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827B1 - 쉰다리 유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쉰다리 유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827B1
KR102497827B1 KR1020220078428A KR20220078428A KR102497827B1 KR 102497827 B1 KR102497827 B1 KR 102497827B1 KR 1020220078428 A KR1020220078428 A KR 1020220078428A KR 20220078428 A KR20220078428 A KR 20220078428A KR 102497827 B1 KR102497827 B1 KR 102497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biotics
dcf49
plantarum
accession number
lactiplanti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수
이순구
정연호
이윤복
허문행
최재권
임호
임해천
이원종
장미현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식품
Priority to KR102022007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전통식품인 '쉰다리'로부터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신균주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균주를 최적 조건에서 발효시켜 제조된 고수율, 고기능성의 포스트바이오틱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쉰다리 유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new strain derived from shindari and production method of functional postbiotic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쉰다리 유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주 전통 발효 음료 '쉰다리' 유래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 신균주를 발굴하고, 이를 발효 균주로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그 중 특히 장건강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유산균이 주목받고 있다. 유산균은 글루코오스 등의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latic acid)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과 장내에서 유해한 물질인 인돌, 페놀, 암모니아, 아민의 생성을 억제하며, 인체의 항상성 유지를 돕는다. 유산균은 김치, 치즈, 요구르트, 발효음료 등의 식품을 발효하며, 일부는 우리 몸 안의 소화기관에 존재한다.
한편, 장에 도달하여 오랫동안 생존 가능하여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유산균으로, '살아 있는' 세균을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라고 한다. 1세대인 프로바이오틱스에서 2세대인 프리바이오틱스(프로바이오틱스의 영양분), 3세대인 신바이오틱스(프로바이오틱스+프리바이오틱스)를 넘어 최근에는 4세대인 포스트바이오틱스(프로바이오틱스의 대사산물)가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생균인 프로바이오틱스, 그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와 함께 이들의 대사산물인 사균체까지 포함한다. 생균은 열과 산에 약해 장에 도달하기 전에 거의 다 사멸되거나, 일부 장에 도달한 세균도 오랫동안 정착하지 못하고 배출되는 단점이 있는데,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위산과 담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까지 이동하여 장내 유해세균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며, 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사균화 방식에 따라 프로바이오틱스가 가지는 건강 이익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2-0034453호(2022.03.18. 공개)에는,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25678호(2022.03.03. 공개)에는,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전통식품인 '쉰다리'로부터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신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균주를 콩 배아 배지에서 발효시켜 고수율, 고기능성의 포스트바이오틱스를 생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쉰다리로부터 분리된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에 있어서, 상기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는,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콩 배아 추출물 1~5%, 글루코스(glucose) 0.17~2%, 인산나트륨(NaH2PO4) 0.2% 를 포함하는 배지에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콩 배아 추출물은, 대두에서 배아를 분리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분리한 배아 중량의 5~15배의 물을 가하고, 마쇄 및 여과하여 불용성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에서 불용성 성분을 분리한 후 회수된 콩배아유(soy germ milk; SGM)를 건조하는 단계 (C);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양 후,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사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주 전통 발효 음료인 쉰다리 유래 신균주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이용하여 고수율, 고기능성의 포스트바이오틱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함에 따라 포스트바이오틱스 생산 고도화를 위한 최적의 배지 조성 및 배양 조건을 확립할 수 있었다.
도 1은 콩 배아 추출물의 균주에 따른 농도별 생균수 및 pH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DCF8 균주와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 균주의 생균수 및 pH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DCF8 균주와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 균주의 시간별 이소플라본 함량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콩배아유(soy germ milk; SGM)를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한 콩 배아 추출물과 본 발명의 최종 포스트바이오틱스 시료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 생균수 반응표면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 이소플라본 반응표면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 유기산 함량 반응표면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쉰다리로부터 분리된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 2022년 05월 18일자로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14977BP를 부여받았다.
'쉰다리'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전통식품으로, 보리로 밥을 지어 쉰밥을 만들고 누룩을 넣어 발효시킨 후 끓여낸 식물성 발효음료이다. 짧은 발효기간으로 인해 도수가 1% 내외로 낮고 신맛과 단맛이 강하여 주로 여름철 음료로 이용된다. 쉰다리는 보리, 누룩, 물을 원료로 하여 막걸리와 유사하지만, 발효시간이 짧고 알코올 함량이 낮아 막걸리보다는 식물성 요구르트와 비슷하다고 여겨진다.
