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587B1 -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587B1
KR102492587B1 KR1020220041712A KR20220041712A KR102492587B1 KR 102492587 B1 KR102492587 B1 KR 102492587B1 KR 1020220041712 A KR1020220041712 A KR 1020220041712A KR 20220041712 A KR20220041712 A KR 20220041712A KR 102492587 B1 KR102492587 B1 KR 102492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nos
nucleotide sequences
polynucleotide
prim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7550A (ko
Inventor
이정석
천상영
이성근
주시연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1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5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Abstract

본 출원은 Ganoderma 속 미생물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마커, 조성물, 및 상기 마커 또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Ganoderma 속 미생물을 검출하는 방법 및 뿌리 썩음병 진단 방법, Ganoderma 속 미생물을 검출하는 용도, 및 뿌리 썩음병 진단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A composition for detecting Ganoderma microorganism and diagnosing basal stem r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마커, 조성물, 키트, 칩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뿌리 썩음병(basal stem rot)은 주로 어린 뿌리가 침해되어 식물체의 활력이 떨어지는 병증을 나타내는 식물체의 병이다. 뿌리 썩음병에 감염된 식물체는 위축을 나타내고, 생육은 부진하여 과실은 작고, 수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병이 심하게 진전되면 잎은 퇴록되고, 서서히 시들다가 후에 말라 죽는다. 뿌리 썩음병의 병원균은 Ganoderma 속 미생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병원균이 식물체의 뿌리를 침범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일팜 산업이 활발한 말레이시아에서는 Ganoderma 속 미생물에 의한 뿌리 썩음병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며 그 규모가 연간 4,6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산업 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뿌리 썩음병 진단이 가능한 마커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인삼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기술은 알려져 있으나(한국 등록특허 10-1570792호), 이는 인삼 뿌리 썩음 병원균인 Cylindrocarpon destructans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의한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마커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뿌리 썩음병의 주된 병원균인 Ganoderma 속 미생물 중에서도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특이적으로 갖는 서열을 발굴하고, 이로부터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는 신규한 마커를 개발하여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본 출원의 하나의 목적은 뿌리 썩음병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뿌리 썩음병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뿌리 썩음병 진단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출원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한 일 양태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공통된 사항에 대하여 다른 양태의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더불어,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양태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특이적으로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단편일 수 있으며,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마커와 혼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는 마커" 또는 "마커"는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서열로서 상기 서열의 존재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시료 내에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서열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마커를 이용할 경우, 채취된 시료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마커는 서로 일정 수준 이상의 상동성을 갖거나,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갖는 특이적 코어 서열을 공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서 특이적으로 발견되는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하나로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존재 여부에 따라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시료(토양)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80%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서,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마찬가지로,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서 특이적으로 발견되는 서열을 갖고,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존재 여부에 따라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시료(토양)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80%, 85%, 90%, 또는 95%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 유전자 또는 단백질이 특정 서열번호의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해당 서열번호의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 유전자 또는 단백질과 동일 혹은 상응하는 활성을 가지는 경우라면, 목적하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한,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보존적 치환 또는 부가된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유전자 또는 단백질도 본 출원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특정 서열번호로 표현되는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유전자 또는 단백질과 동일 또는 상응하는 활성을 갖는 이상, 특정 서열번호로 표현되는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상동성(homology) 또는 동일성(identity)을 갖는 서열도 본 출원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특정 서열번호의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응하는 효능 또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목적하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한,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서열 역시 본 출원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동성(homology)' 또는 '동일성(identity)'은 두 개의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또는 염기 서열과 서로 관련된 정도를 의미하며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다.
용어 상동성 및 동일성은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보존된 (conserved)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서열 상동성 또는 동일성은 표준 배열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확립된 디폴트 갭 페널티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동성을 갖거나 (homologous) 또는 동일한 (identical) 서열은 중간 또는 높은 엄격한 조건(stringent conditions)에서 일반적으로 서열 전체 또는 전체-길이의 적어도 약 50%, 60%, 70%, 80% 또는 90% 이상으로 하이브리드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화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코돈 대신 축퇴 코돈을 함유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한 고려된다.
