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382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382B1
KR102497382B1 KR1020210065236A KR20210065236A KR102497382B1 KR 102497382 B1 KR102497382 B1 KR 102497382B1 KR 1020210065236 A KR1020210065236 A KR 1020210065236A KR 20210065236 A KR20210065236 A KR 20210065236A KR 102497382 B1 KR102497382 B1 KR 10249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liding rail
electronic device
sliding
flexibl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096A (ko
Inventor
줸후아 리우
?k후아 리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5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09F11/2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the elements being flexible she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09F11/22Electric control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공개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전자기기는 하우징 어셈블리,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 적어도 하나의 릴축 어셈블리와 플렉시블 스크린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하우징 어셈블리에 조립되고,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레일은 정면 및 정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릴축 어셈블리는 슬라이딩 레일에 있어서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는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는 슬라이딩 레일의 정면에 설치되어 하우징 어셈블리에 고정되며, 플렉시블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권취단을 포함하고,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는 전개와 수축이 가능하도록 권취단을 통해 릴축 어셈블리에 감겨지고, 슬라이딩 레일은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가 릴축 어셈블리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며, 슬라이딩 레일은 외측으로부터 하우징 어셈블리를 향해 슬라이딩하여,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가 릴축 어셈블리에 되감기도록 한다. 당해 전자기기의 플렉시블 스크린은 신축 가능하며, 사용자가 다양한 사이즈의 스크린을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며, 폴더형 스크린에 비해 부피가 작고, 무게가 작으며 사용자의 휴대에 편리하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S}
본 공개는 전자기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스크린의 발전에 따라, 전자기기의 스크린 형태도 예를 들어 폴더 스크린, 환형 스크린, 곡면 스크린 등과 같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전자기기의 부피가 점점 소형화되고, 배터리의 용량도 점점 커짐에 따라, 전자기기의 설계 형태도 더 유연해졌으나, 다양한 사이즈로 표시할 수 있는 폴더 스크린은 부피가 커 사용자 경험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이에, 부피 소형화에 적용되고 스크린의 사이즈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중요해졌다.
본 공개는 개량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공개의 일 측면은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기기는,
하우징 어셈블리,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 적어도 하나의 릴축 어셈블리와 플렉시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조립되고,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정면 및 상기 정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축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는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고정되며,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권취단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는 전개와 수축이 가능하도록 상기 권취단을 통해 상기 릴축 어셈블리에 감겨지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가 상기 릴축 어셈블리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가 상기 릴축 어셈블리에 되감기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릴축 어셈블리는 릴축 지지대, 회전축과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릴축 지지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릴축 지지대에 조립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리셋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는 상기 권취단을 통해 상기 회전축에 감겨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릴축 어셈블리는 고정단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 커버는 상기 릴축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단 커버에는 축 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축 홀에 위치 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제1 단과 제2 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은 상기 고정단 커버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단 커버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을 향한 면에 위치 한정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은 상기 위치 한정 기둥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축 디스크가 끼움 설치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 디스크와 상기 고정단 커버 사이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제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일단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 슬라이딩 홈 내에 위치 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완충 위치 한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 위치 한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완충 위치 한정 부재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로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가장자리에는 위치 한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는 위치 한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위치 한정부를 상기 위치 한정 홈 내에 위치 한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기기는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조립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에 조립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유닛은 제1 구동 부재, 제1 전동 스크류, 제1 가이드 바와 제1 추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동 스크류와 상기 제1 가이드 바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에 조립되고, 상기 제1 구동 부재는 상기 제1 전동 스크류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구동 부재는 상기 제1 전동 스크류를 구동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추진 부재에는 제1 전동 홀과 제1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동 홀은 상기 제1 전동 스크류에 전동 연결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홀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 가이드 바에 끼워지고, 상기 제1 추진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밀어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수량은 적어도 2개이고, 상기 구동 유닛은 제2 전동 스크류, 제3 전동 스크류, 제2 가이드 바, 제2 구동 부재와 제2 추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동 스크류와 상기 제2 가이드 바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에 조립되고, 상기 제3 전동 스크류는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에 조립되며, 상기 제2 구동 부재는 상기 제2 전동 스크류를 구동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추진 부재에는 제2 슬라이딩 홀, 제2 전동 홀과 제3 전동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홀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2 가이드 바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전동 홀은 상기 제2 전동 스크류에 전동 연결되며, 상기 제3 전동 홀은 상기 제3 전동 스크류에 전동 연결되며, 상기 제3 전동 스크류와 상기 제2 추진 부재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추진 부재는 하나의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전동 스크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유닛은 중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동 스크류의 일단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중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전동 스크류는 상기 중계 부재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완충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완충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 완충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탄성 완충 어셈블리는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제3 가이드 바와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제3 가이드 바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3 가이드 바에 끼움 설치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밀어 상기 제3 가이드 바에서 신축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탄성 완충 어셈블리는 가이드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3 가이드 바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기기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 어셈블리는 고정 지지판과 적어도 하나의 가동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지지판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 지지판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고정 지지판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 지지판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도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는 상기 고정 지지판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단은 상기 가동 지지판을 우회하여 상기 릴축 어셈블리에 감겨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 지지판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제1 돌출부와 다수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 지지판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제2 돌출부와 다수의 제2 오목부가 형성되며;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오목부와 상기 제1 돌출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돌출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오목부의 가장자리 중의 하나에는 제3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3 슬라이딩 홈과 매칭되는 제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1 오목부의 가장자리 중의 하나에는 제4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4 슬라이딩 홈과 매칭되는 제2 슬라이딩부가 형성된다.
본 공개에 따른 기술적 방안은 적어도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릴축 어셈블리가 슬라이딩 레일에 있어서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는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가 슬라이딩 레일의 정면에 설치되어 하우징 어셈블리에 고정되며, 권취단은 릴축 어셈블리에 감겨지므로, 슬라이딩 레일이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가 릴축 어셈블리로부터 인출되어, 플렉시블 스크린이 전개된다. 슬라이딩 레일이 외측으로부터 하우징 어셈블리를 향해 슬라이딩할 때,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가 릴축 어셈블리에 되감겨져, 플렉시블 스크린이 수축된다. 당해 전자기기의 플렉시블 스크린은 신축 가능하며, 사용자가 다양한 사이즈의 스크린을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며, 폴더형 스크린에 비해 부피가 작고, 무게가 작으며 사용자의 휴대에 편리하다.
