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999B1 - 의류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999B1
KR102494999B1 KR1020180008254A KR20180008254A KR102494999B1 KR 102494999 B1 KR102494999 B1 KR 102494999B1 KR 1020180008254 A KR1020180008254 A KR 1020180008254A KR 20180008254 A KR20180008254 A KR 20180008254A KR 102494999 B1 KR102494999 B1 KR 10249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ir conditioning
state
air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563A (ko
Inventor
박주연
김동욱
김호영
서자연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999B1/ko
Priority to US16/963,913 priority patent/US20210040675A1/en
Priority to PCT/KR2019/000818 priority patent/WO2019146971A1/ko
Publication of KR2019008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5Compounds of silicon, phosphorus, germanium or arsenic
    • B01D2257/556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Abstract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를 수용 가능한 수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공기조화기능을 가진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을 포함하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은, 공기조화기능이 활성화되는 노출상태와, 공기조화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차단상태 사이를 상호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제1공기조화모듈이 노출상태인 동안에 제2공기조화모듈은 차단상태가 된다. 이로써, 의류관리장치는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의 각각의 공기조화기능이 상쇄되어 그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 공기조화모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관리장치 {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캐비넷(cabinet) 또는 챔버(chamber) 내에 수용되는 의류를 소정 기능에 기반하여 처리 또는 관리하는 의류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의류에 대한 탈취, 착향 등의 기 설정된 공기조화기능에 기반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조의 의류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가전은 사용자가 가정에서 일반 생활의 여러 도움을 받기 위해 사용하는 전자장치이며, 처리 대상 및 처리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생활 가전 중에서 의류를 처리 대상으로 하는 가전을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 또는 의류관리장치라고 지칭하며, 의류관리장치는 전문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류관리장치 중에서 세탁기는 의류의 세탁 기능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건조기는 의류의 건조 기능에 최적화되어 있다. 또한, 의류관리장치 중에는 의류의 보존, 메인테넌스(maintenance)에 최적화된 장치도 있다.
의류의 메인테넌스를 위한 의류관리장치는, 의류가 사용자에게 있어서 쾌적하고 신선하게 느낄 수 있도록 의류의 상태를 조정한다. 예를 들면, 의류관리장치는 챔버 내에 의류를 수용한 상태에서 스팀(steam)을 챔버에 공급함으로써,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고도 스팀에 의해 의류의 구김을 개선한다. 또한, 의류관리장치는 스팀에 의해 의류에 붙은 미세한 먼지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의류관리장치는 소정 온도 이상의 열풍을 챔버에 공급함으로써, 의류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의류관리장치는 의류의 상태의 리프레시(refresh)를 위해 공기조화기능에 기반한 의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능은 챔버 내의 공기의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챔버 내의 의류의 상태를 조정하는 기능이며, 예를 들면 의류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기능, 의류에 소정의 향기를 착향시키기 위한 착향 기능 등이 있다. 종래의 의류관리장치는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탈취 모듈과, 착향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모듈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거나 또는 두 모듈을 함께 구비하고, 해당 모듈에 의해 챔버 내의 공기의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의류의 상태가 리프레시되도록 한다.
그런데, 탈취 모듈만을 구비한 의류관리장치에서는, 탈취 모듈에 의해서도 완전한 탈취가 수행되지 못하고 의류에 악취가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방향 모듈만을 구비한 의류관리장치에서는, 의류의 악취 수준이 높은 경우에, 방향 모듈에 의한 향 성분 및 의류의 악취가 섞임으로써 또 다른 악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탈취 모듈 및 방향 모듈을 함께 구비한 의류관리장치에서는, 방향 모듈로부터의 향 성분이 탈취 모듈에 흡착됨으로써, 탈취 기능 및 착향 효과를 모두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향 성분이 흡착된 탈취 모듈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탈취, 착향 등의 전문화된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복수 개 사용하는 의류관리장치에 있어서, 각 모듈에 의한 효과의 상쇄로 인해 의류의 처리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 또는 방법의 적용이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를 수용 가능한 수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공기조화기능을 가진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은,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활성화되는 노출상태와,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차단상태 사이를 상호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제1공기조화모듈이 상기 노출상태인 동안에 제2공기조화모듈은 상기 차단상태가 된다. 이로써, 의류관리장치는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의 각각의 공기조화기능이 상쇄되어 그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 공기조화모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상에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을 이동시키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이, 상기 노출상태 및 상기 커버에 의한 상기 차단상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수납공간에 공기가 투입 또는 배출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은 상기 노출상태 시에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수납공간 내의 냄새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냄새 농도가 임계치를 넘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차단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의류관리장치는 시간 경과를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만큼 카운트되었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차단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이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공기조화모듈이 상기 노출상태이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2공기조화모듈이 상기 노출상태이며, 상기 제3위치에서 상기 제1공기조화모듈 및 상기 제2공기조화모듈 모두가 상기 차단상태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공기조화모듈은,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본체와; 상기 모듈본체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모듈본체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모듈본체에 결합되는 모듈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상태 시 상기 모듈커버를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차단상태 시 상기 모듈커버를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모듈은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로를 간섭하여 공기가 상기 모듈본체를 통과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 공기가 상기 유로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상기 유로의 간섭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납공간에 공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은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탈취모듈 및 착향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탈취모듈은 상기 노출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배출구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방향모듈은 상기 노출상태에 있을 때 상기 투입구 상에 배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상에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이, 상기 노출상태 및 상기 커버에 의한 상기 차단상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이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어느 하나가 공기의 진행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은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탈취모듈 및 착향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모듈을 포함하며,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수납공간 내의 냄새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냄새 농도가 임계치를 넘으면 상기 탈취모듈을 상기 노출상태로 하고 상기 방향모듈은 상기 차단상태로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수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공급부에 의해 스팀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탈취모듈 및 상기 방향모듈을 모두 상기 차단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 유로 상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공기조화기능을 가진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은,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활성화되는 노출상태와,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차단상태 사이를 상호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제1공기조화모듈이 상기 노출상태인 동안에 제2공기조화모듈은 상기 차단상태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공기조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서 공기조화유닛이 제1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서 공기조화유닛이 제2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서 공기조화유닛이 이동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공기조화유닛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가 타이머의 시간계측결과에 따라서 공기조화유닛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공기조화유닛의 세 가지 상태에서 각 모듈의 노출 및 차단 모습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제1모듈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서 제1모듈 및 제2모듈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100)는 의류의 상태를 리프레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현된다. 여기서, 리프레시 기능은 구체적으로, 의류에 대해 공기, 수분 등을 가함으로써 의류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살균, 정전기 제거, 가열, 건조, 착향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의류관리장치(100)가 공기, 수분을 가하는 방법으로는, 냉풍, 열풍, 미스트(mist), 스팀 등의 형태가 가능하다. 이하 설명하는 의류관리장치(100)의 구조는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되는 한 가지 예시에 불과하며, 의류관리장치(100)의 구조 또는 형태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의류관리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부의 챔버(120)와, 챔버(120)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도어(130)와, 챔버(1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된 행어(140)와, 챔버(120) 하측에 설치되며 챔버(120)에 처리 공정에 따라서 공기 및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계실(150)과, 도어(130) 외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의류관리장치(100)의 동작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사용자입력부(160)와, 챔버(120) 하측에 설치되며 챔버(120) 내의 공기의 상태를 조정하도록 마련된 공기조화유닛(170)을 포함한다.