한편, 본 발명은 콩 배아 추출물 1~5 중량%, 글루코스(glucose) 0.17~2 중량% 및 인산나트륨(NaH2PO4) 0.2 중량% 를 포함하는 배지에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콩 배아 추출물 3 중량%, 글루코스(glucose) 0.17 중량% 및 인산나트륨(NaH2PO4) 0.2 중량% 를 포함하는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접종하고 27.1~37.1℃에서 16~24 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발효균주로 이용하여 발효시킬 경우 배지 내 적절한 생균수 및 pH가 유지되면서,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이 증진되어 고수율, 고기능성의 포스트바이오틱스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콩 배아 추출물은 농도 3% 이상에서는 생균수 및 pH에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콩 배아 추출물의 농도가 3%가 되도록 배지를 제조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한편, 상기 콩 배아 추출물은, 대두에서 배아를 분리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분리한 배아 중량의 5~15배의 물을 가하고, 마쇄 및 여과하여 불용성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에서 불용성 성분을 분리한 후 회수된 콩배아유(soy germ milk; SGM)를 건조하는 단계 (C);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양 후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사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120~122℃에서 19~21분 동안 사균화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에서 20분 동안 사균화한다. 한편, 사균화된 배양액은 건조하여 최종 포스트바이오틱스 시료를 제조한다. 이때, 건조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 방법으로 건조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비율이 높으면서 젖산(lact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등의 유기산 함량이 뛰어난 고수율, 고기능성의 포스트바이오틱스로 제조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 쉰다리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제주 전통 발효 음료 '쉰다리'를 MRS agar+L-cysteine-HCl 0.5mg/ml+cycloheximide 10 ug/ml+bromophenol blue 0.02 mg/ml 배지에서 37℃,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아래 표 1은 동정을 위해 사용한 유전자를 나타낸 것이다.
P. acidilactici 23S rRNA gene F primer 5'-GTT TCG GAG GAG GCG CAA-3'
R primer 5'-CTG TCT CGC AGT CAA GCT C-3'
16S rRNA gene F primer 5'-AGA GTT TGA TCC TGG CTC A-3'
R primer 5'-GGT TAC CTT GTT ACG ACT T-3'
L. plantarum unique gene F primer 5'-CTG TCT CGC AGT CAA GCT C-3'
R primer 5'-TCT CAA CGG TTG CTG TAT CG-3'
16S rRNA gene F primer 5'-AGA GTT TGA TCC TGG CTC A-3'
R primer 5'-GGT TAC CTT GTT ACG ACT T-3'
* unique gene name : LPXTG-motif cell wall anchor domain protein
상기 표 1에 기재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및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로 각각 동정된 총 26개 (각 12균주, 14균주)를 분리하였다.
[실험예 1 : 분리 균주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및 동정한 26개의 균주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1) 내산성
내산성 확인을 위하여, 실시예 1의 26개 분리균주를 MRS broth에 접종하고, 37 ℃에서 OD600 1.0까지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3 ml centrifuge(4,000 g for 10 min)로 원심분리하고, 세포 펠렛(cell pellet)을 MRS broth(control) 3 ml, MRS broth(1,000 unit/ml pepsin + pH2 or 3) 3 ml에 재현탁(resuspend)한 후 37 ℃에서 3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샘플은 연속 희석(serial dilution)하고, MRS agar에 접종하여 37 ℃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콜로니를 계수 및 균수 비교하였다.
(2) 내담즙성
내담즙성 확인을 위하여, 실시예 1의 26개 분리균주를 MRS broth에 접종하고, 37 ℃에서 OD600 1.0까지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3 ml centrifuge(4,000 g for 10 min)로 원심분리하고, 세포 펠렛(cell pellet)을 MRS broth(control) 3 ml, MRS broth(0.3% oxgall) 3 ml에 재현탁(resuspend)한 후 37 ℃에서 3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샘플은 연속 희석(serial dilution)하고, MRS agar에 접종하여 37 ℃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콜로니를 계수 및 균수 비교하였다.
(3) 실험결과
아래 표 2는 26개 분리균주의 산 및 담즙 내성을 나타낸 표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한 균주 중 15개의 균주가 대조균주(LGG 유산균, Lactobacillus rhamnosus GG) 대비 높은 내산성을 보였으며, 분리한 26개 균주 모두 생존율 97% 이상의 높은 내담즙성을 나타내었다.
