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497B1 -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497B1
KR102487497B1 KR1020220124838A KR20220124838A KR102487497B1 KR 102487497 B1 KR102487497 B1 KR 102487497B1 KR 1020220124838 A KR1020220124838 A KR 1020220124838A KR 20220124838 A KR20220124838 A KR 20220124838A KR 102487497 B1 KR102487497 B1 KR 102487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upport
precast
main body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종
Original Assignee
유광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종 filed Critical 유광종
Priority to KR102022012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497B1/ko
Priority to KR1020220173874A priority patent/KR102487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데크는, 어느 하나의 거더(1)와 인접한 거더(1)의 상부에 놓여지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와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본체부(110)의 전후면(113) 아래에 구비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10)의 길이(L1)가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L2)보다 길고, 상기 본체부(110)의 폭(W1)이 상기 지지부(120)의 폭(W2)보다 크며, 상기 지지부(120)의 상면(121)이 상기 본체부(110)의 전후면(113)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110)의 폭(W1)이,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보다 크고, 상기 지지부(120)의 폭(W2)이,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와 동일하거나,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보다 작으며,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어느 하나의 전후면(113) 아래에만 구비되고, 데크를 거더 상부에 거치하면, 어느 하나의 데크의 지지부(120) 상면(121)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데크의 본체부(110) 하면(112)이 면접촉하도록 거치되어, 하나의 지지부(120) 상부에 인접한 2개의 본체부(110)가 오버랩(overlap)되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Bridge deck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using a precast deck}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데크의 본체부에 지지부를 구비하여, 거더와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데크가 4변지지가 되도록 하면서, 곡선부에서도 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고, 사람, 차량, 열차, 수자원, 화물 등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토목구조물이다. 교량은 교대, 교각 등 하부구조물 위에 거더를 설치하고, 거더의 상부에 바닥판, 슬래브 등을 설치하여 완성하게 된다.
최근에는 교량 시공의 생산성과 품질향상을 위해 부재들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시공현장에서 조립하거나, 현장작업을 최소화하는 교량가설공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교량 바닥판은, 전통적으로 시공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교량 바닥판 시공방법은, 바닥판 콘크리트의 전부가 현장타설 콘크리트이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날씨, 주변환경 등 외적인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대부분의 시공공정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왔고,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에 많은 시간, 비용, 노력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방법은,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현장에서 조립하고, 그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바닥판과 바닥판 사이의 이음부 시공이 어렵고, 이음부에서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콘크리트 유출을 막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교량의 종단선형이 직선부만 있는 것이 아니라 곡선부도 있는데, 곡선부에서는 바닥판의 폭방향(교축 직각방향)으로 갈수록 바닥판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게 되므로 바닥판과 바닥판을 연결하여 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바닥판의 지지구조가 약해지며, 곡선부에서 이음부 틈이 커질 수 밖에 없어 콘크리트 유출 문제가 더욱더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바닥판은, 바닥판의 폭방향 양단부만 거더에 걸쳐져 지지되는 2변지지 방식이기 때문에, 바닥판의 지지구조가 안정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고, 앞뒤로 연결되는 바닥판이 서로 동일 평면내에서만 연결되고 있어, 연결된 바닥판의 강도, 내구성이 우수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곡선부에서 시공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지지구조 및 휨강성을 가지면서, 이음부에서 특별한 공정없이 쉽게 콘크리트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데크와 교량 바닥판 시공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833373호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직선부 뿐만 아니라 곡선부에서도 프리캐스트 데크의 연결이 쉬운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안정적인 지지구조 및 높은 휨강성을 가지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교량 바닥판 시공을 할 때, 프리캐스트 데크의 연결작업 및 실링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데크는, 어느 하나의 거더(1)와 인접한 거더(1)의 상부에 놓여지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와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본체부(110)의 전후면(113) 아래에 구비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10)의 길이(L1)가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L2)보다 길고, 상기 본체부(110)의 폭(W1)이 상기 지지부(120)의 폭(W2)보다 크며, 상기 지지부(120)의 상면(121)이 상기 본체부(110)의 전후면(113)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110)의 폭(W1)이,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보다 크고, 상기 지지부(120)의 폭(W2)이,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와 동일하거나,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보다 작으며,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어느 하나의 전후면(113) 아래에만 구비되고, 데크를 거더 상부에 거치하면, 어느 하나의 데크의 지지부(120) 상면(121)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데크의 본체부(110) 하면(112)이 면접촉하도록 거치되어, 하나의 지지부(120) 상부에 인접한 2개의 본체부(110)가 오버랩(overlap)되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가 전폭에 걸쳐 일정하거나, 어느 하나의 측면(124)에서 다른 하나의 측면(124)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되되,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제1연결부(130) 및/또는 제2연결부(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와이어로 제작되고,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복수 개가 분리된 고리형 후프 또는 하나가 나선형으로 연결된 나선형 후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10)의 아래에 구비되는 제1실링재(151); 상기 지지부(120)의 위에 구비되는 제2실링재(152); 상기 지지부(120)의 옆에 구비되는 제3실링재(1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는,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2개 이상의 거더(1)를 설치하는 단계; B) 어느 하나의 거더(1)와 인접한 거더(1)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데크를 거치하는 단계; C) 거치된 프리캐스트 데크의 상부에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곡선부에서 시공할 때, 데크의 폭방향을 따라 데크간 이음부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데크는, 곡선부에서도 항상 본체부가 지지부의 상부에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므로, 곡선부에서 시공이 용이하다.
