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059B1 -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059B1
KR102498059B1 KR1020170183143A KR20170183143A KR102498059B1 KR 102498059 B1 KR102498059 B1 KR 102498059B1 KR 1020170183143 A KR1020170183143 A KR 1020170183143A KR 20170183143 A KR20170183143 A KR 20170183143A KR 102498059 B1 KR102498059 B1 KR 10249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infrared
amount
product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595A (ko
Inventor
황두일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보부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부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보부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7018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0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관의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상기 배기관의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어느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적외선의 광량 변화를 연산하여 상기 배기관 내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는,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Device module and method for measuring semiconductor residual production in exhaust pipe}
본 발명은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반도체 및 LCD 제조 장비의 배기관(pipe) 내에 축적되는 부산물을 측정할 수 있는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 및 LCD 제조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세스 챔버로부터 배출되어 진공펌프를 통과한 가스중의 반응 부산물이 배기관(pipe) 내에서 파우더 형태로 증착 된다. 상기 부산물이 계속 적층될 경우 배기관이 막혀 공정을 지속할 수 없으며, 유지보수를 진행해야 하는데, 이는 공정시간의 증가와 제조단가의 상승에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배기관 내에 쌓이는 부산물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장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도체 및 LCD 공정 챔버에 연결된 배기관 내에 부산물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의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은 배기관의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상기 배기관의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어느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적외선의 광량 변화를 연산하여 상기 배기관 내 부산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은 제 1 적외선 발광부 및 제 1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적외선 발광부에서 출력된 적외선의 출력 광량 및 상기 제 1 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된 적외선의 손실된 광량을 각각 측정하여 상기 부산물의 두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은 제 2 적외선 발광부 및 제 2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적외선 발광부에서 출력된 적외선의 출력 광량 및 상기 제 2 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된 적외선의 손실되는 광량을 측정하다가 상기 부산물의 양이 포화상태(saturation)가 되어, 상기 제 2 적외선 수광부에서의 적외선 수광량의 변화가 없는 시점이 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부산물의 적층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은 반도체 또는 LCD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제조 공정 및 시간에 따라 다층 형태의 적층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및 LCD 제조시 프로세스 챔버로부터 배출되어 진공 펌프로 가는 관로와 진공펌프를 지나간 가스중의 반응 부산물이 배기관 내에서 파우더로 증착되는 량을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하여, 배기관의 세정주기를 확인하여 장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배기관을 개략적으로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배기관을 개략적으로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및 LCD공정은 챔버 내부에서 박막을 증착하거나 에칭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특정한 패턴을 가공한다. 박막을 증착하거나 에칭 할 경우 챔버 내부에는 각종 가스를 사용한다. 이 경우, 웨이퍼 및 글라스에는 약 30% 만이 남고 나머지는 반응하지 않은 가스와 부산물이 진공 펌프를 통하여 배출되어 진다.
