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627B1 -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 Google Patents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627B1
KR102496627B1 KR1020220186946A KR20220186946A KR102496627B1 KR 102496627 B1 KR102496627 B1 KR 102496627B1 KR 1020220186946 A KR1020220186946 A KR 1020220186946A KR 20220186946 A KR20220186946 A KR 20220186946A KR 102496627 B1 KR102496627 B1 KR 102496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xtension
revolving door
blocking
revol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4420A (ko
Inventor
주평식
주호완
Original Assignee
주평식
주호완
(주) 중앙엔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식, 주호완, (주) 중앙엔트리 filed Critical 주평식
Priority to KR102022018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6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0Revolving doors; Cages or hous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양측에 측벽이 수직되게 마련됨으로써, 구조물의 내측과 외측으로 개구를 각각 가지는 통로가 내부에 마련되는 회전문프레임; 회전문프레임의 통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문프레임으로부터 회전각도에 따라 개구 각각을 개폐시키는 차단도어가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마련되는 회전문어셈블리; 회전문어셈블리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 차단도어의 내측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되어 회전문어셈블리와 함께 회전하고, 차단도어의 사이를 개폐시키는 확장도어; 확장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확장도어구동부; 회전문프레임의 개구로 진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제 1 모션감지부; 확장도어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자를 감지하는 제 2 모션감지부; 및 제 1 및 제 2 모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고, 회전구동부 및 확장도어구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기의 유입 차단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냉,난방에 대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비회전식 자동문으로서 활용할 수 있고, 출입 통로의 확장이 가능한 확장도어의 채택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 차량이나 대형 화물 등과 같은 큰 이동체의 출입이 가능하고, 상하 회전 지지 구조로 인하여, 회전문이 회전동작시 진동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한다.

Description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Automatic revolving door with extension door}
본 발명은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기의 유입 차단력이 뛰어나고, 이로 인해 냉,난방에 대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며, 비회전식 자동문으로서 활용할 수 있고, 출입 통로의 확장이 가능한 확장도어의 채택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 차량이나 대형 화물 등과 같은 큰 이동체의 출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재 등의 비상시 많은 인원의 동시 탈출을 가능하도록 하며, 자중, 풍하중 또는 외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회전동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과 같은 건물의 출입구에는 회전문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회전문은 출입자가 원활하게 건물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회전문은 건물의 출입구 상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되게 결합된 회전축과, 회전축에 회전 반경 방향으로 결합된 다수의 도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어패널을 회동시켜서 건물에 출입하도록 한다.
또한, 종래의 회전문은 출입자가 도어패널을 손으로 밀면서 출입하도록 하는 수동방식의 회전문이 있는데, 이러한 수동방식의 회전문은 출입자가 출입을 위하여 힘을 가하여 도어패널을 밀게 됨으로써 불편하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패널을 자동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출입자가 출입하도록 하는 자동방식의 회전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방식의 회전문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38281호의 "회전날개의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투명벽체를 갖는 수직프레임의 상측에 계지돌조를 갖는 외통체를 형성하고,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는 하측에 상판을 갖는 내통체를 내장하며, 상기 상판의 하측에는 분할된 복수개의 회전날개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외통체의 상측에 장착된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내통체와 회전날개가 동시 회전되게 하되, 상기 회전날개는 상부 일측의 힌지축을 내통체의 내측에 힌지 결합하여 회전 가능케 고정되고, 외통체의 계지돌조에는 회전롤러가 거치되는 통상의 자동회전문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가 힌지축을 축점으로 내통체를 가로질러 고정된 크로스바를 따라 투명벽체를 향해 완전 전개되게 하되, 크로스바의 하측에는 상기 내통체의 내벽에 단부가 고정된 지지대를 대각선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전날개의 힌지축이 지지대의 외측단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회전날개의 상부에는 도어레일을 형성하여 이에 슬라이더를 삽입하되,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형성된 이동로드는 상기 크로스바에 이동 가능케 지지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더 및 이동로드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가 그 힌지축을 축점으로 투명벽체를 향해 개별 전개되게 구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외기를 내측의 회전날개로만 차단함으로써, 외기 