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460Y1 - 낚시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시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460Y1
KR200249460Y1 KR2020010021782U KR20010021782U KR200249460Y1 KR 200249460 Y1 KR200249460 Y1 KR 200249460Y1 KR 2020010021782 U KR2020010021782 U KR 2020010021782U KR 20010021782 U KR20010021782 U KR 20010021782U KR 200249460 Y1 KR200249460 Y1 KR 200249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jaw
rod
fixed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후
Original Assignee
이병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후 filed Critical 이병후
Priority to KR2020010021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4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받침대의 하부측에 클램프력을 발휘하는 고정턱과 가동턱의 물림구조를 개선하고, 상부측에 탄성스톱퍼를 사용하여 상,하부 봉의 고정 결합력을 높이도록 하여 낚시받침대의 자세유지 고정력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받침대{fishing rod supporter}
본 고안은 낚시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받침대의 하부 물림력과 높이 고정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낚시받침대는 도 1과 같이 낚시대(2)를 설치장소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전방낚시받침대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통상의 낚시받침대(10)는 전방낚시받침대(1)보다 길이가 짧은 것으로, 하단에 전방낚시받침대(1)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수단과, 중간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낚시받침대(10)의 일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하부봉(12)의 하단에는 플라스틱재로 한쌍의 연결구(13,14)가 힌지볼트(15)로 힌지 연결되고, 힌지볼트(15)에는 너트(15)가 나사결합되어 있어 힌지부위의 조임력을 조절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연결구(14)에는 고정턱(16)이 볼트(17)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턱(17)에 가동턱(18)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가동턱(18)은 조임볼트(17)에 결합된 너트(20)로 회동조작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턱(17)과 가동턱 (18)은 곡부의 내외측 둘레가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낚시받침대의 클램프수단은 연결구(13,14)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차가운 날씨에는 쉽게 깨져 제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가동턱(18)의 취부를 위해 볼트(17)가 추가되어 제품공수가 많이 들어가고, 특히 고정턱(17)과 가동턱(18)에 코팅된 합성수지의 클램핑력이 약하여 낚시받침대를 고정한 후에도 좌,우로 자세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도 2에서 종래 낚시받침대의 높이조절수단은, 하부봉(12)에 고정캡(22)을 고정시키고, 상부봉(20)에 가동캡(23)을 조립시켜셔 이루어진다. 고정캡 (22)에는 절개부(22a)를 갖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서, 가동캡(23)을 고정캡(22)에 나사결합시키면 경사면을 갖는 부분이 상부봉(20)를 조여서 고정력을 확보하게 되어 있다. 이때 고정캡(22)과 가동캡(23)은 모두 경질의 플라스틱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같은 구조에서는 가동캡(23)을 고정캡(22)에 나사결합시킬 경우 상부봉(20)은 금속이고, 고정캡(22)은 플라스틱으로 밀착 고정되므로 인해서 상부봉 (20)이 쉽게 미끌림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부봉(20)은 낚시대를 받쳐주면서 동시에 낚시대가 좌,우로 요동하게 되더라도 회전되지 않아야 하는데 고정력이 확보되지 못하면 쉽게 회전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 3은 또 다른 구조의 상부봉(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클램프구조로서, 하부봉(12)의 상부에 배치된 핸들(30)을 이용하여 클램핑하는 구조이다. 