이에 챔버에서 반응하지 않은 부산물을 방출시키는 진공펌프와 대기로 방출하기 위한 거름장치(스크러버)가 설치되며, 이를 연결하는 배기관이 설치된다. 상기 부산물의 일부가 배기관 내부에 쌓이며, 상기 부산물이 과다하게 쌓이면 배관이 막혀 장비의 고장을 일으킨다. 이를 위해서, 히팅자켓 또는 히터를 배기관 내부에 설치하지만 그럼에도 일부 취악한 부위에는 부산물로 인하여 막히는 것을 막을 수 없으며, 이는 정확하게 예측이 않되는 현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관 내에 부산물이 쌓이는 것을 측정 미리 예상하여 장비의 수리 및 수선을 예측 관리하여 반도체 및 LCD 장비의 효율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은 배기관의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상기 배기관의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어느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산물은 반도체 또는 LCD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제조 공정 및 시간에 따라 다층 형태의 적층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적외선의 광량 변화를 연산하여 상기 배기관 내 부산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은 제 1 적외선 발광부 및 제 1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적외선 발광부에서 출력된 적외선의 출력 광량 및 상기 제 1 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된 적외선의 손실된 광량을 각각 측정하여 상기 부산물의 두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은 제 2 적외선 발광부 및 제 2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적외선 발광부에서 출력된 적외선의 출력 광량 및 상기 제 2 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된 적외선의 손실되는 광량을 측정하다가 상기 부산물의 양이 포화상태(saturation)가 되어, 상기 제 2 적외선 수광부에서의 적외선 수광량의 변화가 없는 시점이 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부산물의 적층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 1 적외선 발광부에서 출발한 레이저(광량 100%)는 부산물층을 투과하며 점차적으로 광량이 손실되고, 제 1 적외선 수광부에 도달된 손실광(광량 X%(X는 LAYER1-LAYER2-LAYER3-진공-LAYER3-LAYER2-LAYER1의 순서대로 투과한 후 손실되고 남은 소정의 광량))을 측정하여 부산물층의 두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적외선 발광부에서 출발한 레이저(광량 100%)는 제 1 부산물층을 투과하며 점차적으로 광량이 손실되다가 제 1 부산물층이 일정두께 이상이 되면 고정된 투과광량으로 제 2 적외선 수광부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점차적으로 손실된 광량(광량 Y%(Y는 LAYER1-진공-LAYER1의 순서대로 투과한 후 손실되고 남은 소정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고정된 투과광량(광량 A%(A는 LAYER1만 투과한 소정의 광량))에 도달하면 LAYER1 부산물층의 파우더 적층 시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이 지정한 두께의 적층 시간을 측정하고,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이 실시간으로 투과된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두 모듈의 관계를 함수로 도식화하여 적층될 파우더의 패턴을 예상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의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은 적외선 파워를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시료 샘플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배기관 내의 부산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및 LCD 제조시 프로세스 챔버로부터 배출되어 진공 펌프로 가는 관로와 진공펌프를 지나간 가스 중의 반응 부산물이 배기관 내에서 파우더로 증착되는 량을 측정하여, 배기관의 세정주기를 확인하는 파우더 측정 모듈 및 측정방법으로, 챔버와 진공펌프 사이 진공펌프와 스크러버 사이에 위치하며 파이프내에 쌓이는 부산물을 측정하는 레이저 발광 모듈과 수광 모듈을 가지며, 이를 보호하는 N2 가스 퍼지를 포함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배기관의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상기 배기관의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배기관의 외부에 배치된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어느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상기 배기관의 외부에 배치된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적외선의 광량 변화를 연산하여 상기 배기관 내 부산물의 양을 측정하며,
    상기 제 1 적외선 센서 모듈은 제 1 적외선 발광부 및 제 1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적외선 발광부에서 출력된 적외선의 출력 광량 및 상기 제 1 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된 적외선의 손실된 광량을 각각 측정하여 상기 부산물의 두께 변화를 감지하며,
    상기 제 2 적외선 센서 모듈은 제 2 적외선 발광부 및 제 2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적외선 발광부에서 출력된 적외선의 출력 광량 및 상기 제 2 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된 적외선의 손실되는 광량을 측정하다가 상기 부산물의 양이 포 화상태(saturation)가 되어, 상기 제 2 적외선 수광부에서의 적외선 수광량의 변화가 없는 시점이 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부산물의 적층 시간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배기관 내에 적층될 상기 부산물의 패턴을 예상할 수 있는,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은 반도체 또는 LCD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제조 공정 및 시간에 따라 다층 형태의 적층물을 포함하는,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KR1020170183143A 2017-12-28 2017-12-28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 KR10249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43A KR102498059B1 (ko) 2017-12-28 2017-12-28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43A KR102498059B1 (ko) 2017-12-28 2017-12-28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95A KR20190080595A (ko) 2019-07-08
