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762B1 -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 Google Patents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762B1
KR102200762B1 KR1020190017678A KR20190017678A KR102200762B1 KR 102200762 B1 KR102200762 B1 KR 102200762B1 KR 1020190017678 A KR1020190017678 A KR 1020190017678A KR 20190017678 A KR20190017678 A KR 20190017678A KR 102200762 B1 KR102200762 B1 KR 10220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lean
bicycle
electric
posi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730A (ko
Inventor
최경래
Original Assignee
(주) 시온조경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온조경개발 filed Critical (주) 시온조경개발
Priority to KR1020190017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7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객이 대기하는 버스쉘터 중앙에 설치된 청정구역에 가하여 지는 양압으로 자전거 수납구역 및 탑승구역으로 미세먼지 등 각종 오염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도록 하여서 된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버스쉘터를 3개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중앙에는 양압기에 의하여 양압이 가하여지는 청정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청정구역 양측으로는 자전거 수납구역과 탑승구역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들의 분할벽과 둘레벽에 전동식 출입구를 설치하며, 상기 인접한 전동식 출입구들이 콘트롤러에 의하여 동시에 열리지 않도록 하여 양압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이와 아울러, 본 발명은 수납된 자전거가 오염물질로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탑승객이 보관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되어 자전거 환승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고 버스 탑승객은 청정한 환경에서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Clean Bus Shelter having Bicycle Custody Function}
본 발명은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동 중 양압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자전거를 청정한 환경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청정한 환경에서 버스 탑승이 가능하도록 한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나라에서 갈수록 미세먼지 등 공해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실제로 인하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공동 연구팀은 조직검사에서 폐암 확진 판정을 받은 908명과 같은 수의 건강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20년 동안의 주거장소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노출 정도와 폐암 발생의 관련성을 일대일 면접 조사한 결과 자동차 배기가스 등 대기오염물질이 많이 나오는 버스정류장 반경 2㎞ 이내에 사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폐암에 걸릴 위험이 최대 2배까지 높다는 연구가 발표되었다.[출처: 중앙일보 2017. 11. 07 ]
그러므로 특히 도로의 측면에 설치된 버스 정거장에 대기 중인 탑승객은 공해로 인한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근래에는 에어커튼이 장착된 친환경 버스부스는, 버스가 도착하기 전에는 승객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버스가 도착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버스부스 내부를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Positive Pressure, 陽壓) 상태가 되도록 하여 도착한 버스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 대기 중인 승객들을 배기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버스부스가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9-0008603 : 에어커튼이 장착된 친환경 버스부스;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전방으로 출입구(140)가 개방된 버스부스(100)에 있어서, 상기 버스부스(100)의 지붕(130)에 장착되어 내부를 양압 상태가 되도록 하는 양압기(400)와, 상기 출입구(140)의 상단에 장착되어 개폐 기능을 하는 에어커튼(200)과, 상기 버스부스(100) 내에 배치되어 온풍 및 냉풍을 선별적으로 배출시키는 벤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버스가 버스부스(100)의 앞에 도착하게 되면 버스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출입구(140)에 커버된 에어커튼(200)으로 차단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에 