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062B1 -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062B1
KR102488062B1 KR1020210035876A KR20210035876A KR102488062B1 KR 102488062 B1 KR102488062 B1 KR 102488062B1 KR 1020210035876 A KR1020210035876 A KR 1020210035876A KR 20210035876 A KR20210035876 A KR 20210035876A KR 102488062 B1 KR102488062 B1 KR 102488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ler extract
fermented
antler
lactobacillus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0966A (ko
Inventor
김현경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0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는 골다공증이나 여성 갱년기 관련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증상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증상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Menopause-Related Decreased Motility Comprising Fermented Antler Extract}
본 발명은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는 골다공증이나 여성 갱년기 관련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증상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갱년기는 여성의 생식기능이 소실되는 월경 폐지로부터 1~2년의 기간으로, 성성숙기에서 노년기로 이행하는 시기이다. 갱년기의 연령은, 체질·영양상태·분만횟수 등에 따라 개인차가 있고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폐경기가 약간 늦어지는 경향이 있으나, 통계적으로는 45~55세로 본다.
폐경 이전부터 인체 내에서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가 점차 감소하며, 이에 따른 호르몬의 부족 현상으로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가장 흔한 여성 갱년기 증상의 하나는 골다공증으로, 조직 대사의 이상으로 인하여 뼈의 용식은 계속되는 반면 뼈의 형성이 거의 중단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골다공증은 폐경기 후 여성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지만 영양 부족이나 활동 감소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갱년기의 다른 증상으로 안면 홍조, 빈맥, 발한, 피로감, 불안감, 우울, 기억력 감퇴, 불면증, 근력 약화 등이 수반되기도 한다.
호르몬 보충 요법은 갱년기 증상 완화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여성 호르몬을 투여하면 골밀도가 증가하여 골절이 감소한다고 알려졌으며, 폐경 후 피부의 탄력과 두께를 유지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자궁내막암이나 유방암 같은 호르몬 의존성 종양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호르몬 보충 요법에 의해 재발의 위험성이 증가하며, 고혈압, 혈전증, 담도계 결석, 비정상 자궁 출혈 등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에스트로겐과 같은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식물 유래의 천연 에스트로겐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이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라고 불리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과 매우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물질로 대두의 이소플라본(isoflavone)과 아마종자의 리그난(lignan)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갱년기 증상 완화에 있어서 이러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직접적인 효과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식물성 에스트로겐 역시 장기간 복용 시 뇌졸중, 심장병, 유방암 발생에 대한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다.
사슴의 뿔은 해마다 번식기를 중심으로 탈락되고 다시 생긴다. 녹용은 봄, 여름에 구각이 탈락되고 새로 나는 뿔로, 아직 각질이 형성되지 않아 내부에 혈관이 있고 유연한 성질을 띠는 것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뿔이 자람에 따라 피가 마르고, 내부의 칼슘이 단단하게 골질화된 것을 녹각이라 하며, 피 성분이 모두 사라지고 석회질이 되어 자연 탈락된 것을 낙각이라 한다.
녹용의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달고 짜다. 주로 간과 신장, 심장, 심포에 작용하여, 생식·성장 등의 기본적인 생리기능을 보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녹용을 예로부터 최고의 보혈 강장제로 여겨왔으며, 동의보감 등의 문헌에 수록된 바와 같이 녹용에는 강장작용, 보기혈 작용, 강정 작용, 진통 작용, 조혈 작용, 생장 발육 촉진 작용, 심부전증 치료 작용 및 기능 항진 작용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피로회복, 신체 활력 증강, 골 흡수 억제효능 및 신기능 강화 등 다양한 효능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녹용은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어, 한방에서 수렴작용이 있는 한방재료와 복방 처방으로 다양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기대했던 효과가 상실되거나 감소될 우려가 있다. 이에 녹용 추출물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기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처리방법이 요구된다.
현대사회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나 복잡해지는 사회 생활에 따른 스트레스와 식생활 불균형으로 인하여 다양한 질병이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을 통하여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의 건강기능식품은 단순히 기능성만이 강조된 것을 넘어서 복용이 편리하고 관능성을 향상시킨 제품들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녹용은 동물성 소재로 단백질과 회분의 함량이 높고, 동물성 특이의 맛으로 인하여 제품 개발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녹용에 다량으로 함유된 고분자 단백질은 열수 또는 알코올 추출 시 함께 추출되어 농축되면서 침전물을 형성함으로써 녹용의 액상 제품류 개발에 주된 장애 요인으로 대두되어 왔다.
