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335B1 -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335B1
KR102485335B1 KR1020170132161A KR20170132161A KR102485335B1 KR 102485335 B1 KR102485335 B1 KR 102485335B1 KR 1020170132161 A KR1020170132161 A KR 1020170132161A KR 20170132161 A KR20170132161 A KR 20170132161A KR 102485335 B1 KR102485335 B1 KR 10248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ember
ecu
rod
lin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112A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3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는,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에서 후퇴위치 및 전개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핸들멤버; 상기 핸들멤버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하우징;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로드를 가진 엑츄에이터와, 상기 로드의 전후진에 의해 피벗하는 링크를 가진 구동유닛; 상기 로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엑츄에이터 및 상기 검출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로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엑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ECU;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트렉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멤버가 후퇴위치(retracted position) 및 전개위치(deployed postion) 사이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이드 도어, 백도어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 도어를 가지고, 각 차량 도어는 도어를 개폐하는 외측 핸들조립체(exterior handle assembly)을 가진다.
최근에는 외관미(aesthetics), 공력특성(aerodynamics) 및 윈드노이즈 컨트롤(wind noise control)의 요구를 만족을 하기 위하여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가 외측 핸들조립체에 적용되고 있다.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는, 도어패널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후퇴위치(retracted position) 및 차량 도어패널의 외측으로 전개되는 전개위치(deployed position) 사이로 이동하는 핸들멤버와, 핸들멤버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등을 포함한다.
핸들멤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핸들멤버가 후퇴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핸들멤버의 외면이 도어 패널의 외표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핸들멤버를 사용할 경우에는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핸들멤버의 외면이 도어 패널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핸들멤버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는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포브 키(key fob)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차량의 조명이 자동으로 점등하는 웰컴라이트(welcome light) 기능이 실행되고, 웰컴라이트 기능이 실행되면 리트랙터블 핸드조립체의 구동유닛이 핸들멤버를 전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핸들멤버를 파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는 핸들멤버를 전개위치로 이동시키는 전개조건에서 주변 노이즈로 인해 웰컴라이트 기능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못하거나 이물질의 끼임(jamming of foreign object), 결빙 등과 같은 물질적 원인으로 인해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핸들멤버를 파지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로 진입하지 못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핸들멤버가 도어패널의 외측으로 전개되는 전개조건에서 노이즈, 물리적인 원인 등으로 인해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는 것을 해소함으로써 핸들멤버를 후퇴위치(retracted position)로부터 전개위치(deployed postion)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는,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에서 후퇴위치 및 전개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핸들멤버;
상기 핸들멤버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하우징;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로드를 가진 엑츄에이터와, 상기 로드의 전후진에 의해 피벗하는 링크를 가진 구동유닛;
상기 로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엑츄에이터 및 상기 검출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로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엑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EC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CU는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로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핸들멤버가 후퇴위치에서 전개위치로 정상적으로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핸들멤버를 후퇴위치으로 복원하는 복원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링크의 타단이 상기 핸들멤버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가 제1방향으로 피벗함에 따라 상기 핸들멤버가 후퇴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링크가 제2방향으로 피벗함에 따라 상기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일단에는 캡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캡부재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캡부재와 접촉가능한 가이드면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캡부재의 경사면에 부합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복원기구는 상기 로드가 후진함에 따라 상기 캡부재가 상기 링크의 가이드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핸들멤버를 후퇴위치로 후퇴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원기구는,
상기 핸들멤버의 이동에 따라 피벗가능한 복원링크;
상기 복원링크에 연결되는 회전체; 및
상기 복원링크 및 상기 회전체에 대해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제1회전방향 및 제2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회전방향은 상기 핸들멤버가 후퇴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2회전방향은 상기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복원링크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원링크의 타단은 상기 핸들멤버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 및 상기 복원링크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단턱을 가지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회전체에 제1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단턱 및 상기 복원링크의 돌출부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장착된 토글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멤버가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멤버와 상기 토글스위치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토글스위치는 상기 ECU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ECU는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은 상기 ECU와 통신하는 스마트 ECU(smart ECU) 및 상기 스마트 ECU와 통신하는 포브키(key fob)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ECU 및 상기 포브키는 LF 신호 및 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기는 상기 로드에 인접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홀센서(hall sensor) 및 상기 로드에 마련된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에서 후퇴위치 및 전개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핸들멤버와, 상기 핸들멤버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하우징과, 전후진가능한 로드를 가진 엑츄에이터 및 상기 로드의 전후진에 의해 피벗하는 링크를 가진 구동유닛과, 상기 로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로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엑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ECU와, 상기 ECU와 통신하는 스마트 ECU 및 상기 스마트 ECU와 통신하는 포브키를 가진 스마트키 시스템을 포함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제어방법으로,
포브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스마트 ECU는 스마트 ECU가 포브키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ECU가 상기 포브키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 ECU의 신호가 상기 ECU에 전송되며,
상기 ECU가 상기 핸들멤버의 전개 신호를 상기 엑츄에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핸들멤버를 전개시키고,
상기 ECU는 상기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하지 않으면 상기 ECU는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핸들멤버의 후퇴 및 전개를 설정된 횟수로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ECU가 상기 포브키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포브키는 상기 스마트 ECU에 RF 신호를 1회 이상으로 재송신할 수 있다.