챔버(120)는 하우징(110) 내에 의류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챔버(120)는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도어(130)가 챔버(120)의 전방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챔버(120)는 개략적으로 상하로 긴 육면체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데, 챔버(120)의 하측에는 기계실(150)이 설치되고 챔버(120)의 상측에는 행어(140)가 설치된다. 챔버(120)의 하판면, 즉 기계실(150)의 상판면에는 챔버(120) 내로 공기가 투입되게 마련된 공기투입구(121)와, 챔버(120) 내의 공기가 배출되게 마련된 공기배출구(123)와, 챔버(120) 내로 스팀이 투입되게 스팀투입구(125)가 마련된다.
행어(140)는 의류를 건 옷걸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행어 바를 포함한다.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행어 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챔버(120) 하측으로부터 상승하는 공기 또는 스팀이 의류에 고르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행어(140)는 챔버(120) 상측에 행어 바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 및 회전구조를 더 가질 수 있다.
기계실(150)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한다. 스팀공급부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며, 본 수조는 기계실(150)의 전방을 통해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기계실(150)은 챔버(120)의 하측에 설치되는데, 이는 기계실(150)로부터 챔버(120)에 공급되는 공기 또는 스팀이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 챔버(120) 하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또는 스팀은 상승하여 챔버(120) 상측에 거치된 의류에 접촉하고, 의류에 접촉된 공기는 하강한다.
기계실(150)로부터 공기투입구(121)를 통해 챔버(120)로 투입되는 공기는 상승하여 의류에 접촉하며, 그 이후에 하강하여 공기배출구(123)를 통해 챔버(120)로부터 기계실(150)로 배출된다. 기계실(150)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공기투입구(121)로 배출됨으로써, 챔버(120) 및 기계실(150) 사이에서 계속 순환하며 의류의 상태를 조정한다. 이 때, 기계실(150)은 공기의 온도를 조정하는 한편 스팀을 선택적으로 생성함으로써, 챔버(120)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고, 이에 의하여 의류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60)는 사용자가 의류관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의류관리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공기조화유닛(170)은 소정의 공기조화기능을 가지고 챔버(120)의 공기 상태를 조정함으써, 결과적으로 챔버(120) 내의 의류의 상태를 조정한다. 즉, 공기조화유닛(170)이 조정 가능한 공기조화기능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예를 들면 탈취 기능, 살균 기능, 먼지제거 기능, 착향 기능 등이 있다. 공기조화유닛(170)은 챔버(120) 하측의 공기투입구(121) 및 공기배출구(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됨으로써, 챔버(120)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70)은 서로 상이한 공기조화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은, 공기조화기능이 활성화되는 노출상태 및 공기조화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차단상태 사이를 상호 전환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제1공기조화모듈이 노출상태인 동안, 제2공기조화모듈은 차단상태가 된다.
이로써, 공기조화유닛(170)의 공기조화기능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수명을 상대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유닛(17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공기조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유닛(200)은 제1공기조화기능을 가진 제1모듈(210)과, 제2공기조화기능을 가진 제2모듈(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공기조화기능 및 제2공기조화기능은 서로 상이한 공기조화기능이다. 제1모듈(210) 및 제2모듈(220)은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공기조화유닛(200) 또한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모듈(210) 및 제2모듈(220) 사이에 배치되며 제1모듈(210) 및 제2모듈(220)을 결합시켜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230)가 마련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공기조화유닛(200)의 구조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지지플레이트(230) 없이 제1모듈(210) 및 제2모듈(220)이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지지플레이트(230)는 제1모듈(210) 및 제2모듈(22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공기조화유닛(200)이 이동거리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유닛(200)의 이동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모듈(210)이 착향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모듈이고, 제2모듈(220)이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탈취 모듈인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제1모듈(210) 및 제2모듈(220)이 구현 가능한 다양한 예시 중 한 가지 경우에 불과하므로, 본 실시예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모듈(210)은 착향 기능을 수행하는 제1모듈본체(211)와, 제1모듈본체(211)의 주위를 지지하는 제1모듈프레임(213)을 포함한다. 제1모듈(210)은 지지플레이트(230)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공기조화유닛(200)에서 제1모듈(210)이 자유로이 교체될 수 있다.
제1모듈본체(211)는 공기가 적어도 X 방향, 즉 적어도 판면의 법선방향을 따라서 통과할 수 있게 마련된다. 제1모듈본체(211)는 챔버를 순환하는 공기에 소정의 향 분자를 방출하며, 최종적으로 향 분자가 의류에 접촉함으로써 의류에 대한 착향을 수행한다.