등록특허 제10-03972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호르몬 의존성 종양의 우려가 있는 호르몬 제제 또는 호르몬 유사제가 아니면서 골다공증과 여성 갱년기 관련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증상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내 흡수를 돕고 동물성 특유의 냄새와 맛을 제거하며, 액상 제품에서도 침전 형성을 억제하여 관능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녹용 추출물은 골형성 과정에서 발현되는 마커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녹용 추출물의 발효에 의해 상기 유전자의 발현 증가에 대한 효과가 더욱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난소를 적출하여 갱년기를 유발한 마우스 모델은 대조군에 비해 마우스의 운동거리와 운동시간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녹용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감소가 다소 완화되었으며, 녹용 추출물을 발효시켜 투여한 경우에는 대조군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갱년기가 유발된 마우스는 심장, 간 및 비장 무게의 체중비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녹용 추출물 및 녹용 발효추출물은 갱년기 모델 마우스에서 각종 장기 무게의 체중비를 대조군의 수준으로 회복시켜, 갱년기로 인한 대사 과정의 변화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산균으로는 Lactobacillus, Lactococcus, Leuconostoc, Pediococcus, Bifidobacterium속의 균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배양 기간은 1~3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범위를 벗어난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배양기간이 너무 짧으면 유산균 발효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배양기간이 너무 길어지면 경제성이 저하되며 각 균주에 따라 최적의 배양조건과 기간을 설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녹용 발효추출물은 유산균의 발효 전 단계에서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녹용 발효추출물은 A) 녹용을 C1~C3의 알코올과 물로 이루어진 용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얻어진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C) B) 단계의 가수분해 산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녹용의 친수성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친수성 유용성분은 통상의 천연물 추출에서와 같이 C1~C3의 알코올과 물로 이루어진 용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추출은 당업계에서 천연물 추출에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면 냉침, 열추출, 초음파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시간은 추출온도와 추출방법에 따라 당업자라면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B) 단계는 A) 단계에서 얻어진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는 단계이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 하기 전에, 상기 A) 단계의 추출물은 농축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특히, 추출 용매에 C1~C3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효소 반응을 위하여 용매 중 C1~C3의 알코올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는 정제된 형태의 효소나 세균성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식품에 사용이 허가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는 예로써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세균성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Maxazyme(Bacillus amyloliquefaciens) 이외에도 트립신(Tyrpsin), 뉴트라제(Neutrase), 펩신(pepsin), α-카이모트립신(α-chymotrypsin), 파파인(papain), 프로타맥스(Protamex), 플라보자임(Flavourzyme), 알카라제(Alcalase), 판크레아제(Pancrease) 또는 식품첨가물로서 인정된 각종 세균성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처리조건은 사용하는 효소에 따라 최적의 조건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단계에서는 A)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 중 함유된 고분자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체내로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며, 동물성 소재 특유의 향을 제거하며 농축시 침전물의 형성을 방지하여 관능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C) 단계의 유산균 발효에 의해 본 조성물은 장에서의 흡수가 더욱 용이해지므로, 녹용섭취 시에도 설사를 유발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처리에 의해 유산균 발효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골형성 유전자의 발현 증가와 갱년기 운동성 저하 방지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다공증 또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로 이용하기 위하여,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제제의 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mg/kg·일~10g/kg·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과자, 주류, 초콜릿, 비타민 복합제의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녹용 발효추출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바람직하게는 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대체의학에서 장기간 안정성이 확보된 녹용 추출물을 활용하여, 호르몬 제제나 호르몬 유사제제 복용에 의한 호르몬 관련 종양의 우려없이 골다공증이나 갱년기 운동성 감소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증상개선할 수 있어 평균수명 증가에 의한 노령화 사회에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한 후 유산균 발효시키는 것에 의해 장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여 설사를 방지하고, 동물성 식품 특유의 향과 맛을 저감시키고 액상 제품에서 침전의 형성을 억제하므로 우수한 관능성과 녹용 추출물 대비 강화된 효능의 녹용 발효추출물을 제공하여 녹용의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녹용 추출물 및 녹용 발효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2는 녹용 추출물 및 녹용 발효추출물이 골형성마커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녹용 추출물 및 녹용 발효추출물이 갱년기 모델 마우스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녹용 추출물 및 녹용 발효추출물이 갱년기 모델 마우스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녹용 추출물(DA)의 제조
한국산 꽃사슴으로부터 채취한 녹용을 상대, 중대 및 하대로 구분하여 두께가 5 mm 이하가 되도록 얇은 편으로 절단하고, 건조한 것을 상대 : 중대 : 하대의 중량비를 1 :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은 혼합 녹용 절편의 일반 성분 분석 결과의 함량 비(w%)를 나타낸다.
