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887B1 -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887B1
KR102487887B1 KR1020210004092A KR20210004092A KR102487887B1 KR 102487887 B1 KR102487887 B1 KR 102487887B1 KR 1020210004092 A KR1020210004092 A KR 1020210004092A KR 20210004092 A KR20210004092 A KR 20210004092A KR 102487887 B1 KR102487887 B1 KR 10248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unition
unit
transfer
lif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966A (ko
Inventor
이성문
김재갑
이용재
이영준
정낙권
권병민
김경범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0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88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87Ammunition handling dollies or transfer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power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0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cyclically moving conveyors, i.e. conveyors having ammunition pusher or carrier elements which are emptied or disengaged from the ammunition during the return stroke
    • F41A9/09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41Projectiles, bombs, a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는, 탄약 또는 장약을 적재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탄약 이송부; 및 상기 탄약 이송부에 적재되어 있는 상기 탄약 또는 상기 장약을 전달 받아, 상기 탄약 또는 상기 장약을 상기 탄약 이송부의 높이를 초과하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거나, 상기 탄약 이송부의 높이 이하로 하강시키는 리프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 방법{MUNITIONS CARRI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탄약 이송장치 및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함포 무장을 이용하는 탄약시험은 운용을 위해서 탄약과 추진장약을 순서대로 약실 안으로 넣어 장전한 후, 사격을 실시하여 탄약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탄약시험에서 사용되는 탄약은 중량물에 해당되기 때문에, 탄약을 이송하는 과정은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약을 이송하는 작업자는 목, 어깨, 허리, 팔, 다리의 신경, 근육 및 그 주변조직 등에 무리를 주는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거나, 반복적인 중량물의 도수 작업으로 인하여 피로도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탄약시험을 운용할 때, 탄약(또는 탄두)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도수 이동하는 탄약은 불안전하기 때문에 불안전 상태에 의한 위험성이 존재하고, 탄약의 이동을 위한 추가시험 투입 인원과 탄약시험의 소요시간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탄약시험을 위해 탄약을 이송하는 과정은 시험의 안정성 및 작업의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247285호 (2013.03.19. 등록)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약 이송장치 및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탄약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탄약(또는 탄두)을 이송하는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이고, 탄약시험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 등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는, 적재된 탄약 또는 장약을 이송시킬 수 있는 탄약 이송부; 및 상기 탄약 이송부에 적재되어 있는 상기 탄약 또는 상기 장약을 전달 받아, 상기 탄약 또는 상기 장약을 상기 탄약 이송부의 높이를 초과하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거나, 상기 탄약 이송부의 높이 이하로 하강시키는 리프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약 이송부는, 다수의 사각 프레임의 결합으로 직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부; 및 상기 적재된 탄약 또는 상기 장약을 이송시키는 탄약 이송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 및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송용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이송용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탄약 또는 상기 장약이 적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프레임; 및 상기 적재부에 위치한 상기 탄약 또는 상기 장약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놓여지는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 및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높이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리프트용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프트용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 또는 상기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공급부를 구동시켜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 또는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리프트부 각각의 하단에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의 작동방법은, 탄약 이송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탄약 이송 방법에 있어서, 탄약 이송 테이블에 탄약 또는 장약이 적재되면,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을 리프트부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와, 적재부에 상기 탄약 또는 상기 장약이 적재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을 기 설정된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이 기 설정된 대기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적재부를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의 높이를 초과하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를 상기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적재부에서 상기 탄약 또는 상기 장약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적재부를 소정의 높이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이송용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단계는,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약 이송 장치는 탄약(또는 탄두)을 이송하는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므로 탄약시험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소수의 작업자에 의해 탄약을 이송할 수 있으므로 인력 투입이 감소되고, 탄약 시험을 위한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테이블에 적재된 탄약 및 장약에 대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테이블에 적재된 탄약 