26개의 분리된 균주의 산 및 담즙 내성
Strains No. Species control pH2.0 SR(%) pH3.0 SR(%) 0.3% oxgall SR(%)
DCF_1 Pediococcus acidilactici 9.57±0.08 4.63±0.04 48% 8.40±0.41 88% 9.38±0.01 98%
DCF_3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53±0.07 3.68±0.28 39% 8.76±0.10 92% 9.52±0.07 100%
DCF_7 Pediococcus acidilactici 9.53±0.10 4.36±0.16 46% 8.57±0.06 90% 9.35±0.10 98%
DCF_8 Pediococcus acidilactici 9.54±0.12 5.10±0.25 53% 8.28±0.33 87% 9.40±0.02 98%
DCF_9 Pediococcus acidilactici 9.61±0.07 3.42±0.39 36% 7.36±0.47 77% 9.34±0.08 97%
DCF_10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53±0.12 3.41±0.37 36% 8.45±0.12 89% 9.33±0.18 98%
DCF_11 Pediococcus acidilactici 9.63±0.01 4.21±0.10 44% 7.57±0.31 79% 9.46±0.09 98%
DCF_12 Pediococcus acidilactici 9.63±0.10 3.63±0.14 38% 8.37±0.30 87% 9.45±0.10 98%
DCF_13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50±0.07 2.54±0.09 27% 8.76±0.14 92% 9.27±0.11 98%
DCF_16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52±0.05 4.20±0.49 44% 8.74±0.08 92% 9.46±0.03 99%
DCF_17 Pediococcus acidilactici 9.67±0.09 4.26±0.06 44% 8.36±0.26 86% 9.38±0.01 97%
DCF_18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44±0.08 3.47±0.25 37% 8.56±0.31 91% 9.35±0.13 99%
DCF_20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55±0.04 4.12±0.46 43% 9.00±0.08 94% 9.48±0.08 99%
DCF_21 Pediococcus acidilactici 9.56±0.02 4.78±0.38 50% 8.76±0.25 92% 9.29±0.13 97%
DCF_22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62±0.09 3.68±0.38 38% 8.55±0.24 89% 9.45±0.12 98%
DCF_24 Pediococcus acidilactici 9.56±0.05 3.62±0.11 38% 8.56±0.26 90% 9.31±0.06 97%
DCF_34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46±0.18 4.53±0.29 48% 8.89±0.19 94% 9.50±0.01 100%
DCF_35 Pediococcus acidilactici 9.53±0.07 5.00±0.39 52% 8.62±0.02 91% 9.39±0.06 98%
DCF_36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56±0.05 3.60±0.38 38% 8.70±0.08 91% 9.43±0.10 99%
DCF_37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49±0.10 2.39±0.12 25% 8.77±0.28 92% 9.36±0.15 99%
DCF_41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54±0.11 2.11±0.15 22% 8.61±0.21 90% 9.51±0.07 100%
DCF_42 Pediococcus acidilactici 9.61±0.07 4.30±0.40 45% 8.30±0.17 86% 9.46±0.01 98%
DCF_43 Pediococcus acidilactici 9.63±0.06 4.74±0.01 49% 8.44±0.46 88% 9.32±0.12 97%
DCF_44 Pediococcus acidilactici 9.52±0.18 5.08±0.27 53% 8.57±0.11 90% 9.35±0.11 98%
DCF_49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9.58±0.05 4.72±0.42 49% 8.79±0.08 92% 9.34±0.05 98%
DCF_50 Pediococcus acidilactici 9.54±0.11 4.28±0.42 45% 7.79±0.49 82% 9.23±0.17 97%
ATCC53103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9.34±0.01 2.92±0.02 31% 8.35±0.38 89% 9.12±0.03 98%
DSM 20079 lactobacillus acidophilus 9.49±0.20 4.06±0.03 43% 8.65±0.11 91% 9.46±0.17 100%
* SR (survival ratio, %) = final(logCFU/ml)/control(logCFU/ml)ⅹ100 (unit : logCFU/ml)
본 발명에서는 분리 균주 중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특히 뛰어난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1균주(DCF8),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1균주(DCF49)를 후보균주로 선정하여 하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한편, DCF8는 표 1에 기재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16S rRNA를 클로닝하였고, 그 서열을 서열번호 1에 기재하였다. 또한, DCF49는 표 1에 기재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16S rRNA를 클로닝하였고, 그 서열을 서열번호 2에 기재하였다.
한편, 상기 16S rRNA gene의 시퀀싱 확인 결과, DCF8 균주는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내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 pentosaceus)와 상동성이 높아 근연종 사이의 구분이 어려웠다. 또한, DCF49 균주는 락티플란티바실러스(Lactiplantibacillus) 속 내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펜토서스(L. pentosus), 락티플란티바실러스 아르젠토라텐시스(L. argentoratensis)와 상동성이 높아 근연종 사이의 구분이 어려웠다.