도 1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분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정면의 부분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1 측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수축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정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수축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2 측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수축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배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수축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스크린의 수축 상태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1 측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개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정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개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2 측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개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배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개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의 수축 상태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의 전개 상태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와 하우징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가 하우징 어셈블리와 결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 하우징 어셈블리와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 하우징 어셈블리와 구동 어셈블리의 결합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와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의 결합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속 박스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와 구동 어셈블리가 하우징 어셈블리에 조립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와 구동 어셈블리가 하우징 어셈블리에 조립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완충 어셈블리와 슬라이딩 레일의 결합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7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0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1은 도 28 중의 구동 어셈블리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2는 도 31 중의 구동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3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4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부분 구조의 정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5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부분 구조의 배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6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릴축 어셈블리의 분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7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릴축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8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릴축 어셈블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9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릴축 어셈블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0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어셈블리의 수축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1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어셈블리의 전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2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어셈블리의 전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3은 도 42 중의 지지판 어셈블리를 D-D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4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스크린의 수축 상태 시의 전자기기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5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개 상태 시의 전자기기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그 예시를 도면에 나타냈다. 이하 설명이 도면과 관련된 경우,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공개와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은 후술되는 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은 본 공개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와 방법의 예시일 뿐이다.
본 공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공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본 공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또는 과학 용어는 본 공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이해하는 통상의 의미를 가진다. 본 공개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및 이들과 유사한 단어는 어떠한 순서, 수량 또는 중요성을 나타내지 않고 서로 다른 구성부분을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하나" 또는 "일" 및 이들과 유사한 단어는 수량 한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가 있음을 의미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포괄" 또는 "포함" 및 이들과 유사한 단어는 "포괄" 또는 "포함" 앞의 요소 또는 물건이 "포괄" 또는 "포함" 뒤에 나열된 요소 또는 물건 및 이들의 균등요소를 포함함을 의미하며 다른 요소 또는 물건을 배제하지 않는다. "연결" 또는 "서로 연결" 및 이들과 유사한 단어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연결로 한정되지 않으며, 직접 또는 간접적인 전기적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의 명세서 및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한 가지", "상기" 및 "당해"는 문맥 상 다른 의미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하나 또는 다수의 관련된 나열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iPad,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징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개인용 정보 단말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TV, 로봇 청소기, 스마트 스피커 및 차량용 기기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를 돕기 위해 후술되는 도면은 모두 핸드폰을 예로 들어 예시했다.
도 1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분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정면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를 결합하여 참고하면,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하우징 어셈블리(110),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 적어도 하나의 릴축 어셈블리(160)과 플렉시블 스크린(170)을 포함한다.
하우징 어셈블리(110)는 중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중간 프레임은 전자기기의 부품을 지지한다. 예시적으로, 하우징 어셈블리(110)는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하우징 어셈블리(110)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Machine, 컴퓨터 수치 제어 선반)에 의한 가공 및 나노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는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조립되고,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121)을 포함하며, 슬라이딩 레일(121)은 정면 및 정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슬라이딩 레일(121)의 수량은 2개, 3개 또는 4개 등이다. 슬라이딩 레일(121)의 수량이 2개인 경우, 2개의 슬라이딩 레일(121)은 서로 마주 향해 슬라이딩하고 서로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슬라이딩 레일(121)의 배면은 중간 프레임을 향할 수 있다.
릴축 어셈블리(160)는 슬라이딩 레일(121)에 있어서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는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릴축 어셈블리(160)는 슬라이딩 레일(121)의 가장자리의 배면에 설치된다. 릴축 어셈블리(160)에는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감겨지고, 당해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는 릴축 어셈블리(160)로부터 외측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릴축 어셈블리(160)로 되감길 수도 있다.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는 슬라이딩 레일(121)의 정면에 설치되어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고정된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적어도 하나의 권취단(171)을 포함하고,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는 전개와 수축이 가능하도록 권취단(171)을 통해 릴축 어셈블리(160)에 감겨지고,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전개 상태와 수축 상태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레일(121)은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릴축 어셈블리(160)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전개되어 전개 상태가 된다. 슬라이딩 레일(121)은 외측으로부터 하우징 어셈블리(110)를 향해 슬라이딩하여,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릴축 어셈블리(160)에 되감기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수축되어 수축 상태가 된다. 예시적으로,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2개의 권취단(171)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는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2개의 슬라이딩 레일(121)을 포함하며, 릴축 어셈블리(160)의 수량은 2개이다.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중간 부분은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고정되고,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하나의 권취단(171)은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121)의 가장자리의 릴축 어셈블리(160)에 감겨지고,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다른 하나의 권취단(171)은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121)의 가장자리의 릴축 어셈블리(160)에 감겨진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고하면, 하우징 어셈블리(110)는 제1 영역(111)을 포함하고, 제1 영역(111)은 하우징 어셈블리(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의 가장자리는 접착 부재를 통해 하우징 어셈블리(110)의 제1 영역(111)에 접착된다.
도 4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1 측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수축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정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수축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2 측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수축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배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수축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수축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9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1 측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개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정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개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2 측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개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배면을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개 상태에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전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기기의 제1 측면에는 이어폰 삽입 홀(101), 제1 마이크 홀(102), 적외선 기능 램프(10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일반 사용 상태(예를 들어 핸드폰의 일반 사용 상태)의 사이즈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자기기의 제2 측면에는 스피커 음성 출력 홀(104), 제2 마이크 홀(105), USB 인터페이스(106), SIM 카드 트레이(107)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기기의 배면에는 카메라 모듈(108)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양단에서 플렉시블 스크린은 많은 부분이 권취된다. 도 4 내지 도 8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수축 상태인 경우, 전자기기는 일반적인 사용 상태일 수 있으며, 이때 전자기기의 부피가 작으며 예를 들어 핸드폰의 정상적인 사용 상태만큼 된다. 도 9 내지 도 13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전자기기의 제1 측면이 전개되고,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전개되며, 제2 측면이 전개되고, 배면이 전개된다.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전개 상태가 되면,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수축 상태일 경우에 비해,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유효 사용 면적이 증가하여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핸드폰의 스크린을 태블릿의 스크린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제1 회로기판(180), 배터리 어셈블리(190)와 제2 회로기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회로기판(180)은 메인 보드일 수 있고, 제2 회로기판(200)은 배터리 보호판일 수 있으며, 제2 회로기판(200)은 배터리 어셈블리(190)에 연결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릴축 어셈블리(160)가 슬라이딩 레일(121)에 있어서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는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슬라이딩 레일(121)의 정면에 설치되어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고정되고, 권취단(171)은 릴축 어셈블리(160)에 감겨지므로, 슬라이딩 레일(121)이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릴축 어셈블리(160)로부터 인출되어,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전개 상태가 된다. 슬라이딩 레일(121)이 외측으로부터 하우징 어셈블리(110)를 향해 슬라이딩할 때,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릴축 어셈블리(160)에 되감겨져,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수축 상태가 된다. 당해 전자기기의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신축 가능하며, 사용자가 다양한 사이즈의 스크린을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며, 폴더 스크린에 비해 부피가 작고, 무게가 작으며 사용자의 휴대에 편리하다.