KR102498059B1 true KR102498059B1 (ko) 2023-02-10

Family

ID=6725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143A KR102498059B1 (ko) 2017-12-28 2017-12-28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0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1545B2 (ja) 1995-05-17 1998-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製造装置
JP2000206045A (ja) 1999-01-18 2000-07-28 Horiba Ltd インラインモニタ
KR100786887B1 (ko) 2000-03-31 2007-12-17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챔버로부터의 배출물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와, 챔버 클리닝 장치
JP2013083654A (ja) * 2007-06-13 2013-05-09 Oy Halton Group Ltd ダクト内の汚れ状態を検知する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5349A (ja) * 1983-01-24 1984-08-03 Fujitsu Ltd 赤外線透過率測定方式
JP3290982B2 (ja) * 1989-09-20 2002-06-10 倉敷紡績株式会社 半導体処理用無機電解質の定量法
JPH09318528A (ja) * 1996-05-28 1997-1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ガスセンサ
KR20030085749A (ko) * 2002-05-01 200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염상태 검사 수단을 갖는 반도체 제조 장비의 배관 라인
US7417733B2 (en) * 2006-02-08 2008-08-26 Lam Research Corporation Chamber particle detection system
KR20080016246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의 파우더 모니터링 장치
KR100892309B1 (ko) * 2007-08-07 2009-04-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실시간 공정진단이 가능한 적외선 분광 분석기
KR101286100B1 (ko) * 2011-11-23 2013-07-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배플을 포함하는 진공 공정에서 발생하는 입자 및 부산물 분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1545B2 (ja) 1995-05-17 1998-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製造装置
JP2000206045A (ja) 1999-01-18 2000-07-28 Horiba Ltd インラインモニタ
KR100786887B1 (ko) 2000-03-31 2007-12-17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챔버로부터의 배출물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와, 챔버 클리닝 장치
JP2013083654A (ja) * 2007-06-13 2013-05-09 Oy Halton Group Ltd ダクト内の汚れ状態を検知する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95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592B1 (ko) 근적외선 스펙트럼 반사광 측정을 이용한 개선된 프로세스 감지 및 제어
JP7288493B2 (ja) マイクロセンサを有するウエハ処理ツール
JP5232250B2 (ja) 半導体成膜時の温度測定方法
US9741629B2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US11114286B2 (en) In-situ optical chamber surface and process sensor
JP2007285810A (ja) 光電変換層評価装置及び光電変換層の評価方法
CN104246009A (zh) 在等离子体沉积期间确定薄膜的厚度的方法
JP5725584B2 (ja) 半導体層の温度測定方法および温度測定装置
KR102498059B1 (ko) 배기관 내 부산물 측정 장치 모듈 및 부산물 측정 방법
KR100893961B1 (ko) 실시간 에칭율을 결정하기 위한 섈로우-앵글 간섭 공정 및장치
US20150099423A1 (en) TSV Wafer Thinning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KR20200117041A (ko) 챔버 드리프트 (drift) 모니터링 방법
TW201538766A (zh) 薄膜製造裝置、遮罩組、薄膜製造方法
KR102160284B1 (ko) 반도체 제조설비용 배기라인 파우더 퇴적 상태 모니터링 장치
KR102551929B1 (ko) 아르곤-헬륨 기반 코팅
WO2014083847A1 (ja) 光センサ装置、光センサ装置に用いる光学要素の製造方法
US11708635B2 (en) Processing chamber condition and process state monitoring using optical reflector attached to processing chamber liner
JP2011199072A (ja) 終点検出装置、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終点検出方法
JP2009060025A (ja) ウエハ移送システム中の清浄度評価方法
KR20180082185A (ko) 종료점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94116A (ko) 가스배관의 오염도 모니터링 장치
JP2015087112A (ja) 薬液温度計測装置
US12000041B2 (en) Processing chamber condition and process state monitoring using optical reflector attached to processing chamber liner
US11686671B2 (en) Concentration measurement device
KR20240045673A (ko) 스크러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