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414B1 -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414B1
KR102487414B1 KR1020220125231A KR20220125231A KR102487414B1 KR 102487414 B1 KR102487414 B1 KR 102487414B1 KR 1020220125231 A KR1020220125231 A KR 1020220125231A KR 20220125231 A KR20220125231 A KR 20220125231A KR 102487414 B1 KR102487414 B1 KR 102487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lurry ice
slurry
cooling compartment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빙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빙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스마트빙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12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6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1/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producing ice
    • F25C2301/002Producing ice slur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에 있어서, 염수를 수용하고 냉각하여 빙온영역의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슬러리아이스 생성부; 중공 형성되어 내부에 수산물을 수용하고, 상기 슬러리아이스 생성부로부터 슬러리아이스를 공급받도록 구성된 복수의 숙성보관부; 및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슬러리아이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슬러리아이스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수용되는 수산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공급되는 슬러리아이스의 염도 및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공급되는 슬러리아이스는, 0℃이하 그리고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수용되는 수산물의 어는점 초과의 온도 범위를 갖는 것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LOW TEMPERATURE STORAGE AND AGING SYSTEM FOR SEA FOOD}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슬러리아이스를 이용하여 빙온영역의 온도 범위에서 수산물을 숙성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 등의 수산물은 수분함량이 많고 조직이 약해 미생물에 의해 부패하기 쉽다. 그에 따라, 수산물을 장거리 운송하거나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방법으로 급속 냉동법이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동결 과정에서 수산물의 세포가 손상됨으로써 수산물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고, 얼음은 녹으면서 수산물 중 염분 농도를 떨어뜨리게 되어 수산물의 육질에 변화를 가져오는 문제가 수반된다.
한편, 수산물을 완전 동결하지 않는 경우, 수산물의 운송 및 보관을 위한 수조에 다량의 염수와 얼음이 함께 동봉되어야 하는바, 수산물의 운송 및 보관에 염수와 얼음이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질 수밖에 없어 공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1100호(2012.06.22)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수산물 보관 방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산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며 동시에 수산물의 보존 기한을 크게 연장할 수 있는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에 있어서, 염수를 수용하고 냉각하여 빙온영역의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슬러리아이스 생성부; 중공 형성되어 내부에 수산물을 수용하고, 상기 슬러리아이스 생성부로부터 슬러리아이스를 공급받도록 구성된 복수의 숙성보관부; 및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슬러리아이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슬러리아이스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수용되는 수산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공급되는 슬러리아이스의 염도 및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공급되는 슬러리아이스는, 0℃이하 그리고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수용되는 수산물의 어는점 초과의 온도 범위를 갖는 것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은, 중공 형성되어 내부에 수산물을 수용하는 숙성조; 상기 숙성조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로서, 상기 숙성조의 상이한 높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 및 상기 숙성조에 배치되고, 상기 숙성조에 수용된 수산물의 변질여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질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값들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숙성조에 기 수용된 슬러리아이스는 배출되고, 상기 슬러리아이스 생성부로부터 상기 숙성조 내로 추가적인 슬러리아이스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슬러리아이스 생성부는,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는 제빙실부; 상기 제빙실부로 냉매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냉매순환부; 상기 제빙실부로부터 공급받은 슬러리아이스 및 염수를 수용하는 염수수조; 및 상기 염수수조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염수수조의 상부에 부유된 슬러리아이스를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의 숙성조로 공급하는 아이스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염수수조의 하부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제빙하우징;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빙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냉매순환부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내측벽에 접하는 염수를 냉각하여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는 냉각구획부; 및 상기 냉각구획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구획부에서 생성된 슬러리아이스를 상기 제빙하우징의 상부로 이송하는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구획부는, 상기 제빙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 크기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빙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냉각구획부에 의해 상기 냉각구획부 내측의 제1 공간 및 상기 냉각구획부 외측의 제2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냉각구획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복수의 염수유동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공간에는 슬러리아이스 및 염수가 수용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염수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제빙하우징 내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크류샤프트; 상기 스크류샤프트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빙하우징 내의 