임의의 두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서열이 상동성, 유사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Pearson et al (1988)[Proc. Natl. Acad. Sci. USA 85]: 2444에서와 같은 디폴트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FASTA" 프로그램과 같은 공지의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EMBOSS 패키지의 니들만 프로그램(EMBOSS: The European Molecular Biology Open Software Suite, Rice et al., 2000, Trends Genet. 16: 276-277)(버전 5.0.0 또는 이후 버전)에서 수행되는 바와 같은, 니들만-운치(Needleman-Wunsch) 알고리즘(Needleman and Wunsch, 1970, J. Mol. Biol. 48: 443-453)이 사용되어 결정될 수 있다. (GCG 프로그램 패키지 (Devereux, J., et al, Nucleic Acids Research 12: 387 (1984)), BLASTP, BLASTN, FASTA (Atschul, [S.] [F.,] [ET AL, J MOLEC BIOL 215]: 403 (1990); Guide to Huge Computers, Martin J. Bishop, [ED.,] Academic Press, San Diego,1994, 및 [CARILLO ETA/.](1988) SIAM J Applied Math 48: 107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국립 생물공학 정보 데이터베이스 센터의 BLAST, 또는 ClustalW를 이용하여 상동성, 유사성 또는 동일성을 결정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상동성, 유사성 또는 동일성은 예를 들어, Smith and Waterman, Adv. Appl. Math (1981) 2:482에 공지된 대로, 예를 들면, Needleman et al. (1970), J Mol Biol.48: 443과 같은 GAP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열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요약하면, GAP 프로그램은 두 서열 중 더 짧은 것에서의 기호의 전체 수로, 유사한 배열된 기호(즉,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의 수를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GAP 프로그램을 위한 디폴트 파라미터는 (1) 일진법 비교 매트릭스(동일성을 위해 1 그리고 비-동일성을 위해 0의 값을 함유함) 및 Schwartz and Dayhoff, eds., Atlas Of Protein Sequence And Structure, National Biomedical Research Foundation, pp. 353-358 (1979)에 의해 개시된 대로, Gribskov et al(1986) Nucl. Acids Res. 14: 6745의 가중된 비교 매트릭스 (또는 EDNAFULL(NCBI NUC4.4의 EMBOSS 버전) 치환 매트릭스); (2) 각 갭을 위한 3.0의 페널티 및 각 갭에서 각 기호를 위한 추가의 0.10 페널티 (또는 갭 개방 패널티 10, 갭 연장 패널티 0.5); 및 (3) 말단 갭을 위한 무 페널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 "상동성" 또는 "동일성"은 서열들간의 관련성(relevance)를 나타낸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보적"은 서로 혼성화가 가능한 뉴클레오티드 염기 간의 관계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DNA에 관하여, 아데노신은 티민에 상보적이며 시토신은 구아닌에 상보적이다.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실질적으로 유사한 핵산 서열뿐만 아니라 전체 서열에 상보적인 단리된 핵산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단편"은 특정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일부 서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일부 서열이면서,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특이적인 서열을 포함함으로써,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에 이용될 수 있는 일부 영역의 서열을 의미한다.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일부 서열이면서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는 한, 서열이나 그 길이는 제한되지 않고, 상기 단편의 양 말단에 무의미한 서열이 부가되거나, 일부 서열이 치환된 서열 역시 본 출원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편은 서열번호 8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마커는 서열번호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마커는 서열번호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서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검출할 수 있는 제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검출하는데 이용하는 임의의 제제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마커의 서열 전체를 검출하는 제제뿐 아니라, 그 일부를 검출하여 마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제제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상기 검출할 수 있는 제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출원의 마커를 증폭하고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의미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프로브, 프라이머 쌍, 항체, 앱타머,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프라이머"는 검출하려는 핵산 가닥에 상보적인 단일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하며, 프라이머 연장 산물의 합성을 위한 개시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프라이머는 PCR 반응을 통한 마커의 검출에 이용되기 위해 제작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길이 및 서열은 요구되는 DNA 또는 RNA 표적의 복합도(complexity)뿐만 아니라 온도 및 이온 강도와 같은 이용 조건에 따라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라이머 쌍은 서열번호 15 및 1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및 1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및 2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 및 2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 및 2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5 및 2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7 및 2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또는 서열번호 29 및 3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프로브"는 공지의 방법으로 특정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 조제될 수 있는 프로브, 예를 들면, 상기 염기 서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상보 서열과 엄격한 조건 하에 하이드리드화 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출원의 범주에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엄격한 조건(stringent condition)"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 간의 특이적 혼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은 문헌 (예컨대, J. Sambrook et al., 상동)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동성(homology) 또는 동일성(identity)이 높은 유전자끼리, 80% 이상, 85% 이상,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97% 이상, 특히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고, 그보다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낮은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지 않는 조건, 또는 통상의 써던 하이브리드화(southern hybridization)의 세척 조건인 60℃, 1 X SSC, 0.1% SDS, 구체적으로는 60℃, 0.1 X SSC, 0.1% SDS, 보다 구체적으로는 68℃, 0.1 X SSC, 0.1% SDS에 상당하는 염 농도 및 온도에서, 1회, 구체적으로는 2회 내지 3회 세정하는 조건을 열거할 수 있다.
혼성화는 비록 혼성화의 엄격도에 따라 염기 간의 미스매치 (mismatch)가 가능할지라도, 두 개의 핵산이 상보적 서열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용어, "상보적"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55 ℃의 Tm 값에서 혼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혼성화 조건을 사용하고 상술한 조건을 사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m 값은 60 ℃, 63 ℃ 또는 65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목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혼성화하는 적절한 엄격도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길이 및 상보성 정도에 의존하고 변수는 해당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Sambrook et al., supra, 9.50-9.51, 11.7-11.8 참조).
본 출원에서, "진단"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어 뿌리 썩음병이 발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면 시료에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특이적인 서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뿌리 썩음병 진단용 조성물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갖는 특이적인 마커, 즉,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이 채취된 시료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시료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었는지 여부, 또는 뿌리 썩음병에 걸렸는지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뿌리 썩음병은 오일팜나무에서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의해 발병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뿌리 썩음병이 발병하는 식물체는 Elaeis guineensis, Elaeis oleifera, Attalea maripa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은 진균류(fungi)에 속하는 미생물로서, Ganoderma 속 미생물은 아시아에서 전통적으로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Ganoderma 속 미생물, 그 중에서도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뿌리 썩음병의 원인균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기 미생물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마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Ganoderma boninenseGanoderma orbiforme, Ganoderma orbiformum, Ganoderma miniatocinctum, Ganoderma lucidum var. orbiformis, Polyporus cupreus, 또는 Fomes orbiformis 등으로도 명명될 수 있고,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미생물이면 모두 포함되며, 명칭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트는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 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뿌리 썩음병 진단용 키트는 현장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에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트는 RT-PCR 키트, 면역 스트립, DNA 칩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래피드(rapid) 키트 또는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키트, 및 ELISA 진단 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면 그 작동 원리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키트는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해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다른 구성 성분의 일 예로, 적합한 담체, 검출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지 물질, 발색단(chromophores), 용해제, 세정제, 완충제, 안정화제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지물질이 효소인 경우에는 효소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질 및 반응 정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는 가용성 담체, 불용성 담체가 있고, 가용성 담체의 일 예로 당 분야에서 공지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액, 예를 들어 PBS가 있고, 불용성 담체의 일 예로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불소 수지, 가교 덱스트란, 폴리사카라이드, 라텍스에 금속을 도금한 자성 미립자와 같은 고분자, 기타 종이, 유리, 금속, 아가로오스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키트는 마커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쌍, 및 검출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키트는 마커 검출을 위해 수행되는 증폭 반응에 필요한 시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및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실시간 PCR 반응 수행 및 분석을 위해 필요한 시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키트는 최적의 반응 수행 조건을 기재한 사용자 안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 예를 들면, PCR 버퍼 제조 방법, 제시되는 반응 조건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이다. 안내서는 팜플렛 또는 전단지 형태의 안내 책자, 키트에 부착된 라벨 및 키트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표면상에 설명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서는 인터넷과 같이 전기 매체를 통해 공개되거나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칩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칩을 제공한다. 상기 칩은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 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칩은 DNA 칩, 또는 단백질 칩일 수 있다.