제2모듈(220)은,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제2모듈본체(221)와, 제2모듈본체(221)의 주위를 지지하는 제2모듈프레임(223)을 포함한다. 제2모듈(220)은 지지플레이트(230)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공기조화유닛(200)에서 제2모듈(220)이 자유로이 교체될 수 있다.
제2모듈본체(221)는 공기가 X 방향을 따라서 통과할 수 있게 마련된다. 제2모듈본체(221)는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기능을 위하여 제2모듈본체(221)는 활성탄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모듈본체(221)는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 분자가 흡착됨으로써, 챔버를 순환하는 공기의 악취를 줄일 수 있다.
공기조화유닛(200)은 챔버에 설치됨에 있어서, 소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또한, 공기조화유닛(200)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조화유닛(200)이 이동하는 조건은 여러 가지가 가능한데,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공기조화유닛(200)의 제1모듈(210) 및 제2모듈(220)이 각각 선택적으로 노출되고 또한 차단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서 공기조화유닛이 제1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유닛(310)은 제1모듈(311) 및 제2모듈(313)을 포함한다. 챔버(320)의 하측 판면 상에는 챔버(320)로 공기가 투입되는 공기투입구(321)와 챔버(320)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323)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공기투입구(321) 및 공기배출구(323) 사이에는 커버(330)가 배치된다. 챔버(320)의 하측 판면 및 커버(330) 사이에는 공기조화유닛(31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커버(330)는 공기조화유닛(31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시킨다. 제1모듈(311) 및 제2모듈(313) 중에서 커버(33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노출되는 쪽은 해당 모듈의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모듈(311) 및 제2모듈(313) 중에서 커버(330)에 의해 차단되는 쪽은 해당 모듈의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공기조화유닛(310)이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유닛(310)이 제1위치(P1)에 있을 때, 제1모듈(311)은 노출 상태가 되고 제2모듈(313)은 차단 상태가 된다.
공기조화유닛(310)이 제1위치(P1)에 있을 때, 제1모듈(311)은 공기투입구(321) 상에 배치되고, 제2모듈(313)은 커버(330)에 의해 차단된다. 이 때, 공기투입구(321)로부터 투입되는 공기는 제1모듈(311)을 통과하여 챔버(320)로 공급된다. 제1모듈(311)이 방향 모듈인 경우에, 공기는 제1모듈(311)로부터의 향 성분과 함께 의류에 공급됨으로써 의류를 착향시킨다.
한편, 제2모듈(313)이 커버(330)에 차단되는 위치에 있는 동안, 제2모듈(313)은 공기배출구(323)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제1모듈(311)이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 제2모듈(313)의 공기조화기능은 수행되지 않는다. 제2모듈(313)이 탈취 모듈인 경우에, 제2모듈(313)은 커버(330)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제1모듈(311)로부터의 향 성분은 제2모듈(313)에 흡착되지 않는다. 이는, 제1모듈(311)의 향 성분으로 인해 제2모듈(313)의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공기조화유닛(310)이 제2위치(P2)로 이동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서 공기조화유닛이 제2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유닛(410)은 제1모듈(411) 및 제2모듈(413)을 포함한다. 챔버(420)의 하측 판면 상에는 챔버(420)로 공기가 투입되는 공기투입구(421)와 챔버(420)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423)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공기투입구(421) 및 공기배출구(423) 사이에는 커버(430)가 배치된다.
공기조화유닛(410)이 제1위치(P1)로부터 제2위치(P2)로 이동하면, 제1모듈(411)은 차단 상태가 되고 제2모듈(413)은 노출 상태가 된다.
제1모듈(411)은 공기투입구(421) 상의 위치로부터 커버(430)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커버(430)에 의해 제1모듈(411)에 의한 착향 기능은 수행되지 않는다. 한편, 제2모듈(413)은 커버(430)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로부터, 공기배출구(423) 상의 위치로 이동한다. 제2모듈(413)을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 성분은 제2모듈(413)에 흡착됨으로써 공기에 대한 탈취가 수행된다. 이 때, 제1모듈(411)이 차단 상태에 있으므로, 제1모듈(411)의 향 성분이 제2모듈(413)에 흡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유닛(410)은 제1위치(P1)에 있을 때에 제1모듈(411)을 노출시키고 제2모듈(413)을 차단시키며, 제2위치(P2)에 있을 때에 제1모듈(411)을 차단시키고 제2모듈(413)을 노출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모듈(411) 및 제2모듈(413)이 모두 노출되는 것이 아닌, 어느 하나가 노출된 동안에는 다른 하나가 차단되도록 마련된다. 이로써, 제1모듈(411)의 공기조화기능 및 제2모듈(413)의 공기조화기능이 서로 상쇄됨으로써 공기조화의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모듈(411) 또는 제2모듈(413)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조화유닛(410)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입력 없이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공기조화유닛(410)이 이동하기 위한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서 공기조화유닛이 이동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유닛(510)은 제1모듈(511) 및 제2모듈(513)을 포함한다. 공기조화유닛(510)은 다양한 이동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바, 이하 설명하는 이동 구조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 방식을 한 가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공기조화유닛(510)의 이동 구조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유닛(510)의 하판면에 결합되며 공기조화유닛(510)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랙(rack)(520)과, 랙(520)에 맞물리는 피니언(pinion)(530)과, 피니언(530)을 정역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54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유닛(510)에서 랙(520)이 결합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제1모듈(511) 또는 제2모듈(513)의 하판면일 수 있다. 다만, 제1모듈(511) 및 제2모듈(513)이 교체 가능한 경우라면, 랙(520)은 제1모듈(511) 및 제2모듈(513)이 착탈되는 지지플레이트(515)의 하판면에 결합되는 것이 구조 상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랙(520) 및 피니언(530)의 쌍이 마련되는 것으로 나타내지만, 복수의 랙(520) 및 피니언(530)의 쌍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랙(520) 및 피니언(530)의 쌍이 마련되는 경우에, 각 쌍 사이에는 모터(54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링크가 설치될 수도 있다.