상기 포브키는 상기 스마트 ECU로 재송신하는 RF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멤버가 설정된 작동시간 동안 전개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작동시간의 설정된 측정시점에 검출기에 의해 로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로드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ECU는 상기 로드의 전진을 중지한 후에 상기 로드의 후진 및 전진을 일정 횟수로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멤버가 후퇴위치(retracted position) 및 전개위치(deployed postion) 사이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멤버가 도어패널의 외측으로 전개되는 전개조건에서 노이즈, 물리적인 원인 등으로 인해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는 것을 해소함으로써 핸들멤버를 후퇴위치(retracted position)로부터 전개위치(deployed postion)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핸들멤버가 후퇴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핸들멤버가 전개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재송되는 RF 신호의 세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10)는,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5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핸들멤버(11)와, 핸들멤버(11)를 지지하는 하우징(13)과, 핸들멤버(11)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15)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멤버(11)는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51)에 후퇴위치(31, retracted position) 및 전개위치(32, deployed position)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후퇴위치(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멤버(11)가 도어패널(51)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위치이고, 이에 핸들멤버(11)의 외면(11a)이 도어패널(51)의 외면(51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함(lies substantially flush with)으로써 사용자가 핸들멤버(11)를 사용하지 못한다.
전개위치(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멤버(11)가 도어패널(51)의 외측으로 전개되는 위치이고, 이에 핸들멤버(11)의 외면(11a)이 도어패널(51)의 외측으로 돌출함으로써 사용자가 핸들멤버(11)를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13)은 핸들멤버(11)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3a)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3)은 도어패널(5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13)은 도어패널(5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하우징(13)은 도어패널(51)의 내측에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유닛(15)은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로드(17)를 가진 엑츄에이터(16)와, 로드(17)의 전후진에 의해 피벗하는 링크(18)와, 핸들멤버(11)를 후퇴위치(31)으로 복원하는 복원기구(19)를 포함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16)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일 수 있고, 엑츄에이터(16)는 하우징(1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드(17)는 엑츄에이터(16)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전진 내지 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17)가 전진함에 따라 로드(17)의 일단이 링크(18)의 일측을 밀어낼 수 있고, 로드(17)가 후진함에 따라 로드(17)의 일단이 링크(18)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로드(17)의 일단에는 캡부재(21)가 마련될 수 있고, 캡부재(21)는 경사면(21a)을 가질 수 있다.
링크(18)의 일단(18a)은 하우징(13)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18)의 타단(18b)은 핸들멤버(11)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링크(18)는 제1방향(P1) 및 제2방향(P2)으로 피벗할 수 있다. 링크(18)가 제1방향(P1)을 따라 피벗함에 따라 핸들멤버(11)가 후퇴위치(31)로 이동할 수 있고, 링크(18)가 제2방향(P2)을 따라 피벗함에 따라 핸들멤버(11)가 전개위치(32)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18)는 로드(17)의 캡부재(21)와 접촉가능한 가이드면(22)을 가질 수 있고, 가이드면(22)은 캡부재(21)의 경사면(21a)에 부합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원기구(19)는 엑츄에이터(16)의 로드(17)가 후진함에 따라 로드(17)의 캡부재(21)가 링크(18)의 가이드면(22)으로부터 이격되면 핸들멤버(11)를 후퇴위치(31)로 후퇴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원기구(19)는 핸들멤버(11)의 이동에 따라 피벗가능한 복원링크(23)와, 복원링크(23)에 연결되는 회전체(24)와, 복원링크(23) 및 회전체(24)에 대해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원링크(23)의 일단(23b)은 하우징(13)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원링크(23)의 타단(23c)은 핸들멤버(11)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핸들멤버(11)가 후퇴위치(31) 및 전개위치(32) 사이로 이동함에 따라 복원링크(23)는 제3방향(P3) 및 제4방향(P4)으로 피벗할 수 있다. 제3방향(P3)은 핸들멤버(11)가 후퇴위치(31)로 이동할 때 복원링크(23)가 피벗하는 방향이고, 제4방향(P4)은 핸들멤버(12)가 전개위치(32)로 이동할 때 복원링크(23)가 피벗하는 방향이다. 복원링크(23)는 회전체(24)와 접촉하는 돌출부(23a)를 가질 수 있다.
