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328B1 - 놀이기구 차량의 제동 또는 시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놀이기구 차량의 제동 또는 시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328B1
KR102488328B1 KR1020177005961A KR20177005961A KR102488328B1 KR 102488328 B1 KR102488328 B1 KR 102488328B1 KR 1020177005961 A KR1020177005961 A KR 1020177005961A KR 20177005961 A KR20177005961 A KR 20177005961A KR 102488328 B1 KR102488328 B1 KR 10248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e vehicle
track
air gap
lim
rea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903A (ko
Inventor
에릭 반스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3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20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3Electric propulsion by line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2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for control of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for propulsion purposes
    • B60L15/005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for control of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for propulsion purposes for control of propulsion for vehicles propelled by line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25Asynchronous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6Linear motors
    • H02P25/062Linear motors of the induct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1/00Control metho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02K1/246Variable reluctanc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3Machines characterised by aspects of the air-gap between rotor and s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9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elements which are subject to variation, e.g. adjustable bearings, reconfigurable windings, variable pitch venti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near Motors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놀이기구 차량을 제동 또는 시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트랙의 만곡된 부분에 설치된 선형 유도 모터(LIM), 트랙 상에 배치되는 놀이기구 차량,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통해 트랙에 대면하는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와 LIM 사이의 공극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놀이기구 차량에 의한 커브부의 주행 전체에 걸쳐 원하는 레벨로 공극을 유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액츄에이터 중에서 작동시킬 액츄에이터를 결정하고 복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의 원하는 성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놀이기구 차량의 제동 또는 시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BRAKING OR LAUNCHING A RIDE VEHICLE}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운동 제어 메커니즘, 특히 놀이기구 차량의 제동 또는 시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절은 이하에서 설명된 및/또는 청구된 본 기법의 다양한 양태에 관련될 수 있는 기술분야의 다양한 양태를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본 설명은 독자에게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의 더 깊은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진술은 이러한 관점에서 읽혀져야 하고, 종래기술의 승인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승객을 실어나르는 차량을 가속 및 정지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다양한 용도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열차, 롤러코스터 등은 트랙을 따라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를 가속시키기 위해, 그리고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선형 유도 모터(LIM) 또는 선형 동기 모터(LSM)를 사용할 수 있다. LIM 및 LSM은 본질적으로 로터가 선형 구성으로 평평하게 설치된 펼쳐진 전기 모터이다. LIM 및 LSM는 자기장 내의 도체 또는 자석을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선형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를 이동시키는 힘을 생성한다. 전형적으로 LIM 및 LSM은 트랙에 고정된 로터 및 이동중인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에 고정된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LIM에서, 로터는 3상 전기의 교류(AC)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페라이트 코어 내에 포함된 선형 코일 권선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는 패널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스테이터는 알루미늄 강 패널(반응 플레이트로도 지칭됨)과 같은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LSM에서, 로터는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일 수 있고, 스테이터는 코일일 수 있고, 이들 양자 모두는 별개의 패널로 커버될 수 있다. 양자 모두의 상황에서, AC 전력이 코일에 공급되는 경우에 자기장이 발생될 수 있다. LIM에서, 반응 플레이트는 로터의 자기장 내에 설치된 경우에 유도된 와전류에 기인되어 자기 자신의 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고, 이 2개의 자기장은 밀어내거나 끌어당길 수 있으므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을 유발한다. 마찬가지로, LSM에서, 급전된 코일 스테이터가 로터 내의 영구 자석을 지나가는 경우 전기적으로 제어된 자기장이 밀어내거나 끌어당길 수 있고, 그 결과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을 유발한다.
이하에서 원래의 청구된 요지의 범위와 상응하는 특정의 실시형태가 요약된다. 이들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이들 실시형태는 특정의 개시된 실시형태의 간단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실제로, 본 개시는 이하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트랙의 만곡된 부분에 설치된 선형 유도 모터(LIM), 트랙 상에 배치되는 놀이기구 차량,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통해 트랙에 대면하는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와 LIM 사이의 공극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놀이기구 차량에 의한 커브부의 주행 전체에 걸쳐 원하는 레벨로 공극을 유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액츄에이터 중에서 작동시킬 액츄에이터, 및 복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의 원하는 성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트랙 상에 배치된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 및 상기 트랙의 복합 커브부(compound curve) 부분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트랙에 설치된 선형 유도 모터(LIM) 사이에 충분한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폐루프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시킬 상기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프로세서를 통해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분한 공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반응 플레이트를 굴곡시키기 위해 상기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결정된 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가요성 기판에 의해 관절연결되는 척추골 패널 상에 설치된 교호 자극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로터를 포함하는 선형 동기 모터(LSM)를 포함한다. 