둘째, 본체부의 양측면(교축 직각방향으로 본체부의 양단)이 거더에 의해 지지되고, 교축방향을 따라 본체부의 앞뒤 아래에 지지부가 구비되므로, 4변지지 구조가 완성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구조가 되고, 처짐 및 균열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도 4의 양방향 빗금이 그려진 부분(본체부와 지지부가 만나서 직사각형 단면을 이루는 부분)이 직사각형 보가 되고, 본체부에 비해 훨씬 큰 휨강성(휨강성은 상하 높이의 3승에 비례하여 커짐)을 발휘하게 되어 4변지지 구조의 데크가 완성될 수 있다.
셋째, 어느 하나의 데크의 지지부가 인접한 다른 데크를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데크가 설치된 전구간에 걸쳐 인접한 데크가 서로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므로, 앞뒤로 배열되는 데크 간에 서로 맞물리는 구조가 되어 연결된 데크들이 하나의 바닥판처럼 유기적으로 상부하중에 저항할 수 있다.
넷째, 프리캐스트 데크 제작시의 제작오차,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시의 시공오차 등이 있을 수 밖에 없는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각종 오차를 본체부 하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흡수할 수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데크의 거치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2개의 거더 상부에 걸쳐지도록 프리캐스트 데크를 거치할 때, 전후로 위치하는 본체부 사이의 하부에 지지부가 중첩(overlap)되면서 위치하므로, 프리캐스트 데크의 연결작업 및 실링작업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여섯째, 본체부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부에 의해 각종 오차를 보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교량 바닥판 시공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공사비용 절감, 공기 단축, 교량의 내구성, 안전성 증대 등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데크를 2개의 거더에 거치하면, 본체부는 인접하는 거더의 상부에 걸쳐지고, 지지부는 본체부의 아래에서 거더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거치되므로, 데크의 거치 및 정렬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별도의 고정작업을 하지 않아도 거더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2는 본 발명 프리캐스트 데크(100)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프리캐스트 데크(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체부 일단과 지지부가 직사각형 보가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프리캐스트 데크(100)가 연속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측면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프리캐스트 데크(100)에 제1, 2연결부(고리형 후프)가 구비된 측단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프리캐스트 데크(100)에 제1, 2연결부(나선형 후프)가 구비된 측단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8, 9는 본 발명 프리캐스트 데크(100)에 실링재가 구비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지부가 평면형상 사다리꼴로 형성된 평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지지부가 사다리꼴로 형성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체부의 양쪽에 지지부가 구비되고, 지지부가 평면형상 사다리꼴로 형성된 평면도, 측면도, 사시도이다.