상기 DNA 칩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마커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가 부착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형광표식 프로브를 제작하기 위한 시약, 제제, 효소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대조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백질 칩은 본 출원의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뿌리 썩음병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 및 채취된 시료에서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뿌리 썩음병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편은 서열번호 8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시료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판단할 수 있는 한,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으나, 토양, 식물체 등이 될 수 있고, 토양 시료의 경우, 시료의 채취 깊이, 채취 방법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검출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RT-PCR),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competitive RT-PCR), 실시간 중합효소반응(real time RT-PCR),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real time quantitativ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method), 노던 블랏팅(Northern blotting), 유전자 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진단 방법의 한 예로서,
(a)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
(b) 시료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본 출원의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는 실시간 PCR을 수행하여 마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진단 방법은, (d) 대조군 시료에서 본 출원의 마커를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거나, 또는, (e) 상기 대조군 시료에서 검출된 본 출원의 마커와 (c) 단계에서 확인된 시료 내 마커의 검출 결과와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마커 검출 방법은 마커를 증폭한 후 증폭된 마커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으나, 당업계에 알려진 마커 검출 방법이라면 특정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검출 결과는 증폭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의 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대조군 시료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시료, 또는 뿌리 썩음병이 발병하지 않은 시료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본 출원의 진단 방법은 (f) 대조군 시료와 시료 내 증폭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단편의 양을 비교하여,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특이적으로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단편의 양이 증가할 경우, 뿌리 썩음병에 걸린 것으로 진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시료 또는 시료 내 포함된 미생물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TAB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wizard prep 키트 (Promega)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할 수 있다.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은 중합효소연쇄반응 (PCR), 리가아제 연쇄반응 (ligase chain reaction), 핵산 서열 기재 증폭 (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ion), 전사 기재 증폭 시스템 (transcription-based amplification system), 가닥 치환 증폭 (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또는 Qβ 복제효소 (replicase)를 통한 증폭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핵산 분자를 증폭하기 위한 임의의 기타 적당한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PCR이란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표적 핵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으로부터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PCR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키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간 PCR은 각 PCR을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범위 내에서 비교하기 위해 매 시기의 PCR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 DNA 정량기법인 실시간 PCR 방법은 열순환기 (thermal cycler)와 분광 형광광도계가 일체화된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PCR 증폭 산물의 생성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최초의 시료에 존재하는 표적 DNA 양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실시간 PCR은 미생물 배양에 기초할 수밖에 없었던 기존의 미생물 정성 및 정량 방법을 대체하여 미생물의 분리 및 배양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미생물의 정성 및 정량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간 PCR 방법은 절대 정량 (absolute quantification)과 상대 정량 (relative quantification) 분석으로 구분되는데, 시료 내의 표적 DNA를 정량하기 위해서는 표준시료의 검량선 (표준곡선; standard curve) 작성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표준시료와 미지시료를 대상으로 동시에 정량적 실시간 PCR을 실시하여 표준시료로부터 검량선을 도출한 후, 이 검량선으로부터 미지시료 내 표적 DNA의 양을 정량한다. 이때 표준시료로부터의 검량선 (x축: 표준시료의 농도, y축: 역치 주기 수 (CT; threshold cycle))은 상관지수 (R2)가 1에 가까울수록, 기울기가 -3.33에 가까울수록 이상적이다. "정량적 PCR"이란 증폭반응 개시 시의 주형 DNA 양을 정량하기 위한 PCR로서, 반응 중 임의의 시점에서 증폭대상의 분자에 대해 증폭을 확인할 수 있는 PCR을 의미한다. 정량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그와 같은 PCR과 반응 개시 시의 주형 DNA 분자 수와 그 증폭의 지표가 되는 신호를 관련짓는 검량선이 조합된다. 이 검량선은 분자 수가 알려진 표준시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검량선은 정량하고자 하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마커를 표준시료로 하고, 이를 특이적으로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정량적 실시간 PCR을 수행함으로써, 표준시료의 증폭으로부터 작성된 검량선을 기준으로 시료 내 존재하는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마커의 역치 주기 수 (CT)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증폭된 표적 서열은 검출 가능한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상기 표지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형광을 발하는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현재 실시간 PCR에 사용되는 검출 방법 (detection chemistry)은 일반적으로 Sybr Green I을 이용하는 비특이적 방법과 혼성화 프로브 (hybridization probe)를 이용하는 특이적 방법으로 나뉜다. Sybr Green I은 이중나선 DNA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형광을 방출하며 실시간 PCR 기기는 이 형광의 양을 측정하여 DNA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혼성화 프로브는 특이적으로 상보적인 염기서열에 혼성화되어 PCR 반응 중에 형광을 방출한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혼성화 프로브로서 택맨 프로브 (taqman probe, dual labeled fluorogenic probe)는 5'-말단에는 형광 리포터가, 3'-말단에는 소광제 (quencher)가 결합되어 있다. 택맨 프로브의 형광 리포터는 소광제와 근접하여 존재하는 경우, 형광이 상쇄되어 검출되지 않는다. 택맨 프로브가 특이적 표적 염기서열에 혼성화되어 PCR 증폭이 진행되면 Taq DNA 폴리머라제의 5'-3' 엑소뉴클레아제 (exonuclease) 활성에 의해 택맨 프로브가 분해되면서 형광 리포터가 자유롭게 방출되고, 그로 인해 소광제와 멀어지면서 형광을 발산하게 된다. 