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394B1 -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394B1
KR102494394B1 KR1020220080214A KR20220080214A KR102494394B1 KR 102494394 B1 KR102494394 B1 KR 102494394B1 KR 1020220080214 A KR1020220080214 A KR 1020220080214A KR 20220080214 A KR20220080214 A KR 20220080214A KR 102494394 B1 KR102494394 B1 KR 10249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ine
fermented
pine extract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숙
Original Assignee
태담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담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담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394B1/ko
Priority to US17/856,407 priority patent/US20240000698A1/en
Priority to CN202210823837.0A priority patent/CN117338650A/zh
Priority to KR1020230010617A priority patent/KR20240003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나무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가공하여 소나무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소나무 추출물을 발효하여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 FROM PINE FOR PREVENTING SKIN WRINKLE,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PREVENTING HAIR LOSS, PROMOTING HAIR GROWTH AND IMPROVING HAIR HEAL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피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해 피부가 탄력을 갖고 부드러워지는데, 각질층의 탄력이 유지되기 위해 10% 이상의 수분 함유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의 수화 작용은 표피에서 진피로의 삼투압에 의한 수분 이동과 증발 작용에 의한 표피의 수분 손실 평형에 의해서 결정된다. 표피의 보습 수준은 각질 세포간 지질, 각질층결합단백질(Corneodesmosom), 천연 보습 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에 크게 의존한다. 진피는 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로 이루어져 피부를 지지하므로, 진피에 문제 발생 시 주름이 생기고 피부 탄력이 없어져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 특히 콜라겐은 피부 재생, 피부 함수율, 상처 치유 및 주름 개선 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제1 형 콜라겐은 진피 내 결체 조직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탈모는 비정상적으로 머리털이 많이 빠지는 현상으로서 그 원인으로 유전, 영양 장애, 피지 분비 이상, 호르몬, 스트레스, 질병, 약물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유형에는 비반흔성 및 반흔성 탈모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03614호 (1996.02.23. 공개)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천연 물질인 소나무로부터 유래한 발효 추출물을 이용해 제1 형 콜라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을 방지하거나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고, 산염기 자극 완화 및 영양 공급을 원활히 하는 주요 요인을 개선시켜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미용, 식용 내지 의약용 등의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나무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가공하여 소나무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소나무 추출물을 발효하여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소나무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소나무를 건조 후 분쇄하여 분쇄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열수 추출 및 용매 추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분쇄물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소나무를 설정 크기로 절단하여 음건 후 분쇄할 수 있다.
소나무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추출물을 환류 추출하고 냉침 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나무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등액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및 농축액에 용매를 첨가하여 소나무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독성 제거를 위해 소나무 추출물을 멸균 처리하는 단계, 및 멸균 처리한 소나무 추출물을 효모로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효모는, 사카로마시세스 세레비지아, 탄닌가수분해효소, 락토바실러스 부치네리, 류코노스톡 메센토리우스, 및 비피도박테리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효모로 발효하는 단계는, 발효된 소나무 추출물을 설정 농도로 희석하고, 소나무 추출물을 멸균 처리하는 단계 및 효모로 발효하는 단계는, 설정 횟수에 따라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미용 용도를 위한 제형화, 또는 식용 내지 의약 용도를 위한 캡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에 효과가 있는 미용, 식용 내지 의약용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하 조성물)은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소나무는 해송을 포함할 수 있고, 해송은 줄기와 가지가 검은 빛을 띠는 소나무 속의 종으로 곰솔, 숫솔, 또는 완솔로 명명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추출물(이하 소나무 추출물)은 소나무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것과, 이를 이용해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것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소나무 추출물은 소나무의 껍질, 목질부, 가지, 열매 및 잎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소나무 추출물은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s)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알파-피넨(alpha-pinene), 베타-피넨(beta pinene), 베타-투옌(beta-thujene), 및 미르센(myrc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알파-피넨, 및 미르센은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알파-피넨, 베타-피넨, 베타-투옌, 및 미르센은 면역력 강화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소나무 추출물은 추출된 성분들에서 독성이 제거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성물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발효 추출물(이하 소나무 발효 추출물)은 전술한 소나무 추출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나무 발효 추출물은 소나무 추출물을 효모로 발효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조성물은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미발효 소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경우와 대비해 보다 우수한 약리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생리 활성 및 생체 흡수능을 가질 수 있다.
