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693B1 -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 - Google Patents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693B1
KR102486693B1 KR1020220097655A KR20220097655A KR102486693B1 KR 102486693 B1 KR102486693 B1 KR 102486693B1 KR 1020220097655 A KR1020220097655 A KR 1020220097655A KR 20220097655 A KR20220097655 A KR 20220097655A KR 102486693 B1 KR102486693 B1 KR 10248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garwood
parts
mixing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22009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향을 핀밀로 조분쇄한 후에, 조분쇄된 침향분말을 공기분급분쇄기 또는 제트밀을 이용하여 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로 미분쇄하는 원료분말화단계, 상기 원료분말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분말화된 원료에 한약재 혼합물를 혼합하는 한약재혼합단계, 상기 한약재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 당밀 및 유산균을 혼합하고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0 내지 120시간 동안 발효하는 유산균발효단계, 상기 유산균발효단계를 통해 제조된 발효물 100 중량부에 증점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성을 부여하는 증점제혼합단계 및 상기 증점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환의 형태로 성형하는 제환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침향환은 침향이 미분쇄될 뿐만 아니라, 유산균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며 우수한 외관품질과 기호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 {LACTOBACILLUS FERMENT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PRODUCTION SYSTEM TO IMPROVE THE ABSORPTION RATE OF BETA-SELINENE CONTAINED IN AGARWOOD}
본 발명은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향이 미분쇄될 뿐만 아니라, 유산균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며, 우수한 외관품질과 기호도를 나타내는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인 환경이 다변화되어 감에 따라 사람들은 더 많은 자극을 접하게 되고 이러한 자극을 수용하기 위한 신속한 두뇌활동이 요구된다. 특히, 경제성장과 더불어 산업화, 공업화에 따른 환경 파괴와 수질오염 및 인스턴트 식품의 범람으로 현대인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으며, 소득증대에 따른 육식 중심의 식생활에 의한 영양의 과잉섭취와 기계문명의 발달에 의한 운동량의 절대부족 등이 비만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비만으로 인해 동맥 경화, 고혈압, 관상심장질환,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등의 만성 퇴행성 성인병이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한약재 환은 한약재를 가루로만들어 주면(酒麵)으로 버무려, 오동나무 씨앗 크기의 환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동의보감에서는 '체질(體質)이 선천적으로 허약하더라도 이 약은 천원일기(天元一氣)를 굳혀서 수(水)를 오르게 하고 화를 내리게 하므로 백병(百病)이 생기지 않는다.' 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선천적으로 허약하여 질병에 자주 걸리는 환자의 질환에 대하여 예방치료의 의미를 크게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한약재 환은 노화를 방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경우, 수술이나 큰 병으로 원기가 쇠약해진 경우, 정신적 신체적 과로로 기력이 저하된 경우, 만성 피로가 심하여 휴식으로도 회복이 더딘 경우, 선천적으로 체질이 약한경우, 혈액순환 저하로 몸이 무겁고 저린 경우, 신경이 예민하여 어지럼증과 불면증이 있는 경우, 과다한 스트레스와 음주로 간 기능이 약화된 경우 등에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한약재의 성분 중 하나인 침향의 원료가 되는 침향나무는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방향성 수지질의 상록성 교목으로 곤봉형 또는 편형을 띠며 약재의 하나로 다른 이름은 침수향 또는 밀향이라고도 한다. 주산지는 인도, 말레이시아, 베트남, 중국남부 등지이다.
그러나, 종래에 침향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의 경우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β-Selinene)의 체내 흡수율이 낮았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개발자는 상기와 같은 효능을 나타내는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높은 침향환을 개발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특허등록 제10-1924903호(2018.11.28.) 한국특허등록 제10-2121153호(2020.06.03.)