이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표적 DNA 조각의 생성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방법에서 이용하는 프라이머 쌍은 서열번호 15 및 1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및 1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및 2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 및 2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 및 2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5 및 2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7 및 2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또는 서열번호 29 및 3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일 수 있고, 본 출원의 방법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하는 단계는 서열번호 15 및 1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및 1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및 2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 및 2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 및 2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5 및 2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7 및 2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또는 서열번호 29 및 3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을 이용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용 조성물은 시료(예를 들어, 토양)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본 출원의 마커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채취된 시료에서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 방법은 본 출원의 마커, 또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료 내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뿌리 썩음병 진단 용도를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의 뿌리 썩음병 진단 용도; 또는 (ⅱ)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의 뿌리 썩음병 진단 용도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 용도를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의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 용도; 또는 (ⅱ)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과 최소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의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 용도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Ganoderma boninense 균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마커는 토양에서 직접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미생물의 오염으로 인한 뿌리 썩음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오일팜 농장에서의 산업적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말레이시아 토양에서 본 출원의 마커로 Ganoderma boninense 균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출원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출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Ganoderma boninense 균의 서열 추출 및 특이적 마커 발굴
본 발명자들은 뿌리 썩음병의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마커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에, Ganoderma boninense은 직접 미생물의 DNA 서열을 확보하여, 확보된 서열로부터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특이적 마커를 발굴 및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시퀀싱을 통해 본 발명자들이 확보한 Ganoderma boninense 균주의 DNA 서열(2,544contig, 95,911,849bp), NCBI(https://www.ncbi.nlm.nih.gov/)의 nt database (178,448,606,127bp)에 공지된 Ganoderma 속 미생물의 DNA 서열, 및 Ganoderma 속이 아닌 fungi 균주의 DNA 서열(2,391개 strain, 80,288,864,015bp) 정보를 확보하였다.
이후, 본 발명자들이 확보한 토양 샘플 중, metagenome 분석 결과 Ganoderma 속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토양의 gDNA서열을 NGS를 통해 확보하였다(7,724,586,454bp).
이후, NCBI 데이터베이스 내 Ganoderma boninense에 속하지 않는 미생물과 말레이시아 토양 DNA에서 확보한 미생물 서열을 비교하여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특이적인 마커인 Ganoderma boninense 유래의 서열번호 1 내지 7의 서열을 발굴하였다.
실시예 2: Ganoderma boninense 균 특이적 마커를 이용한 뿌리 썩음병의 진단
상기 실시예 1에서 확보한 마커를 이용하여 토양에서 직접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의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제작하였으며, 상기 프라이머가 결합하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특이적 서열 내 영역은 각각 서열번호 8 내지 14의 서열과 같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14의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정보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마커 및 단편 정보 프라이머 정보
마커 서열번호 단편 서열번호 서열번호 서열
1 8 15 Forward ATACGCTATATGCAATTTCGAACCG
16 Reverse CGTATTCGAATACTCTCAATCTGCG
2 9 17 Forward GAGGAGATCGAGGACAATCTTTGTA
18 Reverse TACCTTTGAAGCGATATCAGCACTA
3 10 19 Forward GGGTGAGTCTTGACATTGTACAAAT
20 Reverse CGTGTTACCCTCCTCTTTCACTTAT
21 Forward GGGTGAGTCTTGACATTGTACAAATT
22 Reverse CGTGTTACCCTCCTCTTTCACTTAT
4 11 23 Forward ATACTCACGTTGGTTTACGCCTAAA
24 Reverse CCTCACAATGAGCATCTTAGACCTA
5 12 25 Forward TCTCGACATGTGCGATATTCCATAT
26 Reverse CAAAAAGTGGATCCTAGAGAAACGG
6 13 27 Forward GCATAAGAACCAATCTCGACTACAG
28 Reverse ACGGTAAATCATGCCAACATTTTCT
7 14 29 Forward CCCAAAGCCTTTTATACCGGGTATA
30 Reverse AGCCTCTCAACCTAGTGGAAATTAG
상기 서열번호 15 및 1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및 1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및 2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 및 2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 및 2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5 및 2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7 및 2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또는 서열번호 29 및 3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토양에서 Ganoderma boninense 균에 의한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말레이시아에서 채취한 Ganoderma boninense에 오염된 토양 샘플에서 얻어진 토양 DNA 300~500ng 또는 genomic DNA (G.boninense 또는 Ganoderma 속 미생물이 아닌 다른 fungi) 1~20ng을 AccuPowr® PriFi Taq PCR PreMix 튜브에 넣고, 10 pmol/uL의 서열번호 15 및 16의 프라이머를 1uL 첨가하였다. 이후, 증류수를 넣어 전체 volume이 20uL이 되도록 하고, Blue pellet을 잘 녹인 다음에 spin down하였다. 이후, Thermocycler에 setting한후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PCR을 진행하였다.
95℃에서 5분후 95℃에서 20초, 60℃에서 30초, 68℃에서 1분간 30~50cycle을 돌린다. 이후 68℃에서 5분간 두었다.
온도 시간 Cycles
95°C 5분 1cylces
95°C 20초 30~50cylces
60°C 30초
68°C 1분
68°C 5분 1cylces
PCR 반응이 끝난 후, 4℃에서 유지시키고, 1% agrose gel에 20uL를 모두 로딩하여 전기영동으로 PCR 산물을 분석하였다. 얻어진 PCR 산물로부터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PCR 산물의 밴드 강도 (band intensity)로부터 상기 Ganoderma boninense 균에 의한 토양의 오염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서열번호 15 및 16의 프라이머와 동일한 방법으로 서열번호 17 및 18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9 및 20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1 및 22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3 및 2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5 및 26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7 및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9 및 30의 염기서열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고 오염 정도를 확인하였다(도 1).
