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283B1 -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283B1
KR102487283B1 KR1020220084138A KR20220084138A KR102487283B1 KR 102487283 B1 KR102487283 B1 KR 102487283B1 KR 1020220084138 A KR1020220084138 A KR 1020220084138A KR 20220084138 A KR20220084138 A KR 20220084138A KR 102487283 B1 KR102487283 B1 KR 102487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tube bag
egg carton
bag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엽
Original Assignee
신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엽 filed Critical 신동엽
Priority to KR102022008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65B35/205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linked to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23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267Opening of bags interconnected in a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4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65B5/045Packaging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0Embedding contents in shock-absorbing media, e.g. plastic foam,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일정 개수 단위의 계란이 포장된 계란판을 에어 튜브 백으로 포장하기 위한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는 에어 튜브 백이 일정 속도와 주기로 공급되는 가운데 에어 튜브 백 내부로 계란판이 수납되는 공정을 위해 설치되는 메인 컨베이어; 메인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 튜브 백의 입구를 벌여주는 복수의 핑거가 이동하도록 메인 컨베이어의 도중 상측에 설치되는 백 입구 확장수단; 핑거가 동작하여 확장된 에어 튜브 백의 입구 측으로 계란판을 밀어넣는 계란판 투입수단; 및 메인 컨베이어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 상의 계란판을 들어 계란판 투입수단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계란판 그리퍼;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Apparatus for packing eggs with air tube bag}
이 발명은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개수 단위의 계란이 포장된 계란판을 에어 튜브 백으로 포장하기 위한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란은 유통과정에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 플라스틱 등으로 된 포장용기(또는 계란판)에 담긴 채로 유통이 이루어진다. 계란 포장용기는 10개, 15개, 20개, 30개씩의 계란이 보관될 수 있게 계란의 형태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부 계란 포장용기는 계란의 상부를 덮기 위한 뚜껑이 포함되기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계란은 계란 포장용기 또는 계란판에 담긴 상태에서 유통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계란의 유통과정에서 또는 소비자에게 배달이 되거나 소비자가 운반하는 과정에서 여전히 외부 충격으로 인해 계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계란 가격의 급등 또는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에서는 국제적인 유통이 요구되기도 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하였듯이 계란은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쉽게 깨질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를 통한 물류는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2050570(2020.01.08. 공고)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22-0060585(2022.05.12. 공개)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일정 개수 단위의 계란이 포장된 계란판을 에어 튜브 백으로 포장하기 위한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는 에어 튜브 백이 일정 속도와 주기로 공급되는 가운데 에어 튜브 백 내부로 계란판이 수납되는 공정을 위해 설치되는 메인 컨베이어; 메인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 튜브 백의 입구를 벌여주는 복수의 핑거가 이동하도록 메인 컨베이어의 도중 상측에 설치되는 백 입구 확장수단; 핑거가 동작하여 확장된 에어 튜브 백의 입구 측으로 계란판을 밀어넣는 계란판 투입수단; 및 메인 컨베이어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 상의 계란판을 들어 계란판 투입수단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계란판 그리퍼;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에서 백 입구 확장수단은 에어 튜브 백의 입구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설치되는 아암, 한 쌍의 아암이 일정 거리 후진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제1 실린더, 한 쌍의 아암의 간격이 상호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한 쌍의 아암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실린더, 한 쌍의 아암의 하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에어 튜브의 입구에 일정 간격 삽입되는 제1 핑거, 한 쌍의 제1 핑거의 후방 측 각각의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제2 핑거; 및 제2 핑거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제3 실린더;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에서 계란판 투입수단은 계란판 그리퍼에 의해 옮겨진 계란판이 놓이는 무빙 플레이트, 무빙 플레이트를 백 입구 확장수단에 의해 입구가 확장된 에어 튜브 백 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는 제1 푸시 로드, 무빙 플레이트 상에 놓인 계란판의 측면을 밀어 입구가 확장된 에어 튜브 백 측으로 밀어 넣도록 무빙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계란판 푸셔, 계란판 푸셔를 일정 거리 이동시키도록 상기 