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354B1 - 충전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충전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354B1
KR102487354B1 KR1020200091331A KR20200091331A KR102487354B1 KR 102487354 B1 KR102487354 B1 KR 102487354B1 KR 1020200091331 A KR1020200091331 A KR 1020200091331A KR 20200091331 A KR20200091331 A KR 20200091331A KR 102487354 B1 KR102487354 B1 KR 10248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module
pow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369A (ko
Inventor
옌텅 왕
창위 순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말기에 적용되며, 송수신기, 전압 변환 모듈 및 전원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압 변환 모듈은 적어도 두 개의 승압비 전압 변환 모듈을 포함하고, 송수신기와 전원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전원 모듈의 출력 전압을 승압한 후 송수신기에 제공하고,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될 때 송수신기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전압을 강압한 후 전원 모듈에 제공한다. 송수신기는 충전 장치가 전력을 공급할 때, 전압 변환 모듈에 의해 승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외부로 무선 충전 신호를 방사하고, 충전 장치가 충전될 때,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압 변환 모듈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충전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저장매체{CHARG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2010088574.4이고 출원일자가 2020년 2월 12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반으로 제출되며, 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충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많은 웨어러블 장비 및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점점 더 많은 단말기가 충전을 위해 무선 충전 기술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무선 충전 기술에는 주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표준 기반 자기 유도 무선 충전 기술과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 기반 자기 공명 기술이 포함된다. 현재, 이동 단말기가 무선 충전을 사용하는 시나리오는 날로 많아지고 있으며, 삼성, Xiaomi, Huawei, Apple 등 주류 제조업체의 핸드폰과 같은 많은 핸드폰은 무선 역충전 기술을 지원하지만, 기존의 핸드폰이 지원하는 역충전 전력은 대부분 비교적 낮다.
본 발명은 충전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충전 장치를 제공하며, 제1 단말기에 적용되며, 상기 충전 장치는 송수신기, 전압 변환 모듈 및 전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적어도 두 개의 승압비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상기 송수신기와 상기 전원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전원 모듈의 출력 전압을 승압한 후 상기 송수신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될 때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전압을 강압한 후 상기 전원 모듈에 제공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의해 승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외부로 무선 충전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충전될 때,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전송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연결된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의 승압에 이용되는 상기 승압비를 제어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과 상기 전원 모듈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모듈은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치 상태를 전환하여 상기 충전 장치의 전원 회로와 충전 회로의 격리를 구현하고, 상기 전원 회로는 상기 전원 모듈,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전압 변환 모듈 및 상기 송수신기로 형성된 회로이고,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송수신기, 상기 전압 변환 모듈, 상기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전원 모듈로 형성된 회로이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전원 모듈은 배터리 및 제1 충전 관리 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과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충전될 때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을 거쳐 승압된 전압을 설정 임계치 범위 내에서 조절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제3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모듈은 제2 충전 관리 칩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USB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충전 관리 칩은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충전 관리 칩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유선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의 턴온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송신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가 턴온될 때,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유선 충전 신호를 상기 전원 모듈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무선 충전 방법을 제공하며, 제1 단말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충방전 제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역방향 전원 제어 신호인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역방향 전원 제어 신호인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예비 승압 모드 중에서 목표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을 승압하는 단계;
승압된 역방향 전원 신호를 기반으로, 외부로 무선 충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에 이용되는 승압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압비는 적어도 두 개의 승압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순방향 충전 제어 신호인 경우, 상응하는 순방향 충전 강압 모드를 취하여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강압하고 강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기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방법은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리턴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제2 단말기가 존재함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전력을 공급할 때 승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 신호를 대응하여 송신하는 목표 주파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주파수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이 성공하면, 제1 승압비로 동작하도록 상기 승압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이 실패하면, 제2 승압비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2 승압비를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제1 승압비는 상기 제2 승압비보다 큼 - 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의 복조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인증 요청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요청을 기반으로 리턴된 것이거나,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푸시된 것이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충전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충전 능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압비를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신호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충전되는 것임을 확정하면, 상기 제1 단말기의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유선 충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실행되면,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의 충전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의 충전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기술적 방안은 아래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송수신기, 전압 변환 모듈 및 전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제공된 입력 전압을 강압한 후 상기 전원 모듈에 제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순방향 충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상기 전원 모듈의 출력 전압을 승압한 후 상기 송수신기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의해 승압된 전압으로 무선 충전 신호를 외부로 방사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역방향 전원을 구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충전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단말기를 무선 충전 송신기로 사용하여 다른 수신 장비를 충전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비의 지능화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사용자의 무선 충전 요구를 충족한다.