도 13은 별다른 추가 조치없이, 데크간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지지부가 흡수, 보완하면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데크(100)를 거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별다른 추가 조치없이, 데크간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지지부가 흡수, 보완하면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데크(100)를 거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지지부의 평면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 프리캐스트 데크(100)가 곡선부에 거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지지부의 평면형상이 사다리꼴인 경우, 프리캐스트 데크(100)가 곡선부에 거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직선부에는 지지부가 직사각형인 프리캐스트 데크가 거치되고, 곡선부에는 지지부가 사다리꼴인 프리캐스트 데크가 거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직선부에 교량 바닥판이 시공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직선부에 교량 바닥판이 시공되는 것을 설명하는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20은 곡선부에 교량 바닥판이 시공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체부의 양쪽에 지지부(평면형상 직사각형)가 구비된 데크와 지지부가 없는 심플데크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체부의 양쪽에 지지부(평면형상 사다리꼴)가 구비된 데크와 지지부가 없는 심플데크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4변지지구조를 완성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 교량 바닥판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교축방향(교량 및 거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데크의 제원을 설명한다. 즉,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지지부의 크기를 ‘길이’로 표현하고, 거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지지부의 크기를 ‘폭’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데크(100)는 본체부(110),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상면(111), 하나의 하면(112), 2개의 전후면(113), 2개의 측면(114)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111)과 하면(112)은 각각 위쪽과 아래쪽의 면이고, 상기 전후면(113)은 교축방향을 향하는 면이며, 상기 측면(114)은 교축 직각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본체부(110)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지나, 경우에 따라 상면과 하면에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상면(121), 하나의 하면(122), 2개의 전후면(123), 2개의 측면(124)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121)과 하면(122)은 각각 위쪽과 아래쪽의 면이고, 상기 전후면(123)은 교축방향을 향하는 면이며, 상기 측면(124)은 교축직각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지지부(120)의 측면(124)은, 연직한 방향의 연직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연직선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구비(도 3, 6, 10)될 수도 있으며, 연직면과 경사면이 함께 구비(도 8, 9)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와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본체부(110)의 2개의 전후면(113) 중 어느 하나의 아래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20)의 상면(121)과 상기 본체부(110)의 하면(112)이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크 거치를 편리하게 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데크의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지지부가 없는 단부의 위쪽에 모따기면(11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거더의 상단 아래에서 상부의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L2)가 상기 본체부(110)의 길이(L1)보다 작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10)는 2개의 거더 위에 걸쳐지고, 지지부(120)는 거더의 상단 아래에서 상부의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본체부(110)의 폭(W1)이 상기 지지부(120)의 폭(W2)보다 크게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인접한 2개의 거더(1) 위에 걸쳐지도록 거치되므로, 상기 본체부(110)의 폭(W1)이,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보다 커야 한다.
상기 지지부(120)는 인접한 2개의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에 끼워져야 되므로, 상기 지지부(120)의 폭(W2)이,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데크 제작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제작오차, 거더 시공시에 발생하는 시공오차 등 각종 오차를 고려하여, 지지부(120)의 폭(W2)이,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보다 약간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4변지지 프리캐스트 데크는 특히 곡선부 시공에 특장점이 있는 것이므로, 곡선부에서의 원활한 시공을 위해서도 지지부(120)의 폭(W2)은, 거더(1)와 거더(1) 사이의 내측 거리(d)보다 약간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20)는 인접한 프리캐스트 데크(100)의 본체부를 지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지지부(120)의 상면(121)이 상기 본체부(110)의 전후면(11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어느 하나의 거더(1)와 인접한 거더(1)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거치되고, 상기 지지부(120)의 상면(121)과 상기 본체부(110)의 하면(112)이 동일한 높이로 구비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데크(100)의 지지부(120)의 상면(121)에, 인접한 데크(100)의 본체부(110)의 하면(112)이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본 발명의 데크(100)를 거치하면,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거더(1) 상부에 본체부(110)가 걸쳐지고, 2개의 거더(1) 상단 아래에 상기 지지부(120)가 끼워지는 형태로 위치하며, 어느 하나의 데크(100)의 지지부(120)의 상면(121)에, 인접한 데크(100)의 본체부(110)의 하면(112)이 면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데크(100) 본체부(110)는, 그 양 측면 아래가 거더에 의해 지지되고, 교축방향을 따라 본체부의 앞뒤 아래에 지지부가 구비되므로, 4변지지 구조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지지부(120) 상부에는 2개의 본체부(110)가 오버랩(overlap)되므로, 데크의 연결작업 및 실링작업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고, 오버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각종 오차를 흡수,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오버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특별한 기술적 특징을 이용하면, 곡선부에서의 바닥판 시공이 매우 쉬워지는 특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도 15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곡선부에서 곡선의 외측으로 갈수록 오버랩 양이 줄어들도록 하면, 곡선부에서 데크 거치 및 바닥판 시공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이음부에서의 콘크리트 타설도 쉽게 할 수 있고, 곡선부에서도 지지부에 의한 지지구조 역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곡선부에서 시공성, 강도,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부(120)의 평면 형상을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지지부(120)의 평면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면, 지지부(120)의 교축방향 길이가 전폭에 걸쳐 일정한 반면, 지지부(120)의 평면 형상을 사다리꼴로 하면, 지지부(12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다른 하나의 측면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형태가 된다(도 10, 11, 16, 22 참조).