슬러리아이스를 상측으로 반송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크류샤프트와 동반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말단부가 상기 냉각구획부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구성된 스크레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말단부가 상기 냉각구획부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냉각구획부의 내주면 표면 상에 형성된 슬러리아이스를 상기 냉각구획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질감지부로부터 상기 숙성조에 수용된 수산물의 변질을 검출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로 변질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수산물의 냉장 보관 대비 보존 기한을 3배 내지 7배 이상으로 연장할 수 있고, 수산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수산물의 세포가 동결되어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수산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수산물의 보관 및 숙성 동안 대장균 및 비브리오균 등 유해미생물이 저하되어 살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수산물이 빙온영역 온도에서 숙성됨에 따라 아스파라긴산 및 글루탐산 등의 함량이 증가되어 수산물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숙성보관부 내에서 슬러리아이스 내에 수용된 수산물과 외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여 수산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이 포함하는 슬러리아이스 생성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이 포함하는 숙성보관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슬러리아이스 생성부의 제빙실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A-A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빙실부의 스크류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의 원격 제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1)이 포함하는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1)이 포함하는 숙성보관부(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1)은, 슬러이아이스 생성부, 복수의 숙성보관부(2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는, 염수를 수용하고 냉각하여 빙온영역의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숙성보관부(20) 각각은, 중공 형성되어 내부에 수산물(F)을 수용할 수 있고,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로부터 슬러리아이스를 공급받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복수의 숙성보관부(20) 각각에 슬러리아이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복수의 숙성보관부(20) 각각에 수용되는 수산물(F)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숙성보관부(20) 각각에 공급되는 슬러리아이스의 염도 및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숙성보관부(20) 각각에 공급되는 슬러리아이스는, 0℃이하 그리고 복수의 숙성보관부(20) 각각에 수용되는 수산물(F)의 어는점 초과의 온도 범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산물(F)을 0℃이하에서 보관함으로써, 수산물(F)의 냉장 보관 대비 보존 기한을 3배 내지 7배 이상으로 연장할 수 있고, 수산물(F)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산물(F)을 어는점 초과의 온도에서 보관함으로써, 수산물(F)의 세포가 동결되어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수산물(F)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숙성보관부(20) 각각에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수산물(F)이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고, 수산물(F)의 종류에 따라 어는점이 상이한바, 복수의 숙성보관부(20) 각각에 공급되는 슬러리아이스의 온도는 상이할 수 있다.
수산물(F)의 종류별 어는점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종류 고등어 정어리 가자미 꽃게
어는점(℃) -1.8 -1.4 -2.0 -2.2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염수의 염도를 조절하여 빙온온도 영역의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함으로써, 숙성하고자 하는 수산물(F)에 따라 숙성보관부(20) 각각의 내부 온도를 상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슬러리아이스(slurry ice)는 액체와 고체가 혼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산물(F)이 숙성보관부(20) 내에서 슬러이아이스에 의해 빙온영역 온도로 보관됨에 따라, 대장균 및 비브리오균 등 유해미생물이 저하되어 살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수산물(F)이 빙온영역 온도에서 숙성됨에 따라 아스파라긴산 및 글루탐산 등의 함량이 증가되어 수산물(F)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슬러리아이스의 어는점은 염수의 염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수의 염도가 1.5% 내지 4.5%로 균일하게 유지되는 경우, 생성된 슬러리아이스의 어는점은 -1.5℃ ~ -0.5℃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용매의 어는점 내림 원리에 기초한 것인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슬러리아이스는 어는점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바, 슬러리아이스의 어는점보다 낮은 어는점을 갖는 수산물(F)을 얼리지 않고 저온 숙성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에 공급된 염수의 염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는, 염수에 염화나트륨(NaCl)을 추가 공급하기 위한 염분공급부(미도시 됨) 및 염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정수공급부(미도시 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염분공급부 및 정수공급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염분공급부 및 정수공급부를 제어함으로써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의 염수 염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염분공급부 및 정수공급부는 후술할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의 염수수조(120)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숙성보관부(20) 각각은, 중공 형성되어 내부에 수산물(F)을 수용하는 숙성조(210), 숙성조(210)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220)로서 숙성조(210)의 상이한 높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220), 및 숙성조(210)에 배치되고 숙성조(210)에 수용된 수산물(F)의 변질여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질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온도센서(220)는 각 숙성조(210)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온도센서(220)는 숙성조(210) 내의 높이별 온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온도센서(220)에서 측정된 온도 값들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를 초과한 경우, 숙성조(210)에 기 수용된 슬러리아이스는 배출되고,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로부터 숙성조(210) 내로 추가적인 슬러리아이스가 공급될 수 있다.