회전체(24)는 원 형상일 수 있고, 회전체(24)의 중심부에는 샤프트(24a)가 형성되며, 샤프트(24a)는 하우징(1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체(24)는 제1회전방향(R1) 및 제2회전방향(R2)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1회전방향(R1)은 핸들멤버(11)가 후퇴위치(31)로 이동할 때 회전체(24)가 회전하는 방향이고, 제2회전방향(R2)은 핸들멤버(12)가 전개위치(32)로 이동할 때 회전체(24)가 회전하는 방향이다.
회전체(24)는 원호 형상의 섹터부(24b) 및 섹터부(24b)의 일단에 형성된 단턱(24c)을 가질 수 있다. 회전체(24)의 단턱(24c)은 복원링크(23)의 돌출부(23a)와 접촉하고, 토션스프링(25)이 회전체(24)에 제1회전방향(R1)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회전체(24)의 단턱(24c)과 복원링크(23)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25)은 회전체(24)의 샤프트(24a)의 둘레에 배치된 코일부(25a)와, 코일부(25a)의 일단에 형성된 제1레그(25b)와, 코일부(25a)의 타단에 형성된 제2레그(25c)를 가질 수 있다.
제1레그(25b)는 하우징(13)의 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고, 회전체(24)의 단턱(24c)에 인접한 부분에 돌기(24d)가 형성될 수 있고, 제2레그(25c)가 회전체(24)의 돌기(24d)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코일부(25a)가 탄성력을 제1회전방향(R1)을 따라 제2레그(25c)에 인가함으로써 토션스프링(25)은 회전체(24) 및 복원링크(23)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토션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체(24)는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 복원링크(23)는 제3방향(P3)으로 피벗할 수 있다.
로드(17)가 후진(retracts)함에 따라 로드(17)의 캡부재(21)가 링크(18)의 가이드면(22)으로부터 이격되면, 토션스프링(25)은 회전체(24) 및 복원링크(23)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회전체(24)가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 복원링크(23)가 제3방향(P3)으로 피벗함으로써 링크(18)는 제1방향(P1)으로 피벗할 수 있다. 링크(18)가 제1방향(P1)으로 피벗함에 따라 핸들멤버(11)는 후퇴위치(31)로 후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멤버(11)는 하우징(13)의 수납공간(13a) 내로 완전히(fully) 수납됨으로써 핸들멤버(11)의 외면(11a)이 후퇴위치(31)에 위치할 수 있다.
로드(17)가 전진(advances)하면 로드(17)의 캡부재(21)가 링크(18)의 가이드면(22)을 밀어낼 수 있다. 로드(17)의 캡부재(21)가 링크(18)의 가이드면(22)을 밀어낼 때, 캡부재(21)의 경사면(21a)이 링크(18)의 가이드면(22)과 협동함으로써 링크(18)가 제2방향(P2)을 따라 피벗할 수 있다. 링크(18)가 제2방향(P2)을 따라 피벗함에 따라 핸들멤버(11)는 하우징(13)의 수납공간(13a)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전개될 수 있다. 이때, 핸들멤버(11)의 전개되는 힘이 복원기구(19)의 토션스프링(25)의 탄성력을 극복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멤버(11)의 외면(11a)이 전개위치(3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15)의 엑츄에이터(16)는 ECU(40, Electronic Control Unit)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ECU(40)가 엑츄에이터(16)를 제어함으로써 핸들멤버(11)가 전개 내지 후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CU(40)는 스마트키 시스템(60, smart key system)와 통신하고, ECU(40)는 스마트키 시스템(60)과의 통신을 통해 구동유닛(15)의 엑츄에이터(16)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60)은 차량 도어의 록 및 언록을 제어하는 도어 록 ECU, 웰컴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의 조명기구,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ECU 등과 통신하고, 이를 통해 포브키(62, key fob)를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에 근접하면 별도의 키 조작 없이 도어의 록(lock) 및 언록(unlock), 웰컴라이트 기능, 엔진의 시동 등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60)은 차량에 배치된 스마트 ECU(61, smart ECU) 및 스마트 ECU(61)와 무선통신하는 포브키(62, key fob)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ECU(61)는 LF 송신부(63, LF transmitter)와, RF 수신부(65, RG reciever)와, 제1컨트롤러(67, first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LF 송신부(63, LF transmitter)는 해당 포브키(62)에 대응하는 LF 신호(Low-Frequency signal)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F 송신부(63, LF transmitter)는 LF 송신안테나(63a)를 통해 LF 신호를 포브키(62)에 송신할 수 있다. LF 송신부(63)는 윈드쉴드 등과 같은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LF 송신안테나(63a)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적당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LF 신호의 수신 반경은 약 3m 정도이다.