피니언(530)은 모터(540)의 회전축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고, 또는 모터(540)의 회전축 및 피니언(530) 사이에 기어, 회전축 등의 다양한 링크 구조가 개재될 수도 있다. 모터(540)는 제어부(55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구동함으로써, 피니언(530)을 회전시킨다. 피니언(53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랙(520)은 소정의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피니언(53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랙(520)은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한다.
제어부(550)는 칩셋, CPU, SoC(System on Chip), 마이크로 컨트롤러, 프로세서, 메모리, 버퍼 등을 포함하는 제어회로로 구현된다. 제어부(550)는 기 설정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모터(540)에 전송한다. 제어신호는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일 수 있고, 하이(high) 또는 로우(low)로 구별되는 전기신호일 수도 있는 바, 그 방식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550)가 감지하는 이벤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된다. 제어부(550)는 챔버 내의 다양한 공기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560)로부터 소정의 감지 결과가 수신되거나, 사용자입력부(57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타이머(580)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카운트되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어떠한 상태를 감지하도록 마련된 센서(560)인가에 따라서, 제어부(550)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공기조화유닛(510)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공기조화유닛(510)이 이동함으로써, 제1모듈(511) 및 제2모듈(513)의 상태가 변화하는 방법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공기조화유닛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과정이 의류관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된다.
61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사용자의 동작 지시에 응답하여 센서를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면, 의류관리장치는 챔버 내에 의류가 없는 동안에는 센서를 비활성화시키지만, 사용자가 챔버 내에 의류를 넣고 소정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면 센서를 활성화시켜 냄새 성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특정한 동작 지시 없이도 센서가 동작할 수 있다.
62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센서에 의해 냄새 성분의 농도를 모니터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가 냄새 성분을 감지하는 구성이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냄새 이외에도 다양한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63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감지된 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64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탈취 모듈이 노출되고 방향 모듈이 차단되도록 한다.
반면, 감지된 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65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탈취 모듈이 차단되고 방향 모듈이 노출되도록 한다.
66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농도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센서는 소정 시간 단위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감지 동작을 수행하므로, 의류관리장치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농도의 실질적인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감지되는 농도에 변화가 없다고 판단하면, 의류관리장치는 현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감지되는 농도에 변화가 있다고 판단하면, 의류관리장치는 630 단계로 이행한다.
이로써, 의류관리장치는 챔버의 공기 상태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제1모듈 및 제2모듈 각각의 노출 또는 차단 상태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가 타이머의 시간계측결과에 따라서 공기조화유닛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과정이 의류관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된다.
71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시스템 전원의 턴온을 감지한다.
72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시스템 전원의 턴온을 감지한 시점부터 타이머의 의한 시간 경과를 카운트한다.
73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시스템 전원의 턴온 시점 이후 제1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아직 제1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의류관리장치는 시간 경과에 관한 모니터링을 계속한다.
시스템 전원의 턴온 시점 이후 제1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74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탈취 모듈이 노출되고 방향 모듈이 차단되도록 한다.
75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시스템 전원의 턴온 시점 이후 제2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아직 제2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의류관리장치는 시간 경과에 관한 모니터링을 계속한다. 여기서, 제2시간은 제1시간보다 길다.
시스템 전원의 턴온 시점 이후 제2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76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탈취 모듈이 차단되고 방향 모듈이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한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의 시나리오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의류를 챔버에 넣고 시스템 전원을 켜면, 의류관리장치는 먼저 스팀을 생성함으로써 의류의 함수량을 높인다. 시스템 전원의 턴온 시점부터 제1시간이 경과하면 의류관리장치는 스팀 생성을 정지한다. 의류관리장치는 스팀에 의한 처리 동작이 완료되면, 탈취 모듈을 노출시킴으로써 의류의 탈취를 수행한다. 이후, 시스템 전원의 턴온 시점부터 제2시간이 경과하면, 의류관리장치는 탈취 모듈을 차단하고 대신 방향 모듈을 노출시킴으로써 의류에 착향을 수행한다.
이로써, 의류관리장치는 타이머의 시간 계측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제1모듈 및 제2모듈 각각의 노출 또는 차단 상태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유닛이 제1모듈 및 제2모듈을 포함하고, 제1모듈 및 제2모듈 중 어느 하나가 노출되면 다른 하나는 반드시 차단되는 형태의 구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되는 형태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의류관리장치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모듈이 노출되고 제2모듈이 차단되는 상태, 제1모듈이 차단되고 제2모듈이 노출되는 상태, 제1모듈 및 제2모듈이 모두 차단되는 상태의 세 가지 상태의 전환이 가능한 구조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공기조화유닛의 세 가지 상태에서 각 모듈의 노출 및 차단 모습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유닛(810)은 제1모듈(811)과 제2모듈(813)을 포함한다. 공기조화유닛(810)은 제1위치(P1),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적어도 일 영역이 커버(820)에 의해 차단된다.
공기조화유닛(810)이 제1위치(P1)에 있을 때, 제1모듈(811)이 노출되고 제2모듈(813)이 커버(820)에 의해 차단된다. 이 때, 제1모듈(811)에 의한 공기조화기능이 수행되고, 제2모듈(813)에 의한 공기조화기능이 수행되지 않는다. 제1모듈(811)이 탈취 모듈이고 제2모듈(813)이 방향 모듈인 경우, 공기조화유닛(810)이 제1위치(P1)에 있는 동안에는 탈취 기능만이 수행된다.
공기조화유닛(810)이 제2위치(P2)에 있을 때, 제1모듈(811)이 커버(820)에 의해 차단되고 제2모듈(813)이 노출된다. 이 때, 제1모듈(811)에 의한 공기조화기능이 수행되지 않고, 제2모듈(813)에 의한 공기조화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유닛(810)이 제2위치(P2)에 있는 동안에는 착향 기능만이 수행된다.