각각의 숙성조(210)에는 슬러리아이스의 배출 이송을 위한 회수배관(420)이 연결될 수 있고, 회수배관(420)은 각각의 숙성조(21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숙성조(210)에는 슬러리아이스의 공급을 위한 아이스공급관(450)이 연결될 수 있고, 아이스공급관(450)은 각각의 숙성조(21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숙성조(210)에 미리 수용된 슬러리아이스는 하부에서부터 배출될 수 있고, 숙성조(210)에 새로 공급되는 슬러리아이스는 상부로 공급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숙성조(210)에 먼저 공급되어 수용되어 있던 슬러리아이스가 우선하여 배출되고 반대 방향에서 새로운 슬러리아이스가 공급되는바, 숙성조(210) 각각의 내부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변질감지부는, 숙성조(210)의 바닥면에 배치된 제1 변질감지부(231), 및 숙성조(210)의 상면에 배치된 제2 변질감지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변질감지부(231) 및 제2 변질감지부(232) 각각은, 생선 및 조개류의 부패 시 발생하는 트리메틸아민(Trimetylamine: TMA) 성분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변질감지부(232)는 가스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숙성조(210)의 상면으로 상승된 숙성조(210) 내부의 가스에 트리메틸아민 상분이 함유되어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슬러리아이스에 잠겨있는 상태의 제1 변질감지부(231)와 슬러리아이스의 외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변질감지부(232)가 모두 구비된바, 신뢰도 및 정확도 높게 수산물(F)의 변질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각 숙성조(210)의 외측면에는 제1 변질감지부(231) 및 제2 변질감지부(232)와 연결된 식별자(240)가 마련될 수 있다. 식별자(240)는 제1 변질감지부(231) 및 제2 변질감지부(232) 중 적어도 하나가 숙성조(210) 내부 수산물(F)의 변질을 감지한 경우 이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별자(240)는 LED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변질감지부(231) 및 제2 변질감지부(232)로부터 변질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광을 발광함으로써 외부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수산물(F)의 변질 발생을 알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1)은, 복수의 숙성보관부(20)로부터 배출된 슬러리아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회수하여 수용하는 회수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부(30)는, 중공 형성되어 회수된 슬러리아이스를 수용하는 회수수조(310), 회수수조(310) 내에 구비되어 회수된 슬러리아이스를 살균소독하는 살균소독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숙성조(210)로부터 연장된 회수배관(420)은 회수수조(310)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숙성조(210)에서 연장된 다수의 회수배관(420)은 단일의 배관으로 합류될 수 있고, 회수배관(420) 중 합류된 단일의 배관 상에는 필터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330)는 복수의 숙성조(210)에서 배출되는 슬러리아이스에 포함되는 숙성조(210)의 수산물(F)에서 발생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또한, 회수배관(420) 중 필터부(330)의 바로 상류측에는 외부로 이어지는 배출관(430)이 연결될 수 있고, 필터부(330) 하류로의 유동이 밸브에 의해 폐쇄된 경우 필터부(33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 및 슬러리아이스는 배출관(4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430)은 하수구 또는 별도로 마련된 폐수 탱크로 연결될 수 있다.
살균소독부(320)는 회수수조(310)의 상면에 마련되어 하측의 슬러리아이스 및 염수로 자외선 UV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부(33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슬러리아이스에 자외선 살균을 실시하여 유해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회수수조(310)에는 제2 회수공급관(442)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고, 회수수조(310) 내의 슬러리아이스 및 염수는 제2 회수공급관(442)을 통해 제어실부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는,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는 제빙실부(110), 제빙실부(110)로 냉매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냉매순환부(130), 제빙실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슬러리아이스 및 염수를 수용하는 염수수조(120), 및 염수수조(120)의 상부에 연결되고 염수수조(120)의 상부에 부유된 슬러리아이스를 복수의 숙성보관부(20)의 숙성조(210)로 공급하는 아이스공급관(450)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순환부(130)는,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바람직하게는 냉각구획부(112))로 냉매를 공급하거나 슬러리아이스 생성부(바람직하게는 냉각구획부(112))를 경유한 냉매를 회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매순환부(130)에 의해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에는 내부의 염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냉매가 연속하여 공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냉매순환부(130)에는, 냉매의 냉각 순환을 위한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염수수조(120)는 중공 형성되어 염수 및 슬러리아이스를 수용할 수 있다. 염수수조(120)는 외부로부터 염수 또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빙실부(110)에서 생성된 슬러리아이스 및/또는 염수는 염수수조(120)의 상면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염수수조(120)의 최상단 내측에는, 제빙실부(110)로부터 공급된 슬러리아이스를 기 설정된 입경 크기로 분쇄하기 위한 제1 필터부재(1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부재(121)는, 상술한 기 설정된 직경 크기를 갖는 다수의 필터공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염수수조(120)로 공급된 슬러리아이스는 제1 필터부재(121)를 통과함으로써 기 설정된 입경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슬러리아이스는 평균 입경이 0.1mm 내지 0.5mm의 크기를 갖도록 분쇄될 수 있다. 아이스공급관(450)의 일단은 염수수조(120)의 높이에 있어서 제1 필터부재(121)보다 낮은 높이로 염수수조(120)에 연결될 수 있고, 아이스공급관(450)의 타단은 분기되어 복수의 숙성조(2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필터부재(121)를 통과한 기 설정된 입경 크기 이하의 슬러리아이스만이 아이스공급관(450)을 통해 숙성조(210)로 공급될 수 있다.