RF 수신부(65, RF reciever)는 포브키(62)로부터 RF신호(Radio-Frequency signal)을 RF 수신안테나(65a)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수신부(65)는 수신한 RF 신호를 제1컨트롤러(67)로 송신한다.
제1컨트롤러(67)는 스마트 ECU(61)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1컨트롤러(67)는 수신한 RF 신호에 대응하는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1컨트롤러(67)는 RF 신호에 포함된 포브키(62)의 ID 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유효성이 확인되면 해당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스마트 ECU(61, smart ECU)는 동작 제어신호, 원격 제어신호 등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실행 시에 필요하거나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1컨트롤러(67)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브키(62)는 LF 수신부(64, LF receiver)와, RF 송신부(66, RF transmitter)와, 제2컨트롤러(68, second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LF 수신부(64)는 LF 수신안테나(64a)를 통해 스마트 ECU(61)의 LF 송신부(63)로부터 LF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F 수신부(64)는 수신한 LF 신호를 제2컨트롤러(68)로 송신한다.
제2컨트롤러(68)는 포브키(62)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2컨트롤러(68)는 수신한 LF 신호에 대응하는 RF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RF 신호를 RF 송신부(66)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F 송신부(66)로 출력되는 RF 신호는 포브키(62)의 ID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RF 송신부(66)는 제2컨트롤러(68)로부터 수신한 RF신호를 RF 송신안테나(66a)를 통해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브키(62)는 동작 제어신호, 원격 제어신호 등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포브키(62)의 ID데이터 등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1컨트롤러(67)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60)에 의해 포브키(62)를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에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하면 ECU(40)가 구동유닛(15)의 엑츄에이터(16)를 제어할 수 있다.
포브키(62)를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에 근접하고, 이에 포브키(62) 및 스마트 ECU(61)가 LF 신호 및 RF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포브키(62)의 ID데이터가 인증되면 스마트 ECU(61)의 요청 기능(request function)을 처리하는 신호(예컨대, 차량 도어를 언록하기 위한 언록신호(unlock signal), 웰컴라이트 신호, 핸들멤버(11)를 전개시키기 위한 전개신호 등)를 ECU(40)에 전송할 수 있다.
ECU(40)가 전개 신호(deploy signal)를 구동유닛(15)의 엑츄에이터(16)에 전송하면, 엑츄에이터(16)의 로드(17)가 전진하고 핸들멤버(11)가 전개위치(32)로 이동함으로써 핸들멤버(11)는 차량의 도어패널(51)에서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핸들멤버(11)를 파지할 수 있다.
ECU(40)가 후퇴 신호(retract signal)를 구동유닛(15)의 엑츄에이터(16)에 전송하면, 엑츄에이터(16)의 로드(17)가 후진하고 핸들멤버(11)가 복원기구(19)에 의해 후퇴위치(31)로 이동함으로써 핸들멤버(11)는 하우징(13)의 수납공간(13a)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조명기구(45, light)가 ECU(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스마트키 시스템(60)의 신호가 ECU(40)에 전송되면 ECU(40)가 엑츄에이터(16)의 작동 및 조명기구(45)의 온오프(월컴라이트 기능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조명기구(45, light)가 스마트키 시스템(60)의 스마트 ECU(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스마트키 시스템(60)의 신호에 의해 조명기구(45)의 온오프(월컴라이트 기능의 온오프)가 직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포브키(62)의 RF 송신부(66)가 RF 신호를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로 송신할 때, 주변의 RF 노이즈로 인해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가 RF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 구동유닛(15)의 엑츄에이터(16)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핸들멤버(11)가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핸들멤버(11)의 전개 내지 후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스마트키 시스템(60)의 포브키(62)는 RF 신호를 스마트 ECU(61)에 한 회 이상으로 재차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브키(62)가 차량용 스마트 ECU(61)에 접근함에 따라 포브키(62)의 LF 수신부(64, LF receiver)는 스마트 ECU(61)의 LF 송신부(63)로부터 LF 신호(70)를 수신한다. 