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427B1 -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하지 부종, 산후 부종 등 각종 부종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하지 부종, 산후 부종 등 각종 부종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427B1
KR102493427B1 KR1020220118430A KR20220118430A KR102493427B1 KR 102493427 B1 KR102493427 B1 KR 102493427B1 KR 1020220118430 A KR1020220118430 A KR 1020220118430A KR 20220118430 A KR20220118430 A KR 20220118430A KR 102493427 B1 KR102493427 B1 KR 102493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ema
weight ratio
powder
extract powder
bromel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우
Original Assignee
박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우 filed Critical 박건우
Priority to KR102022011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48Di-Peptides sweeteners
    • A23V2250/2482Aspart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부종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건강기능 식품은 흡습성, 수분 용해도가 우수하여 상품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혈액의 순환을 촉진하여, 산후 부종, 하지 부종과 같은 다양한 부종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하지 부종, 산후 부종 등 각종 부종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VARIOUS EDEMA, SUCH AS LOWER EXTREMITY EDEMA AND POSTPARTUM EDEMA, INCLUDING BROMELAINE}
본 발명은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부종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부종은 과도한 수분이 축적된 현상이다. 우리 몸에는 70% 이상의 체액이 존재하며, 이 중 2/3는 세포 내액이며, 1/3은 세포 외액이다. 세포 외액 중에서 1/4은 혈액이고, 나머지 3/4는 간질액이며, 간질액이 증가하면 흔히 붓는다고 표현하는 부종이 생기게 된다.
특히, 임신 및 출산과정에서 산모에게 수분이 과다하게 축적되고,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원인에 의하여 몸이 붓는 산후 부종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출산 후 산모의 약 94%정도가 출산 후에 부종감이 있다고 답변했다는 조사결과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산후부종은 매후 흔하게 산모들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며, 산후 체중 회복을 더디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또한 산후부종을 오래 방치할 경우, 여러 가지 후유증이나 산후풍이 초래될 수 있고 산모의 회복을 더디게 할 뿐만 아니라 몸의 순환능력을 떨어뜨려 몸속에 노폐물과 독소가 많이 쌓이게 되어 종국에는 비만을 가중시키게 되 므로 적절한 시기에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이러한 부종 제거, 완화에 호박즙을 사용하는 민간요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호박즙에 특별히 부종 제거에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부종 제거에 효과를 줄 수 있는 칼륨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나, 다른 식품 성분들 대비 칼륨 함량이 높은 것도 아니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전통적인 호박즙보다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건강기능 식품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개특허 10-2020-0023054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종을 개선,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1:1:1 중량비로 포함하여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이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하지 부종 및 산후 부종과 같은 다양한 부종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1:1:1 중량비로 포함하여 제조된 부종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1:1:1 중량비로 포함하는 부종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1:1:1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50 내지 -65℃로 냉동시키는 단계; 3) 상기 냉동된 혼합물을 12 내지 36시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동결건조물을 초미립 분쇄기로 분쇄하고, 150 내지 300mesh 를 이용하여 초미립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종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건강기능 식품은 흡습성, 수분 용해도가 우수하여 상품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혈액의 순환을 촉진하여, 산후 부종, 하지 부종과 같은 다양한 부종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산후 부종 지수의 평균값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1:1:1 중량비로 포함하는 부종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습성, 수분 용해도가 우수하여 상품 가치가 높고, 산후 부종, 하지 부종과 같은 다양한 부종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1:1:1 중량비로 포함하는 부종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모두 포함하여 제조된 혼합물이 이들 중 2종만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비교하여 혈액 순환 촉진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부종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브로멜라인은 파인애플 줄기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로 연육작용이나, 항염증, 단백질 소화를 돕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브로멜라인은 항부종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놀랍게도 브로멜라인 함량을 1.5 배 증가시킨 실험군보다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백복령 추출분말을 1:1:1 로 혼합한 혼합 조성이 혈액 순환 및 부종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였다. 