조성물은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산화 및 피부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표피의 각질층에 수분을 공급하고, 피부 주름을 방지하며,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고,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하며, 모발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조성물을 환부, 두피 등 피부 표피에 도포시, 피부 보습, 면역력 증진, 항산화, 항노화, 항암, 광노화, 항염, 항균, 및 소양감 완화 등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조성물은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소나무 추출물은 우수한 수분 보유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보습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은 피부 미용 또는 헤어 케어 용도뿐만 아니라 건강 기능 식품 등으로 식용 내지 의약품 등으로 의약 용도로 사용되어 전술한 효과들을 발휘할 수 있다. 조성물이 헤어 케어 용도로 제공될 경우에는 모발 영양 화장수, 스칼프 트리트먼트, 헤어 토닉, 헤어 컨디셔너, 헤어 로션, 헤어 샴푸, 헤어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및 헤어 크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소나무 추출물, 소나무 발효 추출물, 및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나무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가공하여 소나무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소나무 추출물을 발효하여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에 효과가 있는 미용, 식용 내지 의약용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제조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소나무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열수 추출법, 용매 추출법, 냉침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물, 저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소나무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소나무를 건조 후 분쇄하여 분쇄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열수 추출 및 용매 추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분쇄물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소나무를 설정 크기로 절단하여 음건 후 분쇄할 수 있다.
소나무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추출물을 환류 추출하고 냉침 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여과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 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를 동결 건조, 열풍 건조, 분무 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소나무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등액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및 농축액에 용매를 첨가하여 소나무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독성 제거를 위해 소나무 추출물을 멸균 처리하는 단계, 및 멸균 처리한 소나무 추출물을 효모로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효모는, 사카로마시세스 세레비지아(Saccharomyces cerevisiea), 탄닌가수분해효소(Tannase from Aspergillus ficuum), 락토바실러스 부치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류코노스톡 메센토리우스(Leuconostoc mesentorios), 및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s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효모로 발효하는 단계는, 발효된 소나무 추출물을 설정 농도로 희석하고, 소나무 추출물을 멸균 처리하는 단계 및 효모로 발효하는 단계는, 설정 횟수에 따라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미용 용도를 위한 제형화, 또는 식용 내지 의약 용도를 위한 캡슐화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미스트, 젤, 팩, 샴푸, 린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은 키토올리고당, 젤라틴, 펙틴,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셀룰로오스,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머로 캡슐화되는 것 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추출물 및 소나무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와, 이에 따라 제조된 소나무 발효 추출물에 관한 시험 데이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소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소나무(껍질, 목질부, 잎 등)를 각각 1 내지 3cm 이하의 크기로 세절하여 부위별로 음건하였고, 분쇄하여 열수 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을 제조에 사용하였다. 열수 추출물은 소나무 부위별로 각각 150g에 증류수 1.5L를 가하여 90℃에서 4시간 열수 추출하였고, 70% EtOH 추출물은 소나무 부위별 각각 150g에 70% EtOH 1.5L를 가하여 60℃에서 4시간 추출하였다. 소나무 부위별 각각의 추출물은 4시간씩 2회 환류 추출하여 냉침한 후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여 4,000rpm으로 20분간 고형물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한 상등액은 여과지(0.45㎛ filter paper, Advanted, Japan)를 사용하여 부위별 각각 2회씩 여과하였고, 여과액은 회전 감압 증류기를 사용하여 40-60℃에서 90rpm의 조건하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물 및 동결 건조물이 15.0중량% 함유되게 정제수,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소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되,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소나무 발효 추출물 제조 방법>
전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한 소나무 추출물을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 처리하였다. 멸균 처리한 소나무 분말 배지에 사카로마시세스 세레비지아, 탄닌가수분해효소, 락토바실러스 부치네리, 류코노스톡 메센토리우스 및 비피도박테리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사체를 직경 8mm의 Cork borer로 mycelium disk를 만든 후 이 disk 5-6개를 100mL의 MCM 배지를 넣은 250mL 삼각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Shaking Incubator(SI-4000R, JEIO TECH, Daejeon, Korea)에서 온도 25-30℃, 교반 속도 120rpm, 통기량 1.5vm의 조건으로 5일간 배양하였다. 각 발효 균주별 최적 조건에서 발효한 후 시료 중량의 10배의 정제수로 희석하였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소나무 발효 추출물의 세포 독성 시험>
