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561B1 -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561B1
KR102497561B1 KR1020220104572A KR20220104572A KR102497561B1 KR 102497561 B1 KR102497561 B1 KR 102497561B1 KR 1020220104572 A KR1020220104572 A KR 1020220104572A KR 20220104572 A KR20220104572 A KR 20220104572A KR 102497561 B1 KR102497561 B1 KR 10249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angle
predetermined
lighting
p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준
Original Assignee
최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준 filed Critical 최형준
Priority to KR1020220104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하철에 출입하는 사람들이 열차와 승강장 연단부 사이의 틈에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열차의 정차 시 소정의 조명을 조사하며 전자호루라기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WARNING DEVICE FOR FOOT FALL OF SUBWAY STATION}
아래 실시예들은 지하철에 출입하는 사람들이 열차와 승강장 연단부 사이의 틈에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열차의 정차 시 소정의 조명을 조사하며 전자호루라기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은 하루에도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이다.
승강장의 연단부(열차가 정차했을 때 출입문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승강장 단부)와 열차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2005년 철도건설법에서는 이러한 틈이 10cm가 넘지 않도록 규제하였으며, 틈의 크기가 10cm가 넘는 경우에는 안전 장비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2005년 이전에 설치된 서울 지하철의 200개 이상의 역들에는 아직도 틈의 크기가 10cm를 초과하는 구간이 매우 많다.
이는 열차의 좌우 흔들림이나 곡선 형태의 승강장 등 설계상의 한계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를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부 역사에서는 열차가 정차한 뒤 작동하여 틈을 가리는 형태의 발 빠짐 방지 장치들을 개발하여 적용을 시도하였으나, 이러한 장치의 경우 열차가 진입 중에 오작동하여 열차를 파손시키는 등 다른 안전문제를 발생시킨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KR 10-2013-0128223 A KR 10-1518136 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발 빠짐 방지 장치들의 안전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별도의 물리적인 가림막 없이도 지하철에 탑승하는 승객들이 틈새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발빠짐 사고를 경고(예방)하는,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는 자기장 센서; 상기 열차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전자호루라기; 승강장 연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열차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열차 및 상부를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조명을 점멸시키는 조명등; 및 상기 자기장 센서, 전자호루라기 및 조명등에 연결되며, 열차가 연단부에 접근한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전자호루라기 및 조명등을 작동시켜, 상기 열차에 출입하는 사람들에게 발빠짐 위험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연단부의 하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연단부로부터 철로 방향을 향하도록 신장되되, 상기 연단부의 끝단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신장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체결되어, 상부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신장되되, 상기 철로로부터 연단부 방향을 향하도록 신장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되, 복수개의 상기 브라켓이 연단부의 하부에서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고, 상기 조명등이 둘 이상의 상기 각도조절부에 걸쳐서 안착되고, 복수개의 상기 전자호루라기 및 복수개의 상기 자기장 센서는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고정되되, 복수개의 상기 연장부 중 일부에만 배치되며, 상기 조명부가 조사하는 조명의 각도를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이내의 각도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노즐; 상기 브라켓 내측으로 소정의 공기압을 분사하는 공기펌프; 상기 연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차에 출입하는 사람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람의 보폭을 추정하고, 추정된 보폭을 기반으로 상기 사람이 발을 내딛는 지점이 열차와 연단부 사이의 공간인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공기펌프의 분사 압력을 증가시키는 압력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열차에 출입하는 사람들이 열차와 연단부 사이의 공간에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소정의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사람이 열차와 연단부 사이의 공간에 발을 내딛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모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열차의 출입문이 열린 뒤 소정의 시간 이내에는 상기 조명부가 조사하는 조명의 각도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12도 미만이 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열차의 출입문이 열린 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상기 조명부가 조사하는 조명의 각도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12도 이상이 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열차의 출입문의 개폐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이내에는 하차 승객의 눈에 상기 조명이 직접적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제어되고, 상기 열차의 출입문의 개폐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승차 승객에게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차의 표면에 조명이 반사되도록 상기 조명을 열차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여서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등과 각도조절부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도록 작동되는 탈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조명등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슬릿; 상기 조명등의 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내부슬릿과 연통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통로; 상기 체결통로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축; 상기 체결축의 일단에 형성되어 나사결합 시 일단에 노출되고, 회전을 위해 하중을 전달받는 헤드부; 상기 내부슬릿으로 삽입되며, 상기 체결축이 체결통로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체결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상기 각도조절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의 내부슬릿의 바깥쪽에서 내부슬릿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외부슬릿;을 포함하여, 상기 체결축을 체결통로에 체결하고 스토퍼를 내부슬릿에 삽입한 뒤, 조명등을 외부슬릿 사이의 공간에 안착시키고 스토퍼가 외부슬릿 내부에 삽입되도록 체결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조명등과 각도조절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철도건설법 개정 이전에 건축되어 열차와 연단부 사이의 틈이 10cm 이상인 승강장에서도 발빠짐을 예방(경고)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발 받침대 등의 구조물 없이도 발빠짐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서, 발빠짐 방지 구조물과의 열차간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구조에 따라 조명등을 연단부의 끝부분보다 바깥쪽(열차를 기준으로 바깥쪽(승강장 방향))에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명등이 열차와 충돌하거나 간섭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시각과 청각을 병용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승객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분사를 통해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한 주의 환기가 가능하다.