로터는 롤러코스터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의 2개의 측부 상에 설치되고, 스테이터는 트랙 상에 배치되는 놀이기구 차량의 하부에 고정되는 선형 코일 권선을 포함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은 전원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이 프로세서는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의 척추골 패널 사이에 충분한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선형 코일 권선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의 공급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결정된 대로 상기 전원이 전력을 공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기타 특징, 양태,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깊이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롤러코스터의 복합 커브부 부분에서 사용되는 놀이기구 차량에 부착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반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형 유도 모터(LIM)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a는 도 1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반응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도 2b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응 플레이트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놀이기구 차량의 회로부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응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함으로써 LIM 내의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고,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커브부를 통해 트랙 내에서 반응 플레이트와 유도 모터 사이의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놀이기구 차량의 반응 플레이트에 고정된 주행 베어링을 도시하고,
도 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커브부 내에서 간극을 유지하기 위해 놀이기구 차량에 고정된 반응 플레이트와 트랙 내의 유도 모터 사이에 배치된 유압 유체를 도시하고,
도 7a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면형 LIM을 도시하고, 도 7b는 양면형 LIM을 도시하고,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커브부를 통해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로터 패널 상에 설치된 영구 자석과 선형 코일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선형 동기 모터(LSM)를 도시하고,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선형 코일의 권선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LSM 내에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를 시동 및 제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커니즘은 열차 및 놀이동산의 놀이기구(예를 들면, 롤러코스터)와 같은 지상 수송 시스템에서 종종 사용된다. 이 메커니즘은 선형 유도 모터(LIM) 및/또는 선형 동기 모터(LSM)를 포함할 수 있다. LIM 및 LSM은 스테이터와 로터의 2개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요소는 공극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공극을 근접하게 (예를 들면, 특정의 임계 거리 내에) 유지하는 것은 추력 벡터를 발생시키고, 메커니즘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LIM 또는 LSM을 활용하는 용도는 로터를 트랙 상에 직선으로 또는 완만한 곡선으로 배열시킨다. 종종 이것은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에 공극을 유지하고 있는 효율적인 LIM 또는 LSM을 형성하는 핵심 부품에 기인된다. 트랙의 커브부가 더욱 복합적으로 됨에 따라 공극을 유지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는 것이 현재의 인식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용도에서 사용되는 LIM 및 LSM은 일반적으로 로터를 트랙의 직선 부분이나 완만한 곡선 부분에 설치한다. 그러므로, LIM에서는, 스테이터가 본 명에서에서 반응 플레이트로 지칭되는 패널(예를 들면, 알루미늄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관절연결식의 분할된 평평한 패널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대향 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를 시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트랙의 직선 부분 또는 완만한 곡선 부분 중에 공극을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공극은 LIM 또는 LSM의 효율에 정비례한다. 따라서, 만일 공극이 유지되지 않으면, LIM 또는 LSM의 효율에 영향을 주는 전기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LIM 또는 LSM은 차량을 추진시키거나 감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공극을 관리하는 것은 특히 트랙의 부정확성, 바퀴의 유연성,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자기 인력 및 척력의 강도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유로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코크스크류(corkscrew)와 같은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에서 커질 수 있고, 이곳에서 스테이터와 로터는 상승, 하강, 또는 연속하는 반경을 따르도록 강제된다. 위의 어려움에 더하여, 이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는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피칭(pitching) 및 롤링(rolling)될 수 있고, 이것은 거의 일정한 (예를 들면, 임계 미만의) 공극을 유지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통상적으로 이러한 메커니즘은 복합 커브부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운동 제어 메커니즘(예를 들면, 제동 또는 시동 메커니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는 것이 현재 인식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로터와 반응 플레이트 사이의 공극을 관리하기 위한 운동 제어 메커니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개시된 본 기법은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에서 공극을 관리함에 있어서 위에 기재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는 복합 커브부를 주행하기 위해 모멘템에만 의존하지 않고 이러한 트랙 부분에서 효율적으로 가속 또는 감속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이러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많은 실시형태가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는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 상의 스테이터에 고정되는 관절연결식 반응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부에 부착될 수 있고, 이 액츄에이터는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가 복합 커브부의 나선을 통해 피칭 및 롤링할 때 트랙 상의 로터 패널의 형상에 일치되도록 관절연결식 반응 플레이트를 끊임없이 변형 또는 굴곡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공극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여, 놀이기구 차량 또는 자동차가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피칭 및 롤링할 때 이 공극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물리적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로터 패널과 스테이터의 반응 플레이트 사이에 공극을 관리하는 유체역학적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해 유압 유체가 분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로터의 관절연결식 척추의 개개의 척추골에 교호 자극의 영구 자석이 고정될 수 있고, 스테이터는 코일 권선을 포함할 수 있다. 공극이 유지될 수 있도록 트랙의 복합 곡률반경의 주위에서 척추가 굴곡될 수 있도록 척추골들 사이에 가요성 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롤러코스터 트랙(17)의 복합 커브부(16) 부분에서 사용되는 놀이기구 차량(14)에 부착된 액츄에이터(12)를 구비한 반응 플레이트(10)를 포함한 LIM을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IM의 스테이터는 놀이기구 차량(14)의 하부에 고정된 반응 플레이트(10)를 포함할 수 있고, LIM의 로터는 롤러코스터의 트랙(17)에 매립된 선형 유도 코일(18)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선형 코일(18)은 트랙(17)의 하나 이상의 부분(예를 들면, 복합 커브부(16)) 전체에 걸쳐 설치된 페라이트 코어의 슬롯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반응 플레이트(10)는 분할된 관절연결식 알루미늄 패널 또는 임의의 전도성 재료일 수 있다. 