도 1의 각 레인이 나타내는 바는 다음과 같다. 레인 8은 DNA ladder를, 레인 1 내지 7 및 9는 뿌리썩음병이 발생한 토양 DNA를 이용한 PCR 산물을 나타내며, 레인 1은 서열번호 1 또는 8 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15 및 16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산물; 레인 2는 서열번호 2 또는 9 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17 및 18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산물; 레인 3은 서열번호 3 또는 10 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19 및 20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산물; 레인 4는 서열번호 3 또는 10 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21 및 22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산물; 레인 5는 서열번호 4 또는 11 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23 및 24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산물; 레인 6은 서열번호 5 또는 12 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25 및 26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산물; 레인 7은 서열번호 6 또는 13 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27 및 28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산물; 레인 9는 서열번호 7 또는 14 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29 및 30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산물을 나타낸다.
도 1의 결과로부터, 본 출원의 마커를 이용하여 Ganoderma boninense 균에 의한 뿌리썩음병을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특이적으로 갖는 신규 마커를 발굴하였을 뿐만 아니라, 토양에서 Ganoderma boninense 균에 의한 뿌리 썩음병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A composition for detecting Ganoderma microorganism and diagnosing basal stem ro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130> KPA200382-KR-D1 <160> 3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888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1 agtttggctg ctgcgatgcg atcccgcgcc gttgcaaagg ccttcctttg ggtctcgtta 60 aatgatccac tgcctttgct gtagcaaaac gtctctgggg agaatgaacc tcgtatgggc 120 gcaaaaatga tttcttgggg attcgaaccg ttgacaccct tcaaatcatt tatacgggca 180 agctcaactt taccaactgc gccactaagc caaggacaga tgaaaaagtt atacgctata 240 tgcaatttcg aaccgcccag acaacatggg agtgcagcaa cttcaactac atttcgcgct 300 acatcggcaa ctcaccccag ctgcgcgtca acgttttccg gtctcggtac agtagggtac 360 agtcacgacc cgagagcatg ggagaagtcc tgcatgacta atacactagg caccatgcgg 420 gggccttatg gcgtcgagcg tggctgcagg tacgggaggg agactcaccc agagagccag 480 ggagtggtgc tgcctgcaca tcatcctacg tcgcagatac tgcgctcaga acttgcaggt 540 cgagaccggg caccatcgca gattgagagt attcgaatac gcagacgatg cgacggaggt 600 aggtcacagg agaagagata cgaagggcag agggggcggc ggatgacagc gggaagcgat 660 gttgtcgggc ttatccgtgt gtgtcggaaa cagcactagg gttcataaaa aatctccttt 720 cccgaaggtg aatggtggag tggtagcggc gcggctccaa cacagtgtgc gccggttcga 780 gtcccaccgg tatgccctct ttttaaccca gggtagctgc ggtgcgttgg tcagtggctg 840 tgccatcgcg cgcttaagtc tcggttactg cttgtccccg accttagt 888 <210> 2 <211> 178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2 tacatcgcga acggtagtgt gcacctgtga gccggctgtc gcctggtacg tgaaccgtgg 60 ctcggggtga tcaggcagtg actggaaagg tgtcgtaatg gcaaggtaga ccgggcctgg 120 agaagtcttc gaccgtcgtc gccgagggag gcggagacgt gagtttgagg tttacggcgc 180 atgagacgtg agtttgtggt ttacggcgca tgaatgagtg tggaggttat cgagggagga 240 gagttaacgt gtggctgaag actaggatct gtaacgtgaa gcttgtaggt cgtcatccgc 300 ctaaacaggt gtagtcggct atcagaagtg gccgaacaca gtattccaac tccttggtcg 360 agtgagtgga attttgacga aagcccccgg ctaaaccagt aggttacaag ggttcgacag 420 tcgagagggg aatcatcgta gcccgatcca gcgtagcggg taggaacgca tagtatacat 480 ttcgaattac ctatacaaaa tctgaaagag gttttattta ttagagcgac tgttgtagct 540 gatggaagac gtatgagtac tcacgactgg ctacgatcaa aggataagca gtgccaatgg 600 atggatggta gagcaatcgg caaaagagct cgtgtggtgg ccccgtctca agttattcgt 660 tagcaggcgt acaatctgaa aagcttgcaa cgacgcaact gtaattcagt ggggaaataa 720 acctttagtt tgatcggttg ccggaggaat gcgctgtaag acttgctctg tgtgcaactt 780 gacaccccga ggaggaatcc ctaacttgat ggttgcgtga ggaggtcggg tgggagaaat 840 gctgggaata tacggtgcat tgattagtgc gcagtgctgc aaaacaacag aggcttaacc 900 gtggggtaca tgataccgca gtaggggcag tcaagattca acaaaaagat gatagaaatg 960 cgagtgcgtt cgaacgagga gatcgaggac aatctttgta ggggtatggg gcaggttccg 1020 gatcaagcag catgggtaaa atgaacctac acgtgatgag aaaatgcgcc acatcactat 1080 ttcaaacctc ggtgaataca actctgtgac cgcgatattg gactttgttt gagaaaagca 1140 tgccacacag aacgtgtcga cgaggggaga cggagggaca gaagcgacac gccctggaga 1200 atgtcccgcg gacttgggaa catatgtgcc ccaaaaggtg acgcagacgc agacaaatag 1260 tgctgatatc gcttcaaagg taacacttgc gaagccttca accaaccaac acatatcctt 1320 ggatgtagct actactgcgg ctgccatcga ggcctcgtga ccctcgggct cgcgccgacg 1380 cgagctgccg gtgcaggaag cctgtcaatt ctccatctcg tactgtgctt gctcgcgggt 1440 aggtgggggc tccgacagcg cccttttgac tacctctggg ttgctcaagg aacactaagc 1500 gaccttcgaa accgccctcg cgcctctcat gcgacacacc acccacaatc cggtcagcat 1560 gatggataag tcagaaagtc gataaccaca acccgcgtcg ctaacacgta tgaatgacgt 1620 gcccgcggaa ctcgccgccg atgggcgcat tcagagcagc cttgcgaaga cgagagcagc 1680 aatgcggctt tacacactcg