한편, 공기조화유닛(810)이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 사이의 제3위치(P3)에 있을 때, 제1모듈(811) 및 제2모듈(813)은 모두 커버(820)에 의해 차단된다. 제1모듈(811) 및 제2모듈(813)이 모두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1모듈(811) 또는 제2모듈(813)에 의한 어떠한 공기조화기능도 수행되지 않는다.
이하, 제1모듈(811) 및 제2모듈(813)이 모두 커버(820)에 의해 차단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는 일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의류관리장치는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챔버에 스팀을 투입하여 의류의 함수량을 높인다. 그런데, 스팀이 생성되는 동안에 제1모듈(811) 또는 제2모듈(813)이 노출되어 있으면, 스팀에 의한 습기가 노출된 제1모듈(811) 또는 제2모듈(813)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모듈(811) 또는 제2모듈(813)이 습기에 의해 공기조화기능이 떨어지거나 또는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즉, 의류관리장치는 스팀 공정과 같이 기 설정된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제1모듈(811) 및 제2모듈(813) 모두가 커버(820)에 의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제1모듈(811) 또는 제2모듈(813)의 성능 및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의 의류관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이하 과정이 실행된다.
91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스팀 공정을 개시하는 이벤트를 수신한다.
92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본 이벤트에 응답하여, 탈취 모듈 및 방향 모듈을 모두 차단시킨다.
93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스팀 공정을 실행한다.
94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스팀 공정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팀 공정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의류관리장치는 스팀 공정의 종료 여부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스팀 공정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95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탈취 모듈을 노출시키고 방향 모듈을 차단시킨다.
96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챔버의 냄새 농도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챔버의 냄새 농도가 임계치보다 작지 않다면, 의류관리장치는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챔버의 냄새 농도가 임계치보다 작다면, 97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는 탈취 모듈을 차단시키고 방향 모듈을 노출시킨다.
이로써, 의류관리장치는 공정 및 상태에 대응하여 모듈의 노출 및 차단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커버가 고정된 상태에서 모듈이 이동함으로써 모듈이 선택적으로 노출 또는 차단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되는 형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이하 앞선 실시예와 상이한 구조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제1모듈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000)은 그 판단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마련되며 소정의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는 제1모듈본체(1010)와, 제1모듈본체(1010)의 판면을 선택적으로 커버 가능하도록 제1모듈본체(10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모듈커버(1020)를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의 공기조화유닛에서 제1모듈 및 제2모듈이 상호 결합되는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모듈(1000) 및 제2모듈이 각기 분리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모듈의 구조는 제1모듈(1000)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모듈본체(1010)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가장 면적이 넓은 두 개의 판면 상에 제1모듈커버(1020)가 배치된다. 제1모듈본체(1010)는 소정의 제1공기조화기능, 예를 들면 탈취 기능을 수행한다. 제1모듈커버(1020)가 제1모듈본체(1010)의 판면을 개방하는 동안, 공기는 개방된 일 판면을 통해 제1모듈본체(1010)에 들어가며, 개방된 반대 판면을 통해 제1모듈본체(1010)로부터 나온다. 제1모듈본체(1010)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는 제1모듈본체(1010)에 의해 탈취가 수행된다.
한 쌍의 제1모듈커버(1020)는 제1모듈본체(1010)의 여러 판면 중에서, 가장 면적이 크고 상호 배향된 두 판면을 각기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제1모듈커버(1020)는 제1모듈본체(1010)의 판면을 커버하는 폐쇄위치와 제1모듈본체의 판면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좌측 모습은 제1모듈커버(1020)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이며, 우측 모습은 제1모듈커버(102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제1모듈커버(1020)가 제1모듈본체(1010)에 결합되는 구조 및 제1모듈커버(1020)를 회동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모듈커버(1020)가 힌지 구조에 의해 제1모듈본체(1010)에 결합된다. 또한, 의류관리장치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이 제1모듈커버(1020)에 전달됨으로써 제1모듈커버(1020)가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어느 한 제1모듈커버(1020)가 제1모듈본체(1010)의 상측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면, 다른 한 제1모듈커버(1020)는 제1모듈본체(1010)의 하측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두 제1모듈커버(102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측면에서 본 제1모듈본체(1010)의 모습은 "N"자 형태를 가지는데, 이는 도면 하측으로부터 이동하는 공기가 제1모듈본체(1010)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만일, 두 제1모듈커버(1020)가 모두 제1모듈본체(1010)의 상측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면, 도면 하측으로부터 이동하는 공기는 도면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1모듈커버(1020)로 인해 다시 도면 하측으로 이동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제1모듈커버(1020)가 폐쇄위치에 있는 동안, 제1모듈본체(1010)의 판면은 제1모듈커버(102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도면 하측으로부터 이동하는 공기는 제1모듈본체(1010)로 들어가지 못하고, 제1모듈커버(1020)를 지나서 도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모듈본체(1010)에서 공기가 들어오도록 마련된 판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제1모듈커버(1020)가 설치되고, 제1모듈커버(1020)가 설치된 해당 판면이 공기의 진행방향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면, 제1모듈커버(1020)의 상태 여부에 따라서 공기가 제1모듈본체(1010)를 통과하거나 또는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조의 제1모듈(1000) 및 제2모듈이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모습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서 제1모듈 및 제2모듈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장치(1100)의 챔버(1110) 하측에, 챔버(1110)에 공기를 공급하고 또한 챔버(1110)로부터의 공기가 배출되는 기계실(1120)이 배치된다. 기계실(1120) 내의 유로(1121)는 챔버(1110) 하측면의 공기투입구 및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며, 이에 의하여 공기가 챔버(1110) 및 기계실(1120)을 순환한다. 공기투입구 및 공기배출구의 위치 및 기능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다.