관절연결식 반응 플레이트(10)는 가요성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는 2개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10)를 지칭할 수 있다. 이것으로 인해 반응 플레이트(10)는 굴곡될 수 있고, 복합 커브부의 나선의 주위에서 로터를 추종할 수 있다. 또한, 반응 플레이트(10)는 선형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지하기 위해 로터(예를 들면, 선형 코일)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그 결과 LIM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선형 코일 로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반응 플레이트는 선형 코일 로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비례하는 와전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로터의 선형 코일(18)이 1m의 길이를 가지면, 반응 플레이트(10)도 각각 1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테이터 반응 플레이트(10)가 놀이기구 차량(1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반응 플레이트(10)는 놀이기구 차량(14)이 트랙(17) 내의 복합 커브부(16)를 주행할 때 이 놀이기구 차량(14)과 함께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더욱이, 놀이동산 놀이기구에서 전형적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놀이기구 차량(14)이 서로 부착되어 열차형 놀이기구 차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열차형 놀이기구 차량의 각각의 놀이기구 차량(14)은 복합 커브부(16) 전체에 걸쳐 약간 상이한 각도로 롤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열차 내의 각각의 놀이기구 차량(14) 상의 반응 플레이트(10)에는 이 놀이기구 차량(14)이 복합 커브부(16)의 나선 또는 원을 따라 주행하므로 상이한 피칭 및 롤링이 발생될 수 있다. 복합 커브부(16)의 상승, 하강, 또는 연속 반경 전체에 걸쳐 각각의 놀이기구 차량(14)의 LIM의 스테이터와 로드(14) 사이에 가능한 근접한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스테이터 및/또는 로터가 거의 동일한 원호가 되도록 굴곡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반응 플레이트(10)의 4개의 코너부의 각각 및 놀이기구 차량(14)에 고정될 수 있는 액츄에이터(12)는 복합 커브부(16)의 상이한 부분에서 원하는 호에 대해 각각의 반응 플레이트(1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고, 그 결과 공극을 거의 일정한 거리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m의 LIM(예를 들면, 로터 및 스테이터) 전체에 걸친 평균 공극은 1cm일 수 있고, 여기서 이 공극은 정점에서 2mm이고, 외부 경계에서 7 내지 11mm이다. 따라서,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평균 거리 또는 림의 스테이터와 로터의 길이에 기초한 특정의 범위 내의 거리로 공극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커브부(16) 전체에 걸쳐 거의 일정하거나 일치되는 공극을 달성하면 LIM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일관된 추력 크로스 벡터(thrust cross vector)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a에는 반응 플레이트(10)가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 반응 플레이트(10)는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부의 각각의 하나에 고정된 액츄에이터(1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코일 로터(18)는 트랙(17)에 접지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2)는 유압식, 전기식, 공압식 등일 수있다. 액츄에이터(12)는 로터의 선형 코일 패널의 호에 일치되도록 나선의 주위에서 적절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반응 플레이트(10)를 굴곡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거의 일정한 공극(19)이 유지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만일 액츄에이터(12)가 전기식이라면, 놀이기구 차량(14)은 전기 액츄에이터(1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2)는 많은 방향으로 반응 플레이트(10)를 동적으로 연동하여 굴곡시키기 위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는 특정의 시간에 원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한 코드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근접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는 놀이기구 차량(14) 및 트랙(17)의 위치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프로세서는 어느 액츄에이터(12)가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그리고 공극(19)을 유지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수학적 계산을 수행하는 폐루프 시스템으로 이 센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설명을 돕기 위해 일련의 축선이 참조된다. 예를 들면, 횡방향 축선(20)은 반응 플레이트(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종방향 축선(22)은 반응 플레이트(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14)이 복합 커브부(16)를 통해 운행될 때, 반응 플레이트(10)는 트랙(17)의 나선으로부터 히빙(heaving), 피칭 및 롤링을 경험할 수 있고, 이것은 반응 플레이트(10)와 선형 코일 로터(18) 사이에 간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롤링을 조절하기 위해, 액츄에이터(12)는, 화살표(2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축선(20)을 중심으로 반응 플레이트(10)를 작동 및 굴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칭을 조절하기 위해, 액츄에이터(12)는, 화살표(26)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축선(22)을 중심으로 반응 플레이트(10)를 작동 및 굴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빙을 조절하기 위해, 액츄에이터(12)는, 화살표(2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츄에이터(12)는, 놀이기구 차량(14)이 피칭, 롤링, 및 히빙될 때 거의 일정한 공극(19)을 유지시키기 위해, 복합 커브부(16)의 나선 전체에 걸쳐 선형 코일 로터(18)의 패널을 추종하도록 반응 플레이트(10)를 굴곡 및/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반응 플레이트(10)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도록, 그리고 요구에 따라 액츄에이터(12)에 의해 굴곡될 수 있도록, 반응 플레이트(10)는 적합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형태에서, 반응 플레이트(10)는 약 1/8 인치의 두께, 1 미터의 길이, 및 1/2 미터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반응 플레이트(10)는 알루미늄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반응 플레이트(10)의 가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추가의 설명을 위해, 도 2b는 반응 플레이트(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반응 플레이트(10)의 상부(30)는 페라이트 재료(예를 들면, 철)로 제조될 수 있고, 반응 플레이트(10)의 하부(32)는 비-페라이트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로 제조될 수 있다. 비-페라이트 재료는 전도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 재료가 선형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과하는 경우, 이 비-페라이트 재료는 와전류(도 2a에 도시된 전류(34))를 유도할 수 있고, 그 결과 놀이기구 차량(14)을 가속 또는 감속시키도록 선형 코일의 자기장과 바능하는 자기 자신의 대향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배킹 플레이트(backing plate)로도 지칭될 수 있는 상부(30)는 페라이트 재료(예를 들면, 철)를 사용함으로써 와전류의 손실 및 이에 따라 에너지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배킹 플레이트(30)가 사용되므로 본 실시형태는 단면형 LIM이지만,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의 실시형태에서는 배킹 플레이트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LIM은 양면형(예를 들면, 반응 플레이트의 양면 상에 코일을 포함함)일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14)은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놀이기구 차량 회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은 놀이기구 차량 회로부(40)의 블록도이다. 