본 발명의 목적은 침향이 미분쇄될 뿐만 아니라, 유산균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며, 우수한 외관품질과 기호도를 나타내는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타셀리넨 성분이 다량 함유된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녹용 농축액을 더 혼합되어 베타셀리넨 성분의 함량이 높아 체내 흡수율이 향상되는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침향을 핀밀로 조분쇄한 후에, 조분쇄된 침향분말을 공기분급분쇄기 또는 제트밀을 이용하여 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로 미분쇄하는 원료분말화단계, 상기 원료분말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분말화된 원료에 한약재 혼합물를 혼합하는 한약재혼합단계, 상기 한약재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 당밀 및 유산균을 혼합하고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0 내지 120시간 동안 발효하는 유산균발효단계, 상기 유산균발효단계를 통해 제조된 발효물 100 중량부에 증점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성을 부여하는 증점제혼합단계 및 상기 증점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환의 형태로 성형하는 제환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혼합단계는 상기 원료분말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분말화된 원료 100 중량부에 한약재 혼합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 혼합물은 홍삼, 진피, 작약 뿌리, 감초, 천궁, 복령, 삽주, 황기, 계피, 오미자, 참당귀, 녹용, 산수유, 숙지황, 백복령, 백하수오, 천문동, 두충, 산약, 우슬, 가시오가피 및 지골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원료분말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분말화된 원료 100 중량부 대비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녹용 농축액 20 내지 50 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황칠나무 잎 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5℃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발효단계는 상기 한약재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프락토 올리고당 50 내지 100 중량부, 당밀 80 내지 120 중량부 및 유산균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증점제는 당밀과 프락토올리고당이 1:0.5 내지 1의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은 침향이 미분쇄될 뿐만 아니라, 유산균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며, 우수한 외관품질과 기호도를 나타내는 침향환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베타셀리넨 성분이 다량 함유된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녹용 농축액을 더 혼합하여 베타셀리넨 성분의 함량이 높아 체내 흡수율이 향상되는 침향환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침향환과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침향환이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침향환과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침향환에 함유된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은 침향을 핀밀로 조분쇄한 후에, 조분쇄된 침향분말을 공기분급분쇄기 또는 제트밀을 이용하여 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로 미분쇄하는 원료분말화단계(S101), 상기 원료분말화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분말화된 원료에 한약재 혼합물를 혼합하는 한약재혼합단계(S103), 상기 한약재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 당밀 및 유산균을 혼합하고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0 내지 120시간 동안 발효하는 유산균발효단계(S105), 상기 유산균발효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발효물 100 중량부에 증점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성을 부여하는 증점제혼합단계(S107) 및 상기 증점제혼합단계(S107)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환의 형태로 성형하는 제환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분말화단계(S101)는 침향을 핀밀로 조분쇄한 후에, 조분쇄된 침향분말을 공기분급분쇄기 또는 제트밀을 이용하여 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로 미분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미분쇄의 과정은 침향을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초미세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초미세 분쇄기는 공기분급분쇄기(ACM, air classifying mill) 또는 제트밀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공기분급분쇄기는 화학물질, 음식물, 광물, 화장품, 분체도료, 플라스틱 등과 같은 대부분의 재료를 적절하게 미분쇄할 수 있으며, 분쇄 시 공기분급작용을 이용하여 분쇄 입도를 조정하여 운전할 수 있다.
이때, 분쇄는 분쇄실 내부의 pin과 liner에 의해 이루어지고, 분급은 분쇄실에 있는 air classify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과정을 통해 미분쇄된 침향은 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를 나타내게 되는데, 상기의 입자크기로 미분쇄된 침향은 영양과 맛 그리고 향을 살리면서도 비표면적의 증가로 인해 발효과정 등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베타셀리넨과 같은 유효성분의 용출량을 향상시키며 체내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침향은 아열대 기후의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자라는 팥꽃나무과 (Thymeleaceae)에 속하는 아퀼라리아(Aquilaria)속(屬)의 상록교목인 침향나무가 외부 자극으로 인해 목질부에 상처가 났을 때 방어작용으로 생성하여 채워진 수지(樹脂, resin)부분으로, 상기 침향은 막힌 것을 뚫어서 기를 통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으며, 아플로탁센, 코스텐, 코스투스랙톤, 코스투스산, 코스톨, 카펜, 페란드렌, 이눌린 등을 함유하고 있어 심장의 기능을 개선하고, 약효를 말초까지 전달하여 약효를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침향에는 베타셀리넨이 함유되어 있는데, 베타셀리넨은 신장기능 강화, 항산화, 항염증,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진통효과 등을 나타내며, 부패방지 효과로 인해 침향환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침향에는 아가로스피롤(Agarospirol)이 함유되어 있는데, 아가로스피롤은 신경을 이완하고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천연 신경안정제의 역할을 하는데, 『본초강목』에 “정신을 맑게 하고 심신을 안정시켜 준다”고 언급된 것이 바로 아가로스피롤로 인한 효과이며,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시켜 주기 때문에 불면증 극복에도 도움을 준다는 보고가 있다.