아이스공급관(450)을 통해 숙성조(210)로 고급되는 슬러리아이스의 평균 입경이 0.1mm 내지 0.5mm의 크기로 구성됨에 따라, 숙성조(210)에 수용된 수산물(F)을 슬러리아이스로 동봉할 때 슬러리아이스 결정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슬러리아이스 내에 수용된 수산물(F)과 외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여 수산물(F)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염수수조(120)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염수수조(120) 내에는 아이스공급관(450)의 일단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제2 필터부재(1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부재(122)는 염수수조(120)의 내에서 제1 필터부재(12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필터부재(122)는 각각이 0.1mm보다 작은 직경 크기를 갖는 다수의 필터공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필터부재(122)는, 지나치게 미소한 크기의 슬러리아이스 입자 및 액체 상태의 염수만이 통과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염수수조(120)의 내부 공간은 제1 필터부재(121) 및 제2 필터부재(122)에 의해 염수수조(120)의 높이를 따라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아이스공급관(450)의 일단은 중간 높이의 공간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입경 크기를 갖는 슬러리아이스를 숙성보관부(20)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염수수조(120)의 최하단의 공간에는 미소 입자의 슬러리아이스 및 염수만이 위치될 수 있고, 염수수조(120)의 하단에 연결된 제1 회수공급관(441)을 통해 액체 상태의 염수를 다시 제빙실부(110)로 재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염수수조(120)의 최하단의 공간에는 제어부(50)와 연결된 염도센서(123)가 마련될 수 있다. 염도센서(123)는 염수수조(120) 내 염수의 염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50)로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50)는 수신한 염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염분공급부 및 정수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염수수조(120)의 바닥면에는, 염수수조(120) 내의 염수에 상승기류를 유도하는 상승류유도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상승류유도부(124)는 염수수조(120)의 바닥면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승류유도부(124)가 작동됨에 따라 제2 필터부재(122) 상측에 위치된 슬러리아이스들이 서로 뭉쳐서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염수수조(120)의 내측면에는 부식방지 코팅층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부식방지 코팅층은 불소수지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 fluoroeth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염수에 대한 내식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식방지 코팅층은, 0.5 내지 7mm 두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식방지 코팅층의 두께가 1mm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경우 코팅층의 강도가 약해 염수수조(120)의 내부 표면에서 쉽게 탈락될 수 있고, 부식방지 코팅층의 두께가 5mm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염수수조(120)의 내부 표면 상의 코너부분에 쉽게 밀착되지 않아 염수수조(120)의 내부 표면에서 쉽게 탈락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슬러리아이스 생성부(10)의 제빙실부(1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A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빙실부(110)의 스크류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빙실부(110)는 제빙하우징(111), 냉각구획부(112), 개폐부(113) 및 스크류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하우징(111)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염수수조(120)의 하부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빙하우징(111)은 원통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외측벽(1111)을 구비할 수 있다.
냉각구획부(112)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빙하우징(1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냉각구획부(112)는, 냉매순환부(13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내측벽에 접하는 염수를 냉각하여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각구획부(112) 내에는 냉각구획부(112)의 원통형 측면 전체를 지그제그 또는 파형으로 경유하는 냉매유로(미도시 됨)가 형성될 수 있다. 냉매순환부(130)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는 냉각구획부(112)의 냉매유로를 경유함으로써 냉각구획부(112) 전체를 냉각시킬 수 있고, 냉각구획부(112)를 경유한 냉매는 다시 냉매순환부(130)로 회수될 수 있다.
냉각구획부(112)는, 제빙하우징(11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 크기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냉각구획부(112)의 외경은 제빙하우징(111)의 외측벽(1111)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구획부(112)의 외측면은 상대적으로 열 전도도가 낮은 소재의 단열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냉각구획부(112)의 내측면은 상대적으로 열 전도도가 높은 소재의 열전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각구획부(112)에 인접한 염수 중 냉각구획부(112) 외측의 염수는 슬러리아이스로 냉각되지 않고, 냉각구획부(112) 내측면에 접한 염수만 냉각되어 슬러리아이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빙하우징(111)의 내부 공간은, 냉각구획부(112)에 의해 냉각구획부(112) 내측에 위치된 제1 공간(112a)과, 냉각구획부(112)의 외측에 위치된 제2 공간(112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2 공간(112b)은 냉각구획부(112)와 제빙하우징(111)의 외측벽(111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구획부(112)의 하단에는 제1 공간(112a) 및 제2 공간(112b)을 연통하는 복수의 염수유동구(1121)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염수유동구(1121)는 냉각구획부(11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염수유동구(1121)의 직경은 0.1mm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구획부(112)에 의해 형성된 슬러리아이스는 스크류부(114)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바, 냉각구획부(112) 하단의 염수유동구(1121)에는 주로 염수만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112a)에는 슬러리아이스 및 염수가 수용될 수 있고, 제2 공간(112b)에는 염수가 수용될 수 있다.