포브키(62)의 RF 송신부(66)가 LF 신호(70)에 대응한 첫번째 RF신호(71)를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로 송신할 때,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가 주변의 노이즈로 인해 첫번째 RF신호(71)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가 RF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포브키(62)의 제2컨트롤러(68)는 RF 송신부(66)가 2번째 RF 신호(72), 3번째 RF 신호(73) 등을 재차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브키(62)의 RF 송신부(66)가 2번째 RF 신호(72), 3번째 RF 신호(73) 등을 재차 송신할 때, 제2컨트롤러(68)는 2번째 RF 신호(72), 3번째 RF 신호(73) 등과 같이 재송신되는 RF 신호(72, 73)의 세기(intensity of retransmitted Radio-Frequency signal)를 증가시키고, 제2컨트롤러(68)는 2번째 RF 신호(72), 3번째 RF 신호(73) 등을 RF 송신부(66)로 출력함으로써 포브키(62)의 RF 송신부(66)는 2번째 RF 신호(72), 3번째 RF(73)를 재차 송신한다. 이에, 재송신되는 RF 신호(72, 73)의 세기가 첫번째 RF 신호(71)의 세기 보다 높음에 따라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가 주변의 노이즈를 극복하여 재송신되는 RF 신호(72, 73)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재송신되는 RF 신호(72, 73)의 세기는 그 상한값이 전파 법규를 만족하는 값일 수 있고, 그 하한값은 첫번째 RF 신호(71)의 세기 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10)는 로드(17)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27, detector)를 포함할 수 있고, 검출기(27)는 ECU(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기(27)는 자기장에 응답하여 그 출력 전압이 변화하는 하나 이상의 홀센서(27a, 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홀센서(27a)는 로드(17)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로드(17)의 적어도 일부에는 자성체(27b, magnetic material)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로드(17)의 자성체(27b)가 이동함에 따라 자기장이 변화하고,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홀센서(27a)의 출력전압이 변화할 수 있으며, 이에 ECU(40)는 홀센서(27a)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모니터링하여 로드(17)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17)의 위치가 검출기(27)에 의해 검출되고, 이를 이용하여 ECU(40)는 핸들의 전개작동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ECU(40)는 검출기(27)가 검출한 로드(17)의 위치와 설정된 기준위치를 비교함으로써 핸들멤버(11)의 전개조건에서 핸들멤버(11)가 후퇴위치(31)에서 전개위치(32)로 정상적으로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들멤버(11)의 전개조건은 ECU(40)가 핸들멤버(11)의 전개 신호를 엑츄에이터(16)에 전송함으로써 핸들멤버(11)가 후퇴위치(31)에서 전개위치(32)로 이동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10)는 하우징(13)의 수납공간(13a)에 장착된 토글스위치(28)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멤버(11)가 하우징(13)의 수납공간(13a)에 수납된 상태(즉, 핸들멤버(11)가 후퇴위치(31)에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멤버(11)와 토글스위치(28)는 일정 간격(t)으로 이격될 수 있고, 토글스위치(28)는 ECU(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주변의 노이즈 또는 물리적 원인(결빙 또는 이물질 끼임 등) 등으로 인해 핸들멤버(11)가 전개위치(32)로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핸들멤버(11)를 푸시(push)함으로써 핸들멤버(11)가 토글스위치(28)와 접촉할 수 있고, 이에 토글스위치(28)로부터 핸들멤버(11)를 전개하기 위한 신호가 ECU(40)로 전송될 수 있고, ECU(40)는 구동유닛(15)의 엑츄에이터(16)를 제어함으로써 엑츄에이터(16)의 로드(17)가 전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멤버(11)가 후퇴위치(31)에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멤버(11)와 토글스위치(28)가 일정 간격(t)으로 이격됨으로써 핸들멤버(11) 자체가 수동버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핸들멤버(11)를 전체적으로 푸시할 수 있으므로 결빙 또는 이물질 끼임 등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한편, 핸들멤버(11)의 전개조건에서,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10)의 결빙 또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10) 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경우와 같은 물리적 원인으로 인해 핸들멤버(11)가 후퇴위치(31)에서 전개위치(32)로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들멤버(11)의 전개조건은 ECU(40)가 핸들멤버(11)의 전개신호를 엑츄에이터(16)에 전송함으로써 핸들멤버(11)가 후퇴위치(31)에서 전개위치(32)로 이동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검출기(27)에 의해 핸들멤버(11)가 전개위치(32)로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ECU(40)는 엑츄에이터(16)의 로드(17)가 설정된 횟수 동안 후진 및 전진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핸들멤버(11)의 후퇴 및 전개가 설정된 횟수 동안 반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결빙 또는 이물질 끼임 등이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ECU(40)가 핸들멤버(11)의 전개신호를 엑츄에이터(16)에 전송함에 따라, 엑츄에이터(16)의 로드(17)가 설정된 작동시간(T) 동안 전진할 수 있다. 즉, 작동전류가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엑츄에이터(16)에 미리 설정된 작동시간(T) 동안 인가됨으로써 엑츄에이터(16)의 로드(17)가 전진할 수 있다.