상기 원료분말화단계(S101)를 통해 미분쇄된 침향의 입자크기가 5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입자간의 뭉침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분쇄공정이 복잡해지고, 상기 미분쇄된 침향이 입자크기가 2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베타셀리넨이나 아가로스피롤의 추출효율성이 저하된다.
상기 한약재혼합단계(S103)는 상기 원료분말화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분말화된 원료에 한약재 혼합물를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원료분말화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분말화된 침향으로 이루어진 원료 100 중량부에 한약재 혼합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침향 성분 외에도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을 나타내는 한약재 성분을 혼합하여 취식자의 건강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침향환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다.
이때, 상기 한약재 혼합물은 홍삼, 진피, 작약 뿌리, 감초, 천궁, 복령, 숙지황, 삽주, 황기, 계피, 오미자, 참당귀, 녹용, 산수유, 백복령, 백하수오, 천문동, 두충, 산약, 우슬, 가시오가피 및 지골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홍삼은 6년근 홍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포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취식자의 면역력을 개선하며, 상기 진피는 열을 내리고 습을 말리는 효능이 있어 이질(痢疾), 대하(帶下), 다래끼, 안구충혈, 동통(疼痛), 해수천식(咳嗽喘息)에 쓰이며 진해거담(鎭咳祛痰) 작용을 한다. 약리작용은 소염, 진통, 요산배설, 진해거담, 억균 작용이 보고된다.
또한, 상기 진피는 열을 내리고 습을 말리는 효능이 있어 이질(痢疾), 대하(帶下), 다래끼, 안구충혈, 동통(疼痛), 해수천식(咳嗽喘息)에 쓰이며 진해거담(鎭咳祛痰) 작용을 한다. 약리작용은 소염, 진통, 요산배설, 진해거담, 억균 작용이 보고된다.
또한, 상기 복령은 베타-파치만(β-pachyman)을 포함하고, 다수의 단백질, 포도당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소변을 잘 못보고 배와 전신이 붓는 증상에 효력을 나타내고 해수, 구토, 설사, 건망증, 유정의 치료에 유효하다. 또한, 신장 부종에도 현저한 반응을 나타내고, 궤양형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혈당강화 및 접촉성 피부염 억제 작용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은 현삼과에 딸린 약용식물의 뿌리를 쪄서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 하며, 숙지황 중 특히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 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 숙지황은 사물탕(四物湯)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내열(內熱), 인후건조(咽喉乾燥), 갈증 등의 증상에 쓰인다. 민간요법에서는 돼지고기를 삶은 국물과 함께 복용하면 습관성 변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삽주는 위장 소화를 돕고, 면역력 개선 및 향상에 도움을 주며,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천식 등과 같은 기관지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녹용은 골수 내의 조혈기능으로 빈혈치료제로 쓰이며, 성호르몬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발기불능, 조루증과 양기부족에 쓰인다. 또한, 소아에게는 발육과 성장력을 촉진하므로 소아의 성장발육이 지연되거나 골 성장이 늦은 경우에 골수를 보강하고 단기간에 왕성한 성장을 하는 녹용의 특성상 골다공증이나 퇴행성 관절 및 척추질환 등에 쓰인다.