지지부(120)의 평면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더라도, 곡선부 시공이 가능하나, 곡선부의 곡률이 큰(곡률반경이 작은) 곡선교(예 : 램프 구간 교량)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지지부(120)의 평면 형상을 사다리꼴로 하면, 곡률이 큰 곡선부에서도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데크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데크(100)는 연결부, 실링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본체부(110)의 상부로 돌출 구비된다.
연결부는 데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와의 연결 뿐만 아니라, 데크와 데크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는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를 포함하고, 교축직각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과 타단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연결부(130)는 상기 지지부(120)가 위치한 쪽(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140)는 지지부(120)가 위치한 쪽의 반대쪽(타단)에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 모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복수 개가 각각 분리되고 폐합된 고리형 후프(도 6)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하나가 나선형으로 연결된 나선형 후프(도 7)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와의 전단강도,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인접한 데크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데크에 구비된 제2연결부(140)와 인접한 데크의 제1연결부(130)를 구부리고 상호 교차시킨 후 연결하면, 인접한 데크들의 일체화, 연속화가 가능하다.
제2연결부(140)와 제1연결부(130)를 상호 교차시키고 체결할 때, 별도의 와이어, 철근, 결속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유연성이 있으므로, 데크 제작시 데크 내부에 배근된 철근 사이로 구부려 고정하는 등 정착효과를 크게 하기 위한 형상변경이 용이하고, 바닥판 시공을 위한 철근 배근 시 철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시공성도 우수하다.
위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유연성이 있는 끈 형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인력으로 구부릴 수 있고, 구부린 다음 구부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금속으로 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재는 거치된 데크의 상부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하고, 데크 간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110)의 하면(112) 중 거더(1)에 거치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1실링재(151), 지지부(120)의 상면(121) 중 이웃하는 데크 본체부(110)의 하면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실링재(152) 및 지지부(120)의 측면(124)에 구비되는 제3실링재(1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위에서 제1실링재(151), 제2실링재(152) 및 제3실링재(153) 모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는 상기 지지부(120)가, 상기 본체부(110)의 어느 하나의 전후면(113) 아래에만 구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상기 지지부(120)가, 상기 본체부(110)의 2개의 전후면(113) 모두의 아래에 구비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도 12, 21, 22).
두 번째 실시예의 본체부(110)와 지지부(120) 자체는, 위에서 설명한 본체부(110)의 1개의 전후면(113) 아래에만 지지부(120)가 구비되는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데크의 하나의 본체부(110)에 2개의 지지부(12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두 번째 실시예의 지지부 역시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모두 가능하고, 어느 한쪽의 지지부는 직사각형이고, 다른 한쪽의 지지부는 사다리꼴인 경우도 가능하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데크(100)의 사이에는 심플데크(200)가 구비된다. 이 경우 데크(100)와 심플데크(200)는 데크 세트로 이용된다.
심플데크(200)는 앞서 설명한 본체부만 있고, 지지부는 없는 형태가 된다. 심플데크의 길이방향 양단의 상부에는 모따기면(215)이 구비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2개의 데크(100) 사이에 심플데크(200)를 거치하는 형태로 반복 거치하면, 위에서 설명한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쪽에 지지부가 구비되므로, 지지부가 위치한 본체부의 양쪽 상부로 연결부가 돌출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심플데크(200)와의 일체성 확보를 위해, 심플데크의 길이방향 양쪽의 상부에도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연결부는, 복수 개가 각각 분리되고 폐합된 고리형 후프 또는 하나가 나선형으로 연결된 나선형 후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교량 하부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되면, 거더(1)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거더(1)는 2열 이상 설치된다.
필요로 하는 거더 설치가 완료되면, 어느 하나의 거더(1)와 인접한 거더(1)의 상부에 본 발명의 데크(100)를 순차적으로 거치한다.
데크(100)는 그 본체부가, 인접한 2개의 거더 모두에 걸쳐지도록 거치하고, 지지부는 거더 내측 사이에 개재되도록 거치한다.