무빙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푸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에서 무빙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롤러가 설치되고, 계란판 푸셔의 하부에는 제2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에서 메인 컨베이어의 전방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접합부가 형성된 비닐 원단에 공기를 불어넣어 에어 튜브 백의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가운데 일정 속도로 에어 튜브 백을 공급하는 에어 튜브 백 공급기가 설치되며, 에어 튜브 백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에어 튜브 백이 메인 컨베이어를 따라 백 입구 확장수단 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에어 튜브 백을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일 및 제2 가이드 레일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에 의하면 계란판이 에어 튜브 형태로 구성된 에어 튜브 백에 자동으로 포장이 됨으로써 계란판의 안전 포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이 발명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에 의하면 계란을 보다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음에 따라 농축산물의 수급 안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3 및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의 계란판 그리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의 백 입구 확장수단과 계란판 투입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입구 확장수단의 핑거가 에어 튜브 백의 입구 안쪽으로 일정 간격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7 및 도8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입구 확장수단의 핑거에 의해 에어 튜브 백의 입구가 가로방향으로 확장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입구 확장수단의 핑거에 의해 에어 튜브 백의 입구가 세로방향으로 확장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투입수단에 의해서 에어 튜브 백의 내부로 계란판이 투입되기 시작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1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투입수단의 계란판 푸셔가 계란판을 밀기 시작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1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투입수단에 의해서 에어 튜브 백의 내부로 계란판이 투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3 및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의 계란판 그리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5 내지 도1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의 백 입구 확장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10은 계란판을 지시하는 것이다. 한편, 도면부호 20은 계란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에어 튜브 백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100)는 도1 및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에어 튜브 백(20)이 공급되는 에어 튜브 백 공급기(20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메인 컨베이어(110), 메인 컨베이어(110)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 튜브 백(20)의 입구를 벌여주기 위한 백 입구 확장수단(130), 확장된 에어 튜브 백(20)의 입구 측으로 계란판(10)을 밀어넣는 계란판 투입수단(150) 및 계란판(10)을 하나씩 들어 계란판 투입수단(15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계란판 그리퍼(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컨베이어(110)의 일측에는 계란이 담긴 계란판(10)이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는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100)에서 에어 튜브 백 공급기(200)는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접합이 된 비닐 원단에 공기를 불어넣어 에어 튜브 백(20)의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가운데 일정 속도로 에어 튜브 백(20)이 공급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전술한 에어 튜브 백 공급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튜브 백(20)은 도1 및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메인 컨베이어(110)를 따라 일정 주기와 일정 속도로 이송된다.
메인 컨베이어(110)는 백 입구 확장수단(130) 및 계란판 투입수단(150)이 작동하면서 에어 튜브 백(20) 내로 계란판(10)이 투입되는 공정에서는 일시 멈춘 상태가 되고, 에어 튜브 백(20) 내부로 계란판(10)이 투입되어 포장된 상태에서는 일정 스트로크 간격이 이동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메인 컨베이어(110)의 작동은 에어 튜브 백 공급기(200)의 작동과 연동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에어 튜브 백 공급기(200)를 통해서 메인 컨베이어(110) 측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에어 튜브 백(10)의 입구(22)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가운데 에어 튜브 백(20)이 가지런히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레일(112) 및 제2 가이드 레일(114)이 메인 컨베이어(110)의 전방 측 도중의 상측에 설치된다.
특히, 제2 가이드 레일(114)은 에어 튜브 백(20)의 커버(24)가 메인 컨베이어(110)의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송이 될 수 있게 제1 가이드 레일(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설치된다.
그리고 백 입구 확장수단(130)의 전방에 위치되는 에어 튜브 백(20)의 커버(24)가 하측을 향해 벌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커버 개방 가이드 레일(116)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에어 튜브 백(20)의 커버(24)가 커버 개방 가이드 레일(11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에어 튜브 백(20)의 커버(24)는 하측을 향해 제쳐진 상태가 된다.
