을 위한 상기 지정영역의 상황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여객 흐름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지정영역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및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지정영역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배경 영상 및 상기 촬영 영상의 차영상 을 이용하여 상기 여객의 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지정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가 상기 지정영역을 출입하는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한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수집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가공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지정영역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영역은,
    복수의 티켓 발권 창구를 포함하는 티켓 발권 영역, 복수의 보안 검색대를 포함하는 보안 검색 영역, 복수의 출국 심사대를 포함하는 출국 심사 영역 및 상기 여객이 운송 수단에 탑승하는 탑승장으로 연결되는 복수 탑승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탑승 게이트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 리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안내 정보는,
    상기 지정영역에 포함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지정영역들의 각 식별정보, 상기 서브 지정영역들 각각에 존재하는 여객의 수, 가장 적은 여객의 수에 대응하는 최소 서브 지정영역의 식별정보 및 상기 각 서브 지정영역들에 대기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예상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안내 정보는,
    상기 지정영역의 상황을 안내하는 음성 출력 단말 및 영상 표시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지정영역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및
    상기 지정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가 상기 지정영역을 출입하는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한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정보 수집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태그 정보의 조합을 통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 흐름 관리 장치.
KR1020080127895A 2008-12-16 2008-12-16 여객 흐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69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895A KR20100069254A (ko) 2008-12-16 2008-12-16 여객 흐름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895A KR20100069254A (ko) 2008-12-16 2008-12-16 여객 흐름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254A true KR20100069254A (ko) 2010-06-24

Family

ID=4236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895A KR20100069254A (ko) 2008-12-16 2008-12-16 여객 흐름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2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3421A (zh) * 2016-11-30 2017-02-01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城市轨道交通车站乘客引导系统及方法
CN107609467A (zh) * 2017-07-26 2018-01-19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客流数据处理方法和系统
CN110399923A (zh) * 2019-07-26 2019-11-01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基于多数据融合的客流监测方法及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3421A (zh) * 2016-11-30 2017-02-01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城市轨道交通车站乘客引导系统及方法
CN106373421B (zh) * 2016-11-30 2019-05-24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城市轨道交通车站乘客引导系统及方法
CN107609467A (zh) * 2017-07-26 2018-01-19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客流数据处理方法和系统
CN107609467B (zh) * 2017-07-26 2020-11-13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客流数据处理方法和系统
CN110399923A (zh) * 2019-07-26 2019-11-01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基于多数据融合的客流监测方法及系统
CN110399923B (zh) * 2019-07-26 2021-04-02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基于多数据融合的客流监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520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supporting compliance with customs/border requirements
US118541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80353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supporting compliance with customs/border requirements
CN106032233B (zh) 电梯引导装置
JP715320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04252A (ja) 残留物検出システム
US11281894B2 (en) Non-boarded passenger search device, non-boarded passenger search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722329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86650A (ja) 乗客探知システム
KR20100069254A (ko) 여객 흐름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200392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6576718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
JP5883269B2 (ja) 旅客案内システム
Harini et al. Smart digital bus ticketing system
JP2005323128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システムの配信先登録方法及び情報配信先管理装置
JP74769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8849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400869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2400622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7384038B2 (ja) 乗車位置案内システム
US202401044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ong ICT Applications in Av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