그리고 필요로 하는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치된 데크의 상부에 현장타설 콘크리트(2)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과정을 거쳐 교량 바닥판 시공이 완성된다.
위의 과정에 의해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되면, 어느 하나의 데크의 지지부가 인접한 다른 데크를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앞뒤로 배열되는 데크의 서로 맞물리고, 일체화되는 구조가 교량 전구간에 걸쳐 완성되므로, 연결된 데크들이 하나의 바닥판처럼 유기적으로 상부하중에 저항하는 특별한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위의 데크 거치과정에서 지지부에 본체부를 오버랩하는 과정에서 각종 오차를 보정하고, 정렬을 쉽게 하므로, 교량 바닥판 시공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공사비용 절감, 공기 단축, 교량의 내구성, 안전성 증대 등의 상승효과를 얻게 된다.
두 번째 실시예의 데크 세트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방법은, 지지부(120)가 2개인 데크(100)를 사용하고, 그 사이에 심플데크(200)를 거치하는 과정이 추가되고, 나머지 과정은 차이가 없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즉,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실시예와 충전하지 않는 실시예, 첫 번째 지지수단과 두 번째 지지수단, 파일선단지지부재(300)를 구비하는 실시예와 구비하지 않는 실시예, 높이조절볼트 및 위치조절볼트 등을 서로 교차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데크
110. 본체부
111. 상면 112. 하면
113. 전후면 114. 측면
115. 모따기면
120. 지지부
121. 상면 122. 하면
123. 전후면 124. 측면
130. 제1연결부
140. 제2연결부
151. 제1실링재
152. 제2실링재 153. 제3실링재
200. 심플데크
215. 모따기면
d. 거더(1) 상단과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
W1. 본체부의 폭
W2. 지지부의 폭
L1. 본체부의 길이
L2. 지지부의 길이
1. 거더
2. 현장타설 콘크리트

Claims (13)

  1.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데크는,
    어느 하나의 거더(1)와 인접한 거더(1)의 상부에 놓여지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와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본체부(110)의 전후면(113) 아래에 구비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10)의 길이(L1)가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L2)보다 길고, 상기 본체부(110)의 폭(W1)이 상기 지지부(120)의 폭(W2)보다 크며, 상기 지지부(120)의 상면(121)이 상기 본체부(110)의 전후면(113)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110)의 폭(W1)이,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보다 크고, 상기 지지부(120)의 폭(W2)이,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와 동일하거나, 거더(1) 상단 사이의 내측 거리(d)보다 작으며,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어느 하나의 전후면(113) 아래에만 구비되고,
    데크를 거더 상부에 거치하면, 어느 하나의 데크의 지지부(120) 상면(121)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데크의 본체부(110) 하면(112)이 면접촉하도록 거치되어, 하나의 지지부(120) 상부에 인접한 2개의 본체부(110)가 오버랩(overlap)되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가 전폭에 걸쳐 일정하거나, 어느 하나의 측면(124)에서 다른 하나의 측면(124)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되되,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제1연결부(130) 및/또는 제2연결부(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와이어로 제작되고,
    상기 제1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40)는, 복수 개가 분리된 고리형 후프 또는 하나가 나선형으로 연결된 나선형 후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7.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아래에 구비되는 제1실링재(151);
    상기 지지부(120)의 위에 구비되는 제2실링재(152);
    상기 지지부(120)의 옆에 구비되는 제3실링재(1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2개 이상의 거더(1)를 설치하는 단계;
    B) 어느 하나의 거더(1)와 인접한 거더(1)의 상부에 상기 프리캐스트 데크를 거치하는 단계;
    C) 거치된 프리캐스트 데크의 상부에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방법.













