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832B1 - 선상 낚싯대 거치대 - Google Patents

선상 낚싯대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832B1
KR102488832B1 KR1020200071358A KR20200071358A KR102488832B1 KR 102488832 B1 KR102488832 B1 KR 102488832B1 KR 1020200071358 A KR1020200071358 A KR 1020200071358A KR 20200071358 A KR20200071358 A KR 20200071358A KR 102488832 B1 KR102488832 B1 KR 10248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recess
base part
backward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393A (ko
Inventor
윤병용
Original Assignee
윤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용 filed Critical 윤병용
Priority to KR102020007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8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선상 낚싯대 거치대가 개시되며, 상기 선상 낚싯대 거치대는, 판상의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 후방에 형성된 후방 거치부(22);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서 전방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바(23); 상기 연장바(23)의 상측에 형성된 전방 거치부(24);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선상 가장자리에 설치된 원형 파이프(2)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유닛(40)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 후방에 고정되며 전방을 향해 있는 제1 원호 리세스(412)를 구비한 좌우 한 쌍의 고정 죠(41)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 전방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422)을 구비한 유지 플레이트(42)와, 상기 가이드 슬롯(422)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핀(431)을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호 리세스(412)와 협력하는 제2 원호 리세스(432)를 일측에 포함하되,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후방을 향하는 위치와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하방을 향하는 위치 사이로 회동하는 이동 죠(43)와, 상기 제1 원호 리세스(412)와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전후방으로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죠(43)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 죠(41)의 제1 원호 리세스(412)와 상기 이동 죠(43)의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상기 원형 파이프(2)를 고정하게 하는 죠 가압부(4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상 낚싯대 거치대{Fishing rod holder on ship}
본 발명은 선상 낚싯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선상의 파이프에 쉽고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그 파이프에 대하여 강한 고정력을 갖는 선상 낚싯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를 선상 가장자리 부근에 거치하기 위해 선상 낚싯대 거치대가 이용되고 있다. 통상, 선상 낚싯대 거치대는 선상(즉, 배 위) 가장자리 부근에 미리 설치된 원형 파이프에 고정된다. 그리고, 선상 낚싯대는 원형 파이프에 고정되는 부분과 낚싯대를 거치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종래의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보인 사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선상 낚싯대 거치대는 원형 파이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원형 클램프를 포함하며, 한 쌍의 원형 클램프 각각은 3개의 원호형 클램프 피스를 포함한다. 3개의 원호형 클램프 피스 중 기준 클램프 피스의 양측에 2개의 회동형 클램프 피스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각 원형 클램프는 각 회동형 클램프 피스를 관통하여 원형 파이프의 외주면의 접촉하는 볼트 체결구와 한 쌍의 회동형 클램프 피스 사이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볼트 체결구가 필요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선상 낚싯대 거치대는, 선상의 원형 파이프에 고정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며, 또한, 원형 파이프에 대하여 클램프가 신뢰성 있게 고정되지 못하고, 힘이나 진동이 가해질 때, 원형 파이프에 대하여 회전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하면서도, 선상의 원형 파이프에 쉽고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고, 그 원형 파이프에 대하여 강한 고정력을 갖는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는, 판상의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 후방에 형성된 후방 거치부(22);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서 전방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바(23); 상기 연장바(23)의 상측에 형성된 전방 거치부(24);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선상 가장자리에 설치된 원형 파이프(2)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유닛(40)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 후방에 고정되며 전방을 향해 있는 제1 원호 리세스(412)를 구비한 좌우 한 쌍의 고정 죠(41)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 전방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422)을 구비한 유지 플레이트(42)와, 상기 가이드 슬롯(422)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핀(431)을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호 리세스(412)와 협력하는 제2 원호 리세스(432)를 일측에 포함하되,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후방을 향하는 위치와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하방을 향하는 위치 사이로 회동하는 이동 죠(43)와, 상기 제1 원호 리세스(412)와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전후방으로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죠(43)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 죠(41)의 제1 원호 리세스(412)와 상기 이동 죠(43)의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상기 원형 파이프(2)를 고정하게 하는 죠 가압부(4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죠 가압부(45)는 상기 유지 플레이트(42)의 하부 전방측에 구비된 암나사부(451)와, 상기 암나사부(451)에 나사 결합되어 전후로 나사 이동하여 일단부가 상기 이동 죠(43)를 가압하는 볼트(452)와, 상기 볼트(452)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 