즉 핸들(30)의 피봇측 캠(31)형상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는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핸들(30)의 캠(31)이 직접적으로 상부봉(20)의 외표면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확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 횟수가 증가하면 상부봉(20)이 변형되어 고정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부봉(20)의 높낮이 조절후의 클램핑 구조의 다른 예에서는 고정캡 (22)에 가동캡(23)을 편심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근본적으로 플라스틱의 강제 면접촉으로 고정력을 확보하게 되어 있어, 마찰력의 유지확보가 어렵고, 가동캡(23)을 고정캡(22)에 삽입 또는 탈거시키려면 편심에 의해힘이 많이 들어가 취급이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낚시받침대가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높이 조절후 고정력을 보다 확실하게 신뢰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하단에 통상의 낚시받침대에 고정되기 위해 클램프수단(50)을 갖는 하부봉 (12)과, 이 하부봉(12)에 일단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수단(70)에 의해 높이 조절 및 고정되고 타단에는 낚시받이부(82)를 갖는 상부봉(20)으로 구성된 낚시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50)은,
상기 하부봉(12)의 하단에 삽입 고정된 금속연결구(52)와;
상기 금속연결구(52)의 하단에 하부봉(12)의 방향과 수직으로 힌지볼트(54)로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요철로 물림되는 고정턱(56)과;
상기 고정턱(56)에 힌지축(57)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가동턱(58)과;
상기 고정턱(58)에 나사 결합되고 일단이 가동턱(56)의 상단을 밀어 힌지축 (57)을 중심으로 가동턱(58)이 고정턱(56)으로 조여지도록 하는 조임핸들(59)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70)은,
상기 하부봉(12)의 상단에 삽입 고정된 고정캡(72)과, 상기 상부봉(20)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캡(72)에 나사결합되는 가동캡(74)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봉 (20)측 고정캡(72)의 하방에는 고무재의 탄성스톱퍼(76)와, 이 스톱퍼(76)와 상기 가동캡(74)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라스틱재의 스톱퍼 와셔(78)가 상부봉(20)에 삽입 개재되어, 상기 고정캡(72)을 가동캡(74)에 나사결합시킬 시 상기 탄성스톱퍼 (76)가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봉(20)을 움겨잡아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낚시대를 받침하기 위한 낚시받침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낚시받침대의 제1예시도.
도 3은 종래 낚시받침대의 제2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받침대의 정면도로서 요부가 단면 처리된 도면.
도 5는 도 4의 A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2 : 금속연결구 54 : 힌지볼트
56 : 고정턱 57 : 힌지축
58 : 가동턱 59 : 조임핸들
60 : 고무패드 72 : 고정캡
74 : 가동캡 76 : 탄성스톱퍼
78 : 스톱퍼 와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받침대의 정면도로서 요부가 단면 처리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본 고안의 낚시받침대(40)는 하단에 통상의 낚시받침대에 고정되기 위해 클램프수단(50)을 갖는 하부봉(12)과, 이 하부봉(12)에 일단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수단(70)에 의해 높이 조절 및 고정되고 타단에는 낚시대 받이부 (28)를 갖는 상부봉(20)으로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수단(50)은 금속연결구(52), 가동턱(58), 고정턱(56) 및 조임핸들(59)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연결구(52)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봉(12)의 하단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금속연결구(52)의 하단에는 하부봉(12)의 방향과 수직으로 힌지볼트(54)로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톱니 요철(55)로 물림되는 고정턱(56)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턱(56)의 하단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낚시대를 부여잡기 좋도록 호형의 곡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연결구(52)가 금속재로 몰딩된 것으로 온도가 대략 0℃ 이하로 내려가더라도 종래와 같이 수지제의 제품과 비교해 볼 때 잘 깨지지 않는다.