의류관리장치(1100)는 유로(1121) 상의 제1위치에 설치된 제1모듈(1130)과, 제1모듈(1130)과 분리되어 유로(1121) 상의 제2위치에 설치된 제2모듈(11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위치가 공기투입구이고 제2위치가 공기배출구인 것으로 나타내지만, 제1위치 및 제2위치는 유로(1121) 상의 모든 위치가 가능하다.
제1모듈(1130)은 제1모듈본체(1131)와, 제1모듈본체(1131)의 판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설치된 제1모듈커버(1133)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모듈(1140)은 제2모듈본체(1141)와, 제2모듈본체(1141)의 판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설치된 제2모듈커버(1143)를 포함한다. 제1모듈(1130) 및 제2모듈(1140)에 관한 구조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다.
본 도면에서, 제1모듈(1130)은 제1모듈커버(1133)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즉, 제1모듈커버(1133)는 챔버(1110)로부터 유로(1121)로 이동하는 공기를 제1모듈본체(1131)로 안내하도록 회동한 상태이다. 공기는 제1모듈커버(1133)에 안내되어 제1모듈본체(1131)를 통과한 이후, 유로(1121)를 통해 이동한다.
반면, 제2모듈(1140)은 제2모듈커버(1143)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제2모듈커버(1143)는 유로(1121)를 간섭하지 않으므로, 유로(1121)를 이동하는 공기는 제2모듈(1140)을 지나서 챔버(1110)로 배출된다. 제2모듈커버(1143)가 제2모듈본체(114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공기는 제2모듈본체(1141)로 들어가지 않는다.
이로써, 의류관리장치(1100)는 제1모듈(1130)이 제1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제2모듈(1140)이 제2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모듈커버(1133)가 폐쇄위치에 있고 제2모듈커버(1143)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이 경우에, 제1모듈(1130)이 제1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 제2모듈(1140)이 제2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1모듈커버(1133) 및 제2모듈커버(1143)가 모두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1공기조화기능 및 제2공기조화기능이 모두 수행되지 않으므로, 의류관리장치(1100)는 스팀 공정과 같은 특수한 공정 시에 이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유닛을 의류관리장치(1100)의 유로 등에 설치하였는데, 챔버의 의류를 거치시키기 위한 옷걸이에 공기조화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의류에 대한 공기조화기능을 배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걸이(1200)는 의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의류관리장치의 챔버 상측의 행어에 걸리도록 마련된다. 옷걸이(120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옷걸이본체(1210)와, 옷걸이본체(1210) 내부의 유로에 배치된 회전축(1220)과, 회전축(1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공기조화유닛(1230)을 포함한다.
옷걸이본체(1210)는 상측 및 하측이 내부 유로와 연통되어 있다. 챔버 하측으로부터 올라오는 공기는 옷걸이본체(1210)의 상측으로부터 옷걸이본체(1210)의 내부 유로로 이동하며, 옷걸이본체(1210)의 하측에서 챔버 하측으로 내려간다.
공기조화유닛(1230)은 옷걸이본체(1210)의 내부 유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공기조화유닛(1230)은 제1모듈(1231)과, 제1모듈(1231)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배치된 제2모듈(1233)을 포함한다. 공기조화유닛(1230)은 회전축(1220)을 중심으로, 제1모듈(1231)의 판면이 유로와 직교하게 배치되고 제2모듈(1233)의 판면이 유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위치와, 제1모듈(1231)의 판면이 유로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모듈(1233)의 판면이 유로와 직교하게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유닛(1230)의 회전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옷걸이본체(1210)에 설치되는 다양한 구조의 구동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공기조화유닛(1230)이 제1위치에 있는 동안, 유로를 이동하는 공기는 제1모듈(1231)을 통과하는 반면 제2모듈(1233)을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않으므로, 제1모듈(1231)에 의한 제1공기조화기능이 수행된다. 한편, 공기조화유닛(1230)이 제2위치에 있는 동안, 유로를 이동하는 공기는 제1모듈(1231)을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않는 반면 제2모듈(1233)을 통과하므로, 제2모듈(1233)에 의한 제2공기조화기능이 수행된다.
이로써, 옷걸이(1200)에 거치된 의류에 대한 공기조화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공기조화유닛은 기계실의 유로 상에 설치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반드시 유로 상에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공기조화유닛이 기계실의 유로 상이 아닌 챔버의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장치(1300)는 챔버(1310)와, 챔버(1310)의 벽면에 설치된 공기조화유닛(1320)을 포함한다. 공기조화유닛(1320)은 제1모듈(1321)과, 제1모듈(1321)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모듈(1323)과, 제1모듈(1321) 및 제2모듈(13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이동하게 마련된 커버(1330)를 포함한다.
커버(1330)는 챔버(1310)의 벽면 상에, 소정 구간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커버(1330)의 이동 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의류관리장치(1300)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1330)의 이동은 의류관리장치(1300)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커버(1330)는 제1모듈(1321)을 노출하고 제2모듈(1323)을 차단하는 제1위치(P1)와, 제1모듈(1321)을 차단하고 제2모듈(1323)을 노출하는 제2위치(P2)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로써, 커버(133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제1모듈(1321) 및 제2모듈(1323)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330)가 제1모듈(1321) 및 제2모듈(1323) 중 어느 하나만을 차단할 수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커버(1330)가 제1모듈(1321) 및 제2모듈(1323)을 모두 차단할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커버(1330)의 폭이 제1모듈(1321) 및 제2모듈(1323)를 모두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클 수 있다. 이 경우에, 커버(1330)는 제1모듈(1321)을 노출하고 제2모듈(1323)을 차단하는 제1위치와, 제1모듈(1321)을 차단하고 제2모듈(1323)을 노출하는 제2위치와, 제1모듈(1321) 및 제2모듈(1323)을 모두 차단하는 제3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공기조화유닛이 챔버의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유닛이 또 다른 구조를 가지는 경우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유닛(1410)은 제1모듈(1411)과, 제1모듈(1411)에 직교하는 제2모듈(1413)을 포함한다. 공기조화유닛(1410)은 챔버에 지지되는 회전축(14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1420)을 중심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1410)의 회전은 의류관리장치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수행되며, 모터의 구동은 의류관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된다. 또는, 공기조화유닛(1410)은 별도의 회전 구조 없이, 사용자가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공기조화유닛(1410)은, 제1모듈(1411)의 판면이 공기의 이동방향에 직교하고 제2모듈(1413)의 판면이 공기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제1위치와, 제1모듈(1411)의 판면이 공기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고 제2모듈(1413)의 판면이 공기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제2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공기조화유닛(1410)이 챔버의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하측으로 이동한다. 즉, 공기의 이동방향은 상향 및 하향 중 어느 하나이다.