도 14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의 수축 상태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5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의 전개 상태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와 하우징 어셈블리(110)의 결합 개략도를 나타내며, 도 17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와 하우징 어셈블리(110)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4 내지 도 17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122)를 더 포함하고, 고정 부재(122)는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122)에는 제1 슬라이딩 홈(123)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레일(121)의 일단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 슬라이딩 홈(123) 내에 위치 한정된다. 제1 슬라이딩 홈(123)을 통해 슬라이딩 레일(12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예시적으로,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는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슬라이딩 레일(124)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5), 및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2개의 고정 부재(122)를 포함하고, 제1 슬라이딩 레일(124)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5)은 2개의 고정 부재(122) 사이에 위치 한정된다. 제1 슬라이딩 레일(124)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5)은 서로 대향하여 슬라이딩하여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수축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124)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5)은 서로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하여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전개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계속 도 17을 참고하면, 제1 슬라이딩 홈(123)은 제1 윤활층(126)을 포함하고, 제1 윤활층(126)은 제1 슬라이딩 홈(123)의 내벽을 형성한다. 이로써, 슬라이딩 레일(121)이 고정 부재(122)의 제1 슬라이딩 홈(123) 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는 데 유리하다. 예시적으로, 고정 부재(122)는 스테인리스강을 프레스 성형하여 오목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윤활층(126)의 재료는 폴리아세탈 재료(폴리옥시메틸렌 또는 POM이라고도 함)를 포함하고, 오목홈 내에 폴리아세탈 재료를 주입하여 윤활층을 형성하여, 제2 슬라이딩 홈(123) 내벽에 윤활 효과를 부여한다.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14와 도 15를 결합하여 참고하면,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는 완충 위치 한정 부재(127)를 더 포함하고, 완충 위치 한정 부재(127)는 고정 부재(122)에 형성된다. 완충 위치 한정 부재(127)는 외측으로부터 하우징 어셈블리(110)를 향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레일(121)과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슬라이딩 레일(121)이 하우징 어셈블리(110)를 향해 슬라이딩하는 최대 스트로크를 한정한다. 완충 위치 한정 부재(127)는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슬라이딩 레일(121)을 위치 한정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레일(121)과 완충 위치 한정 부재(127)가 안정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슬라이딩 레일(121)이 마모되지 않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고정 부재(122)에는 2개의 완충 위치 한정 부재(127)가 설치될 수 있고, 2개의 완충 위치 한정 부재(127)는 고정 부재(12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며, 이들은 각각 제1 슬라이딩 레일(124)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5)과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도 18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 하우징 어셈블리(110)와 구동 어셈블리(210)의 분해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9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 하우징 어셈블리(110)와 구동 어셈블리(210)의 결합 개략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8 내지 도 20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하우징 어셈블리(110)의 가장자리에는 위치 한정부(113)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레일(121)에는 위치 한정 홈(128)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레일(121)은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위치 한정부(113)를 위치 한정 홈(128) 내에 위치 한정한다. 이로써, 위치 한정부(113)와 위치 한정 홈(128)의 결합을 통해 슬라이딩 레일(121)이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최대 스트로크를 한정하여, 슬라이딩 레일(121)이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피한다. 여기서, 위치 한정부(113)는 돌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위치 한정부(113)는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고정된 볼트일 수 있다.
도 20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210)와 하우징 어셈블리(110)의 결합 개략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19와 도 20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전자기기는 구동 어셈블리(210)를 더 포함하며, 구동 어셈블리(210)는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조립되고 슬라이딩 레일(121)에 연결된다. 구동 어셈블리(210)는 슬라이딩 레일(121)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구동 어셈블리(21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레일(121)이 슬라이딩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레일(121)이 그 최대 스트로크 중의 임의의 위치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써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다양한 사이즈로 전개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도 21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210)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0과 도 21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구동 어셈블리(210)는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212)을 포함하고,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는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고정되고, 구동 유닛(212)은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에 조립되며, 구동 유닛(212)은 슬라이딩 레일(121)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를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고정하면,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에 조립된 구동 유닛(212)이 슬라이딩 레일(121)을 안정적으로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는 데 유리하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구동 어셈블리(210)의 구조에 대해 이하 두 가지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22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210)의 부분 분해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1 유형의 실시예에서, 도 21과 도 22를 결합하여 참고하면, 구동 유닛(212)은 제1 구동 부재(213), 제1 전동 스크류(214), 제1 가이드 바(215)와 제1 추진 부재(216)를 포함하고; 제1 전동 스크류(214)와 제1 가이드 바(215)는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에 조립되고, 제1 구동 부재(213)는 제1 전동 스크류(214)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1 구동 부재(213)는 제1 전동 스크류(214)를 구동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추진 부재(216)에는 제1 전동 홀(217)과 제1 슬라이딩 홀(218)이 형성되고, 제1 전동 홀(217)은 제1 전동 스크류(214)에 전동 연결되며, 제1 슬라이딩 홀(218)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 가이드 바(215)에 끼워지며, 제1 추진 부재(216)는 슬라이딩 레일(121)을 밀어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구동 부재(213)가 제1 전동 스크류(214)를 구동하여 회동시키면, 회동하는 제1 전동 스크류(214)는 제1 추진 부재(216)를 구동하여 제1 전동 스크류(214)의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며, 제1 가이드 바(215)는 제1 추진 부재(216)를 가이드하여 제1 추진 부재(216)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하며, 제1 추진 부재(216)는 슬라이딩 레일(121)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킨다. 이해할 수 있듯이, 제1 전동 홀(217)의 내벽에는 제1 전동 스크류(214)와 맞물리는 전동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추진 부재(216)는 제1 전동 스크류(214)의 구동 작용으로 선형 이동을 한다. 예시적으로, 제1 추진 부재(216)는 분말야금과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투톤 이중사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은 폴리아세탈 재료(폴리옥시메틸렌 또는 POM이라고도 함)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은 제1 전동 홀(217)의 내벽에 형성되어 윤활 기능을 하며, 제1 전동 홀(217)과 제1 전동 스크류(214) 사이의 동력 전달에 유리하다.