회전 손잡이(45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죠(41, 41)는 상기 베이스(10)의 횡폭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에 대하여 좌우로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이동 죠(43)는 상기 베이스(10)의 횡폭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죠(43)의 두께(T1)는 상기 고정 죠(41) 각각의 두께(T2)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고정 죠(41) 사이의 간격(W)보다 작게 정해지고, 상기 제1 원호 리세스(412)의 내부과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의 내부면에는 톱니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는,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하면서도, 선상의 원형 파이프에 쉽고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고, 그 원형 파이프에 대하여 강한 고정력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이나 효과는 이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동 죠의 원호 리세스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선상의 원형 파이프와 마주하는 제1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동 죠가 중력을 이기고 회동하여 이동 죠의 원호 리세스와 고정 죠의 원호 리세스 사이에 선상의 원형 파이프가 헐겁게 위치하는 제2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동 죠와 고정 죠 사이에 선상의 원형 파이프가 단단히 클랭핑된 제3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의 실물 사진이고,
도 6은 도 6은 종래의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보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패널 조립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동 죠의 원호 리세스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선상의 원형 파이프와 마주하는 제1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동 죠가 중력을 이기고 회동하여 이동 죠의 원호 리세스와 고정 죠의 원호 리세스 사이에 선상의 원형 파이프가 헐겁게 위치하는 제2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동 죠와 고정 죠 사이에 선상의 원형 파이프가 단단히 클랭핑된 제3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의 실물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1)는, 판상의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 후방에 형성된 후방 거치부(22)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서 전방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바(23) 상측에 형성된 전방 거치부(24)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선상(선박 위) 가장자리에 설치된 원형 파이프(2)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유닛(40)은 선상의 원형 파이프(2)에 상기 선상 낚싯대 거치대(1)를 클램핑하는데 이용되고, 상기 후방 거치부(22) 및 상기 후방 거치부(22)보다 높게 위치한 상기 전방 거치부(24)는 낚싯대(미도시됨)를 상측으로 경사지게 거치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후방 거치부(22) 및 상기 전방 거치부(24)는 상측을 향해 오픈된 U형 또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유닛(40)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 후방에 고정되며 전방을 향해 있는 제1 원호 리세스(412)를 구비한 좌우 한 쌍의 고정 죠(41)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 전방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422)을 구비한 유지 플레이트(42)와, 상기 가이드 슬롯(422)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핀(431)을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호 리세스(412)와 협력하는 제2 원호 리세스(432)를 일측에 포함하되,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후방을 향하는 위치와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하방을 향하는 위치 사이로 회동하는 이동 죠(43)와, 제1 원호 리세스(412)와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전후방으로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죠(43)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 죠(41)의 제1 원호 리세스(412)와 상기 이동 죠(43)의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상기 원형 파이프(2)를 단단하게 고정하게 하는 죠 가압부(4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죠 가압부(45)는 상기 유지 플레이트(42)의 하부 전방측에 구비된 암나사부(451)와, 상기 암나사부(451)에 나사 결합되어 전후로 나사 이동하여 일단부가 상기 이동 죠(43)를 가압하는 볼트(452)와, 상기 볼트(452)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 회전 손잡이(453)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452)의 선단에는 직경 또는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삽입형 접촉 돌부(452a)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 죠(43)에는 상기 볼트(452)가 상기 이동 죠(43)을 밀때, 상기 삽입형 접촉 돌부(452)가 삽입되어 접촉하는 접촉 홈(43a)가 형성된다. 접촉 홈에 대한 접촉 돌부의 삽입은 보다 더 단단한 클램핑을 가능하게 하고 볼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 죠(41, 41)는 상기 베이스(10)의 횡폭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에 대하여 좌우로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 죠(41)는 고정된 상태로 제1 원호 리세스(412)가 항상 전방을 향해 있다. 또한, 상기 제1 원호 리세스(412)의 내부면에는 원형 파이프(2)와 맞물림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톱니들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 죠(43)는 상기 베이스(10)의 횡폭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 죠(43)의 두께(T1)은 상기 고정 죠(41) 각각의 두께(T2)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고정 죠(41) 사이의 간격(W)보다는 작게 정해진다. 이러한 구성은 한 쌍의 고정 죠(41, 41)와 하나의 이동 죠(43)가 서로 엇갈려 배치된 상태에서 원형 파이프(2)에 대해 클램핑력을 높여주는데 크게 기여한다. 