  13. 삭제
KR1020220124838A 2022-09-30 2022-09-30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487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38A KR102487497B1 (ko) 2022-09-30 2022-09-30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0220173874A KR102487499B1 (ko) 2022-09-30 2022-12-13 프리캐스트 데크 세트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38A KR102487497B1 (ko) 2022-09-30 2022-09-30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874A Division KR102487499B1 (ko) 2022-09-30 2022-12-13 프리캐스트 데크 세트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497B1 true KR102487497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838A KR102487497B1 (ko) 2022-09-30 2022-09-30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0220173874A KR102487499B1 (ko) 2022-09-30 2022-12-13 프리캐스트 데크 세트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874A KR102487499B1 (ko) 2022-09-30 2022-12-13 프리캐스트 데크 세트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7497B1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3501U (ja) * 1981-08-28 1983-03-04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ト製床版
JPH0820916A (ja) * 1994-07-05 1996-01-23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路盤の施工方法
KR200371104Y1 (ko) * 2004-09-30 2004-12-24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슬래브 일체형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60107179A (ko) * 2005-04-08 2006-10-13 이영희 교량용 비대칭형 프리텐션 프리캐스트 빔 거더와 교량연속지점부 시공방법
KR20100090553A (ko) * 2009-02-06 2010-08-16 지석원 멀티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100100711A (ko) * 2009-03-05 2010-09-15 지석원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슬래브시공방법
KR20120056663A (ko) * 2010-11-25 2012-06-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하프 합성형 콘크리트벽체 시공방법
JP2013014899A (ja) * 2011-07-01 2013-01-24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
KR20140065918A (ko) * 2012-11-22 2014-05-30 김영기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KR20140065907A (ko) * 2012-11-22 2014-05-30 김영기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KR101594470B1 (ko) * 2015-05-28 2016-02-16 주식회사 네비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이들의 결합구조
KR20160053289A (ko) * 2014-11-03 2016-05-13 (주)삼현피에프 교량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의 시공 방법
KR101833373B1 (ko) 2014-07-25 2018-02-28 김선곤 프리캐스트 모듈러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866466B1 (ko) * 2017-03-23 2018-06-11 김선곤 캔틸레버 반단면 바닥판과 이를 구비한 교량 구조
KR102274358B1 (ko) * 2021-05-03 2021-07-07 조규대 교량 구조물의 캔틸레버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3501U (ja) * 1981-08-28 1983-03-04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ト製床版
JPH0820916A (ja) * 1994-07-05 1996-01-23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路盤の施工方法
KR200371104Y1 (ko) * 2004-09-30 2004-12-24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슬래브 일체형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60107179A (ko) * 2005-04-08 2006-10-13 이영희 교량용 비대칭형 프리텐션 프리캐스트 빔 거더와 교량연속지점부 시공방법
KR20100090553A (ko) * 2009-02-06 2010-08-16 지석원 멀티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100100711A (ko) * 2009-03-05 2010-09-15 지석원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슬래브시공방법
KR20120056663A (ko) * 2010-11-25 2012-06-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하프 합성형 콘크리트벽체 시공방법
JP2013014899A (ja) * 2011-07-01 2013-01-24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
KR20140065918A (ko) * 2012-11-22 2014-05-30 김영기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KR20140065907A (ko) * 2012-11-22 2014-05-30 김영기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KR101833373B1 (ko) 2014-07-25 2018-02-28 김선곤 프리캐스트 모듈러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53289A (ko) * 2014-11-03 2016-05-13 (주)삼현피에프 교량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의 시공 방법
KR101594470B1 (ko) * 2015-05-28 2016-02-16 주식회사 네비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이들의 결합구조
KR101866466B1 (ko) * 2017-03-23 2018-06-11 김선곤 캔틸레버 반단면 바닥판과 이를 구비한 교량 구조
KR102274358B1 (ko) * 2021-05-03 2021-07-07 조규대 교량 구조물의 캔틸레버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499B1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04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
KR101711202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교량 바닥판
KR102149461B1 (ko)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KR101930674B1 (ko)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조립방법
KR101913069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세그먼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JP3585444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構造
JP2019199710A (ja)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の橋軸直角方向の継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27561B1 (ko) 콘크리트 무타설 교량 연결 방법
JPH0424306A (ja) プレハブ床版の設置工法
KR20160097888A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2487497B1 (ko)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2019199740A (ja)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の継手構造
KR10056665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구조 및 연속화 방법
JP2014105547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固定構造
GB2075080A (en) Reinforcement girder
JP2508677B2 (ja) 橋梁鉄筋コンクリ−ト床版の補強方法
KR102274358B1 (ko) 교량 구조물의 캔틸레버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KR102327700B1 (ko) 거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지점부 연속화 시공방법
KR100555046B1 (ko)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93266B1 (ko) 하이브리드 거더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0555246B1 (ko) 허니컴 거더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730018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형 및 그 시공방법
KR101189024B1 (ko) 보강부가 구비된 코어 및 이 코어를 이용한 섬유보강플라스틱재로 된 상판모듈
JPS5980809A (ja) 道路橋等における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床版の架設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