gatgaaagga atgcgttttg agccaatgta ccaaccgccc 1740 gacaacgaca aaggtgaaga agatcacaga tgtcgttcaa 1780 <210> 3 <211> 437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3 gtccgatcat gctaatgggc catgggtggg gtgagtcttg acattgtaca aattactttt 60 atccggttca gaatgagtta ttttctaaag ttctaccaag ttcacattct attgatgcgt 120 gagcaatgcg gctgtggtct agcggtaatg tgcgcctcct taagctgcag atgctgaggc 180 ccgaaaattc aaatctgccg tcgtctgggt gtgtctgcgc aagggtgctt cacgctcctg 240 gatacctggg ctacttacac tgctcgccgc cggacaactc aagggatgag tgtgctagga 300 agcacttcag tctccgaggt gtcgcaataa gtgaaagagg agggtaacac ggcttgaacg 360 atgaaagtgc agtgcatagc ggtttcgagg ccaccgacgc cttcatccgc accggctgag 420 cgtcccaacg ggggctg 437 <210> 4 <211> 91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4 ggggtgcgaa tttgactggt cgcactcaca agttcgtcgg gtacacatgc tcagcatttt 60 cgcctgcgtc gactgcttct cggtcaggtt gatacaaggc agatgaaaac ctctgaactt 120 actgatgcca aactgtttgt cttcacctgc aacgaactct cctggcctgc gaaccaagct 180 atttcattgc gggggacata tgcagcacgg cgattgtgcg aagccggcat gattgtcgct 240 gtggagcgaa ccaccgcatc aatcgcaatg tcctggttga gacaggggtg aagaagaacg 300 acgcaaagtg gtgttgacag tggcgaggca caggtcattc cgcccaacat gctgatgagg 360 tactgaccag tcctcgcccc gttccgcgtc tcacatccac caaggacgcc cttccgcgcg 420 tggaatctac ctcgccaata ctcctccgag cacaatgcgc agccgaaaaa caatactcac 480 gttggtttac gcctaaacgc acgaatctcc tgctctaggc aatgcgctat cgagtcctga 540 tgctgcgata gctggaaatc cgccggttgg agcgttgagc cggaggcgaa acgttgcgtg 600 gtgtactcga ctatccagaa cagagagaag cagtcaaaag gagcagcgac aggtgagaac 660 aggctgagag caaatgaagg ttggagatgc agggactgaa ggaagagaag cagacgccgc 720 acgtcgcaat tcttcctgag tccattaggc gctccaaacc gcaagtggcg atgccctgcg 780 ccttttcaac tcagctcaca acagcgaact ctgcattgtg gtaggtctaa gatgctcatt 840 gtgaggctcc actcccggct gacaccgtac tcaacgtggt cgggctgggc cccacacaaa 900 ttcatatcag acc 913 <210> 5 <211> 412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5 ttggactcga atgtctcgac atgtgcgata ttccatattc tcatctttgc gcccttagcc 60 ttattgtcac atgaaagtga gtctcgggcg agatttcgac atcgtcttgg tccaggttta 120 acaacgttga caaagtcgtt tatacctcaa ctttgcgagc gctagctcaa gtgaaactcc 180 tccagagtcc aaaccgcctt atcggtccat accctcaggc aagtgtgtac aacgatgctt 240 tacctcaact ccgggggggg ccgtctatcg ctccctctga aaacaagctt cactaccaag 300 cgtagtggaa gcaagcgtgt aaaacaaatg tatagagcac tagtctaaat atcttgctcc 360 cgtttctcta ggatccactt tttgctggat tacaaccgac tttggcggag aa 412 <210> 6 <211> 73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6 tccaacttcg ctcccctgta gaacatttcc gtagatttct aacgacatga ccgtccttgc 60 gtgggtgggc ttccccctgc caagcaggcc taagcctgcc agatccaagc cgtgtagtcc 120 aagccagccg aaatgagcag gcctcgcgct gctccaaccc gtagtctact gacgatcctc 180 aacaatagac tcatttgaag accggcaaat gggtgatcat tgcggcagaa gcagataagc 240 atgggggggg caatggaacc ctcctccaga ggagggccga atactcgaca tggtcggcct 300 tggttgacct gacgcaggac gtcatgtcat tcatggagcg cgagggatga aacggccccc 360 cacctggcac aggtggcata agaaccaatc tcgactacag atatatgtgg tttcctgggc 420 tgtcgatggc agacacatcc gcacctgttc gtagcacacg ccgctccttc cacctcggta 480 tcatcttcgt ccttaacgga cttgagtacc gggagccatt gatcgaagca cccgaggaca 540 cgatcgcata cgtgtttacg gaggtagtcc taccgggatg cgaccaacgg gtgatttaca 600 aagtaggcaa tacctgagct gatatcagtt gtgacgttag ccggcagagc gacagaaaat 660 gttggcatga tttaccgtta tgcactagca ccgcagcaaa tgtgttcgtc tcgaactgca 720 gctcccttgg 730 <210> 7 <211> 41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7 ggctagcggc tagagacgac ggatggtgac tgctgcctgc atttcaatgg cgagcccaaa 60 gccttttata ccgggtataa acatagattg ttctgtaacc tggagtccaa atagacctcc 120 atcgctgtgt ccagccatgg cttggtcgta ggatcggagg cgagacagta ggtatcccgg 180 atgtacacct caacctggtg ctctgaaacg tatcacgctc attttccgtt gctaacatga 240 attaagcttt acatccgctg caccctcaag gtcattgtgt ccatcctaat ttccactagg 300 ttgagaggct ggcgtgtacg tatggtcacg tatgtccatg tataaccatg ttcagctatg 360 atctacacag gaagtattca atggctatgt ctatgttaca tatccgatgc t 411 <210> 8 <211> 35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8 atacgctata tgcaatttcg aaccgcccag acaacatggg agtgcagcaa cttcaactac 60 atttcgcgct acatcggcaa ctcaccccag ctgcgcgtca acgttttccg gtctcggtac 120 agtagggtac agtcacgacc cgagagcatg ggagaagtcc tgcatgacta atacactagg 180 caccatgcgg gggccttatg gcgtcgagcg tggctgcagg tacgggaggg agactcaccc 240 agagagccag ggagtggtgc tgcctgcaca tcatcctacg tcgcagatac tgcgctcaga 300 acttgcaggt cgagaccggg caccatcgca gattgagagt attcgaatac g 351 <210> 9 <211> 307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9 gaggagatcg aggacaatct ttgtaggggt atggggcagg ttccggatca agcagcatgg 60 gtaaaatgaa cctacacgtg atgagaaaat gcgccacatc actatttcaa acctcggtga 120 atacaactct gtgaccgcga tattggactt tgtttgagaa aagcatgcca cacagaacgt 180 gtcgacgagg ggagacggag ggacagaagc gacacgccct ggagaatgtc ccgcggactt 240 gggaacatat gtgccccaaa aggtgacgca gacgcagaca aatagtgctg atatcgcttc 300 aaaggta 307 <210> 10 <211> 