공기조화유닛(1410)이 제1위치에 있을 때, 공기는 제1모듈(1411)의 판면을 통과함으로써 제1공기조화기능이 수행된다. 반면, 공기조화유닛(1410)이 제2위치에 있을 때, 공기는 제2모듈(1413)의 판면을 통과함으로써 제2공기조화기능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공기조화유닛(1410)을 제1위치 및 제2위치 중 어느 하나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공기조화기능 및 제2공기조화기능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공기조화유닛이 의류관리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영된 공기조화유닛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는 의류관리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공기조화유닛이 적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세탁기 또는 건조기는 의류를 깨끗하게 하는 기능도 있지만, 동시에 의류의 탈취 기능도 중요하다. 또한, 소비자는 원하는 향을 의류에 착향시키기 위해서 섬유유연제 등을 사용하여, 세탁기 등에서 인위적으로 착향이 수행되기도 한다. 따라서, 세탁기 또는 건조기는 동작 초기 단계에서 의류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공정이 진행되고, 이후 착향 공정으로 진행됨으로써 탈취 공정에서 완전히 빠지지 않은 악취를 중화시킬 수 있다.
냉장고는 그 내부에 수용하는 각종 음식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탈취 필터가 장착된다. 그러나, 냄새 가스 농도가 매우 낮은 수 ppb(part per billion) 단위에서 사람의 후각은 냄새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탈취 필터에 의해 음식 냄새의 가스 성분이 일정량 이상 제거되더라도 냉장고에서 완전히 냄새를 제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냄새 가스 농도가 기 설정 레벨 이하로 내려갔을 때, 냉장고는 탈취 공정으로부터 착향 공정으로 전환한다. 이로써, 냉장고는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오븐 등의 조리기기는 냉장고와 유사하게 음식을 수용하지만, 조리 공정으로 인해 보다 강한 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기 또는 생선을 굽는 냄새, 스튜를 끓이는 냄새 등은 상대적으로 냄새의 강도가 높다. 따라서, 이러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탈취 성능을 필요로 하는데, 단지 탈취 기능만으로는 단시간 내에 이러한 효과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오븐에서는 탈취 공정 및 착향 공정이 전환되면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오븐은 초기의 강한 냄새는 탈취를 수행하고, 그 이후에 착향을 수행하며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냄새를 중화시키며, 다시 탈취를 수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 또한 기본적으로 탈취 기능과 같은 공기조화기능을 필요로 한다. 주변 공간의 냄새 농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 탈취 기능만으로는 탈취 효율이 높지 않으며 또한 탈취 필터의 수명도 짧아진다. 또한 탈취 필터에 악취 가스 성분이 과도하게 흡착되면, 이것이 새로운 악취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에 탈취 공정 및 착향 공정이 전환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악취를 제거하고 탈취 필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100 : 의류관리장치
110 : 하우징
120 : 챔버
121 : 공기투입구
123 : 공기배출구
150 : 기계실
170 : 공기조화유닛

Claims (14)

  1. 의류관리장치에 있어서,
    의류를 수용 가능한 수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공기조화기능을 가진 복수의 공기조화모듈과;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상에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을 이동시키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이,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활성화되는 노출상태와, 상기 커버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차단상태 사이를 상호 전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제1공기조화모듈이 상기 노출상태인 동안에 제2공기조화모듈은 상기 차단상태가 되는 의류관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에 공기가 투입 또는 배출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은 상기 노출상태 시에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된 의류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 내의 냄새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냄새 농도가 임계치를 넘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차단상태가 되도록 하는 의류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시간 경과를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만큼 카운트되었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차단상태가 되도록 하는 의류관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이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공기조화모듈이 상기 노출상태이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2공기조화모듈이 상기 노출상태이며, 상기 제3위치에서 상기 제1공기조화모듈 및 상기 제2공기조화모듈 모두가 상기 차단상태인 의류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공기조화모듈은,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본체와;
    상기 모듈본체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모듈본체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모듈본체에 결합되는 모듈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상태 시 상기 모듈커버를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차단상태 시 상기 모듈커버를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의류관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모듈은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로를 간섭하여 공기가 상기 모듈본체를 통과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 공기가 상기 유로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상기 유로의 간섭을 해제하는 의류관리장치.