의하면 출입구(140)가 상시 개방되어 있어서 양압의 누설이 크므로 운용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에어커튼(200)에 의하여 외기의 유입을 억제하여야 하나, 에어커튼(200)은 소음과 함께 출입하는 승객의 두발이나 옷매무세 등을 흐트러뜨려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므로 이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근래에는 퀵보드나 접이식 자전거를 휴대하여 지하철이나 버스를 환승, 연계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접이식 자전거의 중량이 알루미늄 프레임 기준 10㎏ 전후 이어서 휴대하기 무거우며, 휴대 시 타인에게 불편을 주게 되는 경우가 많아 활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9-0008603 : 에어커튼이 장착된 친환경 버스부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스승객이 대기 중인 공간에 양압에 의한 청정 공간을 제공하되, 청정 공간 양측으로 각각 대기공간과 각각의 배출구를 설치하며, 이들 배출구가 시차를 두고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청정공간의 양압이 급격히 방출됨을 방지하여 효율적 운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대기공간에 자전거 보관대를 설치하여 배출구가 개방되는 경우 전동식 출입구 전면(全面)으로 양압이 배출되어 작동 시 불쾌감을 유발하는 에어커튼과 달리 쾌적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가지면서도 양압에 의한 청정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둘레벽과 지붕이 설치되고, 분할벽에 의해 구역이 구분되되, 상기 지붕에 설치된 양압기와,
상기 양압기에 의한 공기가 내부로 통하는 토출구로 토출되어 양압을 공급받으며, 양측의 분할벽에 전동식 출입구를 설치하여서 된 청정구역과,
상기 청정구역 일측 분할벽의 전동식 출입구와 연통되며, 자전거 거치대와 둘레벽에 설치된 전동식 출입구를 구비하여서 된 자전거 수납구역과,
상기 청정구역 타측 분할벽의 전동식 출입구와 연통되며, 둘레벽에 설치된 전동식 출입구를 구비하여서 된 탑승구역이 구비되되,
상기 자전거 수납구역은 일부에 형성되는 요입홈과, 상기 요입홈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요입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자전거 거치대와, 상기 자전거 거치대가 요입홈의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요입홈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공간전용부가 구성되는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자전거를 이용하여 버스 환승을 원하는 사람이 출입구를 통하여 입장하여 자전거 거치대에 자전거를 거치하고 청정 구역에서 대기하다가 버스의 도착 시기에 출입구를 통하여 탑승 구역으로 이동하고 버스의 도착 후 출입구를 통하여 버스에 탑승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버스쉘터의 출입구가 열리는 순간마다 청정 구역의 양압발생기에 의한 양압이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을 밀어냄으로 버스 쉘터에서 대기하는 모든 탑승객은 공해 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양압의 손실이 최소화되어 양압기의 과잉 설계, 설치가 불필요하여 시설비를 절약하고 전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스 쉘터 내부의 자전거 수납구역에 보관되는 자전거는 안장이나 프레임, 타이어의 먼지, 오염물이 출입구가 열리는 순간마다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오염될 우려가 없는 상태로 보존되는 것이므로 부피가 큰 수납 캐비넷을 갖춘 밀폐 공간에 자전거를 보관하는 경우보다 오히려 청결한 상태로 보존될 수 있어서 자전거 이용 탑승객에게 만족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에어커튼이 장착된 친환경 버스부스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 버스 쉘터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청정 버스 쉘터를 보인 정면도.
도4 내지 도10 본 발명에 의한 청정 버스 쉘터의 작동을 보인 설명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청정구역에서 양압이 발생되어 양측 구역으로 전개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에서 탑승객이 버스 쉘터에 입장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에서 버스 쉘터의 자전거 거치구역을 거쳐 청정구역에 입장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에서 탑승객들이 모두 청정구역에서 대기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에서 청정구역에 있던 탑승객이 탑승구역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에서 탑승객이 버스쉘터의 탑승구역에서 나가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에서 적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동시 개방이 불가한 전동식 출입구 그룹을 보인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가 시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의 시공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 자전거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2 내지 도4에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서 외부의 교통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 등으로 된 둘레벽(401)과 지붕(402)을 구비한 폐쇄 구조의 버스쉘터(400)와,