차단력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고, 회전날개의 방사상 고정구조로 인해, 비회전식 자동문으로서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출입 통로의 확장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필요에 따라 차량의 출입이 불가능하여, 실내에 대한 차량 등의 전시를 위해서는 별도의 출입구를 마련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고, 화재시 많은 인원이 동시에 통과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상부에만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인하여 회전날개가 회전 동작시 회전축의 틸팅으로 인해 과도한 진동이나 흔들림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는데 한계를 가지며, 심지어는 사용자에게 심리적으로 불안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기의 유입 차단력이 뛰어나고, 이로 인해 냉,난방에 대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며, 비회전식 자동문으로서 활용할 수 있고, 출입 통로의 확장이 가능한 확장도어의 채택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 차량이나 대형 화물 등과 같은 큰 이동체의 출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차량이나 대형 화물 등과 같은 큰 이동체의 출입을 위해 별도의 대형 출입구를 마련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화재 등의 비상시 많은 인원의 탈출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인명 피해 등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회전 지지되는 구조로 인해, 회전문이 회전동작시 진동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양측에 측벽이 수직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구조물의 내측과 외측으로 개구를 각각 가지는 통로가 내부에 마련되는 회전문프레임; 상기 회전문프레임의 통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문프레임으로부터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개구 각각을 개폐시키는 차단도어가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마련되는 회전문어셈블리; 상기 회전문어셈블리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차단도어의 내측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문어셈블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차단도어의 사이를 개폐시키는 확장도어; 상기 확장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확장도어구동부; 상기 회전문프레임의 개구로 진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제 1 모션감지부; 상기 확장도어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자를 감지하는 제 2 모션감지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모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고,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확장도어구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이 제공된다.
상기 회전문어셈블리는, 상기 차단도어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체가 상기 회전문프레임의 상부에서 중심회전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단도어가 상기 회전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도어는, 상기 차단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힌지프레임; 및 상기 힌지프레임에 측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확장도어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리프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도어는, 상기 힌지프레임이 상기 차단도어 각각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리프도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일측부가 상기 힌지프레임마다 힌지 결합되며, 상기 리프도어가 상기 통로를 차단시키도록 일렬로 배열시 각각의 타측부에 서로 걸리도록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확장도어는, 상기 차단도어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회전문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중첩 가능하게 다수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가 상기 확장도어구동부에 의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차단도어 사이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도어는,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도어가 상기 차단도어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그 양측으로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중심으로부터 그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상기 차단도어 사이를 개폐시키고, 상기 차단도어는, 내측에 설치되는 이너도어와의 사이에 쇼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도어가 상기 차단도어 사이를 개방시 상기 쇼케이스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확장도어구동부는, 상기 회전문어셈블리의 상부에 상기 슬라이딩도어 각각의 이동경로를 따라 벨트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의해 무한궤도운동을 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풀리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벨트 각각이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슬라이딩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확장도어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딩도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풀리 각각이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단일의 축에 서로 나란하도록 각각 고정되고, 상기 구동풀리 각각의 직경이 상기 구동풀리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안전을 위해 출입자를 감지하는 안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확장도어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안전감지부는, 