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398B1 -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398B1
KR102494398B1 KR1020220058969A KR20220058969A KR102494398B1 KR 102494398 B1 KR102494398 B1 KR 102494398B1 KR 1020220058969 A KR1020220058969 A KR 1020220058969A KR 20220058969 A KR20220058969 A KR 20220058969A KR 102494398 B1 KR102494398 B1 KR 10249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late
buffer
rot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윤
Original Assignee
(주)알엠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엠에이 filed Critical (주)알엠에이
Priority to KR102022005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에 배터리부재가 장착된 철채의 설치프레임를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차의 하측에 설치되는 알루미늄 차체프레임; 사각 평판 형상의 철재의 설치프레임의 상측에 다수 개의 배터리부재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에 형성되는 배터리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배터리유닛; 한 쌍의 관통공이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하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장착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하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장착플레이트;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안착되되,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통공이 형성된 철재의 고정연결편; 상기 고정연결편을 감싼 상태로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고정연결편을 고정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구; 및 내부가 상기 연통공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연결편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너트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Battery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프레임에 배터리부재가 장착된 철채의 설치프레임를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량은 화석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차량이다. 최근 배터리가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전기차량의 배터리용량 및 운용효율이 크게 증가하면서 다양한 목적으로 전기차량을 실용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전기차(electronic vehicles)는 오로지 전기만을 동력원으로 하여 움직이는 친환경 자동차로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나 소음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전기차는 가솔린 자동차보다 먼저 개발되어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용화되지 못하던 것이 최근 환경오염문제와 자원부족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면서 각국의 자동차업체들의 개발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전기차는 전기만을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친환경 자동차이기 때문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지, 특히 이차전지가 요구된다.이때, 전기차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고출력의 대용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수의 소형 이차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배터리팩으로 구성되며, 차체 하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배터리팩을 장착시 철재의 프레임에 다수의 이차전지를 연결하여, 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차체프레임이 이종재질 즉 차량의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철재프레임을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에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41494호(2019.11.07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2313082호(2021.10.18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체프레임에 배터리부재가 장착된 철채의 설치프레임를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는, 전기차의 하측에 설치되는 알루미늄 차체프레임; 사각 평판 형상의 철재의 설치프레임의 상측에 다수 개의 배터리부재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에 형성되는 배터리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배터리유닛; 한 쌍의 관통공이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하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장착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하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장착플레이트;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안착되되,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통공이 형성된 철재의 고정연결편; 상기 고정연결편을 감싼 상태로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고정연결편을 고정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구; 및 내부가 상기 연통공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연결편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너트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연결편은, 중단이 "
Figure 112022051016168-pat00001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차체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는, 상기 고정연결편의 절곡 부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연결편의 절곡 부위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연결편의 절곡 부위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주는 진동 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감쇄부는, 상기 고정연결편의 절곡 부위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형 지지 실린더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 상기 경사형 지지 실린더와 상기 유체 탱크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를 전달하거나 공급받기 위한 유체 전달관; 상기 유체 탱크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으로 구분하면서 상기 유체 탱크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격벽; 및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작업공정의 간략화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이종소재간 결합을 용이하게 이뤄 자동차 산업 등에서 산업용 부품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차체 경량화를 구현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2의 진동 감쇄부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진동 감쇄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10)는, 알루미늄 차체프레임(100), 배터리유닛(150), 장착플레이트(200), 고정연결편(250), 고정구(300) 및 고정너트구(350)를 포함한다.
알루미늄 차체프레임(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전기차의 하측에 설치된다.
배터리유닛(150)은, 사각 평판 형상의 철재의 설치프레임(151)의 상측에 다수 개의 배터리부재(152)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배터리 안착공간(101)에 안착된 뒤 고정볼트구(153)에 의해 알루미늄 차체프레임(100)에 체결된다.