상기 버스쉘터(400)의 중앙에 설치되고, 지붕(402)에 설치된 양압기(500)에 의한 공기가 내부 공간의 중앙 상방에 설치된 토출구(104)로 토출되어 양압을 공급받으며, 양측의 분할벽(403)에 전동식 출입구(101, 102)를 설치하여서 된 청정구역(100)과,
상기 청정구역(100) 일측의 전동식 출입구(101)와 연통되며 자전거 거치대(700)와 둘레벽(401)에 설치된 전동식 출입구(201)를 구비하여서 된 자전거 수납구역(200)과,
상기 청정구역(100) 타측의 전동식 출입구(102)와 연통되며 둘레벽(401)에 설치된 전동식 출입구(301)를 구비하여서 된 탑승구역(3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며,
이에 더하여 청정구역(100)의 밀폐상태가 완벽한 경우에는 상기 청정구역(100)과 양측의 자전거 수납구역(200) 및 탑승구역(300) 사이에 연통공(103)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104)는 청정구역(100)을 이루는 둘레벽(401)과 분할벽(4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양압기(500)에 의한 공기가 둘레벽(401)과 분할벽(4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고 흐르며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전동식 출입구(101, 102, 201, 301)의 개폐를 위하여 공지된 요소인 개문 스위치(601) 또는 접근감지센서(602) 및 안전센서(603)가 콘트롤러(600)에 연결되도록 하여 구동모터(604)의 동력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개문 스위치(601)는 출입구가 열리도록 하기 위하여 손가락 등으로 누르는 것이고, 접근감지센서(602)는 사람이 전동식 출입구(101, 102, 201, 301)에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는 것이며, 또한 안전센서(603)는 사람이 전동식 출입구(101, 102, 201, 301)에 근접하여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들은 모두 콘트롤러(600)에 연결되어 콘트롤러(600)로 제어되는 구동모터(604)의 동력으로 전동식 출입구(101, 102, 201, 301)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인바, 이들은 공지기술로서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언급하고 구체적인 기술 기재를 생략하기로 하며, 편의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인 도면인 도10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최초 작동 시에 콘트롤러(600)가 안전센서(603)에 의하여 상기 전동식 출입구(101, 102, 201, 301)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모든 전동식 출입구(101, 102, 201, 301)를 폐쇄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지붕(402)의 양압기(500)가 전원공급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청정구역(100) 상방 중앙의 토출구(104)에서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공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먼저 청정구역(100)의 기압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청정구역(100)이 완전 밀폐된 경우에는 개폐막이 내장되어 개폐 가능한 연통공(103)을 통하여 상승 기압이 양측의 자전거 수납구역(200)과 탑승구역(300)에 공급되는 것이고, 기압의 역전 상황에서는 역류를 차단할 수 있으며, 청정구역(100)의 목표 양압상태까지 신속하게 양압을 높이기 위해 상기 연통공(103)의 개폐 제어를 콘트롤러(600)가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전동식 출입구(101, 102, 201, 301)의 슬라이딩 도어 주변에 존재하는 틈을 통하여 양측의 자전거 수납구역(200)과 탑승구역(300)에 양압기(500)에서 발생한 양압을 공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양압기(500)는 미세먼지나 분진 등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가 장착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청정구역(100)을 중심으로 한 양측의 자전거 수납구역(200)과 탑승구역(300) 모두에 청정한 공기와 공압이 공급되는 것이며, 청정구역(100)의 양압은 양측의 구역보다 높고 양측의 구역은 외부의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전거 수납구역(200)으로 탑승객이 접근하여 개문 스위치(601)를 누르거나 접근감지센서(602)가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면 콘트롤러(600)가 이를 인식하여 구동모터(604)를 작동시킴으로써 전동식 출입구(201)의 슬라이딩도어가 이동하여 전동식 출입구(201)가 열리며 이러한 상태를 도5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도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 수납구역(200)으로 사람이 진입하면 자전거 수납구역(200)에 있던 양압은 화살표로 보인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탑승객은 진입할 수 있으나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은 진입하지 못하게 되므로 버스쉘터(400) 내부는 청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탑승객이 