또한,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적어도 두 개의 승압비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 전원에 이용되는 경우, 적합한 승압비를 적용하여 다른 수신 장비를 충전할 수 있으며, 다른 수신 장비의 충전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비교적 높은 승압비를 적용하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역방향 전원 전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다른 수신 장비의 충전 속도를 높이고 전원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은 전압을 높이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단말기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을 증가하므로, 송수신기 내 코일의 전류가 제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도록 확보하고, 코일의 발열을 감소하며, 이에 따라 코일 손실을 감소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상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의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그 실예를 첨부 도면에 나타냈다. 아래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을 언급할 때,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서로 다른 첨부 도면 중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비슷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실시방식이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방식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장치는 송수신기(11), 전압 변환 모듈(12) 및 전원 모듈(13)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은 적어도 두 개의 승압비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은 상기 송수신기(11)와 상기 전원 모듈(13)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전원 모듈(13)의 출력 전압을 승압한 후 상기 송수신기(11)에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될 때 상기 송수신기(11)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전압을 강압한 후 상기 전원 모듈(13)에 제공하며,
상기 송수신기(11)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에 의해 승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외부로 무선 충전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충전될 때,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개시된 충전 장치는 제1 단말기에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어느 한 전자 장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는 이동 통신 장비 또는 노트북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순방향으로 충전된다.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기는 외부로 무선전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되는 경우, 상기 수신기는 무선전 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수신기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무선전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도록 전자기 유도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은 N:1의 모듈 또는 1:N의 모듈이며, 상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N은 2, 3 또는 4 등이다.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적어도 두 개의 승압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승압비는 2:1, 3:1 또는 4:1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은 N:1의 모듈이며,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1:N이고,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N 배임을 지시한다.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되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N:1이고,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1/N임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1:1은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1 배임을 지시하고, 상기 1:2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2 배임을 지시하고, 상기 1:3은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3 배임을 지시하고, 상기 1:4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4 배임을 지시하고, 상기 4:1은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1/4배임을 지시하고, 상기 3:1은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1/3배임을 지시하고, 상기 2:1은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1/2배임을 지시한다.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승압 모드에서 작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1:4의 모듈이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전압 변환 모듈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는 1:4, 1:3, 1:2 및 1:1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비가 1:3인 모듈이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전압 변환 모듈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는 1:3, 1:2 및 1:1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되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강압 모드에서 작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4:1의 모듈이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되면, 전압 변환 모듈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는 4:1, 3:1, 2:1 및 1:1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비가 3:1인 모듈이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되면, 전압 변환 모듈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는 3:1, 2:1 및 1:1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가 1:1이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하나의 스루 스위치로 간주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전류를 조절하는 모듈로 간주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1:4의 모듈인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적용된 승압비가 1:4이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의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4 배이고,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의 출력 전류는 입력 전류의 1/4배이며; 상기 제1 단말기에 적용된 승압비가 1:3이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의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3 배이고,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의 출력 전류는 입력 전류의 1/3배이다.
여기서,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의해 구현되는 전압 또는 전류 전환 기능은 차지 펌프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직류-교류, 또는 교류-직류의 전환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승압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되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 후 강압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인버팅 정류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인버팅 정류 모듈은 상기 송수신기와 상기 전압 변환 모듈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의해 출력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될 때, 송수신기에 의해 출력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모듈(13)은 전원 관리 칩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전원 관리 칩 및 외부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송수신기, 전압 변환 모듈 및 전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제공된 입력 전압을 강압한 후 상기 전원 모듈에 제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순방향 충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상기 전원 모듈의 출력 전압을 승압한 후 상기 송수신기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의해 승압된 전압으로 무선 충전 신호를 외부로 방사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역방향 전원을 구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충전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단말기를 무선 충전 송신기로 사용하여 다른 수신 장비를 충전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비의 지능화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사용자의 무선 충전 요구를 충족한다.