또한, 상기 산수유는 층층나무과(corn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다뇨증, 요통, 이명, 폐결핵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과실은 자양, 강장, 음위, 이뇨에 약효가 있고 간경화,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항암 및 항균작용이 있다고 기록된다.
또한, 상기 참당귀는 혈액을 보충시켜주는 보혈효과가 있어 빈혈이나 부인병 등에서 보혈제로 처방되며, 주성분으로는 쿠머린(coumarin) 유도체인 데커신(decursin)이라는 물질이며, 이외에 데커시놀(decursinol), 움벨리페론( umbelliferone), 베타 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coumarin 유도체는 출혈을 막는 지혈시에 사용한 항응고제로 급성심근경색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참당귀의 주성분인 decursin은 항암활성을 나타내고 항종양에도 효과가 있으며, 참당귀의 분획물은 인간의 면역세포인 B 세포와 T 세포, 자연 살해세포(NK세포)의 생육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상기 숙지황은 약리적으로 혈당을 내리고, 순환기 계통에 작용하여 강심 및 이뇨 작용을 보이며, 간기능 보호작용, 항균작용이 있어, 당뇨병, 토혈, 코피, 자궁출혈, 생리불순, 변비 등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봉령은 빛깔이 흰, 담지균류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이고, 땀을 적당히 조절해 주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며 담즘, 설사 등을 다스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복령은 베타-파치만(β-pachyman)을 포함하고, 다수의 단백질, 포도당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소변을 잘 못보고 배와 전신이 붓는 증상에 효력을 나타내고 해수, 구토, 설사, 건망증, 유정의 치료에 유효하다. 또한, 신장 부종에도 현저한 반응을 나타내고, 궤양형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혈당강화 및 접촉성 피부염 억제 작용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백하수오는 인삼, 구기자와 더불어 3대 명약으로 불리우며, 레시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새치의 원인인 맬라닌 세포의 생성과 재생에 효과가 있어 탈모예방, 두피, 모발, 갱년기 증상을 완하시키고, 흰머리를 검게하고 모발을 굵고 윤기있게 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항산화, 항노화 성분이 풍부하고, 현대인의 잘못된 식습관이나 오염된 환경, 과로, 스트레스, 갱년기 장애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또한, 상기 천문동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많은 방추형의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는데, 이러한 뿌리는 약재로 이용되고, 노인의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문동의 유효성분으로는 아스파라진(asparagine),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고, 이뇨, 강장 효과가 있으며,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디프테리아균 등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두충은 간장과 신장을 보호하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며 근력을 강화시켜 골다공증과 관절염에 좋은 효능이 있으며,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고혈압에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산약은 마의 한방 약명으로서, 비위를 보하는 보비위(補脾胃)작용과 폐장과 신장을 이롭게 하는 익폐신(益肺腎)작용으로 비장과 폐를 튼튼하게 하며 신을 보익하는 약재인데, 점액질, 사포닌, 전분, 비타민C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소화계통에 작용하여 장관의 조율성 활동에 현저한 작용을 나타내고 혈당을 하강시키며 항노화작용이 있다.
또한, 상기 우슬은 간과 신장에 효능이 있는 약재로서, 생것을 쓰면 어혈과 종기를 없애고, 찌면 간과 신을 보해 근육 및 골격을 튼튼하게 한다. 또한, 어혈을 제거해줌으로써 생리불순, 산후복통에 쓰고, 골수를 보충하고 음기를 잘통하게 하여 관절염에 쓰며,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인한 입안과 혀의 발진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으로 자궁흥분작용과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이뇨작용, 혈당 강하작용, 간기능 개선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시오가피는 약효가 우수한 약용식물로 양위, 관절류머티즘, 요통 등에 처방하였다. 최근에는 국내에서 여러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스트레스 위궤양 치료, 혈관이완 효과, 고지혈증 치료, 지질과 산화억제, 지구력증진, 항알러지 활성 등에도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연골세포 활력을 증대시켜 성장촉진 및 골강화에 응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상기 지골피는 구기자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몸이 허약하여 생기는 식은땀, 해수, 천식, 토혈, 코피, 소변출혈, 고혈당, 고혈에 좋으며 신경통, 두통, 어깨통증, 근육통, 요통, 허리와 무릎의 무력감이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상기 지골피는 심혈관계통의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이 있다.