차량용 ECU(40)는 작동시간(T)의 도중에 검출기(27)에 의해 로드(17)의 위치를 측정하고, 검출기(27)에 의해 측정된 로드(17)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로드(17)의 전진을 중지한 후에, 로드(17)를 설정된 횟수 동안 후진 및 전진시킬 수 있다.
차량용 ECU(40)는 작동시간(T) 내의 설정된 측정시점(T1)에 홀센서(27a)의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홀센서(27a)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 보다 낮을 경우에 로드(17)의 전진을 중지시킨 후에, 로드(17)의 후진 및 전진을 설정된 횟수 동안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핸들멤버(11)의 전개조건에서, 엑츄에이터(16)의 로드(17)가 후진 및 전진을 설정된 횟수 동안 반복함에 따라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10)의 결빙 내지 이물질 끼임 등이 해소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핸들멤버(11)가 전개위치(32)로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포브키(62)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면(S1), 스마트 ECU(61)의 제1컨트롤러(67)는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가 포브키(62)로부터 RF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 지를 판단한다(S2).
주변의 노이즈 등으로 인해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가 포브키(62)로부터 RF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면 포브키(62)의 제2컨트롤러(68)가 RF 신호를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에 재송신한다(S3).
RF 신호의 재전송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변의 노이즈로 인해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가 LF 신호(70)에 대응한 첫번째 RF신호(71)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가 RF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포브키(62)의 제2컨트롤러(68)는 RF 송신부(66)가 2번째 RF 신호(72), 3번째 RF 신호(73) 등을 재차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브키(62)의 RF 송신부(66)가 2번째 RF 신호(72), 3번째 RF 신호(73) 등을 재차 송신할 때, 포브키(62)의 제2컨트롤러(68)는 2번째 RF 신호(72), 3번째 RF 신호(73) 등과 같이 재송신되는 RF 신호(72, 73)의 세기(intensity of retransmitted Radio-Frequency signal 72, 73)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컨트롤러(68)는 2번째 RF 신호(72), 3번째 RF 신호(73) 등을 RF 송신부(66)로 출력함으로써 포브키(62)의 RF 송신부(66)는 2번째 RF 신호(72), 3번째 RF(73) 등을 재차 송신한다. 이와 같이, 재송신되는 RF 신호(72, 73)의 세기가 첫번째 RF 신호(71)의 세기 보다 높음에 따라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는 주변의 노이즈를 극복하여 재송신되는 RF 신호(72, 73)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재송신되는 RF 신호(72, 73)의 세기는 그 상한값이 전파 법규를 만족하는 값일 수 있고, 그 하한값은 첫번째 RF 신호(71)의 세기 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
스마트 ECU(61)의 RF 수신부(65)가 포브키(62)로부터 RF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스마트 ECU(61)의 제1컨트롤러(67)는 스마트 ECU(61)의 요청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예컨대, 차량 도어를 언록하기 위한 언록신호(unlock signal), 웰컴라이트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핸들멤버(11)를 전개시키기 위한 핸들멤버(11)의 전개 신호 등)를 ECU(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도어가 언록되고 웰컴라이트 기능이 온(조명기구(45)의 온)되면, ECU(40)가 핸들멤버(11)의 전개 신호를 구동유닛(15)의 엑츄에이터(16)에 전송함으로써 핸들멤버(11)를 전개시킨다(S4).
ECU(40)는 핸들멤버(11)가 전개위치(32)로 정상적으로 이동하는 지를 판단한다(S5).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10)의 결빙 또는 이물질 끼임 등과 같은 물리적 구속요인으로 인해 핸들멤버(11)가 전개위치(32)에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ECU(40)는 설정된 횟수로 핸들멤버(11)의 후퇴 및 전진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S6).
핸들멤버(11)의 후퇴 및 전진이 설정된 횟수로 반복됨에 따라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10)의 결빙 또는 이물질 끼임 등과 같은 물리적 구속요인이 해소되면 핸들멤버(11)이 전개위치(32)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설정된 횟수 내에 핸들멤버(11)의 후퇴 및 전진을 반복하더라도 핸들조립체(10)의 결빙 또는 이물질 끼임 등과 같은 물리적 구속요인이 해소되지 않으면 핸들멤버(11)가 전개위치(32)로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하지만,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10)의 파손 내지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멤버(11)의 반복적인 후퇴 및 전진을 중지한 후에, 별도의 고장수리를 진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차량 도어가 록(lock)되면 핸들멤버(11)가 하우징(13)의 수납공간(13a)에 수납됨으로써 핸들멤버(11)는 후퇴위치(31)에 위치한다. 포브키(62)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스마트키 시스템(60)의 스마트 ECU(61)와 포브키(62)가 LF 신호 및 RF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스마트 ECU(61)는 ECU(40)에 차량 도어를 언록하기 위한 언록신호(unlock signal), 웰컴라이트 신호, 핸들멤버(11)를 전개시키기 위한 전개신호 등을 ECU(40)에 전송할 수 있다(S11).