스크류부(114)는, 냉각구획부(112)의 내측에 배치되어 냉각구획부(112)에서 생성된 슬러리아이스를 제빙하우징(111)의 상부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부(113)는, 냉각구획부(112)의 하단에 마련된 복수의 염수유동구(11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개폐부(113)는, 제2 공간(112b)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자력을 형성하거나 자력을 형성하지 않는 자력부재(1131), 및 제2 공간(112b)에서 냉각구획부(112)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원통형의 차폐부재(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재(1131)는 전류의 인가 여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발생시키지 않는 전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어부(50)에 의해 자력부재(1131)의 자력 발생여부가 결정되어 제어될 수 있다. 차폐부재(1132)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고, 냉각구획부(11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냉각구획부(112)의 외측면 상에서 냉각구획부(112)의 높이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폐부재(1132)는 자중에 의해 제빙하우징(111)의 바닥면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고, 차폐부재(1132)에 의해 냉각구획부(112) 하단에 마련된 염수유동구(1121)들이 모두 폐쇄될 수 있다. 자력부재(1131)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된 경우, 차폐부재(1132)는 자력부재(1131)와의 인력 작용에 의해 상방 이동될 수 있고, 차폐부재(1132)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복수의 염수유동두가 개방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개폐부(113)의 제어를 통해 제1 공간(112a) 내의 염수를 제2 공간(112b)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공간(112a) 내의 염수 대비 슬러리아이스의 비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개폐부(113)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염수 총량 대비 높은 비율의 슬러리아이스를 염수수조(12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염수수조(120)의 하부에 연결된 제1 회수공급관(441)의 타단 및 회수수조(310)의 하부에 연결된 제2 회수공급관(442)의 타단은, 합류회수공급관(443)의 일단에서 합류될 수 있다. 합류회수공급관(443)의 타단은 제빙실부(110)의 제1 공간(112a)의 하부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염수수조(120)의 최하단 공간에 수용된 염수 및 회수수조(310)에 수용된 염수는, 제1 회수공급관(441), 제2 회수공급관(442) 및 합류회수공급관(443)을 통해 제빙실부(110)의 제1 공간(112a)으로 공급될 수 있고, 냉각구획부(112)에 의한 슬러리아이스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빙하우징(111)의 제1 공간(112a)의 상부에는, 슬러리아이스를 염수수조(120)로 이송하기 위한 제1 공급배관(411)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빙하우징(111)의 제2 공간(112b)에는, 제2 공간(112b)의 염수를 이송하기 위한 제2 공급배관(412)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급배관(411)에는 제1 공급배관(411)을 개폐하는 제1 밸브(415)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공급배관(412)에는 제2 공급배관(412)을 개폐하는 제2 밸브(416)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급배관(411)의 타측 및 제2 공급배관(412)의 타측은 단일의 제3 공급배관(418)으로 합류될 수 있다. 또한, 제3 공급배관(418)의 타단에는 삼방밸브(417)가 배치될 수 있고, 삼방밸브(417)에는 합류공급배관(413)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합류공급배관(413)의 타단은 염수수조(12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삼방밸브(417)를 통해 제3 공급배관(418)에 연결되어 제빙하우징(111)의 제2 공간(112b)에서 제2 공급배관(412)을 통해 배출된 염수를 제빙하우징(111)의 제1 공간(112a) 내로 순환시키는 염수순환배관(414)이 구비될 수 있다. 염수순환배관(414)의 일단은 제빙하우징(111)의 제1 공간(112a) 하부로 연결될 수 있고, 염수순환배관(414)의 타단은 삼방밸브(417)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염수순환배관(414)의 일단부는 제빙하우징(1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고, 염수순환배관(414)의 일단은 냉각구획부(112)의 염수유동구(1121)들 중 최상측 염수유동구(1121)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삼방밸브(417)는 제3 공급배관(418), 합류공급배관(413) 및 염수순환배관(414)을 연결함과 동시에 제3 공급배관(418)으로 유동된 슬러리아이스 및/또는 염수를 합류공급배관(413)으로 유동시킬지 또는 염수순환배관(414)으로 유동시킬지 결정할 수 있다.