예시적으로, 제1 구동 부재(213)는 스텝 모터를 포함한다. 스텝 모터는 전기 펄스 신호를 각 변위 또는 선 변위로 전환하는 개방루프 제어형 스텝 모터이다. 과부하가 아닌 경우, 스텝 모터의 회전수, 정지 위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와 펄스 수에 의해 결정되며, 부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스텝 모터의 제어 칩이 하나의 펄스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모터를 구동하여 기설정 방향으로 하나의 고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한다. 스텝 모터의 구동축의 회전은 고정 각도로 스텝 바이 스텝의 형태로 진행된다. 펄스 수를 제어하여 각 변위량을 제어함으로써 정확하게 위치 고정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펄스 주파수를 제어하여 스텝 모터의 회동 속도와 회동 가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속도 조절과 회동 토크를 출력하는 목적을 이룰 수도 있다. 제1 구동 부재(213)는 플렉시블 회로기판(202)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계속 도 22를 참고하면, 제1 전동 스크류(214)의 일단은 제1 베어링(219) 내에 끼움 설치될 수 있고, 제1 베어링(219)은 제1 베어링 가압판(220)을 통해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에 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전동 스크류(214)가 회동할 수 있다. 제1 베어링 가압판(220)은 제1 베어링(219)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베어링(219)이 스폿 용접으로 고정되지 않은 경우, 제1 베어링 가압판(220)을 이용하여 제1 베어링(219)을 가압하며, 제1 베어링 가압판(220)은 스폿 용접으로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베어링 가압판(220)은 스테인리스강 금속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22를 참고하면, 구동 유닛(212)은 제1 감속 박스(221)를 더 포함하고, 제1 감속 박스(221)의 일단은 제1 전동 스크류(214)에 연결되고, 제1 감속 박스(221)의 타단은 제1 구동 부재(213)에 연결된다. 제1 감속 박스(221)는 제1 구동 부재(213)의 토션을 증폭시켜, 제1 전동 스크류(214)를 구동하여 회동시키고, 나아가 제1 추진 부재(216)가 제1 전동 스크류(214)에서 선형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감속 박스(221)는 제1 스크류 부싱(203)을 통해 제1 전동 스크류(214)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3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속 박스(221)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3을 참고하면, 제1 감속 박스(221)는 제2 스크류 부싱(222), 2단 기어 캐리어(223), 2단 유성기어(224), 1단 기어 캐리어(225), 1단 유성기어(226), 모터 기어(227), 기어 고정링(228)과 모터 기어 부싱(229)을 포함한다. 2단 유성기어(224)는 2단 기어 캐리어(223)에 조립되고, 1단 유성기어(226)는 1단 기어 캐리어(225)에 조립되며, 1단 기어 캐리어(225), 2단 기어 캐리어(223)와 모터 기어(227)는 모두 기어 고정링(228) 내에 조립된다. 모터 기어(227)는 제1 구동 부재(213)의 출력축에 고정 연결되고, 2단 기어 캐리어(223)는 제1 전동 스크류(214)에 고정된다. 제1 구동 부재(213)의 토션은 2단계 유성기어를 통해 감속되어, 제1 구동 부재(213)의 토션보다 수 배, 또는 수십 배 더 큰 토션을 출력하여 제1 전동 스크류(214)에 제공하여, 제1 전동 스크류(214)를 회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22를 참고하면, 구동 유닛(212)은 제1 버퍼 부재(230)를 더 포함하고, 제1 버퍼 부재(230)는 제1 감속 박스(221)의 외면에 끼움 결합되어, 이상음 흡수와 버퍼 효과를 발생한다. 예시적으로, 제1 버퍼 부재(230)는 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된다.
도 24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와 구동 어셈블리(210)가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조립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5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와 구동 어셈블리(210)가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조립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도 26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완충 어셈블리(231)와 슬라이딩 레일(121)의 결합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7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210)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4 내지 도 27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구동 어셈블리(210)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완충 어셈블리(231)를 더 포함하고, 탄성 완충 어셈블리(231)는 슬라이딩 레일(121)에 고정되고 구동 유닛(212)에 연결된다. 탄성 완충 어셈블리(231)는 완충 효과를 발생하고, 구동 유닛(212)에 의해 탄성 완충 어셈블리(231)를 밀어 슬라이딩 레일(121)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27을 참고하면, 탄성 완충 어셈블리(231)는 제1 고정부(232), 제2 고정부(233), 제3 가이드 바(234)와 제2 탄성 부재(235)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232)와 제2 고정부(233)는 슬라이딩 레일(121)에 고정되고, 제3 가이드 바(234)는 제1 고정부(232)와 제2 고정부(233) 사이에 고정되며, 제2 탄성 부재(235)는 제3 가이드 바(234) 외측에 끼움 결합되며, 구동 유닛(212)은 제2 탄성 부재(235)를 제3 가이드 바(234)에서 신축하도록 추진한다. 이와 같이, 구동 유닛(212)에 의해 제2 탄성 부재(235)를 제3 가이드 바(234)에서 신축하도록 추진함에 따라, 제2 탄성 부재(235)는 제1 고정부(232) 또는 제2 고정부(233)에 작용력을 제공하며, 나아가 슬라이딩 레일(121)을 안정적으로 밀어 슬라이딩시킨다. 예시적으로, 제3 가이드 바(234)의 일단은 나사산 형태를 통해 제1 고정부(232)에 고정되고, 제3 가이드 바(234)의 타단은 제2 고정부(233)에 가압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탄성 완충 어셈블리(231)와 슬라이딩 레일(121)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3 가이드 바(234)의 일단은 제1 고정부(232)에 용접될 수도 있고, 타단도 제2 고정부(233)에 용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27을 참고하면, 탄성 완충 어셈블리(231)는 가이드 슬리브(236)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 슬리브(236)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3 가이드 바(234)에 끼움 설치되어 제2 탄성 부재(235)의 일단과 연결되며, 가이드 슬리브(236)는 구동 유닛(212)에 연결된다. 구동 유닛(212)에 의해 가이드 슬리브(236)를 추진하며, 이에 따라 가이드 슬리브(236)는 제2 탄성 부재(235)를 제3 가이드 바(234)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레일(121)을 안정적으로 추진하여 슬라이딩시킨다. 예시적으로, 계속 도 22를 참고하면, 구동 유닛(212)의 제1 추진 부재(216)에는 제1 걸림 홈(237)이 형성되고, 제1 걸림 홈(237)은 가이드 슬리브(236)에 걸림 결합되고, 제1 추진 부재(216)에 의해 가이드 슬리브(236)를 제3 가이드 바(234)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신축하도록 구동한다.
제1 유형의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212)의 수량은 2개일 수 있으며, 2개의 구동 유닛(212)은 2개의 슬라이딩 레일(121)을 각각 구동하여 전개 또는 수축시킨다.