이는 브로멜라인 단독의 효과보다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백복령 추출분말 3종 성분의 시너지 효과가 부종 완화에 더욱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유사하게 브로멜라인을 제외한 옥수수 수염 추출분말, 백복령 추출분말의 함량을 높인 실험군과 비교하더라도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백복령 추출분말을 1:1:1 중량비로 혼합한 본 발명의 조성이 가장 우수한 부종 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부종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수술 후 부종, 성형 수술 후 부종, 하지 부종, 염증에 의한 부종 또는 산후 부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1일 2회, 물과 함께 섭취할 수 있으며, 꾸준히 섭취하는 경우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부종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 외에 포도종자추출물, 비타민, 미네랄, 구연산 칼륨, 은행잎 추출분말, 비타민 C, 자몽맛 분말, 아스파탐 및 호박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 포함되는 성분들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부종 예방, 완화 또는 개선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비율로 혼합물에 함께 혼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이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6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부종에 대한 효과가 저해되며, 7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관능을 저해하고, 최종 제형인 분말제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액상, 환 또는 분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한 제공 형태는 분말 형태이다. 상기 분말을 제조함에 있어서, 열에 파괴되기 쉬운 브로멜라인을 파괴하지 않은 제조공정의 채택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제조한다:
1)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1:1:1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50 내지 -65℃로 냉동시키는 단계;
3) 상기 냉동된 혼합물을 12 내지 36시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동결건조물을 초미립 분쇄기로 분쇄하고, 150 내지 300mesh 를 이용하여 초미립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특히 상기 공정에 있어서, 동결건조는 각 성분들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분말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초미립 분말 제조는 활성 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미립 분말 제조에 있어 초미립 분쇄기를 사용하였고, mesh 선택에 따라 제조되는 분말의 물성이 현저히 달라짐을 확인하고 최적의 mesh 조건으로 150 내지 300mesh,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mesh 를 이용하여 초미립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mesh 를 이용하는 경우, 분말이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성이 높아져 분말이 빠른 시간 내에 케이킹 현상을 나타내므로, 제품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상기 범위 미만의 mesh 를 이용하는 경우, 물에 용해되는 수분 용해도가 감소하여 활성 성분 전달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분말 제품에 적당한 흡습도 및 수분 용해도를 갖는 최적의 mesh 의 선정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런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150 내지 300mesh,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mesh 조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에는 포도종자추출물, 비타민, 미네랄, 구연산 칼륨, 은행잎 추출분말, 비타민 C, 자몽맛 분말, 아스파탐 및 호박분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에 대한 설명과 비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공정 상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들은 포도종자추출물 1 내지 1.5 중량비, 브로멜라인 1 중량비, 비타민 및 미네랄 0.01 내지 0.02 중량비, 구연산 칼륨 0.01 내지 0.05 중량비, 은행잎 추출분말 0.01 내지 0.02 중량비, 비타민 C 0.01 내지 0.02 중량비, 자몽맛 분말 0.1 내지 0.3중량비, 아스파탐 0.1 내지 0.3중량비, 호박분말 0.03 내지 0.05중량비, 옥수수 수염 추출분말 1 중량비 및 백복령 추출분말 1 중량비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식이 보조제, 식이 첨가제 또는 영양보조식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로, 부종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1)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을 1:1:1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50 내지 -65℃로 냉동시키는 단계; 3) 상기 냉동된 혼합물을 12 내지 36시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동결건조물을 초미립 분쇄기로 분쇄하고, 150 내지 300mesh 를 이용하여 초미립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1) 단계의 혼합물은 포도종자추출물, 비타민, 미네랄, 구연산 칼륨, 은행잎 추출분말, 비타민 C, 자몽맛 분말, 아스파탐 및 호박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식품 조성물이 포도종자추출물 1 내지 1.5 중량비, 브로멜라인 1 중량비, 비타민 및 미네랄 0.01 내지 0.02 중량비, 구연산 칼륨 0.01 내지 0.05 중량비, 은행잎 추출분말 0.01 내지 0.02 중량비, 비타민 C 0.01 내지 0.02 중량비, 자몽맛 분말 0.1 내지 0.3중량비, 아스파탐 0.1 내지 0.3중량비, 호박분말 0.03 내지 0.05중량비, 옥수수 수염 추출분말 1 중량비 및 백복령 추출분말 1 중량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은 앞서 식품 조성물에서 설명된 내용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백복령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식품의 제조