놀이기구 차량 회로부(40)는 통신 컴포넌트(42), 프로세서(44), 센서(46), 메모리(48), 및 전원(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42)는 놀이기구 차량(14)이 트랙(17)을 따라 운행될 때 놀이기구 차량(14)과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신 컴포넌트(42)는 무선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일 수 있는 프로세서(44)는 프로세서-실행가능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일 수 있는 센서(46)는 트랙(17) 내에 설치된 선형 코일 로터 패널에 대한 놀이기구 차량(14)(또는 그 일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그리고 이 데이터를 프로세서(44)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센서(46)는 놀이기구 차량(14) 및/또는 트랙(17)에 관련된 정보를 추적하는 광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44)는 센서(46)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구비하는 폐루프 피드백 시스템을 가동시킬 수 있고, 어떤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지의 여부 및 트랙(17) 상에서 놀이기구 차량(14)의 위치에 기초하여 액츄에이터가 수행되어야 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놀이기구 차량(14)이 복합 커브부를 통해 피칭, 롤링, 및/또는 히빙될 때 특정의 공극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각각의 반응 플레이트를 동적으로 굴곡시키기 위해, 프로세서(44)는 일부의 액츄에이터가 신장되거나 수축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센서(46)는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 데이터를 프로세서(44)로 전송할 수 있고, 프로세서(44)는 지속적으로 계산을 수행할 수 있고, 요구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통신 컴포넌트(42)는 놀이기구 차량(14)으로부터 외부에 위치되는, 놀이기구 차량을 위한 커맨드 센터와 같은,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커맨드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44)는 수신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 컴포넌트일 수 있는 메모리(48)는 프로세서-실행가능한 코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매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제품일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44)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세서-실행가능한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를 들면,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유형의 메모리 또는 기억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48)는 센서(46)에 의해 획득되는 차량 정보, 통신 컴포넌트(42)에 의해 수신되는 커맨드 명령 등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원(50)은 배터리, 태양전지 패널, 발전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50)은 액츄에이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에는 반응 플레이트 및 놀이기구 차량(14)에 고정된 액츄에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LIM 내에서 공극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프로세스(52)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프로세스(52)는 놀이기구 차량(14) 및 복합 커브부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프로세스 블록(54)), 어느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지의 여부 및 폐루프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츄에이터의 성능을 결정하는 단계(프로세스 블록(56)), 및 놀이기구 차량(14)에 의한 복합 커브부의 주행 전체에 걸쳐 결정된 대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프로세스 블록(5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52)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를 들면, 메모리(48)) 상에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한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스 블록(54)에 관하여, 놀이기구 차량 회로부(40)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46)는 트랙(17)에 관련하여 놀이기구 차량(14)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센서(46)는 각각의 반응 플레이트와 트랙(17) 내에 설치된 선형 코일 로터 패널 사이의 간극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46)는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선형 코일 로터 패널의 원호의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46)는 이 데이터를 프로세서(44)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4)는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폐루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의 반응 플레이트를 위해 어느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지의 여부, 작동 시간, 및 선택된 액츄에이터의 성능(예를 들면, 신장, 수축)을 결정할 수 있다(프로세스 블록(56)). 제어 루프 시스템은 피드백 데이터와 입력 데이터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출력 커맨드를 자동으로 변화시키는 제어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입력 데이터는 반응 플레이트와 작동 전의 선형 코일 로터 패널 사이의 공극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14)이 복합 커브부를 주행할 때, 센서(46)는 반응 플레이트와 작동 발생 후의 선형 코일 로터 패널 사이의 공극의 거리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관한 피드백을 프로세서(44)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44)는 필요에 따라 복합 커브부의 그 부분에서 후속 액츄에이터를 위한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공극이 작동 후에 원하는 것보다 작으면, 프로세서(44)는 후속 반응 플레이트의 액츄에이터에 복합 커브부의 그 부분에서 공극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한 신장되지 않도록 하는 커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가 선택되고, 액츄에이터 각각의 성능이 결정된 후, 이에 따라 프로세서(44)는 계속중인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프로시저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프로세스 블록(58)).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서(44)는 반응 플레이트의 굴곡 방법 및/또는 선형 코일 로터 패널을 추종하여 이동하는 방법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있고, 액츄에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거의 일정한 공극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롤러코스터의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로터 및 LIM의 스테이터 사이의 거의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60)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는 주행 베어링(62) 및 주행 표면(64)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일련의 축선이 참조된다. 이 축선은 반응 플레이트(66)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축선(20) 및 반응 플레이트(66)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축선(2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반응 플레이트(66)는 놀이기구 차량(14)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실제로, 놀이기구 차량(14)의 하부에 고정된 복수의 분할된 반응 플레이트(66)가 제공될 수 있고, 이들은 특정의 전체적 형상을 형성하도록 협조하여 관절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반응 플레이트(66)는 알루미늄일 수 있고, 트랙(17)에 고정된 선형 코일 로터(68)(예를 들면, 유도 모터)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 반응 플레이트(66)는 선형 코일 로터(68)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반대되는 와전류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반응 플레이트(66)는 복합 커브부의 나선의 피칭 및 롤링에 따라 굴곡되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적합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선형 코일 로터(68)는 주행 표면(64)에 의해 실질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주행 표면(64)은 이 주행 표면(64)과 접촉된 물체가 슬라이딩 또는 롤링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행 베어링(62)은 반응 플레이트(66)의 양측 상에서 반응 플레이트(66)의 하부에 고정된다. 