상기 출입자가 상기 회전문프레임의 개구가 닫힐 때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문프레임의 개구 각각의 외측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되는 출입안전센서; 상기 측벽의 양측부와 상기 차단도어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자와의 접촉에 의한 끼임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범퍼센서; 상기 확장도어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회전문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고, 출입자가 상기 확장도어에 인접함을 감지하는 탑센서; 상기 확장도어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회전문어셈블리의 하부에 설치되고, 출입자가 상기 확장도어에 인접함을 감지하는 리어풋센서; 및 상기 확장도어의 양측에 인접하여 나란한 광의 출력에 의해 출입자가 상기 확장도어에 인접함을 감지하는 인접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모션감지부의 감지신호 수신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출입자가 상기 통로를 통과하도록 한 다음, 상기 차단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로 상기 회전문어셈블리를 정지시키도록 동작시키거나, 상기 제 1 모션감지부의 감지신호 수신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출입자가 상기 통로를 통과하도록 한 다음, 상기 차단도어가 상기 개구를 차단시킨 상태로 상기 회전문어셈블리를 정지시키도록 동작시키거나, 상기 차단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모션감지부의 감지신호 수신과 상기 확장도어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출입자가 상기 확장도어의 개방에 의해 통과후 상기 확장도어를 차단시키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문어셈블리는, 상단에 케이싱 상부에 회전 지지되기 위한 상부회전지지부가 다수로 설치되고, 하단에 바닥판 상에 회전 지지되기 위한 하부회전지지부가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에 의하면, 외기의 유입 차단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냉,난방에 대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비회전식 자동문으로서 활용할 수 있고, 출입 통로의 확장이 가능한 확장도어의 채택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 차량이나 대형 화물 등과 같은 큰 이동체의 출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차량이나 대형 화물 등과 같은 큰 이동체의 출입을 위해 별도의 대형 출입구를 마련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화재 등의 비상시 많은 인원의 탈출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인명 피해 등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상하 회전 지지 구조로 인하여,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회전 지지되는 구조로 인해, 회전문이 회전동작시 진동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다른 차단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확장도어 개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확장도어 개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100)은 회전문프레임(110), 회전문어셈블리(120), 회전구동부(130), 확장도어(140), 확장도어구동부(150), 제 1 모션감지부(160), 제 2 모션감지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문프레임(110)은 구조물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양측에 측벽(111)이 수직되게 마련됨으로써, 구조물의 내측과 외측으로 개구(114,115)를 각각 가지는 통로(116)가 내부에 마련된다. 측벽(111)은 회전문프레임(110)의 내부공간 중심, 즉 회전문어셈블리(12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측벽(111)은 외부로부터 개방감을 부여하면서 강도 유지를 위하여, 가장자리가 프레임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프레임구조의 내측에 글래스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문어셈블리(120)는 회전문프레임(110)의 통로(1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문프레임(110)으로부터 회전각도에 따라 개구(114,115) 각각을 개폐시키는 차단도어(123)가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마련된다. 차단도어(123)는 내측에 설치되는 이너도어(123b)와의 사이에 쇼케이스(123a)가 설치될 수 있는데, 회전문프레임(110)의 바닥판(112)과 이너도어(123b) 사이의 간격이 기존 15mm에서 10mm 정도 감소시킴과 아울러, 이러한 유격에 탄성부재 등을 설치함으로써 발끼임 등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너도어(123b)는 개방감을 부여하면서 강도 유지를 위하여, 가장자리가 프레임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프레임구조의 내측에 글래스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문어셈블리(120)는 차단도어(123)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체(121)가 회전문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중심회전지지부(1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차단도어(123)가 회전체(121)의 양측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문어셈블리(120)는 회전문프레임(110) 내에서 차단도어(123)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판(121)이 중심회전지지부(1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단도어(123)가 회전판(121)의 양측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문어셈블리(1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상부 지지방식의 회전문으로서, 회전판(12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데, 회전판(121)의 가장자리가 롤링 롤러(Rolling Roller; 127) 등에 의해 회전문프레임(110)의 상단부재(1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고, 자신의 하중이 중심회전지지부(124), 예컨대, 스러스트베어링(Thrust Bearing)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회전문어셈블리(120)는 상단에 케이싱(미도시) 상부에 회전 지지되기 위한 상부회전지지부(125)가 다수로 설치될 수 있고, 하단에 바닥판(112) 상에 회전 지지되기 위한 