또한,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적어도 두 개의 승압비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 전원에 이용되는 경우, 적합한 승압비를 적용하여 다른 수신 장비를 충전할 수 있으며, 다른 수신 장비의 충전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비교적 높은 승압비를 적용하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역방향 전원 전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다른 수신 장비의 충전 속도를 높이고 전원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은 전압을 높이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단말기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을 증가하므로, 송수신기 내 코일의 전류가 제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도록 확보하고, 코일의 발열을 감소하며, 이에 따라 코일 손실을 감소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에 연결된 제어 모듈(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의 승압에 이용되는 상기 승압비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14)은 일반적으로 상기 충전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의해 이용되는 승압비를 제어하거나, 상기 충전 장치 중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 등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응하는 동작을 완료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신호 등을 제어하고,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의 승압에 이용되는 상기 승압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이 1:4인 모듈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의 승압비를 1:4, 1:3, 1:2 또는 1:1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상이한 승압비를 적용하여 상이한 수신 장비의 충전 요구 등에 적응하도록, 제어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의 승압에 이용되는 승압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과 상기 전원 모듈(13)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모듈(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모듈(15)은 제1 스위칭 소자(151) 및 제2 스위칭 소자(152)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모듈(15)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14)에 연결되어, 수신된 상기 제어 모듈(14)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치 상태를 전환하여 상기 충전 장치의 전원 회로와 충전 회로의 격리를 구현하고, 상기 전원 회로는 상기 전원 모듈(13), 상기 제1 스위칭 소자(151),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 및 상기 송수신기(11)로 형성된 회로이고,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송수신기(11),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 상기 제2 스위칭 소자(152) 및 상기 전원 모듈(13)로 형성된 회로이다.
도 2에서, 식별자 ①은 상기 전원 회로를 나타내고, 식별자 ②는 상기 충전 회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모두 다양한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단극 단일 스로우 스위치, 릴레이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되면, 상기 제1 단말기는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될 때, 상기 제1 단말기는 순방향으로 충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의 턴온 여부에 의해 전원 회로와 충전 회로의 격리를 구현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전원 회로와 충전 회로의 격리는 구현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전 장치는 하나의 제1 스위칭 소자를 통해 전압 변환 모듈과 제1 충전 관리 칩을 연결하며, 일반적으로 제1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고 제1 충전 칩이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충전 장치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고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이 동작하면, 상기 충전 장치가 순방향으로 충전되도록 제어하도록 한정한다. 이와 같이, 역방향 전원을 위한 전원 회로와 순방향 충전을 위한 충전 회로 사이의 격리가 구현되지 않았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1:N 승압비 기반 컨버터가 아니다. 이는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전력이 높지 않고 충전 효율도 높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모듈(13)은 배터리(131) 및 제1 충전 관리 칩(1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151)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과 상기 배터리(13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152)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과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13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132)은 상기 배터리(131)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132)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충전될 때, 상기 전압 변환 모듈(12)을 거쳐 승압된 전압을 설정 임계치 범위 내에서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은 무선 충전 관리를 위한 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배터리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배터리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여 전원 회로를 거쳐 외부로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는 또한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충전되면, 상기 제1 관리 칩을 기반으로 배터리에 입력된 전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회로를 거쳐 배터리에 입력되는 전압이 너무 큰 경우, 배터리에 입력되는 전압이 감소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단말기를 충전하는 과전압 보호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제3 스위칭 소자(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모듈은 제2 충전 관리 칩(13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스위칭 소자(16)는 상기 제1 단말기의 USB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충전 관리 칩은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충전 관리 칩(132)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유선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3 스위칭 소자(16)의 턴온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3 스위칭 소자(16)에 송신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16)가 턴온될 때,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유선 충전 신호를 상기 전원 모듈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는 다양한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는 단극 단일 스로우 스위치, 릴레이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2 충전 관리 칩은 유선 충전 관리를 위한 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충전 관리 칩을 통해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의 턴온 여부를 제어하여, 유선 충전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를 충전할 것인지 여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는 제어 모듈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 모듈에 의해 송신된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여, 유선 충전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를 충전할 것인지 여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제1 스위칭 소자, 제2 스위칭 소자 또는 제3 스위칭 소자의 턴온 여부를 제어하여, 제1 단말기가 무선 역방향 전원, 무선 순방향 충전 또는 유선 충전에 이용되는지 여부의 시나리오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적할 것은, 이하 충전 방법의 설명은 상술한 충전 장치의 설명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충전 방법 실시예에서 개시되지 않은 기술적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31 단계: 충방전 제어 신호를 획득한다.