Figure 112021032526814-pat00001
혼합 녹용 절편 509.7g과 물 4L를 스테인리스 추출기에 넣고 100℃에서 24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한 후 70℃에서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물에 정제수를 가하여 5 Brix로 희석하여 2,940 mL의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500 mL 씩 폴리프로필렌(PP) 용기에 옮겨 담고 -20℃의 냉동고에 저장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 시에는 냉동된 추출물을 꺼내어 50℃ 수조에서 녹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녹용 발효추출물(FDA)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녹용 추출물 중 녹용의 단백질을 가수분해하기 위하여 식약처 protease 허가 고시형 제품류 중 Maxazyme NNP DS를 2%(w/v) 농도로 가하여 50℃에서 24시간 효소반응시켰다. 이후 유산균을 2%(w/v) 농도로 첨가하여 37℃ BCP 샬레 배지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유산균으로는 식약처 유산균 허가 고시형 제품류 중 Mixture of 8 lactobacilli (8종 알파혼합유산균-엘(L)2, 메디오젠)를 사용하였다;
상기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기능성 식품공전의 유산균 수 측정방법에 준하여 유산균 수를 측정하였다. 먼저 증류수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에는 발효 후 유산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제조예에서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후 유산균 발효시킨 경우에는 배양 후 유산균 수가 2.04×108 cfu/mL였으며, 녹용 추출물을 기질로 하여 유산균 발효한 경우 5.00×107 cfu/mL였다. 이는 녹용 추출물이 유산균 배양에 적합한 영양원으로 활용되며,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녹용 추출물에 함유된 단백질이 물 가용성 물질이나 아미노산으로 전환되어 유산균 배양에 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사람이 섭취하였을 때 소화흡수에도 도움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실시예 3 : 세포독성 평가
사람 유래 골아세포인 U2OS와 쥐 유래 대식세포인 RAW264.7에 대한 녹용 추출물(DA)과 녹용 발효추출물(FDA)의 세포독성을 MTS 에세이를 통해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U2OS 및 RAW264.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녹용 추출물 또는 녹용 발효추출물을 0, 0.13, 0.25, 0.50, 1.00 또는 2.00 mg/mL의 농도로 가하여 24시간 처리한 후 MTS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도 1은 그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녹용 추출물 및 녹용 발효추출물을 2.0 mg/mL 농도까지 처리한 결과, 유의미한 세포 활성도의 변화는 확인되지 않아 세포 독성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 골형성에 대한 녹용 발효추출물의 영향 평가
인간 골아세포인 U2OS에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녹용 추출물 및 녹용 발효추출물을 1.0 또는 2.0 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48시간동안 배양하고 골아세포의 골형성 과정에서 발현되는 마커 유전자 RUNX2, SP7 및 OCN의 발현량을 rtPCR로 정량하였다. 발현량은 GAPHD의 발현량에 대한 상대적 mRNA 발현량으로 측정하였으며, 표 2에 rtPCR에 사용된 프라이머의 서열을 기재하였다.
Figure 112021032526814-pat00002
도 2는 골분화 마커 유전자의 발현량을 보여주는 결과로, RUNX2 mRNA는 녹용 발효추출물에 의해 발현량이 변화하지 않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SP7 및 OCN 유전자의 발현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OCN mRNA는 녹용 추출물 투여 시에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녹용 발효추출물은 1.0 mg/mL 투여시에도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20 mg/mL 처리 시에는 대조군에 비해 1.28배 발현이 증가하였다. SP7 mRNA는 녹용 추출물과 녹용 발효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모두 유의적으로 발현이 증가하였는데, 대조군에 비해 녹용 추출물 2.0 mg/mL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1.52배, 녹용 발효추출물 2.0 mg/mL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2.31배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녹용 추출물은 골형성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이러한 효능이 발효를 통하여 강화되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5 : 운동성에 대한 녹용 발효추출물의 영향 평가
트레드밀 테스트(treadmill test)에 의해 녹용 추출물 및 녹용 발효추출물이 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마우스는 ~ 주령의 C67BL/6 마우스를 1주일간 순화 후 난소적출(OVX)를 통해 폐경기 상태를 유도하였다.