도 28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210)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9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210)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며, 도 30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210)의 분해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2 유형의 실시예에서, 도 28 내지 도 30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슬라이딩 레일(121)의 수량은 적어도 2개이고, 구동 유닛(212)은 제2 전동 스크류(238), 제3 전동 스크류(239), 제2 가이드 바(240), 제2 구동 부재(241)와 제2 추진 부재(242)를 포함한다. 제2 전동 스크류(238)와 제2 가이드 바(240)는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에 조립되고, 제3 전동 스크류(239)는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에 조립되고, 제2 구동 부재(241)는 제2 전동 스크류(238)를 구동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추진 부재(242)에는 제2 슬라이딩 홀(243), 제2 전동 홀(244)과 제3 전동 홀(245)이 형성되고, 제2 슬라이딩 홀(243)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2 가이드 바(240)에 끼워진다. 제2 전동 홀(244)은 제2 전동 스크류(238)에 전동 연결되고, 제3 전동 홀(245)은 제3 전동 스크류(239)에 전동 연결된다. 제3 전동 스크류(239)와 제2 추진 부재(242)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추진 부재(242)는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121)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3 전동 스크류(239)는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121)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 상, 제2 추진 부재(242)에 의해 구동되는 슬라이딩 레일(121)을 제1 슬라이딩 레일(124)이라고 하고, 제3 전동 스크류(239)에 의해 구동되는 슬라이딩 레일(121)을 제2 슬라이딩 레일(125)이라고 한다. 제2 구동 부재(241)가 제2 전동 스크류(238)를 구동하여 회동시키면, 회동하는 제2 전동 스크류(238)가 제2 추진 부재(242)를 구동하여 제2 전동 스크류(238)의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며, 제2 가이드 바(240)는 제2 추진 부재(242)를 가이드하여 제2 추진 부재(242)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하고, 제2 추진 부재(242)는 제1 슬라이딩 레일(124)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 추진 부재(242)는 제3 전동 스크류(239)를 구동하여 제2 추진 부재(242)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3 전동 스크류(239)는 제2 슬라이딩 레일(125)을 구동하여 이동시킨다. 이해할 수 있듯이, 도 28을 참고하면, 제2 추진 부재(242)가 B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 전동 스크류(239)는 C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추진 부재(242)와 제3 전동 스크류(239)가 도 29의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추진 부재(242)와 제3 전동 스크류(239)의 이동 방향이 서로 반대되므로, 제1 슬라이딩 레일(124)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5)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여 전개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 슬라이딩 레일(124)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5)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여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전동 홀(244)의 내벽에는 제2 전동 스크류(238)와 맞물리는 전동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추진 부재(242)가 제2 전동 스크류(238)의 구동 작용으로 선형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3 전동 홀(245)의 내벽에는 제3 전동 스크류(239)와 맞물리는 전동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추진 부재(242)가 선형 운동할 때, 제3 전동 스크류(239)가 제2 추진 부재(242)와 상반되는 선형 운동을 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제2 추진 부재(242)와 제3 전동 스크류(239)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전동 홀(244)과 제3 전동 홀(245)은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전동 스크류(238)의 축선, 제3 전동 스크류(239)의 축선과 제2 가이드 바(240)의 축선은 서로 평행한다.
예시적으로, 계속 도 30을 참고하면, 제2 전동 스크류(238)의 일단은 제2 베어링(246) 내에 끼움 설치될 수 있고, 제2 베어링(246)은 제2 베어링 가압판(247)을 통해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에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전동 스크류(238)가 회동할 수 있다. 제2 베어링 가압판(247)은 주로 제2 베어링(246)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제2 베어링(246)이 스폿 용접으로 고정되지 않은 경우, 제2 베어링 가압판(247)을 이용하여 제2 베어링(246)을 가압하며, 스폿 용접으로 제2 베어링 가압판(247)을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베어링 가압판(247)은 스테인리스강 금속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30을 참고하면, 구동 유닛(212)은 제2 감속 박스(248)를 더 포함하고, 제2 감속 박스(248)의 일단은 제2 전동 스크류(238)에 연결되고, 제2 감속 박스(248)의 타단은 제2 구동 부재(241)에 연결된다. 제2 감속 박스(248)는 제2 구동 부재(241)의 토션을 증폭하여, 제2 전동 스크류(238)를 구동하여 회동시키고, 나아가 제2 추진 부재(242)를 제2 전동 스크류(238)에서 선형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감속 박스(248)의 구조는 제1 감속 박스(221)의 구조와 같을 수 있으며, 제2 감속 박스(248)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1 감속 박스(221)의 구조를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2 감속 박스(248)는 제3 스크류 부싱(205)을 통해 제2 전동 스크류(238)와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30을 참고하면, 구동 유닛(212)은 제2 버퍼 부재(249)를 더 포함하고, 제2 버퍼 부재(249)는 제2 감속 박스(248)의 외면에 끼움 설치되어, 이상음 흡수와 버퍼 효과를 발생한다. 예시적으로, 제2 버퍼 부재(249)는 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된다.
도 31은 도 28 중의 구동 어셈블리(210)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2는 도 31 중의 구동 어셈블리(210)의 부분 확대 개략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0, 도 31과 도 32를 결합하여 참고하면, 구동 유닛(212)은 중계 부재(250)를 더 포함하고, 제3 전동 스크류(239)의 일단은 회동 가능하게 중계 부재(250)에 연결되고, 제3 전동 스크류(239)는 중계 부재(250)를 통해 슬라이딩 레일(121)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킨다. 예시적으로, 중계 부재(250)에는 제3 베어링(253)이 고정 설치되고, 제3 전동 스크류(239)의 일단은 회동 가능하게 제3 베어링(253)에 연결되고, 제3 전동 스크류(239)의 타단에는 위치 한정 블록(254)이 설치된다.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211)에는 2개의 관통 홀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제3 전동 스크류(239)가 2개의 관통 홀을 관통한 후, 위치 한정 블록(254)과 중계 부재(250)를 결합시켜 제3 전동 스크류(239)를 위치 한정한다. 예시적으로, 제3 베어링(253)은 제3 전동 스크류(239)의 일단과 중계 부재(250)에 용접되어, 제3 전동 스크류(239)가 중계 부재(25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제2 추진 부재(242)의 제3 전동 홀(245)의 내벽에는 제2 윤활층(251)이 형성되고, 제2 윤활층(251)의 재료는 폴리아세탈 재료(폴리옥시메틸렌 또는 POM이라고도 함)일 수 있으며, 윤활 기능을 하여 제3 전동 홀(245)과 제3 전동 스크류(239) 사이의 동력 전달에 유리하다. 제2 추진 부재(242)는 분말야금과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투톤 이중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동 홀(244)의 내벽도 폴리아세탈 재료(폴리옥시메틸렌 또는 POM이라고도 함)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3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210)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0과 도 33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구동 유닛(212)의 제2 추진 부재(242)에 제2 걸림 홈(252)이 형성되고, 제2 걸림 홈(252)은 가이드 슬리브(236)에 걸림 결합되며, 제2 추진 부재(242)의 구동에 의해, 제1 슬라이딩 레일(124)에 설치된 가이드 슬리브(236)가 제3 가이드 바(234)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신축된다. 중계 부재(250)에는 제3 걸림 홈(255)이 형성될 수 있고, 제3 걸림 홈(255)은 가이드 슬리브(236)에 걸림 결합될 수 있으며, 중계 부재(250)의 구동에 의해, 제2 슬라이딩 레일(125)에 설치된 가이드 슬리브(236)가 제3 가이드 바(234)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신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구동 유닛(212)에 연결되고, 컨트롤러는 구동 유닛(212)이 슬라이딩 레일(121)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도록 구동 유닛(212)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컨트롤러는 전자기기의 CPU(중앙프로세서, 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구동 부재(213)(제2 구동 부재(241))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플렉시블 회로기판에는 구동 칩이 설치되고, 플렉시블 회로기판은 탄성편 또는 BTB 커넥터를 통해 전자기기의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컨트롤러가 제1 구동 부재(213)(제2 구동 부재(24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클릭 동작에 응답하여, 컨트롤러에 제1 명령을 송신하며, 컨트롤러는 제1 명령에 따라 제1 구동 부재(213)(제2 구동 부재(241))의 구동 칩에 제1 구동 명령을 송신한다. 구동 칩은 제1 구동 명령에 따라 제1 구동 부재(213)(제2 구동 부재(24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제1 구동 부재(213)(제2 구동 부재(241))는 제1 전동 스크류(214)(제2 전동 스크류(238))를 구동하여 제1 방향으로 회동시켜 슬라이딩 레일(121)이 전개되도록 한다.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클릭 동작에 응답하여, 컨트롤러에 제2 명령을 송신하며, 컨트롤러는 제2 명령에 따라 제1 구동 부재(213)(제2 구동 부재(241))의 구동 칩에 제2 구동 명령을 송신한다. 구동 칩은 제2 구동 명령에 따라 제1 구동 부재(213)(제2 구동 부재(24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제1 구동 부재(213)(제2 구동 부재(241))는 제1 전동 스크류(214)(제2 전동 스크류(238))를 구동하여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회동시켜 슬라이딩 레일(121)이 수축되도록 한다.