완전히 진입한 후에는 물체 감지 기능을 갖는 안전센서(603)가 자전거 수납구역(200)의 전동식 출입구에 근접한 사람이 없음에 상응하는 신호를 콘트롤러(600)에 인가하여 콘트롤러(600)는 구동모터(604)를 종전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전동식 출입구(201)의 슬라이딩도어가 닫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버스쉘터(400)에 진입한 탑승객이 자전거(800)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전거 거치대(700)에 자전거(800)를 거치하고, 청정구역(100)의 분할벽(403)에 설치된 전동식 출입구(101)의 개문 스위치(601)를 누르거나 접근감지센서(602)에 접근하면 콘트롤러(600)는 청정구역(100)의 전동식 출입구(101)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6으로 보였다. 이러한 경우에도 청정구역(100)의 양압이 자전거 수납구역(200)의 기압보다 높으므로 양압이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탑승객이 청정구역(100)으로 완전히 진입한 경우에는 콘트롤러(600)가 전동식 출입구(101)의 슬라이딩도어를 습동시켜 도7과 같이 청정구역(100) 양측의 전동식 출입구(101, 102)가 모두 닫힌 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청정구역(100)의 탑승객들은 청정구역(100) 내의 둘레벽(401)이나 분할벽(403)에 형성된 통상의 BIS (Bus Information System) 모니터를 관찰하는 등의 방법으로 버스 도착 상황을 인지하거나 기타 필요한 활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탑승객이 청정구역(100)에서 대기 중인 동안에 효율적 시간 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각종 편의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면 미세먼지나 각종 오염물질로 인하여 손상 우려가 높은 ATM, KIOSK, 티켓 벤더 등을 설치하여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에 주로 점포 내부에 한정적으로 설치되어 관리되던 ATM, KIOSK, 티켓 벤더 등을 버스쉘터(400)에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대기 중인 버스 탑승객에게 커다란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청정구역(100)에서 대기 중인 탑승객이 버스의 도착에 대비하여 탑승구역(300)으로 이동하여야 할 경우에는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청정구역(100)의 분할벽(403)에 접근하여 전동식 출입구(102)의 개문 스위치(601)를 누르거나 접근감지센서(602)에 근접하면 콘트롤러(600)는 청정구역(100)의 전동식 출입구(102)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청정구역(100)의 양압이 탑승구역(300)의 기압보다 높으므로 양압이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탑승객이 탑승구역(300)으로 완전히 나간 경우에는 콘트롤러(600)가 전동식 출입구(102)의 슬라이딩도어를 습동시켜 도8으로 보인 바와 같이 청정구역(100) 양측의 전동식 출입구(101, 102)가 닫힌 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서, 버스가 도착한 후 탑승객이 버스쉘터(400)를 나가기 위하여 탑승구역(300)의 둘레벽(401) 일측에 설치된 전동식 출입구(301) 앞에 서서 개문 스위치(601)를 누르거나 접근감지센서(602)에 근접하면 콘트롤러(600)는 탑승구역(300)의 전동식 출입구(301)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9로 도시하였다. 이때에도 본 발명은 탑승구역(300)의 양압이 대기압보다 높으므로 양압이 화살표 방향으로 흘러나가게 되고, 탑승객이 버스쉘터(400)를 완전히 나간 경우에 콘트롤러(600)가 전동식 출입구(301)의 슬라이딩도어를 습동시켜 도7로 보인 바와 같이 모든 전동식 출입구(101, 102, 201, 301)가 닫힌 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버스쉘터(400)에 탑승객이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음은 물론 대기 시간 중에 청정구역(100)에 머무는 탑승객이 차로의 각종 오염물질 및 미세먼지 등으로부터 위협받지 않도록 보호하여 대중 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면서도 탑승객이 소지한 자전거(800) 역시 미세먼지나 분진 등으로 오염되지 않도록 청결하게 관리되는 것이므로 이상적인 자전거(800) 환승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러(600)에 의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전동식 출입구(201과 101, 101과 102, 102와 301)가 동시에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양압 누설로 인한 외부 불순물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청정구역(100)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전동식 출입구(101, 102)와, 외부와 연통되는 2개의 전동식 출입구(201, 301)를 구비하되 이들 전동식 출입구(101, 102, 201, 301)는 콘트롤러(600)에 의하여 가장 인접한 위치의 그룹 ( A, B, C )에 속한 2개의 전동식 출입구(201과 101, 101과 102, 102와 301)들이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여서 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2인 이상의 탑승객이 인접한 전동식 출입구의 개문 스위치(601)를 누른 시간 또는 접근감지센서(602)에 의한 감지시간이 동일하게 보이는 경우에도 콘트롤러(600)에 연결된 통상의 발진모듈에 의하여 제공되는 극히 짧은 시간 (예: 발진모듈의 발진 주파수가 7㎒인 경우 1.4