S32 단계: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역방향 전원 제어 신호인지 여부를 확정한다.
S33 단계: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역방향 전원 제어 신호인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예비 승압 모드 중에서 목표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을 승압한다.
S34 단계: 승압된 역방향 전원 신호를 기반으로, 외부로 무선 충전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충전 방법은 제1 단말기에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어느 한 전자 장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는 이동 통신 장비 또는 노트북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는 역방향 전원 제어 신호 또는 순방향 충전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역방향 전원 제어 신호는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에 대응하고, 상기 순방향 충전 제어 신호는 순방향 충전 강압 모드에 대응한다.
여기서, 상기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는 적어도 두 개의 예비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순방향 충전 제어 신호인 경우, 상응하는 상기 순방향 충전 강압 모드를 취하여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강압하고 강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기를 충전하는 S35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는 입력 전압을 사전 설정된 비율로 높인 후 출력하고, 상기 순방향 충전 강압 모드는 입력 전압을 사전 설정된 비율로 낮춘 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가 1:4이면,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4 배이고, 상기 순방향 충전 모드가 4:1이면,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1/4배이다.
여기서, 상기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는 1:N의 모드일 수 있고, 상기 순방향 충전 강압 모드는 1:N의 모드이며, 상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에 이용되는 승압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압비는 적어도 두 개의 승압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표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는 1:N의 모드이며, 상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상기 목표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가 1:4이면, 상기 승압비는 1:2, 1:3 또는 1:4일 수 있다. 상기 목표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가 1:3이면, 상기 승압비는 1:2 또는 1:3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압비는 1: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승압비는 1:2, 1:3 또는 1:4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역방향 전원 제어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응하는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를 취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을 승압하고 외부로 무선 충전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단말기가 다른 수신 장비에 대한 전원을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압을 높이는 방식으로 제1 단말기의 전원 전력을 증가한다. 이는 한편으로 제1 단말기가 외부로 무선 충전 신호를 송신하는 코일 내 전류가 제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도록 확보하여 코일의 발열을 감소하며 나아가 코일 소모를 감소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다른 수신 장비의 충전 속도를 올리고 전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이한 승압비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도록, 충방전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에 이용되는 승압비를 확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 전원에 이용되는 경우, 적합한 승압비를 적용하여 다른 수신 장비를 충전할 수 있으며, 다른 수신 장비의 충전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순방향 충전 제어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응하는 순방향 충전 강압 모드를 취하여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강압하고 강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무선 충전을 구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S41 단계: 검출 신호를 송신한다.
S42 단계: 상기 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리턴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
S43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제2 단말기가 존재함을 확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 신호는 아날로그 에코 검출 신호이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 신호는 ping 신호이다.
여기서, 상기 검출 신호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보다 작은 신호이다.
이해할 것은, 상기 검출 신호의 주파수가 클수록, 상기 검출 신호에 포함된 에너지는 크다. 따라서, 너무 높은 주파수의 검출 신호는 제2 단말기 수신측 칩의 과전압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검출 신호의 주파수를 사전 설정된 주파수 이하로 한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 수신측 칩의 손상을 감소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신호와 상기 검출 신호의 주파수는 다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범위는 5ms보다 작은 범위이다.