하부회전지지부(126)가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회전지지부(125)는 예컨대, 상방으로 노출되어 케이싱의 상부를 향하는 확장도어구동부(150)의 감속기에 설치되어 케이싱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회전지지부(126)는 예컨대, 이너도어(123b)에서 확장도어(140)가 결합되는 부위에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바닥판(121)에 대한 회전 지지를 통하여, 자체 중량, 풍하중, 외력 등에 대한 하중 등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부회전지지부(125)와 하부지지부(126)는 회전문어셈블리(120)가 회전 작동시 상하로 회전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자체 중량, 풍하중 또는 외력 등에 의한 틸팅 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130)는 회전문어셈블리(12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예컨대,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를 통해서 회전문어셈블리(120)에 전달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는 회전문어셈블리(120)의 일측, 예컨대 회전판(121)에 동심되게 마련되는 링부재 둘레에 다수, 예컨대 3개로 설치될 수 있고,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를 통해서 전달받는 롤러가 링부재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문어셈블리(1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130)는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를 통해서 회전문어셈블리(120)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나 벨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확장도어(140)는 차단도어(123)의 내측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되어 회전문어셈블리(120)와 함께 회전하고, 차단도어(123)의 사이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확장도어(140)는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차단도어(123)의 내측, 구체적으로 이너도어(123b)에 고정되는 힌지프레임(141)과, 힌지프레임(141)에 측부가 힌지 결합되어, 확장도어구동부(15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리프도어(142)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힌지프레임(141)이 차단도어(123) 각각의 내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리프도어(142)가 한 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일측부가 힌지프레임(141)마다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리프도어(142)가 회전문프레임(110)의 통로(116)를 차단시키도록 일렬로 배열시 각각의 타측부에 서로 걸리도록 걸림부(143)가 마련될 수 있고, 리프도어(142)가 통로(116)를 차단시키기 위해 회전시 일렬로 배열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서로가 스토퍼로서 역할을 하고, 이로 인해 리프도어(142)의 개폐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확장도어구동부(150)는 확장도어(140)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예컨대,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를 통해서 리프도어(142)의 회전축에 직접 또는 기어나 벨트 등을 통해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모션감지부(160)는 회전문프레임(110)의 개구(114,115)로 진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180)에 전송하도록 한다. 제 1 모션감지부(160)는 예컨대 회전문프레임(110)의 개구(114,115) 외측 상방에 각각 설치되어 하방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출입자를 감지하도록 하는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모션감지부(160)는 출입자의 정확한 감지를 위하여, 개구(114,115)의 외측마다 다수, 예컨대 2개씩 설치될 수 있다.
제 2 모션감지부(170)는 확장도어(140)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자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180)에 전송하도록 한다. 제 2 모션감지부(170)는 예컨대 회전문어셈블리(120)의 상부에서 확장도어(140)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하방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출입자를 감지하도록 하는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모션감지부(160,170)의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고, 회전구동부(130) 및 확장도어구동부(150)를 각각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예컨대 제 1 모드로서 제 1 모션감지부(160)의 감지신호 수신과 회전구동부(130)의 제어에 의해 출입자가 통로(116)를 통과하도록 한 다음,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차단도어(123)가 개구(114,115)를 개방시킨 상태로 회전문어셈블리(120)를 정지시키도록 동작시키거나, 예컨대 제 2 모드로서 제 1 모션감지부(160)의 감지신호 수신과 회전구동부(130)의 제어에 의해 출입자가 통로(116)를 통과하도록 한 다음, 도 3에서와 같이, 차단도어(123)가 개구(114,115)를 차단시킨 상태로 회전문어셈블리(120)를 정지시키도록 동작시키거나, 제 3 모드로서 차단도어(123)가 개구(114,11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 2 모션감지부(170)의 감지신호 수신과 확장도어구동부(150)의 제어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출입자가 확장도어(140)의 개방에 의해 통과후 확장도어(140)를 차단시키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회전문프레임(110)에 마련되는 조작부(181) 또는 이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터치패널 또는 스위치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장애인을 위한 속도 조절 신호 또는 비상정지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도록 상기한 조작부(181)가 회전문프레임(110)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는데, 제어부(180)는 이러한 조작부(181)의 조작신호에 상응하도록 회전구동부(130) 및 확장도어구동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외부 신호에 의한 모드 선택에 의해, 제 1 모드로서, 회전문어셈블리(120)를 정상속도로 운전하다가 출입자가 통과를 완료하면, 정지를 