상기 한약재 혼합물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한약재 혼합물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침향 분말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한약재혼합단계(S103)에서는 상기 원료분말화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분말화된 원료 100 중량부 대비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녹용 농축액 20 내지 50 중량부가 더 혼합될 수 있는데,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녹용 농축액에는 베타셀리넨이 다량 함유되어 베타셀리넨의 함량이 높은 침향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다년생 상록활엽교목으로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으며 겨울에 온화한 완도, 해남, 거제도, 남해, 제주도 등 남부 해안지역에서 자생한다.
황칠나무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인 안식향은 아로마의 기능을 가지며, 열을 내리고, 독성을 제거하며 중풍, 열사병 등에 효과가 있다. 여기에는 세스퀴터펜(sesquiterpene)에 속하는 베타셀리넨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황칠나무 잎 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5℃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가열온도가 80℃ 미만이거나 가열시간이 5시간 미만이면 황칠나무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추출효율성이 저하되며, 상기 가열온도가 95℃를 초과하거나 추출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베타셀리넨의 추출효율성은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황칠나무 잎에 함유된 다양한 약리학적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발효녹용 농축액은 녹용 추출물을 발효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녹용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통상적인 온도, 압력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녹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매로 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매를 혼합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일 수 있다.
이때, 용매의 사용량은 녹용 대비 1 내지 60배, 10 내지 50배, 20 내지 [0016] 40배, 또는 30배일 수 있다.
상기 녹용 추출물의 추출은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조건은 추출 방법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온도는 60 내지 120℃, 70 내지 110℃, 80 내지 100℃, 또는 90℃일 수 있고, 시간은 1 내지 5시간, 2 내지 4시간, 또는 3시간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추출된 녹용 추출물은 여과, 농축, 및 건조 과정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추출물 내 함유된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여과, 농축, 및 건조 과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과는 여과지에 의한 여과, 감압 여과기를 이용한 감압 여과를 수행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법을 수행할 수 있고, 건조는 동결 건조법을 수행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효는 미생물 및 이들의 효소로 유기물을 분해하여 유용한 물질을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발효를 위해 균주를 접종하거나, 또는 균주 배양액을 첨가하고 배양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및 엔테로코커스 파시움(Enterococcus faeci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HY7602 또는 엔테로코커스 파시움 HY5004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2종의 균주를 사용할 경우, 균주의 혼합 비율은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HY7602 : 엔테로코커스 파시움 HY5004 = 1 : 01 ~ 2의 중량비, 1 : 05 ~ 15의 중량비, 또는 1 : 1의 중량비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의 사용량은 106 내지 1012 CFU/mL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의 사용량은 녹용 추출물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0.01 내지 10%(v/v)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녹욕 추출물의 발효온도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발효녹용 농축액은 녹용 추출물 대비 시알산, s-GAG 및 우론산의 함량이 증진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 발효물의 시알산 함량 증가율은 녹용 추출물 대비 5%, 10%, 15%, 20%, 25%, 30%, 35%, 40%, 45%, 또는 5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 발효물의 시알산 함량은 20 ㎍/mL, 30 ㎍/mL, 40 ㎍/mL, 50 ㎍/mL, 60 ㎍/mL, 70 ㎍/mL, 80 ㎍/mL, 또는 90 ㎍/mL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 발효물의 우론산 함량 증가율은 녹용 추출물 대비 10%, 20%, 30%, 40%, 50%, 60%, 70%, 80%, 90%, 또는 10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 발효물의 우론산 함량은 20 ㎍/mL, 30 ㎍/mL, 40 ㎍/mL, 50 ㎍/mL, 60 ㎍/mL, 70 ㎍/mL, 80 ㎍/mL, 또는 90 ㎍/mL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녹용 농축액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녹용 농축액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침향환의 기호도가 지나치게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유산균발효단계(S105)는 상기 한약재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 당밀 및 유산균을 혼합하고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0 내지 120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로, 상기 한약재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프락토올리고당 50 내지 100 중량부, 당밀 80 내지 120 중량부 및 유산균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조건으로 발효된 혼합물은 발효의 과정을 통해 침향과 한약재 성분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용출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용출된 유효성분이 저분자 구조를 나타내게 되어 체내 흡수율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침향에서 추출된 베타셀리넨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침향과 한약재 혼합물에 혼합된 유효성분의 용출과 발효효과가 우수한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가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산균을 사용하게 되면 발효 메카니즘이 상이하여 상호 보완을 통해 발효취를 없애고 풍부한 발효산물을 