주행 베어링(62)은 수 인치의 폭 및 수 인치의 두께를 갖는 스트립일 수 있다. 주행 베어링(62)의 정확한 두께는 스테이터들(예를 들면, 반응 플레이트(66))와 선형 코일 로터(68) 사이에 공극(70)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므로 LIM은 효율적인 추력 크로스 벡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베어링(62)은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주행 표면(64)과 접촉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으므로 공극(70)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복합 커브부에 기인되어 놀이기구 차량(14)은 피칭 및 롤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행 베어링(62) 및 주행 표면(64)은 나선의 피칭 및 롤링에 부합하도록 구성될 수있다. 이와 같이, 주행 베어링(62) 및 주행 표면(64)은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화살표(2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축선(20)을 중심으로 굴곡될 수 있다. 또한, 주행 베어링(62) 및 주행 표면(64)은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화살표(26)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축선(22)을 중심으로 굴곡될 수 있다. 선형 코일 및 반응 플레이트(66)의 인력이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다수의 점에서 강력할 수 있으나, 주행 베어링(62)은 반응 플레이트(66)와 선형 코일 로터(68)이 함께 고착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놀이기구 차량(14) 또는 자동차의 피칭 및 롤링에 일치되기 위한 요구에 따라 짐발(gimbal)을 사용하기 위한 추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트레일링 암 또는 기타 구형 접합 메커니즘이 스테이터의 분할된 반응 플레이트(66) 및/또는 선형 코일 로터(68)의 주행 표면(64)에 부착될 수 있다. 트레일링 암은 주행 베어링(62)을 포함하는 반응 플레이트(66)를 로터의 주행 표면(64)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트레일링 암은 자기력의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이것은 로터의 주행 표면(64)에 대해 반응 플레이트(66)를 당겨줄 수 있고, 이에 따라 반응 플레이트(66) 및 주행 베어링(62)를 굴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응 플레이트(66) 및 선형 코일 로터(68)는 상대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고, 그 결과 거의 일정한 공극(70)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에는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72)을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하나 이상의 선형 코일(74)를 포함하는 LIM의 로터 사이에서, 유압 유체를 사용함으로써, 롤러코스터 트랙(17)의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거의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71)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일련의 축선이 참조된다. 이 축선은 반응 플레이트(72)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축선(20) 및 반응 플레이트(7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축선(2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반응 플레이트(72)는 놀이기구 차량(14)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실제로, 놀이기구 차량(14)의 하부에 고정된 복수의 분할된 반응 플레이트(72)가 제공될 수 있고, 이들은 관절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반응 플레이트(72)는 알루미늄일 수 있고, 트랙(17)에 고정된 선형 코일 로터(74)(예를 들면, 유도 모터)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 반응 플레이트(72)는 선형 코일 로터(74)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반대되는 와전류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 플레이트(72)는 복합 커브부의 나선의 피칭 및 롤링에 따라 굴곡되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적합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시스템(71)은 간극을 유지하기 위해 반응 플레이트(72)와 선형 코일 로터(74) 사이에 유압 유체(76)를 분사할 수 있다. 유압 유체(76)는 트랙(17) 및/또는 놀이기구 차량(14)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분무기에 의해 분사될 수 있다. 시스템(71)은 유압 유체(76)가 반응 플레이트(72)와 선형 코일 로터(74) 사이에 분사된 후에 이 유압 유체(76)를 유지하는 시일(7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랙(17)은 유체의 유동을 촉진하는 변경된 표면의 기하학적 구조(80)(예를 들면,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유체(76)는 반응 플레이트(72)와 선형 코일 로터(74)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둘 사이에 유체역학적 베어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유체(76)를 사용하면 놀이기구 차량(14)의 구조적 요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14)이 복합 커브부의 나선을 따라 주행할 때, 반응 플레이트(72)가 선형 코일 로터(74)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압 유체(76)가 분사되는 중에 놀이기구 차량(14)의 피칭 및 롤링에 일치되도록, 반응 플레이트(72)는 화살표(24)로 도시된 바와 같은 횡방향 축선(20)을 중심으로, 그리고 화살표(26)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축선(22)을 중심으로 굴곡될 수 있다. 유압 유체(76)는 비압축성 물질일 수 있으므로, 반응 플레이트(72)와 선형 코일 로터(74) 사이의 간극이 유지될 수 있고, 그 결과 LIM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LIM은 도 7a 및 도 7b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면형 또는 양면형일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단면형 LIM(82)은 스테이터(84) 및 로터(86)를 포함한다. 스테이터는 로터(86)와 대면하는 비-페라이트 패널(88)(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구비하는 반응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비-페라이트 패널(88)은 전도성일 수 있고, 이 패널(88)이 로터(86)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과할 때 와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반응 플레이트(84)는 철과 같은 페라이트 재료로 제조된 배킹 플레이트(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킹 플레이트(90)는 비-페라이트 재료(88) 내에서 유도된 와전류가 소산되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로터(86)는 페라이트 코어 사이에 설치된 선형 코일(예를 들면, 유도 모터)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형 코일은 3상 전력을 급전받아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양면형 LIM(92)은 반응 플레이트(94)의 양면 상에서 선형 코일(96)(예를 들면, 유도 모터) 사이에 개재되는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반응 플레이트(94)를 포함할 수 있다. 단면형 LIM(82) 및 양면형 LIM(92)의 양자 모두에서, 위에 기술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거의 일정한 공극이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 8은 롤러코스터 트랙(17)의 복합 커브부를 통해 거의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로터 패널 상에 설치된 영구 자석(102) 및 선형 코일 스테이터(104)를 사용할 수 있는 양면형 LSM(100)을 도시하고 있다. 영구 자석은 도시된 바와 같은 교호 자극(예를 들면, N극 및 S극)일 수 있고, 선형 코일 스테이터(104)는 놀이기구 차량(14)에 고정될 수 있다. 영구 자석(102)은 스테이터(104)의 양측에서 트랙(17)의 로터 패널(106)에 고정될 수 있다. 