상기 힌지볼트(54)를 풀어 조임력을 느슨하게 하면 하부봉(12)을 고정턱(56)으로부터 회동 조작시킬 수 있고, 힌지볼트(54)의 조임력을 증가시키면 금속연결구 (52)와 고정턱(56)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요철부(55)가 서로 결합되어 하부봉(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상기 고정턱(56)에는 힌지축(57)으로 가동턱(58)이 대향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동턱(58)은 고정턱(56)에서 힌지축(57)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고정턱(56)의 내측면에는 요철을 갖는 고무패드(60)가 부착되어 있다. 고무패드(60)는 고정턱(56)과 가동턱(58)이 전방낚시받침대(1)를 클램프한 후 낚시받침대(40)가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턱(56)과 가동턱(58)을 금속주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턱(58)을 하부가 평탄하게 구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호형의 곡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56)에는 가동턱(58)을 조작하기 위한 조임핸들(5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임핸들(59)은 힌지축(57)의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턱(56)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서 가동턱(56)의 상단을 대향한 상태에서 밀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조임핸들(59)의 나사 결합량을 조절하면 가동턱(56)이 힌지볼트(57)를 중심으로 고정턱(56)측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볼트(59)를 회전 조임시키면 조임볼트(59)가 전진하고 조임볼트(59)의 선단에 접촉된 가동턱(56)이 힌지축(57)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고정턱(56)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고정턱(56)과 가동턱(56)의 대향하는 폭이 좁아지면서 낚시받침대(1)의 외주면 둘레를 클램프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력은 조임핸들(59)의 조임량에 따라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고무패드(60)가 낚시받침대에 강한 밀착력으로 클램프되어 있기 때문에 무거운 낚시대를 사용하더라도 쉽게 움직이는 일은 없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수단(70)은 도 6과 같이 고정캡(72), 가동캡(74), 탄성스톱퍼(76) 그리고 스톱퍼 와셔(7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캡(72)은 상기 하부봉(12)의 상단에 삽입 고정되고 외통부(72a)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캡(72)에 가동캡(74)이 나사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캡(72)과 가동캡(74)의 사이에는 상기 탄성스톱퍼(76)와 스톱퍼 와셔(78)가 위치하여 상기 상부봉(20)에 삽입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상부봉(20)에 삽입된 가동캡(74)을 고정캡(72)에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탄성스톱퍼(76)가 강제적으로 수축되면서 상부봉(20)과 고정캡(72)에 밀착되어 고정력을 확보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스톱퍼(76)는 고무재로 구성된 링형으로, 그 단면형상은 도 6과 같이 역삼각형으로 구성되어 고정캡(72)과 경사면으로 접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 와셔(78)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스톱퍼(76)와 상기 가동캡(74)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톱퍼 와셔(78)는 링형으로 단면 형상이 삼각형태를 갖고 상기 가동캡(74)과 경사면으로 접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캡(74)을 회전시켜 고정캡(72)에 나사결합시키면 가동캡(74)은 스톱퍼 와셔(78)를 하방으로 눌러 탄성스톱퍼(76)가 고정캡(72)을 압축시켜 상부봉 (12)을 고정캡(72)에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낚시받침대는 하부클램프 부분이 금속으로 되어 있어 온도가 0℃ 이하로 내려가더라도 결코 깨지는 일은 없다. 또한 가동턱(58)분분에 고무패드(60)가 부착되어 있어 클램프력을 신뢰할 수 있다.
또한 상부봉(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고정캡(72)과 가동캡 (74)과의 사이에 탄성스톱퍼(76)를 추가시킴으로서 고정 마찰력의 증가에 따른 높이 조절후의 위치 변동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받침대에 따르면, 상,하부봉의 높이 조절 후의 고정력을 신뢰할 수 있고, 하부쪽 클램프력이 강해져 낚시대의 흔들림으로 인한 자세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하단에 통상의 낚시받침대에 고정되기 위해 클램프수단(50)을 갖는 하부봉 (12)과, 이 하부봉(12)에 일단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수단(70)에 의해 높이 조절 및 고정되고 타단에는 낚시받이부(82)를 갖는 상부봉(20)으로 구성된 낚시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50)은,
    상기 하부봉(12)의 하단에 삽입 고정된 금속연결구(52)와;
    상기 금속연결구(52)의 하단에 하부봉(12)의 방향과 수직으로 힌지볼트(54)로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요철로 물림되는 고정턱(56)과;
    상기 고정턱(56)에 힌지축(57)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가동턱(58)과;