이에, 추가로 다른 유전자(gene)를 검토하여 동정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추가 검토된 유전자 및 그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primer)는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에 대해서는 23S rRNA gene (F : 5'-GTT TCG GAG GAG GCG CAA-3', R : 5'-CTG TCT CGC AGT CAA GCT C-3')이었다. 또한, 락티플란티바실러스(Lactiplantibacillus) 속에 대해서는 unique gene (unique gene name : LPXTG-motif cell wall anchor domain protein, F : 5'-GCT GGC AAT GCC ATC GTG CT-3', R : 5'-TCT CAA CGG TTG CTG TAT CG-3') 이었다.
이를 통해 종 수준 동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시퀀싱 결과 서열번호 3 및 4에 기재된 서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블라스트 서치를 해 본 결과, DCF8 균주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로 동정되었고, DCF49 균주는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실시예 2-1 내지 2-5 : 콩 배아 배지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콩 배아 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달리하여 포스트바이오틱스 발효용 배지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대두에서 배아를 분리하고 배아 중량의 13배 수준의 열수를 가하여 마쇄 및 여과하여 불용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회수된 콩배아유(soy germ milk; SGM)를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콩 배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하기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콩배아유(SGM)의 영양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콩배아유(SGM) 영양성분
Nutrients Contents
Crude fat (g/100g) 13.08 ± 0.32
Crude protein (g/100g) 33.59 ± 0.47
Moisture (g/100g) 2.32 ± 0.02
Ash (g/100g) 4.99 ± 0.03
Sucrose (g/100g) 6.51 ± 0.03
Raffinose (g/100g) 0.59 ± 0.01
Stachyose (g/100g) 6.10 ± 0.02
Sugar (Total) (g/100g) 13.19 ± 0.19
Na (mg/kg) 155.99 ± 1.22
Mg (mg/kg) 9874.04 ± 18.76
K (mg/kg) 19313.41 ± 98.91
Ca (mg/kg) 82.58 ± 0.55
Mn (mg/kg) 21.63 ± 0.01
Fe (mg/kg) 69.17 ± 2.02
Cu (mg/kg) 17.82 ± 0.02
Zn (mg/kg) 61.72 ± 1.07
표 3에서 보듯이, 동결 건조한 콩 배아 열수추출물에는 미생물이 성장에 필요한 조지방, 조단백질 등의 영양성분과 다양한 당류(sucrose, raffinose, stachyose 등)가 13.19 g/100 g 함유되어 있으며, 4.994 g/100 g의 회분이 함유되어 있어 배지의 원료로서 활용이 가능한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콩 배아 열수추출물에는 다양한 무기성분이 존재하였는데 Na, Mg, K, Ca, Mn, Fe, Cu, Zn 등이 함유되어 있어 포스트바이오틱스 소재 배양을 위한 배지로 활용 시 미량 영양소의 공급원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한 콩 배아 추출물의 농도를 1~5 중량% (1%, 2%, 3%, 4%, 5%)로 달리하고, 글루코스(glucose) 2 중량% 및 인산나트륨(NaH2PO4) 0.2 중량%를 배합하여 실시예 2-1 내지 2-5의 콩 배아 배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 콩 배아 추출물 농도에 따른 배지의 생균수 및 pH 변화 확인]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2-1 내지 2-5에서 제조한 콩 배아 추출물 농도별 배지의 생균수 및 pH 변화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서 선정한 후보균주(P. acidilactici (DCF8), L. plantarum (DCF49))를 30 시간까지 배양하면서 실시예 2-1 내지 2-5 배지의 생균수 및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1은 콩 배아 추출물의 균주에 따른 농도별 생균수 및 pH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균수 측정 결과,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DCF8 균주는 8.67(1%, 실시예 2-1), 8.30(2%, 실시예 2-2), 8.94(3%, 실시예 2-3), 9.00(4%, 실시예 2-4), 9.05(5%, 실시예 2-5) log CFU/mL 로 측정되었으며,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균주는 8.48(1%, 실시예 2-1), 8.45(2%, 실시예 2-2), 8.64(3%, 실시예 2-3), 8.75(4%, 실시예 2-4), 8.75(5%, 실시예 2-5) log CFU/mL 로 측정되었다. 한편, pH 측정 결과,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DCF8 균주는 3.59(1%, 실시예 2-1), 3.60(2%, 실시예 2-2), 3.64(3%, 실시예 2-3), 3.66(4%, 실시예 2-4), 3.71(5%, 실시예 2-5)로 나타났으며,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균주는 3.77(1%, 실시예 2-1), 3.88(2%, 실시예 2-2), 3.89(3%, 실시예 2-3), 3.98(4%, 실시예 2-4), 4.02(5%, 실시예 2-5) 로 나타났다. 즉, 도 1에서 보듯이, 콩 배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균수가 증가하나, 3% 이상의 농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3% 농도로 제조한 실시예 2-3의 배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효 16시간 이후에는 정지상(stationary phase)에 도달하여 발효는 24시간까지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후보균주의 발효특성 확인]
(1) 배양시간별 생균수 및 pH 측정
상기 실험예 1에서 선정한 후보균주(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DCF8,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및 대조균주(L. brevis KACC11433)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2에서 확인한 최적 조건인 실시예 2-3 배지(3% 농도)에 24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배양시간별 생균수 및 pH를 측정하였다.