1.1 원료 및 함량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백복령 추출분말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분말 식품을 제조하였다. 본 식품에 포함되는 원료 및 원료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mg)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포도종자추출물 600 600 600 600
브로멜라인 500 750 750 -
비타민미네랄믹스 5 5 5 5
구연산칼륨 15 15 15 15
은행잎 추출분말 5 5 5 5
비타민 C 5 5 5 5
자몽맛분말 50 50 50 50
아스파탐 100 100 100 100
호박분말 20 20 20 20
옥수수수염추출분말 500 750 - 750
백복령 추출분말 500 - 750 750
합계 2,300 2,300 2,300 2,300
1.2 초미립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성분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60℃로 냉동시킨 후, 동결건조기(FD8508, IlShin Biobase Co., Ltd, Dongduchen, Korea)를 이용하여 진공압 5×10-3 Torr로 유지하며,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 후 초미립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초미립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은 백복령 추출분말, 브로멜라인 및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중 한 가지 성분들을 제외하되 나머지 성분들의 총 함량을 1,500g 이 되도록 설정한 실험군이다.
실험예 1. 분말 입자 크기에 따른 효과 확인
본 발명은 초미립 분쇄기를 이용하여 초미립 분말을 제조한다. 초미세 분쇄물의 입자 크기에 따른 용해도, 분말의 흡습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 600mesh, 200mesh, 80 mesh 로 분말 입자 크기를 달리하여 실시예 1의 성분을 초미립 분말로 제조하였고, 각각 메쉬 크기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를 실시예(600), 실시예(200), 실시예 (80) 으로 나타내었다.
1.1 흡습특성 확인
분말 제품의 경우, 수분에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흡습성은 저장안전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흡습성이 크면 케이킹 현상이 발생하여 분말끼리 뭉치게 되고, 상품 가치가 하락하게 된다. 초미립 분말의 메쉬 차이에 따른 흡습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600), 실시예(200), 실시예 (80) 0.5g 를 증류수를 채운 데시게이터에 위치시키고, 1시간 간격으로 7시간 동안 흡습에 따른 무게 증가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수행하였다. 실시예(200), 실시예 (80) 에서는 7시간 후 각각 평균 0.015, 0.014g 의 무게 증가가 나타났으나, 두 실험군 간 유의적인 정도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실시예(600)의 경우, 평균 0.021g의 무게가 증가하였고 실시예(200), 실시예 (80) 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부 분말이 뭉치는 케이킹 현상이 확인되었다. 이는 가장 미세한 입자인 600mesh 분말의 표면적이 넓어 나타나는 현상인 것으로 생각된다.
1.2 용해성 확인
분말 제품의 용해성 측정을 위하여 실시예(600), 실시예(200), 실시예 (80) 0.1g 과 증류수 10mL 를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균일하게 혼탁시킨 후 60℃ 조건의 진탕 배양기에서 30분 동안 120rpm으로 진탕하였다. 찬물에서 3분간 냉각시킨 후 500g 로 20분간 원신분리한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였다. 이 후, 100℃에서 2시간 건조 후 용해도(%) 를 다음 수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고 결과는 이들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용해도 (%)= 건조 중량/ 시료 중량 *100
각 실시예의 용해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용해도 (%)
실시예(600) 70.0±3.7a
실시예(200) 68.3±6.25 a
실시예(80) 52.77±3.56 b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해도는 분말 입자가 커짐에 따라 감소하여 실시예(600) 이 가장 높았고, 실시예 (80) 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600) 및 실시예 (200) 사이의 용해도 차이는 유의한 정도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입자에 비해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물과 접촉 면적이 넓어져 용해도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우수한 용해도는 활성 성분을 빠르게 방출시켜 더욱 빨리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메쉬 크기에 따른 효과를 종합적으로 비교하면, 실시예(600)은 수용해도는 높으나, 높은 흡습성으로 분말 제품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예 (80) 은 상대적으로 수 용해도가 낮은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 (200)이 실시예(600) 과 수용해도 측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과 동시에 흡습성 면에서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후의 실험에서는 흡습성, 수용해성이 모두 우수한 200mesh 의 분말을 제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이후 실험예에서 사용된 실시예 및 비교예는 모두 200mesh 의 분말을 이용한다.
