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424B1 -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424B1
KR102491424B1 KR1020220155598A KR20220155598A KR102491424B1 KR 102491424 B1 KR102491424 B1 KR 102491424B1 KR 1020220155598 A KR1020220155598 A KR 1020220155598A KR 20220155598 A KR20220155598 A KR 20220155598A KR 102491424 B1 KR102491424 B1 KR 102491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ute hand
hour hand
disc
installation groove
h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이준혁
박은영
Original Assignee
김민석
이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석, 이준혁 filed Critical 김민석
Priority to KR102022015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5/00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 G04B25/02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by feeling; Clocks or watches for blind pers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는 구동부와 동력전달부를 내장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시계 본체, 상기 시계 본체에 세워져 설치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설치홈으로 연장되는 고정축,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침 회전축, 상기 설치홈에 수용되며 상기 분침 회전축의 외주면에 확장되도록 설치되는 분침 원판,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침 회전축, 상기 분침 원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설치홈에 수용되되 상기 분침 원판의 위쪽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시침 회전축의 외주면에 확장되도록 설치되는 시침 원판,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상기 시침 원판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설치홈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투명 보호창, 상기 분침 원판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투명 보호창의 외주면과 설치홈의 내주면 사이에서 상기 시침 원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분침 감지부, 상기 시침 원판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투명 보호창의 외주면과 설치홈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시침 감지부 및,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상기 분침 감지부의 외측에서, 시계 본체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점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A Wrist Watch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이 정확한 시간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로서 자석을 이용하는 손목 시계가 대표적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는, 표면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볼이 이동하는 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표면의 아래쪽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시침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볼이 시침과 함께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시각 장애인은 상기 볼의 위치를 파악하여 현재 시간을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시침에 형성된 자석의 자력이 크지 않아 상기 볼이 시침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많고 수시로 흔들리며 볼이 시침에 다시 안정적으로 붙을 때까지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하게 시간을 알아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분침 없이 단지 시침만 설치된 관계로 정확한 시간을 알아내기 어려운 단점도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84327호 (2020.02.2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침과 분침이 존재하며 함께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시각 장애인이 손가락으로 감지하여 정확한 시간을 알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한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는,
하부에는 구동부와 동력전달부를 내장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시계 본체;
상기 시계 본체에 세워져 설치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설치홈으로 연장되는 고정축;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침 회전축;
상기 설치홈에 수용되며 상기 분침 회전축의 외주면에 확장되도록 설치되는 분침 원판;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침 회전축;
상기 분침 원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설치홈에 수용되되 상기 분침 원판의 위쪽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시침 회전축의 외주면에 확장되도록 설치되는 시침 원판;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상기 시침 원판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설치홈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투명 보호창;
상기 분침 원판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투명 보호창의 외주면과 설치홈의 내주면 사이에서 상기 시침 원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분침 감지부;
상기 시침 원판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투명 보호창의 외주면과 설치홈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시침 감지부; 및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상기 분침 감지부의 외측에서, 시계 본체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점자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침 원판과 설치홈의 바닥 사이, 및 상기 시침 원판과 분침 원판 사이에는 볼 베어링이 각각 개재되며,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계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투명 보호창의 높이보다 시침 감지부 및 분침 감지부의 상단 높이가 더 높고, 상기 시침 감지부 및 분침 감지부의 상단 높이보다 점자 플레이트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침 감지부의 상단 형상과 분침 감지부의 상단 형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침 감지부와 분침 감지부는 각각 상부의 감지편과, 상기 감지편의 하부에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계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설치홈을 개폐하도록 투명 커버가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와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하는 시침 원판과 분침 원판에 각각 설치된 시침 감지부와 분침 감지부를 직접 손끝으로 감지하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이 