상기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 죠(41)와 상기 이동 죠(43)가 엇갈려 배치되는 것은 상기 고정 죠(41)와 상기 이동 죠(43)의 협력을 통해 상기 원형 파이프(C)의 외주를 형성하는 원과 강하게 맞물리는 미세하게 작은 원 또는 찌그러진 원 형태의 클램핑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종래기술과 같이, 복수개의 클램핑 피스가 동일 평면 상에서 원형의 클램핑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그 클램핑 공간을 형성하는 원이 원형 파이프의 원과 같거나 미세하게 클 수 밖에 없으므로, 원형 파이프의 원치 않는 회전을 막을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정 죠(41)와 이동 죠(43)가 좌우측으로 엇갈려 있음으로 인해, 원형 파이프와 강하게 맞물릴 수 있는 클램핑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차례로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상 낚싯대 거치대(1)가 선상의 원형 파이프(2)에 고정 결합되는 순서를 차례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죠(43)의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상기 이동 죠(43)의 무게 중심으로 인해 하방을 향해 회동되어 있는 제2 원호 리세스(432)의 내부면이 아래에 위치한 원형 파이프(2)와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죠(43)의 선단과 상기 고정 죠(41)의 선단 사이의 거리가 상기 원형 파이프(2)의 외주 직경보다 크게 확장되므로, 원형 파이프(2)가 상기 이동 죠(43)와 상기 고정 죠(42) 사이로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상태이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를 아래로 누르는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이동 죠(43)는 상기 핀(431)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 파이프(2)를 사이에 두고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제1 원호 리세스(412)와 전후방으로 마주하는 상태가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 죠(43)는 무게 중심으로 인해 외력을 가하지 않는다면 항상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죠(41)의 제1 원호 리세스(412)와 상기 이동 죠(43)의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상기 원형 파이프(2)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지만, 상기 원형 파이프(2)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 죠(41) 또는 상기 이동 죠(43)의 내부면 사이에는 상당한 크기의 갭이 존재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422)을 따라 상기 핀(431)이 슬라이드되게 하여, 상기 이동 죠(43)를 상기 고정 죠(4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2)가 상기 이동 죠(43)와 상기 고정 죠(41) 사이에 단단하고 신뢰성 있게 맞물리게 된다.
상기 이동 죠(43)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과 전술한 죠 가압부(45)로 이동죠(43)를 원형 파이프(2)에 대해 가압하는 작동을 나누어 할 수도 있지만, 죠 가압부(45)를 작동하여 이동 죠(43)의 슬라이드 이동과 원형 파이프(2)에 대한 이동 죠(43)의 가압을 함께 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죠 가압부(45)는 상기 유지 플레이트(42)의 하부에 구비된 암나사부(451)와, 상기 암나사부(451)에 나사 결합되어 전후로 나사 이동하여 일단부가 상기 이동 죠(43)를 가압하는 볼트(452)와, 상기 볼트(452)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 회전 손잡이(453)를 포함하는데, 상기 볼트 회전 손잡이(453)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볼트(420)의 선단이 상기 암나사부(451)와 더 멀어지면서 상기 이동 죠(43)에 더욱 가깝게 근접하며,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볼트(420)를 더 진행시키면, 이동 죠(43)가 원형 파이프(2)를 고정 죠(41)에 대해 강하게 밀어, 이동 죠(43)와 고정 죠(41) 사이에 원형 파이프(2)가 단단하고 신뢰성 있게 고정된다.
1.........................선상 낚싯대 거치대
2.........................원형 파이프
10........................베이스부
22........................후방 거치부
23........................연장부
24........................전방 거치부
40........................클램핑 유닛
41........................고정 죠
412.......................제1 원호 리세스
42........................유지 플레이트
422.......................가이드 슬롯
43........................이동 죠
431.......................핀
432.......................제2 원호 리세스
45........................죠 가압부

Claims (2)

  1. 판상의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 후방에 형성된 후방 거치부(22);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서 전방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바(23);
    상기 연장바(23)의 상측에 형성된 전방 거치부(24);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선상 가장자리에 설치된 원형 파이프(2)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유닛(40)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 후방에 고정되며 전방을 향해 있는 제1 원호 리세스(412)를 구비한 좌우 한 쌍의 고정 죠(41)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면 전방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422)을 구비한 유지 플레이트(42)와,
    상기 가이드 슬롯(422)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핀(431)을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호 리세스(412)와 협력하는 제2 원호 리세스(432)를 일측에 포함하되,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후방을 향하는 위치와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하방을 향하는 위치 사이로 회동하는 이동 죠(43)와,
    상기 제1 원호 리세스(412)와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전후방으로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죠(43)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 죠(41)의 제1 원호 리세스(412)와 상기 이동 죠(43)의 제2 원호 리세스(432)가 상기 원형 파이프(2)를 고정하게 하는 죠 가압부(45)를 포함하고,
    상기 죠 가압부(45)는 상기 유지 플레이트(42)의 하부 전방측에 구비된 암나사부(451)와, 상기 암나사부(451)에 나사 결합되어 전후로 나사 이동하여 일단부가 상기 이동 죠(43)를 가압하는 볼트(452)와, 상기 볼트(452)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 회전 손잡이(453)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죠(41, 41)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횡폭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에 대하여 좌우로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이동 죠(43)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횡폭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죠(43)의 두께(T1)는 상기 고정 죠(41) 각각의 두께(T2)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고정 죠(41) 사이의 간격(W)보다 작게 정해지고,
    상기 제1 원호 리세스(412)의 내부과 상기 제2 원호 리세스(432)의 내부면에는 톱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 낚싯대 거치대.
