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624Y1 -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 Google Patents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624Y1
KR200390624Y1 KR20-2005-0012704U KR20050012704U KR200390624Y1 KR 200390624 Y1 KR200390624 Y1 KR 200390624Y1 KR 20050012704 U KR20050012704 U KR 20050012704U KR 200390624 Y1 KR200390624 Y1 KR 200390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e
control
control means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신상규
김복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미정공
이상수
신상규
김복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미정공, 이상수, 신상규, 김복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미정공
Priority to KR20-2005-0012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3Adjust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별 제어 자동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의 개폐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좌·우측 도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자동문으로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감지 수단,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좌측 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좌측 제어 수단,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우측 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우측 제어 수단, 상기 좌측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좌측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좌측 구동 수단 및 상기 우측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우측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우측 구동 수단을 포함함.

Description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Seperately controlled Automatic door}
본 고안은 개별 제어 자동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의 개폐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관공서, 백화점, 상가 등과 같은 건물의 출입구는 사람들의 출입에 따라 계폐되는 자동문(전동이나 공기 압력 등에 의하여 자동으로 여닫는 문)이 많이 이용된다.
자동문은 사람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자동문(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문은 도어 상단 중앙에 구비된 센서가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면 하나의 컨트롤러로 좌·우측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하여 동시에 양측의 문이 열리도록 한다. 이 때, 양측의 도어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하나의 구동벨트를 이용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자동문은 좌·우측 도어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없고, 중앙의 컨트롤러가 고장났을 때 자동문 전체의 개폐가 불가능하여 비상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어마다 개별적으로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어느 한 컨트롤러의 고장에도 자동문 전체가 동작불능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우측 도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자동문으로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감지 수단,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좌측 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좌측 제어 수단,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우측 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우측 제어 수단, 상기 좌측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좌측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좌측 구동 수단 및 상기 우측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우측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우측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제어 자동문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제어 자동문은 감지부(11), 좌측 제어부(12), 우측 제어부(13), 좌측 구동부(141,142,143a,143b,144,145), 우측 구동부(151,152,153a,153b,154,155), 좌측 도어(16), 우측 도어(17) 및 스토퍼(18)를 포함한다.
감지부(11)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시키는 센서로서, 일반적으로는 빛(예를 들어, 적외선)을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광센서가 주로 이용된다. 감지부(11)는 사용자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위치(주로, 도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광센서 이외에도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무게 감지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는 사용자 감지 신호를 좌측 제어부(12) 및 우측 제어부(13)로 각각 전달한다.
여기서, 감지부(11)는 좌측 도어(16)와 우측 도어(17)의 개폐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동기화되도록) 사용자 감지 신호를 좌측 제어부(12)와 우측 제어부(13)로 동시에 전달한다.