엑츄에이터(16)의 로드(17)의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ECU(40)는 검출기(27)의 홀센서(27a)를 리셋(reset)한다(S12).
ECU(40)에 의해 차량 도어가 언록되고 웰컴라이트 기능이 온되면, 미리 설정된 작동시간(T) 동안에 전류가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엑츄에이터(16)에 인가됨으로써 엑츄에이터(16)의 로드(17)가 설정된 작동시간(T) 동안 전진할 수 있다(S13).
ECU(40)는 작동시간(T) 도중의 설정된 측정시점(T1)에 검출기(27)에 의해 로드(17)의 위치를 검출한다(S14). 예컨대, 작동시간(T)은 1초일 수 있고, 측정시점(T1)은 300ms(millisecond)일 수 있으며, ECU(40)는 홀센서(27a)의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출력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함으로써 로드(17)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기(27)에 의해 검출된 로드(17)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지를 판단한다(S15). 예컨대, ECU(40)는 측정시점(T1)에 측정된 홀센서(27a)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과 같은지를 판단함으로써 검출된 로드(17)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출된 로드(17)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ECU(40)는 로드(17)의 전진을 중지한 후에 로드(17)의 후진 및 전진을 일정 횟수로 반복하도록 엑츄에이터(16)를 제어한다(S16). 여기서, ECU(40)는 측정시점(T1)에 측정된 홀센서(27a)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 보다 낮으면 검출된 로드(17)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로드(17)의 후진 거리 및 로드(17)의 전진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로드(17)의 후진 및 전진을 설정된 횟수로 반복함에 따라 결빙 또는 이물질 끼임 등과 같은 물리적 구속요인이 해소되면 S14단계로 리턴한다.
이와 달리, 설정된 횟수 내에 핸들멤버(11)의 후퇴 및 전진을 반복하더라도 핸들조립체(10)의 결빙 또는 이물질 끼임 등과 같은 물리적 구속요인이 해소되지 않으면 핸들멤버(11)가 전개위치(32)로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하지만,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10)의 파손 내지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멤버(11)의 반복적인 후퇴 및 전진을 중지한 후에, 별도의 고장수리를 진행한다.
검출된 로드(17)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면 ECU(40)는 측정시점 이후의 나머지 작동시간 동안에 엑츄에이터(16)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로드(17)를 연속적으로 전진시킨다(S17). 예컨대, 작동시간(T)이 1초(1000ms)이고, 측정시점(T1)이 300ms(millisecond)일 수 있으며, 측정시점 이후의 나머지 작동시간은 700ms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리트랙터블 핸드조립체 11: 핸들멤버
13: 하우징 15: 구동유닛
16: 엑츄에이터 17: 로드
18: 링크 19: 링크
21: 캡부재 22: 가이드면
23: 복원링크 24: 회전체
25: 토션스프링 27: 검출기
28: 토글스위치 40: ECU
60: 스마트키 시스템 61: 스마트 ECU
62: 포브키

Claims (17)

  1.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에서 후퇴위치 및 전개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핸들멤버;
    상기 핸들멤버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하우징;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로드를 가진 엑츄에이터와, 상기 로드의 전후진에 의해 피벗하는 링크와, 상기 핸들멤버를 후퇴위치로 복원하는 복원기구를 가진 구동유닛;
    상기 로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엑츄에이터 및 상기 검출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로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엑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기구는, 상기 핸들멤버의 이동에 따라 피벗가능한 복원링크; 상기 복원링크에 연결되는 회전체; 및 상기 복원링크 및 상기 회전체에 대해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로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핸들멤버가 후퇴위치에서 전개위치로 정상적으로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링크의 타단이 상기 핸들멤버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제1방향으로 피벗함에 따라 상기 핸들멤버가 후퇴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링크가 제2방향으로 피벗함에 따라 상기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단에는 캡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캡부재는 경사면을 가지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캡부재와 접촉가능한 가이드면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캡부재의 경사면에 부합하도록 경사진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원기구는 상기 로드가 후진함에 따라 상기 캡부재가 상기 링크의 가이드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핸들멤버를 후퇴위치로 후퇴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제1회전방향 및 제2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회전방향은 상기 핸들멤버가 후퇴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2회전방향은 상기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방향인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원링크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원링크의 타단은 상기 핸들멤버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 및 상기 복원링크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단턱을 가지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회전체에 제1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단턱 및 상기 복원링크의 돌출부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장착된 토글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멤버가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멤버와 상기 토글스위치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토글스위치는 상기 ECU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CU는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은 상기 ECU와 통신하는 스마트 ECU(smart ECU) 및 상기 스마트 ECU와 통신하는 포브키(key fob)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ECU 및 상기 포브키는 LF 신호 및 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로드에 인접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홀센서(hall sensor) 및 상기 로드에 마련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14. 차량 도어의 도어패널에서 후퇴위치 및 전개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핸들멤버와, 상기 핸들멤버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하우징과, 전후진가능한 로드를 가진 엑츄에이터 및 상기 로드의 전후진에 의해 피벗하는 링크를 가진 구동유닛과, 상기 로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로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엑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ECU와, 상기 ECU와 통신하는 스마트 ECU 및 상기 스마트 ECU와 통신하는 포브키를 가진 스마트키 시스템을 포함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제어방법으로,