로터 패널(106)은 영구 자석(102)을 포함하는 각각의 부분이 척추골일 수 있고, 이 척추골은 복합 커브부의 나선의 호의 주위에서 척추를 굴곡시킬 수 있는 가요성 기판(예를 들면, 스캘럽트(scalloped) 영역)(108)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점에서 관절연결된 척추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요성 기판은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104)의 양측 상에서 동시에 선형 코일 스테이터(104)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대한 자석의 자기 인력 및 척력에 의해 놀이기구 차량(14)이 복합 커브부를 통해 피칭 및 롤링될 때 선형 코일 스테이터(104)와 영구 자석(102) 사이의 간극이 유지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놀이기구 차량(14)은 도 3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회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선형 코일 스테이터(104)가 놀이기구 차량(14)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놀이기구 차량(14)은 로터 패널에 고정된 자석(102)을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코일의 권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50)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결과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에 따라 가요성 기판을 통해 로터 패널(106)을 굴곡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메모리(48)는 프로세서(44)가 센서(46)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몇번이라도 전력을 제공하도록 전원(50)에 커맨드를 주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한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놀이기구 차량 회로부(40)의 통신 컴포넌트(42)는 선형 코일 스테이터(104)에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을 명령하는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커맨드 센터와 같은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선형 코일의 권선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LSM 내에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프로세스(110)의 흐름도이다. 이 프로세스(110)는 놀이기구 차량(14) 및 복합 커브부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프로세스 블록(112)),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권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기 및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프로세스 블록(114)), 및 결정된 대로 선형 코일의 권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프로세스 블록(11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110)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한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스 블록(112)은 선형 코일 스테이터와 트랙(17)에 부착된 로터 패널 상의 영구 자석 사이의 공극을 검출하는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놀이기구 차량(14)과 복합 커브부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공극이 하나의 로터 패널에 지나치게 근접해 있으면, 이 공극은 다른 로터 패널에 대해 지나치게 커질 가능성이 있다. 센서는 이 공극 데이터를 프로세서에 전송할 수 있고, 이 프로세서는 간극차를 수정하기 위해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의 공급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프로세스 블록(114)). 다음에 이 프로세서는 결정된 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에 커맨드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전원은 수행한다(프로세스 블록(116)). 그 결과, 영구 자석에는 가요성 기판을 통해 로터 패널을 굴곡시키거나 이동시키도록 선형 코일 권선의 자기장에 대해 인력이나 척력이 가해질 수 있고, 공극은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LSM의 양측에서 선형 코일 스테이터와 로터 패널에 부착된 영구 자석 사이의 간극이 유지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본 개시의 특정의 기구만이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개조 및 변화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은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 내에 포함되는 이와 같은 모든 개조 및 변화를 포함하고자 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5)

  1. 트랙의 만곡된 부분에 설치된 선형 유도 모터(LIM);
    상기 트랙 상에 배치된 놀이기구 차량(ride vehicle);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통해 상기 트랙에 대면하는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
    상기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LIM 사이의 공극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놀이기구 차량에 의한 상기 트랙의 만곡된 부분의 주행(traversal) 전체에 걸쳐 원하는 레벨로 상기 공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를 굴곡 또는 변형(morph)시키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중에서 작동시킬 액츄에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의 원하는 성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되는 선택된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트랙의 만곡된 부분의 원호와 일치시키기 위해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굴곡시키도록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놀이기구 차량이 상기 트랙의 만곡된 부분을 주행할 때, 원하는 레벨로 상기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의 원하는 성능을 결정하도록 폐루프(closed loop) 피드백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IM은 페라이트 코어에 배치되고 패널에 의해 커버되는 선형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는 상기 선형 코일 권선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LIM과 대면하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하부면, 및 철로 제조된 상부 배킹 플레이트(backing plate)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 각각은 4개의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중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상기 4개의 코너부 각각에 배치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2개의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상기 트랙에 대면하는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트랙의 만곡된 부분 전체에 걸쳐 상기 트랙의 상부 상에 배치되는 주행 표면과 접촉하는 2개의 주행 베어링을 포함하고, 하나의 주행 베어링은 상기 트랙의 각각의 레일과 정렬되고, 상기 반응 플레이트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반응 플레이트의 후방까지 연장되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부분은 복합 커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는 관절식, 가요식, 분할식, 또는 이들의 조합인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IM은 단면형 또는 양면형인
    시스템.
  11. 가요성 기판에 의해 관절연결되는 척추골 패널 상에 설치되는 교호 자극(alternating pole)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롤러코스터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의 2개의 측부 상에 설치되는 로터, 및 상기 트랙 상에 배치되는 놀이기구 차량의 하부에 고정되는 선형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선형 동기 모터(LSM)를 포함하고,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전원; 및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의 척추골 패널 사이에 충분한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선형 코일 권선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의 공급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결정된 전력을 상기 전원이 공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코일 권선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에 대한 상기 영구 자석의 인력 및 척력은 상기 복합 커브부 전체에 걸쳐 상기 놀이기구 차량에서 발생되는 피칭(pitching) 및 롤링(rolling)과 일치하도록 상기 가요성 기판을 통해 상기 로터 척추골 패널을 굴곡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의 공극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획득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극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선형 코일 권선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의 공급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상기 로터의 척추골 패널이 상기 복합 커브부 주위에 상이한 각도로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시스템.