그리고, 소정의 탈착 체결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조명등의 브라켓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 시 조명등의 탈거가 용이해진다.
도 1 및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의 안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의 안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의 탈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의 탈착부재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는 자기장 센서(미도시); 상기 열차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전자호루라기(미도시); 승강장 연단부(S)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2); 상기 브라켓(2)에 연결되어, 상기 열차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열차 및 상부를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조명을 점멸시키는 조명등(1); 및 상기 자기장 센서, 전자호루라기 및 조명등(1)에 연결되며, 열차가 연단부(S)에 접근한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전자호루라기 및 조명등(1)을 작동시켜, 상기 열차에 출입하는 사람들에게 발빠짐 위험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S)의 발빠짐 경고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기장 센서로는 MAGO Technology 사의 RA-400 모델을 사용하였다. 상기 자기장 센서는 FS 디지털 자기센서 및 밀리미터파 RADAR로 구성되어 열차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으며, 철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노이즈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1)으로는 LED 라인바 RGB 제품을 활용하였으며, RGB컨트롤러를 이용하여 RGB에 포함되는 모든 컬러를 연출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조명등(1) 작동 시 다양한 컬러의 조명이 번갈아가면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S)의 발빠짐 경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기준으로 도면의 좌-하측 부분에 열차가 정차하게 되면 상기 자기장 센서(미도시)가 열차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열차 및 상부를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조명을 점멸시켜 열차에 승하차하는 승객들이 조명을 보고 주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란, 도 1을 기준으로 상측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지면(地面)에 수직한 방향). 또한, '열차 및 상부'를 향한다는 기재는, 열차와 상부(지면에 수직한 방향) 사이를 향하는 각도를 포함하는 기재로써 해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이 조사하는 조명의 각도가 수직 방향으로부터 약 12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빠짐 주의 경보음이 지하철 승강장에 배치된 스피커 등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승객의 주의가 스피커 등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호루라기는 연단부(S)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열차와 연단부(S) 사이의 틈으로부터 경보음이 들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에서 '전자호루라기'는 스피커 등 소정의 소리/소음을 발생시키는 부재와 균등한 범위인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2)은: 상기 연단부(S)의 하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부(21); 상기 체결부(2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연장부(22); 상기 연장부(22)의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연단부(S)로부터 철로 방향을 향하도록 신장되되, 상기 연단부의 끝단(E)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신장되는 안착부(23); 상기 안착부(23)에 체결되어, 상부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베이스부(24); 상기 베이스부(24)의 일측에 배치되는 힌지부(25); 및 상기 힌지부(25)를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신장되되, 상기 철로로부터 연단부(S) 방향을 향하도록 신장되는 각도조절부(26);를 포함하되, 복수개의 상기 브라켓(2)이 연단부(S)의 하부에서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고, 상기 조명등(1)이 둘 이상의 상기 각도조절부(26)에 걸쳐서 안착되고, 복수개의 상기 전자호루라기 및 복수개의 상기 자기장 센서는 상기 연장부(22)의 일측에 고정되되, 복수개의 상기 연장부(22) 중 일부에만 배치되며, 상기 조명부가 조사하는 조명의 각도를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이내의 각도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2) 4개가 한 세트를 이루도록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서울 지하철의 '열차 10량' * '1량당 출입문 4개' = 40개의 출입구에 대해, 4개의 브라켓(2) 세트가 총 40개(브라켓(2) 160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기장 센서는 모든 브라켓(2)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므로, 열차의 진입여부만을 판단하기 위하여 160개의 브라켓(2)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거나, 열차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거나, 브라켓(2) 세트 당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발판 구조물 