만들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같은 부류의 유산균이라 하더라도 포도당을 이용하여 생육할 때에 젖산(Lactic acid)을 주로 생성하는 스트렙토코커스와 같은 유산균이 있는가 하면 젖산과 더불어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류코노스톡과 같은 유산균이 있고 젖산과 초산을 생성하는 비피도박테리움과 같은 유산균이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발효단계(S105)에서 발효온도가 25℃ 미만이거나 발효기간이 20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물의 발효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며, 발효온도가 35℃를 초과하거나 발효기간이 120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혐기성 발효나 부패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혼합단계(S107)는 상기 유산균발효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발효물에 증점제를 혼합하여 점성을 부여하는 단계로, 상기 유산균발효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발효물 100 중량부에 점성을 부여하는 증점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증점제는 당밀과 프락토올리고당이 1:0.5 내지 1의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밀과 프락토올리고당이 1:0.7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증점제혼합단계(S107)에서 증점제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제환단계에서 침향환의 형태로 성형되지 못하거나 침향환 표면에 매끄럽게 성형되지 못하며,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발효물 대비 증점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발효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침향환의 효능이 저하되며, 상기 제환단계(S109)에서 제환기에 투입되는 혼합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제환기의 표면에 혼합물이 달라붙어 침향환을 환의 형태로 성형하지 못해 불량한 외관품질을 갖게 된다.
상기 제환단계(S109)는 상기 증점제혼합단계(S107)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환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증점제혼합단계(S107)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제환기에 투입하고 환의 형태로 제조한 후에, 50 내지 65℃의 온도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으로 제조된 침향환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유산균의 제조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가 1:1:1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유산균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증점제의 제조
당밀과 프락토올리고당을 1:0.7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증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황칠나무 추출물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에 황칠나무 잎 12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의 온도로 8시간 동안 가열하여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침향을 핀밀로 조분쇄한 후에, 조분쇄된 침향분말을 공기분급분쇄기로 미분쇄하여 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침향 100 중량부에 한약재(홍삼 3 중량부, 진피 3 중량부, 삽주 3 중량부, 가시오가피 3 중량부 및 지골피 3 중량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프락토올리고당 80 중량부, 당밀 100 중량부 및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유산균 8 중량부를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60시간 동안 발효하여 제조된 발효물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증점제 40 중량부를 혼합하고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의 형태로 성형한 후에 55℃의 온도에서 35분 동안 건조하여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증점제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증점제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분쇄된 침향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35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증점제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증점제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분쇄된 침향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침향을 핀밀로 조분쇄한 후에, 조분쇄된 침향분말을 공기분급분쇄기로 미분쇄하여 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침향 100 중량부에 한약재(홍삼 3 중량부, 진피 3 중량부, 삽주 3 중량부, 가시오가피 3 중량부 및 지골피 3 중량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증점제 40 중량부를 혼합하고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의 형태로 성형한 후에 5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침향환의 외관품질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침향환의 외관품질은 표면이 매끄러운 환의 형성로 성형된 경우 우수, 표면이 거친 환의 형태로 성형된 경우 보통 및 환의 형태로 성형되지 못하는 경우 불량으로 표기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1>
Figure 112022081943104-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침향환은 우수한 외관품질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침향환은 표면이 거칠고, 비교예 2를 통해 제조된 침향환은 환의 형태를 나타내지 못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침향환의 맛, 향,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침향황의 맛, 향,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피시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후에 평균값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5점:매우 우수, 4점:우수,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
<표 2>
Figure 112022081943104-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침향환은 맛, 향,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하였으나,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침향환은 식감이 낮았으며, 비교예 2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침향환은 맛, 향,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모두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4를 통해 제조된 침향환의 체내 흡수율 및 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아래 도 2 내지 3에 나타내었다.