  2. 삭제
KR1020200071358A 2020-06-12 2020-06-12 선상 낚싯대 거치대 KR10248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58A KR102488832B1 (ko) 2020-06-12 2020-06-12 선상 낚싯대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58A KR102488832B1 (ko) 2020-06-12 2020-06-12 선상 낚싯대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93A KR20210154393A (ko) 2021-12-21
KR102488832B1 true KR102488832B1 (ko) 2023-01-17

Family

ID=7916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358A KR102488832B1 (ko) 2020-06-12 2020-06-12 선상 낚싯대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8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954B2 (ja) 1998-07-23 2001-01-22 エターナル ケミカル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半導体プロセスに使用する化学機械的研磨剤組成物
KR200249460Y1 (ko) * 2001-07-19 2001-11-17 이병후 낚시받침대
JP2004215622A (ja) 2003-01-17 2004-08-05 Yoshio Kishino 釣竿固定装置
US20050035249A1 (en) * 2003-08-16 2005-02-17 Christopher Busuito Portable sports equipment holder
KR102113115B1 (ko) * 2017-12-08 2020-05-20 홍충기 낚시대 거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060Y2 (ko) * 1986-10-13 1991-05-24
JPH0341580U (ko) * 1989-09-01 1991-04-19
JP3126954U (ja) * 2006-08-08 2006-11-16 株式会社仙北谷 釣竿掛け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954B2 (ja) 1998-07-23 2001-01-22 エターナル ケミカル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半導体プロセスに使用する化学機械的研磨剤組成物
KR200249460Y1 (ko) * 2001-07-19 2001-11-17 이병후 낚시받침대
JP2004215622A (ja) 2003-01-17 2004-08-05 Yoshio Kishino 釣竿固定装置
US20050035249A1 (en) * 2003-08-16 2005-02-17 Christopher Busuito Portable sports equipment holder
KR102113115B1 (ko) * 2017-12-08 2020-05-20 홍충기 낚시대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93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3145B1 (en) Connection apparatus and pan-tilt-zoom device
US3006052A (en) Instrument attaching device
US8544831B2 (en) Clamp and method for producing a clamp
JP6551216B2 (ja) クリップ装置
KR20150043528A (ko) 광 파이버 커터
JP7328896B2 (ja) カメラ制御方法及び装置
US20080003068A1 (en) Insert-indexable tool
JP2009269191A (ja) バイス装置及び卓上丸鋸盤
KR102488832B1 (ko) 선상 낚싯대 거치대
JP2013540357A (ja) 電流導体を変流器筐体に着脱可能に締め付ける装置
JP5852351B2 (ja) 固定装置
JP2008159481A (ja) 端子装置
US20240047952A1 (en) Tying-free network module and cable gland
US11946586B2 (en) Blocking device camera holder with blocking device
JP2023509904A (ja) ミクロトームのためのカッターホルダ
CN113134793B (zh) 一种光纤夹持不旋转的治具及其方法
KR102663344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JP2019057865A (ja) カメラの取付機構及びその取付方法
US11072019B2 (en) Pipe enlarging device
JP2011031308A (ja) クランプおよびクランプの製造方法
JP2006159693A (ja) 切断機
CN214173982U (zh) 装夹装置及检测装置
JP2001066485A (ja) 光部品のクランプ装置
KR100518495B1 (ko) 2개의부재를연결하는연결장치
US11559130B2 (en) Fixing device and stra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