도 2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DCF8 균주와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균주의 생균수 및 pH 변화를 관찰한 결과로, 24시간 배양 후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DCF8 균주는 8.68 log CFU/mL, pH3.89로 확인되었으며,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균주는 8.84 log CFU/mL, pH3.50으로 확인되었다.
(2) 대사체(이소플라본) 평가
콩 배아 배지 내 후보균주 발효를 통한 배지의 성분 변화를 확인하고자 대사체 평가를 진행하였다.
도 3은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DCF8 균주와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균주의 시간별 이소플라본 함량을 관찰한 결과로, 도 3에서 보듯이, 24시간 배양 전후의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DCF8 균주는 1.66 mg/100 g에서 1.64 mg/100 g으로 오히려 수치가 감소한 반면,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균주는 1.59 mg/100 g에서 2.69 mg/100 g으로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이 대폭 증가한 점을 확인하였다. 즉, 후보균주 중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균주가 배아 배지 내 이소플라본을 비배당체로 효과적으로 전환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하기에서는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균주를 포스트바이오틱스 발효용 균주로 선정하여 포스트바이오틱스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3 :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험예에서 생균수, 대사체 함량 등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최적 균주로 선정된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균주를 이용하여 포스트바이오틱스 시료를 제조하였다.
균주는 3 중량% 콩 배아 추출물을 함유한 배지에서 30℃,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사균체화는 121℃, 20 분의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한편, 사균화된 배양액은 동결건조하여 최종 포스트바이오틱스 시료를 완성하였다. 도 4는 콩배아유(soy germ milk; SGM)를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한 콩 배아 추출물과 본 발명의 최종 포스트바이오틱스 시료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하기 표 4는 사균화된 포스트바이오틱스 시료의 고형분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조한 최종 포스트바이오틱스 시료에 생균이 존재하지 않고 모두 사균화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사균화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고형분 함량
Strains 원심분리 유무 열처리
방법
배양 후 균수
(CFU/g)
건조 전
질량(g)
건조 후
질량(g)
고형분
함량(%)
L. plantarum DCF49 전체 121℃ 6.77 × 108 161.79 9.67 5.97
[실험예 4 : 포스트바이오틱스 내 이소플라본 및 유기산 분석]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최종 포스트바이오틱스에 포함된 이소플라본 및 유기산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이소플라본
아래 표 5는 본 발명의 포스트바이오틱스 내 이소플라본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이소플라본 분석 결과, 포스트바이오틱스 발효 시 비배당체(Daidzein, Genistein, Glycitein) 함량이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배당체(Daidzin, Genistin, Glycitin)).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콩 배아 배지 동결건조물의 비배당체 비율은 2.81%로 나타났으나, 본 발명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균주를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비배당체 비율은 8.30%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콩 배아 배지 동결건조물에 비해 높은 비배당체 비율을 나타내는 점을 확인하였다.
포스트바이오틱스 내 이소플라본 함량
Strains Isoflavones Contents
콩배아배지 동결건물
(비발효)
Daidzin (mg/100g) 844.18 ± 2.80
Glycitin (mg/100g) 415.86 ± 0.51
Genistin (mg/100g) 176.94 ± 0.77
Daidzein (mg/100g) 10.50 ± 0.04
Glycitein (mg/100g) 12.82 ± 0.06
Genistein (mg/100g) 2.41 ± 0.07
Total (mg/100g) 1462.71
L. plantarum DCF49 Daidzin (mg/100g) 556.84 ± 0.01
Glycitin (mg/100g) 428.43 ± 0.45
Genistin (mg/100g) 154.65 ± 0.01
Daidzein (mg/100g) 15.59 ± 0.19
Glycitein (mg/100g) 41.11 ± 0.32
Genistein (mg/100g) 7.56 ± 0.11
Total (mg/100g) 1204.17
(2) 유기산
아래 표 6은 본 발명의 포스트바이오틱스 내 유기산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유기산 분석 결과, 포스트바이오틱스 발효 시 동결건조한 콩 배아 배지에 비해 젖산(lact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등의 유기산 함량이 증가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스트바이오틱스 내 유기산 함량
Strains Organic acid production (mg/g)
Lactate Acetate Citrate Succinate Propionate Butyrate
콩배아배지 동결건물
(비발효)
N.D. 50.18 ± 0.17 3.41 ± 0.03 8.66 ± 0.02 0.76 ± 0.19 N.D.