{단, 침향환의 체내 흡수율은 동물실험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실험동물은 21 ~ 22g 정도의 C57BL/6 수컷(두열바이오텍,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천로 17길 14, 두열빌딩) 6주령을 사용하였다. 동물 입고 시 1일 동안 검역을 실시하고, 외관을 육안으로 검사한 후, 3일 간 순화과정을 거쳐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은 강원대학교 동물윤리심의위원회(승인번호: KW-220218-1)의 승인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순화 및 실험기간 동안의 사육환경은 온도 23±3℃, 상대습도 50±10%, 조명은 12시간 명암주기로 일정한 사육 환경 조건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전 실험기간 동안 물과 사료를 충분히 공급하여 실험동물이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시료의 투여는 총 9마리의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시험군의 투여 경로는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경구 투여법을 사용하였으며, 경구투여용 금속제 존데와 1mL 주사기를 이용하여 2일에 한번씩 투여하였다.
또한, 시험군은 아래와 같이 선정하였다.
1). 대조군 3마리
- 물과 사료를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2). 미발효 침향환 처치군 3마리
- 미발효 침향환 시료 용액을 마우스 1마리 당 200μL씩 경구투여 하였다.
3). 유산균 발효 침향환 처치군 3마리
- 유산균 발효 침향환 시료 용액을 마우스 1마리 당 200μL씩 경구투여 하였다.
3. 동물 관찰 및 부검
동물 관찰은 침향환 투여 직후부터 24시간 간격으로 관찰하였으며, 모든 동물들에 대하여 투여 전 체중, 섭취량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투여 후 1, 3, 7, 10, 14일 차가 되는 날에 부검을 수행하였다. 마취는 Avertin (2,2,2-Tribromoethanol, MW: 282.76, Sigma-Aldrich)으로 진행하였고, 대정맥, 심장을 통해 혈액을 채취하고, 간 조직을 적출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3,000 rpm, 10 min ,4℃ 조건 하에서 Centrifugation 후 Serum을 분리하여 효소발효 체내 흡수율 및 대사염증 마커를 확인하였고, 적출한 간 조직은 10% 포르말린에 보관하여 H&E 염색을 수행하였다.}
아래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발효침향환과, 비교예 4를 통해 제조된 미발효 침향환의 섭취가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마우스의 체충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일반 침향환 그룹은 유산균 발효 침향환 처리군에 비해 체중이 약 3g가량 감소하였고, 유산균 발효 침향환 처리군 또한 체중이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체중 감소가 보였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아 침향환의 섭취가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유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래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발효침향환과, 비교예 4를 통해 제조된 미발효 침향환을 증류수에 녹인 시료 용액을 마우스에 먹인 후 3일 차의 혈액을 수집하여 Serum을 분리하고 침향환의 성분들 중 β-Selinene의 체내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미발효 침향환 보다 유산균 발효 침향환이 체내 흡수율이 2.5배 이상 높게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유산균 발효가 β-Selinene의 농도 및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은 침향이 미분쇄될 뿐만 아니라, 유산균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며, 우수한 외관품질과 기호도를 나타내는 침향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베타셀리넨 성분이 다량 함유된 황칠나무 추출물을 더 혼합되어 베타셀리넨 성분의 함량이 높아 체내 흡수율이 향상되는 침향환을 제공할 수 있다.