Figure 112019016019023-pat00001
초)의 차이에 의하여 선,후를 판정하여 먼저 누른 출입문을 먼저 개방하게 되는 것이므로 전동식 출입구(201과 101, 101과 102, 102와 301)의 개문 스위치(601) 또는 접근감지센서(602)가 동시에 작동됨에 따른 오동작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출입구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적용할 수 있으나 공간 활용도를 높이가 위하여 여닫이 형태 보다는 습동하는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2 내지 도11까지는 자전거(800) 타이어를 올려놓는 단순한 형태의 거치대(700)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례이며 기타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700)와 잠금장치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도13 내지 도17로 보인 바와 같이, 버스 쉘터(400)의 자전거 수납구역(200)의 일부에 요입홈(202)을 형성하고, 이에 습동되는 래크(703)를 설치하며, 상기 래크(703)의 일측에 감속기가 구비된 모터(701)(이하 '모터'라 함)에 의하여 회동되는 구동기어(702)를 배치하고 래크(703)와 맞물리도록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한 피니언(704)을 복수개 배치하되, 상기 복수개의 피니언(704)의 중심에 복수개의 지간(705)을 가진 거치간(706)을 고정하여서 된 공간전용부가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공간전용부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공지된 래크(703)과 피니언(704)의 기어 결합을 이용하여 모터(701)를 구동시켜 거치간(706)이 회동되면서 접혀지도록 하면 자전거 거치대(700)가 있던 공간이 버스쉘터(400)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그 위에 판재를 덮는 것만으로 자전거 수납구역(200)을 탑승객 대기구역으로 용도 전환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12로 보인 바와 같이, 자전거 수납구역(200)의 일측에 요입홈(202)을 형성하고,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700)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모터(701)를 제어함에 따라 도13, 도14와 같이 다수의 거치간(706)이 동시에 기립하여 도15로 보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자전거(800)를 거치할 수 있으며, 모터(701)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제어하여 도16과 도17로 보인 바와 같이 동시에 접혀질 수 있는 것이며, 그 위에 도17에서와 같이 평판(707)을 덮어 줌으로써 안전한 바닥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700)는 다수의 거치간(706)을 평상시에는 기립하여 자전거(800)의 타이어를 거치하여 자전거(8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서 도13 내지 도15로 보인 바와 같이 사용하다가 불필요하거나 청정구역(100)이 대기 탑승객으로 붐비는 등의 사정으로 자전거 수납구역(200)을 탑승객을 위한 대기 공간으로 전용하여야 할 경우 거치간(706)에서 자전거(800)를 모두 탈거한 후 모터(701)를 작동시켜 구동기어(702)가 래크(703)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래크(703)에 맞물려 있던 모든 피니언(704)이 회전하면서 피니언(704)에 단부가 고정된 거치간(706)이 모두 눕도록 하며, 이때 거치간(706)의 높이가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고, 거치간(706) 위에 평판(707)을 덮어 줌으로써 다른 용도로 활용 가능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를 도16 및 도17로 도시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추가 확보된 공간은 ATM, KIOSK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청정구역(100)에는 냉,난방 설비를 함께 설치하여 버스 쉘터 이용 탑승객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ATM, KIOSK가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청정구역 101, 102 : 전동식 출입구 103 : 연통공
104 : 토출구 200 : 자전거 수납구역 201 : 전동식 출입구
202 : 요입홈 300 : 탑승구역 301 : 전동식 출입구
400 : 버스쉘터 401 : 둘레벽 402 : 지붕
403 : 분할벽 500 : 양압기 600 : 콘트롤러
601 : 개문 스위치 602 : 접근감지센서 603 : 안전센서
604 : 구동모터 700 : 자전거 거치대 701 : 모터
702 : 구동기어 703 : 래크 704 : 피니언
705 : 지간 706 : 거치간 707 : 평판 800 : 자전거

Claims (4)

  1. 둘레벽과 지붕이 설치되고, 분할벽에 의해 구역이 구분되되, 상기 지붕에 설치된 양압기와,
    상기 양압기에 의한 공기가 내부로 통하는 토출구로 토출되어 양압을 공급받으며, 양측의 분할벽에 전동식 출입구를 설치하여서 된 청정구역과,
    상기 청정구역 일측 분할벽의 전동식 출입구와 연통되며, 자전거 거치대와 둘레벽에 설치된 전동식 출입구를 구비하여서 된 자전거 수납구역과,
    상기 청정구역 타측 분할벽의 전동식 출입구와 연통되며, 둘레벽에 설치된 전동식 출입구를 구비하여서 된 탑승구역이 구비되되,