제1 공급배관(411) 및 제3 공급배관(418)을 통해 제1 공간(112a) 내의 슬러리아이스가 유동되는 경우, 합류공급배관(413)을 통해 염수수조(120)로 슬러리아이스 및 염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제1 밸브(415), 제2 밸브(416) 및 삼방밸브(417)를 제어함으로써, 제2 공간(112b) 내의 염수만을 제2 공급배관(412) 및 제3 공급배관(418)을 통해 유동시킬 수 있고, 염수만을 합류공급배관(413) 및 염수수조(120)로 유동시킴으로써, 합류공급배관(413)과 염수수조(120)에 남아있는 슬러리아이스 또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제2 공간(112b) 내의 염수만을 제2 공급배관(412) 및 제3 공급배관(418)을 통해 염수순환배관(414)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제2 공간(112b)의 염수를 제1 공간(112a)으로 재순환시키고 냉각구획부(112)를 통한 슬러리아이스의 형성에 이용할 수 있다.
스크류부(114)는 스크류샤프트(1141), 이송스크류(1142) 및 스크레이퍼(11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샤프트(1141)는 제빙하우징(111) 내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크류샤프트(1141)는 제빙하우징(111)의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1142)는 스크류샤프트(1141)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샤프트(1141)가 회전됨에 따라 제빙하우징(111) 내의 슬러리아이스를 상측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1142)는 스크류샤프트(1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1142)의 외주면은 냉각구획부(112)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143)는 제빙하우징(1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스크레이퍼(1143)는 제빙하우징(111)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이송스크류(1142)와 냉각구획부(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1143)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스크레이퍼(1143)는 스크류샤프트(1141)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크레이퍼(1143)는 스크류샤프트(1141)의 하단 및 상단에서 복수의 막대형 지지부재(1144)에 의해 스크류샤프트(1141)에 연결될 수 있고, 스크류샤프트(1141)를 중심으로 스크류샤프트(1141)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스크레이퍼(1143)의 말단부는 냉각구획부(112)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크레이퍼(1143)는, 말단부가 냉각구획부(112)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냉각구획부(112)의 내주면 표면 상에 형성된 슬러리아이스를 냉각구획부(11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구획부(112)의 내주면 상에서 염수의 일부가 냉각되어 슬러리아이스로 형성되는 경우, 스크레이퍼(1143)는 회전됨에 따라 냉각구획부(112)의 내주면을 긁어내어 슬러리아이스를 냉각구획부(11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슬러리아이스는 이송스크류(1142)에 의해 제빙하우징(111)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스크레이퍼(1143)는, 회전 방향 전방에 마련된 스크래핑평면(1143a)과, 회전 방향 후방에 마련된 후방곡면(1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핑평면(1143a)은 냉각구획부(112)의 가상의 내접 평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143)의 냉각구획부(112)와 접하는 말단부는 10 내지 20°의 예각으로 첨단부를 형성할 수 있고, 스크래핑평면(1143a)과 후방곡면(1143b)은 첨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냉각구획부(112)의 반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냉각구획부(112)의 내주면 상에는 소수성(Hydrophobic) 코팅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소수성 코팅은 폴리실록산(Polysiloxane)을 포함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가구획부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리아이스가 스크레이퍼(1143)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부(114)는 이송스크류(1142) 상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교반플레이트(1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교반플레이트(1145)는 이송스크류(1142)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송스크류(1142)의 상면에 형성된 교반플레이트(1145)들과 이송스크류(1142)의 하면에 형성된 교반플레이트(1145)들은 스크류샤프트(1141)를 중심으로 반경 방향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교반플레이트(1145) 각각은 이송스크류(1142)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교반플레이트(1145) 각각에는 복수의 난류유도홀(1145a)이 형성될 수 있다. 난류유도홀(1145a)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교반플레이트(114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난류유도홀(1145a) 각각에는, 난류유도홀(1145a)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난류유도홀(1145a)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유도돌출부(미도시 됨)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난류유도홀(1145a)을 통과하는 염수에 난류가 유도될 수 있고 슬러리아이스가 뭉쳐져 큰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난류유도홀(1145a)을 통과하는 슬러리아이스는 복수의 유도돌출부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1)의 원격 제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1)은,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2)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2)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제1 변질감지부(231) 및 제2 변질감지부(2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숙성조(210)에 수용된 수산물(F)의 변질을 검출한 