장착플레이트(200)는, 한 쌍의 관통공(201)이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100)의 하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장착공(102)을 폐쇄하도록 알루미늄 차체프레임(100)의 하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며, 상측에 고정연결편(250), 고정구(300) 및 고정너트구(35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고정연결편(250)은, 알루미늄 차체프레임(1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장착플레이트(200)의 상측면에 안착되되, 관통공(201)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통공(251)이 형성된 철재로 제작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연결편(250)은, 중단(252)이 "
Figure 112022051016168-pat00002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102)을 통해 노출되는 차체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구(300)는, 고정연결편(250)을 감싼 상태로 장착플레이트(200)에 용접 결합되어 고정연결편(250)을 고정하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고정너트구(350)는, 내부가 연통공(251)과 연통된 상태로 고정연결편(250)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설치프레임(15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구(153)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10)는, 진동 감쇄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쇄부(500)는, 고정연결편(250)의 절곡 부위(2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대향하는 장착플레이트(20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고정연결편(250)의 절곡 부위(252)를 지지하는 동시에 고정연결편(250)의 절곡 부위(252)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줌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운행 중에 발생되는 각종 진동에 의해 각 구성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감쇄부(50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철과 같은 탄성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10)는, 작업공정의 간략화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이종소재간 결합을 용이하게 이뤄 자동차 산업 등에서 산업용 부품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차체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10)는, 전기자동차의 운행 중에 발생되는 각종 진동에 의해 각 구성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진동 감쇄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쇄부(60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 하부 지지 블록(630),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 및 플레이트 지지부(65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 지지부(65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고정연결편(250)의 절곡 부위(252)를 지지하며,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상측 테두리가 설치된다.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형상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장착플레이트(200)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측에 하부 지지 블록(630)이 설치된다.
하부 지지 블록(6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하측 테두리가 설치되며, 상부에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된다.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원통 형상의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되기 위한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플레이트 지지부(650)로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중심 포스트(651),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를 포함한다.
중심 포스트(65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서로 120º의 등간격으로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설치된다.
이때, 중심 포스트(651)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는 고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의 상하 높이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완충 지지부(700-2)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 및 제2 완충 지지부(700-2)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즉,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1/3씩 분할하여 각자가 설치된 구역을 독립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수평하게 하강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만이 하강하는 경우에도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또는 제3 완충 지지부(700-3) 중 어느 하나의 완충 지지부가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쇄부(60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 또는 완충시켜 줌으로써, 안정적인 진동 감쇄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후술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완충 지지부(700-1)의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형 지지부(71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713)가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711)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712)에 의해 지지된다.
즉, 수직형 지지부(7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완충 스프링(712)의 내측을 통과하여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완충 스프링(712)은, 상부 거치대(711)를 지지함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에 의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상부 거치대(711)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예를 들어, 공기, 물 또는 오일 등)에 의해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상승시켜 주고, 유체가 유출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경사형 지지부(730)는, 상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동 지지 헤드(713)를 지지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하강하여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면서 회동 지지 헤드(713)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경사형 지지부(730)는, 제1 회동 프레임(731), 제2 회동 프레임(732),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제2 완충 스프링(735),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 및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를 포함한다.
제1 회동 프레임(731)은, 상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제2 회동 프레임(732)은,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어 상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는,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중단(H)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F3-1, F3-2, F3-3)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접철되면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일단이 다른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2 링크 프레임(F2)과 제1 링크 프레임(F1)의 각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H)의 일측 마다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고 삽입된다.
즉,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완충 스프링(735)은,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면서 설치된다.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는,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완충 스프링(735)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중간 지지 프레임(734)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을 통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삽입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유체 탱크(721)로 공급하고,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유체(L)가 공급되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배출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사형 지지부(730)는, 수직형 지지부(71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함에 따라 회동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수직형 지지부(710)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유체 탱크(721), 유체 전달관(722), 분리 격벽(723) 및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포함한다.
유체 탱크(721)는, 유체(L)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유체 전달관(722)은,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와 유체 탱크(721)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L)를 전달하거나 공급받는다.
분리 격벽(723)은, 유체 탱크(721)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N1)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N2)으로 구분하면서 유체 탱크(72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지지한다.