하되, 확장도어(140)의 동작이 가능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출입자가 나타나면 다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모드의 조작 및 운전은 실내,외의 온도차가 적을 때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모드는 제 1 모드의 조작 및 운전과 동일하지만, 정지시에 개구(114,115)를 차단도어(123)가 차단시킴으로써, 내,외부 공기의 흐름을 최소화 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실내,외 온도차가 클 경우와 야간에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제 3 모드는 제 1 및 제 2 모드의 선택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킨 다음, 제 3 모드의 선택 스위치를 온I(on)시킨 경우, 회전문어셈블리(1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확장도어(140)가 제 2 모션감지부(170)의 출입자 감지에 의해 개폐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리프도어(142)는 왼쪽과 오른쪽 양방향의 문을 동시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왼쪽의 리프도어(142)만 개폐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오른쪽의 리프도어(142)만 개폐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리프도어(142)는 동시 동작의 경우, 제 2 모션감지부(170)에 출입자가 감지시, 확장도어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 개폐되는데, 이때, 열리거나 닫힐 때 초기 동작속도는 천천히 작동하고, 일정구간을 통과하면 빠른 속도로 동작하다가 개방 각도가 90°에 가까울 때, 서행하다가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리프도어(142)는 대량의 인원대피 또는 차량 출입시 또는 대형 화물 출입시 동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리프도어(142)의 개별 동작의 경우, 개방되는 쪽의 반대 방향에 설치되는 제 2 모션감지부(170)의 감지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확장도어구동부(150) 각각이 개별 작동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리프도어(142) 각각에 마련되는 제 2 모션감지부(170)의 동작 감지시, 동작을 감지하는 제 2 모션감지부(170)의 설치 측 리프도어(142)만의 개방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출입자의 출입후, 후속 출입자가 없는 경우, 리프도어(142)는 90°까지 열리는 중 정지하고, 다시 닫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개방되는 시간을 줄여서 공기의 흐름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후속 출입자 유무의 검출은 프로그램과 포토빔 센서, 예컨대 인접감지센서(195a,195b) 등의 감지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회전구동부(130) 및 확장도어구동부(150)에 의한 회전문어셈블리(120)의 정지 위치 및 확장도어(140)의 개폐 정도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회전구동부(130) 및 확장도어구동부(150)의 모터가 엔코더에 의해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모터에 회전수를 카운터하기 위한 회전위치 각도기 등이 부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모터 자체가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나 스텝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100)은 안전을 위해 출입자를 감지하는 안전감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안전감지부(19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회전구동부(130) 및 확장도어구동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컨대, 출입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감지부(190)로부터 출입자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으면, 모든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거나, 회전구동부(130) 또는 확장도어구동부(150)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한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안전감지부(190)는 예컨대, 출입자가 회전문프레임(110)의 개구(114,115)가 닫힐 때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회전문프레임(110)의 개구 각각의 외측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되는 출입안전센서(191)와, 회전문프레임(110)의 측벽(111) 양측부와 회전문어셈블리(120)의 차단도어(123)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출입자와의 접촉에 의한 끼임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범퍼센서(192)와, 확장도어(140)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회전문어셈블리(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출입자가 확장도어(140)에 인접함을 감지하는 탑센서(193)와, 확장도어(140)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회전문어셈블리(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출입자가 확장도어(140)에 인접함을 감지하는 리어풋센서(194)와, 확장도어(140)의 양측에 인접하여 나란한 광의 출력에 의해 출입자가 확장도어(140)에 인접함을 감지하는 인접감지센서(195a,195b)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안전센서(191)는 출입자의 신체가 회전문어셈블리(120)의 통로측으로 진입시 회전문어셈블리(120)의 회전속도로 인해 차단도어(123)에 끼이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예컨대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범퍼센서(192)는 차단도어(123)와 측벽(111) 사이에 출입자의 신체가 끼이는 경우 접촉이나 가압 등에 의한 스위칭 동작에 의해 출입자의 감지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탑센서(193)는 출입자가 확장도어(140)에 인접하는 경우, 확장도어(140)의 개방 동작에 의해 출입자가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탑센서(193)는 리프도어(142)의 양면 상부에 설치되어, 설치 위치에서 바닥 부분까지 전구간을 감시하다가 리프도어(142)의 개폐시, 제어부(180)는 출입자가 감지되면 리프도어(142)의 개폐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리프도어(142)의 정지는 출입자의 감지 해소가 완료될 때까지 유지된다. 출입자 감지가 해소되면, 리프도어(142)는 동작을 계속 수행하여, 열림 또는 닫힘이 완료된다.