도3 및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의 계란판 그리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계란판(10)이 공급되는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300)는 메인 컨베이어(11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고,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300)의 끝단부 일측에는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300)를 통해 공급되는 계란판(10)을 계란판 투입수단(150) 측으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계란판 그리퍼(170)가 설치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100)에서 계란판 그리퍼(170)는 전후진 작동 및 승하강 작동을 통해서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300)를 따라 공급되는 계란판(10)을 들어올린 후 계란판 투입수단(150)으로 위치 이동을 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계란판 그리퍼(170)가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300) 상의 계란판(10)을 안정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는 계란판(10)의 위치가 정렬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 계란판 정렬 가이드(310) 및 제2 계란판 정렬 가이드(320)가 설치된다.
또한,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300)를 따라 이동되는 계란판(10)이 계란판 그리퍼(170) 하측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330)가 설치된다. 따라서 근접 센서(330)에서 계란판(10)이 감지되면,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300)의 작동을 일시 정지되는 한편 계란판 그리퍼(170)가 하강 작동할 때까지 대기 모드에 있게 된다.
도5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100)의 백 입구 확장수단(130)과 계란판 투입수단(1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100)에서 백 입구 확장수단(130)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에어 튜브 백(20)의 입구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설치되는 아암(132), 한 쌍의 아암이 일정 거리 후진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제1 실린더(134), 한 쌍의 아암의 간격이 상호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한 쌍의 아암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실린더(136), 한 쌍의 아암(132)의 하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에어 튜브 백(10)의 입구(22)에 일정 간격 삽입되는 제1 핑거(140), 한 쌍의 제1 핑거(140)의 후방 측 각각의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제2 핑거(142) 및 제2 핑거(142)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제3 실린더(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100)에서 계란판 투입수단(150)은 계란판 그리퍼(170)에 의해 옮겨진 계란판(10)이 놓이는 무빙 플레이트(152), 무빙 플레이트(152)를 백 입구 확장수단(130)에 의해 입구가 확장된 에어 튜브 백(20) 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는 제1 푸시 로드(154), 무빙 플레이트(152) 상에 놓인 계란판(10)의 측면을 밀어 입구가 확장된 에어 튜브 백(20) 측으로 밀어 넣도록 무빙 플레이트(152)의 일측에 설치되는 계란판 푸셔(156), 계란판 푸셔(156)를 일정 거리 이동시키도록 무빙 플레이트(152)에 설치되는 제2 푸시 로드(15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푸시 로드(154)는 제1 푸시 실린더(154a)에 의해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제2 푸시 로드(158)는 제2 푸시 실린더(158a)에 의해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무빙 플레이트(152)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롤러(160)가 설치되고, 계란판 푸셔(156)의 하부에는 제2 롤러(162)가 설치될 수 있다.
도6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입구 확장수단(130)의 핑거가 에어 튜브 백(20)의 입구 안쪽으로 일정 간격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7 및 도8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입구 확장수단의 핑거에 의해 에어 튜브 백의 입구가 가로방향으로 확장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발명에 따른 백 입구 확장수단(130)의 제1 실린더(134)가 작동하면, 도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아암(132)이 일정 간격 후진 작동하면서 제1 핑거(140) 및 제2 핑거(142)가 에어 튜브 백(20)의 입구(22)를 향해 일정 간격 삽입된다.
이후, 도7 및 도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 실린더(136)의 작동에 의해서, 한 쌍의 아암(132)은 상호 더 벌어지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제1 핑거(140) 및 제2 핑거(142)는 에어 튜브 백(20)의 입구를 가로방향으로 확장시키게 된다.
도9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입구 확장수단의 핑거에 의해 에어 튜브 백의 입구가 세로방향으로 확장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핑거(142)를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3 실린더(144)의 작동에 의해서, 제2 핑거(142)는 도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에어 튜브 백(20)의 입구는 상하방향으로도 충분하게 확장이 된 상태가 된다.