경우,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2)로 변질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염도센서(123)에서 측정된 염수의 염도 정보, 복수의 온도센서(220)에서 측정된 각 숙성조(210) 내부의 온도 정보, 및 각 숙성조(210) 내부의 온도 균일 정도는 제어부(50) 및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자 단말(2)로 전송될 수 있고, 관리자는 염수의 염도 정보, 숙성조(210) 내부 온도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0)는, 관리자 단말(2)을 구비한 관리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제어부(5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과 수백 미터 떨어진 거리에서도 수산물(F) 보관 및 숙성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슬러리아이스의 생성부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소독부의 작동, 제빙실부(110)의 작동, 제1 밸브(415)의 개폐, 제2 밸브(416)의 개폐, 및 삼방밸브(417)의 작동 모두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7에는 관리자 단말(2)의 예시로 스마트폰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관리자 단말(2)이란, 스마트폰, 원격스위치 또는 PC 등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고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방식으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
10: 슬러리아이스 생성부
110: 제빙실부
111: 제빙하우징
1111: 외측벽
112: 냉각구획부
1121: 염수유동구
112a: 제1 공간
112b: 제2 공간
113: 개폐부
1131: 자력부재
1132: 차폐부재
114: 스크류부
1141: 스크류샤프트
1142: 이송스크류
1143: 스크레이퍼
1143a: 스크래핑평면
1143b: 후방곡면
1144: 지지부재
1145: 교반플레이트
1145a: 난류유도홀
120: 염수수조
121: 제1 필터부재
122: 제2 필터부재
123: 염도센서
124: 상승류유도부
130: 냉매순환부
20: 숙성보관부
210: 숙성조
220: 온도센서
231: 제1 변질감지부
232: 제2 변질감지부
240: 식별자
30: 회수부
310: 회수수조
320: 살균소독부
330: 필터부
411: 제1 공급배관
412: 제2 공급배관
413: 합류공급배관
414: 염수순환배관
415: 제1 밸브
416: 제2 밸브
417: 삼방밸브
418: 제3 공급배관
420: 회수배관
430: 배출관
441: 제1 회수공급관
442: 제2 회수공급관
443: 합류회수공급관
450: 아이스공급관
50: 제어부
510: 통신모듈
2: 관리자 단말
F: 수산물

Claims (5)

  1.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에 있어서,
    염수를 수용하고 냉각하여 빙온영역의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슬러리아이스 생성부;
    중공 형성되어 내부에 수산물을 수용하고, 상기 슬러리아이스 생성부로부터 슬러리아이스를 공급받도록 구성된 복수의 숙성보관부; 및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슬러리아이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슬러리아이스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수용되는 수산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공급되는 슬러리아이스의 염도 및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공급되는 슬러리아이스는, 0℃이하 그리고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에 수용되는 수산물의 어는점 초과의 온도 범위를 갖고,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 각각은,
    중공 형성되어 내부에 수산물을 수용하는 숙성조;
    상기 숙성조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로서, 상기 숙성조의 상이한 높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 및
    상기 숙성조에 배치되고, 상기 숙성조에 수용된 수산물의 변질여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질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값들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숙성조에 기 수용된 슬러리아이스는 배출되고, 상기 슬러리아이스 생성부로부터 상기 숙성조 내로 추가적인 슬러리아이스가 공급되고,
    상기 슬러리아이스 생성부는,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는 제빙실부;
    상기 제빙실부로 냉매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냉매순환부;
    상기 제빙실부로부터 공급받은 슬러리아이스 및 염수를 수용하는 염수수조; 및
    상기 염수수조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염수수조의 상부에 부유된 슬러리아이스를 상기 복수의 숙성보관부의 숙성조로 공급하는 아이스공급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염수수조의 하부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제빙하우징;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빙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냉매순환부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내측벽에 접하는 염수를 냉각하여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는 냉각구획부; 및
    상기 냉각구획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구획부에서 생성된 슬러리아이스를 상기 제빙하우징의 상부로 이송하는 스크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구획부는, 상기 제빙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 크기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빙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냉각구획부에 의해 상기 냉각구획부 내측의 제1 공간 및 상기 냉각구획부 외측의 제2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냉각구획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복수의 염수유동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공간에는 슬러리아이스 및 염수가 수용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염수가 수용되고,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제빙하우징 내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크류샤프트;