32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10 gggtgagtct tgacattgta caaattactt ttatccggtt cagaatgagt tattttctaa 60 agttctacca agttcacatt ctattgatgc gtgagcaatg cggctgtggt ctagcggtaa 120 tgtgcgcctc cttaagctgc agatgctgag gcccgaaaat tcaaatctgc cgtcgtctgg 180 gtgtgtctgc gcaagggtgc ttcacgctcc tggatacctg ggctacttac actgctcgcc 240 gccggacaac tcaagggatg agtgtgctag gaagcacttc agtctccgag gtgtcgcaat 300 aagtgaaaga ggagggtaac acg 323 <210> 11 <211> 374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11 atactcacgt tggtttacgc ctaaacgcac gaatctcctg ctctaggcaa tgcgctatcg 60 agtcctgatg ctgcgatagc tggaaatccg ccggttggag cgttgagccg gaggcgaaac 120 gttgcgtggt gtactcgact atccagaaca gagagaagca gtcaaaagga gcagcgacag 180 gtgagaacag gctgagagca aatgaaggtt ggagatgcag ggactgaagg aagagaagca 240 gacgccgcac gtcgcaattc ttcctgagtc cattaggcgc tccaaaccgc aagtggcgat 300 gccctgcgcc ttttcaactc agctcacaac agcgaactct gcattgtggt aggtctaaga 360 tgctcattgt gagg 374 <210> 12 <211> 37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12 tctcgacatg tgcgatattc catattctca tctttgcgcc cttagcctta ttgtcacatg 60 aaagtgagtc tcgggcgaga tttcgacatc gtcttggtcc aggtttaaca acgttgacaa 120 agtcgtttat acctcaactt tgcgagcgct agctcaagtg aaactcctcc agagtccaaa 180 ccgccttatc ggtccatacc ctcaggcaag tgtgtacaac gatgctttac ctcaactccg 240 gggggggccg tctatcgctc cctctgaaaa caagcttcac taccaagcgt agtggaagca 300 agcgtgtaaa acaaatgtat agagcactag tctaaatatc ttgctcccgt ttctctagga 360 tccacttttt g 371 <210> 13 <211> 30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13 gcataagaac caatctcgac tacagatata tgtggtttcc tgggctgtcg atggcagaca 60 catccgcacc tgttcgtagc acacgccgct ccttccacct cggtatcatc ttcgtcctta 120 acggacttga gtaccgggag ccattgatcg aagcacccga ggacacgatc gcatacgtgt 180 ttacggaggt agtcctaccg ggatgcgacc aacgggtgat ttacaaagta ggcaatacct 240 gagctgatat cagttgtgac gttagccggc agagcgacag aaaatgttgg catgatttac 300 cgt 303 <210> 14 <211> 256 <212> DNA <213> Unknown <220> <223> Ganoderma boninense <400> 14 cccaaagcct tttataccgg gtataaacat agattgttct gtaacctgga gtccaaatag 60 acctccatcg ctgtgtccag ccatggcttg gtcgtaggat cggaggcgag acagtaggta 120 tcccggatgt acacctcaac ctggtgctct gaaacgtatc acgctcattt tccgttgcta 180 acatgaatta agctttacat ccgctgcacc ctcaaggtca ttgtgtccat cctaatttcc 240 actaggttga gaggct 256 <210> 1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5 atacgctata tgcaatttcg aaccg 25 <210> 1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6 cgtattcgaa tactctcaat ctgcg 25 <210> 1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7 gaggagatcg aggacaatct ttgta 25 <210> 18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8 tacctttgaa gcgatatcag cacta 25 <210> 19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9 gggtgagtct tgacattgta caaat 25 <210> 20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0 cgtgttaccc tcctctttca cttat 25 <210> 21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1 gggtgagtct tgacattgta caaatt 26 <210> 2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2 cgtgttaccc tcctctttca cttat 25 <210> 2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3 atactcacgt tggtttacgc ctaaa 25 <210> 2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4 cctcacaatg agcatcttag accta 25 <210> 2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5 tctcgacatg tgcgatattc catat 25 <210> 2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6 caaaaagtgg atcctagaga aacgg 25 <210> 2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7 gcataagaac caatctcgac tacag 25 <210> 28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8 acggtaaatc atgccaacat tttct 25 <210> 29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9 cccaaagcct tttataccgg gtata 25 <210> 30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30 agcctctcaa cctagtggaa attag 25

Claims (14)

  1.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조성물로서,
    상기 뿌리 썩음병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의해 발병하는 것이고,
    상기 단편은 서열번호 8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이 특이적으로 갖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프로브, 프라이머 쌍, 항체, 앱타머,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조성물.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쌍은 서열번호 15 및 1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및 1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및 2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 및 2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 및 2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5 및 2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7 및 2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또는 서열번호 29 및 3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인 것인, 조성물.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키트.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뿌리 썩음병 진단용 칩.