한층 정확하게 시간을 알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침 원판과 설치홈의 바닥 사이, 및 시침 원판과 분침 원판 사이에는 볼 베어링이 각각 개재되며, 상기 볼 베어링은 고정축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상기 분침 감지부와 시침 감지부를 통해 상기 분침 원판과 시침 원판에 위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분침 원판과 시침 원판이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투명 보호창의 높이보다 시침 감지부 및 분침 감지부의 상단 높이가 더 높고, 상기 시침 감지부 및 분침 감지부의 상단 높이보다 점자 플레이트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어, 투명 보호창으로부터 시침 감지부나 분침 감지부로 자연스럽게 손가락을 상승 이동시킨 후 점자 플레이트로 연속 상승하여 시간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시침 감지부나 분침 감지부에 작용하는 손가락 하중, 즉 저항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침 감지부의 상단 형상과 분침 감지부의 상단 형상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시각 장애인이 시침과 분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 시간 파악이 한층 용이해진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침 감지부와 분침 감지부는 각각 상부의 감지편과 상기 감지편의 하부에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손가락에 의한 접촉시 완충을 통해 상기 시침 원판과 분침 원판에 작용하는 저항을 줄여서 한층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계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설치홈을 개폐하도록 투명 커버가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시간을 확인하지 않는 동안에는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완전히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1000)는, 하부에는 구동부(110)와 동력전달부(120)를 내장하는 수용공간(13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설치홈(140)이 형성되는 시계 본체(100), 상기 시계 본체(100)에 세워져 설치되되 상기 수용공간(130)의 바닥으로부터 설치홈(140)으로 연장되는 고정축(200), 상기 동력전달부(12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200)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침 회전축(310), 상기 설치홈(140)에 수용되며 상기 분침 회전축(310)의 외주면에 확장되도록 설치되는 분침 원판(320), 상기 동력전달부(12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200)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침 회전축(410), 상기 분침 원판(3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설치홈(140)에 수용되되 상기 분침 원판(320)의 위쪽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시침 회전축(410)의 외주면에 확장되도록 설치되는 시침 원판(420), 상기 고정축(200)의 상단에 상기 시침 원판(420)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설치홈(140)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투명 보호창(210), 상기 분침 원판(32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투명 보호창(210)의 외주면과 설치홈(140)의 내주면 사이에서 상기 시침 원판(420)의 외측에 배치되는 분침 감지부(330), 상기 시침 원판(42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투명 보호창(210)의 외주면과 설치홈(14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시침 감지부(430) 및, 상기 고정축(200)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상기 분침 감지부(330)의 외측에서, 시계 본체(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점자 플레이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점자 플레이트(500)에는 시간에 대응하는 점자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구동부(110)와 동력전달부(120)에 의해 회전하는 시침 원판(420)과 분침 원판(320)에 각각 설치된 시침 감지부(430)와 분침 감지부(330)를 직접 손끝으로 감지하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이 한층 정확하게 시간을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시침 감지부(430)와 분침 감지부(330)를 각각 별도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한층 정확한 시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투명 보호창(210)이 고정축(200)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상기 시침 원판(420)의 표면에 손가락 접촉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시침 원판(420)에 저항이 걸려서 시간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침 원판(320)과 설치홈(140)의 바닥 사이, 및 상기 시침 원판(420)과 분침 원판(320) 사이에는 볼 베어링(600)이 각각 개재되며, 상기 볼 베어링(600)은 상기 고정축(200)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분침 감지부(330)와 시침 감지부(430)를 통해 상기 분침 원판(320)과 시침 원판(420)에 위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분침 원판(320)과 시침 원판(420)이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600)이 설치되도록 상기 시침 원판(420)의 저면, 분침 원판(320)의 상면 및 설치홈(140)의 바닥에는 각각 레일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투명 보호창(210)의 높이보다 시침 감지부(430) 및 분침 감지부(330)의 상단 높이가 더 높고, 상기 시침 감지부(430) 및 분침 감지부(330)의 상단 높이보다 점자 플레이트(500)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투명 보호창(210)으로부터 시침 감지부(430)나 분침 감지부(330)로 자연스럽게 손가락을 상승 이동시킨 후 점자 플레이트(500)로 연속 상승하여 시간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시침 감지부(430)나 분침 감지부(330)에 작용하는 손가락 하중, 즉 저항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침 감지부(430)의 상단 형상과 분침 감지부(330)의 상단 형상은 다르게 형성되어 시각 장애인이 시침과 분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침 감지부(430)와 분침 감지부(330)는 각각 상부의 감지편(710)과, 상기 감지편(7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720)을 포함함으로써, 손가락에 의한 접촉시 완충을 통해 상기 시침 원판(420)과 분침 원판(320)에 작용하는 저항을 줄여서 한층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100)의 상단에는 상기 설치홈(140)을 개폐하도록 투명 커버(800)가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시간을 확인하지 않는 동안에는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완전히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시계 본체
110... 구동부
120... 동력전달부
130... 수용공간
140... 설치홈
200... 고정축
210... 투명 보호창
310... 분침 회전축
320... 분침 원판
330... 분침 감지부
410... 시침 회전축
420... 시침 원판
430... 시침 감지부
500... 점자 플레이트
600... 볼 베어링
710... 감지편
720... 압축 스프링
800... 투명 커버
1000...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Claims (6)