도 34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부분 구조의 정면 개략도이고, 도 35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부분 구조의 배면 개략도이다. 도 36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릴축 어셈블리(160)의 분해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37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릴축 어셈블리(160)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38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릴축 어셈블리(160)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9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릴축 어셈블리(16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4 내지 도 39를 결합하여 참고하면, 릴축 어셈블리(160)는 릴축 지지대(161), 회전축(162)과 제1 탄성 부재(163)를 포함한다. 릴축 지지대(161)는 슬라이딩 레일(121)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회전축(162)은 회동 가능하게 릴축 지지대(161)에 조립되며, 제1 탄성 부재(163)는 회전축(162)에 연결된다. 제1 탄성 부재(163)는 회전축(162)을 리셋하기 위한 것이며,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는 권취단(171)을 통해 회전축(162)에 감겨진다. 슬라이딩 레일(121)이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고정되므로, 회전축(162)에 감겨진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는 슬라이딩 레일(121)의 전개에 따른 구동 작용으로 방출되어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전개 상태가 되며, 이는 도 39와 같다. 슬라이딩 레일(121)이 외측으로부터 하우징 어셈블리(110)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에는, 제1 탄성 부재(163)의 리셋 작용으로 회전축(162)이 회동하여,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회전축(162)에 감겨지고,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수축 상태가 되며, 이는 도 38과 같다. 예시적으로, 릴축 지지대(161)는 볼트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121)의 가장자리가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36과 도 37을 참고하면, 릴축 어셈블리(160)는 고정단 커버(164)을 더 포함하고, 고정단 커버(164)는 릴축 지지대(161)에 고정된다. 고정단 커버(164)에는 축 홀(165)이 형성되고, 회전축(162)의 일단은 회동 가능하게 축 홀(165)에 위치 한정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162)은 회동 가능하게 릴축 지지대(161)에 조립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36과 도 37을 참고하면, 제1 탄성 부재(163)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고, 스파이럴 스프링은 제1 단과 제2 단을 포함하며, 제1 단은 회전축(162)에 연결되고, 제2 단은 고정단 커버(164)에 연결된다. 스파이럴 스프링은 쉽게 취득할 수 있으며, 회전축(162)의 회동과 리셋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레일(121)이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면, 회전축(162)이 구동되어 회동하면서 외측으로 플렉시블 스크린(170)을 방출하고, 이와 동시에 회전축(162)은 스파이럴 스프링을 회동시켜, 스파이럴 스프링에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슬라이딩 레일(121)이 외측으로부터 하우징 어셈블리(110)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스파이럴 스프링에 발생된 탄성력 방향과 회전축(162)의 회동 방향이 서로 반대되고, 이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은 회전축(162)을 구동하여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회전축(162)에 되감기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39를 참고하면, 고정단 커버(164)에 있어서 스파이럴 스프링을 향한 면에 위치 한정 기둥(166)이 형성되고, 제2 단은 위치 한정 기둥(166)에 연결된다. 위치 한정 기둥(166)을 형성함으로써 스파이럴 스프링의 제2 단과 고정단 커버(164)가 편리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스파이럴 스프링의 제2 단은 위치 한정 기둥(166)에 감겨지거나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 도 36과 도 37을 참고하면, 회전축(162)에 회전축 디스크(167)가 끼움 설치되고, 스파이럴 스프링은 회전축 디스크(167)와 고정단 커버(164)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은 회전축 디스크(167)와 고정단 커버(164)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 한정되어, 스파이럴 스프링이 회전축(162)을 따라 회동하고, 회전축(162)을 구동하여 리셋하는 데 유리하다.