  16. 트랙의 만곡된 부분에 설치된 선형 유도 모터(LIM);
    상기 트랙 상에 배치된 놀이기구 차량;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통해 상기 트랙에 대면하는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
    유체역학적 베어링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LIM 사이에 유압 유체를 분사하는, 상기 트랙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분무기, 및 상기 놀이기구 차량이 상기 만곡된 부분 전체에 걸쳐 이동할 때 상기 유압 유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벽 시일(wall seal);
    상기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LIM 사이의 공극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놀이기구 차량에 의한 상기 트랙의 만곡된 부분의 주행 전체에 걸쳐 원하는 레벨로 상기 공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반응 플레이트를 굴곡 또는 변형시키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중에서 작동시킬 액츄에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의 원하는 성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트랙 상에 배치된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 및 상기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통해,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트랙에 설치된 선형 유도 모터(LIM) 사이에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폐루프 시스템을 사용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시킬 상기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 중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커브부 부분의 주행 전체에 걸쳐 공극 임계 거리 미만으로 상기 공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굴곡시키기 위해,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에 의한 상기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의 주행 전체에 걸쳐 결정된 대로,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에 결합된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LIM 사이의 상기 공극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LIM은 페라이트 코어에 설치된 선형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피드백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은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복합 커브부 부분의 세그먼트에서 작동한 후의 공극의 변화를 포함하고, 그래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합 커브부 부분의 세그먼트에서의 후속 작동에 있어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는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굴곡시키기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의 가요성 재료를 굴곡시키기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은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하부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는 상기 LIM과 대면하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하부면, 및 철로 제조된 상부 배킹 플레이트(backing plate)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에 의해 상기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의 주행 전체에 걸쳐 상기 LIM에 공급할 전력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에 대한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위치설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통해,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에 설치된 선형 유도 모터(LIM) 사이에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폐루프 시스템을 사용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시킬 상기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 중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커브부 부분의 주행 전체에 걸쳐 공극 임계 거리 미만으로 상기 공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의 종방향 축선,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의 횡방향 축선, 또는 이들 모두를 따라 굴곡시키기 위해,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에 의한 상기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의 주행 전체에 걸쳐 결정된 대로,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에 결합된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LIM 사이의 상기 공극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LIM은 페라이트 코어에 설치된 선형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피드백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은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복합 커브부 부분의 세그먼트에서 작동한 후의 공극의 변화를 포함하고, 그래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합 커브부 부분의 세그먼트에서의 후속 작동에 있어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은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하부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에 의해 상기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의 주행 전체에 걸쳐 상기 LIM에 공급할 전력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트랙 상에 배치된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 및 상기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통해,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트랙에 설치된 선형 유도 모터(LIM) 사이에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 폐루프 시스템을 사용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시킬 상기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 중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는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는,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커브부 부분의 주행 전체에 걸쳐 공극 임계 거리 미만으로 상기 공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의 가요성 재료를 굴곡시키기 위해,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에 의한 상기 트랙의 복합 커브부 부분의 주행 전체에 걸쳐 결정된 대로, 상기 선택된 반응 플레이트를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에 결합된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복수의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LIM 사이의 상기 공극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LIM은 페라이트 코어에 설치된 선형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피드백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은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복합 커브부 부분의 세그먼트에서 작동한 후의 공극의 변화를 포함하고, 그래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합 커브부 부분의 세그먼트에서의 후속 작동에 있어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측면은 상기 놀이용 놀이기구 차량의 하부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05961A 2014-08-05 2015-07-17 놀이기구 차량의 제동 또는 시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88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2,175 US9610509B2 (en) 2014-08-05 2014-08-05 Systems and methods for braking or launching a ride vehicle
US14/452,175 2014-08-05
PCT/US2015/040852 WO2016022269A1 (en) 2014-08-05 2015-07-17 Systems and methods for braking or launching a ride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903A KR20170038903A (ko) 2017-04-07
KR102488328B1 true KR102488328B1 (ko) 2023-01-12

Family

ID=5378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961A KR102488328B1 (ko) 2014-08-05 2015-07-17 놀이기구 차량의 제동 또는 시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9610509B2 (ko)
EP (2) EP3177479B1 (ko)
JP (2) JP6546651B2 (ko)
KR (1) KR102488328B1 (ko)
CN (2) CN107106913B (ko)
CA (1) CA2957270C (ko)
ES (1) ES2888226T3 (ko)
HK (1) HK1243371A1 (ko)
MY (1) MY184357A (ko)
RU (1) RU2696896C2 (ko)
SG (2) SG11201700737UA (ko)
WO (1) WO2016022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0509B2 (en) * 2014-08-05 2017-04-04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braking or launching a ride vehicle
US10744887B2 (en) 2014-09-08 2020-08-18 Skytran, Inc. Levitation control system for a transportation system