리어풋센서(194)는 출입자가 밟을 때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역시 출입자가 확장도어(140)에 인접하는 경우, 확장도어(140)의 개방 동작에 의해 출입자가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리어풋센서(194)는 리프도어(142)가 개폐시, 그 근처의 인체와 접촉하면, 제어부(180)에 의해 리프도어(142)의 개폐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인접감지센서(195a,195b)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195a)와, 이를 수신하는 수광소자(195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역시 출입자가 확장도어(140)에 인접하는 경우, 확장도어(140)의 개방 동작에 의해 출입자가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접감지센서(195a,195b)는 리프도어(142) 양쪽의 하부쪽에 바닥에서 30cm 높이 정도에 빔을 조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통행자의 출입을 감시하며, 후속 출입자 유무와 기존 출입자의 통행 완료를 확인하여 조작에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의 확장도어 개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여기서 차단상태는 이전 실시례에서와 마찬가지로, 차단도어(223)가 회전문프레임(210)의 개구(214,21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확장도어(240)가 차단도어(223) 사이를 차단시킴으로써, 통로(216)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200)은 회전문프레임(210), 회전문어셈블리(220), 회전구동부(230), 확장도어(240), 확장도어구동부(250), 제 1 모션감지부(260), 제 2 모션감지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안전감지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확장도어(240)가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를 구성하고, 이의 동작을 위해 확장도어구동부(250)가 벨트 구동체로 구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10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확장도어(240)는 차단도어(223)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회전문어셈블리(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241)를 따라 중첩 가능하게 다수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242,243,244)가 확장도어구동부(250)에 의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차단도어(223) 사이를 개폐시키도록 할 수 있다.
확장도어(240)는 다수의 슬라이딩도어(242,243,244)가 차단도어(223)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그 양측으로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의 중심으로부터 그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차단도어(223) 사이를 개폐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차단도어(223)는 내측에 설치되는 이너도어(223b)와의 사이에 쇼케이스(223a)가 설치될 수 있고, 다수의 슬라이딩도어(242,243,244)가 차단도어(223) 사이를 개방시 쇼케이스(223a)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확장도어구동부(250)는 회전문어셈블리(220)의 상부에 슬라이딩도어(242,243,244) 각각의 이동경로를 따라 벨트(253)가 구동풀리(252)와 종동풀리(254)에 의해 무한궤도운동을 하도록 각각 설치될 수 있고, 구동풀리(252)가 모터(251)에 의해 회전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벨트(253) 각각이 슬라이딩도어(242,243,244)에 연결됨으로써, 모터(251)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도어(242,243,244)가 슬라이딩 왕복 운동하게 된다. 또한 확장도어구동부(250)는 슬라이딩도어(242,243,244)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풀리(252) 각각이 모터(251)의 축에 연결되는 단일의 축에 서로 나란하도록 각각 고정될 수 있고, 구동풀리(252) 각각의 직경이 구동풀리(252)에 각각 대응되는 슬라이딩도어(242,243,244)의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크게 형성됨으로써, 단일 모터(251)의 동일한 회전수를 이용하여 벨트(253) 각각의 이동거리를 상이하게 하여, 슬라이딩도어(242,243,244) 각각의 이동거리가 개폐에 적합하도록 차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도어(242,243,244)의 경우, 왼쪽과 오른쪽의 3중 슬라이딩도어(242,243,244)를 동시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왼쪽과 오른쪽의 3중 슬라이딩도어(242,243,244) 중 어느 하나의 3중 슬라이딩도어(242,243,244)만을 개별적으로 열고 닫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도어(242,243,244)의 양쪽 상부에 설치된 제 2 모션감지부(270)가 출입자를 감지하면, 이에 따라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242,243,244)가 열리게 되고, 필요에 따라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열리는 중 후속 출입자가 없으면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도어(242,243,244)는 닫히고 있는 동안 후속 출입자가 있으면 다시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닫히는 과정중에 안전과 관련된 센서가 작동하면 다시 열릴 수도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도어(242,243,244)는 열려있는 상태를 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도어(242,243,244)는 편개 동작이 가능한데, 왼쪽과 오른쪽 슬라이딩도어(242,243,244)를 개별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딩도어(242,243,244) 각각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모션감지부(270)에 출입자 감지시, 이에 대응되는 슬라이딩도어(242,243,244)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도어(242,243,244)의 개별 동작시, 후속 출입자가 없을 경우 개방을 중지하고, 차단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후속 출입자가 있거나, 안전과 관련된 센서가 작동하면, 닫히던 슬라이딩도어(242,243,244)는 다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 Wing Revolving Door System을 개량하여 개구(114,115,214,215)를 대폭 넓힌 회전문으로서, 예컨대, 직경 4,200mm의 확장도어(140,240)가 설치될 수 있다. 