도1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투입수단(150)에 의해서 에어 튜브 백(20)의 내부로 계란판(10)이 투입되기 시작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1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투입수단(150)의 계란판 푸셔(156)가 계란판(10)을 밀기 시작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1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투입수단(150)에 의해서 에어 튜브 백(20)의 내부로 계란판(10)이 투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에어 튜브 백(20)의 입구(22)가 완전하게 확장 개방이 된 상태에서,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투입수단(150)의 제1 푸시 로드(154)가 출현 작동이 되면서 계란판(10)이 올려진 무빙 플레이트(152)를 일정 거리 밀어내게 된다. 이때, 무빙 플레이트(152)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롤러(160)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부드럽게 이동 동작을 하게 됨에 따라서 그 상부에 놓인 계란판에 이동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후, 제2 푸시 로드(158)가 출현 동작하게 되면서 계란판(10)의 측면에는 도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계란판 푸셔(156)가 닿게 된다.
계속하여 계란판(10)은 계란판 푸셔(156)에 의해 밀리면서, 도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에어 튜브 백(20)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 과정에서 계란판 푸셔(156)의 하단에는 제2 롤러(162)가 설치되어 있어 계란판(10)에는 이동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100)에 의해서 에어 튜브 백(20)의 내부에 계란판(10)이 투입이 완료되면, 전술한 계란판 투입수단(150)의 계란판 푸셔(156) 및 무빙 플레이트(152)는 앞의 설명에서와는 역순으로 작동하게 되고, 전술한 백 입구 확장수단(130)의 핑거(140, 142) 및 아암(132)도 앞의 설명에서와는 역순으로 작동하게 되어 대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나아가, 메인 컨베이어(110)가 작동하면서 내부에 계란판(10)이 투입된 에어 튜브 백(20)은 일정 간격 이동하게 되는 한편 속이 빈 에어 튜브 백(20)은 전술한 백 입구 확장수단(130)의 전방 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계란판(10)이 투입된 상태의 에어 튜브 백(20)은 이웃하는 에어 튜브 백(20)과의 경계부(26)가 자동으로 절단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낱개 단위로 분리된 에어 튜브 백(20)의 입구는 커버(24)가 자동으로 접히면서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100)에 의하면 계란판이 에어 튜브 형태로 구성된 에어 튜브 백(20)에 자동으로 포장이 됨으로써 계란판의 안전 포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나아가, 계란을 보다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음에 따라 농축산물의 수급 안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에 관하여 그 구성 및 작동상태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 고안의 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 : 계란판 20 : 에어 튜브 백
22 : 입구 24 : 커버
100 :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110 : 메인 컨베이어 112 : 제1 가이드 레일
114 : 제2 가이드 레일 116 : 커버 개방 가이드 레일
130 : 백 입구 확장수단 132 : 아암
134 : 제1 실린더 136 : 제2 실린더
140 : 제1 핑거 142 : 제2 핑거
144 : 제3 실린더
150 : 계란판 투입수단 152 : 무빙 플레이트
154 : 제1 푸시 로드 154a : 제1 푸시 실린더
156 : 계란판 푸셔 158 : 제2 푸시 로드
158a : 제2 푸시 실린더
160 : 제1 롤러 162 : 제2 롤러
170 : 계란판 그리퍼 200 : 에어 튜브 백 공급기
300 :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 310 : 제1 계란판 정렬 가이드
320 : 제2 계란판 정렬 가이드 330 : 근접 센서

Claims (5)

  1. 에어 튜브 백이 일정 속도와 주기로 공급되는 가운데 상기 에어 튜브 백 내부로 계란판이 수납되는 공정을 위해 설치되는 메인 컨베이어;
    상기 메인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 튜브 백의 입구를 벌여주는 복수의 핑거가 이동하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도중 상측에 설치되는 백 입구 확장수단;
    상기 핑거가 동작하여 확장된 상기 에어 튜브 백의 입구 측으로 계란판을 밀어넣는 계란판 투입수단;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계란판 공급 컨베이어 상의 계란판을 들어 상기 계란판 투입수단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계란판 그리퍼;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백 입구 확장수단은,
    상기 에어 튜브 백의 입구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설치되는 아암;
    상기 한 쌍의 아암이 일정 거리 후진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제1 실린더;
    상기 한 쌍의 아암의 간격이 상호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한 쌍의 아암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실린더;
    상기 한 쌍의 아암의 하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에어 튜브의 입구에 일정 간격 삽입되는 제1 핑거;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의 후방 측 각각의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제2 핑거; 및