여기서, 상기 제2 단말기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어느 한 전자 장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는 핸드폰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 통신 장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일정한 주파수의 검출 신호를 송신하며, 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리턴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면, 예를 들어, 주파수에 변화가 발생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제2 단말기가 존재함을 확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충전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기가 무선 역방향 전원 소프트웨어 스위치를 켜고, 제어 모듈이 제1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고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제1 단말기는 검출 신호를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전력을 공급할 때 승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 신호를 대응하여 송신하는 목표 주파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주파수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제 응용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ut 위치의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Vout 위치의 전압이 상기 제1 단말기가 전력을 공급할 때 승압된 전압이면, 검출 신호를 대응하여 송신하는 목표 주파수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가 전력을 공급할 때 승압된 전압(Vout 위치의 전압)과 주파수의 대응관계 리스트를 설정하고, 상기 대응관계 리스트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저장한다. 현재 Vout 위치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대응관계 리스트를 기반으로, 현재 Vout 위치의 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목표 주파수로 선택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제1 단말기가 전력을 공급할 때의 승압된 전압은 전원 전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전압이 제1 전압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목표 주파수는 제1 주파수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전원 전압이 제2 전압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목표 주파수는 상기 제1 주파수 임계치보다 작으며, 상기 제1 전압 임계치는 상기 제2 전압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1 주파수 임계치는 상기 제2 주파수 임계치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이한 제1 단말기가 전력을 공급할 때의 승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검출 신호의 목표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목표 주파수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를 선택하여 충전하는지 여부에 유리하도록, 검출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가 전원 전압을 제공하는 크기를 제2 단말기에 통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이 성공하면, 제1 승압비로 동작하도록 상기 승압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이 실패하면, 제2 승압비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2 승압비를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제1 승압비는 상기 제2 승압비보다 큼 -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의 복조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제 응용에서, 상기 제 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대역 외 통신 또는 대역 내 통신 방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대역 외 통신의 한 방식은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NFC, Zigbee 또는 블루투스 등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대역 내 통신의 한 방식은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의 복조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무선 충전 신호에 바인딩하여 상기 무선 충전 신호에 따라 함께 송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단말기는 복조하여 수신된 상기 무선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한다.
이와 같이, 대역 내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인증 정보를 송신하면, 무선 충전 신호에서 상기 인증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으며, 인증 정보를 단독으로 송신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통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대역 외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인증 정보를 송신하면, 인증 정보가 부하 파동 및 코일 커플링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을 감소하고 인증 정보의 신호 복조 실패의 확률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충전이 정지되는 확률을 감소하여 통신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가 합법적인 인증 장비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합법적인 인증 장비이면,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성공을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실패를 확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성공이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는 독점적인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고, 인증 실패이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는 표준 QI 사양의 BPP 프로토콜 또는 EPP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충전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BPP 프로토콜은 5W를 지원하는 무선 충전 프로토콜이고, 상기 EPP는 10W를 지원하는 무선 충전 프로토콜이다.
실제 응용에서, 상기 제1 승압비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독점적인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할 때 확정된 승압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승압비는 1:2 또는 1:4이다. 상기 제2 승압비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QI 사양을 적용한 BPP 프로토콜 또는 EPP 프로토콜에 의해 확정된 승압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승압비는 1: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통과 여부를 확정할 수 있으며, 인증에 통과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승압비를 적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고, 인증에 실패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승압비를 적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무선 충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단말기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승압비를 확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인증 요청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요청을 기반으로 리턴된 것이거나,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푸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주동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해 인증 요청을 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말기가 인증 요청을 기반으로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데 유리하여,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통과 여부를 확정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 요청을 제2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은 대역 내 통신 방식 또는 대역 외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충전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충전 능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압비를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신호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능력 정보는 수신 충전 전력, 수신 충전 전압 및 수신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 및 충전 능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충전에 적합한 전압비를 확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충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가 인증이 통과된 수신 장비이나 상기 제2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는 충전 전력이 사전 설정된 전력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에 대응하는 전압비를 확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충전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너무 높은 충전 전력으로 인한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손상을 감소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인증 정보만을 기반으로 상기 승압비를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신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충전되는 것임을 확정하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유선 충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의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유선 충전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유선 충전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히 소개하기 위하여, 충전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충전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51 단계: 제1 단말기의 무선 역방향 전원 스위치를 켠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 표시 인터페이스의 역방향 전원 스위치를 켜는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무선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를 켠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무선 역충전 장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는 핸드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 충전 장치의 프로세서는 충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단말기 표시 인터페이스에 작용하는 역방향 전원 스위치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제어 모듈이다.
S52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의 승압비를 1:N으로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송수신기의 전원 전압이 상기 송수신기에 입력된 전압의 N 배가 되도록,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의 승압비를 1:N으로 제어하며, 상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여기서, 상기 1:N이 1:2이면,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전원 전압은 2×VBAT이며, 상기 VBAT는 하나의 배터리 전압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VBAT가 (3.9, 4.4)V 좌우이면, 상기 전원 전압은 (7.8, 8.8)V 좌우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가 2-스트링 배터리 시스템이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의 승압비를 1:1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전원 전압도 2×VBAT이다.