    상기 자전거 수납구역은 일부에 형성되는 요입홈과, 상기 요입홈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요입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자전거 거치대와, 상기 자전거 거치대가 요입홈의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요입홈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공간전용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구역과 양측의 자전거 수납구역 및 탑승구역 사이에 연통공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출입구의 개폐를 위하여 구비되는 개문 스위치 또는 접근감지센서 및 안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된 콘트롤러에 의하여 전동식 출입구가 구동되도록 하되,
    상기 청정구역 분할벽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전동식 출입구와 자전거 수납구역과 탑승구역 각각의 둘레벽에 설치된 2개의 전동식 출입구들이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가장 인접한 위치의 그룹 ( A, B, C )에 속한 2개의 전동식 출입구가 동시에 개폐되지 않도록 제어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4. 삭제
KR1020190017678A 2019-02-15 2019-02-15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KR10220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78A KR102200762B1 (ko) 2019-02-15 2019-02-15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78A KR102200762B1 (ko) 2019-02-15 2019-02-15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730A KR20200099730A (ko) 2020-08-25
KR102200762B1 true KR102200762B1 (ko) 2021-01-11

Family

ID=7224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678A KR102200762B1 (ko) 2019-02-15 2019-02-15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7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147A (ja) * 2002-08-29 2004-03-18 Koken Ltd シェルター
JP3911255B2 (ja) * 2003-05-27 2007-05-09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放射性医薬品の製造施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108A (ko) * 2009-12-29 2011-07-06 동원엔지니어링(주) 버스정류장 부스
KR102019548B1 (ko) 2017-07-17 2019-09-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커튼이 장착된 친환경 버스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147A (ja) * 2002-08-29 2004-03-18 Koken Ltd シェルター
JP3911255B2 (ja) * 2003-05-27 2007-05-09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放射性医薬品の製造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730A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3013B2 (en) Information display structure, and vehicle station and barrier equipped with the structure
CN111173322A (zh) 一种移动组合式出入口防疫检测隔离通道舱
US20050230550A1 (en) Cockpit security door/restroom
ITTO980860A1 (it) Stanza mortuaria mobile.
JP2009540165A (ja) 集団除染モバイルユニット
SE455325B (sv) Anordning vid karuselldorrar
WO2017217679A1 (ko) 전동접이식 도어 시스템
CA3113030A1 (en) Inflatable drive through tunnel system
KR102200762B1 (ko) 자전거 보관 기능을 갖는 청정 버스 쉘터
CN111249505A (zh) 可移动式安全检测消毒装置
WO1997025509A1 (en) Revolving door device
ITRM960521A1 (it) Varco di accesso a filtro per la protezione di un locale, con movimen ti lineari paralleli delle ante delle porte
JP2003175820A (ja) 可動ホーム柵装置
KR100996862B1 (ko)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CN113679541B (zh) 公卫领域能减少交叉感染的疫情防控自动隔离系统
JP2022506954A (ja) 防護シェルター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nbcろ過システム
KR100968209B1 (ko)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KR102561620B1 (ko) 확장도어를 가지는 자동 회전문
KR100886840B1 (ko) 개별주차실을 갖는 건축구조물
JPS63184540A (ja) バス
CN113137089B (zh) 一种高速公路移动厕所系统及其工作方法
CN2411324Y (zh) 多功能自动旋转门
KR200399721Y1 (ko)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접철구조
TWM639722U (zh) 綠建築可拆遷全方位功能之電梯升降井道
UA138366U (uk) Споруда закритого типу для очікування громадського транспорт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