    상기 스크류샤프트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빙하우징 내의 슬러리아이스를 상측으로 반송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크류샤프트와 동반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말단부가 상기 냉각구획부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구성된 스크레이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말단부가 상기 냉각구획부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냉각구획부의 내주면 표면 상에 형성된 슬러리아이스를 상기 냉각구획부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각구획부의 내주면 상에는 소수성(Hydrophobic) 코팅이 도포되어 형성되고, 상기 소수성 코팅은 폴리실록산(Polysiloxane)을 포함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질감지부로부터 상기 숙성조에 수용된 수산물의 변질을 검출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로 변질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것인,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
KR1020220125231A 2022-09-30 2022-09-30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 KR102487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231A KR102487414B1 (ko) 2022-09-30 2022-09-30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231A KR102487414B1 (ko) 2022-09-30 2022-09-30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414B1 true KR102487414B1 (ko) 2023-01-12

Family

ID=8492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231A KR102487414B1 (ko) 2022-09-30 2022-09-30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41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725A (ko) * 1995-06-30 1997-01-29 배순훈 멀티텔레비전의 osd문자표시 제어장치와 그 방법
JP2009121766A (ja) * 2007-11-15 2009-06-04 Mayekawa Mfg Co Ltd 氷スラリー充填方法及び装置
KR101161100B1 (ko) 2011-02-16 2012-06-29 이병춘 생선식품의 장기보관방법
JP2017006864A (ja) * 2015-06-23 2017-01-12 高知県公立大学法人 殺菌可能な冷却媒体の生産システム及び生産方法
KR20180092997A (ko) * 2015-11-19 2018-08-20 블랑테크 가부시키가이샤 보냉고, 이동체, 얼음 슬러리 공급 시스템, 피 보냉품 수송 시스템, 피 보냉품의 보냉 방법 및 피 보냉품의 수송 방법
KR101950406B1 (ko) * 2018-08-23 2019-05-21 김지영 육류의 빙온숙성 방법
KR102072626B1 (ko) * 2019-07-19 2020-03-02 (주)리코시스템 염도 자동조절이 가능한 염수 칠러 시스템
US20200191462A1 (en) * 2017-05-18 2020-06-18 Blanctec Co., Ltd. State change control device and state change control method
KR102272050B1 (ko) * 2020-12-24 2021-07-01 변종수 슬러리 아이스를 이용한 저온 숙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725A (ko) * 1995-06-30 1997-01-29 배순훈 멀티텔레비전의 osd문자표시 제어장치와 그 방법
JP2009121766A (ja) * 2007-11-15 2009-06-04 Mayekawa Mfg Co Ltd 氷スラリー充填方法及び装置
KR101161100B1 (ko) 2011-02-16 2012-06-29 이병춘 생선식품의 장기보관방법
JP2017006864A (ja) * 2015-06-23 2017-01-12 高知県公立大学法人 殺菌可能な冷却媒体の生産システム及び生産方法
KR20180092997A (ko) * 2015-11-19 2018-08-20 블랑테크 가부시키가이샤 보냉고, 이동체, 얼음 슬러리 공급 시스템, 피 보냉품 수송 시스템, 피 보냉품의 보냉 방법 및 피 보냉품의 수송 방법
US20200191462A1 (en) * 2017-05-18 2020-06-18 Blanctec Co., Ltd. State change control device and state change control method
KR101950406B1 (ko) * 2018-08-23 2019-05-21 김지영 육류의 빙온숙성 방법
KR102072626B1 (ko) * 2019-07-19 2020-03-02 (주)리코시스템 염도 자동조절이 가능한 염수 칠러 시스템
KR102272050B1 (ko) * 2020-12-24 2021-07-01 변종수 슬러리 아이스를 이용한 저온 숙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2047B2 (ja) アンチ・ファウリング・システム、並びに、アンチ・ファウリング・システムを制御するコントローラー及び方法
JP4638393B2 (ja) シャーベット氷製造機
KR102487414B1 (ko) 수산물의 저온 보관 및 숙성 시스템
US9850156B2 (en) Side-stream particle precipitator apparatus and sustem for condenser open loop cooling system
JP6403214B2 (ja) 魚介類用スラリーアイス生産システム
JP2017040467A (ja) 一定融点温度の固液混合物を生成する方法・システム
KR20200055501A (ko) 샤베트형 해수 제빙 장치
KR20170045522A (ko) 스크리퍼를 갖는 회전스크류를 이용한 식품 급속 개체동결장치
KR102366732B1 (ko) 양식장 고수온 및 적조 방재 시스템
US20150299014A1 (en) Non-Chemical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ystem
JP7093946B2 (ja) 鮮度保持装置及び鮮度保持方法
JP3718148B2 (ja) 海水用製氷機
DK202370037A1 (en) Device for heating or cooling food items
JP6713173B2 (ja) 冷却装置
JP2004249787A (ja) 簡易型海水冷却装置
KR20180053183A (ko) 슬러리형 전해수 얼음제조 시스템
JP6750873B2 (ja) スラリーアイス製造機
KR20200011860A (ko) 염분을 함유한 미세얼음 제조 장치
US20160257591A1 (en) Side-stream Particle Precipitator Apparatus and System for Condenser Open Loop Cooling System
KR101949235B1 (ko) 슬러리형 전해수 얼음제조 시스템
KR200207923Y1 (ko) 활어조용 냉수공급장치
EP3483532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wdered ice with salinity
JP2006189233A (ja) 流動氷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2082127B1 (ko) 담수, 해수, 기수에서의 살균처리가 가능한 전수 통과방식의 선박평형수 처리 시스템
JP2004317067A (ja) シャーベット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