본 시험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한 소나무 발효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CCD-986SK(Fibroblast)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시험 기관: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시험 번호: TNK-2022-000240). 여기서 세포주 CCD-986SK(공급원: ATCC CRL-1947)는 10% FBS와 1% 항생제(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를 첨가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 CO2가 존재하는 가습 조건의 37±1℃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사용하였다.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무혈청 배지에 1, 5, 10, 20, 30%의 농도로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여기서 무혈청 배지는 1% 항생제(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를 첨가한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 세포를 1×104(100μL/well)로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시험물질이 농도별로 희석된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여 37 ℃, 5 %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PBS로 2 회 세척하고 MTT용액(5 mg/mL, 무혈청 배지)을 200 μL/well 분주하여 37 ℃, 5 % CO2 배양기에서 2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면 배지를 제거해주고 DMSO 용액을 200 μL/well 넣고 plate shaker에서 20 분 추출 후, 570 nm 파장에서 ELISA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이 시료 무첨가군의 70 %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에 잠재적으로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며 세포 생존율은 다음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Figure 112022068271305-pat00001
위 시험의 결과를 살펴보면,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1%, 5%, 10%, 20% 및 30%으로 처리한 결과, 각각의 농도에서 각각 102.71±2.49%, 76.48±1.69%, 68.86±1.76%, 65.55±3.13% 및 11.18±0.68%의 세포 생존율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5% 이하 농도에서 70 % 이상의 세포 생존율이 관찰되었다. 세포 생존율이 시료 무첨가군의 70 %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에 잠재적으로 세포 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므로, 소나무 발효 추출물은 5% 이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나무 발효 추출물의 인체 적용 시험>
본 시험은 인체 적용 시험을 통하여 전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한 소나무 발효 추출물의 피부 첩포에 의한 시험 제품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시험 기관: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시험 번호: TEK-2022-000139) 만 20~59세 이하의 성인 남녀로서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성,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31명을 시험 대상자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20~24℃ 온도와 40~60% R.H. 습도가 유지되는 조건에서, 시험 대상자의 등을 측정 부위로 하여, 시험 부위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5분간 자연 건조시킨 후 시험 제품을 20μL 적하시킨 IQ chamber를 측정 부위에 고정하여 24시간동안 폐쇄 첩포하고, 이후 IQ chamber를 제거하고, 첩포 제거 30분 후, 24시간 후에 시험 제품 적용 부위의 사진 촬영 및 연구자에 의한 피부 반응 정도를 평가하였다. 시험 부위 육안 평가는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판정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육안 판정 후 아래 식을 이용하여 각 시험 부위에 대한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였고, 산출된 피부 반응도를 기준으로 아래 표에 따라 피부 자극도를 판정하였다.
Figure 112022068271305-pat00002
피부 자극 지수 판정 기준
0.00~0.75 무자극
0.76~1.50 미자극
1.51~2.50 경자극
2.51~4.00 중자극
4.01~5.00 강자극
위 시험의 결과를 살펴보면, 시험 대상자는 총 31명으로, 평균 연령±표준 편차는 45.8±6.5세이고, 연령대별로 30대: 5명, 40대: 14명, 50대: 12명이며, 피부 타입별로 건성: 8명, 지성: 2명, 중성: 5명, 중건성: 16명으로 확인되었다. 판정 결과, 피부 반응도는 0.00으로 무자극 범주로 판정하였다. 시험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피부와 관련된 이상 증상 발생은 보고되지 않으며 부작용 발생 사례도 보고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소나무 발효 추출물은 무자극 범주의 제품으로 판단된다.<소나무 발효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시험>
본 시험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한 소나무 발효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 중 하나인 활성 산소에 포함된 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시험을 실시하였다(시험 기관: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시험 번호: TNK-2022-000242).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Ethanol을 이용하여 5, 10, 20, 30% 농도로 조제하고, 양성 대조 물질로서 L-Ascorbic acid를 칭량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0.0005, 0.001, 0.0015, 0.002% 농도로 조제하였으며, Ethanol을 이용하여 0.2mM 농도로 DPPH를 조제하였다. 96 well plate에 각 농도 별 조제물을 100μL 분주하고, 0.2mM DPPH 및 Ethanol 100μL를 넣고, 실온에서 30분간 차광 상태로 반응시킨 후 517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율(%)은 아래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각 실험 결과는 3회 반복 측정해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했으며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Figure 112022068271305-pat00003
위 시험의 결과를 살펴보면, 시험물질인 소나무 발효 추출물 5%. 10%. 20% 및 30% 농도에서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율을 측정한 결과, 각각 73.52%, 91.86%, 93.06% 및 93.69% 로 나타났으며, 양성 대조 물질의 경우 0.0005%, 0.001%, 0.0015% 및 0.002%농도에서 free radical 소거 효과가 각각 17.86%, 37.20%, 57.25% 및 77.39% 로 나타났고, IC50(50% 활성율을 나타내는 농도)을 산출한 결과, 0.0013%의 농도로 산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결과로부터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시험에서 시험 물질인 소나무 발효 추출물은 5%, 10%, 20% 및 30%의 농도에서 DPPH 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9)