등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열차가 완전히 진입하여 정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전사고의 위험 없이 정상 작동이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이 자기장 센서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설치 비용을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1)은 각 출입구마다 2개 씩, 총 80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차의 출입문 한 짝마다 조명등(1)이 하나 씩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호루라기는, 각 출입구마다 1개 씩, 총 40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26)는 설치 시에 조명등(1)의 각도를 조절하는 용도 또는/및 작동 시에 조명등(1)의 각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용도로써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가 조사하는 조명의 각도는 지면에 정확하게 수직인 방향 보다는, 수직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열차(철로)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를 가지고 열차에 조사된 조명은, 열차의 하부에 의해 반사되어 열차에 탑승하는 승객들에게 높은 가시성을 가지게 된다.
조명등(1)의 각도를 12도 정도로 고정해두는 경우에도 별다른 문제 없이 발빠짐 경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하차하는 승객이 조명등(1)의 조명을 직접적으로 바라봄으로써 눈부심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21)는 소정의 볼트 등을 활용하여 연단부(S)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조명등(1)이 둘 이상의 상기 각도조절부(26)에 걸쳐서 안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명등(1)은 길이가 900mm 내지 1200mm 가량이므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두 개의 브라켓(2)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브라켓(2)의 체결 위치가 바르지 않은 경우에는 각도조절부(26)를 조절하여 조명등(1)이 올바른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3)의 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노즐; 상기 브라켓(2) 내측으로 소정의 공기압을 분사하는 공기펌프; 상기 연단부(S)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차에 출입하는 사람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람의 보폭을 추정하고, 추정된 보폭을 기반으로 상기 사람이 발을 내딛는 지점이 열차와 연단부(S) 사이의 공간인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공기펌프의 분사 압력을 증가시키는 압력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열차에 출입하는 사람들이 열차와 연단부(S) 사이의 공간에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소정의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사람이 열차와 연단부(S) 사이의 공간에 발을 내딛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미도시)은 열차와 연단부(S) 사이의 틈을 향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분사되는 상기 공기압은 승하차하는 승객이 틈으로부터 바람이 분사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이면 충분하다. 열차의 출입문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또는 열차가 정차한 동안) 지속적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승객이 열차와 연단부(S) 사이의 틈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연단부(S)의 상부(스크린도어의 상부)에 배치된 카메라는 출입하는 승객(사람)의 보폭을 기반으로, 출입문을 지나기 직전의 사람이 내딛는 지점이 열차와 연단부(S) 사이의 틈인 것으로 예측될 때에는 순간적으로 공기압을 급증시킴으로써, 열차와 연단부(S) 사이의 틈에 이목을 집중시켜 주의를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힌지부(25)에 연결되어 상기 각도조절부(26)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모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열차의 출입문이 열린 뒤 소정의 시간 이내에는 상기 조명부가 조사하는 조명의 각도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12도 미만이 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열차의 출입문이 열린 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상기 조명부가 조사하는 조명의 각도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12도 이상이 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열차의 출입문의 개폐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이내에는 하차 승객의 눈에 상기 조명이 직접적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제어되고, 상기 열차의 출입문의 개폐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승차 승객에게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차의 표면에 조명이 반사되도록 상기 조명을 열차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여서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가 조사하는 각도가 12도 미만인 경우에는 열차에 의해 반사되어 승차하는 승객의 시야에 들어오는 광량이 줄어들 수 있으나, 열차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조명등(1)을 직접적으로 볼 수 없게 되어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조명부가 조사하는 각도가 12도 이상인 