좌측 제어부(12)는 감지부(11)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좌측 구동부를 제어하여 좌측 도어(16)를 개폐한다. 즉, 좌측 제어부(12)가 감지부(11)로부터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좌측 도어(16)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열었다가 닫도록 좌측 구동부를 제어한다. 또는, 좌측 제어부(12)가 감지부(11)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좌측 도어(16)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열었다가, 사용자가 모두 이동한 것을 확인한 이후에서야 좌측 도어(16)를 닫도록 좌측 구동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우측 제어부(13)는 감지부(11)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좌측 제어부(12)와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우측 구동부를 제어하여 우측 도어(17)를 개폐한다. 즉, 우측 제어부(13)가 감지부(11)로부터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우측 도어(17)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열었다가 닫도록 우측 구동부를 제어한다. 또는, 우측 제어부(13)가 감지부(11)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우측 도어(17)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열었다가, 사용자가 모두 이동한 것을 확인한 이후에서야 우측 도어(17)를 닫도록 우측 구동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좌측 구동부(141,142,143a,143b,144,145)는 좌측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켜 좌측 도어(16)를 개폐시키고, 우측 구동부는 우측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켜 우측 도어(17)를 개폐시킨다.
좌측 구동부는 좌측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정역회전운동하여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41), 구동모터(141)에서 발생시킨 동력을 구동벨트(142)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풀리(143a) 및 종동풀리(143b), 구동풀리(143a) 및 종동풀리(143b)를 통하여 전달받은 동력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이동(회전)하는 구동벨트(142), 구동벨트(142)와 좌측 도어(16)를 연결하여 구동벨트(142)가 정역방향으로 이동(회전)함에 따라 좌측 도어(16)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행어(145) 및 구동행어(145)가 정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측 도어(16)가 레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위를 부드럽게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구동롤러(144)를 포함한다.
또한, 우측 구동부(151,152,153a,153b,154,155)도 좌측 구동부와 마찬가지로 우측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정역회전운동하여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51), 구동모터(151)에서 발생시킨 동력을 구동벨트(152)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풀리(153a) 및 종동풀리(153b), 구동풀리(153a) 및 종동풀리(153b)를 통하여 전달받은 동력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이동(회전)하는 구동벨트(152), 구동벨트(152)와 우측 도어(17)를 연결하여 구동벨트(152)가 정역방향으로 이동(회전)함에 따라 우측 도어(17)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행어(155) 및 구동행어(155)가 정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우측 도어(17)가 레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위를 부드럽게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구동롤러(154)를 포함한다.
스토퍼(18)는 도어가 닫힐 때 속도를 감속시켜 안전하고 부드럽게 닫히도록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은 좌측 도어(16)와 우측 도어(17)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부와 구동부가 각각 존재한다. 그리고, 좌측 제어부(12) 및 우측 제어부(13) 각각은 감지부(11)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좌측 구동부와 우측 구동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므로, 좌측 제어부(12) 또는 우측 제어부(13) 중 어느 한쪽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쪽 도어는 정상적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보다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도어 개별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감지부(11)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S201), 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좌측 제어부(12) 및 우측 제어부(13)로 전달한다(S202).
그러면, 좌측 제어부(12) 및 우측 제어부(13)는 각각 좌측 구동부 및 우측 구동부를 제어하여 좌측 도어(16) 및 우측 도어(17)를 개별적으로 개폐(소정 시간 동안 열었다가 닫음)시킨다(S203, S204, S205).
즉, 좌측 제어부(12) 및 우측 제어부(13)는 감지부(11)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좌측 구동부 및 우측 구동부를 각각 구동시켜 좌측 도어(16)및 우측 도어(17)를 연다(S203). 그리고, 현재 상태가 기설정된 도어 폐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S204), 현재 상태가 도어 폐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열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S204" 과정으로 진행하여 도어 폐쇄 조건 만족 여부를 재확인하는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현재 상태가 기설정된 도어 폐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한 결과(S204), 도어 폐쇄 조건을 만족하면 좌측 구동부 및 우측 구동부를 각각 구동시켜 좌측 도어(16) 및 우측 도어(17)를 닫는다(S205). 이 때, 도어 폐쇄 조건으로는 도어를 연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 또는 물체(사용자)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아 사용자가 이동을 마쳤다고 판단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좌측 제어부(12) 및 우측 제어부(13)는 좌측 도어(16) 및 우측 도어(17)가 동시에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또한, 좌측 제어부(12) 및 우측 제어부(13)는 어느 한 쪽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구동부(좌측 구동부, 우측 구동부)를 구동시켜 다른 한 쪽의 문이 정상적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실안등록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문의 도어마다 개별적으로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어느 한 컨트롤러의 고장에도 자동문 전체가 동작불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제어 자동문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도어 개별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감지부 12 : 좌측 제어부
13 : 우측 제어부 141,151 : 구동모터
142,152 : 구동벨트 143a,153a : 구동풀리
143b, 153b : 종동풀리 144,154 : 구동롤러
145,155 : 구동행어 16 : 좌측 도어
17 : 우측 도어 18 : 스토퍼

Claims (6)