이후, 1주일간 회복기를 가진 뒤 12주간 25℃, 12시간 낮/밤 주기를 제공하는 환경 속에서 녹용 추출물 또는 녹용 발효추출물을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충분한 물과 함께 자유급이하였다. 12주 후 0° 경사에서 10 cm/sec부터 45 cm/sec로 점진적으로 속도를 올리며 10초 이상 뒤처질 때까지 트레드밀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운동성은 운동거리와 운동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도 3은 그 결과를 나타낸다. 난소 적출 집단의 운동거리는 346.6±70.7 m로 476.6±76.3 m 이동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녹용 추출물을 섭취한 집단에서는 417.4±90.8 m, 녹용 발효추출물을 섭취한 집단에서는 453.6±62.6 m로 운동성이 회복됨을 보여준다. 운동시간 역시 난소 적출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녹용 추출물의 복용에 의해 회복되는 것을 보여주며, 녹용 발효추출물은 대조군과 유사한 운동시간을 나타내었다.
즉, 골형성 촉진 효능과 마찬가지로 녹용 추출물은 난소 적출에 의한 쥐의 운동성 감소를 회복시키며, 녹용 추출물의 발효에 의해 이러한 효능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트레드밀 테스트가 종료된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심장, 간 및 비장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녹용 추출물 및 녹용 발효추출물이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여주듯이 난소 적출에 의해 증가한 심장, 간, 비장의 체중에 대한 무게비가 녹용 추출물 또는 녹용 발효추출물의 복용에 의해 대조군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110> SEOWON UNIVERSITY INSTITUTE OF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 <120> Composition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Osteoporosis or Menopause-Related Decreased Motility Comprising Fermented Antler Extract <130> P0321-155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tggacgaggc aagagtttca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tcccgaggtc catctactgt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gatctggtgc ctagaagcc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caagctccag cggctttaac 20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ctccagggg atccgggta 19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aagcccagcg gtgcagagt 19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ttgaggtcaa tgaaggggtc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gaaggtgaag gtcggagtca 20

Claims (4)

  1.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을 포함하는 유산균 혼합물에 의해 발효된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A) 녹용을 열수로 추출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얻어진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C) B) 단계의 가수분해 산물을 유산균 혼합물로 발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을 포함하는 유산균 혼합물에 의해 발효된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10035876A 2021-03-19 2021-03-19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8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76A KR102488062B1 (ko) 2021-03-19 2021-03-19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76A KR102488062B1 (ko) 2021-03-19 2021-03-19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966A KR20220130966A (ko) 2022-09-27
KR102488062B1 true KR102488062B1 (ko) 2023-01-12

Family

ID=8345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876A KR102488062B1 (ko) 2021-03-19 2021-03-19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0192A (zh) * 2022-12-20 2023-04-21 长春科技学院 鹿茸干细胞外泌体在治疗预防骨质疏松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220B1 (ko) 2000-07-13 2003-09-13 전길자 녹용으로부터 추출된 골형성 촉진 물질 및 그의 추출방법
WO2019088379A1 (ko) * 2017-11-02 2019-05-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966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807B1 (ko) 유산균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13914B1 (ko) 장내 생균제 공동-발효 배양물에 의한 천연 의약의 전환과변형
CN113498433B (zh) 包含嗜柠檬酸明串珠菌WiKim0104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肥胖或脂肪肝疾病的组合物
CN110393728B (zh) 乳酸杆菌属、其医药组合物及可食用组合物于治疗、预防或改善骨质疾病的用途
KR20090122454A (ko) 내장지방 감소제
CN112999261B (zh) 一种舒缓动脉硬化的纳豆发酵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52639B1 (ko) 쌍화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4960B1 (ko)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성기능 개선능이 있는 류코노스톡 홀잡펠리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58595B1 (ko)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JP5270680B2 (ja) 葉酸が混入された大豆発酵高分子物質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KR101791088B1 (ko)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성기능 개선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04544A (ko)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를 포함하는 관절염, 섬유증, 대장염 또는 이식거부 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508173A (zh) 包含赫伦魏斯氏菌WiKim0103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肥胖或脂肪肝疾病的组合物
KR102488062B1 (ko)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132635B2 (ja) 未失活酵素強化組成物
CN113543659A (zh) 包含意外片球菌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神经退行性疾病的组合物
KR101790548B1 (ko) 지방 분해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15969961B (zh) 改善骨密度的钙、vd、蛋白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090196867A1 (en) Soy kefir powder and uses thereof
AU2019416609B2 (en) Kimchi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licobacter pylori-associated diseases
KR102651098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94771B1 (ko)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성기능 개선능이 있는 브레비바실러스 루제리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65170A (ko) 흰목이버섯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당뇨 및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5125A (ko) 녹용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여성 갱년기 운동성 감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2153976B (zh) 用于预防或治疗骨质疏松症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