  1. 하부에는 구동부와 동력전달부를 내장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시계 본체;
    상기 시계 본체에 세워져 설치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설치홈으로 연장되는 고정축;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침 회전축;
    상기 설치홈에 수용되며 상기 분침 회전축의 외주면에 확장되도록 설치되는 분침 원판;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침 회전축;
    상기 분침 원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설치홈에 수용되되 상기 분침 원판의 위쪽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시침 회전축의 외주면에 확장되도록 설치되는 시침 원판;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상기 시침 원판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설치홈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투명 보호창;
    상기 분침 원판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투명 보호창의 외주면과 설치홈의 내주면 사이에서 상기 시침 원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분침 감지부;
    상기 시침 원판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투명 보호창의 외주면과 설치홈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시침 감지부; 및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상기 분침 감지부의 외측에서, 시계 본체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점자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침 원판과 설치홈의 바닥 사이, 및 상기 시침 원판과 분침 원판 사이에는 볼 베어링이 각각 개재되며,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투명 보호창의 높이보다 시침 감지부 및 분침 감지부의 상단 높이가 더 높고, 상기 시침 감지부 및 분침 감지부의 상단 높이보다 점자 플레이트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침 감지부의 상단 형상과 분침 감지부의 상단 형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침 감지부와 분침 감지부는 각각 상부의 감지편과, 상기 감지편의 하부에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설치홈을 개폐하도록 투명 커버가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KR1020220155598A 2022-11-18 2022-11-18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KR102491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598A KR102491424B1 (ko) 2022-11-18 2022-11-18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598A KR102491424B1 (ko) 2022-11-18 2022-11-18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424B1 true KR102491424B1 (ko) 2023-01-27

Family

ID=8510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598A KR102491424B1 (ko) 2022-11-18 2022-11-18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42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488U (ja) * 1993-12-28 1995-07-21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触覚式時計
KR19990036596U (ko) * 1998-02-25 1999-09-27 정명식 시각장애자용 시계
JPH11287873A (ja) * 1998-04-01 1999-10-19 Amanuma Akihiko 時 計
KR20100090520A (ko) * 2009-02-06 2010-08-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시계
KR20110008469A (ko) * 2009-07-20 2011-01-2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자용 점자 시계
KR200458227Y1 (ko) * 2011-11-24 2012-01-30 박재우 시계
KR20160073009A (ko) * 2014-12-16 2016-06-24 김동철 시각 장애인용 시계
KR20170131301A (ko) * 2017-11-10 2017-11-29 장효순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 및 청각적 손목시계
KR20170135178A (ko) * 2016-05-30 2017-12-08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장애인용 손목시계
KR102084327B1 (ko) 2018-10-04 2020-03-0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손목시계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488U (ja) * 1993-12-28 1995-07-21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触覚式時計
KR19990036596U (ko) * 1998-02-25 1999-09-27 정명식 시각장애자용 시계
JPH11287873A (ja) * 1998-04-01 1999-10-19 Amanuma Akihiko 時 計
KR20100090520A (ko) * 2009-02-06 2010-08-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시계
KR20110008469A (ko) * 2009-07-20 2011-01-2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자용 점자 시계
KR200458227Y1 (ko) * 2011-11-24 2012-01-30 박재우 시계
KR20160073009A (ko) * 2014-12-16 2016-06-24 김동철 시각 장애인용 시계
KR20170135178A (ko) * 2016-05-30 2017-12-08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장애인용 손목시계
KR20170131301A (ko) * 2017-11-10 2017-11-29 장효순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 및 청각적 손목시계
KR102084327B1 (ko) 2018-10-04 2020-03-0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손목시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792B2 (en) Automatic balance adjusting centrifuge
JP2000353051A (ja) 情報を指示する方法及びポインティング装置
EP1674825B1 (en) Inclination sensor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US8717855B2 (en) Dial plate structure and watch
JP5236082B2 (ja) 一体型センサーを備える回転ベアリング
KR102491424B1 (ko) 시각 장애인용 손목 시계
KR101963106B1 (ko) 회전각 검출 장치
CN105637325B (zh) 用于探测车辆中的旋转部件的转动角度的传感器组件
CN101105203B (zh) 带传感器的滚动轴承
JP2013237969A (ja) ドア操作力センサ及び自動ドア
US5408753A (en) Protractor with a rotor
WO2021084811A1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の操作ノブ
EP1850094A2 (en) Rotation sensor
US11392228B2 (en) Mouse device
KR101537023B1 (ko) 조그 셔틀
CN107749136A (zh) 自助图书馆终端及系统
US6109120A (en) Universal active shaft sensor mounting assembly
US6362469B1 (en) Rotation detector for multi-rotation body having detection window
US10293481B1 (en) Relative deflection detector
CN111223706B (zh) 开关装置及其组装方法
KR100543881B1 (ko) 자동 공구 교환의 제어를 위한 감지장치
CN215984645U (zh) 一种多组分红外测试设备
JP3814138B2 (ja) 磁気エンコーダを内蔵した測量機
CN219624801U (zh) 一种防尘隐藏式门窗传感器
JP2011149532A (ja) 回転センサ付き転がり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