S53 단계: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에 있도록 상기 제1 단말기 장비의 송수신기를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송수신기의 출력단에 전원 전압이 있는 것을 검출하면,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송수신기를 초기화하며, 상기 송수신기가 외부로 무선 신호를 방사하도록 상기 송수신기가 송신 모드에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S54 단계: 목표 주파수의 검출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는 전원 전압을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전원 전압에 따라 검출 신호의 목표 주파수를 확정하며, 상기 목표 주파수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 신호는 Ping 신호이다.
S55 단계: 표준 QI 사양의 BPP 프로토콜 식별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사전 설정된 범위 내의 제2 단말기에 대해 표준 QI 사양의 BPP 프로토콜 식별을 진행한다.
여기서, 실제 응용에서,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에 놓여진다. 이때, 상기 수신 장비의 코일과 상기 제1 단말기의 코일은 사전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다. 제1 단말기가 송신된 검출 신호의 주파수에 변화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면,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상기 제2 단말기가 존재함을 확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수신 장비이고, 수신 장비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장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장비는 핸드폰이다.
S56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는 표준 QI 사양의 BP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를 충전한다.
S57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성공 여부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인증 요청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인증 요청을 기반으로 리턴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가 합법적인 장비인 것을 확정하면,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통과를 확정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가 합법적인 장비가 아닌 것을 확정하면,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실패를 확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이 통과하면, 상기 제2 단말기의 승압비를 1:N으로 확정하고, 인증이 실패하면, 상기 제2 단말기의 승압비를 1:1로 확정한다.
실제 응용에서, 인증이 통과하면, 상기 제2 단말기가 상술한 S52 단계를 적용하여 확정한 1:N 역방향 전원을 확정하고, 인증이 실패하면, 상기 제2 단말기가 상술한 S55 단계 중 표준 QI 사양 BPP 역방향 전원을 유지할 것을 확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통과를 확정한 후, 아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58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의 충전 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능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압비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충전 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능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기의 역방향 전원 승압의 승압비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의 단말기 능력 정보는 20W 전력 정보이고,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승압비를 1:4로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 단말기의 전원 전압은 4×VBAT이고, 하나의 VBAT가 (3.9, 4.4)V이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전원 전압은 (3.9, 4.4)V이고, 상기 제1 단말기의 송수신기의 코일은 기본상 1.25A 이내로 보장된다. 이에 따라, 코일의 발열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S59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는 역방향 전원을 정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가 목표 거리 밖으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 전원을 정지할 것을 확정하며, 상기 목표 거리는 상기 사전 설정된 거리 범위 밖에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말기 표시 인터페이스의 역방향 전원 스위치를 닫는 동작에 응답하여, 역방향 전원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1 단말기를 제어한다.
실제 응용에서, 상기 제1 단말기의 역방향 전원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오프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의 송수신기는 상기 제1 단말기 작동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과전압 보호, 과전류 보호, 과열 보호, 이물질 검출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는 모듈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 전원에 이용되면, 적용된 승압비가 1:4 또는 더 높은 승압비이면, 제공되는 전원 전압은 20W 또는 이상일 수 있으며, 무선 충전의 전력을 대폭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의 전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원 전압을 높여 무선 충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 전압을 높여 전력을 증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코일 내의 전류가 제어 가능한 범위 내에 제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일 발열을 감소하고, 코일의 소모를 감소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허가 인증을 통해 인증에 성공한 수신 장비에 대해 1: N의 승압비를 적용할 것을 확정하거나, 수신 장비의 충전 능력 정보를 기반으로 1:N의 승압비로 충전할 것을 확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또는, 인증에 실패한 수신 장비에 대해 일반적인 BPP 충전을 유지할 것을 확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신 장비의 충전 능력 및 전력 수요 등에 따라, 적합한 충전 모드를 선택하여 충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충전 분야의 사양 관리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증에 성공한 수신 장비에 대해서만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적용하여 충전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실행되면,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의 충전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는 다양한 유형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매체는 비 일시적 컴퓨터 저장매체이고, 통신 장비의 전원이 꺼진 후 그 중의 정보를 계속하여 기억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버스 등을 통해 메모리에 연결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방법의 적어도 하나를 구현한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 장치(8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8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비, 게임기, 태블릿, 의료장비, 운동기구, PDA 등 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치(800)는 처리 컴포넌트(802), 메모리(804), 전력 컴포넌트(8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 오디오 컴포넌트(810), 입력/출력(I/O)의 인터페이스(812), 센서 컴포넌트(814) 및 통신 컴포넌트(816)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컴포넌트(802)는 일반적으로 장치(8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하는 바,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 컴포넌트(802)는 상술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료하도록 명령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컴포넌트(802)는 처리 컴포넌트(802)와 다른 컴포넌트 간의 상호작용에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컴포넌트(802)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와 처리 컴포넌트(802) 간의 상호작용을 편리하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800)에서의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실예는 장치(8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그림,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적 램(SRAM), 이이피롬(EEPROM), 이피롬(EPROM), 피롬(PROM), 롬(ROM), 자기저장장치, 플래시, 디스크, 광 디스크이다.