    상기 고정턱(58)에 나사 결합되고 일단이 가동턱(56)의 상단을 밀어 힌지축 (57)을 중심으로 가동턱(58)이 고정턱(56)으로 조여지도록 하는 조임핸들(59)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70)은,
    상기 하부봉(12)의 상단에 삽입 고정된 고정캡(72)과, 상기 상부봉(20)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캡(72)에 나사결합되는 가동캡(74)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봉 (20)측 고정캡(72)의 하방에는 고무재의 탄성스톱퍼(76)와, 이 스톱퍼(76)와 상기 가동캡(74)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라스틱재의 스톱퍼 와셔(78)가 상부봉(20)에 삽입 개재되어, 상기 고정캡(72)을 가동캡(74)에 나사결합시킬 시 상기 탄성스톱퍼(76)가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봉(20)을 움겨잡아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턱(58)의 내측면에는 요철을 갖는 고무패드(6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톱퍼(76)의 내경부가 안쪽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탄성스톱퍼(76)와 상기 고정캡(72)이 서로 경사져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KR2020010021782U 2001-07-19 2001-07-19 낚시받침대 KR200249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782U KR200249460Y1 (ko) 2001-07-19 2001-07-19 낚시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782U KR200249460Y1 (ko) 2001-07-19 2001-07-19 낚시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460Y1 true KR200249460Y1 (ko) 2001-11-17

Family

ID=7306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782U KR200249460Y1 (ko) 2001-07-19 2001-07-19 낚시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46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483A (ko) *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로지텔 모니터용 스탠드
KR20210003490A (ko) * 2019-07-02 2021-01-12 박동산 낚싯대용 뒷받침대
KR20210121626A (ko) * 2020-03-31 2021-10-08 곽영갑 낚시용 수상좌대의 고정지지구
KR20210154393A (ko) * 2020-06-12 2021-12-21 윤병용 선상 낚싯대 거치대
KR200498028Y1 (ko) * 2021-09-14 2024-05-27 김주영 파이프형 난간에 설치되는 선박용 낚시대 받침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483A (ko) *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로지텔 모니터용 스탠드
KR101636955B1 (ko) * 2014-11-05 2016-07-07 주식회사 로지텔 모니터용 스탠드
KR20210003490A (ko) * 2019-07-02 2021-01-12 박동산 낚싯대용 뒷받침대
KR102275323B1 (ko) 2019-07-02 2021-07-09 박동산 낚싯대용 뒷받침대
KR20210121626A (ko) * 2020-03-31 2021-10-08 곽영갑 낚시용 수상좌대의 고정지지구
KR102433611B1 (ko) * 2020-03-31 2022-08-18 곽명해 낚시용 수상좌대의 고정지지구
KR20210154393A (ko) * 2020-06-12 2021-12-21 윤병용 선상 낚싯대 거치대
KR102488832B1 (ko) * 2020-06-12 2023-01-17 윤병용 선상 낚싯대 거치대
KR200498028Y1 (ko) * 2021-09-14 2024-05-27 김주영 파이프형 난간에 설치되는 선박용 낚시대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3745C (en) Bone fastener assembly for bone retention apparatus
US6386786B1 (en) Rotating clamp
EP1524945B1 (fr) Dispositif d&#39;ancrage osseux avec articulation spherique
JPH04211714A (ja) 旋回付加用具
US9979104B2 (en) Clamps for male terminals
FR2865377A1 (fr) Materiel d&#39;osteosynthese vertebrale
JP2003232314A (ja) ロッド間隔保持具
KR200249460Y1 (ko) 낚시받침대
US6450809B1 (en) Vertex dental model articulator
KR200381698Y1 (ko) 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US5352060A (en) Attachable handle
SE467797B (sv) Momentmutter eller momentskruv med koniskt gaengfoerband
US5606898A (en) Angularly accessible head for threaded connector and cooperating tool
JPH0511493U (ja) 機器の傾斜状取付装置
US20230363795A1 (en) External retaining device for bone fractures (external fixator)
CN213089753U (zh) 一种叠片式阻尼锁紧装置
KR200379664Y1 (ko) 클램핑력 보정이 가능한 클램프
JPH11329400A (ja) バッテリアダプター
JP3001779U (ja) 眼鏡用の連結具
KR200315438Y1 (ko) 너트체결용 드라이버
JPS6036990Y2 (ja) 電線クランプ把持部
JPH09242737A (ja) ねじ保持装置
JPS625597Y2 (ko)
JP2570687Y2 (ja) ロールクランプ装置のアーム取付角調整機構
EP0020261A1 (fr) Pince à serrage concentr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