    상기 제2 핑거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제3 실린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판 투입수단은,
    상기 계란판 그리퍼에 의해 옮겨진 계란판이 놓이는 무빙 플레이트;
    상기 무빙 플레이트를 상기 백 입구 확장수단에 의해 입구가 확장된 에어 튜브 백 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는 제1 푸시 로드;
    상기 무빙 플레이트 상에 놓인 계란판의 측면을 밀어 상기 입구가 확장된 에어 튜브 백 측으로 밀어 넣도록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계란판 푸셔;
    상기 계란판 푸셔를 일정 거리 이동시키도록 상기 무빙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푸시 로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계란판 푸셔의 하부에는 제2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5. 제1항 및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전방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접합부가 형성된 비닐 원단에 공기를 불어넣어 에어 튜브 백의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가운데 일정 속도로 에어 튜브 백을 공급하는 에어 튜브 백 공급기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 튜브 백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에어 튜브 백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를 따라 상기 백 입구 확장수단 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에어 튜브 백을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일 및 제2 가이드 레일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KR1020220084138A 2022-07-08 2022-07-08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KR102487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138A KR102487283B1 (ko) 2022-07-08 2022-07-08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138A KR102487283B1 (ko) 2022-07-08 2022-07-08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283B1 true KR102487283B1 (ko) 2023-01-10

Family

ID=8489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138A KR102487283B1 (ko) 2022-07-08 2022-07-08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2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79A (ko) * 1998-09-17 2000-04-15 손경식 중간 포장장치
KR101709342B1 (ko) * 2016-07-28 2017-02-22 조호근 봉재 포장장치
KR102050570B1 (ko) 2018-06-20 2020-01-08 유창수 달걀 포장용기 포장장치
KR20220060585A (ko)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에그텍 계란판 고속 반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79A (ko) * 1998-09-17 2000-04-15 손경식 중간 포장장치
KR101709342B1 (ko) * 2016-07-28 2017-02-22 조호근 봉재 포장장치
KR102050570B1 (ko) 2018-06-20 2020-01-08 유창수 달걀 포장용기 포장장치
KR20220060585A (ko)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에그텍 계란판 고속 반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8517B2 (ja) カートンをカートントラックに供給するためのカートン供給装置及び方法
US7549276B2 (en) Machine for packaging articles in boxes
US2934869A (en) Article detecting mechanism
US11124322B2 (en) Head for grasping and folding insert sheets, inserting device, filling station and method for grasping, folding and loading an insert sheet
KR101501768B1 (ko) 다수의 병 포장물을 일괄포장하는 랩 어라운드 포장기
ITBO20060859A1 (it) Macchina per il confezionamento di articoli in contenitori scatolari
JP2009255988A (ja) 箱詰め機
CN110217415B (zh) 用于物品的包装设备和用于包装物品的方法
CN114502471A (zh) 物品拾取和处理设备
KR102487283B1 (ko) 계란판 에어 튜브 백 포장장치
US3621765A (en) Device for inserting partitions into cartons
US11124327B2 (en) Transport section of a packaging line as well as method for modifying a packaging line provided for articles or article sets
CN211568416U (zh) 用于运送外包装件的运输区段
US11718428B2 (en) Methods and machine for packaging primary containers in secondary containers and a shipping tray
KR102179797B1 (ko) 박스 포장 장치
CN110155431B (zh) 用于以分隔元件配备外包装的包装设备及方法
KR101603419B1 (ko) 삼면포 포장식품 집적장치
JP2020531380A (ja) 下流の充填機に包装体スリーブを供給するために平らに折り畳まれて直立している包装体スリーブを一時的に格納するためのマガジン
ITUB20154269A1 (it) Spintore
CN214608450U (zh) 用于处理待包装的物品的装置
JP7266855B2 (ja) 箱詰め装置
JP5247602B2 (ja) 箱のパック詰め方法
JP6035568B2 (ja) 物品送給装置
JP3764548B2 (ja) 自動箱詰め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8177353A (ja) 梱包装置、梱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