전력 컴포넌트(806)는 장치(80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력 컴포넌트(8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전원, 및 다른 장치(800)를 위해 전력을 생성, 관리 및 할당하는 것과 관련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상기 장치(800)와 사용자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 및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미끄럼 및 터치 패널 상의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미끄럼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미끄럼 동작과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도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800)가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각각은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 및 광학 줌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하나의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장치(800)가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식별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인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또한 메모리(8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816)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처리 컴포넌트(802)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click wheel),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페이지 버튼, 음량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장치(800)에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814)는 장치(800)의 온/오프 상태,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컴포넌트는 장치(800)의 표시장치 및 키 패드이며, 센서 컴포넌트(814)는 장치(800) 또는 장치(800)의 한 컴포넌트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장치(800)의 접촉여부, 장치(8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8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아무런 물리적 접촉도 없이 부근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8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컴포넌트(816)는 장치(800)와 다른 장비 간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800)는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816)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8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하여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통신(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다른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8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전자소자로 구현되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이 포함된 비 임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예를 들어 명령이 포함된 메모리(804))를 더 제공하며, 상술한 명령은 장치(800)의 프로세서(820)에 의해 수행되어 상술한 방법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 임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ROM, 램(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의 충전 방법을 구현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서 개시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를 포함하고자 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에 따르며 본 발명이 개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통상의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아래의 청구항에 의해 지적된다.
이해할 것은, 본 발명은 위에서 이미 설명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7)

  1. 충전 장치로서,
    제1 단말기에 적용되며, 상기 충전 장치는 송수신기, 전압 변환 모듈, 제어 모듈 및 전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적어도 두 개의 승압비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상기 송수신기와 상기 전원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전원 모듈의 출력 전압을 승압한 후 상기 송수신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될 때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전압을 강압한 후 상기 전원 모듈에 제공하며 - 상기 제1 단말기가 역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1:N이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순방향으로 충전되면,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은 N:1이며,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임 - ,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의해 승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외부로 무선 충전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충전될 때, 무선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전송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제2 단말기가 존재함을 확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검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리턴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이 성공하면, 제1 승압비로 동작하도록 상기 승압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이 실패하면, 제2 승압비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2 승압비를 제어하는 - 상기 제1 승압비는 상기 제2 승압비보다 큼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 모듈과 상기 전원 모듈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모듈은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모듈은 또한 제어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치 상태를 전환하여 상기 충전 장치의 전원 회로와 충전 회로의 격리를 구현하고, 상기 전원 회로는 상기 전원 모듈,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전압 변환 모듈 및 상기 송수신기로 형성된 회로이고,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송수신기, 상기 전압 변환 모듈, 상기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전원 모듈로 형성된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모듈은 배터리 및 제1 충전 관리 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압 변환 모듈과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충전 관리 칩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충전될 때 상기 전압 변환 모듈을 거쳐 강압된 전압을 설정 임계치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제3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모듈은 제2 충전 관리 칩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충전 관리 칩은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충전 관리 칩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유선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의 턴온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송신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가 턴온될 때,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유선 충전 신호를 상기 전원 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6. 충전 방법으로서,
    제1 단말기에 적용되고, 상기 충전 방법은
    충방전 제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역방향 전원 제어 신호인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역방향 전원 제어 신호인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예비 승압 모드 중에서 목표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을 승압하는 단계;