L.plantarum DCF49 67.61 ± 0.26 51.28 3.96 ± 0.22 16.89 ± 1.13 4.04 ± 0.01 N.D.
이와 같이, 본 실험예에서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이용하여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 시 고수율, 고기능성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 포스트바이오틱스의 반응표면분석]
본 실험에서는 포스트바이오틱스 생산 고도화를 위한 최적의 배지 조성 및 배양 조건을 확립하고자,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수행하였다.
글루코스(glucose) 및 배양온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중심값(Glucose 3%/ 배양온도 37℃)을 포함한 13개의 실험군에 대해 각각 3번의 반복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생균수,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유기산 총량(단쇄지방산 및 젖산)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중심합성 설계(Central composite design)를 이용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수행하였다. 아래 표 7은 본 발명의 포스트바이오틱스 배양조건 중심합성 설계를 나타낸 표이고,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 생균수, 이소플라본, 유기산 함량 반응표면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포스트바이오틱스 배양조건 중심합성 설계
Factors Symbol(unit) Level of coded variables
-a -1 0 +1 +a
Glucose X1(%) 0.17 1 3 5 5.8
Temperature X2(℃) 27.1 30 37 44 46.8
한편, 아래 수학식 1은 생균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각 독립변수와 반응값(생균수, CFU/mL)에 대한 회귀방정식을 도출하여 나타낸 것으로, 최대 생균수 확보를 위한 최적조건은 글루코스(glucose) 0.17 중량%, 배양온도 27.1℃로 분석되었으며, 각 최적조건별 최대 균체량은 6.95 x 108 CFU/mL로 분석되었다.
Figure 112022067090011-pat00001
한편, 아래 수학식 2는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비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각 독립변수와 반응값(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비율, %)에 대한 회귀방정식을 도출하여 나타낸 것으로,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을 위한 최적조건은 글루코스(glucose) 0.17 중량%, 배양온도 35.5℃ 로 분석되었으며, 각 최적조건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비율은 11.53% 로 분석되었다.
Figure 112022067090011-pat00002
한편, 아래 수학식 3은 단쇄지방산 및 젖산의 총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각 독립변수와 반응값(유기산 총량, mg/g)에 대한 회귀방정식을 도출하여 나타낸 것으로, 유기산 생성 최적조건은 글루코스(glucose) 0.17 중량%, 배양온도 37.1℃로 분석되었으며, 각 최적조건별 유기산 함량은 260.51 mg/g로 분석되었다.
Figure 112022067090011-pat00003
이와 같이, 본 실험에서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최적 배지 조성 및 배양 조건을 확인한 결과,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의 경우, 글루코스(glucose) 농도는 0.17 중량%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양온도는 27.1~37.1℃ 가 최적의 배양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최적 비율로 콩 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콩 배아 배지를 제조하고, 상기 배지에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사균화한 다음 동결건조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및 유기산 함량이 대폭 증진된 포스트바이오틱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4977BP 20220518
<110> Dr. Chung's Food Co., Ltd. <120>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new strain derived from shindari and production method of functional postbiotics using the same <130> YP-22-078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36 <212> DNA <213> Pediococcus acidilactici <400> 1 tgcaagtcga acgaacttcc gttaattgat catgacgtgc ttgcactgaa tgagatttta 60 acacgaagtg agtggcggac gggtgagtaa cacgtgggta acctgcccag aagcagggga 120 taacacctgg aaacagatgc taataccgta taacagagaa aaccgcctgg ttttctttta 180 aaagatggct ctgctatcac ttctggatgg acccgcggcg cattagctag ttggtgaggt 240 aacggctcac caaggcgatg atgcgtagcc gacctgagag ggtaatcggc cacattggga 300 ctgagacacg gcccagactc ctacgggagg cagcagtagg gaatcttcca caatggacgc 360 aagtctgatg gagcaacgcc gcgtgagtga agaagggttt cggctcgtaa agctctgttg 420 ttaaagaaga acgtgggtga gagtaactgt tcacccagtg acggtattta accagaaagc 480 cacggctaac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tggcaagcgt tatccggatt 540 tattgggcgt aaagcgagcg caggcggtct tttaagtcta atgtgaaagc cttcggctca 600 accgaagaag tgcattggaa actgggagac ttgagtgcag aagaggacag tggaactcca 660 tgtgtagcgg tgaaatgcgt agatatatgg aagaacacca gtggcgaagg cggctgtctg 720 gtctgtaact gacgctgagg ctcgaaagca tgggtagcga acaggattag ataccctggt 780 agtccatgcc gtaaacgatg attactaagt gttggaaggt ttccgccctt cagtgctgca 840 gctaacgcat taagtaatcc gcctggggag tacgaccgca aggttgaaac tcaaaagaat 900 tgacgggggc ccgcacaagc ggtggagcat gtggtttaat tcgaagctac gcgaagaacc 960 ttaccaggtc ttgacatctt ctgccaacct aagagattag gcgttccctt cggggacaga 1020 atgacaggtg