및 장약에 대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에 탄약 및 장약이 적재된 것에 대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부에 적재된 탄약 및 장약이 상승된 것에 대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100)는 화포에 장착되지 않은 독립된 장치로, 1명의 시험요원이 사격시험을 위해 탄약 이송 장치(100)를 이용하여 탄약을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100)는 탄약 이송부(110) 및 리프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약 이송부(110)는 적재된 탄약(또는 탄두) 또는 장약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탄약 이송부(110)는 프레임부(111), 탄약 이송 테이블(112),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113) 및 이송용 리미트 스위치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11)는 다수의 사각 프레임의 결합으로 직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약 이송 테이블(112)은 프레임부(111)의 상단에 위치하고, 적재된 탄약 또는 장약을 이송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탄약 이송 테이블(112)은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113)에 의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탄약 이송 테이블(112)에 적재된 탄약 또는 장약을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탄약 이송 테이블(112)에 탄약 또는 장약을 적재하면, 탄약 이송 테이블(112)은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113)에 의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탄약 또는 장약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113)는 프레임부(111)의 하단에 위치하고, 탄약 이송 테이블(1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 1 유압 실린더(113a) 및 탄약 이송 테이블(11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 2 유압 실린더(113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탄약 이송 테이블(112)에는 복수 개의 탄약(또는 탄두) 또는 장약이 적재될 수 있는 부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송용 리미트 스위치(114)는 프레임부(111)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송용 리미트 스위치(114)는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이송용 제 1 리미트 스위치(114a) 및 제 2 리미트 스위치(114b)와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이송용 제 3 리미트 스위치(114c) 및 제 4 리미트 스위치(114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113)에 의해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전진할 경우에는 제 1 리미트 스위치(114a)까지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이동되고,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후진할 경우에는 제 2 리미트 스위치(114b)까지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이동되고,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상승할 경우에는 제 3 리미트 스위치(114c)까지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상승되고,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하강할 경우에는 제 4 리미트 스위치(114d)까지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하강될 수 있다.
리프트부(120)는 프레임부(111)의 일 측면에 위치하며, 탄약 이송부(110)에 적재되어 있는 탄약 또는 장약을 전달 받아, 탄약 또는 장약을 탄약 이송부의 높이를 초과하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거나, 탄약 이송부의 높이 이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리프트부(120)는 하부 플레이트(121), 높이 조절 프레임(122),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123), 상부 플레이트(124), 적재부(125), 감지 센서부(126) 및 리프트용 리미트 스위치(12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21)는 하단에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프레임(122)은 하부 플레이트(121)에 결합될 수 있고,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123)에 의해 후술할 적재부(12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123)는 하부 플레이트(121) 및 높이 조절 프레임(1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24)는 높이 조절 프레임(122)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놓여질 수 있다.
적재부(125)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하여 탄약 또는 장약이 적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재부(125)는 탄약이 적재될 수 있는 탄약 적재부 및 장약이 적재될 수 있는 장약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부(126)는 상부 플레이트(126)의 상단에서 적재부(125)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여 적재부(125)에 위치한 탄약 또는 장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센서부(126)는 탄약 또는 장약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용 리미트 스위치(127)는 하부 플레이트(12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나, 리프트용 리미트 스위치(127)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프트용 리미트 스위치(127)는 상부 플레이트(124)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리프트용 리미트 스위치(127)는 높이 조절 프레임(122)의 높이를 높이기 위한 리프트용 제 1 리미트 스위치(127a) 및 높이 조절 프레임(122)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리프트용 제 2 리미트 스위치(127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123)에 의해 높이 조절 프레임(122)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에는 제 1 리미트 스위치(127a)까지 높이 조절 프레임(122)이 상승되고, 높이 조절 프레임(122)의 높이가 낮춰질 경우에는 제 2 리미트 스위치(127b)까지 높이 조절 프레임(122)이 하강될 수 있다.
한편, 탄약 이송부(110)는 유압 공급부(115), 제어부(116) 및 수동 스위치 모듈(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압 공급부(115)는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113) 또는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123)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 공급부(115)는 유압 탱크 또는 유압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6)는 유압 공급부(115)를 구동시켜 탄약 이송 테이블(112) 및 높이 조절 프레임(12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6)는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113) 또는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123)에 유압이 공급되도록 유압 공급부(115)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116)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모듈일 수 있다.