  1. 좌·우측 도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자동문으로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감지 수단;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좌측 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좌측 제어 수단;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우측 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우측 제어 수단;
    상기 좌측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좌측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좌측 구동 수단; 및
    상기 우측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우측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우측 구동 수단
    을 포함하는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상기 좌측 제어 수단 및 상기 우측 제어 수단에 동시에 전달하여 상기 좌측 도어와 상기 우측 도어의 개폐가 동기화되도록 하는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어 수단 및 상기 우측 제어 수단 각각은,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좌측 구동 수단 및 상기 우측 구동 수단을 각각 구동시켜 상기 좌측 도어 및 상기 우측 도어를 연 후, 기설정된 도어 폐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 도어 폐쇄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좌측 구동부 및 상기 우측 구동부를 각각 구동시켜 상기 좌측 도어 및 상기 우측 도어를 닫는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폐쇄 조건은,
    도어를 연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인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폐쇄 조건은,
    물체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아 사용자가 이동을 마쳤다고 판단되는지 여부인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구동 수단 및 상기 우측 구동 수단 각각은,
    상기 좌측 제어 수단 및 상기 우측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정역회전운동하여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시킨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
    상기 풀리를 통하여 전달받은 동력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와 도어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벨트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행어; 및
    상기 구동행어가 정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어가 부드럽게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구동롤러
    를 포함하는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KR20-2005-0012704U 2005-05-06 2005-05-06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KR200390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704U KR200390624Y1 (ko) 2005-05-06 2005-05-06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704U KR200390624Y1 (ko) 2005-05-06 2005-05-06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805 Division 2005-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624Y1 true KR200390624Y1 (ko) 2005-07-25

Family

ID=4369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704U KR200390624Y1 (ko) 2005-05-06 2005-05-06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62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006B1 (ko) * 2009-09-18 2012-07-09 (주)바벨시스템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자동문
KR20180107436A (ko) * 2017-03-21 2018-10-02 최기찬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KR20210137611A (ko) 2020-05-11 2021-11-18 (주)신성에이스 밀착식 도어가 구동되는 자동문
KR20220067785A (ko) * 2020-11-18 2022-05-25 배용규 제한 출입을 위한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006B1 (ko) * 2009-09-18 2012-07-09 (주)바벨시스템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자동문
KR20180107436A (ko) * 2017-03-21 2018-10-02 최기찬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KR101949583B1 (ko) 2017-03-21 2019-02-19 최기찬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KR20210137611A (ko) 2020-05-11 2021-11-18 (주)신성에이스 밀착식 도어가 구동되는 자동문
KR20220067785A (ko) * 2020-11-18 2022-05-25 배용규 제한 출입을 위한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0813B1 (ko) * 2020-11-18 2023-01-20 배용규 제한 출입을 위한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984B1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도어 개폐 송신장치
US8314509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with energy management control and corresponding method
CA2667252C (en) Sensor for automatic door system, and automatic door system with such sensor used therein
KR102039070B1 (ko) 스윙 도어 모듈, 그리고 스윙 도어 모듈을 구비한 스윙 게이트 시스템
KR200390624Y1 (ko) 도어 개별 제어 자동문
AU2001260013A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doors
CN104676691B (zh) 吸油烟机和吸油烟机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EP3610112B1 (en) Control arrangement for an entrance system having one or more movable door members
KR101493000B1 (ko) 안티패닉형 자동방화문
KR20190061623A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CN110027975B (zh) 门操作控制器
KR100637869B1 (ko) 안전 구동 자동문 및 그 제어 방법
CN104418188A (zh) 电梯自救控制系统
JP2017088289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
KR101746936B1 (ko) 벨트리스 타입 자동문 개폐시스템
JP3847621B2 (ja) 自動ドア
KR200390623Y1 (ko) 안전 구동 자동문
JP2007070847A (ja) 安全制御手段を備える開口部装置
KR100753015B1 (ko)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향성 감지 자동도어시스템 및개폐방법
CN112554733A (zh) 一种安全的两翼旋转自动门及其安全控制方法
KR200487428Y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제어 도어 시스템
KR101553832B1 (ko) 창호의 개폐감지구조
JP6207126B2 (ja) ドア開閉装置
KR102197073B1 (ko)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8561406U (zh) 一种配合室外自动门动作的扶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