수직 완충 스프링(724)은, 분리 격벽(723)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평상시에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며,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하여 도 6의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간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로부터 유체(L)가 유체 탱크(721)로 공급되어 분리 격벽(723)을 상승시켜 줌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100: 알루미늄 차체프레임
150: 배터리유닛
200: 장착플레이트
250: 고정연결편
300: 고정구
350: 고정너트구

Claims (7)

  1. 전기차의 하측에 설치되는 알루미늄 차체프레임;
    사각 평판 형상의 철재의 설치프레임의 상측에 다수 개의 배터리부재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에 형성되는 배터리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배터리유닛;
    한 쌍의 관통공이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하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장착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하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장착플레이트;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안착되되,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통공이 형성된 철재의 고정연결편;
    상기 고정연결편을 감싼 상태로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고정연결편을 고정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구; 및
    내부가 상기 연통공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연결편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너트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연결편은,
    중단이 "
    Figure 112023000543641-pat00003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차체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고정연결편의 절곡 부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연결편의 절곡 부위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연결편의 절곡 부위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주는 진동 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감쇄부는,
    상기 고정연결편의 절곡 부위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하며,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KR1020220058969A 2022-05-13 2022-05-13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KR10249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969A KR102494398B1 (ko) 2022-05-13 2022-05-13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969A KR102494398B1 (ko) 2022-05-13 2022-05-13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398B1 true KR102494398B1 (ko) 2023-01-31

Family

ID=8510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969A KR102494398B1 (ko) 2022-05-13 2022-05-13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3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624A (ja) * 2001-06-08 2002-12-18 Fuji Heavy Ind Ltd アルミパネルの締結部位構造
KR102041494B1 (ko) 2019-01-22 2019-11-07 에스 티 (주)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버스바의 제조방법
KR102148494B1 (ko) * 2019-05-23 2020-08-28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
KR102313082B1 (ko) 2020-04-09 2021-10-1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624A (ja) * 2001-06-08 2002-12-18 Fuji Heavy Ind Ltd アルミパネルの締結部位構造
KR102041494B1 (ko) 2019-01-22 2019-11-07 에스 티 (주)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버스바의 제조방법
KR102148494B1 (ko) * 2019-05-23 2020-08-28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
KR102313082B1 (ko) 2020-04-09 2021-10-1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364556A (zh) 电动卡车
US4487285A (en) Engine suspension system
CN111043232A (zh) 一种移动机器人的云台减震机构
RU2041081C1 (ru) Подвеска установленного в поперечной плоскости автомобиля силового агрегата
KR102494398B1 (ko)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장치
JP2013187531A (ja) 太陽電池パネル支持装置及び太陽光発電装置
CN212046909U (zh) 燃料电池车用燃料电池减震安装托盘
CN210970703U (zh) 轨道列车专用直线电机吊座
KR0157196B1 (ko) 독립 휠서스펜션
CN216009492U (zh) 一种带非标扭力臂的减速机
CN114069133A (zh) 一种基于负泊松比的双重减震电动车电池
CN214295548U (zh) 一种立体燃料电池动力系统集成框架
CN108036018A (zh) 串联式六自由度空气悬挂隔振平台
CN214788773U (zh) 一种减震效果好的水泵站机组减震装置
CN210554547U (zh) 一种车载导航仪
CN216045207U (zh) 一种洗煤厂振动筛设备用减震装置
CN214689366U (zh) 高压元器件集成安装装置和电动工程机械
CN113027981B (zh) 缓冲减振装置和缓冲减振系统
CN214822596U (zh) 一种变速箱悬置装置
CN215622160U (zh) 一种方便电杆搬运固定的运输装置
CN215488015U (zh) 一种减振管托
CN114204744B (zh) 一种发电机抖动减震装置
CN217374791U (zh) 锂电车减震车架
CN216942963U (zh) 发动机控制器支架
CN215706900U (zh) 一种电动滑板车的后轮减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