gtgcatggtt gtcgtcagct cgtgtcgtga gatgttgggt taagtcccgc 1080 aacgagcgca acccttatta ctagttgcca gcattcagtt gggcactcta gtgagactgc 1140 cggtgacaaa ccggaggaag gtggggacga cgtcaaatca tcatgcccct tatgacctgg 1200 gctacacacg tgctacaatg gatggtacaa cgagttgcga aaccgcgagg tttagctaat 1260 ctcttaaaac cattctcagt tcggactgta ggctgcaact cgcctacacg aagtcggaat 1320 cgctagtaat cgcggatcag catgccgcgg tgaatacgtt cccgggcctt gtacacaccg 1380 cccgtcacac catgagagtt tgtaacaccc aaagccggtg gggtaacctt ttagga 1436 <210> 2 <211> 142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400> 2 tcgaacgaac tctggtattg attggtgctt gcatcatgat ttacatttga gtgagtggcg 60 aactggtgag taacacgtgg gaaacctgcc cagaagcggg ggataacacc tggaaacaga 120 tgctaatacc gcataacaac ttggaccgca tggtccgagc ttgaaagatg gcttcggcta 180 tcacttttgg atggtcccgc ggcgtattag ctagatggtg gggtaacggc tcaccatggc 240 aatgatacgt agccgacctg agagggtaat cggccacatt gggactgaga cacggcccaa 300 actcctacgg gaggcagcag tagggaatct tccacaatgg acgaaagtct gatggagcaa 360 cgccgcgtga gtgaagaagg gtttcggctc gtaaaactct gttgttaaag aagaacatat 420 ctgagagtaa ctgttcaggt attgacggta tttaaccaga aagccacggc taactacgtg 480 ccagcagccg cggtaatacg taggtggcaa gcgttgtccg gatttattgg gcgtaaagcg 540 agcgcaggcg gttttttaag tctgatgtga aagccttcgg ctcaaccgaa gaagtgcatc 600 ggaaactggg aaacttgagt gcagaagagg acagtggaac tccatgtgta gcggtgaaat 660 gcgtagatat atggaagaac accagtggcg aaggcggctg tctggtctgt aactgacgct 720 gaggctcgaa agtatgggta gcaaacagga ttagataccc tggtagtcca taccgtaaac 780 gatgaatgct aagtgttgga gggtttccgc ccttcagtgc tgcagctaac gcattaagca 840 ttccgcctgg ggagtacggc cgcaaggctg aaactcaaag gaattgacgg gggcccgcac 900 aagcggtgga gcatgtggtt taattcgaag ctacgcgaag aaccttacca ggtcttgaca 960 tactatgcaa atctaagaga ttagacgttc ccttcgggga catggataca ggtggtgcat 1020 ggttgtcgtc agctcgtgtc gtgagatgtt gggttaagtc ccgcaacgag cgcaaccctt 1080 attatcagtt gccagcatta agttgggcac tctggtgaga ctgccggtga caaaccggag 1140 gaaggtgggg atgacgtcaa atcatcatgc cccttatgac ctgggctaca cacgtgctac 1200 aatggatggt acaacgagtt gcgaactcgc gagagtaagc taatctctta aagccattct 1260 cagttcggat tgtaggctgc aactcgccta catgaagtcg gaatcgctag taatcgcgga 1320 tcagcatgcc gcggtgaata cgttcccggg ccttgtacac accgcccgtc acaccatgag 1380 agtttgtaac acccaaagtc ggtggggtaa ccttttagga acc 1423 <210> 3 <211> 208 <212> DNA <213> Pediococcus acidilactici <400> 3 tttcggagga ggcgcaagtg ggatactacc ctcgttgtat gaaccctcta acccgcgcca 60 ctaatcgtgg cgggagacag tgtctggtgg gcagtttgac tggggcggtc gcctcctaaa 120 aggtaacgga ggcgcccaaa ggttccctca gaatggttgg aaatcattcg cagagtgtaa 180 aggcagaagg gagcttgact gcgagaca 208 <210> 4 <211> 147 <212> DNA <213> Unknown <220> <223>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400> 4 ctggcaatgc catcgtgctt gatgcgaatg gcaagcccgt tactgacaca agtacgttga 60 atgataaggc tggctaccaa ttaacgtatc attggggtat tccagattct gaagtgttta 120 aggccggcga tacagcaacc gttgaga 147

Claims (5)

  1. 쉰다리로부터 분리된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을 콩 배아 추출물을 함유한 배지에서 27.1~37.1℃의 배양온도에서 발효시켜 수득하며, 발효 전에 비하여 비배당체인 다이드제인(Daidzein), 제인스테인(Genistein) 및 글리시테인(Glycitein)과 유기산인 젖산, 숙신산 및 프로피온산의 함량이 증진되며, 상기 배지는 콩 배아 추출물 3중량% 및 글루코스 0.17중량% 를 포함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는,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3. 콩 배아 추출물 3중량% 및 글루코스 0.17중량% 를 포함하는 배지에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접종하여 27.1~37.1℃의 배양온도에서 배양하여 발효 전에 비하여 비배당체인 다이드제인(Daidzein), 제인스테인(Genistein) 및 글리시테인(Glycitein)과 유기산인 젖산, 숙신산 및 프로피온산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콩 배아 추출물은,
    대두에서 배아를 분리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분리한 배아 중량의 5~15배의 물을 가하고, 마쇄 및 여과하여 불용성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에서 불용성 성분을 분리한 후 회수된 콩배아유(soy germ milk; SGM)를 건조하는 단계 (C);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 후,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기탁번호 : KCTC14977BP)를 사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방법.
KR1020220078428A 2022-06-27 2022-06-27 쉰다리 유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KR102497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428A KR102497827B1 (ko) 2022-06-27 2022-06-27 쉰다리 유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428A KR102497827B1 (ko) 2022-06-27 2022-06-27 쉰다리 유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827B1 true KR102497827B1 (ko) 2023-02-08