  9. 의류관리장치에 있어서,
    의류를 수용 가능한 수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공기조화기능을 가진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은,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활성화되는 노출상태와,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차단상태 사이를 상호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제1공기조화모듈이 상기 노출상태인 동안에 제2공기조화모듈은 상기 차단상태가 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납공간에 공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은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탈취모듈 및 착향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탈취모듈은 상기 노출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배출구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방향모듈은 상기 노출상태에 있을 때 상기 투입구 상에 배치되게 마련된 의류관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상에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이, 상기 노출상태 및 상기 커버에 의한 상기 차단상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이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어느 하나가 공기의 진행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2. 삭제
  13. 의류관리장치에 있어서,
    의류를 수용 가능한 수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공기조화기능을 가진 복수의 공기조화모듈과;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은,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활성화되는 노출상태와,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차단상태 사이를 상호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은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탈취모듈 및 착향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탈취모듈 및 상기 방향모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노출상태인 동안에 상기 탈취모듈 및 상기 방향모듈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차단상태가 되고,
    상기 수납공간 내의 냄새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수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상기 냄새 농도가 임계치를 넘으면 상기 탈취모듈을 상기 노출상태로 하고 상기 방향모듈은 상기 차단상태로 하며, 상기 스팀공급부에 의해 스팀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탈취모듈 및 상기 방향모듈을 모두 상기 차단상태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4.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 유로 상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공기조화기능을 가진 복수의 공기조화모듈과,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상에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을 이동시키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각각이,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활성화되는 노출상태와, 상기 커버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차단상태 사이를 상호 전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모듈 중 제1공기조화모듈이 상기 노출상태인 동안에 제2공기조화모듈은 상기 차단상태가 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80008254A 2018-01-23 2018-01-23 의류관리장치 KR10249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54A KR102494999B1 (ko) 2018-01-23 2018-01-23 의류관리장치
US16/963,913 US20210040675A1 (en) 2018-01-23 2019-01-21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PCT/KR2019/000818 WO2019146971A1 (ko) 2018-01-23 2019-01-21 의류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54A KR102494999B1 (ko) 2018-01-23 2018-01-23 의류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63A KR20190089563A (ko) 2019-07-31
KR102494999B1 true KR102494999B1 (ko) 2023-02-02

Family

ID=6739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254A KR102494999B1 (ko) 2018-01-23 2018-01-23 의류관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40675A1 (ko)
KR (1) KR102494999B1 (ko)
WO (1) WO2019146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710551S (ja) * 2019-12-04 2022-03-24 ビルトイン衣服ケア機を組み込んだ室内壁
JP1710549S (ja) * 2019-12-04 2022-03-24 ビルトイン衣服ケア機と一体化した室内壁
KR20210077501A (ko) * 2019-12-17 2021-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5264789A (zh) * 2022-06-16 2022-11-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空调器的方法及装置、空调器、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270A (en) * 1987-09-21 1990-07-17 501 Geonate Holdings Inc. Ozone dryer
US5369892A (en) * 1993-06-04 1994-12-06 Dhaemers; Gregory L. Armoire
KR960013403U (ko) * 1994-10-18 1996-05-17 장운용 방향제 및 탈취제 발산기
KR960013403A (ko) * 1994-10-21 1996-05-22 왕희천 골프클럽
JP3517500B2 (ja) * 1995-11-10 2004-04-12 花王株式会社 解重合天然ゴムの製造方法
KR970027111U (ko) * 1997-04-10 1997-07-24 장운용 방향제 및 탈취제 발산기
DE10302866B4 (de) * 2003-01-25 2010-08-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äschetrockner mit einer Einrichtung zum Einsprühen von Zusätzen und Verfahren hierfür
KR101022217B1 (ko) * 2004-05-27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수단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65605B1 (ko) * 2006-07-04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314599B1 (ko) * 2006-09-05 2013-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장치
US8484861B2 (en) * 2007-08-03 2013-07-16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351045B1 (ko) * 2007-08-06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090017826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의류처리시스템
KR100886390B1 (ko) * 2007-09-05 2009-03-02 이철원 살균 및 탈취장치
KR101467773B1 (ko) * 2008-04-0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502005B1 (ko) * 2008-08-06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KR101113881B1 (ko) * 2009-02-19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598785B1 (ko) * 2009-10-21 201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KR20110068765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015240A (ko) * 2011-08-02 2013-02-13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류 관리기
KR101848659B1 (ko) * 2011-08-22 2018-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72951Y1 (ko) * 2013-01-04 2014-05-30 주식회사 파세코 의류 관리기의 향 발산 조절장치
KR101597111B1 (ko) * 2014-12-19 201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향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DE102015208378A1 (de) * 2015-05-06 2016-11-10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m Radiallüfter
JP6460915B2 (ja) * 2015-05-27 2019-01-30 アクア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KR20180097326A (ko) * 2017-02-23 2018-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8208129A1 (ko) * 2017-05-11 2018-11-15 코웨이 주식회사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순환 시스템
KR101999533B1 (ko) * 2017-12-08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369591B1 (ko) * 2017-12-08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16093A (ko) *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725333B2 (en) * 2018-07-03 2023-08-15 Coway Co., Ltd.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for preventing water from condensing on inner side of door and method for drying inner side of door using same
AU2019336879B2 (en) * 2018-09-06 2023-01-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40675A1 (en) 2021-02-11
WO2019146971A1 (ko) 2019-08-01
KR20190089563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999B1 (ko) 의류관리장치
RU2590833C1 (ru)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JP4711839B2 (ja) 洗濯機
KR200340512Y1 (ko) 저장고 및 냉장고
EP3191639B1 (en) A garment care device for drying and sanitizing garments
EP3034678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scent diffuser
RU2404308C1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RU26043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оснащенное тепловым насосом
US7171761B1 (en) Large plush towel warmer and dehumidifier
TW200302893A (en) Washer-dryer
JP6980394B2 (ja) 消毒保管庫の運転方法
CN110735300A (zh) 一种衣类异味处理方法及衣类处理装置
JP2007205712A (ja) 貯蔵庫
JP4289459B2 (ja) 衣類乾燥機
JP3689759B2 (ja) 冷蔵庫
JP2018134156A (ja) 消毒保管庫
KR20010036313A (ko) 의류 청결 보관장치
KR101113881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5092133A (ja) 貯蔵庫及び冷蔵庫
JP2010284558A (ja) 洗濯機
KR102249080B1 (ko) 현열 교환형 급속건조 의류관리 장치
KR20100102302A (ko) 냉장고의 야채실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30064427A (ko) 자동 감지 기능을 갖는 열풍식 건조장치
WO2023020267A1 (zh) 双筒衣物处理设备
KR200357805Y1 (ko) 건조탈취기능을 갖는 옷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