수동 스위치 모듈(117)은 제어부(116)에서 수행하는 제어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수동 스위치 모듈(116)은 탄약 이송 테이블(11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시키거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스위치와, 높이 조절 프레임(122)의 높이를 조절 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스위치와 기 설정된 명령으로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이동되고, 높이 조절 프레임(122)의 높이가 조절되는 자동모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동 스위치 모듈(117)은 탄약 이송 테이블(112) 및 높이 조절 프레임(122)의 이동을 종료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수동 스위치 모듈(117)은 제어부(116)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어부(116)에게 유압 공급부(115)를 구동시키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16)는 수동 스위치 모듈(117)의 명령에 따라 탄약 이송 테이블(112) 또는 높이 조절 프레임(122)이 이동되도록 유압 공급부(115)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100)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테이블에 적재된 탄약 및 장약에 대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테이블에 적재된 탄약 및 장약에 대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에 탄약 및 장약이 적재된 것에 대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부에 적재된 탄약 및 장약이 상승된 것에 대한 상태도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 이송 장치의 작동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탄약 이송 장치(100)에 의해 수행 가능하며, 도 3에 도시된 탄약 이송 장치의 작동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탄약 이송 장치(100)는 탄약 이송 테이블(112)에 탄약 또는 장약이 적재되면, 탄약 이송 테이블(112)을 리프트부(120)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단계 S100).
일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약 이송 장치(100)는 탄약 이송 테이블(112)에 탄약(10) 및 장약(11)이 적재되면, 탄약 이송 테이블(112)을 리프트부(120)의 적재부(124)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6)에서 유압 공급부(115)를 구동시키면,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113)에 의해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리프트부(120)의 적재부(124)까지 이동되고, 이에 따라 탄약 이송 테이블(112)에 적재된 탄약 및 장약이 이송될 수 있다.
이후, 탄약 이송 장치(100)는 적재부(125)에 탄약 또는 장약이 적재되었음이 감지되면, 탄약 이송 테이블(112)을 기 설정된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단계 S200).
일 실시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탄약 이송 장치(100)는 감지 센서부(126)를 이용하여 탄약 또는 장약이 감지되면, 탄약 이송 장치(100)는 제어부(116)에서 유압 공급부(115)를 구동시킴에 따라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113)에 의해 탄약 이송 테이블(112)을 기 설정된 대기 위치(1)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대기 위치(1)는 탄약 이송 테이블(112)에 처음 탄약 또는 장약이 적재한 시점의 위치일 수 있다.
이후, 탄약 이송 장치(100)는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기 설정된 대기 위치까지 이동되면, 적재부(125)를 탄약 이송 테이블(112)의 높이를 초과하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단계 S300).