    포브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스마트 ECU는 스마트 ECU가 포브키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ECU가 상기 포브키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 ECU의 신호가 상기 ECU에 전송되며,
    상기 ECU가 상기 핸들멤버의 전개 신호를 상기 엑츄에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핸들멤버를 전개시키고,
    상기 ECU는 상기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핸들멤버가 전개위치로 이동하지 않으면 상기 ECU는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핸들멤버의 후퇴 및 전개를 설정된 횟수로 반복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ECU가 상기 포브키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포브키는 상기 스마트 ECU에 RF 신호를 재송신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포브키는 상기 스마트 ECU로 재송신하는 RF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핸들멤버가 설정된 작동시간 동안 전개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작동시간의 설정된 측정시점에 검출기에 의해 로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로드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ECU는 상기 로드의 전진을 중지한 후에 상기 로드의 후진 및 전진을 일정 횟수로 반복하는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의 제어방법.
KR1020170132161A 2017-10-12 2017-10-12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85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161A KR102485335B1 (ko) 2017-10-12 2017-10-12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161A KR102485335B1 (ko) 2017-10-12 2017-10-12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112A KR20190041112A (ko) 2019-04-22
KR102485335B1 true KR102485335B1 (ko) 2023-01-05

Family

ID=6628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161A KR102485335B1 (ko) 2017-10-12 2017-10-12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967B1 (ko) * 2020-03-18 2021-07-13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오토 플러쉬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75930A1 (en) * 2016-03-25 2017-09-28 Tesla Motors, Inc. Angle-detecting door hand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2706A1 (de) * 2013-11-18 2015-05-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us einem Türgriff und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en Türgriff
KR102543530B1 (ko) * 2016-03-10 2023-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75930A1 (en) * 2016-03-25 2017-09-28 Tesla Motors, Inc. Angle-detecting door hand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112A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1437B2 (ja) 引込み式ハンドル構造
US10563437B2 (en) Flush comfort handle
US20180179788A1 (en) Power door presenter with latching feature
US84334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of a vehicle
RU2691456C2 (ru) Система ступень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ступеньк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533483B1 (ko) 차량의 폐쇄 요소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10070023B2 (en) Camera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CN102232228A (zh) 用于自动解锁机动车辆的可打开面板的设备
ES2248453T3 (es) Instalacion de bloqueo.
CN107687299A (zh) 用于车辆门的动力驱动门推进器
US20160176375A1 (en) Remote automatic closure of power windows, sun roof and convertible top
US10954698B2 (en) System comprising a door, a door lock and a radio key
CN102239508A (zh) 用于自动解锁机动车的可打开面板的设备
US10104271B2 (en) Modular unit for a motor vehicle
US20150073666A1 (en) Adjusting apparatus for moving a vehicle part that can be moved between a close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KR102485335B1 (ko) 리트랙터블 핸들조립체 및 그의 제어방법
US10348944B2 (en) Modular unit for a motor vehicle
KR101379828B1 (ko) 차량 또는 차량의 주위의 이벤트를 검출하는 장치
JP2008248582A (ja) ドア開閉制御装置
EP3658728A1 (fr) Dispositif de commande d'ouverture exterieure de vehicule automobile fonctionnalise en cas de blocage de poignee
JP2018155059A (ja) 車両用扉開閉システム
US20170144516A1 (en) Active door edge guard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9199578B2 (en) Tonneau cover device
WO2011073271A9 (fr) Dispositif d'activation de systeme mains-libres
US20160059805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Enclosing An Ope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