실험예 2. 혈액 순환 촉진 효과 확인
본 발명 분말 식품의 혈액 순환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 내지 25g 내외의 스파라그-돌리 랫트를 1주일 동안 항온, 항습 조건에서 적응시킨 후, 10마리씩 군을 나누어 실험에 이용하였다. 각 실험군의 랫트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분말을 식염수에 용해시켜 체중 당 0.5mg 1회 복강으로 급여하였다. 대조군에는 생리 식염수만을 투여하였고, KCl 72.7mM 을 투여하여 랫트에서 혈관 수축을 유도하고, 수축에 대한 각 실험군의 확장 정도를 확인하였다. 각 실험군은 모두 3회 반복하였고, 3회 반복의 평균 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혈관 수축에 대한 확장 정도 (%)
대조군 48.3%
실시예 1 95.7%
비교예 1 72.3%
비교예 2 75.7%
비교예 3 57.5%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분말을 급여한 랫트에서는 혈액 수축에 대한 확장 효과가 우수하였고, 이는 백복령 추출분말, 옥수수 수염 추출분말 및 브로멜레인 중 1종을 미포함하되 다른 성분들의 함량을 증량한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한 효과이다. 즉, 본 발명의 혈액 순환 촉진 효과는 유효성분인 브로멜라인, 옥수수 수염 추출분말, 백복령 추출분말의 혼합에 의해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인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실시예 1 대비 브로멜라인의 함량을 1.5배 증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혈관 확장 효과가 실시예 1 대비 현저히 낮아, 혈관 확장의 효과가 단순히 브로멜라인 함량에만 좌우되는 것이 아님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부종 개선 효과 확인
실험예 3.1. 하지 부종 환자에서 부종 개선 효과
실험예 2과 같은 혈액 순환 촉진에 의한 실질적인 부종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50대 이상, 하지 부종이 있는 여성 실험 참여자 40 명을 10명씩 그룹으로 나눠 표 1과 같이 제조된 분말을 3g 씩, 1일 2회, 식후에 200ml 의 물과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다. 10일간 섭취하도록 한 후, 각 참여자에게 부종 상태에 대한 육안 결과를 부종 개선, 변화 없음, 악화 중에 선택하도록 하고, 허벅지, 종아리, 발등 중 가장 부종이 심한 부위의 둘레를 줄자를 이용하여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응답자 비율% (응답자 수)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부종 부위의 둘레 변화 부종 부위 둘레 감소 80 (8) 50 (5) 50 (5) 30 (3)
부종 부위 둘레 변화없음 20 (2) 40 (4) 50 (5) 60 (6)
부종 부위 둘레 증가 0 (0) 10 (1) 0 (0) 10 (1)
부종 부위 육안 확인 부종 개선 90 (9) 50 (5) 60 (6) 20 (2)
변화 없음 10 (1) 50 (5) 40 (4) 60 (6)
부종 악화 0 (0) 0 (0) 0 (0) 20 (2)
표 4과 같은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분말을 섭취한 실험 참여자들의 부종이 가장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혈류량 실험 결과와 동일하게 브로멜라인, 옥수수 수염 추출분말, 백복령 추출분말이 모두 혼합되어 있는 실시예 1은 10명의 실험 참여자 중 9명이 육안으로도 부종이 개선된 것 같다는 의견을 표시하였고, 실제 부종이 심한 부위에서 둘레가 감소된 참여자가 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기 3가지 성분 중 하나를 제외한 비교예 1 내지 3은 실험참여자의 절반 정도에서 부종 부위의 둘레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부종 부위 둘레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육안으로도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는 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2 산후 부종 개선 효과
임신 중에는 바소프레신 분비에 의해 삼투압 역치가 재조절되며 혈장 삼투압이 감소되고, 수분이 정체되면서 수분 증가가 일어난다. 임신 후반기에는 정체된 수분에 의하여 부종 형성이 증가되며, 출산 후에도 영양 부족, 빈혈, 산모의 체액 분포 기능 불균형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부종이 지속되어 산후 부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이 이러한 산후 부종에도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A 산후 조리원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지원자 중 체성분 측정기인 인바디(Inbody 4.0)로 부종 지수가 0.35 이상으로 수분 불균형에 해당하는 산모 25 명을 대상으로 부종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표 1과 같이 제조된 분말을 3g 씩, 1일 2회, 식후에 200ml 의 물과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고, 10일간 섭취하도록 한 후, 각 참여자의 체성분 변화를 실험 전, 5일 후, 10일 후 인바디 측정기를 통해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별도의 분말 섭취없이 물만 200ml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각 그룹당 5명씩 실험을 수행하였다. 부종 지수 변화 결과를 표 5 및 도 1에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0.350 이하는 정상으로 판단한다.