도 40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어셈블리(260)의 수축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41은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어셈블리(260)의 전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도 2, 도 3, 도 40과 도 41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전자기기는 지지판 어셈블리(260)를 더 포함하고, 지지판 어셈블리(260)는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120)와 플렉시블 스크린(170) 사이에 설치된다. 지지판 어셈블리(260)는 고정 지지판(261)과 적어도 하나의 가동 지지판(262)을 포함하고, 고정 지지판(261)은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고정되며, 가동 지지판(262)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 지지판(261)에 연결된다. 가동 지지판(262)은 슬라이딩 레일(121)과도 연결되고,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는 고정 지지판(261)에 고정되고, 권취단(171)은 가동 지지판(262)을 우회하여 릴축 어셈블리(160)에 감겨진다. 설명해야 할 점은, 가동 지지판(262)의 수량은 슬라이딩 레일(121)의 수량과 같을 수 있으며, 가동 지지판(262)과 슬라이딩 레일(121)은 하나씩 대응하여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가동 지지판(262)은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가동 지지판과 제2 가동 지지판을 포함하고, 제1 가동 지지판은 제1 슬라이딩 레일(124)에 연결되고, 제2 가동 지지판은 제2 슬라이딩 레일(125)에 연결된다. 지지판 어셈블리(260)는 플렉시블 스크린(17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전개 상태와 수축 상태에서 모두 처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도 3에서, 고정 지지판(261)은 제2 영역(204)을 포함하고,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접착 부재를 통해 제2 영역(204)에 접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지지판(261)에 있어서 플렉시블 스크린(170)을 향하는 면과 가동 지지판(262)에 있어서 플렉시블 스크린(170)을 향하는 면은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전개 상태와 수축 상태에서 모두 평탄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42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어셈블리(260)의 전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2를 참고하면, 고정 지지판(261)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제1 돌출부(263)와 다수의 제1 오목부(264)가 형성되고; 가동 지지판(262)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제2 돌출부(265)와 다수의 제2 오목부(266)가 형성되며, 제2 돌출부(265)와 제1 오목부(264)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오목부(266)와 제1 돌출부(263)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써, 제1 돌출부(263)와 제2 오목부(266)의 결합과, 제1 오목부(264)와 제2 돌출부(265)의 결합을 통해, 지지판 어셈블리(260)가 전개된 후 가동 지지판(262)과 고정 지지판(261)의 표면을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플렉시블 스크린(170)에 대해 평탄하게 지지하는 효과를 발생하는 데 유리하다. 예시적으로, 다수의 제1 돌출부(263)와 다수의 제1 오목부(264)는 교대로 형성되고, 다수의 제2 돌출부(265)와 다수의 제2 오목부(266)는 교대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263)의 가장자리와 제2 오목부(266)의 가장자리 중 하나에는 제3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3 슬라이딩 홈과 매칭되는 제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제2 돌출부(265)의 가장자리와 제1 오목부(264)의 가장자리 중 하나에는 제4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4 슬라이딩 홈과 매칭되는 제2 슬라이딩부가 형성된다. 이로써, 지지판 어셈블리(260)의 표면 평탄성에 유리하다. 예시적으로, 제3 슬라이딩 홈의 횡단면은 T홈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1 슬라이딩부는 제3 슬라이딩 홈과 매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예시적으로, 제4 슬라이딩 홈의 횡단면은 T홈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2 슬라이딩부는 제4 슬라이딩 홈과 매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3은 도 42의 지지판 어셈블리(260)를 D-D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계속 도 43을 참고하면, 고정 지지판(261)에는 제3 슬라이딩 홈(267) 또는 제4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가동 지지판(262)에는 제3 슬라이딩 홈(267)과 매칭되는 제1 슬라이딩부(268) 또는 제4 슬라이딩 홈과 매칭되는 제2 슬라이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4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수축 상태 시 전자기기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45는 본 공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전개 상태 시 전자기기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5, 도 44와 도 45를 결합하여 참고하면, 슬라이딩 레일(121)이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면 가동 지지판(262)이 고정 지지판(26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이에 따라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전개 상태가 된다. 슬라이딩 레일(121)이 외측으로부터 하우징 어셈블리(110)를 향해 슬라이딩하면 가동 지지판(262)이 고정 지지판(261)을 향해 슬라이딩하며, 이에 따라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수축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릴축 어셈블리(160)가 슬라이딩 레일(121)에 있어서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는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는 슬라이딩 레일(121)의 정면에 설치되어 하우징 어셈블리(110)에 고정되고, 권취단(171)은 릴축 어셈블리(160)에 감겨지므로, 슬라이딩 레일(121)이 하우징 어셈블리(110)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릴축 어셈블리(160)로부터 인출되어,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전개 상태가 된다. 슬라이딩 레일(121)이 외측으로부터 하우징 어셈블리(110)를 향해 슬라이딩하면,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일부가 릴축 어셈블리(160)에 되감기며,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수축 상태가 된다. 당해 전자기기의 플렉시블 스크린(170)은 신축 가능하며, 사용자가 다양한 사이즈의 스크린을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며, 폴더 스크린에 비해 부피가 작고, 무게가 작으며 사용자의 휴대에 편리하다. 구동 어셈블리(210)를 설치함으로써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자동으로 전개와 수축이 가능하도록 하며, 구동 어셈블리(210)의 설치 형태는 유연하고 다양하다. 릴축 어셈블리(160)는 구조가 간단하여, 플렉시블 스크린(170)의 전개와 수축에 편리하다. 지지판 어셈블리(260)를 통해 플렉시블 스크린(170)을 평탄하게 표시할 수 있어, 플렉시블 스크린(170)이 전개와 수축 과정에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당해 전자기기는 구성이 간단하고 대량 생산을 쉽게 구현한다.
본 공개의 상술한 각 실시예는 서로 충돌하지 않는 상황에서 서로 보충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공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공개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공개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모든 수정, 균등 교체, 개량 등은 모두 본 공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10: 하우징 어셈블리 121: 슬라이딩 레일
160: 릴축 어셈블리 170: 플렉시블 스크린

Claims (21)

  1. 전자기기에 있어서,
    하우징 어셈블리,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 적어도 하나의 릴축 어셈블리와 플렉시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조립되고,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정면 및 상기 정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제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일단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 슬라이딩 홈 내에 위치 한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축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는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고정되며,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권취단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는 전개와 수축이 가능하도록 상기 권취단을 통해 상기 릴축 어셈블리에 감겨지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가 상기 릴축 어셈블리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가 상기 릴축 어셈블리에 되감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축 어셈블리는 릴축 지지대, 회전축과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릴축 지지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릴축 지지대에 조립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리셋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는 상기 권취단을 통해 상기 회전축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축 어셈블리는 고정단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 커버는 상기 릴축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단 커버에는 축 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축 홀에 위치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제1 단과 제2 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은 상기 고정단 커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 커버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을 향한 면에 위치 한정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은 상기 위치 한정 기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축 디스크가 끼움 설치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 디스크와 상기 고정단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완충 위치 한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 위치 한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완충 위치 한정 부재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로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가장자리에는 위치 한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는 위치 한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위치 한정부를 상기 위치 한정 홈 내에 위치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조립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에 조립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제1 구동 부재, 제1 전동 스크류, 제1 가이드 바와 제1 추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동 스크류와 상기 제1 가이드 바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에 조립되고, 상기 제1 구동 부재는 상기 제1 전동 스크류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구동 부재는 상기 제1 전동 스크류를 구동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추진 부재에는 제1 전동 홀과 제1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동 홀은 상기 제1 전동 스크류에 전동 연결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홀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 가이드 바에 끼워지고, 상기 제1 추진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밀어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수량은 