S101 ; 원료분말화단계
S103 ; 한약재혼합단계
S105 ; 유산균발효단계
S107 ; 증점제혼합단계
S109 ; 제환단계

Claims (8)

  1. 침향을 핀밀로 조분쇄한 후에, 조분쇄된 침향분말을 공기분급분쇄기(ACM, air classifying mill) 또는 제트밀을 이용하여 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로 미분쇄하는 원료분말화단계;
    상기 원료분말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분말화된 원료 100 중량부에 한약재 혼합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한약재혼합단계;
    상기 한약재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 당밀 및 유산균을 혼합하고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0 내지 120시간 동안 발효하는 유산균발효단계;
    상기 유산균발효단계를 통해 제조된 발효물 100 중량부에 증점제 3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성을 부여하는 증점제혼합단계; 및
    상기 증점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환의 형태로 성형하는 제환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약재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원료분말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분말화된 원료 100 중량부 대비 황칠나무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부가 더 혼합되고,
    상기 증점제는 당밀과 프락토올리고당이 1:0.5 내지 1의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혼합물은 홍삼, 진피, 작약 뿌리, 감초, 천궁, 복령, 삽주, 황기, 계피, 오미자, 참당귀, 녹용, 산수유, 숙지황, 백복령, 백하수오, 천문동, 두충, 산약, 우슬, 가시오가피 및 지골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의 제조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황칠나무 잎 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5℃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발효단계는 상기 한약재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프락토올리고당 50 내지 100 중량부, 당밀 80 내지 120 중량부 및 유산균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셀리넨 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 침향환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220097655A 2022-08-05 2022-08-05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 KR102486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655A KR102486693B1 (ko) 2022-08-05 2022-08-05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655A KR102486693B1 (ko) 2022-08-05 2022-08-05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693B1 true KR102486693B1 (ko) 2023-01-11

Family

ID=8489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655A KR102486693B1 (ko) 2022-08-05 2022-08-05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6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930A (ko) * 2017-07-24 2018-06-11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남성 갱년기로 인한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를 개선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924903B1 (ko) 2018-09-04 2018-12-04 김민애 여성 질내 면역력을 증진하고 만성 질염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한방 환약 제조 방법
KR102121153B1 (ko) 2019-11-07 2020-06-09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2753B1 (ko) * 2020-10-30 2021-03-04 김성태 체내 흡수율이 우수한 침향 공진단의 제조방법
KR102243873B1 (ko) * 2020-09-03 2021-04-23 김일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930A (ko) * 2017-07-24 2018-06-11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남성 갱년기로 인한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를 개선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924903B1 (ko) 2018-09-04 2018-12-04 김민애 여성 질내 면역력을 증진하고 만성 질염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한방 환약 제조 방법
KR102121153B1 (ko) 2019-11-07 2020-06-09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3873B1 (ko) * 2020-09-03 2021-04-23 김일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222753B1 (ko) * 2020-10-30 2021-03-04 김성태 체내 흡수율이 우수한 침향 공진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639B1 (ko) 쌍화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8594B1 (ko)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87940A (zh) 一种解酒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37693A (ko) 폐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CN104522815A (zh) 一种益生菌发酵玛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73252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9480281A (zh) 一种有机黑果枸杞酵素及其制备方法
KR20140120285A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및 이의 추출물
CN104906361A (zh) 一种降血脂黄酒及其制作方法
CN101861988B (zh) 果味甜茶黄酮含片的制备方法
KR102243873B1 (ko)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53658B1 (ko) 팽화 발효 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199961B1 (ko) 방풍통성산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00359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KR102486693B1 (ko) 침향에 함유된 베타셀리넨의 체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발효 제조공법 및 생산시스템
KR102380558B1 (ko) 외관품질과 보존성이 향상된 침향환의 배합 및 제조방법
CN101138399A (zh) 五味子、蜂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126160B (zh) 中药组合物与中药养生茶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05901638A (zh) 一种含有茶多酚的植物盐及其制备方法
CN105943619A (zh) 全麻素在制备防治老年痴呆症药物中的应用
CN111150777A (zh) 具有治疗糖尿病功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14712429A (zh) 一种促排的复配功能性陈皮及其制备方法
KR101375347B1 (ko)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