실험 전 5일 후 10일 후 10일 간
평균값 변화
대조군 0.359 (0.003) 0.357 (0.002) 0.352 (0.004) 0.007
실시예 1 0.361 (0.002) 0.342 (0.008) 0.336 (0.006) 0.025
비교예 1 0.359 (0.005) 0.355 (0.002) 0.350 (0.007) 0.009
비교예 2 0.362 (0.003) 0.350 (0.001) 0.347 (0.005) 0.015
비교예 3 0.360 (0.003) 0.356 (0.006) 0.353 (0.006) 0.007
상기 표 5 및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실험전과 10일 후 유일하게 평균 값이 0.025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장 낮은 부종 지수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10일 동안 부종 값이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비교예 3의 경우 10 일 후에도 실험군의 부종 지수가 0.35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부종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의 경우,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나머지 실험군은 모두 ANOVA 검정 결과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 을 나타내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포도종자추출물 1.5 중량비, 브로멜라인 1 중량비, 비타민 및 미네랄 0.01 중량비, 구연산 칼륨 0.03 중량비, 은행잎 추출분말 0.01 중량비, 비타민 C 0.01 중량비, 자몽맛 분말 0.1 중량비, 아스파탐 0.2 중량비, 호박분말 0.04 중량비, 옥수수 수염 추출분말 1 중량비 및 백복령 추출분말 1 중량비로 포함하는 부종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브로멜라인, 옥수수수염 추출분말 및 백복령 추출분말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70중량% 로 포함되고,
    상기 조성물은 200mesh의 초미립 분말이며,
    상기 부종은 수술 후 부종, 성형 수술 후 부종, 하지 부종, 염증에 의한 부종 또는 산후 부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1) 포도종자추출물 1.5 중량비, 브로멜라인 1 중량비, 비타민 및 미네랄 0.01 중량비, 구연산 칼륨 0.03 중량비, 은행잎 추출분말 0.01 중량비, 비타민 C 0.01 중량비, 자몽맛 분말 0.1 중량비, 아스파탐 0.2 중량비, 호박분말 0.04 중량비, 옥수수 수염 추출분말 1 중량비 및 백복령 추출분말 1 중량비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50 내지 -65℃로 냉동시키는 단계;
    3) 상기 냉동된 혼합물을 12 내지 36시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동결건조물을 초미립 분쇄기로 분쇄하고, 200mesh를 이용하여 초미립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220118430A 2022-09-20 2022-09-20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하지 부종, 산후 부종 등 각종 부종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493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430A KR102493427B1 (ko) 2022-09-20 2022-09-20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하지 부종, 산후 부종 등 각종 부종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430A KR102493427B1 (ko) 2022-09-20 2022-09-20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하지 부종, 산후 부종 등 각종 부종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427B1 true KR102493427B1 (ko) 2023-01-31

Family