보다 상세히, 도 7을 참조하면 탄약 이송 장치(100)는 탄약 이송 장치(100)는 제어부(116)에서 유압 공급부(115)를 구동시킴에 따라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123)에 의해 높이 조절 프레임(122)이 조절되어 적재부(125)를 탄약 이송 테이블(112)의 높이를 초과하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즉, 탄약 이송 장치(110)는 탄약 이송 테이블(112)이 이동할 경우에는 높이 조절 프레임(122)이 조절되지 않고, 탄약 이송 테이블(112)의 이동이 멈출 경우에 높이 조절 프레임(122)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또한, 탄약 이송 장치(100)는 적재부(125)를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적재부(125)에서 탄약 또는 장약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적재부(125)를 소정의 높이까지 하강시킬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약 이송 장치는 탄약(또는 탄두)을 이송하는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므로 탄약시험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소수의 작업자에 의해 탄약을 이송할 수 있으므로 인력 투입이 감소되고, 탄약 시험을 위한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탄약 이송 장치
110: 탄약 이송부
111: 프레임부
112: 탄약 이송 테이블
113: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
114: 이송용 리미트 스위치
115: 유압공급부
116: 제어부
117: 수동 스위치 모듈
120: 리프트부
121: 하부 플레이트
122: 높이 조절 프레임
123: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
124: 상부 플레이트
125: 적재부
126: 감지 센서부
127: 리미트 스위치

Claims (15)

  1. 탄약 또는 장약이 적재되는 탄약 이송 테이블 및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약 또는 장약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탄약 이송부; 및
    상기 탄약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탄약 또는 장약이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부 및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에 의해 상기 적재부를 상기 탄약 이송부의 높이를 초과하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거나, 상기 탄약 이송부의 높이 이하로 하강시켜 상기 탄약 또는 장약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탄약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약 이송부는,
    다수의 사각 프레임의 결합으로 직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탄약 이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약 이송부는,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송용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탄약 이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이송용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탄약 이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적재부에 위치한 상기 탄약 또는 장약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탄약 이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양측 끝단이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놓여지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양측 타단이 결합된 하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하는 탄약 이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높이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리프트용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탄약 이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프트용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하는 탄약 이송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유압 실린더부 또는 상기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부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탄약 이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공급부를 구동시켜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 또는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탄약 이송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리프트부 각각의 하단에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탄약 이송 장치.
  12. 탄약 이송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탄약 이송 방법에 있어서,
    탄약 이송 테이블에 탄약 또는 장약이 적재되면,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을 리프트부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와,
    적재부에 상기 탄약 또는 장약이 적재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을 기 설정된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이 기 설정된 대기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적재부를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의 높이를 초과하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약 이송 장치의 작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를 상기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적재부에서 상기 탄약 또는 장약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적재부를 소정의 높이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탄약 이송 장치의 작동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이송용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탄약 이송 테이블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약 이송 장치의 작동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단계는,
    리프트용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탄약 이송 장치의 작동방법.
KR1020210004092A 2021-01-12 2021-01-12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248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092A KR102487887B1 (ko) 2021-01-12 2021-01-12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092A KR102487887B1 (ko) 2021-01-12 2021-01-12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966A KR20220101966A (ko) 2022-07-19
KR102487887B1 true KR102487887B1 (ko) 2023-01-12

Family

ID=8260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092A KR102487887B1 (ko) 2021-01-12 2021-01-12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8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85B1 (ko) 2007-04-24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탄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탄약 운반 장갑차
KR101592292B1 (ko) * 2014-06-12 2016-02-05 국방과학연구소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742589B1 (ko) * 2015-05-19 2017-06-01 국방과학연구소 포탄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966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66923B (zh) 电视背板码垛系统
CN105173618B (zh) 一种物料盘底部提升机构
KR101742589B1 (ko) 포탄 이송 장치
CN105966924B (zh) 电视背板码垛设备
CN104108583B (zh) 一种管件上料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093868B1 (ko) 높이 조절형 가공 철근 다단 적재 리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화 철근 가공 시스템
KR101035478B1 (ko) 적재면의 확장 및 이동이 가능한 지게차용 승하강 리프트
CN206417518U (zh) 全自动上板机
CN106216990A (zh) 一种pcb板全自动装配线及其生产工艺
KR102487887B1 (ko)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11874621B (zh) 一种瓷砖自动下料设备及自动下料方法
CN105035687A (zh) 一种物料盘自动提升机构
CN106660718B (zh) 包括托盘升降机和码垛装置的组件
KR102015767B1 (ko) 탄약 공급 장치
JP5007804B2 (ja) 熱処理装置
CN107628445A (zh) 一种板材堆垛装置
CN106516740B (zh) 一种自调节双边自动磨边系统
CN207013885U (zh) 用于焊制金属网状物的自动化龙门焊机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JP2001246529A (ja) ワーク自動セット装置
CN110316499B (zh) 物品搬送装置
KR101917795B1 (ko) 밥솥 운반용 리프트카
JP2018193187A (ja) 柱状材支持装置
CN207013891U (zh) 改进型自动焊接机
CN106379835A (zh) 一种重物升降装置及其重物升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