  1. 소나무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가공하여 소나무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나무 추출물을 발효하여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나무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소나무를 0 초과 1 내지 3cm 이하로 세절해 음건 후 분쇄하여 분쇄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물에 g중량당 10mL부피의 증류수를 가하여 90도에서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분쇄물에 g중량당 10mL부피의 70% EtOH를 가하여 60도에서 4시간동안 용매 추출하는 방법으로 상기 분쇄물에서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나무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4시간씩 2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 후 원심 분리기를 사용해 4,000rpm으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상등액을 2회 여과 후 회전 감압 증류기를 사용해 40 내지 60도에서 90rpm의 조건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액에 용매로 정제수를 첨가하여 상기 소나무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나무 추출물을 121도에서 20분동안 멸균 처리하는 단계; 및
    멸균 처리한 상기 소나무 추출물을 사카로마시세스 세레비지아, 탄닌가수분해효소, 락토바실러스 부치네리, 류코노스톡 메센토리우스, 및 비피도박테리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효모로 발효하는 단계; 및
    발효된 상기 소나무 추출물을 1중량부당 10중량부의 정제수로 희석하여 상기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미용 용도를 위해 제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80214A 2022-06-30 2022-06-30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14A KR102494394B1 (ko) 2022-06-30 2022-06-30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7/856,407 US20240000698A1 (en) 2022-06-30 2022-07-01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 from pine for preventing skin wrinkle,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preventing hair loss, promoting hair growth and improving hair heal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2210823837.0A CN117338650A (zh) 2022-06-30 2022-07-13 包含松树发酵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0230010617A KR20240003423A (ko) 2022-06-30 2023-01-27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 효과를 갖는 소나무 발효 추출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14A KR102494394B1 (ko) 2022-06-30 2022-06-30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617A Division KR20240003423A (ko) 2022-06-30 2023-01-27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 효과를 갖는 소나무 발효 추출물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394B1 true KR102494394B1 (ko) 2023-02-07

Family

ID=852215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214A KR102494394B1 (ko) 2022-06-30 2022-06-30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30010617A KR20240003423A (ko) 2022-06-30 2023-01-27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 효과를 갖는 소나무 발효 추출물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617A KR20240003423A (ko) 2022-06-30 2023-01-27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 효과를 갖는 소나무 발효 추출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0698A1 (ko)
KR (2) KR102494394B1 (ko)
CN (1) CN11733865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14A (ko) 1994-07-02 1996-02-23 김정순 솔잎추출물을 함유한 음료 조성물
KR20060095642A (ko) * 2005-02-28 2006-09-01 뉴트라팜주식회사 천연용매를 추출매체로 하는 소나무류 수피 유래 항산화성물질 추출방법 및 이에 의한 항산화성 추출물
KR20210062350A (ko) * 2019-11-21 2021-05-31 애경산업(주)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0465B1 (ko) * 2020-10-22 2021-11-24 주식회사 필로스화장품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부종완화, 셀룰라이트 감소, 체지방 분해 및 혈액순환 촉진 효능을 갖는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용 크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14A (ko) 1994-07-02 1996-02-23 김정순 솔잎추출물을 함유한 음료 조성물
KR20060095642A (ko) * 2005-02-28 2006-09-01 뉴트라팜주식회사 천연용매를 추출매체로 하는 소나무류 수피 유래 항산화성물질 추출방법 및 이에 의한 항산화성 추출물
KR20210062350A (ko) * 2019-11-21 2021-05-31 애경산업(주)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0465B1 (ko) * 2020-10-22 2021-11-24 주식회사 필로스화장품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부종완화, 셀룰라이트 감소, 체지방 분해 및 혈액순환 촉진 효능을 갖는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용 크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423A (ko) 2024-01-09
CN117338650A (zh) 2024-01-05
US20240000698A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CA2799223C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magp-1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skin
US9198945B2 (en) Cosmetic compositoin containing a rubus coreanus extract for diminishing skin wrinkles
JP4918202B2 (ja) 皮膚組成物
US10350156B2 (en) Method for prepar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ginseng berry Pleurotus ferulae product and use thereof
FR2929511A1 (fr) Nouveau principe actif stimulant la proliferation et/ou l&#39;activite des fibroblastes.
JP7174736B2 (ja) ダイダイの地上部の発酵抽出物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1703A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708459B1 (ko)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494394B1 (ko) 소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건강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8657B1 (ko)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72336B1 (ko) 율피, 가자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671107B1 (ko) 대마 엑소좀 추출물 및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8103B1 (ko) 노니 및 마카뿌리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