적어도 2개이고, 상기 구동 유닛은 제2 전동 스크류, 제3 전동 스크류, 제2 가이드 바, 제2 구동 부재와 제2 추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동 스크류와 상기 제2 가이드 바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에 조립되고, 상기 제3 전동 스크류는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구동 어셈블리 지지대에 조립되며, 상기 제2 구동 부재는 상기 제2 전동 스크류를 구동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추진 부재에는 제2 슬라이딩 홀, 제2 전동 홀과 제3 전동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홀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2 가이드 바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전동 홀은 상기 제2 전동 스크류에 전동 연결되며, 상기 제3 전동 홀은 상기 제3 전동 스크류에 전동 연결되며, 상기 제3 전동 스크류와 상기 제2 추진 부재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추진 부재는 하나의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전동 스크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중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동 스크류의 일단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중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전동 스크류는 상기 중계 부재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완충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완충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 완충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완충 어셈블리는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제3 가이드 바와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제3 가이드 바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3 가이드 바에 끼움 설치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밀어 상기 제3 가이드 바에서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완충 어셈블리는 가이드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3 가이드 바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구동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 어셈블리는 고정 지지판과 적어도 하나의 가동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지지판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 지지판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고정 지지판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 지지판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도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일부는 상기 고정 지지판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단은 상기 가동 지지판을 우회하여 상기 릴축 어셈블리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판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제1 돌출부와 다수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 지지판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제2 돌출부와 다수의 제2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오목부와 상기 제1 돌출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오목부의 가장자리 중의 하나에는 제3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3 슬라이딩 홈과 매칭되는 제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1 오목부의 가장자리 중의 하나에는 제4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4 슬라이딩 홈과 매칭되는 제2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1. 삭제
KR1020210065236A 2020-10-27 2021-05-21 전자기기 KR102497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165867.4A CN114501915A (zh) 2020-10-27 2020-10-27 电子设备
CN202011165867.4 2020-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96A KR20220056096A (ko) 2022-05-04
KR102497382B1 true KR102497382B1 (ko) 2023-02-08

Family

ID=7618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236A KR102497382B1 (ko) 2020-10-27 2021-05-21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23526B2 (ko)
EP (1) EP3992752B1 (ko)
JP (1) JP7174807B2 (ko)
KR (1) KR102497382B1 (ko)
CN (1) CN1145019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6773A (zh) * 2020-12-07 2022-06-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支撑机构和电子设备
CN113066368A (zh) * 2021-03-18 2021-07-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6055598B (zh) * 2022-08-16 2023-09-0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5206195B (zh) * 2022-08-31 2023-11-1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376B1 (ko) * 2019-06-19 2020-05-18 (주)파인테크닉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US20200253063A1 (en) * 2017-02-23 2020-08-06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Display scree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9145A1 (fr) * 1999-06-17 2000-12-28 Mizuki Seimitsu Co., Ltd. Articulation
US6922869B2 (en) * 2002-01-25 2005-08-02 Illinois Tool Works Inc. Damper apparatus
JP2004118794A (ja) 2002-09-30 2004-04-15 Brother Ind Ltd 巻込可能なディスプレイと折畳可能なキーボードを備えた入力装置並びにその入力装置を備えた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DE202006021035U1 (de) * 2005-07-09 2011-12-28 Lg Electronics Inc. Schiebemodul und damit ausgestattetes mobiles Endgerät
TWM289961U (en) * 2005-10-28 2006-04-21 Jarllytec Co Ltd Rotational shaft structure having automatic reciprocation and rotation
US20100315773A1 (en) * 2009-06-12 2010-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oot height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US8379377B2 (en) * 2010-01-20 2013-02-19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KR20120079493A (ko) * 2010-12-23 2012-07-13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8971025B2 (en) * 2012-02-16 2015-03-03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s and methods for aligning a display with a keyboard
TWI608328B (zh) * 2013-10-24 2017-12-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JP6418550B2 (ja) * 2014-08-15 2018-11-07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アーム装置
KR102269135B1 (ko) 2014-10-06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645606B2 (en) * 2014-12-30 2017-05-09 Tronxyz Technology Co., Ltd. Damping hinge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2345270B1 (ko) * 2015-06-15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792692B1 (ko) 2015-08-28 2017-11-01 이유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2627801B1 (ko) * 2016-10-10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595848B1 (ko) * 2016-10-11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JP2019533527A (ja) 2016-11-02 2019-11-21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リールアセンブリ、文字盤とスマートブレスレット
WO2018081947A1 (zh) 2016-11-02 2018-05-1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框架组件、表盘及智能手环
CN107067981A (zh) 2017-04-17 2017-08-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11147626B (zh) * 2018-11-05 2022-07-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柔性屏扩展机构、可扩展的柔性屏组件及终端
US10817030B2 (en) * 2019-01-14 2020-10-27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with alternating slide support frame
WO2020166856A1 (en) 2019-02-14 2020-08-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165897B2 (en) * 2019-02-14 2021-11-02 Lg Electronics Inc. Roll-slide mobile terminal
EP3942786A4 (en) * 2019-03-18 2022-1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KR20200115941A (ko) * 2019-03-29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047385A (zh) * 2019-04-30 2019-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210270658U (zh) * 2019-05-26 2020-04-07 邓爱红 具可伸缩屏幕的终端
CN112991928B (zh) * 2019-12-13 2022-08-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220116486A (ko) * 2020-03-19 202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1508360B (zh) * 2020-04-27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屏组件和电子设备
US11314285B2 (en) * 2020-05-26 2022-04-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stretching members and transmission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53063A1 (en) * 2017-02-23 2020-08-06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Display scree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KR102111376B1 (ko) * 2019-06-19 2020-05-18 (주)파인테크닉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74807B2 (ja) 2022-11-17
CN114501915A (zh) 2022-05-13
JP2022070801A (ja) 2022-05-13
US11523526B2 (en) 2022-12-06
US20220132687A1 (en) 2022-04-28
EP3992752B1 (en) 2023-09-27
KR20220056096A (ko) 2022-05-04
EP3992752A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382B1 (ko) 전자기기
KR102414985B1 (ko) 전자기기
JP7399908B2 (ja) 電子機器
CN113296577B (zh) 电子设备
US11592867B2 (en) Sli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11755068B2 (en) Sli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JP2023004836A (ja) 電子機器
KR20240013835A (ko) 구동 기구 및 전자 기기
CN113838367A (zh) 电子设备
JP7333379B2 (ja) 電子機器
KR102172946B1 (ko) 폴딩 장치, 디스플레이 스크린 모듈 및 이동 단말기
JP7216800B2 (ja) スライドレール機構、伸縮式スクリーン構造及び電子機器
JP7289906B2 (ja) 伸縮式スクリーン構造及び電子機器
CN109246271B (zh) 用于电子设备的自拍配件和电子设备组件
WO2022001302A1 (zh) 电子设备
CN117461069A (zh) 电子设备
CN115527440A (zh) 一种柔性电子装置
CN117597716A (zh) 伸缩屏结构及电子设备
CN115022434A (zh) 一种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