경우에는 열차에 의해 반사되어 승차하는 승객의 시야에 들어오는 광량이 늘어나서 승차하는 승객들에 대한 발빠짐 주의 경고 효과는 높아지나, 열차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조명등(1)을 직접적으로 볼 수 있게 되어 눈부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지하철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하차하는 승객이 먼저 하차한 뒤 승차하는 승객이 승차하게 되므로, 지하철의 출입문이 개방되는 시간을 절반 정도로 나누어 앞단부의 시간 동안에는 하차하는 승객들을 위해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고, 뒷단부의 시간 동안에는 승차하는 승객들을 위해 열차에 의해 반사되는 조명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등(1)과 각도조절부(26)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도록 작동되는 탈착부재(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재(3)는: 상기 조명등(1)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슬릿(31); 상기 조명등(1)의 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내부슬릿(31)과 연통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통로(32); 상기 체결통로(32)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축(33); 상기 체결축(33)의 일단에 형성되어 나사결합 시 일단에 노출되고, 회전을 위해 하중을 전달받는 헤드부(34); 상기 내부슬릿(31)으로 삽입되며, 상기 체결축(33)이 체결통로(32)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체결축(33)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토퍼(35); 및 상기 각도조절부(26)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1)의 내부슬릿(31)의 바깥쪽에서 내부슬릿(3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외부슬릿(36);을 포함하여, 상기 체결축(33)을 체결통로(32)에 체결하고 스토퍼(35)를 내부슬릿(31)에 삽입한 뒤, 조명등(1)을 외부슬릿(36) 사이의 공간에 안착시키고 스토퍼(35)가 외부슬릿(36) 내부에 삽입되도록 체결축(33)을 회전시킴으로써 조명등(1)과 각도조절부(26)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조명등(1)의 체결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S)의 발빠짐 경고 장치의 탈착부재(3)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S)의 발빠짐 경고 장치의 탈착부재(3)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내부슬릿(31)에 스토퍼(35)를 하나씩 삽입한다.
이후, 스토퍼(35)가 삽입된 상태의 조명등(1)을 외부슬릿(36) 사이의 공간에 안착시킨다(도 6 a).
다음으로, 체결통로(32)에 체결축(33)을 체결하여 체결축(33)-스토퍼(35)-내부슬릿(31)이 서로 억지끼움되도록 고정한다. 이 때, 스토퍼(35)의 일부분은 내부슬릿(31)의 내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외부슬릿(3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조명등(1)이 좌우측 방향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한다(도 6 b). 각도조절부(26)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외부슬릿(36)에 의해 상하측 방향으로도 고정되므로, 열차의 진출입 등으로 발생하는 외력(압력) 등에 의해 조명등(1)이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이 가능하다.
유지보수 등을 위해 조명등(1)을 각도조절부(26)로부터 탈거시킬 때에는, 상기 헤드부(34)를 드라이버나 렌치 등으로 조절하여 스토퍼(35)가 내부슬릿(31)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조절한 뒤 조명등(1)을 들어올림으로써 쉽게 탈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S : 연단부
E : 연단부의 끝단
1 : 조명등
2 : 브라켓
21 : 체결부
22 : 연장부
23 : 안착부
24 : 베이스부
25 : 힌지부
26 : 각도조절부
3 : 탈착부재
31 : 내부슬릿
32 : 체결통로
33 : 체결축
34 : 헤드부
35 : 스토퍼
36 : 외부슬릿

Claims (3)

  1.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는 자기장 센서;
    상기 열차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전자호루라기;
    승강장 연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열차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열차 및 상부를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조명을 점멸시키는 조명등; 및
    상기 자기장 센서, 전자호루라기 및 조명등에 연결되며, 열차가 연단부에 접근한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전자호루라기 및 조명등을 작동시켜, 상기 열차에 출입하는 사람들에게 발빠짐 위험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연단부의 하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연단부로부터 철로 방향을 향하도록 신장되되, 상기 연단부의 끝단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신장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체결되어, 상부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신장되되, 상기 철로로부터 연단부 방향을 향하도록 신장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되,
    복수개의 상기 브라켓이 연단부의 하부에서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고,
    상기 조명등이 둘 이상의 상기 각도조절부에 걸쳐서 안착되고,
    복수개의 상기 전자호루라기 및 복수개의 상기 자기장 센서는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고정되되, 복수개의 상기 연장부 중 일부에만 배치되며,