ID=8510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430A KR102493427B1 (ko) 2022-09-20 2022-09-20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하지 부종, 산후 부종 등 각종 부종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643B1 (ko) 2023-05-19 2023-11-23 주식회사 본플러스 외상 수술로 인한 부종 및 어혈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801B1 (ko) * 2014-05-09 2014-12-05 주식회사 웰솔루션 혈행개선 또는 모세혈관 활성증가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00023054A (ko)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휴바이오센트릭 치커리 추출분말, 크랜베리 분말, 그린커피 추출분말, 브로멜라인 분말, 아세로라 추출분말, 인삼 추출분말 및 옥타코사놀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종합영양보조식품
KR20220095717A (ko) * 2020-12-30 2022-07-07 김형후 다이어트용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801B1 (ko) * 2014-05-09 2014-12-05 주식회사 웰솔루션 혈행개선 또는 모세혈관 활성증가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00023054A (ko)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휴바이오센트릭 치커리 추출분말, 크랜베리 분말, 그린커피 추출분말, 브로멜라인 분말, 아세로라 추출분말, 인삼 추출분말 및 옥타코사놀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종합영양보조식품
KR20220095717A (ko) * 2020-12-30 2022-07-07 김형후 다이어트용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로로후기_내돈내산붓기차후기_나를위한비다운습관_비다운붓기차_붓기차후기_효과좋은붓치차_맛있는붓기차_임산부붓기차_출산후붓기차-비다운액상차.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22.07.09., [2022.12.12. 검색], 인터넷: *
성형붓기’ 스트레스는 이제 그만. 머니투데이. [online], 2012.09.10., [2022.12.12. 검색], 인터넷: <URL: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2091015080881299&type=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643B1 (ko) 2023-05-19 2023-11-23 주식회사 본플러스 외상 수술로 인한 부종 및 어혈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0568C (fr) Association therapeutique vitamino-calcique sous forme galenique unitaire de comprimes, son procede d&#39;obtention et son utilisation
KR102493427B1 (ko)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하지 부종, 산후 부종 등 각종 부종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JP2010202520A (ja) 皮膚改善剤及び美容健康用経口組成物
CN106993697A (zh) 一种红糖姜茶及其制作工艺
JPH08275752A (ja) ストレス改善食品
EP3854226A1 (en) Method for fractionating olive pomace, its products and uses thereof
CN105707876B (zh) 一种具有稳定和溶解斑块的饮食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0428198B1 (ko) 라이스밀크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및 라이스밀크엑기스를 사용한 식품
CN102150856B (zh) 含石斛粉料的混合物及其制备方法
WO2005056022A1 (ja) 腸疾患改善用組成物
JPH01269452A (ja) 即席抹茶清涼飲料及びその製造法
JP2004269422A (ja) 免疫賦活用組成物
KR100763491B1 (ko) 마늘취가 감소된 마늘제재 및 마늘 음료
KR101227922B1 (ko) 파파야 퓌레 조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2002360220A (ja) 血行障害の改善作用を有する健康補助食品
KR101875896B1 (ko) 말뼈와 산호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JP7122727B2 (ja) フェルラ酸含有飲料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CN109043320A (zh) 一种具有排毒降压作用的谷蔬复合活性粉的制备方法
KR20150120741A (ko) 감 껍질, 감 과육, 감잎 및 고욤잎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1401464B1 (en) Dietetic preparation with hypocholesterolemic activity
KR20150018167A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KR102349905B1 (ko) 소비자 만족도가 우수한 호박, 도라지 및 사과로 이루어진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JP7072930B2 (ja) フェルラ酸含有飲料
CN102132876B (zh) 含杜仲粉料的混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