  9.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 및 채취된 시료에서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뿌리 썩음병 진단 방법으로서,
    상기 뿌리 썩음병은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에 의해 발병하는 것이고,
    상기 단편은 서열번호 8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하는 단계는 서열번호 15 및 1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및 1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및 2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 및 2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 및 2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5 및 2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7 및 2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또는 서열번호 29 및 3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을 이용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된 시료에서 증폭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용 조성물로서,
    상기 단편은 서열번호 8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4. 채취된 시료에서 서열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표현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anoderma boninense 미생물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단편은 서열번호 8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220041712A 2020-06-18 2022-04-04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492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712A KR102492587B1 (ko) 2020-06-18 2022-04-04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515A KR20220000426A (ko) 2020-06-18 2020-06-18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0220041712A KR102492587B1 (ko) 2020-06-18 2022-04-04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515A Division KR20220000426A (ko) 2020-06-18 2020-06-18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550A KR20220047550A (ko) 2022-04-18
KR102492587B1 true KR102492587B1 (ko) 2023-01-27

Family

ID=792681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515A KR20220000426A (ko) 2020-06-18 2020-06-18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0220041712A KR102492587B1 (ko) 2020-06-18 2022-04-04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515A KR20220000426A (ko) 2020-06-18 2020-06-18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000426A (ko)
WO (1) WO202125670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199A (ja) 2000-05-09 2001-11-13 Mitsubishi Chemicals Corp オイルパーム病害菌ガノデルマ・ボニネンセの検出法及び検出用プライマー
KR102147340B1 (ko) 2019-02-20 2020-08-25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098B2 (ja) * 1999-02-02 2000-10-03 工業技術院長 アブラヤシ土壌病害ガノデルマ属菌を検出するためのオリゴヌクレオチド及び方法
MY158356A (en) * 2009-04-03 2016-09-30 Synthetic Genomics Inc Composi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199A (ja) 2000-05-09 2001-11-13 Mitsubishi Chemicals Corp オイルパーム病害菌ガノデルマ・ボニネンセの検出法及び検出用プライマー
KR102147340B1 (ko) 2019-02-20 2020-08-25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 UTOMO ET AL, JOURNAL OF PHYTOPATHOLOGY, 2000, VOL.148, ISSUE.9_10, PP.507_514
MUTHUSAMY KARTHIKEYAN ET AL, PLANT PROTECT. SCI., 2006, VOL.42, NO.2, PP.49_57
YUSHAHFIRA AKUL ET AL, BULGARI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018, 24(5), PP.854_85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26A (ko) 2022-01-04
KR20220047550A (ko) 2022-04-18
WO2021256706A1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öhm et al. Real‐time quantitative PCR: DNA determination in isolated spores of the mycorrhizal fungus Glomus mosseae and monitoring of Phytophthora infestans and Phytophthora citricola in their respective host plants
JP5317430B2 (ja)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担体、及び真菌の判別同定方法
Kong et al. secA1 gene sequence polymorphisms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Nocardia species and recognition of intraspecies genetic diversity
Galetto et al. Real-time PCR diagnosis and quantification of phytoplasmas
KR102147340B1 (ko)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492587B1 (ko)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147351B1 (ko)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147327B1 (ko)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147412B1 (ko)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147392B1 (ko) Ganoderma 속 미생물 검출 및 뿌리 썩음병 진단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4648023B2 (ja) ジャガイモそうか病原因菌種の16SrRNA遺伝子若しくは16SrRNA遺伝子からITS領域間を増幅するための新規プライマー対、及びそれらを用いたジャガイモそうか病原因菌種の検出・識別方法
CN110804674B (zh) 一种基于重组酶聚合酶扩增方法检测大豆根腐病的引物探针组合物、试剂盒及其应用
US20150292039A1 (en) Method to amplify nucleic acids of fungi to generate fluorescence labeled fragments of conserved and arbitrary products
KR102634095B1 (ko) 고추에서 발생하는 5종의 곰팡이 진단을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및 진단 방법
KR102636355B1 (ko) 복숭아에서 발생하는 5종의 곰팡이 진단을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및 진단 방법
KR102629167B1 (ko) 고추에서 발생하는 5종의 곰팡이 진단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진단 방법
KR101750837B1 (ko) MNSV, SqMV, WMV, 및 CABYV 다중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2461769B1 (ko) 레몬 품종 선별용 마커 및 이의 용도
JP3634960B2 (ja) ジャイレース遺伝子を用いた結核菌群構成細菌の同定・検出方法
KR102612101B1 (ko) 로도코쿠스 파시언스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Bretagne Molecular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ngal pathogens
KR101686434B1 (ko) 벼 흰잎마름병균 hb01014 균주 및 이의 진단용 조성물
JP2021114970A (ja) ブドウファバウイルスの検出法
KR101570794B1 (ko) 백강균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230095540A (ko) 바실러스 균주 구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