Family

ID=8522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428A KR102497827B1 (ko) 2022-06-27 2022-06-27 쉰다리 유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8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877A (ko) * 2004-12-01 2006-06-07 주식회사 정식품 대두 배아 및/또는 대두 껍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발암 억제용 조성물
KR20160038864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알엔에이 비배당체가 세포내에 축적되어 있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제제
KR20220025678A (ko) 2020-08-24 2022-03-03 (주)케비젠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KR20220034453A (ko) 2020-09-11 2022-03-18 (주)정가진면역연구소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877A (ko) * 2004-12-01 2006-06-07 주식회사 정식품 대두 배아 및/또는 대두 껍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발암 억제용 조성물
KR20160038864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알엔에이 비배당체가 세포내에 축적되어 있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제제
KR20220025678A (ko) 2020-08-24 2022-03-03 (주)케비젠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KR20220034453A (ko) 2020-09-11 2022-03-18 (주)정가진면역연구소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115B1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47754B1 (ko) 함유산균빵의 제조에 유용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e1
KR101296067B1 (ko) 페디오코코스 액시딜락티시 j9를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3270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20080109585A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내염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식물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991456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100707102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및 유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김치 유산균,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Miranda-Yuquilema et al. Obtaining,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wo candidate preparations for probiotics developed with agroindustrial waste
JP6853624B2 (ja) 新規な植物性乳酸菌
KR102497827B1 (ko) 쉰다리 유래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DCF49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KR102542030B1 (ko) 막걸리 유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아종 파라카제이 dcf0429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
KR100455832B1 (ko) 김치에서 분리한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우수한 신규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
CN116948884A (zh) 高形成生物膜、抗逆性强的德氏乳杆菌乳亚种及其应用
KR20080102773A (ko)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 전환능력을 가진 신규한 식물 유래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JP2018042507A (ja) 植物性原料に生育しやすいエンテロコッカス属乳酸菌及びその増殖方法、ならびに、それを使用した豆味噌の製造方法および豆味噌
KR101228552B1 (ko) 마늘 함유 발효 식품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6670B1 (ko) 내산성, 내담즙성 및 세포 부착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lp5193,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품
KR101673055B1 (ko) 신규한 스타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두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1544180B1 (ko) 공액리놀레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균제제와 공액리놀레산이 증대된 식품
KR101871904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ysm1219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2038272A1 (en)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quinoa and production of fermented quinoa products with aid of said strains
KR20180060767A (ko) 신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h1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KR20140123116A (ko) 사카로미세스 세르바찌 my7 및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 ml17 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묵은지 제조용 스타터
KR100621657B1 (ko)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좋고 효소의 생산이 우수한 신규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유비티-엠02 균주 , 이 신규 균주를이용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 사료첨가제를 함유하는가축 사료
KR20220143231A (ko) 상황버섯 유래 균주의 사균체 분말 제조방법, 사균체 분말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