통로(116,216)를 개폐시키도록 확장도어(140,240)의 동작이 가능한 모드로 선택하면, 확장도어(140,240)의 개방시, 차량통행, 화재시 대량인원 대피, 대형가구 반출입 등이 가능하며, 회전문어셈블리(120,220)의 회전에 의한 회전문으로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때, 장애인 휠체어 2대 이상 이동, 대형 매장의 이동 짐차 통과, 다수의 출입자가 짐과 동시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구(114,115)의 개방도는 바닥판(112)의 직경에 비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에 의하면, 외기의 유입 차단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냉,난방에 대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비회전식 자동문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 통로의 확장이 가능한 확장도어의 채택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 차량이나 대형 화물 등과 같은 큰 이동체의 출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차량이나 대형 화물 등과 같은 큰 이동체의 출입을 위해 별도의 대형 출입구를 마련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화재 등의 비상시 많은 인원의 탈출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인명 피해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회전 지지되는 구조로 인해, 회전문이 회전동작시 진동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210 : 회전문프레임 111,211 : 측벽
112,212 : 바닥판 113 : 상단부재
114,115,214,215 : 개구 116,216 : 통로
120,220 : 회전문어셈블리 121 : 회전판
123,223: 차단도어 123a,223a : 쇼케이스
123b,223b : 이너도어 124 : 중심회전지지부
125 : 하부회전지지부 126 : 상부회전지지부
130,230 : 회전구동부 140,240 : 확장도어
141 : 힌지프레임 142 : 리프도어
143 : 걸림부 150,250 : 확장도어구동부
160,260 : 제 1 모션감지부 170,270 : 제 2 모션감지부
180,280 : 제어부 181 : 조작부
190,290 : 안전감지부 191 : 출입안전센서
192 : 범퍼센서 193 : 탑센서
194 : 리어풋센서 195a,195b : 인접감지센서
241 : 슬라이딩가이드 242,243,244 : 슬라이딩도어
251 : 모터 252 : 구동풀리
253 : 벨트 254 : 종동풀리

Claims (5)

  1. 구조물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양측에 측벽이 수직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구조물의 내측과 외측으로 개구를 각각 가지는 통로가 내부에 마련되는 회전문프레임;
    상기 회전문프레임의 통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문프레임으로부터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개구 각각을 개폐시키는 차단도어가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마련되는 회전문어셈블리;
    상기 회전문어셈블리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차단도어의 내측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문어셈블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차단도어의 사이를 개폐시키는 확장도어;
    상기 확장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확장도어구동부;
    상기 회전문프레임의 개구로 진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제 1 모션감지부;
    상기 확장도어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자를 감지하는 제 2 모션감지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모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고,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확장도어구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도어는,
    상기 차단도어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회전문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중첩 가능하게 다수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가 상기 확장도어구동부에 의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차단도어 사이를 개폐시키고,
    상기 확장도어는,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도어가 상기 차단도어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그 양측으로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중심으로부터 그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상기 차단도어 사이를 개폐시키고,
    상기 차단도어는,
    내측에 설치되는 이너도어와의 사이에 쇼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도어가 상기 차단도어 사이를 개방시 상기 쇼케이스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문어셈블리는,
    상기 차단도어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체가 상기 회전문프레임의 상부에서 중심회전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단도어가 상기 회전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도어구동부는,
    상기 회전문어셈블리의 상부에 상기 슬라이딩도어 각각의 이동경로를 따라 벨트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의해 무한궤도운동을 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풀리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벨트 각각이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슬라이딩 왕복 운동하고,