    승압된 역방향 전원 신호를 기반으로, 외부로 무선 충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리턴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제2 단말기가 존재함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이 성공하면, 제1 승압비로 동작하도록 상기 승압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이 실패하면, 제2 승압비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2 승압비를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제1 승압비는 상기 제2 승압비보다 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역방향 전원 승압 모드에 이용되는 승압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압비는 적어도 두 개의 승압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 신호가 순방향 충전 제어 신호인 경우, 상응하는 순방향 충전 강압 모드를 취하여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를 강압하고 강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기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전력을 공급할 때 승압된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하는 목표 주파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주파수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11. 삭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수신된 무선 충전 신호의 복조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인증 요청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요청을 기반으로 리턴된 것이거나,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푸시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충전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충전 능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압비를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신호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충전되는 것임을 확정하면, 상기 제1 단말기의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유선 충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16. 단말기로서,
    프로세서;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실행되면, 제6항 내지 제8항,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충전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로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6항 내지 제8항,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충전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20200091331A 2020-02-12 2020-07-23 충전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저장매체 KR102487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088574.4A CN113258625A (zh) 2020-02-12 2020-02-12 一种充电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202010088574.4 2020-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369A KR20210103369A (ko) 2021-08-23
KR102487354B1 true KR102487354B1 (ko) 2023-01-11

Family

ID=7189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331A KR102487354B1 (ko) 2020-02-12 2020-07-23 충전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75274B2 (ko)
EP (1) EP3866298A1 (ko)
JP (1) JP7012789B2 (ko)
KR (1) KR102487354B1 (ko)
CN (1) CN1132586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2002A (zh) * 2019-07-31 2019-11-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开关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3070A (ja) * 2010-03-12 2013-06-1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電力充電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4023B2 (ja) 2005-03-31 2010-01-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間の電力移動システム
JP5654120B2 (ja) 2010-05-19 2015-01-14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応無線エネルギー伝送システム
KR101880030B1 (ko) * 2011-08-25 201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2개의 소스 공진기를 이용해서 자기장을 제어하는 소스 장치 및 방법
US10038339B2 (en) 2012-08-13 2018-07-31 WIPQTUS Inc. Dual mode wireless power receiver
CN103683523B (zh) 2012-09-07 2018-04-13 捷通国际有限公司 用于双向无线功率传输的系统和方法
US9543074B2 (en) * 2012-09-12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9793740B2 (en) * 2012-11-26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e control in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2195109B1 (ko) 2013-11-20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2295182B1 (ko) * 2014-07-29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류-직류 변환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칩 패키지
WO2016151889A1 (ja) 2015-03-23 2016-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双方向非接触給電装置および双方向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6125057B1 (ja) 2016-01-26 2017-05-1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充電電力の融通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180006665A (ko) 2016-07-11 2018-0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 기기를 이용한 전력 수집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418857B2 (en) 2016-11-29 2019-09-17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JP6886295B2 (ja) * 2017-01-13 2021-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制御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1469620B2 (en) 2018-03-05 2022-10-11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3070A (ja) * 2010-03-12 2013-06-1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電力充電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369A (ko) 2021-08-23
US20210249890A1 (en) 2021-08-12
US11575274B2 (en) 2023-02-07
JP7012789B2 (ja) 2022-01-28
JP2021129492A (ja) 2021-09-02
EP3866298A1 (en) 2021-08-18
CN113258625A (zh)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82710B (zh) 无线充电方法及终端
JP6239154B2 (ja) 端末機器の充電制御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252248B1 (ko) 무선충전 통신방법, 장치,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7546873B (zh) 无线充电距离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2021528938A5 (ko)
KR102487354B1 (ko) 충전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저장매체
CN112637415B (zh) 充电控制方法及装置、移动终端、存储介质
CN108448694B (zh) 无线充电设备、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2838629A (zh) 无线充电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CN112448488A (zh) 电子设备、充电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9450032B (zh) 无线充电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2186823B (zh) 无线充电方法、电路及系统
EP4170855A1 (en) Charg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123788A1 (zh) 无线充电装置以及方法
CN107732992B (zh) 终端设备电源管理方法及装置
KR102416457B1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CN113972728A (zh) 一种无线充电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7277522A (zh) 无线充电电路、无线充电方法、装置、介质、芯片及终端
CN116667685A (zh) 无线充电系统、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937828A (zh) 无线充电器的温控方法、无线充电器及电子设备
CN114006429A (zh) 充电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825495A (zh) 一种充电控制方法、充电控制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178952A (zh) 一种无线充电设备和无线充电系统
CN116667684A (zh) 无线充电系统、方法、装置、接收装置及终端设备
CN114498783A (zh) 一种无线充电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