    상기 조명등이 조사하는 조명의 각도를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이내의 각도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노즐;
    상기 브라켓 내측으로 소정의 공기압을 분사하는 공기펌프;
    상기 연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차에 출입하는 사람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람의 보폭을 추정하고, 추정된 보폭을 기반으로 상기 사람이 발을 내딛는 지점이 열차와 연단부 사이의 공간인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공기펌프의 분사 압력을 증가시키는 압력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열차에 출입하는 사람들이 열차와 연단부 사이의 공간에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소정의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사람이 열차와 연단부 사이의 공간에 발을 내딛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증가시키는,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4572A 2022-08-22 2022-08-22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 KR10249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572A KR102497561B1 (ko) 2022-08-22 2022-08-22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572A KR102497561B1 (ko) 2022-08-22 2022-08-22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561B1 true KR102497561B1 (ko) 2023-02-07

Family

ID=8522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572A KR102497561B1 (ko) 2022-08-22 2022-08-22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5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145U (ja) * 1991-07-18 1993-02-09 有限会社サンコー電機製作所 乗降口隙間警告装置
JP2009054529A (ja) * 2007-08-29 2009-03-12 Kyosan Electric Mfg Co Ltd 照明装置およびホーム転落警告装置
KR20130128223A (ko) 2012-05-16 2013-11-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
KR101518136B1 (ko) 2013-12-09 2015-05-07 김호식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KR20170076316A (ko) * 2015-12-24 2017-07-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륜 검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145U (ja) * 1991-07-18 1993-02-09 有限会社サンコー電機製作所 乗降口隙間警告装置
JP2009054529A (ja) * 2007-08-29 2009-03-12 Kyosan Electric Mfg Co Ltd 照明装置およびホーム転落警告装置
KR20130128223A (ko) 2012-05-16 2013-11-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
KR101518136B1 (ko) 2013-12-09 2015-05-07 김호식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KR20170076316A (ko) * 2015-12-24 2017-07-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륜 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85316T3 (es) Conjunto de un sensor de supervisión en una escalera mecánica o en un pasillo rodante
US8075169B2 (en) External safety illumination for a bus
US8182125B2 (en) External safety illumination for a bus with light mounted to mirror arm
CA2224829C (en) Equipment for approach area monitoring for escalators and travelling walkways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20050055593A (ko) 고주파 센서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전방공간을 감시하는 장치
KR102497561B1 (ko) 지하철 승하차 연단부의 발빠짐 경고 장치
CN112037399A (zh) 一种闸机通行指示的控制方法、闸机设备及系统
KR20200142718A (ko)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ES2305632T3 (es) Placa mural con un elemento de vidrio para una instalacion de ascensor y una instalacion de ascensor con una placa mural de este tipo.
KR102237412B1 (ko) Iot 스마트 비상벨장치
KR101326184B1 (ko) 교통 사고 방지를 위한 인디케이션 시스템
JP2011020757A (ja) 乗客コンベアの乗客逆進入防止装置
US20020097146A1 (en) School bus driver's vision enhancement system
JP5709325B2 (ja) 乗客コンベア
US11072350B2 (en) Ceiling module for a vehicle
CN107128786B (zh) 警告装置以及乘客运送机
KR101522545B1 (ko) 객실의자 겸용 승객 비상탈출용 사다리
JP6426438B2 (ja) 軌道接近警告システム
US12039816B2 (en) One-way pass-through system with return block for use in buildings, and a corresponding building having a one-way pass-through system of this kind
US11724645B1 (en) Passenger safety system
JP7486366B2 (ja) 駆け込み搭乗の抑制システムおよび駆け込み搭乗の抑制方法
JP2000219474A (ja) エスカレータの安全装置
KR102560094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cctv 카메라 시스템
JP2011251850A (ja) エスカレータの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