    상기 확장도어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딩도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풀리 각각이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단일의 축에 서로 나란하도록 각각 고정되고, 상기 구동풀리 각각의 직경이 상기 구동풀리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크게 형성되는,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전을 위해 출입자를 감지하는 안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확장도어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안전감지부는,
    상기 출입자가 상기 회전문프레임의 개구가 닫힐 때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문프레임의 개구 각각의 외측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되는 출입안전센서;
    상기 측벽의 양측부와 상기 차단도어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자와의 접촉에 의한 끼임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범퍼센서;
    상기 확장도어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회전문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고, 출입자가 상기 확장도어에 인접함을 감지하는 탑센서;
    상기 확장도어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회전문어셈블리의 하부에 설치되고, 출입자가 상기 확장도어에 인접함을 감지하는 리어풋센서; 및
    상기 확장도어의 양측에 인접하여 나란한 광의 출력에 의해 출입자가 상기 확장도어에 인접함을 감지하는 인접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모션감지부의 감지신호 수신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출입자가 상기 통로를 통과하도록 한 다음, 상기 차단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로 상기 회전문어셈블리를 정지시키도록 동작시키거나, 상기 제 1 모션감지부의 감지신호 수신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출입자가 상기 통로를 통과하도록 한 다음, 상기 차단도어가 상기 개구를 차단시킨 상태로 상기 회전문어셈블리를 정지시키도록 동작시키거나, 상기 차단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모션감지부의 감지신호 수신과 상기 확장도어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출입자가 상기 확장도어의 개방에 의해 통과후 상기 확장도어를 차단시키도록 동작시키는,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KR1020220186946A 2020-09-11 2022-12-28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KR102496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946A KR102496627B1 (ko) 2020-09-11 2022-12-28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59A KR102561620B1 (ko) 2020-09-11 2020-09-11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KR1020220186946A KR102496627B1 (ko) 2020-09-11 2022-12-28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59A Division KR102561620B1 (ko) 2020-09-11 2020-09-11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420A KR20230004420A (ko) 2023-01-06
KR102496627B1 true KR102496627B1 (ko) 2023-02-06

Family

ID=809368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59A KR102561620B1 (ko) 2020-09-11 2020-09-11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KR1020220186946A KR102496627B1 (ko) 2020-09-11 2022-12-28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59A KR102561620B1 (ko) 2020-09-11 2020-09-11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16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381A (ja) * 2005-10-04 2007-04-19 Sanwa Shutter Corp 回転ドア装置における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846A (ja) * 1998-06-10 1999-12-21 Nabco Ltd 回転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381A (ja) * 2005-10-04 2007-04-19 Sanwa Shutter Corp 回転ドア装置における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420A (ko) 2023-01-06
KR20220034373A (ko) 2022-03-18
KR102561620B1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9497A1 (en) Conditioned vestibule for a cold storage doorway
US5653063A (en) Photographic booths
KR100641268B1 (ko)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접철구조
KR101730612B1 (ko) 전동접이식 도어 시스템
EP3610112B1 (en) Control arrangement for an entrance system having one or more movable door members
KR101161006B1 (ko)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자동문
KR102496627B1 (ko)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JP5267914B2 (ja) 出入口の開閉装置
KR200390624Y1 (ko)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KR100815616B1 (ko) 회전도어의 개폐장치
JP2898922B2 (ja) 回転ドア装置
KR102046460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200172105Y1 (ko) 슬라이딩스윙문 처짐 방지 구조물
KR101949583B1 (ko)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JPH09242421A (ja) 自動ドアの安全装置
KR102200762B1 (ko)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JP2003214045A (ja) 回転ドア
JP5374315B2 (ja) 出入口の開閉装置
JP3104953U (ja) 回転ドア装置
JP2013036291A (ja) 開閉制御装置
JP2013044188A (ja) 開閉制御装置
KR20230083708A (ko) 비상시 수동으로 개방되는 자동문
JPH03180795A (ja) 開口部用自動開閉機構における人間検知方法
KR101617092B1 (ko) 언발란스 자동도어
JP2000054728A (ja) 回転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