US10464427B2 (en) * 2016-08-29 2019-11-05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braking or propelling a roaming vehicle
CN109603166A (zh) * 2017-09-01 2019-04-12 林权豪 一种滑梯
EP3517344A1 (de) 2018-01-24 2019-07-31 B&R Industrial Automation GmbH Transporteinheit für einen langstatorlinearmotor
EP3719962A1 (en) 2019-04-01 2020-10-07 LIM-Tech Limited Electromotive machine
US10476408B1 (en) * 2019-04-25 2019-11-12 Konstantin Hadziristic Method of controlling propulsion and suspension of linear induction motors
DE102020125162A1 (de) * 2020-09-25 2022-03-31 Intrasys Gmbh Innovative Transportsysteme Fahrgeschäft zur Volksbelustigung mit fahrzeugfestem Wicklungsbauteil
US11979203B2 (en) * 2021-05-12 2024-05-07 Rockwell Collins, Inc. Linear induction motor excitation modulation based commun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119A (ja) * 1999-10-05 2001-04-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リニアモータ式搬送装置
WO2007108586A1 (en) * 2006-03-22 2007-09-27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System of railway vehicle using linear motor and non-contac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2665A (en) * 1972-08-16 1974-02-19 Ltv Aerospace Corp Linear induction control system
US3937148A (en) 1973-01-02 1976-02-10 Cambridge Thermionic Corporation Virtually zero power linear magnetic bearing
DE2407522A1 (de) 1974-02-16 1975-08-28 Messerschmitt Boelkow Blohm Linearmotorantrieb insbesondere fuer ein spurgebundenes schwebefahrzeug
DE2418481C2 (de) 1974-04-17 1982-05-06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Regelkreis für die Luftspaltregelung eines linearen Asynchronmotors eines Fahrzeuges
DE2425027C2 (de) 1974-05-24 1985-07-25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00 München Magnetgeführtes und/oder -getragenes Fahrzeug
CA1044774A (en) 1974-07-26 1978-12-19 Gotz Heidelberg Magnetic system for supporting and propelling a vehicle along a roadway
DE2511382C2 (de) 1975-03-15 1983-10-06 Messerschmitt-Boelkow-Blohm Gmbh, 8000 Muenchen Magnetschwebefahrzeug mit federnd gelagerten Trag- und Führungsmagneten
DE3004704C2 (de) * 1980-02-08 1984-04-26 Thyssen Industrie Ag, 4300 Essen Magnetschwebebahn
JPS59156149A (ja) * 1983-02-23 1984-09-05 Canon Inc リニヤモ−タ
US4836344A (en) * 1987-05-08 1989-06-06 Inductran Corporation Roadway power and control system for inductively coupled transportation system
JPH01177805A (ja) 1987-12-29 1989-07-14 Fuji Electric Co Ltd 吸引形磁気浮上車
JP2791203B2 (ja) 1990-09-11 1998-08-2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リニアモータの移動子
JPH05718A (ja) 1991-06-24 1993-01-08 Shinko Electric Co Ltd 磁気浮上搬送装置
JPH07231515A (ja) 1994-02-15 1995-08-29 Hiroyuki Mizukami ギャップ長の制御機構を備えたリニアモータ、リニアモータ車両/軌道、輸送/交通システム
US5904101A (en) * 1997-04-22 1999-05-18 Power Superconductor Applications Co., Inc. Auxiliary propulsion for magnetically levitated vehicle
JP4121048B2 (ja) 1998-03-23 2008-07-16 日新製鋼株式会社 取鍋ノズル充填材の評価方法及び取鍋
US6483218B1 (en) * 1999-05-20 2002-11-19 Alex Petrinko Brushless electric exciter for dynamoelectric machines
AU6341200A (en) * 1999-07-02 2001-01-22 Magnemotion, Inc. System for inductive transfer of power, communication and position sensing to a guideway-operated vehicle
DE20119119U1 (de) 2001-11-23 2003-04-10 Rosner Peter Volksbelustigungsvorrichtung mit schaltbarer Wirbelstrombremse
JP4259978B2 (ja) * 2003-03-25 2009-04-30 Thk株式会社 リニア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RU2293667C2 (ru) * 2003-05-28 2007-02-20 Владимир Алексеевич Гнездилов Магнитное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0421985C (zh) * 2004-05-28 2008-10-01 西南交通大学 一种轨道车辆线性电机主动悬挂装置
DE102004051577B4 (de) 2004-10-22 2017-08-31 Intrasys Gmbh Innovative Transport-Systeme Veränderlich schaltbare Wirbelstrombremse
US8136453B2 (en) * 2006-03-03 2012-03-20 Hm Attractions Inc. Linear motor driven system and method
GB0620068D0 (en) * 2006-10-10 2006-11-22 Force Engineering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omotive machines
DE102007004919B4 (de) * 2007-01-26 2018-09-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Antriebssteuerung eines Magnetschwebefahrzeugs auf einer Magnetschwebebahnstrecke
DE102007052823A1 (de) * 2007-02-22 2008-08-28 Maurer Söhne Gmbh & Co. Kg Fahrgeschäft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geschäfts
JP4317235B2 (ja) * 2007-03-12 2009-08-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ニアインダクションモータ駆動システム
US8069792B2 (en) * 2007-08-01 2011-12-06 Sandor Wayne Shapery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energy from a railcar
AT506431B1 (de) 2008-01-24 2011-02-15 Lunatone Ind Elektronik Gmbh Gleitgelagerter fadenführer
US7950333B2 (en) 2008-03-11 2011-05-31 Disney Enterprises, Inc. Passive magnetic levitation ride for amusement parks
US8132513B2 (en) 2009-09-11 2012-03-13 Disney Enterprises, Inc. Amusement park ride with a vehicle drive that decouples upon loss of power
WO2013000090A1 (en) * 2011-06-30 2013-01-03 Hm Attractions Inc. Mo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n amusement ride
DE102012209399A1 (de) * 2012-06-04 2013-12-05 Intrasys Gmbh Innovative Transportsysteme Verwendung einer elektromagnetischen Geschwindigkeitsänderungsvorrichtung, wie Linearmotor oder/und Wirbelstrombremse, zur Geschwindigkeitsmessung
US9610509B2 (en) * 2014-08-05 2017-04-04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braking or launching a ride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119A (ja) * 1999-10-05 2001-04-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リニアモータ式搬送装置
WO2007108586A1 (en) * 2006-03-22 2007-09-27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System of railway vehicle using linear motor and non-contac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2269A1 (en) 2016-02-11
SG10201811452VA (en) 2019-01-30
RU2017107065A (ru) 2018-09-06
KR20170038903A (ko) 2017-04-07
US20160038840A1 (en) 2016-02-11
CA2957270C (en) 2019-02-19
SG11201700737UA (en) 2017-02-27
CN107106913B (zh) 2019-11-22
EP3177479B1 (en) 2021-06-23
JP2019205343A (ja) 2019-11-28
HK1243371A1 (zh) 2018-07-13
RU2696896C2 (ru) 2019-08-07
CA2957270A1 (en) 2016-02-11
JP2017527248A (ja) 2017-09-14
EP3177479A1 (en) 2017-06-14
US10377400B2 (en) 2019-08-13
JP6764003B2 (ja) 2020-09-30
RU2017107065A3 (ko) 2019-02-22
CN111016676A (zh) 2020-04-17
US9610509B2 (en) 2017-04-04
CN111016676B (zh) 2023-08-01
ES2888226T3 (es) 2022-01-03
US20170183022A1 (en) 2017-06-29
CN107106913A (zh) 2017-08-29
EP3950401A1 (en) 2022-02-09
MY184357A (en) 2021-04-01
JP6546651B2 (ja)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328B1 (ko) 놀이기구 차량의 제동 또는 시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724602B2 (en) Drive system for a transportation system
JP2017527248A5 (ko)
JP7037548B2 (ja) ローミング車両を制動又は推進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40087675A (ko) 전류각 제어를 위한 인버터를 갖는 자기부상 시스템
AU2018200856A1 (en) Drive system for a transpor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